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496A -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496A
KR20180072496A KR1020160176126A KR20160176126A KR20180072496A KR 20180072496 A KR20180072496 A KR 20180072496A KR 1020160176126 A KR1020160176126 A KR 1020160176126A KR 20160176126 A KR20160176126 A KR 20160176126A KR 20180072496 A KR20180072496 A KR 20180072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ess
hot
ferrite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7451B1 (ko
Inventor
김우겸
엄경근
방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451B1/ko
Priority to JP2019532672A priority patent/JP6847225B2/ja
Priority to PCT/KR2017/014411 priority patent/WO2018117507A1/ko
Priority to CN201780079094.8A priority patent/CN110100027B/zh
Priority to EP17882705.1A priority patent/EP3561107A4/en
Publication of KR2018007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21D1/28Normal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05~0.1%, Si: 0.3~0.7%, Mn: 1.0~2.0%, Al: 0.005~0.04%, Nb: 0.04~0.07%, Ti: 0.001~0.02%, Cu: 0.05~0.4%, Ni: 0.1~0.6%, Mo: 0.01~0.08%, N: 0.001~0.008%, P: 0.015% 이하, S: 0.003%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페라이트 80~92%,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를 8~20% 포함하고, 상기 MA는 원상당 직경으로 측정한 평균 크기가 3㎛ 이하인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LOW-YIELD RATIO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 해양 구조용 강재 분야뿐만 아니라 성형 및 내진 특성을 요구하는 산업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저온 인성뿐만 아니라 저항복비 특성을 갖는 강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저항복비를 가지는 강재는 항복강도와 인장강도의 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성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파괴가 발생할 수 있을 때까지의 소성 변형 시점을 늦추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외력에 의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형이 존재하더라도 붕괴전 보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물의 파손에 의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저항복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강재의 조직을 2상 조직화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제1상은 연질 페라이트, 나머지 제2상은 마르텐사이트, 펄라이트 또는 베이나이트로 함으로써 저항복비를 구현하였다.
하지만 경한 2상에 의한 충격인성의 저하와 제2상을 위해 탄소함량이 증가하여 용접부 인성이 열화되어 저온에서 구조물의 취성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저항복비 및 저온 충격인성을 모두 확보하기 위한 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개발되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미세조직을 2~10vol%의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와 90vol% 이상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도록 하여 저항복비 및 우수한 저온인성을 확보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를 경우, 약 0.8정도의 항복비를 구현할 수 있으나 충분한 저항복비를 구현할 수 없어 내진 특성을 확보하기는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항복비를 보다 낮게 확보할 수 있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6577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0.05~0.1%, Si: 0.3~0.7%, Mn: 1.0~2.0%, Al: 0.005~0.04%, Nb: 0.04~0.07%, Ti: 0.001~0.02%, Cu: 0.05~0.4%, Ni: 0.1~0.6%, Mo: 0.01~0.08%, N: 0.001~0.008%, P: 0.015% 이하, S: 0.003%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페라이트 80~92%,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를 8~20% 포함하고, 상기 MA는 원상당 직경으로 측정한 평균 크기가 3㎛ 이하인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중량%로, C: 0.05~0.1%, Si: 0.3~0.7%, Mn: 1.0~2.0%, Al: 0.005~0.04%, Nb: 0.04~0.07%, Ti: 0.001~0.02%, Cu: 0.05~0.4%, Ni: 0.1~0.6%, Mo: 0.01~0.08%, N: 0.001~0.008%, P: 0.015% 이하, S: 0.003%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1050~1200℃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가 760~850℃가 되도록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5℃/s 이상의 냉각속도로 45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열연강판을 850~960℃의 온도 범위까지 가열한 후, [1.3t+(10~30)]분 동안 유지하는 노멀라이징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t는 열연강판의 두께를 mm단위로 측정한 값이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항복비 및 우수한 저온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0.65 이하의 낮은 저항복비를 확보할 수 있어 성형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진 특성을 요구하는 건설, 건축, 토목 등의 산업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고 조선, 해양 구조용 강재 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발명예인 시험번호 1의 노멀라이징 열처리 전 미세조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발명예인 시험번호 1의 노멀라이징 열처리 후 미세조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인 시험번호 9의 노멀라이징 열처리 후 미세조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인 시험번호 10의 노멀라이징 열처리 후 미세조직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로는 0.8 정도의 항복비를 확보할 수 있어 성형성은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으나, 충분한 저항복비를 구현할 수 없어 내진 특성을 확보하기는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깊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저항복비 구현을 위해서는 모재와 제2상의 경도 차이가 클수록 유리하며, MA의 분포가 균일할수록 유리하다는 것과 특허문헌 1의 경우 모재가 에시큘러 페라이트로 MA와의 경도 차이가 부족하며, MA상이 결정립계에 형성되고 MA 크기가 조대하여 충분한 저항복비를 구현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에 모재의 미세조직을 페라이트로 하고 미세한 MA 상이 페라이트 결정립계 및 결정립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0.65 이하의 저항복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노멀라이징 열처리 전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포함하도록 제어하여야 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은 중량%로, C: 0.05~0.1%, Si: 0.3~0.7%, Mn: 1.0~2.0%, Al: 0.005~0.04%, Nb: 0.04~0.07%, Ti: 0.001~0.02%, Cu: 0.05~0.4%, Ni: 0.1~0.6%, Mo: 0.01~0.08%, N: 0.001~0.008%, P: 0.015% 이하, S: 0.003%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페라이트 80~92%,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를 8~20% 포함하고, 상기 MA는 원상당 직경으로 측정한 평균 크기가 3㎛ 이하이다.
