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254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254A
KR20180072254A KR1020160175630A KR20160175630A KR20180072254A KR 20180072254 A KR20180072254 A KR 20180072254A KR 1020160175630 A KR1020160175630 A KR 1020160175630A KR 20160175630 A KR20160175630 A KR 20160175630A KR 20180072254 A KR20180072254 A KR 20180072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witch
control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진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2254A/ko
Publication of KR2018007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2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4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제어부가 전력스위치, 통신부 스위치 및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제1제어부, 입력부, 통신부 및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대기단계; 사용자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통해 전력공급을 요청하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제어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격제어 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장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원격제어모드가 구비된 장치가 있었다. 원격제어모드는 외출중인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원격제어 단말기(휴대폰 등)를 통해 전송하는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원격제어모드를 선택할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해야만 했다.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제어명령을 의류처리장치로 전송하면, 의류처리장치가 곧바로 작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원격제어장치에서 발신되는 제어명령을 의류처리장치가 수신할 때까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의류처리장치의 대기전력(standby power) 소비량이 큰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standby power)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원격제어명령의 수신에 필요한 수단에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원격제어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의 해결을 위해 제어방법을 실행하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통신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통신부 전력선을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원격제어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제어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인터페이스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며,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제2제어부; 발광부 전력회로를 통해 교류전력이 공급되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발광부에서 빛이 방출되면 전기적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전송하는 수광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 각각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는 제1스위치;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발광부에 교류전력을 공급하는 제2스위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대기단계; 사용자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통해 전력공급을 요청하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 및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제어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의 진행 중 상기 제2스위치가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개방하여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수광부로부터 전기적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대기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모드의 설정을 취소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대기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의 개시 전 상기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의 개시 전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수광부에서 전송되는 전기적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전력회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표시부를 통해 상기 투입구의 폐쇄를 요청하는 요청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는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수광부가 전송하는 전기적신호를 수신한 때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전송된 원격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실행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행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대기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실행단계의 진행 중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대기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부하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터브에 저장된 물의 수위데이터를 상기 제1제어부에 전송하는 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는 상기 수위감지부에서 전송된 수위데이터가 상기 원격제어명령에 설정된 기준수위 미만인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부하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1제어부로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데이터를 전송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는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기준변화율 이상인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부하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1제어부로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데이터를 전송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는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기준변화율 이하인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통신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통신부 전력선을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원격제어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제어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인터페이스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며,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제2제어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영구자석; 자력감지부 전력회로를 통해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영구자석이 제공하는 자력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자력감지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 각각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자력감지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는 제1스위치; 상기 자력감지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자력감지부 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자력감지부에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제2스위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대기단계; 사용자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통해 전력공급을 요청하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제어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투입구 및 제1체결부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된 도어; 통신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통신부 전력선을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원격제어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제어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인터페이스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며,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제2제어부; 발광부 전력회로를 통해 교류전력이 공급되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발광부에서 빛이 방출되면 전기적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전송하는 수광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 각각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는 제1스위치;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하면 상기 발광부 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발광부에 교류전력을 공급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원격제어명령의 수신에 필요한 수단에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원격제어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의 해결을 위한 제어방법을 실행하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2)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의류를 수용부(2)에 투입하거나 상기 수용부(2)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1)가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11)는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13)는 체결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체결부가 캐비닛(1)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111), 상기 도어(13)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체결부(13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체결부(131)는 상기 도어(13)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후크로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111)는 상기 후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체결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과 상기 도어(13) 중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명령의 진행과정을 표시하는 