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112A - 차량용 복사열 히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복사열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112A
KR20160089112A KR1020150008618A KR20150008618A KR20160089112A KR 20160089112 A KR20160089112 A KR 20160089112A KR 1020150008618 A KR1020150008618 A KR 1020150008618A KR 20150008618 A KR20150008618 A KR 20150008618A KR 20160089112 A KR20160089112 A KR 20160089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safety mesh
side plate
membrane sens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142B1 (ko
Inventor
오동훈
박수두
장길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1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9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gaseous material
    • H05B2203/023Heaters of the type used for electrically heating the air blown in a vehicle compartment by the vehicle heating syst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복사열 히터에 관한 것으로, 히터와 이격되어 안전메쉬가 설치되고, 신체 또는 물체가 안전메쉬에 접촉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멤브레인센서와, 감지신호 입력시 히터를 off시키는 제어유니트가 구비된다. 안전성이 향상되어 화상 및 화재가 방지되며, 히터의 표면 온도를 높게 설정하여 난방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복사열 히터{Radiation hea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복사열 히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복사열 히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이용 시, 좁은 차실내에 장시간 앉아 있어야 하므로 온도가 적절하지 않으면 쾌적한 탑승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자동차에는 냉방과 난방 및 환기를 위한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난방은 엔진의 열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즉, 엔진의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공조장치 내에 설치된 히터코어를 경유하도록 하고, 히터코어로 공기를 통과시켜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가열하며,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난방을 실시한다.
그러나, 엔진의 열을 이용하는 난방 방식의 경우, 엔진이 충분한 온도로 가열되기 전에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으므로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엔진 운전 초기에는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온풍을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탑승자 개개인 전용으로 국부적인 난방은 실시할 수 없었다.
또한, 엔진이 없는 전기차량의 경우에는 상기 방식의 난방을 근본적으로 실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하고, 발생 열을 복사열의 형태로 차실내로 방출하며, 국부 난방이 가능한 복사열 히터를 설치하게 되었다. 차량에 설치되는 복사열 히터는 주로 얇은 평판 형상이기 때문에 패널 히터(panel heater)라 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평판형 복사열 히터가 차량용 히터로서 사용된 종래 기술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003000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용 복사열 히터는 스티어링컬럼을 커버하는 쉬라우드패널이나 글로브박스 및 1열시트의 뒷면에 설치되어 탑승자 개개인에게 각각 복사열을 방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복사열 히터는 탑승자의 신체에 가까운 부위에 설치되므로 신체가 접촉되어 화상을 입을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화상 방지를 위해 히터의 표면 온도를 통상 70℃ 이하 수준으로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70℃ 정도의 표면으로부터 복사되는 열량이 많지 않으므로 히터 작동이 개시되어도 난방감을 느끼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며, 난방 강도도 약하여 전반적으로 난방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체 접촉시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물체의 장시간 접촉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으며, 히터의 온도를 보다 높은 수준으로 상향 제어하여 난방성 및 속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복사열 히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히터와, 상기 히터가 후면에 장착되는 히터하우징과, 상기 히터와 이격되도록 히터하우징의 전면에 장착되는 안전메쉬와, 상기 안전메쉬의 측면플레이트와 히터하우징의 측면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안전메쉬에 물체가 접촉되면 안전메쉬의 측면플레이트에 가압되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멤브레인센서 및 상기 히터, 히터하우징, 멤브레인센서, 안전메쉬의 테두리를 덮어주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메쉬의 측면플레이트와 멤브레인스위치의 사이에 버튼패드가 개재된다.
상기 히터하우징의 측면플레이트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안전메쉬의 측면플레이트와 멤브레인센서와 버튼패드에 돌기와 동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관통공에 돌기가 삽입되는 구조로 히터하우징에 멤브레인센서와 버튼패드 및 안전메쉬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돌기의 정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된다.
