KR20180074074A - 해수리튬으로부터 배터리용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해수리튬으로부터 배터리용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074A
KR20180074074A KR1020160177757A KR20160177757A KR20180074074A KR 20180074074 A KR20180074074 A KR 20180074074A KR 1020160177757 A KR1020160177757 A KR 1020160177757A KR 20160177757 A KR20160177757 A KR 20160177757A KR 20180074074 A KR20180074074 A KR 20180074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seawater
dihydrogen phosphate
solution
precipi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518B1 (ko
Inventor
이현우
박성국
박광석
박운경
정우철
김기영
국승택
김주영
양혁
김상원
위진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5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30Alkali metal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10Obtaining alkali metals
    • C22B26/12Obtaining lith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C22B3/2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by adsorption on solid substances, e.g. by extraction with solid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리튬 흡착제를 이용하여 해수로부터 리튬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리튬 흡착제에 흡착된 상기 리튬을 탈착시켜 해수리튬 추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해수리튬 추출용액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해수리튬 추출용액에 인산(H3PO4)을 투입하여 pH 3 이상 6 이하의 리튬이수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리튬이수소용액의 용매를 증발시켜 리튬이수소인산염(LiH2PO4)을 결정 상태로 석출하는 단계, 고액 분리를 통해 상기 리튬이수소인산염의 석출물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석출물을 건조하여 리튬이수소인산염 파우더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수리튬으로부터 배터리용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LITHIUM DIHYDROGEN PHOSPHATE FOR BATTERY FROM DISSOLVED LITHIUM IN SEAWATER}
본 기재는 해수리튬으로부터 배터리용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차전지 중 리튬리튬 철 인산염(lithium iron phosphate, LFP)을 원료로 하는 배터리의 수요증가에 따라, 리튬리튬 철 인산염(LFP)의 전구물질인 리튬이수소인산염(lithium dihydrogen phosphate, LiH2PO4)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배터리용 리튬이수소인산 제조와 관련한 특허는 CN 101638225 에 개시되어 있는데 고순도의 탄산리튬과 인산을 섞어 제조하고 있다(식 1).
(식 1) Li2CO3 + 2H3PO4 2LiH2PO4 + H2O + CO2
식 1과 같은 반응에서는 고순도의 탄산리튬을 제조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조단가가 높고 CO2 가스가 발생하는 등의 부반응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렴한 제조단가를 이용하여 부반응이 발생되지 않는 리튬이수소인산염의 제조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기재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해수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은, 리튬 흡착제를 이용하여 해수로부터 리튬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리튬 흡착제에 흡착된 상기 리튬을 탈착시켜 해수리튬 추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해수리튬 추출용액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해수리튬 추출용액에 인산(H3PO4)을 투입하여 pH 3 이상 6 이하의 리튬이수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리튬이수소용액의 용매를 증발시켜 리튬이수소인산염(LiH2PO4)을 결정 상태로 석출하는 단계, 고액 분리를 통해 상기 리튬이수소인산염의 석출물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석출물을 건조하여 리튬이수소인산염 파우더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리튬 흡착제는 리튬망간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 리튬 흡착제에 흡착된 상기 리튬을 탈착시켜 해수리튬 추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리튬 흡착제로부터 상기 리튬을 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산성 용액은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NO3) 및 불산(H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망간(Mn), 칼슘(Ca) 및 마그네슘(Mg)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2가 양이온의 산화물 형태로 상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불순물이 침전된 용액을 고액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가 양이온의 상기 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차아염소산칼슘(Ca(OCl)2), 염소(Cl2) 및 오존(O3)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화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액 분리는, 진공여과, 가압여과 및 원심분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석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이전에, 증류수를 이용하여 상기 석출물을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에 의하면, 탄산리튬 또는 인산리튬을 별도로 제조하지 않고 용액 상태에서 바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하며 이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해수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해수리튬 추출용액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공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수소인산염의 XRD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기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기재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해수리튬 추출용액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공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은 리튬 흡착제를 이용하여 해수로부터 리튬을 흡착하는 단계(S100), 해수리튬 추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200), 불순물 제거 단계(S300), 리튬이수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400), 리튬이수소인산염(LiH2PO4)을 석출하는 단계(S500), 리튬이수소인산염(LiH2PO4)의 석출물을 분리시키는 단계(S600) 및 석출물을 건조시켜 리튬이수소인산염 파우더를 제조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리튬 흡착제를 이용하여 해수로부터 리튬을 흡착하는 단계(S100)는, 리튬망간산화물 과 같은 리튬 흡착제를 이용하여 해수에 포함된 중 리튬을 흡착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튬 흡착제의 리튬 흡착 공정은 다음의 식 2를 통해 이루어진다.