먼저, 본 발명의 합금조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각 원소 함량의 단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이다.
C: 0.05~0.1%
본 발명에서 C은 고용강화를 일으키고 Nb 등에 의한 탄질화물로 존재하여 인장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원소이다.
C 함량이 0.05%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면에 C 함량이 0.1% 초과인 경우에는 MA가 조대하고 펄라이트가 생성되어 저온에서의 충격 특성을 열화시킬 수 있고 베이나이트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Si: 0.3~0.7%
Si은 Al을 보조하여 용강을 탈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원하는 MA의 분율을 제어하기 위한 원소이다.
Si 함량이 0.3%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불충분하다. 따라서 Si 하한은 0.3%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35%이다. 반면에 Si 함량이 0.7% 초과인 경우에는 MA의 조대화에 의해 충격 특성이 열화 될 수 있으며 용접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Mn: 1.0~2.0%
Mn은 고용강화에 의한 강도 증가 효과에 크게 기여하며, 베이나이트 형성에 도움을 주는 원소이다.
Mn 함량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면에 과도하게 첨가되면 MnS 개재물의 형성, 중심부 편성으로 인해 인성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한은 2.0%로 한다.
Al: 0.005~0.04%
Al은 강의 주요한 탈산제로서 0.005% 이상 첨가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0.04%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그 효과는 포화되고 Al2O3 개재물의 분율, 크기의 증가로 저온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Nb: 0.04~0.07%
Nb는 고용 또는 탄질화물을 석출함으로써 압연 또는 냉각중 재결정을 억제하여 조직을 미세하게 만들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원하는 MA의 분율을 제어하기 위한 원소이다.
Nb 함량이 0.04%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면 0.07% 초과인 경우에는 모재 인성 및 용접 후 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Ti: 0.001~0.02%
Ti는 산소 또는 질소와 결합하여 석출물을 형성함으로써 조직의 조대화를 억제하여 미세화에 기여함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Ti 함량이 0.001%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면에 Ti 함량이 0.02% 초과인 경우에는 석출물이 조대하게 형성되어 파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Cu: 0.05~0.4%
Cu는 충격 특성을 크게 저하하지 않는 성분으로 고용 및 석출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킨다. 충분한 강도 향상을 위해서는 0.05% 이상 함유되어야 하지만 Cu 함량이 0.4% 초과인 경우에는 Cu 열충격에 의한 강판의 표면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Ni: 0.1~0.6%
Ni은 함량의 증가에 따라 강도의 향상은 크지 않지만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원소이며, Ar3 온도를 하락시켜 베이나이트 형성에 도움이 되는 원소이다.
Ni 함량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면에 Ni함량이 0.6% 초과인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용접성이 열화될 수 있다.
Mo: 0.01~0.08%
Mo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MA의 양을 증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고 강도의 향상에 큰 역할을 한다. 또한 열처리 동안 강도의 하락을 방지하며 베이나이트 형성에 도움을 주는 원소이다.
