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275A -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주강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주강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275A
KR20150065275A KR1020130150403A KR20130150403A KR20150065275A KR 20150065275 A KR20150065275 A KR 20150065275A KR 1020130150403 A KR1020130150403 A KR 1020130150403A KR 20130150403 A KR20130150403 A KR 20130150403A KR 20150065275 A KR20150065275 A KR 20150065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esent
cast steel
temperatur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정원종
서영교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5275A/ko
Publication of KR2015006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5/00Heat treatments of cast-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06Cast-iron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7/08Cast-iron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 0.12∼0.15 중량%, Si: 0.25~0.32 중량%, Mn: 1.40∼1.50 중량%, Ni: 0.30~0.40 중량%, Al 0.01~0.03 중량%, Ti: 0.010~0.020 중량%, N: 0.006~0.01 중량%, Nb: 0.025~0.045 중량% 및 Fe와 피할 수 없는 불순물로 구성된 나머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갖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P: 0.02 중량%, S: 0.005 중량%, Cr: 0.2 중량%, Mo: 0.08중량%, Cu: 0.08중량% 및 V: 0.06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저온에서의 충격값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을 통해서 특수 재질의 제작범위로 확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최적 열처리를 통하여 저온에서의 주강 재질의 내충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주강 및 그 제조방법{CAST STEEL HAVING IMPACT RESISTANCE AT LOW TEMPERAT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주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를 저하시키고, 망간의 양을 크게 하고, 극지방 운항용 선박 재질에 사용되기 위해 노말라이징 및 템퍼링 단계를 거치 -35℃에서 27J 충격값을 만족시키는 주강에 관한 것이다.
러더는 크게 러더혼 부분과 러더가동부로 나뉘는데, 상기 러더혼은 스크류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어서, 스크류에서 발생하는 유체 흐름이 러더혼과 러더가동부를 연결시키는 핀틀 부위에 갭 캐비테이션 발생구역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선체에서 캐비테이션에 의한 침식을 가장 많이 받는 것 중의 하나가 러더이며 이러한 러더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박의 후미에 선회 가능케 장착되어 근접 설치된 스크류에 의해서 얻어진 추진력의 방향을 조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러더가동부는 일정각 선회될 수 있도록 선박의 후단부에 축결합되어 있다.
선박 내부의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의 회동에 의하여 유체는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고 선박은 유체의 이동의 반작용으로 추진력을 얻음으로서 전방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 추진력은 프로펠러의 후방에 근접설치된 러더에 의해 조향되어 선박이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즉 선박은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추진력을 얻고 이때 추진력의 작용방향을 러더의 축회전에 의해 조향함으로써 선박이 원하는 방향으로 항해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러더 혼의 경우 통상의 운항 지역이 아닌 극지방 운항용 선박 개발시 극저온에서의 일정한 충격값 이상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을 요구하였으니 이에 대해서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4724호에는 선박의 러더 혼 및 선박의 러더 혼부 건조공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나, 극저온에서 내충격성에 대한 특징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4724호 "선박의 러더 혼 및 선박의 러더 혼부 건조공법(공개일자: 2013. 05. 2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주강 SC480 범위 재질의 물성치의 만족과 함께 -35℃ 충격실험에서 추가로 27J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성분 조합과 열처리 조건을 거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온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 및 망간 함량을 조정시켜 저온에서의 물성치를 확보할 수 있는 주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말라이징 단계 및 템퍼링 단계를 조합시킨 최적 열처리를 통하여 저온 내충격성을 얻을 수 있는 주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C: 0.12∼0.15 중량%, Si: 0.25~0.32 중량%, Mn: 1.40∼1.50 중량%, Ni: 0.30~0.40 중량%, Al 0.01~0.03 중량%, Ti: 0.010~0.020 중량%, N: 0.006~0.01 중량%, Nb: 0.025~0.045 중량% 및 Fe와 피할 수 없는 불순물로 구성된 나머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갖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P: 0.02 중량%, S: 0.005 중량%, Cr: 0.2 중량%, Mo: 0.08중량%, Cu: 0.08중량% 및 V: 0.06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인장강도 470MPa 이상 및 -35℃에서 27J 이상의 충격인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성물은 900~920℃에서 최소 14시간이상 냉각시키는 노말라이징 단계 후, 590~610℃에서 최소 14시간 이상 냉각시키는 템퍼링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온 내충격성 주강은 930 내지 950℃에서 열 처리를 시행하는 어닐링(annealing) 단계; 700 내지 750℃에서 열 처리를 시행하는 퀀칭(quenching) 단계; 및 630 내지 650℃에서 열 처리를 시행하는 템퍼링(tempering)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템퍼링 단계 이후에 610℃ 미만에서 열 처리를 시행하는 스트레스-완화 어닐링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닐링 단계 및 퀀칭 단계 각각은 냉각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냉각 단계 모두에서, 냉각 단계는 액체 침지에 의해 냉각하는 경우에 비해 더 느린 냉각 속도에서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주강 SC480 범위 재질의 물성치의 만족과 함께 -35℃ 충격실험에서 추가로 27J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성분 조합과 열처리 조건을 거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을 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저온에서의 충격값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을 통해서 특수 재질의 제작범위로 확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적 열처리를 통하여 저온에서의 주강 재질의 내충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내충격성 주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온 내충격성 주강은, 필수 원소로서 C(탄소), Si(규소), Mn(망간), Ni(니켈), Al(알루미늄), Ti(티타늄), N(질소) 및 Nb(니오브)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Fe(철), 미세원소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온 내충격성 주강은, 예를 들어 미세원소로서 P(인), S(황) V(바나듐), Cr(크롬), Mo(몰리브덴) 및 Cu(구리)를 함유한다. 