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399B1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399B1
KR102352399B1 KR1020170114937A KR20170114937A KR102352399B1 KR 102352399 B1 KR102352399 B1 KR 102352399B1 KR 1020170114937 A KR1020170114937 A KR 1020170114937A KR 20170114937 A KR20170114937 A KR 20170114937A KR 102352399 B1 KR102352399 B1 KR 102352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hamber
tub
cabine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036A (ko
Inventor
황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3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바디 투입구;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바디 투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으로 삽입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관;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저장바디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챔버로 이동시키는 세제펌프; 상기 챔버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공급유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폐쇄감지단계;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펌프를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세제펌프 제어단계; 및 상기 챔버로 세제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제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 상기 저장바디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저장바디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시킨 후 적정량의 세제를 저장바디에 공급하는 과정, 세제가 저장된 저장바디가 캐비닛 내부로 삽입되면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과정을 통해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과정들을 통해 세제를 공급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세탁 시마다 일정량의 세제를 저장바디에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의류에 공급할 세제량을 결정해야 했기 때문에 의류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적정량의 세제를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액상세제를 자동으로 의류에 공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세제가 저장된 저장바디가 캐비닛에 장착되었는지 여부 및 저장바디 내부에 액상세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바디 투입구;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바디 투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으로 삽입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관;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저장바디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챔버로 이동시키는 세제펌프; 상기 챔버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공급유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폐쇄감지단계;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펌프를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세제펌프 제어단계; 및 상기 챔버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제감지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챔버의 부피 이하의 액상세제가 상기 저장바디에서 배출되게 하는 상기 세제펌프의 작동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세제감지단계에서 상기 챔버로 액상세제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은 상기 세제펌프를 작동시켜 액상세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제감지단계에서 상기 챔버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지 않으면,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알림부를 통해 세제보충을 요청하는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알림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세제감지단계에서 상기 챔버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지 않으면,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알림부를 통해 세제보충을 요청하는 음성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알림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알림단계의 완료 후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개방감지단계; 상기 개방감지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방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알림단계의 완료 후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개방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쇄감지단계, 상기 세제펌프 제어단계, 및 상기 세제감지단계는 상기 개방감지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방한 것으로 감지된 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폐쇄감지단계, 상기 세제펌프 제어단계, 및 상기 세제감지단계의 반복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상이면, 본 발명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세제감지단계 이전에 진행되는 포량감지단계; 및 상기 세제감지단계에서 상기 챔버로 액상세제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펌프를 작동시켜 액상세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단계에서 상기 세제펌프의 작동시간은 상기 포량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상세제를 자동으로 의류에 공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세제가 저장된 저장바디가 캐비닛에 장착되었는지 여부 및 저장바디 내부에 액상세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4), 상기 터브에 액상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8)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의류를 상기 드럼(4)에 투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투입구(11) 및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13, 제1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이나 상기 도어(13) 중 어느 하나에는 의류처리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5)이 구비되는데, 도 1은 상기 컨트롤패널(15)이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패널(15)에는 입력부(151) 및 알림부(15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입력부(151)는 사용자가 제어부(미도시)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고, 상기 알림부(153)는 제어부(미도시)가 사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알림부(153)에는 사용자에게 소리신호나 음성신호를 제공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상기 세제공급부(8)가 상기 캐비닛(1)에 삽입되거나 상기 캐비닛(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는 바디 투입구(17)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바디 투입구(17)는 상기 투입구(1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디 투입구 도어(171, 