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728A - 차량용 복사열 히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복사열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728A
KR20180073728A KR1020160176234A KR20160176234A KR20180073728A KR 20180073728 A KR20180073728 A KR 20180073728A KR 1020160176234 A KR1020160176234 A KR 1020160176234A KR 20160176234 A KR20160176234 A KR 20160176234A KR 20180073728 A KR20180073728 A KR 20180073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nt heater
front cover
radiant
touch sensing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173B1 (ko
Inventor
오동훈
신정식
오만주
김재웅
정소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1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46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obtaining information from a variable, e.g. by means of a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93Integration into other parts of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절기 차량의 시동 초기에 탑승자를 향해 복사열을 직접 방출하여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에 있어서, 열을 발생시켜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는 복사열 히터; 상기 복사열 히터의 후면에 결합된 단열재; 상기 복사열 히터의 전방에 배치되어 복사열 히터에서 방출된 복사열을 전면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의 후면을 지지하는 백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에 신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수단; 및 상기 터치감지수단 및 복사열 히터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에서의 신체 접촉 감지 여부에 따라 복사열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복사열 히터 제어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탑승자를 향해 복사열을 직접 방출하여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되 복사열 히터의 전면에 설치된 커버에 신체가 접촉되더라도 화상의 우려가 없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복사열 히터 {Radiant hea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복사열 히터에 관한 것으로, 동절기 차량의 시동 초기에 탑승자를 향해 복사열을 직접 방출하여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에 있어서, 고온의 복사열을 빠르게 방출할 수 있어 난방의 속효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동절기 시동 초기에 냉각수가 충분히 가열되지 못해 차량의 실내를 빠르게 난방할 수 없어, 복사열을 이용해 탑승자에게 복사열을 직접 방출하여 난방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차량의 실내에는 복사열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복사열 히터는 차량 실내의 대쉬보드(dashboard) 하측, 운전석쪽 스티어링 칼럼, 조수석쪽 글로브 박스(glove box), 앞좌석의 등받이 등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다리쪽으로 복사열을 직접 방출함으로써 신속하게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례로 종래의 복사 히터 장치(1)는, 도 1과 같이 차량 운전석의 핸들(14)에 연결된 스티어링 칼럼(13)의 하면에 복사 히터 장치(1)가 설치되어 좌석(11)에 앉은 탑승자의 다리(12)쪽을 향해 복사열을 방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복사 히터 장치(1)는 도 2와 같이 기판(2)에 방열부(3), 발열부(4) 및 단자(7) 등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차량용 복사열 히터는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방열부 및 발열부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탑승자쪽을 향하는 외부의 면에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데, 커버에 의해 복사열이 차단되어 복사열 히터의 성능이 감소되며 커버에 신체가 닿으면 화상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JP 2014-003000 A (2014.01.0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절기 차량의 시동 초기에 탑승자를 향해 복사열을 직접 방출함으로써 난방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용 복사열 히터에 있어서, 복사열 히터의 전면에 설치된 커버에 신체가 접촉되더라도 화상의 우려가 없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복사열 히터(1000)는, 열을 발생시켜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는 복사열 히터(100); 상기 복사열 히터(100)의 후면에 결합된 단열재(200); 상기 복사열 히터(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복사열 히터(100)에서 방출된 복사열을 전면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프론트 커버(300);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200)의 후면을 지지하는 백 커버(400); 상기 프론트 커버(300)에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수단(500); 및 상기 터치감지수단(500) 및 복사열 히터(100)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에서의 신체 접촉 감지 여부에 따라 복사열 히터(100)의 온도를 제어하는 복사열 히터 제어기(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일부 또는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일부 또는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백 커버(4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이격되어 배치된 전도성 시트(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프론트 커버(300) 및 전도성 시트(700)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프론트 커버(300)와 전도성 시트(700)간의 쇼트, 저항 및 통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311)이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시트(7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단열재(200)가 배치된 복사열 히터(100)의 반대측면에 배치된 전도성 시트(7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과 연결된 멤브레인 스위치(7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311)이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멤브레인 스위치(71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멤브레인 스위치(710)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과 연결된 텍트 스위치(7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311)이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텍트 스위치(72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텍트 스위치(720)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복사열 히터(100)의 사이에는 탄성 스페이서(312)가 개재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복사열 히터는 복사열 히터의 전면에 설치된 커버에 신체가 접촉되더라도 화상의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복사 