여기의 본 명세서에서, 질량으로 정의된 모든 퍼센티지는 중량으로 정의된 것과 각각 같다. 이하, 상기 저온 내충격성 주강의 성분 조성 및 그 수치제한에 대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탄소(C)
탄소(C)는 강도 확보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상기 탄소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12~0.1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의 첨가량이 0.12중량% 미만일 경우 강도 확보가 어렵다. 반대로, 탄소의 첨가량이 0.15중량%를 초과하면 용접성 및 용접 열 영향부(HAZ) 인성 저하를 초래한다.
실리콘( Si )
실리콘(Si)은 탈산제로 작용하며, 고용강화에 의하여 강의 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상기 실리콘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25 ~ 0.32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의 첨가량이 0.25중량% 미만이면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실리콘의 첨가량이 0.32중량%를 초과하면, 용접 열영향부(HAZ) 인성을 열화시킨다.
망간( Mn )
망간(Mn)은 인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원소이다. 상기 망간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1.40~1.5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의 첨가량이 1.40 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망간의 첨가량이 1.50 중량%를 초과하면 인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니켈( Ni )
니켈(Ni)은 강판의 강도 및 저온인성 확보에 유리한 원소이다. 상기 니켈(Ni)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3 ~ 0.4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켈의 첨가량이 0.3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니켈의 첨가량이 0.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강판 제조비용 증가 요인이 될 수 있다.
알루미늄( Al )
알루미늄(Al)은 AlN 질화물을 형성하여, 재가열시의 급격한 오스테나이트 입경의 조대화를 방지하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알루미늄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01 ~ 0.03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알루미늄의 함량이 0.0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개재물이 많아져 강판의 연성 및 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티타늄( Ti )
티타늄(Ti)은 가장 강한 석출상을 생성하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에서 용해도가 낮고, 조직 미세화 효과를 나타내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0.01 내지 0.02 중량%가 바람직하다.
질소(N)
질소(N)는 알루미늄과 결합하여 AlN 형성을 통하여 재가열시 급격한 오스테나이트 입경 조대화를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상기 질소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006 ~ 0.0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의 함량이 0.006 중량% 미만일 경우, AlN 형성이 불충분하다. 반대로, 질소의 함량이 0.0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보론과 결합하여 고용 보론을 감소시켜 소입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니오븀( Nb )
니오븀(Nb)은 녹는점이 높고 변태(變態)가 없는데다가 지르코늄과 비슷한 내식성과 보다 우수한 고온 강도를 지니고 있으며, 입자 미세화 효과가 있는 원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0.025 내지 0.04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P)
인(P)은 강도 향상에 일부 기여하나, 0.0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입계에 편석하여 강의 인성을 열화시키므로, 가능한 함량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의 함량을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02 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황(S)
황(S)은 주로 MnS를 형성하여 강 중에 존재하고, 압연 후 냉각시 조직을 미세화 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황이 0.005 중량%를 초과하여 과다하게 포함되면 판 두께방향의 인성, 연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황의 함량을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005중량% 이하로 제한하였다.
크롬( Cr )
크롬(Cr)은 고용강화 등으로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크롬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2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롬의 함량이 0.2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다. 반대로, 크롬의 첨가량이 0.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 및 용접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몰리브덴( Mo )
몰리브덴(Mo)은 석출강화 및 고용강화로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몰리브덴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08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의 첨가량이 0.08중량% 미만일 경우, 몰리브덴 첨가에 따른 강도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몰리브덴의 첨가량이 0.08중량%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리( Cu )
구리(Cu)는 고용강화 및 석출강화에 의하여 강판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리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08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의 첨가량이 0.08 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다. 반대로, 구리의 첨가량이 0.0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강판의 열간가공성을 저해시킬 수 있다.