제2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도어(171)가 바디 투입구(17)를 개방한 상태에 있는지, 폐쇄한 상태에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는 도어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감지부는 상기 제2도어(171)에 구비되는 자석(191),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191)에서 방출되는 자력의 세기에 따라 달라지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자력감지부(1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력감지부(193)는 상기 자석(191)에서 방출되는 자력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때 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자력감지부(19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한 때 제2도어(171)가 상기 바디 투입구(17)를 폐쇄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자력감지부(193)에서 전기적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바디 투입구(17)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cylinder)으로 구비될 수 있고, 지지부(25)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5)는 터브(2)의 상부영역을 캐비닛(1)에 연결하는 스프링, 상기 터브의 하부영역을 캐비닛의 바닥면에 연결하는 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전방면에는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21)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이 터브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입구(11)와 터브 투입구(21)는 가스켓(2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2)를 연결하는 급수관(71), 상기 제어부에 의해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배수펌프(77),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배수펌프를 이동시키는 제1배수관(75), 상기 배수펌프(77)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79)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4)은 내부가 비어있고 상기 터브(2) 내부에 위치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4)의 전방면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21)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41)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13)로 투입구(11)를 개방한 뒤 투입구(11), 터브 투입구(21) 및 드럼 투입구(41)를 통해 상기 드럼(4)에 의류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드럼(4)에는 다수의 관통홀(43)이 구비된다. 상기 터브(2)로 공급된 물이 상기 드럼 내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드럼(4)은 구동부(5)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5), 상기 터브(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4)과 로터(55)를 연결하는 회전축(5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55)에는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영구자석(551)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스테이터(51)에 전류를 공급하여 회전자계가 형성되면, 상기 로터(55)는 영구자석들(551)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로터(55)의 회전 시 상기 회전축(53) 및 드럼(4)은 회전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는 드럼(4)의 회전수(또는 회전속도)나 드럼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감지부(6)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감지부는(6) 상기 로터(55)의 회전 시 영구자석(551)의 N극과 S극이 상기 감지부(6)를 통과할 때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6)가 제공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량을 통해 드럼의 회전각도를 판단할 수 있고, 감지부(6)가 제공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주기를 통해 드럼의 회전수나 회전속도를 판단 가능할 것이다.
상기 세제공급부(8)는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바디 투입구(17)를 통해 캐비닛(1) 내부로 삽입되는 저장바디(82),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바디(8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바디(81)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바디(82)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상기 수용바디(81)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저장바디(82) 및 수용바디(81)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수용바디(81)의 전방면에는 상기 바디 투입구(17)에 연통하는 개방면 또는 관통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저장바디(82)는 상부면에 세제공급구(821) 및 리드(823)가 구비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리드(823)를 상기 저장바디(82)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세제공급구(821)를 개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리드(823)가 제거된 세제공급구(821)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82)로 액상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제공급부(8)는 상기 수용바디(81)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바디(8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관(8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바디(82)에는 상기 연결관(85)이 삽입되는 연결관 체결홀, 상기 연결관 체결홀에 구비되는 체결홀 밸브(8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 체결홀은 상기 저장바디(82)가 상기 수용바디(81)로 삽입될 때 상기 연결관(85)이 상기 저장바디(82)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 밸브(825)는 상기 연결관(85)이 상기 연결관 체결홀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관(85)에 의해 개방되는 체크밸브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제공급부(8)는 상기 연결관(85)을 통해 상기 저장바디(82) 내부의 액상세제를 저장바디(82)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제펌프(87), 상기 세제펌프(87)에서 배출되는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89), 상기 챔버(89)와 터브(2)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액상세제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공급유로(8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제펌프(87)는 유입구(873) 및 배출구(875)가 구비된 하우징(871),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873)로 유입되는 액상세제를 상기 배출구(875)로 이동시키는 임펠러(877),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펌프모터(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873)는 상기 연결관(85)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875)는 상기 챔버(89)에 연결된다. 상기 공급유로(88)는 상기 터브(2)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비(도 1 참고)될 수도 있고, 제1배수관(75)을 통해 터브(2)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877)의 회전 시 저장바디(82) 내부의 액상세제는 연결관(85), 하우징(871), 챔버(89), 및 공급유로(88)를 통해 상기 터브(2)에 공급될 것이다.