상기 버튼패드에 안전메쉬의 측면플레이트쪽으로 돌출된 버튼부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의 테두리 상부와 하부에 배출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멤브레인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히터의 전원을 off하는 제어유니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에 표시등과 스피커가 설치되고, 제어유니트는 멤브레인센서의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표시등을 색 전환 또는 점멸시키며, 스피커로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의 전방에 안전메쉬가 구비됨으로써 신체와 히터 발열면의 접촉이 근본적으로 차단되어 화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안전메쉬에 압력이 가해지면 히터의 전원이 off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 접촉시 히터가 off되어 보다 확실하게 화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체나 물건이 장시간 접촉되었을 경우에도 히터가 off되어 저온화상이나 화재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상 및 화재 방지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히터 작동 온도를 보다 높게 설계할 수 있게 되어 히터의 난방성과 속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신체 및 물건 접촉에 의한 히터 전원 off시, 히터에 구비된 표시등과 스피커에 경보 신호가 발생함으로써 탑승자가 신체 및 물건의 접촉을 보다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게 되어 화상 및 화재 방지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히터하우징에 안전메쉬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커버의 평면도.
도 6은 상기 커버에 표시등과 스피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의 제어 개념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는, 히터(10)와, 히터(10)가 후면에 장착되는 히터하우징(20)과, 히터하우징(20)의 전면에 장착되는 안전메쉬(30)와,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와 히터하우징(20)의 측면플레이트(21) 사이에 설치되는 멤브레인센서(40) 및 상기 히터(10), 히터하우징(20), 멤브레인센서(40), 안전메쉬(30)의 테두리를 덮어주는 커버(50)를 포함한다.
히터(10)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양측부와 중앙부에 형성된 비발열부(11)와, 비발열부(11) 사이의 발열부(12)로 이루어진다. 비발열부(11)는 전극부로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미도시)이 연결되며, 발열부(12)는 비발열부(11)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 및 열의 복사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히터하우징(20)은 배면에서 히터(10)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히터(10)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히터장착부(22)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히터장착부(22)는 히터하우징(20)의 후면에서 볼 때 전방으로 함몰된 장착홈이다. 히터장착부(22)의 중앙에는 상하를 가로질러 중간플레이트(23)가 형성된다.
히터장착부(22)에 히터(10)가 삽입 안착되었을 때 히터(10)의 비발열부(11)는 각각 대응되는 히터장착부(22)의 양측부와 중간플레이트(23)에 면접촉되어 지지된다. 히터장착부(22)에서 히터(10)의 발열부(12)에 대응되는 부분은 개구부(24)로 형성되어 발열부(12)로부터 전방으로 열 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히터하우징(20)의 양측 측면플레이트(21)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돌기(25)가 형성되며, 돌기(25)의 정면에는 결합공(25a ; 도 2 참조)이 형성된다.
멤브레인센서(40)는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가변되는 센서로서 얇은 띠 형상을 가지며, 히터하우징(20)의 측면플레이트(21)에 장착된다. 멤브레인센서(40)에는 히터하우징(20)의 돌기(25)와 같은 수의 관통공(41)이 형성되어 돌기(25)가 관통공(41)에 관통하는 상태로 측면플레이트(21)에 장착된다.
멤브레인센서(40)는 제어유니트(100; 도 7 참조)에 연결되어 제어유니트(100)로 감지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제어유니트(100)가 이를 인지하도록 되어 있다.
안전메쉬(30)는 스테인리스 또는 내열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망(網)형 부품으로서 망 부분이 히터(10)의 표면으로부터 3mm ~ 10mm 가량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안전메쉬(30)의 양측 단부에는 멤브레인센서(40)와 유사한 폭을 가지는 측면플레이트(31)가 형성된다. 안전메쉬(30)의 구멍은 어린아이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없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에는 히터하우징(20)의 돌기(25)와 같은 수의 관통공(32)이 형성된다. 안전메쉬(30)는 상기 돌기(25)가 관통공(32)을 관통하는 상태로 히터하우징(20)의 전면에 장착된다. 상기 관통공(32)은 돌기(25)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커서 안전메쉬(30)가 돌기(25)를 따라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히터하우징(20)의 측면플레이트(21)와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 사이에 멤브레인센서(40)가 위치하게 되고, 멤브레인센서(40)는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에 의해 가압될 수 있게 된다.