히터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실시예 및 복사 히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나타낸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복사열 히터(1000)는, 열을 발생시켜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는 복사열 히터(100); 상기 복사열 히터(100)의 후면에 결합된 단열재(200); 상기 복사열 히터(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복사열 히터(100)에서 방출된 복사열을 전면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프론트 커버(300);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200)의 후면을 지지하는 백 커버(400); 상기 프론트 커버(300)에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수단(500); 및 상기 터치감지수단(500) 및 복사열 히터(100)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에서의 신체 접촉 감지 여부에 따라 복사열 히터(100)의 온도를 제어하는 복사열 히터 제어기(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차량용 복사열 히터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프론트 커버(300), 복사열 히터(100), 단열재(200) 및 백 커버(400)가 차례로 배열되어 적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 커버(300)와 백 커버(400)는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이 내부 공간에 복사열 히터(100)와 단열재(200)가 수용되어 프론트 커버(300)와 백 커버(400)에 의해 복사열 히터(100)와 단열재(200)가 감싸져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사열 히터(100)는 열을 발생시켜 복사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원에 연결되어 전기를 이용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열원이 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사열 히터(100)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열체 및 전면에 복사열 방출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표면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복사열 히터(100)는 종류나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한 구성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재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열재(200)는 복사열 히터(100)의 후면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단열재(200)는 복사열 히터(100)에서 발생되는 열이 후면쪽으로 전도 및 복사에 의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200)는 복사열 히터(100)의 후면과 함께 상하 및 좌우방향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측면쪽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프론트 커버(300)는 복사열 히터(1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차량 탑승자의 신체가 직접 복사열 히터(10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례로 프론트 커버(300)는 내측이 관통된 사각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격자형태의 뼈대로 형성된 수평부(300a)로 형성된 지지부재(310)와 상기 지지부재(3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밀착되어 결합된 표면부재(3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면부재(320)는 복사열 히터(100)로부터 방출된 복사열이 통과될 수 있도록 다공성으로 형성된 타공판, 메쉬, 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300)의 지지부재(310)는 사각 프레임에서 후면쪽으로 돌출된 후크 형태의 결합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백 커버(400)는 단열재(200)의 후방에 배치되며 관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300)의 후크 형태의 결합부가 관통공에 삽입된 후 걸려 빠지지 않도록 백 커버(400)와 프론트 커버(30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백 커버(400)는 차량의 내장부재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차량의 내장부재가 백 커버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 및 표면부재(320)는 복사열 히터(100)와 배열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사열 히터(100)와 단열재(200)는 접착 등으로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사열 히터(100)와 단열재(200)는 프론트 커버(300)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백 커버(4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500)은 프론트 커버(300)에 연결되어, 신체가 프론트 커버(300)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터치감지수단(50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사열 히터 제어기(600)는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에서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가 접촉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한 신호에 따라 복사열 히터(1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일례로 터치감지수단(500)에서 신체가 접촉된 것을 감지하여 복사열 히터 제어기(600)로 신호를 보내면 히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온도가 낮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신체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복사열 히터(100)가 정상 온도로 유지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복사열 히터는 복사열 히터의 전면에 설치된 커버에 신체가 장시간 접촉되더라도 복사열 히터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온도가 낮게 유지되도록 제어되므로 차량 탑승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1>
또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일부 또는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300)의 지지부재(310) 또는 표면부재(320)를 전도성 재료로 코팅하거나 전도성 재료를 혼합하여 사출하거나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프론트 커버(300)에 최소 한 쌍 이상의 감지선을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 등의 터치감지수단(500)에 연결하여, 터치감지수단(500)에서 감지되는 값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신체가 프론트 커버(300)에 접촉되면 터치감지수단(500)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확인하고 복사열 히터 제어기(600)에서 이를 신체가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여 복사열 히터(100)의 온도를 50℃ 이하로 일정시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시간 이상 더 이상의 터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본래의 복사열 히터 제어온도로 상승시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일부 또는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백 커버(4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이격되어 배치된 전도성 시트(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프론트 커버(300) 및 전도성 