컨트롤패널(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5)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51),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진행과정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수용부(2)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1),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4)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1)는 물을 저장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의 전방면에는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11)와 상기 터브 투입구(211)는 가스켓(213)을 통해 연결되는데, 상기 가스켓(213)은 상기 터브(21) 내부에 저장된 물이 캐비닛(1) 내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터브(21)는 지지부(215)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지지부(215)는 터브에서 발생한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및 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1)는 급수관(31)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 내부에 공급된 물은 배수관(35)을 통해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31)은 캐비닛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미도시)과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31)은 후술할 제1제어부(71, 도 3 참고)의 제어를 받는 급수밸브(3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배수관(35)은 상기 터브(21)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유로이고, 상기 배수관(35)에는 제1제어부(71)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37)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37)는 상기 배수관(35)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1제어부(71)에 의해 제어되는 펌프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1) 내부의 수위는 수위감지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부는 상기 터브 내부와 연통하는 연통관(38),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1제어부(71)에 전송하는 압력센서(39)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연통관(38)이 배수관(35)을 통해 터브(21) 내부와 연통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터브(21)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연통관(38)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 것이므로, 제1제어부(71)는 상기 압력센서(39)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신호(전류 또는 전압 등의 수위데이터)를 통해 터브 내부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드럼(24)은 상기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고 의류가 저장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24)의 전방면에는 상기 투입구(11) 및 터브 투입구(211)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241)가 구비되고, 상기 드럼(24)의 원주면을 비롯한 외주면에는 상기 드럼의 내부를 터브 내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243)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24)은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구동부(25)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25)는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도록 터브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25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255),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51)는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로터(255)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로터(255)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 구비된 전원이 교류전원일 경우, 의류처리장치에는 교류전원이 공급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251)가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타입인 경우, 상기 스테이터(251)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터버(미도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건조도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터브에는 열풍공급부(4)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열풍공급부(4)는 상기 터브(21)의 외부에 위치하여 공기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덕트(41),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터브(21)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43), 상기 덕트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4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43)은 상기 덕트(41) 내부에 위치하는 임펠러, 상기 덕트(41)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1제어부(71)에 의해 제어되는 팬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45)는 상기 덕트(41)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히트펌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4)는 상기 터브(21)에서 상기 덕트(4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4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47)는 상기 터브(2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한 덕트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온도감지부(47)가 팬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온도감지부(47)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1제어부(71)에 온도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이다.
도 2는 상기 터브(21)에서 배출된 공기를 제습한 뒤 가열하는 순환식 건조시스템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므로, 상기 열풍공급부(4)는 배기식 건조시스템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배기식 건조시스템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덕트(41)는 상기 터브(21)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제어부(71)의 제어를 받는 가열부, 상기 배출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팬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인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건조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는 상기 터브가 불필요할 것이고, 열풍공급부의 덕트(41)는 상기 드럼(24)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는 제1부하부(L1)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71), 제2부하부(L2)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73), 원격제어 단말기(9)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6)가 구비된다.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는 단말기 통신부(93),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원격제어명령이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97), 사용자가 원격제어명령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단말기 입력부(95), 원격제어 단말기의 구성요소(93, 95, 97)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 단말기 입력부, 단말기 표시부 및 단말기 통신부는 단말기 전원(98)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사용자가 단말기 입력부(95)를 통해 입력한 원격제어명령은 단말기 통신부(91)를 통해 상기 통신부(6)로 발신되고, 상기 통신부(6)가 수신한 원격제어명령은 상기 제2제어부(73)에 전송된다.
상기 제1부하부(L1)와 제2부하부(L2)는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적 에너지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하는데,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제1부하부(L1)는 상술한 급수밸브(33), 펌프(37, 펌프에 구비된 모터), 구동부(25, 구동부의 스테이터), 열풍공급부(팬에 구비된 모터, 히터, 히트펌프에 구비된 압축기 및 팽창밸브 등), 압력센서(39), 온도감지부(49)를 의미하고, 상기 제2부하부(L2)는 입력부(151) 및 표시부(153)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71), 제1부하부(L1) 및 제2부하부(L2)는 전력변환부(P1)를 통해 직류전력(직류의 전기에너지)을 공급받는데, 상기 전력변환부(P1)는 교류전원(P, 전기에너지의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교류전력(교류의 전기에너지)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수단으로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제어부(71)는 상기 전력변환부(P1)에 연결된 제1제어부 전력회로(P2)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는데, 상기 제1제어부 전력회로(P2)는 전력스위치(P21)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전력스위치(P21)가 상기 제1제어부 전력회로(P2)를 개방하면, 상기 제1제어부(71)에는 전력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전력스위치(P21)가 상기 제1제어부 전력회로(P2)를 폐쇄하면, 상기 제1제어부(71)에는 직류전력이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1부하부(L1)는 제1부하부 전력회로(P3)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2부하부(L2)는 제2부하부 전력회로(P4, 인터페이스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부하부 전력회로(P3) 및 제2부하부 전력회로(P4)는 상기 전력스위치(P21)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력스위치(P21)는 상술한 컨트롤패널(15)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전력스위치(P21)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할 수도 있고, 상기 제2제어부(73)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회로들(P2, P3, P4)은 사용자가 상기 전력스위치(P21)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도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전력스위치(P21)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도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부(6)는 통신부 스위치(P61)를 통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통신부 전력회로(P6, 전력변환부와 통신부를 연결하는 회로)을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는다. 즉, 상기 통신부 스위치(P61)가 통신부 전력회로(P6)를 폐쇄하면, 상기 통신부(6)는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통신부 스위치(P61)가 통신부 전력회로(P6)를 개방하면, 상기 통신부(6)에는 직류전력의 공급이 차단된다.