커버(50)는 상하좌우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전면이 개구부(51)로 형성된 것으로, 테두리 부분이 조립된 상태의 히터(10), 히터하우징(20), 멤브레인스위치(40), 안전메쉬(30)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50)의 양측부 배면에는 히터하우징(20)의 각 돌기(25)의 결합공(25a)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부품들 및 자신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커버(50)의 전면 외측에서 커버(50)를 관통하여 결합공(25a)에 삽입되는 핀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멤브레인센서(40)의 손상을 방지하고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와 멤브레인센서(40)의 사이에는 버튼패드(60)를 설치할 수 있다.
버튼패드(6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멤브레인센서(40)와 같은 크기의 띠 형상을 갖는다. 버튼패드(60)에는 히터하우징(20)의 돌기(25)와 같은 수의 관통공(61)이 형성되어 멤브레인센서(40)와 같은 방식으로 히터하우징(20)의 측면플레이트(21)와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 사이에 설치된다.
버튼패드(60)의 전면에는 직사각형의 버튼부(61)가 돌출 형성된다. 설치 상태에서 버튼부(61)는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와 접촉된다. 버튼부(61)는 안전메쉬(30) 측면플레이트(31)의 가압력을 수용 분산하여 멤브레인센서(40)에 고른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멤브레인스위치(40), 버튼패드(60), 안전매쉬(30)는 모두 동일한 돌기(25)에 관통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호 간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히터하우징(20)에 안전메쉬(30)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히터(10) 미 장착 상태)로서, 히터하우징(20)의 측면플레이트(21)와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가 돌기(25)에 의해 결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히터하우징(20)의 측면플레이트(21)와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 사이에 멤브레인센서(40)와 버튼패드(60)가 개재되어 있다. 히터하우징(20)의 개구부(24)는 안전메쉬(30)의 구멍들을 통해 전방으로 개방된다.
도 3은 도 2의 상태에 후면에 히터(10)가 장착되고, 그 조립체 전체를 덮어씌우는 커버(50)가 안전메쉬(30)의 전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커버(50)의 개구부(51) 전체를 안전메쉬(30)가 차단하고 있고, 안전메쉬(30)의 뒤로 히터하우징(20)의 히터장착부(22)와 중간플레이트(23)를 확인할 수 있으며, 히터하우징(20)의 개구부(24)를 통해 히터(10)의 발열부(12)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복사열 히터의 측면부 평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상기 부품들의 배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안전메쉬(30)가 후방(도4의 상방)으로 밀리면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가 버튼패드(60)를 매개로 히터하우징(20)의 측면플레이트(21)에 지지된 멤브레인센서(40)를 가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커버(50)의 평면도로서, 커버(50)는 상부테두리와 하부테두리에 각각 슬릿 형상의 배출공(52)이 형성된다. 배출공(52)은 커버(50)의 강성 유지를 위하여 중앙 부분을 제외한 양측부로 분할 형성된다.
도 6은 커버(50)의 정면도로서, 커버(50)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표시등(70)이 설치된다. 또한, 표시등(70)의 하측에는 스피커(80)가 설치된다. 표시등(70)은 탑승자가 보기 용이하도록 커버(5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피커(80)는 소리만 들리면 되므로 설치 위치에 큰 제약은 없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사열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복사열 히터의 부품과 제어유니트의 제어 관계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제어유니트(100)는 전원스위치(90)와 멤브레인센서(40)의 신호를 전달받고, 그에 따라 히터(10)와 표시등(70) 및 스피커(8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유니트(10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전원스위치(90)의 on/off 신호에 따라 히터(10)의 작동을 on/off한다. 이때, 히터(10) on일 때는 표시등(70)을 on시키고, 히터(10) off일 때는 표시등(70)을 off한다.
또한, 제어유니트(100)는 멤브레인센서(40)에서 접촉신호가 전달되면 히터(10)를 off하고, 표시등(70)의 색을 바꾸거나 점멸시킨다. 그와 동시에 스피커(8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탑승자는 난방을 원할 때 전원스위치(90)를 on조작한다. 전원스위치(90) on신호를 전달받은 제어유니트(100)는 히터(10)에 전력을 공급하고, 동시에 표시등(70)을 점등시킨다.(실제로 제어유니트(100)가 히터(10)에 직접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제어유니트는 전원과 제어 대상 장치를 연결하는 전원공급회로 상에 설치된 전자제어스위치(예; 릴레이스위치)를 조작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단순히 제어유니트(100)가 히터(10)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는 표시등(70)과 스피커(80)의 제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력이 공급된 히터(10)는 발열부(12)에서 열이 발생되고, 열은 히터하우징(20)의 개구부(24)와 안전메쉬(30)와 커버(50)의 개구부(51)를 통해 전방으로 복사된다. 복사열은 탑승자의 신체에 직접 작용하여 따뜻함을 느끼게 해 준다.
