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606A - 면상발열 액자 - Google Patents

면상발열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606A
KR20100077606A KR1020080135603A KR20080135603A KR20100077606A KR 20100077606 A KR20100077606 A KR 20100077606A KR 1020080135603 A KR1020080135603 A KR 1020080135603A KR 20080135603 A KR20080135603 A KR 20080135603A KR 20100077606 A KR20100077606 A KR 20100077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ting
light emitting
sheet
hea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열
Original Assignee
양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창열 filed Critical 양창열
Priority to KR102008013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7606A/ko
Publication of KR2010007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상발열 액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원 공급을 받아 발열하는 것으로 일면에 사진이나 그림이 구비되는 면상 발열시트 및 이 발열시트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발열시트의 후면을 차폐하면서 프레임에 결합되는 차폐판으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 액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부 공간 일측에 전장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및 이 인쇄회로기판에 회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발열시트의 일측을 향하여 발광하도록 배치되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발광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향료가 침지되어 발향을 하는 발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액자, 족자, 발열, 시트, 그림, 사진, 시온잉크

Description

면상발열 액자{Picture frame which includes plane heater}
본 발명은 일면에 그림이나 사진 등이 부착 또는 인쇄된 발열시트를 이용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 온도에 따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미관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온도에 따라 발향이 이루어지도록 한 면상발열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장치로는 크게 실내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된 온돌을 직접 가열하는 온돌식과, 실내 공간의 바닥면이나 벽면 내부에 배관된 순환파이프로 고온의 물을 순환시켜 실내공기를 덥혀주는 온수순환식과, 가스나 등유를 태워 난방을 하는 스토브식과,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체의 열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히터식 등으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난방방식에서 온돌식의 경우 재래식 가옥에서는 가능하지만 현대식 아파트나 빌딩에서는 설치구조가 복잡하여 실현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아파트나 공동주택 또는 빌딩 등에서는 온수순환방식의 난방장치가 주로 적용 실시되고 있다.
한편, 온수순환방식의 난방장치의 경우 실내공기를 고르게 덥혀주기는 하지만 순환되는 온수의 온도가 최고 80∼95℃에 불과하고, 그에 따라 난방시 실내공간의 분위기 온도가 40℃이상을 넘기기 어렵기 때문에 사우나시설 등에의 적용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 한편, 전기 히터식 난방장치의 경우 전기에너지가 발열체의 전기저항에 의하여 열에너지로 변환되기 때문에 발열체의 발열시 실내 공기중에 함유된 산소가 연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밀폐 공간에서의 사용시 안전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발열체 한면의 양쪽에 전극을 부착시키고, 양면에 고분자 절연물로 적층시킨 시트(Sheet)형상의 면상 발열체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발열시트를 이용하여 그림이나 사진을 부착 또는 인쇄하고 이를 액자(족자) 형태로 제작한 면상발열 액자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액자형 히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7753호가 있다. 종래의 액자형 히터는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후면 프레임 및 이들 전·후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인너프레임과, 이 인너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그림판 및 면상발열체 그리고 상기 면상발열체의 후면측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방열판, 단열플레이트, 마감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액자형 히터는 단순히 면상 발열체를 액자형태로 제공함에 따라 단순한 액자 이상의 인테리어 효과를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열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해 자칫 부주의로 발열시 트의 표면을 만지는 경우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발열시트의 온도변화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면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면상발열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시 발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면상발열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 액자는, 전원 공급을 받아 발열하는 것으로 일면에 사진이나 그림이 구비되는 면상 발열시트 및 이 발열시트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발열시트의 후면을 차폐하면서 프레임에 결합되는 차폐판으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 액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부 공간 일측에 전장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및 이 인쇄회로기판에 회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발열시트의 일측을 향하여 발광하도록 배치되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발광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향료가 침지되어 발향을 하는 발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발열시트의 일면에 부착되어 온도 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컨트롤러로 인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등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며, 적어도 적색, 녹색, 파랑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발열시트는 일면에 온도변화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는 시온잉크(Thermochromic)로 도포된 발열온도표시층이 형성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빛 조사 방향측에 난반사를 유도하기 위하여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된 난반사 투광판이 배치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 액자는, 발열 온도에 따라 표시요소가 색상을 달리하므로 사용자가 발열시트의 온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향요소를 부가 구성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향료를 교체 사용 가능하게 하여 제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 액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 액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면상발열 액자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면상발열 액자의 블록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상발열 액자(1)은 