시트(700)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프론트 커버(300)와 전도성 시트(700)간의 쇼트, 저항 및 통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가 접촉되어 프론트 커버(300)의 일부가 눌려 복사열 히터(100)쪽으로 접근하면 일부 또는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프론트 커버(300)와 전도성 시트(700)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때 프론트 커버(300) 및 전도성 시트(700)에 연결된 터치감지수단(500)을 통해 쇼트, 저항 및 통전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도성 시트(700)는 프론트 커버(300)와 백 커버(400)의 사이에 위치하며 배열된 방향으로 프론트 커버(300)에서 이격된 위치에 전도성 시트(7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311)이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시트(7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프론트 커버(300)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핀(311)이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를 관통하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고,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의 사이에 전도성 시트(7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돌출핀(311)의 하단이 전도성 시트(700)와 약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핀(311)과 지지부재(310)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돌출핀(311)만 또는 돌출핀(311)의 하단만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터치감지수단(500)의 하나의 감지선이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감지선은 전도성 시트(7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가 접촉되어 눌려 돌출핀(311)이 아래쪽으로 이동되면 돌출핀(311)의 하단과 전도성 시트(700)가 접촉하게 되며, 이때 터치감지수단(500)에서 돌출핀(311)과 전도성 시트(700)간의 쇼트, 저항 및 통전 등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단열재(200)가 배치된 복사열 히터(100)의 반대측면에 배치된 전도성 시트(7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7과 같이 프론트 커버(300)에 형성된 돌출핀(311)이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를 관통하지 않고, 전도성 시트(700)가 복사열 히터(100)의 상면에 결합된 형태로 배치되며 돌출핀(311)의 하단이 전도성 시트(700)의 상면에서 약간 이격되어 있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마찬가지로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가 접촉되어 눌려 돌출핀(311)이 아래쪽으로 이동되면 돌출핀(311)의 하단과 전도성 시트(700)가 접촉하게 되며, 이때 터치감지수단(500)에서 돌출핀(311)과 전도성 시트(700)간의 쇼트, 저항 및 통전 등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과 연결된 멤브레인 스위치(7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311)이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멤브레인 스위치(71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멤브레인 스위치(710)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론트 커버(300)에 형성된 돌출핀(311)이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를 관통하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고,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의 사이에 멤브레인 스위치(7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돌출핀(311)의 하단은 멤브레인 스위치(710)와 접촉되어 있으며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가 접촉되어 눌리면 돌출핀(311)의 하단이 멤브레인 스위치(710)를 누르게되고, 이를 터치감지수단(500)에서 감지하여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가 접촉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돌출핀(311)의 하단은 멤브레인 스위치(710)와 약간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감지수단(500)의 한 쌍의 감지선은 모두 멤브레인 스위치(710)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과 연결된 텍트 스위치(7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311)이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텍트 스위치(72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텍트 스위치(720)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실시예와 유사하나 멤브레인 스위치 대신 텍트 스위치를 이용한 구성으로서, 프론트 커버(300)에 형성된 돌출핀(311)이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를 관통하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있고,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의 사이에 텍트 스위치(7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돌출핀(311)의 하단은 텍트 스위치(720)와 접촉되어 있으며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가 접촉되어 눌리면 돌출핀(311)의 하단이 텍트 스위치(720)를 누르게되고, 이를 터치감지수단(500)에서 감지하여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가 접촉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돌출핀(311)의 하단은 텍트 스위치(720)와 약간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감지수단(500)의 한 쌍의 감지선은 모두 텍트 스위치(7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텍트 스위치(720)는 단열재(200) 또는 백 커버(400)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여 텍트 스위치(720)가 매입되어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복사열 히터(100)의 사이에는 탄성 스페이서312)가 개재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는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가 접촉되어 눌린 후 신체가 프론트 커버(300)에서 떨어지면 탄성 스페이서(312)의 탄성에 의해 프론트 커버(300)의 형태가 원래의 눌리지 않았던 상태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터치감지수단(500)에서 신체가 접촉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탄성 스페이서(312)는 일례로 프론트 커버(300)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와 복사열 히터(100)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 스페이서(312)의 양단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스페이서(312)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부와 탄성 스페이서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외에도 탄성 스페이서(312)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탄성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차량용 복사열 히터
100 : 복사열 히터
200 : 단열재
300 : 프론트 커버 300a : 수평부
310 : 지지부재
311 : 돌출핀 312 : 탄성 스페이서
320 : 표면부재
400 : 백 커버
500 : 터치감지수단
600 : 복사열 히터 제어기
700 : 전도성 시트 710 : 멤브레인 스위치
720 : 텍트 스위치

Claims (8)