상기 안전메쉬(30)는 히터(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히터(10)의 표면 온도가 100℃ 이상인 경우에도 짧은 시간동안 접촉할 경우에는 화상을 입지 않는 정도의 낮은 온도를 갖는다. 미국화상학회 발표(단백질이 파괴되기 시작하는 온도와 시간은 50℃에서 3분, 60℃에서 8초다.)를 참고할 때 안전메쉬(30)의 온도를 50℃ 이상으로 상승시키지 않도록 히터(10)의 최고 표면 온도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안전메쉬(30)의 온도는 히터(10)와 안전메쉬(30) 사이의 이격 거리에 영향 받는 값이므로 상품적인 측면에서 복사열 히터의 두께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전메쉬(30)에 의해 짧은 시간 접촉에 의한 화상이 방지되므로 히터(10)의 표면 온도를 높게 설계할 수 있게 되고, 이에 탑승자는 보다 신속하게 풍부한 난방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사열 히터 사용 중, 탑승자의 신체 또는 물건이 상기 안전메쉬(30)를 건드리게 되면,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가 버튼패드(60)를 누르고, 버튼패드(60)는 멤브레인센서(40)를 누르게 된다. 그 가압력을 감지한 멤브레인센서(40)는 감지신호를 제어유니트(100)로 전달하고,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유니트(100)는 히터(1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표시등(70)을 점멸시키거나 등색을 다른 색으로 전환한다. 또한, 동시에 스피커(8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탑승자의 신체나 물건이 안전메쉬(30)에 접촉하였을 때 즉시 히터(10)의 전원이 차단되어 더 이상의 온도 상승 없이 온도가 떨어지기 시작하고, 표시등(70) 점멸(또는 색 전환)이나 경보음에 의해 탑승자가 상황을 즉시 알 수 있도록 하여 신체나 물건을 안전메쉬(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메쉬(30)가 비록 순간 접촉에는 안전한 저온 상태로 유지될지라도 탑승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신체 일부가 오랜 시간 동안 접촉하여 저온 화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물건이 오래 접촉되어 열변형되거나 열량 누적에 의해 발화(발화점이 낮은 물건의 경우 가능하다.)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5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배출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52)으로는 커버(50) 내측 공간의 열이 배출됨으로써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5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52)으로는 안전메쉬(30)를 통해 복사열 히터 내부로 침투한 액체(물, 음료수 등)와 이물질 등이 배출되도록 하여 이들의 퇴적으로 인한 오염과 내부 손상 및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히터 11 : 비발열부
12 : 발열부 20 : 히터하우징
21 : 측면플레이트 22 : 히터장착부
23 : 중간플레이트 24 : 개구부
25 : 돌기 30 : 안전메쉬
31 : 측면플레이트 32 : 관통공
40 : 멤브레인센서 41 : 관통공
50 : 커버 51 : 개구부
52 : 배출공 60 : 버튼패드
61 : 관통공 62 : 버튼부
70 : 표시등 80 : 스피커
90 : 전원스위치 100 : 제어유니트

Claims (8)

  1. 히터(10)와,
    상기 히터(10)가 후면에 장착되는 히터하우징(20)과,
    상기 히터(10)와 이격되도록 히터하우징(20)의 전면에 장착되는 안전메쉬(30)와,
    상기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와 히터하우징(20)의 측면플레이트(21) 사이에 설치되어, 안전메쉬(30)에 물체가 접촉되면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21)에 가압되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멤브레인센서(40) 및
    상기 히터(10), 히터하우징(20), 멤브레인센서(40), 안전메쉬(30)의 테두리를 덮어주는 커버(50)
    를 포함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와 멤브레인스위치(40)의 사이에 버튼패드(60)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터하우징(20)의 측면플레이트(21)에 복수의 돌기(25)가 형성되고,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와 멤브레인센서(40)와 버튼패드(60)에 돌기(25)와 동수의 관통공(31, 41, 61)이 형성되어, 관통공(31,41,61)에 돌기(25)가 삽입되는 구조로 히터하우징(20)에 멤브레인센서(40)와 버튼패드(60) 및 안전메쉬(3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5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돌기(25)의 정면에 형성된 결합공(25a)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튼패드(60)에 안전메쉬(30)의 측면플레이트(31)쪽으로 돌출된 버튼부(6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50)의 테두리 상부와 하부에 배출공(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센서(4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히터(10)의 전원을 off하는 제어유니트(10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50)에 표시등(70)과 스피커(80)가 설치되고, 제어유니트(100)는 멤브레인센서(40)의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표시등(70)을 색 전환 또는 점멸시키며, 스피커(80)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사열 히터.