크게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테두리가 지지되는 것으로 전원공급에 의해 선택적으로 발열하며 일측에 그림이나 도안 또는 사진이 부착되거나 인쇄된 발열시트(10)와, 상기 발열시트(10)의 후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그 테두리부분이 프레임(20)의 후면측에 결합되는 차폐판(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면상발열 액자(1)은 공지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발열시트(10)에 조명을 실시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면서 향을 발산하는 발향부(50)를 부가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이 주요 요소 및 이들 요소간의 결합관계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레임(20)은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부재로 공지의 액자 틀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프레임(20)은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목재 또는 금속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재 또는 난연물질이 코팅된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발열시트(10)가 소정온도로 발열하므로 그에 따른 화재의 위험이 방지되게 하면서 열변형에 따른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프레임은 공지의 액자용 프레임이 사용되어도 무방하지만, 일측 내부에 전장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이때의 수용 공간에는 후술할 발광요소(40)가 구비되며, 난반사 투광판(25)에 의해 차폐되는 구성이다.
발열시트(10)는 전원공급을 받아 선택적으로 소정온도로 발열하는 부재로, 원적외선 방사특성이 우수하면서 내구성이 강하고, 열전도도가 양호하면서 열팽창계수가 낮은 다수의 도전성 탄소섬유와 섬유에 원적외선 방사물질(황토사, 숯, 게르마늄 등)이 코팅된 방식으로 직조되도록 하여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 발열되면서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발열층(13)과, 이 발열층(13)의 일측면에 사진이나 그림 및 도안이 인쇄된 난연성 필름지가 부착되거나 또는 인쇄되어 이루어지는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과 반대되는 측면 즉, 상기 발열층(13)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방열층으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w)는 전선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발열시트(10)는 컨트롤러(c)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발열시트(1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발열시트(10)는 일측에 온도센서(17)가 부착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온도센서(17)는 발열시트(10)의 발열온도를 검출한 검출신호를 컨트롤러(c)로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온도센서(17)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인가받아 설정된 온도에서 특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예로, 상기 발열시트(10)의 온도가 30℃~60℃ 미만 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c)는 후술할 발광다이오드(41)를 점등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열시트(10)의 발열온도 60℃ 이상 인 경우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41)를 점멸시킬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발광다이오드(41)를 다색 즉, 적색,녹색,청색 등으로 구성하여 온도에 따라 녹색이나 청색 또는 적색을 점등시켜 재실자가 발열 상태를 색깔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41)는 발광부(40) 상에 구비되는데, 이때의 상기 발광부(4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발열시트(10)의 적어도 일측 테두리를 지지하는 요소로, 본 발명에서 사각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프레임(2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 형태로 구비되고, 이 비어 있는 공간에 본 발명의 발광부(40)이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40)은 일측에 상기 프레임(20)의 외부 일측에 마련된 스위치(미부호)의 동작에 의해 전원이 단속되는 인쇄회로기판(43)이 구성되며, 이 인쇄회로기판(43)에는 전장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일종의 마이컴인 컨트롤러(c)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의 일측으로는 전기적으로 회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상기 발열시트(10)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다수의 발광다이오드(41)가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광부(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3)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으면 컨트롤러(c)가 상기 온도센서(17)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발광다이오드(41)를 점등시킨다.
이때, 상기 발광다이오드(41)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백색광을 조사하여도 무 방하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색 즉, 적색, 녹색, 청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열시트(10)의 온도에 따라 어느 한색을 점등시키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발광부(40)과 발열시트(10) 사이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41)에서 조사되는 빛이 산란될 수 있도록 즉, 난반사될 수 있도록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된 난반사 투광판(25)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난반사 투광판(25)은 투명한 유리 또는 아크릴판에 스크래치를 형성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40)이 구성된 프레임(20)의 일측을 차폐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면상발열 액자(1)는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 향료를 보관하여 발향을 실시하는 발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향부(50)는 내부에 향료를 보관할 수 있는 용기 형태로 구비되어 일측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발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발열시트(10)에 열전도성 히트파이프(미도시)를 연결하고 이를 향료가 보관된 내부로 배관하여 열전도에 의해 발향성을 양호하게 조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 액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면상발열 액자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면상발열 액자(1)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층의 표면 일측에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는 시온잉크(Thermochromic)를 도포하여 된 발열온도표시층(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면상발열 액자(1)는 시온잉크를 이용하여 인쇄층의 표면에 특정의 무늬나 글씨 또는 도안 또는 사진을 인쇄하여 상기 발열시트(10)의 온도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도록 함으로써 재실자가 발열시트(10)의 온도를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 액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면상발열 액자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면상발열 액자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발열 액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면상발열 액자의 조립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면상발열 액자
10 : 발열시트
20 : 프레임
30 : 차폐판
40 : 발광부