  1. 열을 발생시켜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는 복사열 히터(100);
    상기 복사열 히터(100)의 후면에 결합된 단열재(200);
    상기 복사열 히터(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복사열 히터(100)에서 방출된 복사열을 전면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프론트 커버(300);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결합되어 상기 단열재(200)의 후면을 지지하는 백 커버(400);
    상기 프론트 커버(300)에 연결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300)에 신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감지수단(500); 및
    상기 터치감지수단(500) 및 복사열 히터(100)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에서의 신체 접촉 감지 여부에 따라 복사열 히터(100)의 온도를 제어하는 복사열 히터 제어기(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일부 또는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일부 또는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백 커버(4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이격되어 배치된 전도성 시트(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프론트 커버(300) 및 전도성 시트(700)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프론트 커버(300)와 전도성 시트(700)간의 쇼트, 저항 및 통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311)이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시트(7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단열재(200)가 배치된 복사열 히터(100)의 반대측면에 배치된 전도성 시트(700)와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과 연결된 멤브레인 스위치(7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311)이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멤브레인 스위치(71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멤브레인 스위치(710)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200)와 백 커버(4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감지수단(500)과 연결된 텍트 스위치(7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론트 커버(300)는 지지부재(310)의 수평부(300a)에서 복사열 히터(100)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돌출핀(311)이 형성되고, 상기 복사열 히터(100) 및 단열재(200)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311)이 관통공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핀(311)의 하단이 텍트 스위치(72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터치감지수단(500)은 텍트 스위치(720)의 눌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300)와 복사열 히터(100)의 사이에는 탄성 스페이서(312)가 개재되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복사열 히터.
KR1020160176234A 2016-12-22 2016-12-22 차량용 복사열 히터 KR10261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234A KR102614173B1 (ko) 2016-12-22 2016-12-22 차량용 복사열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234A KR102614173B1 (ko) 2016-12-22 2016-12-22 차량용 복사열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28A true KR20180073728A (ko) 2018-07-03
KR102614173B1 KR102614173B1 (ko) 2023-12-14

Family

ID=6291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234A KR102614173B1 (ko) 2016-12-22 2016-12-22 차량용 복사열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1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401A (ko) * 2020-07-31 2022-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팅필름
WO2023140436A1 (ko) * 2022-01-18 2023-07-27 주식회사 테라온 자동차용 면상 발열 히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3000A (ja) 2012-05-23 2014-01-09 Denso Corp 輻射ヒータ装置
JP2015016703A (ja) * 2013-07-08 2015-01-29 株式会社デンソー 輻射ヒータ装置
JP2016031195A (ja) * 2014-07-29 2016-03-07 株式会社デンソー 輻射ヒータ装置
KR20160089112A (ko) * 2015-01-19 2016-07-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복사열 히터
WO2016167075A1 (ja) * 2015-04-15 2016-10-20 株式会社デンソー ヒ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3000A (ja) 2012-05-23 2014-01-09 Denso Corp 輻射ヒータ装置
JP2015016703A (ja) * 2013-07-08 2015-01-29 株式会社デンソー 輻射ヒータ装置
JP2016031195A (ja) * 2014-07-29 2016-03-07 株式会社デンソー 輻射ヒータ装置
KR20160089112A (ko) * 2015-01-19 2016-07-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복사열 히터
WO2016167075A1 (ja) * 2015-04-15 2016-10-20 株式会社デンソー ヒ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401A (ko) * 2020-07-31 2022-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팅필름
WO2023140436A1 (ko) * 2022-01-18 2023-07-27 주식회사 테라온 자동차용 면상 발열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173B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82126A1 (ja) 車両用暖房装置
US9381789B2 (en) Heater apparatus
US9884537B2 (en) Vehicle having an electric heating device
KR20160039415A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US10946722B2 (en) Heater device
KR20180073728A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JP2016085958A (ja) 輻射ヒータ装置
KR20180076374A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JP2008018057A (ja) シートヒータ
JP6221983B2 (ja) 輻射ヒータ装置
KR101395000B1 (ko)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탄소섬유 발온기
KR20170079020A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WO2016017140A1 (ja) 車両用暖房装置
KR102589040B1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KR102262142B1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JP6578893B2 (ja) ヒータ装置
KR20170031875A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KR20100077606A (ko) 면상발열 액자
JP7119432B2 (ja) 着座検知装置
KR20180072913A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247375A (ja) 車両用暖房装置
KR20210014852A (ko) 히팅 장치
WO2018088205A1 (ja) 車両用暖房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自動車
JP5073471B2 (ja) 車両用電気暖房器
JP2000232952A (ja) 暖房便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