바나듐(V)
바나듐(V)은 석출강화로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상기 바나듐(V)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전체 중량의 0.06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나듐의 첨가량이 0.06중량% 미만일 경우 그 첨가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바나듐의 첨가량이 0.06 중량%를 초과하면 용접성 및 인성을 저하시킨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구성된 조성물을 가지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은 일반 선박 주강 재질인 SC480 범위 재질의 물성치의 만족과 함께 -35℃ 충격 시험에서 추가로 27J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성분의 조합과 열처리 조건에서 선급사양 DNV DAT-30의 재질제품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온 내충격성 주강에서의 화학 성분에서 탄소(C)를 저감시키고, 망간(Mn) 및 기타 합금원소를 추가시킨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P: 0.02 중량%, S: 0.005 중량%, Cr: 0.2 중량%, Mo: 0.08중량%, Cu: 0.08중량% 및 V: 0.06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가지는 조성물은 900~920℃에서 최소 14시간이상 냉각시키는 노말라이징 단계 후, 590~610℃에서 최소 14시간 이상 냉각시키는 템퍼링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결과 상기 조성물은 인장강도 470MPa 이상 및 -35℃에서 27J 이상의 충격인성을 가지는데 구체적인 실험에 의한 측정값은 하기와 같다.
YS( MPa ) TS( MPa ) El (5d) RA Ecvn (-35℃, J) YS / TS
기준치( spec ) 235 470 24 40 27 0.5
측정값 347 497 32 74 63 0.69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온 내충격성 주강을 제조시 적용되는 노말라이징 및 열처리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 첫번째 실시예로서 하기와 같은 노말라이징과 템퍼링 과정을 거친다.
노말라이징
선박에 사용되는 주강재질의 충격인성 및 경도 편차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직을 미세화하고, 강관 내외면 조직의 균질화를 추구하기 위해 단일 열처리 방법인 노말라이징 열처리를 시행한다. 이와 같은 노말라이징(normalizing) 열처리 단계는, 강을 균일한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조직까지 가열하고 공냉을 통해 표준화된 조직을 확보하는 열처리 방법이다. 특히, 상기 노말라이징 단계에서 팬과 물을 사용하는 강제공냉 방식을 통해 냉각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적용시 900~920℃에서 최소한 14시간 이상 냉각시키는 것이 특징이고, 템퍼링 과정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템퍼링
템퍼링 단계에서는 냉각된 판재를 템퍼링(Tempering)하여 인성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저온 내충격성 주강은 590~610℃에서 최소 14시간 이상 냉각시키는 바람직하고, 템퍼링 온도가 610℃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 저하가 현저해지고, 템퍼링 온도가 550℃ 미만인 경우, 인성개선 효과가 충분히 얻을 수 없다.
한편, 또 다른 제 2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저온 내충격성 주강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어닐링 단계: 930 내지 950℃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닐링 단계는 주조시에 주형에 생성된 스트레스의 완화 및 고형화 시에 생성되는 성분을 균질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가열은 930℃ 이상에서 시행된다. 반면에, 가열이 9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시행되는 경우에 결정립이 지나치게 거칠어지고 강인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가열은 930 내지 950℃의 온도 범위로 제한된다.
퀀칭 단계 : 700 내지 750℃
퀀칭 및 템퍼링은 기계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된다. 퀀칭 단계에서, 오스테나이트 단일-상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온도를 750℃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온도가 750℃를 초과하는 경우에 결정립의 결정립 조대화가 시작되고 강인성은 상당히 낮아져서, 온도는 700 내지 750℃의 온도 범위로 제한된다.