상기 제2제어부(73)는 상기 제2부하부(L2), 상기 통신부(6), 상기 전력스위치(P21) 및 상기 통신부 스위치(P61)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제어부(73)는 제2제어부 전력회로(P5, 전력변환부와 제2제어부를 연결하는 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제2부하부(L2)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입력부(151)로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2제어부(73)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이나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문자나 소리신호를 상기 표시부(153)에 표시되게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전력스위치(P21) 및 상기 통신부 스위치(P61)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전력스위치(P21)나 통신부 스위치(P61)를 통해 각 스위치(P21, P61)가 구비된 전력회로(P2. P3, P4, P6)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술한 제2제어부(73)는 상기 전력변환부(P1)에 직접 연결된 전력회로(P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상기 제2제어부(73)는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는다. 즉, 상기 제2제어부(73)는 사용자가 상기 전력스위치(P21)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는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13)가 투입구(1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감지부(8)가 구비되는데, 상기 도어감지부(8)는 교류전원(P)으로부터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81), 직류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발광부(81)에서 빛이 방출되면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부(8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81)는 교류전원(P)에 연결된 발광부 전력회로(811)를 통해 교류전력을 공급받는데,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811)는 제1스위치(813) 및 제2스위치(815)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813)는 상기 제1제어부(71) 및 제2제어부(73)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스위치(813)는 제1제어회로(813a)를 통해 제1제어부(71)에 연결되고, 제2제어회로(813b)를 통해 제2제어부(73)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제어부(71)와 제2제어부(7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스위치(813)를 폐쇄하면, 상기 발광부(81)는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스위치(815)는 상기 도어에 구비된 제2체결부(131)에 의해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811)를 개폐한다. 즉, 상기 제2체결부(131)가 제1체결부(111)에 결합하면(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제2스위치(815)는 발광부 전력회로(811)를 폐쇄할 것이므로, 상기 발광부(81)는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게 될 것이다.
상기 수광부(84)는 전력변환부(P1)에 연결된 수광부 전력회로(841)을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발광부(81)에서 빛이 방출되면 전기적신호를 발생시켜 제1제어부(71) 및 제2제어부(73)에 각각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수광부(84)는 제1연결회로(843)를 통해 상기 제1제어부(71)에 전기적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연결회로(845)를 통해 상기 제2제어부(73)에 전기적신호를 전송한다.
상술한 도어감지부(8)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력을 공급받는 회로를 연결(서로 다른 Ground를 가진 회로를 연결)하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도어감지부(8)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이 제공하는 자력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에 전송하는 자력감지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력감지부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수광부 전력회로와 같은 자력감지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813) 및 제2스위치(815)는 상기 자력감지부 전력회로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도 4와 같은 제어방법을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대기전력 소비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어감지부(8)가 발광부(81) 및 수광부(84)로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사용자나 제2제어부(73)가 전력스위치(P21)를 작동시키지 않아 상기 제1부하부(L1) 및 제2부하부(L2)가 작동하지 않는 대기단계(S10), 사용자가 상기 전력스위치(P21)를 통해 의류처리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20),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에서 전송된 원격제어명령이 상기 통신부(6)에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판단하는 원격제어 대기단계(S6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제2제어부(73)는 제2제어부 전력회로(P5)를 통해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으므로, 상기 제2제어부(73)는 상기 대기단계(S10)에서도 직류전력을 공급 받는다(S11).