다만, Mo는 고가의 합금원소이므로 다량 첨가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Si, Nb 등을 다량 첨가함으로써 MA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본 발명의 합금조성에서 Mo는 0.01% 이상만 첨가하면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반면에 Mo 함량이 0.08% 초과인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모재 인성 및 용접 후 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N: 0.001~0.008%
N은 Ti, Nb, Al 등과 함께 석출물을 형성하여 슬라브 가열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미세하게 만들어 강도와 인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원소이다. N 함량이 0.001%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면에 N 함량이 0.008% 초과인 경우에는 고온에서 표면 크랙을 유발하고 석출물을 형성하고 잔류하는 N은 원자상태로 존재하여 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P: 0.015% 이하
P는 불순물로서 입계편석을 일으켜 강을 취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상한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며 0.015%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0.003% 이하
S는 불순물로서 주로 Mn과 결합하여 MnS 개재물을 형성하고 이들은 저온인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그 상한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며 저온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S를 0.003%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의 미세조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의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80~92%의 페라이트 및 8~20%의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를 포함하고, 상기 MA는 원상당 직경으로 측정한 평균 크기가 3㎛ 이하이다. 이하, 미세조직의 분율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면적분율을 의미한다.
페라이트는 기본적인 인성 및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분한 MA를 확보하기 위해서 그 상한은 92%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페라이트는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시큘러 페라이는 MA와의 경도 차이가 작기 때문에 충분한 저항복비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MA가 8% 미만인 경우에는 0.65 이하의 저항복비를 확보하기 어려우며 20% 초과인 경우에는 충격인성의 저하가 될 수 있고, 연신율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MA의 원상당 직경으로 측정한 평균크기가 3㎛ 초과인 경우에는 MA가 조로 결정립계에 형성되어 MA의 균일한 분포 및 저항복비를 확보하기 어렵다.
상술한 페라이트 및 MA 이외의 기타 불가피한 상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1 면적% 이하의 펄라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우수한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MA 분율 및 크기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강판에 100㎛ 직선 라인을 그었을 때 상기 직선 라인에 걸쳐 있는 MA가 5~13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0㎛ X 100㎛ 크기의 미세조직 사진에 상하 또는 좌우로 직선 라인을 수개 긋고 이때 각 라인에 걸리는 MA가 평균적으로 5~13개 존재할 수 있다. 주로 파괴의 개시를 일으키는 MA는 결정립계에 존재하는 MA이며,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MA가 결정립계와 결정립 내부에 고르게 분포하는 것이므로 저항복비를 확보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페라이트 결정립 내부에 존재하는 MA와 결정립계에 존재하는 MA의 비율이 1:3~1:10 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MA 수의 비율을 의미하며 상기 비율을 만족함으로써 페라이트 결정립 내부에 존재하는 MA가 0.5~5 면적%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는 원상당 직경으로 측정한 평균 크기가 20㎛ 이하일 수 있다. 페라이트 평균 크기가 20㎛ 초과일 경우에는 충분한 인성 및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노멀라이징(Normalizing) 열처리된 것이며 상기 노멀라이징 열처리 전 강판의 미세조직은 베이나이트가 50~90면적%일 수 있다. 열처리 전 강판의 미세조직을 탄화물이 내부에 존재하는 베이나이트로 함으로써 열처리 후 결정립계와 결정립계 내부에 MA를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처리 전 강판의 미세조직은 베이나이트가 50~90 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항복비가 0.5~0.65이며, -40℃에서의 저온충격특성이 100J 이상일 수 있다. 항복비를 0.65 이하로 항복강도와 인장강도의 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성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파괴가 발생할 수 있을 때까지의 소성변형 시점을 늦추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외력에 의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 해양 구조용 강재 분야뿐만 아니라 성형 및 내진 특성을 요구하는 산업 분야에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판의 항복강도는 350~400MPa 이고, 인장강도는 600MPa 이상일 수 있다.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의 제조방법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합금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1050~1200℃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가 760~850℃가 되도록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5℃/s 이상의 냉각속도로 45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열연강판을 850~960℃의 온도 범위까지 가열한 후, [1.3t+(10~30)]분 동안 유지하는 노멀라이징 열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단, 상기 t는 열연강판의 두께를 mm단위로 측정한 값이다.
슬라브 가열 단계
상술한 합금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1050~1200℃로 가열한다
가열 온도가 1200℃ 초과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인성이 낮아질 수 있고, 1050℃ 미만인 경우에는 Ti, Nb 등이 충분히 고용되지 않아 강도가 하락할 수 있다.