템퍼링 단계 : 630 내지 650℃
온도가 상당히 높은 경우 인장 강도가 낮아지고, 오스테나이트상이 역변태(reverse transformation)를 통해 석출되는 경우에 강인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템퍼링 단계를 650℃ 이하로 시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나아가, 템퍼링 단계가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시행되는 경우에, 강도와 강인성의 균형은 더 나빠지고 강인성은 낮아져서, 템퍼링 단계는 630℃ 이상에서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템퍼링 단계는 630 내지 650℃의 온도 범위로 제한된다. 부수적으로, 상기 어닐링, 퀀칭 및 템퍼링시에 가열-유지 시간은 제품의 두께에 따라서 결정되지만, 충분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0시간 이상 동안 가열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스-완화 어닐링 단계 : 610℃ 미만
스트레스-완화 어닐링 단계는 구조체 용접 및 수선 용접시에 생성된 스트레스를 완화할 목적으로 시행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템퍼링 단계 이후에 첨가된다. 스트레스-완화 효과를 충분히 보이기 위해서, 가능한 한 높은 온도에서 본 단계를 시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반면에, 본 단계가 템퍼링 온도와 동일한 온도에서 시행되면, 기계적 특성은 영향받으며, 따라서 본 단계는 610℃ 미만에서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유지시간도 용접량에 따라 결정되지만 충분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4시간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단계가 어닐링 단계 및 퀀칭 단계를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화 처리라고 불리는 처리시에 액체 침지에 의해 실현되는 것보다 낮은 냉각 속도에서 시행되는 경우에, 충분히 내충격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냉각 속도에서 냉각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공기 냉각 및 팬 냉각이 거론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열간 금형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Claims (10)

  1. C: 0.12∼0.15 중량%, Si: 0.25~0.32 중량%, Mn: 1.40∼1.50 중량%, Ni: 0.30~0.40 중량%, Al 0.01~0.03 중량%, Ti: 0.010~0.020 중량%, N: 0.006~0.01 중량%, Nb: 0.025~0.045 중량% 및 Fe와 피할 수 없는 불순물로 구성된 나머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갖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P: 0.02 중량%, S: 0.005 중량%, Cr: 0.2 중량%, Mo: 0.08중량%, Cu: 0.08중량% 및 V: 0.06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장강도 470MPa 이상 및 -35℃에서 27J 이상의 충격인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900~920℃에서 최소 14시간이상 냉각시키는 노말라이징 단계 후, 590~610℃에서 최소 14시간 이상 냉각시키는 템퍼링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
  5. C: 0.12∼0.15 중량%, Si: 0.25~0.32 중량%, Mn: 1.40∼1.50 중량%, Ni: 0.30~0.40 중량%, Al 0.01~0.03 중량%, Ti: 0.010~0.020 중량%, N: 0.006~0.01 중량%, Nb: 0.025~0.045 중량% 및 Fe와 피할 수 없는 불순물로 구성된 나머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갖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열 처리를 시행하는 어닐링(annealing) 단계; 열 처리를 시행하는 퀀칭(quenching) 단계; 및 열 처리를 시행하는 템퍼링(tempering)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annealing) 단계는 930 내지 950℃에서 열 처리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퀀칭(quenching) 단계는 700 내지 750℃에서 열 처리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템퍼링(tempering) 단계는 630 내지 650℃에서 열 처리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 제조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템퍼링 단계 이후에 610℃ 미만에서 열 처리를 시행하는 스트레스-완화 어닐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 제조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단계 및 퀀칭 단계 각각은 냉각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냉각 단계 모두에서, 냉각 단계는 액체 침지에 의해 냉각하는 경우에 비해 더 느린 냉각 속도에서 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내충격성 주강 제조방법.
KR1020130150403A 2013-12-05 2013-12-05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주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5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03A KR20150065275A (ko) 2013-12-05 2013-12-05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주강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03A KR20150065275A (ko) 2013-12-05 2013-12-05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주강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75A true KR20150065275A (ko) 2015-06-15

Family

ID=5350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403A KR20150065275A (ko) 2013-12-05 2013-12-05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주강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52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07A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07A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6820B2 (ja) 溶接部靭性および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耐磨耗鋼板
EP2762598A1 (en) Steel plate with low yield ratio high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660346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superior toughness at cryogenic temperatu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395984B1 (e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wht resistance for low-temperature pressur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2762594B1 (en) High-strength and high-toughness steel plate with yield strength being 700 mp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829830B2 (en) Pressure vessel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post weld heat treatment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1492085B (zh) 低温下抗断裂性优异的极地环境用高强度钢材及其制造方法
JP2020509207A (ja) 低温靭性及び降伏強度に優れた高マンガン鋼及びその製造方法
CA3081221A1 (en) Steel material for welded steel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57421B1 (ko) 체인강 및 이의 제조방법
US8652273B2 (en) High tensile steel for deep draw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high-pressure container produced thereof
CN112011724B (zh) 一种极寒环境下使用的高韧性钢板及其制造方法
CN101812634B (zh) 低碳低焊接裂纹敏感性的高强度钢、钢板及其制造方法
JP6625657B2 (ja) 高強度特性を有するベイナイト系構造を有する部品および製造方法
KR102142782B1 (ko) 크리프 강도가 우수한 크롬-몰리브덴 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3730655B1 (en) High strength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6143345A1 (ja) 高強度極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65275A (ko)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주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455458B1 (ko)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7340B1 (ko) 체인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8412A (ko) 선박용 단강품
JP2001032047A (ja) 高耐食性を有する862N/mm2級低C高Cr合金油井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76683B1 (ko) 고강도 고장력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7030B1 (ko) 고강도 강판 제조 방법
KR101435258B1 (ko) 강재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