한편, 상기 세제펌프(88)가 작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저장바디(82) 내부의 액상세제가 상기 챔버(89)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85)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85)을 개폐하는 연결관 밸브(85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 밸브(851)는 액상세제가 상기 저장바디(82)에서 상기 챔버(89)로만 이동하게 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관(85)을 개폐하는 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챔버(89)로 액상세제가 유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챔버(89) 내부에는 세제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89)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한 상기 세제감지부는 어떤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양극이나 음극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제1금속판(891), 양극이나 음극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된 제2금속판(893), 상기 제1금속판과 상기 제2금속판이 형성하는 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895)로 구비된 세제감지부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금속판(891)과 상기 제2금속판(893)은 상기 챔버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판(891)은 일단은 상기 챔버(89)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챔버(89)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금속판(893) 역시 일단은 상기 챔버(89)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챔버(89)의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1금속판(891)과 제2금속판(893)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챔버(89)로 액상세제가 공급되면 액상세제에 의해 제1금속판(891)과 제2금속판(893)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고, 상기 제1금속판(891)과 제2금속판(893)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전류감지부(895)가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류감지부(895)가 회로의 전류를 감지한 때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면, 제어부는 챔버(89)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2도어(171)가 상기 바디 투입구(17)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폐쇄감지단계(S30), 상기 제2도어(171)가 상기 바디 투입구(17)를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펌프(87)를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세제펌프 제어단계(S40), 상기 챔버(89)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제감지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이다.
상기 폐쇄감지단계(S30)는 제어부가 상기 자력감지부(193)가 제공하는 전기전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바디 투입구(17)가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세제공급부(8)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저장바디(82)가 의류처리장치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즉, 의류처리장치에 상기 도어감지부(191, 193)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는 자력감지부(193)가 전송하는 신호에 근거하여 제2도어(171)가 바디 투입구(17)를 개방된 상태 및 상기 바디투입구가 닫힌 상태가 순차적으로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저장바디(82)가 수용바디(81)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171)가 바디 투입구(17)를 개방하는 과정과 폐쇄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 사용자가 저장바디(82)를 수용바디(81)에서 분리한 뒤 수용바디(81)에 재장착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저장바디(82)가 상기 수용바디(81)에 삽입되면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장착감지부(미도시)가 의류처리장치에 더 구비될 경우, 상기 저장바디(82)가 수용바디(81)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장착감지부를 통해 판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도어감지부(191, 193)를 통해 저장바디(82)가 수용바디(81)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저장바디(82)가 수용바디(81)에 장착되지 않았음에도 장착된 것으로 오인할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도어감지부(191, 193) 및 장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82)가 수용바디(81)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저장바디(82) 내부에 액상세제가 잔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 저장바디(82) 내부에 액상세제가 잔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저장바디(82) 내부에 액상세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직접 감지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액상세제의 점성(viscosity)에 의해 센서의 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수용바디(8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저장바디(82)에 센서를 설치하면, 상기 센서로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 및 센서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통신 수단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세제펌프 제어단계(S40) 및 세제감지단계(S50)는 상기 저장바디(82) 내부에 세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저장바디(82) 내부에 액상세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세제펌프 제어단계(S40)는 상기 세제펌프에 구비된 임펠러(877)를 상기 기준시간동안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저장바디(82)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챔버(89)로 이동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세제펌프 제어단계(S40)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챔버(89) 부피 이하의 액상세제가 상기 저장바디(82)에서 배출되게 하는 상기 세제펌프(87)의 작동시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2)에 세제가 공급되지 말아야 할 시기에 세제가 상기 터브(2)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세제감지단계(S50)는 상기 챔버(89)에 구비된 세제감지부(891, 893, 895)를 통해 상기 챔버(89)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저장바디(82)에 액상세제가 잔류한다면, 상기 세제펌프(87)의 작동 시 상기 저장바디(82) 내부의 액상세제는 연결관(85) 및 세제펌프의 하우징(871)을 거쳐 상기 챔버(89)로 유입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챔버로 유입된 액상세제는 두 금속판(891, 89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것이므로, 상기 전류감지부(895)는 두 금속판(891, 893) 및 전극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회로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게 될 것이고, 제어부는 상기 전류감지부(895)가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면 저장바디(82)에 액상세제가 저장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세제감지단계(S50)를 통해 상기 저장바디(82)에 세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세제펌프(87)를 작동시켜 터브(2)로 액상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S61, S63)를 실행한다. 다만, 상기 세제공급단계(S61, S63)는 상기 세제감지단계(S50) 이전에 상기 드럼(4)에 저장된 의류의 양(이하, 포량)을 판단하는 포량감지단계가 진행되었는지 여부(S60)에 따라 세제펌프(87)의 작동시간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드럼(4)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포량판단단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4)을 기 설정된 기준각도까지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51)에 공급된 전류량을 판단하는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6)를 통해 드럼(4)의 회전각도가 기준각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류량 측정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51)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제감지단계(S50) 이전에 포량감지단계가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공급단계는 포량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세제펌프를 작동(S63)시킨다. 상기 설정시간은 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된 세제펌프의 작동시간이다. 따라서, 포량이 많을수록 상기 설정시간은 증가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 세제감지단계(S50) 이전에 포량감지단계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공급단계는 포량에 상관없이 설정된 기준량(포량에 상관없이 동일한 양)의 액상세제를 상기 터브(2)에 공급(S61)한다.