열연압연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가 760~850℃가 되도록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다. 통상의 열처리 강재의 압연온도는 850~1000℃ 정도로 일반적인 압연이 적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초기의 조직을 베이나이트로 형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을 나타내는 일반압연 대신 저온에서 압연을 종료하기 위한 제어압연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열간압연시 재결정역 압연은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사이즈를 미세화하기 위해 필요하며 패스당 압하율은 증대될수록 물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미재결정역 압연은 강재의 Ar3 이상의 온도에서 완료하여야 하며 약 760℃ 이상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760~850℃로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를 정의할 수 있다. 마무리 압연 종료 온도가 850℃ 초과인 경우에는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를 억제하기 어려우며 760℃ 미만인 경우에는 두께 방향의 미세조직의 불균일을 초래할 수 있고 압연롤의 하중 부하에 의한 압하량 감소로 구현하고자 하는 미세조직을 형성시킬지 못할 수 있다. 760~850℃의 온도 범위에서 마무리 압연을 종료함으로써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를 억제하고 냉각을 통해 베이나이트 조직을 구현한다. 초기 조직을 베이나이트로 하는 것은 열처리 후 균일한 MA분포를 위한 것으로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에서는 결정립계에 주로 MA들이 형성되는 반면 베이나이트 조직인 경우에는 결정립계와 결정립 내부 모두에 MA들이 형성된다.
냉각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5℃/s 이상의 냉각속도로 450℃ 이하까지 냉각한다.
열연 압연 후 가속냉각은 발명강의 목표 조직의 구현에 매우 중요하다. 미세하고 균일한 MA 형성을 위해 베이나이트를 구현하여야 하며 베이나이트 형성을 위해 냉각마침온도와 냉각속도가 중요한 요소이다. 냉각마침온도가 450℃ 초과인 경우에는 결정립의 크기가 조대해질 수 있으며 카바이드의 조대화로 인하여 열처리 후 조대한 MA의 형성이 야기되며 이는 인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고 베이나이트를 50 면적% 이상 확보하기 어렵다.
냉각속도가 5℃/s 미만인 경우에는 침상 페라이트 또는 페라이트+펄라이트의 미세조직이 다량 형성되어 강도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열처리 후 페라이트+MA의 이상조직이 아닌 조대 페라이트+펄라이트 조직 또는 제2상의 급격한 수량 저하를 나타낼 수 있고, 베이나이트를 50 면적% 이상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냉각된 열연강판의 미세조직은 베이나이트가 50~90면적%일 수 있다. 열처리 전 강판의 미세조직을 탄화물이 내부에 존재하는 베이나이트로 함으로써 열처리 후 결정립계와 결정립계 내부에 MA를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처리 전 강판의 미세조직은 베이나이트가 50~90 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멀라이징 열처리 단계
상기 냉각된 열연 강판을 850~960℃의 온도 범위까지 가열한 후, [1.3t+(10~30)]분 동안 유지한다. 상기 t는 열연 강판의 두께를 mm 단위로 측정한 값이다.
노멀라이징 온도가 850℃ 미만이거나 유지 시간이 (1.3t+10)분 미만인 경우에는 펄라이트, 베이나이트 내의 시멘타이트와 MA상의 재고용이 어려워 고용된 C가 감소하게 되어 강도의 확보가 어려워질 뿐 아니라 최종적으로 남은 경화상이 조대하게 잔류하게 된다.
반면에 노멀라이징 온도가 960℃ 초과이거나 유지시간이 (1.3t+30)분 초과인 경우에는 베이나이트 결정립내에 존재하던 탄화물들이 모두 결정립계로 이동하거나 탄화물의 조대화가 발생하여 최종 MA 크기 및 균일 분포를 형성시킬 수 없다. 또한 결정립 성장이 일어나 강도의 하락과 충격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실시예 )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조성을 갖는 용강을 마련한 후 연속주조를 이용하여 슬라브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라브를 하기 표 2의 제조조건으로 압연, 냉각, 및 노멀라이징 열처리하여 80mm 두께의 강판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는 노멀라이징 열처리 전 강판의 베이나이트 분율 및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여 기재하였다.
하기 표 4에는 노멀라이징 열처리 후 강판의 MA 분율, 평균 MA 크기, 100㎛에 걸리는 MA의 개수 및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여 기재하였다. 발명예의 경우 MA 외에는 페라이트이었으며, 페라이트의 평균결정립 크기는 20㎛ 이하를 만족하여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다.