상기 대기단계(S10)는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전력스위치(P21), 상기 통신부 스위치(P61) 및 상기 제1스위치(813)가 각 스위치가 구비된 전력회로를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대기단계(S10)는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제1제어부 전력회로(P2), 제1부하부 전력회로(P3) 및 제2부하부 전력회로(P4)가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력스위치(P21)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제어부(71)에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3), 상기 제1부하부(L1)에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5), 상기 제2부하부(L2)에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7)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하부(L1)는 급수밸브(33), 펌프(37, 펌프에 구비된 모터), 구동부(25, 구동부의 스테이터), 열풍공급부(팬에 구비된 모터, 히터, 히트펌프에 구비된 압축기 및 팽창밸브 등), 압력센서(39), 온도감지부(49)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부하부(L2)는 입력부(151) 및 표시부(153)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단계(S10)는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통신부 전력회로(P6)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통신부 스위치(P61)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69)에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8), 상기 제2제어부(73)가 발광부 전력회로(81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스위치(813)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에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9)를 포함한다.
상기 대기단계(S10)의 진행 중 사용자가 상기 전력스위치(P21)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로 전력을 공급(S20)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1제어부(71)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31) 및 제2부하부(L2)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35)를 실행하거나, 상기 제1제어부(71), 상기 제1부하부(L1) 및 제2부하부(L2)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들(S31, S33, S35)을 실행한다.
다만, 상기 제1부하부(L1)는 사용자가 입력부(151)를 통해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 시(S43) 전력이 공급되어도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전력스위치(P21)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로 전력의 공급을 요청(S20)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1제어부(71) 및 상기 제2부하부(L2)에만 전력을 공급(S31, S35)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부하부(L2)에 전력이 공급(S35)되면 사용자는 입력부(151)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부하부에 전력이 공급(S31, S33)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입력부(151)를 통해 사용자가 원격제어모드를 입력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를 진행한다.
상기 원격제어모드가 입력되었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상기 입력부(151)로 제어명령을 입력(S41)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1제어부(71)가 제어명령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부하부(L1)를 제어(S43)하는 제어명령 실행단계(S43)를 진행한다. 상기 제어명령 실행단계가 완료되면(S45), 상기 제2제어부(73)는 상기 전력스위치(P21)를 통해 제1제어부(71), 제1부하부(L1) 및 제2부하부(L2)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대기단계(S10)로 복귀한다.
한편, 사용자가 원격제어모드를 선택한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S60)를 실행한다.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S60)는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전력스위치(P21)를 개방시켜 상기 제1제어부(71)에 공급되는 전력, 상기 제1부하부(L1)에 공급되는 전력 및 상기 제2부하부(L2)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S61, S63, S6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S60)는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S61)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67), 및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제1스위치(813)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81)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69)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원격제어 대기단계(S60)의 진행 중 제2제어부(73), 통신부(6) 및 발광부(81) 이외의 장치들(제1제어부, 제1부하부 및 제2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므로 의류처리장치의 대기전력 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S60)의 진행 중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투입구(11)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를 진행한다.
상기 원격제어모드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과 이격된 공간에서 원격제어 단말기(9)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를 작동시키는 모드이기 때문에, 상기 도어(13)가 투입구(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100)가 작동하면 사고는 물론 의류처리장치의 파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1)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에서 상기 제2제어부(73)는 상기 수광부(84)에서 전기적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2스위치(815)는 상기 도어(13)가 투입구(11)를 폐쇄한 경우에만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811)를 폐쇄하고, 상기 제2스위치(815)가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811)를 폐쇄한 경우에만 상기 발광부(81)는 빛을 방출하므로, 상기 제2제어부(73)는 상기 수광부(84)에서 전기적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통해 투입구(11)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S60)의 진행 중 상기 투입구(11)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P61) 및 상기 제1스위치(815)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6) 및 상기 발광부(81)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대기단계(S10)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S60)의 진행 중 상기 투입구(11)가 개방되지 않았고,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9)에서 전송된 원격제어명령이 상기 통신부(6)에 수신(S71)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전력스위치(P21)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71)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81), 상기 제1부하부(L1)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83), 상기 제2부하부(L2)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85)를 진행한다.
이후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1제어부(71)가 제1부하부(L1)를 제어하여 원격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실행단계(S90)를 진행한다.