Claims (5)

  1. 전원 공급을 받아 발열하는 것으로 일면에 사진이나 그림이 구비되는 면상 발열시트(10) 및 이 발열시트(10)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프레임(20) 그리고 상기 발열시트(10)의 후면을 차폐하면서 프레임(20)에 결합되는 차폐판(30)으로 이루어지는 면상발열 액자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내부 공간 일측에 전장품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c)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43) 및 이 인쇄회로기판(43)에 회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발열시트(10)의 일측을 향하여 발광하도록 배치되는 발광다이오드(41)로 이루어진 발광부(40)과;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내부에 향료를 구비하여 발향을 하는 발향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시트(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컨트롤러(c)로 인가하는 온도센서(1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 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41)는 등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되며, 적어도 적색, 녹색, 파랑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c)의 제어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 액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시트(10)는 일면에 온도변화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는 시온잉크(Thermochromic)로 도포된 발열온도표시층(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 액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41)의 빛 조사 방향측에 난반사를 유도하기 위하여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된 난반사 투광판(2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 액자.
KR1020080135603A 2008-12-29 2008-12-29 면상발열 액자 KR20100077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603A KR20100077606A (ko) 2008-12-29 2008-12-29 면상발열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603A KR20100077606A (ko) 2008-12-29 2008-12-29 면상발열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606A true KR20100077606A (ko) 2010-07-08

Family

ID=4263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603A KR20100077606A (ko) 2008-12-29 2008-12-29 면상발열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76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03Y1 (ko) * 2013-01-18 2014-06-20 임주완 온도 및 광량에 의해 색이 변하는 꽃을 구비한 다색의 엘이디 조명 액자
CN108428407A (zh) * 2018-05-21 2018-08-21 四川大学锦江学院 带嗅觉体验的节能数码相框及其工作方法
KR102053034B1 (ko) * 2019-07-18 2020-01-08 정성훈 벤치 설치용 조립식 온열 장치
KR102577413B1 (ko) * 2023-05-17 2023-09-13 넥스트원 주식회사 안내간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03Y1 (ko) * 2013-01-18 2014-06-20 임주완 온도 및 광량에 의해 색이 변하는 꽃을 구비한 다색의 엘이디 조명 액자
CN108428407A (zh) * 2018-05-21 2018-08-21 四川大学锦江学院 带嗅觉体验的节能数码相框及其工作方法
KR102053034B1 (ko) * 2019-07-18 2020-01-08 정성훈 벤치 설치용 조립식 온열 장치
KR102577413B1 (ko) * 2023-05-17 2023-09-13 넥스트원 주식회사 안내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7538B2 (en) Oven door lighting
AU2005309775B2 (en) Space heater with pretreated heat exchanger
CN105307882A (zh) 包括电加热装置的车辆
KR20100077606A (ko) 면상발열 액자
CN102429608B (zh) 加热座圈以及安装有该加热座圈的马桶装置
JP4389878B2 (ja) 加熱調理器
US4933533A (en) Demisting mirror
JP2010091189A (ja) 加熱調理器
KR101064733B1 (ko) 조명 색상이 가변되는 돌침대
CN101166453B (zh) 加热座圈以及安装有该加热座圈的马桶装置
JP2005276584A (ja) トッププレート
JP3122911U (ja) 携帯加温治療器
JP3123479B2 (ja) ハロゲンコンロ
JP3130686U (ja) 遠赤外線速暖暖房器
CN216010996U (zh) 一种中红外供暖墙布
KR20060091834A (ko) 전기 레인지의 히터 어셈블리
JP6258238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585193B1 (ko) 보온기능이 구비된 비데 시트
JP3066524U (ja) 天井輻射熱暖房装置
WO2021166501A1 (ja) アイロン
JPH04341271A (ja) 浴槽サウナ
WO2021166868A1 (ja) アイロン
JP3148249U (ja) 複合型電気ストーブ
JPH1194276A (ja) 床暖房用パネル
JP2006004630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