평균 MA 크기는 원상당 직경으로 측정한 평균 크기이며, 100㎛ 라인에 걸리는 MA 수는 100㎛ X 100㎛ 크기의 미세조직 사진에 상하 또는 좌우로 직선 라인을 10개 긋고 각 라인에 걸리는 MA의 개수를 측정한 후 평균 개수를 기재하였다.
구분 강종 C Si Mn P S Al Ni Mo Ti Nb Cu N
발명강 A 0.081 0.495 1.61 0.01 0.002 0.031 0.15 0.069 0.012 0.047 0.245 0.0037
발명강 B 0.078 0.521 1.78 0.01 0.0018 0.026 0.26 0.054 0.013 0.051 0.239 0.0041
발명강 C 0.084 0.453 1.75 0.009 0.0019 0.027 0.32 0.048 0.011 0.055 0.256 0.0038
발명강 D 0.086 0.535 1.64 0.007 0.0018 0.030 0.25 0.034 0.013 0.049 0.261 0.0034
비교강 E 0.046 0.503 1.69 0.009 0.002 0.011 0.147 0.068 0.013 0.042 0.26 0.0039
비교강 F 0.085 0.11 1.65 0.012 0.002 0.029 0.15 0.068 0.012 0.045 0.246 0.0042
비교강 G 0.084 0.495 1.67 0.009 0.002 0.032 0.147 0.059 0.01 0.021 0.264 0.0036
상기 표 1에서 각 원소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발명강 A~D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범위를 만족하는 강판이며, 비교강 E~G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강판이다. 비교강 E는 C 함량 미달, 비교강 F는 Si 미달, 비교강 G는 Mn 함량 미달인 강이다.
구분 시험
번호
강종 재가열
온도(℃)
사상압연
시작온도 (℃)
사상압연
종료온도 (℃)
냉각마침
온도 (℃)
냉각속도
(℃/s)
노멀라이징
온도(℃)
노멀라이징
시간(분)
발명예 1 A 1147 798 781 345 10.2 910 121
발명예 2 B 1151 805 798 332 10.3 910 122
발명예 3 C 1142 801 797 362 10.5 910 120
발명예 4 D 1138 788 775 328 10.9 910 122
비교예 5 A 1150 965 938 367 12.3 910 121
비교예 6 B 1134 794 779 - - 910 120
비교예 7 C 1148 803 785 385 10.2 910 395
비교예 8 D 1129 791 780 701 8.3 910 121
비교예 9 E 1136 809 802 365 10.3 910 119
비교예 10 F 1152 810 799 335 10.1 910 124
비교예 11 G 1148 803 786 387 11.6 910 119
구분 시험
번호
강종 노멀라이징 열처리 전
베이나이트
(면적%)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항복비 연신율
(%)
발명예 1 A 66 538 617 0.87 25.4
발명예 2 B 71 524 642 0.82 22.5
발명예 3 C 64 498 624 0.80 23.4
발명예 4 D 80 503 621 0.81 21.5
비교예 5 A 8 492 587 0.84 22.5
비교예 6 B 0 452 561 0.81 24.2
비교예 7 C 64 507 644 0.79 25.1
비교예 8 D 7 561 657 0.85 22.4
비교예 9 E 1 497 580 0.86 24.3
비교예 10 F 31 487 576 0.85 25.7
비교예 11 G 27 477 553 0.86 21.7
구분 시험
번호
강종 노멀라이징 열처리 후
MA분율
(면적%)
평균 MA
크기
(㎛)
100㎛ 라인에 걸리는 MA 수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항복비 연신율
(%)
충격인성
(-40℃, J)
발명예 1 A 11.8 2.4 9 384 653 0.59 31.2 123
발명예 2 B 12.7 2.3 9 375 642 0.58 32.1 154
발명예 3 C 14.2 2.6 9 381 643 0.59 29.8 114
발명예 4 D 16.5 2.1 8 362 639 0.57 30.8 109
비교예 5 A 3.4 6.1 2 371 468 0.79 25.6 58
비교예 6 B 2.8 5.6 1 352 448 0.79 25.4 67
비교예 7 C 3.5 4.5 1 341 474 0.72 24.9 52
비교예 8 D 1.8 3.8 1 365 495 0.74 26.8 34
비교예 9 E 0.4 5.0 0 342 438 0.78 26.7 132
비교예 10 F 0.8 3.1 2 351 458 0.77 25.8 152
비교예 11 G 1.2 5.3 2 348 445 0.78 24.1 117