상기 통신부(6)가 수신한 원격제어명령이 의류의 세탁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면, 상기 실행단계(S90)는 제1제어부(71)가 상기 급수밸브(33) 및 수위감지부(38, 39)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21)에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부(71)가 상기 구동부(25)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24)을 회전시키는 단계, 제1제어부(71)가 상기 펌프(37)를 제어하여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부(71)가 구동부(25)를 통해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단계로 구비될 것이다.
한편, 상기 통신부(6)가 수신한 원격제어명령이 의류의 건조를 요청하는 제어명령이면, 상기 실행단계(S90)는 제1제어부(71)가 상기 구동부(25)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제어부(71)가 팬(43) 및 가열부(45)를 제어하여 의류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부(71)가 상기 온도감지부(47)에서 제공되는 온도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부(25), 팬(43) 및 가열부(45)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로 구비될 것이다.
상술한 실행단계가 완료되면(S91),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전력스위치(P21), 상기 통신부 스위치(P61) 및 상기 제1스위치(813)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대기단계(S10)로 복귀한다.
다만, 상기 실행단계(S90)의 진행 중 에러가 발생할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전력스위치(P21), 상기 통신부 스위치(P61) 및 상기 제1스위치(813)를 제어하여 상기 대기단계(S10)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에러는 상기 급수밸브(33)가 고장난 경우, 상기 팬(43)의 모터가 고장난 경우, 상기 가열부(45)가 고장난 경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33)가 고장났는지 여부는 상기 제1제어부(71)가 수위감지부(38, 39)에서 전송되는 수위데이터를 원격제어명령에 설정된 기준수위와 비교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밸브(33)가 고장난 경우, 상기 터브(21)로 물이 공급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수위감지부에서 제공되는 수위데이터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제어부(71)는 급수밸브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팬의 모터가 고장났는지 여부는 상기 제1제어부(71)가 온도감지부(47)에서 전송되는 온도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제어부(71)는 상기 온도감지부(47)에서 전송된 온도데이터의 시간당 변화율이 기 설정된 기준변화율 이상이면 상기 팬의 모터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가 고장났는지 여부는 상기 제1제어부(71)가 상기 온도감지부(47)에서 전송된 온도데이터의 시간당 변화율이 기 설정된 기준변화율 이하이면 상기 가열부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통신부(6)에서 수신한 원격제어명령이 원격제어모드의 실행을 취소하는 제어명령인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실행단계(S90)를 진행하지 않고, 상기 제2제어부(73)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P61) 및 상기 제1스위치(813)를 제어하여 상기 대기단계(S10)로 복귀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S60)의 진행 중 상기 투입구(11)가 개방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원격제어 대기단계를 종료하고 대기단계(S10)로 복귀할 만큼 도어가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는지 여부는 원격제어모드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원격제어모드를 선택(S40)하면서 상기 투입구(11)를 폐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S40)된 후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S60)의 개시 전 상기 투입구(11)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 S51)를 더 진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제어방법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1제어부(71)가 상기 제1스위치(813)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81)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50), 상기 제1제어부(71)가 상기 수광부(84)에서 전기적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를 진행한다.
만약, 상기 제1제어부(71)가 상기 수광부(84)로부터 전기적신호를 전송받지 못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2제어부(73)가 상기 표시부(153)를 통해 사용자에게 투입구의 폐쇄를 요청하는 단계(S53)를 진행한다.