한편, 상기 세제감지단계(S50)에서 상기 챔버(89)로 세제가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알림부(153)를 통해 세제의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단계(S51)를 실행한다. 상기 알림단계(S51)는 알림부에 구비된 표시장치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알림부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알림단계(S51)와 함께, 또는 상기 알림단계(S51)의 완료 후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제2도어(171)가 바디 투입구(17)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개방감지단계(S55)를 진행한다.
상기 개방감지단계(S55)를 통해 상기 제2도어(171)가 바디 투입구(17)를 개방한 것으로 감지되면, 본 발명은 상기 폐쇄감지단계(S30), 상기 세제펌프 제어단계(S40), 및 상기 세제감지단계(S50)를 반복한다.
그러나, 상기 폐쇄감지단계(S30), 상기 세제펌프 제어단계(S40), 및 상기 세제감지단계(S50)의 반복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상(S53)이거나, 상기 개방감지단계(S55)에서 상기 제2도어(171)가 바디 투입구(17)를 개방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본 발명은 상기 터브(2)로 액상세제를 공급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코스선택단계(S10),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포량감지단계(S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스선택단계(S10)는 상기 입력부(151)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을 제어부가 수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포량감지단계(S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부(6) 및 전류량 감지부를 통해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량감지단계(S20)의 완료 후 본 발명 제어방법은 폐쇄감지단계(S30), 세제펌프 제어단계(S40), 및 세제감지단계(S50)를 실행한다. 상기 폐쇄감지단계(S30), 세제펌프 제어단계(S40), 및 세제감지단계(S50)는 도 3의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각 단계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제감지단계(S50)를 통해 상기 챔버(89)로 액상세제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포량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세제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2)에 액상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S63)를 진행한다.
상기 세제공급단계(S63)의 진행 중 또는 상기 세제공급단계(S63)의 완료 후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급수단계(S70) 및 드럼회전단계(S80)를 실행한다.
상기 급수단계(S70)는 급수밸브(73)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로, 상기 급수단계(S70)에서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드럼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회전단계(S80)는 상기 스테이터(51)에 전류를 공급하여 드럼 내부에 저장된 의류와 터브에 저장된 물을 마찰시키는 단계(세탁, 또는 헹굼)이다. 상기 드럼회전단계(S80)에서 상기 드럼(4)은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으며, 회전과 제동을 반복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회전단계(S80)는 코스선택단계(S1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에 설정된 설정시간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시간 동안 실행(S90)된다.
한편, 상기 세제감지단계(S50)에서 상기 챔버(89)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세제보충을 요청하는 알림단계(S51)를 실행한다. 상기 알림단계(S51)는 도 3의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각 단계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알림단계(S51)와 함께, 또는 상기 알림단계(S51)의 완료 후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제2도어(171)가 바디 투입구(17)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개방감지단계(S55)를 진행한다.