KR1020150008618A 2015-01-19 2015-01-19 차량용 복사열 히터 KR10226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618A KR102262142B1 (ko) 2015-01-19 2015-01-19 차량용 복사열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618A KR102262142B1 (ko) 2015-01-19 2015-01-19 차량용 복사열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112A true KR20160089112A (ko) 2016-07-27
KR102262142B1 KR102262142B1 (ko) 2021-06-10

Family

ID=5661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618A KR102262142B1 (ko) 2015-01-19 2015-01-19 차량용 복사열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728A (ko) * 2016-12-22 2018-07-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복사열 히터
KR20230005663A (ko) 2021-07-01 2023-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워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921A (ko) * 2000-12-05 2002-06-12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하부히터 냉각구조
KR20090029091A (ko) *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센플러스 촉각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이를 이용한입력감지방법
JP2011011610A (ja) * 2009-07-01 2011-01-20 Panasonic Corp 自動車用暖房装置
KR20120136702A (ko) * 2011-06-09 2012-12-20 (주)코퍼스트 적외선 구역 복사 전기 가온장치
JP2014190674A (ja) * 2013-03-28 2014-10-06 Denso Corp ヒ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921A (ko) * 2000-12-05 2002-06-12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하부히터 냉각구조
KR20090029091A (ko) * 2007-09-17 2009-03-20 주식회사 센플러스 촉각센서와 이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이를 이용한입력감지방법
JP2011011610A (ja) * 2009-07-01 2011-01-20 Panasonic Corp 自動車用暖房装置
KR20120136702A (ko) * 2011-06-09 2012-12-20 (주)코퍼스트 적외선 구역 복사 전기 가온장치
JP2014190674A (ja) * 2013-03-28 2014-10-06 Denso Corp ヒ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728A (ko) * 2016-12-22 2018-07-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복사열 히터
KR20230005663A (ko) 2021-07-01 2023-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워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142B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82126A1 (ja) 車両用暖房装置
RU2448001C2 (ru) Система обогре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40152057A1 (en) Heated headrest
US20050235982A1 (en) Cooking stove
US7351934B2 (en) Low voltage warming blanket
JP5515201B2 (ja) 車両用暖房装置
JP4902283B2 (ja) シートヒータ
KR20160089112A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JP6361499B2 (ja) 冷暖房装置システム
JP6221985B2 (ja) 輻射ヒータ装置
KR20180073728A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JP6578893B2 (ja) ヒータ装置
EP2703212B1 (en) Seat heater
KR101950254B1 (ko) 차량탑승자의 부재를 감지하는 지능형 카시트
KR20170079020A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KR20090029128A (ko) 자동차 시트 워머 제어 시스템
JP2007032951A (ja) 加熱調理器
JP2008247375A (ja) 車両用暖房装置
US20200323301A1 (en) Heating device
JP2000232952A (ja) 暖房便座
KR20180113851A (ko) 히팅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080026353A (ko) 강제 제어장치를 갖춘 차량용 좌석 가열기 및 제어 방법
WO2021186802A1 (ja) 近接空調ユニットの駆動制御方法
JP5081111B2 (ja) 車両の電気負荷制御装置
JP2003116665A (ja) 車両用シート冷却装置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