본 발명에서 제시한 합금조성 및 제조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발명예들은 항복비를 0.65이하로 확보할 수 있으며, -40℃의 충격인성도 100J 이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인 시험번호 5, 6, 7 및 8의 경우, 본 발명에서 제시한 합금 조성은 만족하였으나, 제조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충분한 저항복비를 확보하지 못하였고, -40℃의 충격인성도 100J 미만으로 열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인 시험번호 9 내지 11의 경우, 본 발명에서 제시한 제조조건은 만족하였으나, 합금조성을 만족하지 못하여 충분한 저항복비를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40℃ 충격인성도 100J 미만으로 열위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C, Si, Nb의 함량 미달로 강도도 열위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4의 발명예를 살펴보면 비교예에 비하여 MA 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노멀라이징 열처리 전 베이나이트 분율을 높게 확보함으로써 초기의 베이나이트 조직의 결정립계, 결정립내에 있는 카바이드들이 미세한 MA로 변태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미세한 MA들의 형성에 의해 항복비가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발명예인 시험번호 1의 노멀라이징 열처리 전 미세조직을 촬영한 도 1을 보면 베이나이트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열처리 후 미세조직을 촬영한 도 2를 보면 미세하고 균일한 MA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인 시험번호 9의 미세조직을 촬영한 도 3을 보면, 탄소 함량이 미달하여 폴리고날 페라이트가 주요상으로 나타나며 MA의 분율이 확연히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인 시험번호 10의 미세조직을 촬영한 도 4를 보면, Si 함량이 미달하여 MA 분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중량%로, C: 0.05~0.1%, Si: 0.3~0.7%, Mn: 1.0~2.0%, Al: 0.005~0.04%, Nb: 0.04~0.07%, Ti: 0.001~0.02%, Cu: 0.05~0.4%, Ni: 0.1~0.6%, Mo: 0.01~0.08%, N: 0.001~0.008%, P: 0.015% 이하, S: 0.003%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미세조직은 면적분율로 페라이트 80~92%,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를 8~20% 포함하고, 상기 MA는 원상당 직경으로 측정한 평균 크기가 3㎛ 이하인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 100㎛ 직선 라인을 그었을때, 상기 직선 라인에 걸쳐 있는 MA가 5~13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3. 제1항에 있어서,
    페라이트 결정립 내부에 존재하는 MA와 결정립계에 존재하는 MA의 비율이 1:3~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는 원상당 직경으로 측정한 평균크기가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노멀라이징 열처리된 것이며,
    상기 노멀라이징 열처리 전 강판의 미세조직은 베이나이트가 50~90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항복비가 0.5~0.65이며, -40℃에서의 저온충격특성이 100J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항복강도는 350~400MPa 이고, 인장강도는 60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8. 중량%로, C: 0.05~0.1%, Si: 0.3~0.7%, Mn: 1.0~2.0%, Al: 0.005~0.04%, Nb: 0.04~0.07%, Ti: 0.001~0.02%, Cu: 0.05~0.4%, Ni: 0.1~0.6%, Mo: 0.01~0.08%, N: 0.001~0.008%, P: 0.015% 이하, S: 0.003%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1050~1200℃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마무리 압연 종료온도가 760~850℃가 되도록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얻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5℃/s 이상의 냉각속도로 45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열연강판을 850~960℃의 온도 범위까지 가열한 후, [1.3t+(10~30)]분 동안 유지하는 노멀라이징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의 제조방법.