원격제어 대기단계(S60)의 개시 전 상기 투입구(11)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 S51)가 구비될 경우, 상기 원격제어단계(S60)는 상기 제1제어부(71)가 상기 수광부(84)로부터 전기적신호를 수신한 때 개시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발광부(81)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50) 및 상기 수광부(84)에서 전기적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는 상기 제2제어부(73)를 통해서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투입구
111: 제1체결부 13: 도어 131: 제2체결부
15: 컨트롤패널 151: 입력부 153: 표시부
2: 수용부 21: 터브 24: 드럼
25: 구동부 251: 스테이터 253: 회전축
255: 로터 31: 급수관 33: 급수밸브
38: 연통관 39: 압력센서 35: 배수관
37: 펌프 4: 열풍공급부 41: 덕트
43: 팬 45: 가열부 47: 온도감지부
6: 통신부 71: 제1제어부 73: 제2제어부
8: 도어감지부 81: 발광부 811: 발광부 전력회로
813: 제1스위치 813a: 제1제어회로 813b: 제2제어회로
815: 제2스위치 84: 수광부 841: 수광부 전력회로
843: 제1연결회로 845: 제2연결회로 9: 원격제어 단말기
91: 단말기 제어부 93: 단말기 통신부 95: 단말기 입력부
97: 단말기 표시부 98: 단말기 전원 P: 교류전원
P1: 전력변환부 P2: 제1제어부 전력회로
P21: 전력스위치 P3: 제1부하부 전력회로
P4: 제2부하부 전력회로 P5: 제2제어부 전력회로
P6: 통신부 전력회로 P61: 통신부 스위치

Claims (11)

  1.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통신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통신부 전력선을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원격제어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제어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인터페이스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며,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제2제어부; 발광부 전력회로를 통해 교류전력이 공급되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발광부에서 빛이 방출되면 전기적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전송하는 수광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 각각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는 제1스위치;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발광부에 교류전력을 공급하는 제2스위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대기단계;
    사용자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통해 전력공급을 요청하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제어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의 진행 중 상기 제2스위치가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개방하여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수광부로부터 전기적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대기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모드의 설정을 취소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대기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의 개시 전 상기 제1제어부 또는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의 개시 전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수광부에서 전송되는 전기적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전력회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표시부를 통해 상기 투입구의 폐쇄를 요청하는 요청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는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수광부가 전송하는 전기적신호를 수신한 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 대기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서 전송된 원격제어명령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제어부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실행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행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대기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단계의 진행 중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대기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부하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터브에 저장된 물의 수위데이터를 상기 제1제어부에 전송하는 수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는 상기 수위감지부에서 전송된 수위데이터가 상기 원격제어명령에 설정된 기준수위 미만인 경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부하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1제어부로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데이터를 전송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는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기준변화율 이상인 경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부하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1제어부로 상기 드럼 내부의 온도데이터를 전송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는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의 변화율이 기 설정된 기준변화율 이하인 경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통신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통신부 전력선을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원격제어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제어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인터페이스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며,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제2제어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영구자석; 자력감지부 전력회로를 통해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영구자석이 제공하는 자력의 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자력감지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 각각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자력감지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는 제1스위치; 상기 자력감지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자력감지부 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자력감지부에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제2스위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대기단계;
    사용자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통해 전력공급을 요청하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원격제어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투입구 및 제1체결부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구비된 도어;
    통신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통신부 전력선을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원격제어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제어부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전력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인터페이스 전력회로를 통해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통신부 스위치 및 상기 전력스위치를 제어하며,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는 제2제어부;
    발광부 전력회로를 통해 교류전력이 공급되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항상 직류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발광부에서 빛이 방출되면 전기적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에 전송하는 수광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 각각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는 제1스위치;
    상기 발광부 전력회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하면 상기 발광부 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발광부에 교류전력을 공급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75630A 2016-12-21 2016-12-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72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630A KR20180072254A (ko) 2016-12-21 2016-12-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630A KR20180072254A (ko) 2016-12-21 2016-12-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54A true KR20180072254A (ko) 2018-06-29

Family

ID=6278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630A KR20180072254A (ko) 2016-12-21 2016-12-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22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770A (ko) * 2020-02-21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770A (ko) * 2020-02-21 202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952702B2 (en) 2020-02-21 2024-04-0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8080B2 (en) Method of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413806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113293561B (zh) 衣物处理装置
US6996920B2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lothes dryer
CN108570790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20190106827A1 (en) Electric Power Control Device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8239851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EP3301214A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10388553A1 (en) Laundry appliance comprising a drawer position detecting system
KR2018007225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6888319A (zh)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2021008536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01024A (ko) 의류처리장치
WO2016088914A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631604B1 (ko) 의류건조장치의 제어방법 및 의류건조장치
KR20200110886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4050518A (ja) 洗濯機
US10927492B2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21433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CN111778679B (zh) 一种洗涤系统的控制方法
KR10235239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7260397B2 (ja) 洗濯機
KR10222917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231405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6430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