(식 2) HxMnyO4 + xLi+ LixMnyO4 + xH+
해수리튬 추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200)는 리튬 흡착제에 의해 흡착된 리튬을 리튬 흡착제로부터 탈착시켜 해수티륨 추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튬 흡착제로부터 리튬을 탈착시키는 공정은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실시예의 산성 용액은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NO3) 및 불산(H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pH가 7보다 낮아 산성을 가지는 용액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리튬을 탈착시켜 해수리튬 추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200)는 다음의 식 3을 통해 이루어진다. 식 3에는 산성 용액의 일 예로 황산을 이용한 반응이 기재되어 있다.
(식 3) LixMnyO4 + xH2SO4 HxMnyO4 + xLi2SO4
해수리튬 추출용액은 염수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Ca, Mg 등의 불순물 함량이 적고 세척을 통해 제거가 가능한 Na, K 등의 함량도 매우 낮기 때문에 고순도의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데 유리하다.
해수리튬 추출용액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S300)는 2가 양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거 대상 양이온은 망간 이온(Mn2 +), 칼슘 이온(Ca2 +) 및 마그네슘 이온(Mg2+)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라 해수리튬 추출용액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S300)는 양이온은 망간 이온(Mn2 +), 칼슘 이온(Ca2 +) 및 마그네슘 이온(Mg2 +)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2가 양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망간 이온(Mn2+), 칼슘 이온(Ca2 +) 및 마그네슘 이온(Mg2 +)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2가 양이온의 산화물을 생성하여 이를 침전시키는 단계 및 침전된 산화물, 즉 불순물이 침전된 용액을 고액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고액 분리는 진공여과, 가압여과 및 원심분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는 이후 설명하는 리튬이수소인산염의 석출물을 분리시킬 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망간 불순물은 산화제를 이용하여 망간산화물 형태로 불순물을 침전시킨 후 이를 고액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산화제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차아염소산칼슘(Ca(OCl)2), 염소(Cl2) 및 오존(O3)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과산화이중황산나트륨(Na2S2O8)과 같은 황(S)을 포함하는 화합물도 사용이 가능하나 반응 후 황을 포함하는 불순물이 남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투입되는 산화제의 양은 제거해야 하는 2가 음이온의 당량 대비 1~1.5 당량으로 투입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상온이다. 일 예로, 산화제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사용할 경우의 반응식은 다음의 식 4와 같다.
(식 4) Mn2+ + 2NaOCl MnO2 + 2NaCl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의 경우 수산화나트륨(NaOH), 탄산나트륨(Na2CO3)과 같은 부원료를 이용하여 수산화칼슘(Ca(OH)2), 탄산칼슘(CaCO3), 수산화마그네슘(Mg(OH)2), 탄산마그네슘(MgCO3)과 같은 침전물을 생성시킨다. 이후 생성된 침전물을 고액분리 한 후 제거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투입되는 부원료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1가/2가 양이온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나노여과 등의 물리적 분리방법과 화학적 제거방법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수산화나트륨(NaOH) 및 탄산나트륨(Na2CO3)을 이용한 침전 반응식은 각각 다음의 식 5 및 식 6과 같다.