상기 개방감지단계(S55)를 통해 상기 제2도어(171)가 바디 투입구(17)를 개방한 것으로 감지되면, 본 발명은 상기 폐쇄감지단계(S30), 상기 세제펌프 제어단계(S40), 및 상기 세제감지단계(S50)를 반복한다.
그러나, 상기 폐쇄감지단계(S30), 상기 세제펌프 제어단계(S40), 및 상기 세제감지단계(S50)의 반복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상(S53)이거나, 상기 개방감지단계(S55)에서 상기 제2도어(171)가 바디 투입구(17)를 개방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본 발명은 상기 급수단계(S70) 및 드럼회전단계(S80, S90)를 실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상세제를 자동으로 의류에 공급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저장바디가 캐비닛에 장착되었는지 여부,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액상세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51: 입력부
153: 알림부 17: 바디 투입구 171: 바디 투입구 도어
2: 터브 4: 드럼 5: 구동부
6: 감지부 71: 급수관 77: 배수펌프
8: 세제공급부 81: 수용바디 82: 저장바디
825: 체결홀 밸브 85: 연결관 851: 연결관 밸브
87: 세제펌프 871: 하우징 873: 유입구
875: 배출구 877: 임펠러 88: 공급유로
89: 챔버 891: 제1금속판 893: 제2금속판
895: 전류감지부

Claims (9)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바디 투입구;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바디 투입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으로 삽입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관; 액상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저장바디에 저장된 액상세제를 상기 챔버로 이동시키는 세제펌프; 상기 챔버와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공급유로;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폐쇄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폐쇄감지단계;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폐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펌프를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세제펌프 제어단계; 및
    상기 챔버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세제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챔버의 부피 이하의 액상세제가 상기 저장바디에서 배출되게 하는 상기 세제펌프의 작동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감지단계에서 상기 챔버로 액상세제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펌프를 작동시켜 액상세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감지단계에서 상기 챔버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알림부를 통해 세제보충을 요청하는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감지단계에서 상기 챔버로 액상세제가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알림부를 통해 세제보충을 요청하는 음성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의 완료 후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개방감지단계;
    상기 개방감지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방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의 완료 후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개방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폐쇄감지단계, 상기 세제펌프 제어단계, 및 상기 세제감지단계는 상기 개방감지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바디 투입구를 개방한 것으로 감지된 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감지단계, 상기 세제펌프 제어단계, 및 상기 세제감지단계의 반복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상이면,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세제감지단계 이전에 진행되는 포량감지단계; 및
    상기 세제감지단계에서 상기 챔버로 액상세제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제펌프를 작동시켜 액상세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단계에서 상기 세제펌프의 작동시간은 상기 포량감지단계에서 측정된 포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114937A 2017-09-08 2017-09-0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52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37A KR102352399B1 (ko) 2017-09-08 2017-09-0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37A KR102352399B1 (ko) 2017-09-08 2017-09-0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36A KR20190028036A (ko) 2019-03-18
KR102352399B1 true KR102352399B1 (ko) 2022-01-18

Family

ID=6594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937A KR102352399B1 (ko) 2017-09-08 2017-09-0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7522A (zh) * 2021-02-09 2023-07-18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795A (ja) 1999-12-02 2001-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液剤自動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522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세탁 제어 방법
KR101993223B1 (ko) * 2012-10-10 201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795A (ja) 1999-12-02 2001-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液剤自動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036A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054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871274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11984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ing agent thereof
KR20170019052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66980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460294A (zh) 洗衣机及控制其的方法
JP2017526450A (ja) 衣類処理装置
JP2016202311A (ja) 洗濯機
KR2015001018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52399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63809B1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KR20180048501A (ko) 세탁기
KR20130139118A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505672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7203388A (zh) 衣物处理装置
KR2021012029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46190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JP2013034544A (ja) 洗濯機
KR20130122152A (ko) 세탁장치 및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052696A (ko) 세탁기 및 그 탈수 제어방법
KR2018008996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