    (상기 t는 열연강판의 두께를 mm단위로 측정한 값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된 열연강판의 미세조직은 베이나이트가 50~90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60176126A 2016-12-21 2016-12-21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126A KR101917451B1 (ko) 2016-12-21 2016-12-21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9532672A JP6847225B2 (ja) 2016-12-21 2017-12-08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PCT/KR2017/014411 WO2018117507A1 (ko) 2016-12-21 2017-12-08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201780079094.8A CN110100027B (zh) 2016-12-21 2017-12-08 具有优异的低温韧性的低屈服比的钢板及其制造方法
EP17882705.1A EP3561107A4 (en) 2016-12-21 2017-12-08 LOW ELASTICITY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LOW TEMPERATURE TENAC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126A KR101917451B1 (ko) 2016-12-21 2016-12-21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496A true KR20180072496A (ko) 2018-06-29
KR101917451B1 KR101917451B1 (ko) 2018-11-09

Family

ID=6262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126A KR101917451B1 (ko) 2016-12-21 2016-12-21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61107A4 (ko)
JP (1) JP6847225B2 (ko)
KR (1) KR101917451B1 (ko)
CN (1) CN110100027B (ko)
WO (1) WO2018117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225B1 (ko) * 2019-09-03 2021-01-07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횡팽창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4008233B (zh) * 2020-01-22 2023-01-17 株式会社Posco 用于石墨化热处理的线材、石墨钢及其制造方法
KR102480707B1 (ko) 2020-11-12 2022-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인성 니켈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3061811A (zh) * 2021-03-17 2021-07-02 攀钢集团江油长城特殊钢有限公司 一种lng船用结构钢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6577A (ko)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포스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656A (ja) * 1994-04-04 1995-10-24 Nippon Steel Corp 低降伏比高張力鋼の製造方法
JP2000063946A (ja) * 1998-08-21 2000-02-29 Kawasaki Steel Corp 耐震部材用低降伏点厚鋼板の製造方法
JP2002105589A (ja) * 2000-09-26 2002-04-10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低降伏比高張力鋼とその製造方法
JP4445161B2 (ja) * 2001-06-19 2010-04-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疲労強度に優れた厚鋼板の製造方法
US7520943B2 (en) * 2003-06-12 2009-04-21 Jfe Steel Corporation Steel plate and welded steel tube exhibiting low yield ratio,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KR100833075B1 (ko) * 2006-12-22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과 취성균열전파정지특성이 우수한 고강도저항복비 구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1775536A (zh) * 2009-01-13 2010-07-1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225MPa级抗震用低屈服强度钢及其制造方法
JP5834534B2 (ja) * 2010-06-29 2015-12-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一様伸び特性を備えた高強度低降伏比鋼、その製造方法、および高強度低降伏比溶接鋼管
JP5768603B2 (ja) * 2011-08-31 2015-08-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一様伸び特性を備え、かつ溶接部低温靱性に優れた高強度溶接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586680A (zh) * 2012-03-22 2012-07-18 内蒙古包钢钢联股份有限公司 一种低屈强比的高层建筑结构用钢板及其正火工艺
KR101412267B1 (ko) 2012-04-25 2014-07-02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2359B1 (ko) * 2012-12-27 2015-01-13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하고 저항복비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65275A (ko) * 2013-12-05 2015-06-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주강 및 그 제조방법
CN103667909B (zh) * 2013-12-13 2016-02-03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屈强比≤0.65的移动式海洋平台用钢及生产方法
KR101799202B1 (ko) * 2016-07-01 2017-11-20 주식회사 포스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6577A (ko)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포스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451B1 (ko) 2018-11-09
EP3561107A4 (en) 2020-01-01
CN110100027A (zh) 2019-08-06
JP6847225B2 (ja) 2021-03-24
JP2020503435A (ja) 2020-01-30
WO2018117507A1 (ko) 2018-06-28
CN110100027B (zh) 2021-10-15
EP3561107A1 (en)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970B1 (ko)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18131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저항복비 건설용 강재 및 그제조방법
KR100851189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1799202B1 (ko)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567B1 (ko) 용접성이 우수한 고망간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205144B1 (ko) 건축구조용 h형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453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9685B1 (ko) 균일연신율 및 저온파괴인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51296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1736611B1 (ko) 취성균열전파 저항성 및 용접부 취성균열개시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451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724B1 (ko) 중심부 저온 파괴전파 저항성 및 항복비 특성이 동시에 우수한 후물 라인파이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97326B1 (ko) Pwht 물성 보증용 심해 라이저 파이프 강재 및 그제조방법
KR20160079166A (ko)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형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088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저탄소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7164718B2 (ja) 優れた低降伏比と低温靭性特性を有する構造用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43029B1 (ko) 고강도, 고인성 및 고변형능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20386B1 (ko) 고 강도 오스테나이트계 고 망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06527B1 (ko) 대입열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극후물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4998B1 (ko)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60894B1 (ko) 중탄소 고인성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8134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9995B1 (ko)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67030B1 (ko) 고강도 강판 제조 방법
KR100782761B1 (ko)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판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