(식 5) Mg2+ + 2NaOH Mg(OH)2 + 2Na+
(식 6) Ca2+ + Na2CO3 CaCO3 + 2Na+
불순물이 제거된 용액에 인산(H3PO4)을 투입하여 리튬이수소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500)는 다음의 식 7을 통해 이루어진다. 투입되는 인산은 용액의 pH를 3~6으로 조절하는 양으로 투입한다.
(식 7) Li+ + H2PO4 - LiH2PO4
생성된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석출시키는 단계(S600)는 증발 결정화를 이용하여 용해도(55g/100g) 이상이 되도록 물을 증발시켜 제거함으로써 리튬이수소인산염 석출물을 발생시키는 공정에 의해 진행된다.
이후 전술한 것과 같이 진공여과, 가압여과 및 원심분리와 같은 공정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고액분리를 통해 리튬이수소인산염(LiH2PO4)의 석출물을 분리시키는 단계(S700)가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석출물의 건조 공정이 완료되고 나면 리튬이수소인산염 파우더가 제조된다(S800).
이후 석출물의 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증류수를 이용하여 석출물을 세척하는 단계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른 해수리튬 추출용액의 성분 조성 및 도 1에 도시된 공정에 따라 제조된 리튬이수소인산염의 성분조성은 다음과 같다.
구분 (mg/L) Li Na K Ca Mg Mn
해수리튬 추출용액 1,500 600 300 1,000 400 1,000
불순물 제거 후 1,450 3,000 400 1 1 1
농축 후 40,000 82,700 11,030 27 26 26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수소인산염의 XRD 분석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산물의 생성이 없는 고순도의 리튬이수소인산염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수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기재에 따르면, 탄산리튬 또는 인산리튬을 별도로 제조하지 않고 용액 상태에서 바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하며 이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해수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리튬 흡착제를 이용하여 해수로부터 리튬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리튬 흡착제에 흡착된 상기 리튬을 탈착시켜 해수리튬 추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해수리튬 추출용액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해수리튬 추출용액에 인산(H3PO4)을 투입하여 pH 3 이상 6 이하의 리튬이수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리튬이수소용액의 용매를 증발시켜 리튬이수소인산염(LiH2PO4)을 결정 상태로 석출하는 단계;
    고액 분리를 통해 상기 리튬이수소인산염의 석출물을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석출물을 건조하여 리튬이수소인산염 파우더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흡착제는 리튬망간산화물인,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흡착제에 흡착된 상기 리튬을 탈착시켜 해수리튬 추출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리튬 흡착제로부터 상기 리튬을 탈착시키는,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용액은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NO3) 및 불산(HF)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망간(Mn), 칼슘(Ca) 및 마그네슘(Mg)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2가 양이온의 산화물 형태로 상기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불순물이 침전된 용액을 고액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가 양이온의 상기 산화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차아염소산칼슘(Ca(OCl)2), 염소(Cl2) 및 오존(O3)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화제로 이용하는,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 분리는,
    진공여과, 가압여과 및 원심분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을 포함하여 진행되는,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이전에,
    증류수를 이용하여 상기 석출물을 세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해수리튬으로부터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60177757A 2016-12-23 2016-12-23 해수리튬으로부터 배터리용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6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757A KR101969518B1 (ko) 2016-12-23 2016-12-23 해수리튬으로부터 배터리용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757A KR101969518B1 (ko) 2016-12-23 2016-12-23 해수리튬으로부터 배터리용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074A true KR20180074074A (ko) 2018-07-03
KR101969518B1 KR101969518B1 (ko) 2019-04-16

Family

ID=6291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757A KR101969518B1 (ko) 2016-12-23 2016-12-23 해수리튬으로부터 배터리용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5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7344A (zh) * 2020-03-11 2020-06-02 泰安市永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酸处理系统
CN114572949A (zh) * 2022-03-08 2022-06-03 重庆康普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磷酸二氢锂生产工艺
CN117509579A (zh) * 2023-12-11 2024-02-06 江西东鹏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电池级磷酸二氢锂及其新型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488A1 (ko) * 2020-01-17 2021-07-22 전웅 리튬 추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27919A (zh) * 2007-06-19 2008-12-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磷酸二氢锂的合成方法
KR20120015658A (ko) * 2010-08-12 2012-02-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수로부터 리튬, 탄산리튬 및 수산화 리튬을 고순도로 회수하는 방법과, 리튬 2차전지 양극재 및 리튬 2차전지용 LiFePO₄양극재의 제조 방법
KR20150003029A (ko) * 2013-06-28 2015-01-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27919A (zh) * 2007-06-19 2008-12-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磷酸二氢锂的合成方法
KR20120015658A (ko) * 2010-08-12 2012-02-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수로부터 리튬, 탄산리튬 및 수산화 리튬을 고순도로 회수하는 방법과, 리튬 2차전지 양극재 및 리튬 2차전지용 LiFePO₄양극재의 제조 방법
KR20150003029A (ko) * 2013-06-28 2015-01-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특허공개공보 101327919(2008.12.24.) 1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7344A (zh) * 2020-03-11 2020-06-02 泰安市永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酸处理系统
CN114572949A (zh) * 2022-03-08 2022-06-03 重庆康普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磷酸二氢锂生产工艺
CN117509579A (zh) * 2023-12-11 2024-02-06 江西东鹏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电池级磷酸二氢锂及其新型制备方法和应用
CN117509579B (zh) * 2023-12-11 2024-05-14 江西东鹏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电池级磷酸二氢锂及其新型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518B1 (ko)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518B1 (ko) 해수리튬으로부터 배터리용 리튬이수소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JP5632169B2 (ja) リチウム含有液からのリチウム濃縮液の製造方法および炭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KR102154599B1 (ko) 양극활물질의 유가금속 분리회수방법
JP5528153B2 (ja) リチウム含有液からの高濃度リチウム溶液の製造方法および炭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KR101321070B1 (ko) 염수로부터 고순도의 인산리튬 추출 방법
US11655150B2 (en) Preparation method for lithium phosphate, preparation method for lithium hydroxide, and preparation method for lithium carbonate
US20220024776A1 (en) Method for producing lithium-containing solution
JP2019099901A (ja) リチウム含有水溶液からリチウムを回収する方法
WO2021215486A1 (ja) 水酸化リチウムの製造方法
KR101245313B1 (ko) 탄산리튬의 제조방법
KR20190076678A (ko) 탄산리튬의 제조방법
JP2021172536A (ja) 水酸化リチウムの製造方法
JP2019526523A (ja) 塩化リチウムの製造方法および炭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KR20200058611A (ko) 리튬 추출 방법
KR101165453B1 (ko) 염수로부터 고순도 탄산리튬을 제조하는 방법
CN103038170B (zh) 在氯化物形成的盐溶液中贫化镁和富集锂的方法
KR20200004592A (ko) 리튬 추출 방법
CN108840354B (zh) 电池级氯化锂深度除杂方法
KR102170430B1 (ko) 고순도 수산화 리튬 수용액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수로부터 탄산 리튬의 효율적 추출 방법
CN102167369A (zh) 一种降低LiCl中NaCl含量的方法
KR102168611B1 (ko) 고순도 수산화 리튬 수용액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수로부터 탄산 리튬의 효율적 추출 방법
KR101898236B1 (ko) 염수를 이용한 탄산리튬의 제조 방법
KR101238890B1 (ko) 염수를 이용한 탄산리튬 제조방법
KR20230045004A (ko) 리튬을 함유하는 원료에서 수산화리튬을 제조하는 방법
KR20230091320A (ko) 정제염 제조공정의 배출 해수로부터 선택적 칼슘 이온 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