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770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770A
KR20210106770A KR1020200021698A KR20200021698A KR20210106770A KR 20210106770 A KR20210106770 A KR 20210106770A KR 1020200021698 A KR1020200021698 A KR 1020200021698A KR 20200021698 A KR20200021698 A KR 20200021698A KR 20210106770 A KR20210106770 A KR 20210106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unit
power circuit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670B1 (ko
Inventor
손진환
오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1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670B1/ko
Priority to US17/180,246 priority patent/US11952702B2/en
Priority to DE102021201592.1A priority patent/DE102021201592A1/de
Publication of KR2021010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770A/ko
Priority to KR1020230092941A priority patent/KR2023011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8Control of the energy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부; 및 제1부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상부패널이 구비된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수용부; 및 제2부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가 구비된 제2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 상기 제1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된 제1장치 입력부;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전원에 연결하는 제1장치 제1전력회로; 상기 전원과 상기 제1부하 제어부를 연결하며, 제1제어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장치 제2전력회로;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제1구동부를 연결하며, 제1부하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장치 제3전력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되도록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모두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및 상기 건조기나 세탁기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위치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선반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것이 있다. 상기 선반에 건조기나 세탁기가 선반의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쉽게 옮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별도의 선반을 통해서만 건조기나 세탁기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의 상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는데, 상기 선반의 부피가 커 제작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선반은 세탁기나 건조기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위치 가능한 공간만을 제공할 뿐이므로, 상기 선반은 두 장치의 디자인적 일체감을 형성하는 수단이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에 구비된 제어부와 세탁기에 구비된 제어부가 서로 독립적인 회로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하나의 장치를 제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기와 건조기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이 완료된 때 다른 하나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과정,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과정을 직접 진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두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체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두 처리장치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두 처리장치의 디자인적 일체감을 형성하는 체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대기 전력의 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두 처리장치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처리장치를 제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부; 및 제1부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상부패널이 구비된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수용부; 및 제2부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가 구비된 제2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 상기 제1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된 제1장치 입력부;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전원에 연결하는 제1장치 제1전력회로; 상기 전원과 상기 제1부하 제어부를 연결하며, 제1제어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장치 제2전력회로;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제1구동부를 연결하며, 제1부하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장치 제3전력회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되도록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상기 제1부하 제어부는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1부하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처리장치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2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제2디스플레이; 상기 제2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된 제2장치 입력부; 상기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장치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제2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2장치 입력부를 전원에 연결하는 제2장치 제1전력회로; 상기 전원과 상기 제2부하 제어부를 연결하며, 제2제어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2장치 제2전력회로; 상기 전원과 상기 제2구동부를 연결하며, 제2부하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2장치 제3전력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장치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되도록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상기 제2부하 제어부는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2부하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통신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되도록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되도록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제1입력부는 상기 제1구동부에 전력 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장치 제1입력부는 상기 제2구동부에 전력 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 상기 제1장치 입력부, 상기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장치 입력부는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1장치 제2입력부;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를 통과하는 빛을 방출하여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하는 제1장치 램프;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2장치 제2입력부;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를 통과하는 빛을 방출하여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하는 제2장치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장치 램프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 및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점등되며, 상기 제2장치 램프는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 및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점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는 폐쇄되었지만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가 개방된 경우, 상기 제1장치 램프는 점등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는 폐쇄되었지만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는 개방된 경우, 상기 제2장치 램프는 점등되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1수용부에 연통하는 제1투입구가 구비된 제1전방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2수용부에 연통하는 제2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전방패널이 위치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구비된 제2전방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1전방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전방패널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컨트롤패널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패널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제1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1부하 제어부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 상기 제1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된 제1장치 입력부; 제1캐비닛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2드럼, 상기 제2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 및 상기 열교환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제2구동부 및 상기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제2부하 제어부가 구비된 제2처리장치; 상기 제2처리장치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2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된 제2장치 입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원에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장치 제1전력회로를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받는 제1대기모드 단계; 전원에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장치 제1전력회로를 통해, 상기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장치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받는 제2대기모드 단계;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제1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제1부하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상기 제1부하 제어부가 제1장치 제3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열교환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2장치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제2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제2부하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상기 제2부하 제어부가 제2장치 제3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제2구동부 및 상기 배수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가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가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작동시키는 코스실행단계; 상기 코스실행단계의 완료 후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단계;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부하 제어부는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응축수 배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대기모드 단계는 상기 응축수 배수단계의 완료 후 재개되고, 상기 제1대기모드 단계는 상기 응축수 배수단계의 완료 후, 또는 상기 코스실행단계의 완료 후 재개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두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체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두 처리장치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두 처리장치의 디자인적 일체감을 형성하는 체결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대기 전력의 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두 처리장치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의 처리장치를 제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체결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관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체결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컨트롤패널, 부하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제1처리장치(T),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제2처리장치(L)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T)는 제1캐비닛(1),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부(2), 상기 제1수용부(2)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캐비닛(1)은 제1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 제1전방패널), 제1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12, 제1후방패널), 제1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널(제1상부패널), 및 상기 제2처리장치(L)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패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제1수용부(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투입구(111)는 제1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5, 제1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2)는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21, 제1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21)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1)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 바디(211)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부(22), 및 상기 드럼 바디(211)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지지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22)는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바디(211)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드럼 투입구(225), 상기 제1고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1)의 전방면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22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는 상기 제1드럼 투입구(225) 및 상기 제1지지바디(221)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221)는 상기 제1고정바디에서 상기 드럼 바디(21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바디(221)의 지름은 상기 제1드럼 투입구(225)의 지름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22)는 연결바디(223)를 통해 상기 제1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223)는 상기 제1투입구(111)를 감싸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드럼 투입구(225)는 상기 연결바디(223)를 관통하여 상기 제1투입구(111)에 연결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223)에는 상기 공급부(4)에 연통하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연결바디(2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에는 필터(227)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배출구 및 필터(227)를 통해 상기 공급부(4)로 이동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227)에 의해 걸러질 것이다.
상기 후방지지부(24)는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 상기 제2고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1)의 후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24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24)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4)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 바디(211)로 안내하는 공급구(243)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211)의 원주면에는 의류를 교반을 위한 리프터(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13)는 드럼 바디(211)의 원주면에서 드럼 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보드(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1)는 제1구동부(3)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1구동부(3)는 상기 제1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모터(31), 상기 제1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 상기 풀리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 바디(21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4)는 덕트(41, 46) 및 상기 덕트에 구비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21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덕트(41), 및 상기 공급구(243)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21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4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41)에는 팬(43, 45)이 구비되고, 상기 열교환부(47)는 상기 공급덕트(46)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은 배출덕트(4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펠러(43),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팬 모터(4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46)의 일단은 상기 공급구(243)에 연결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캐비닛(1) 내부 또는 제1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46)의 자유단이 제1캐비닛(1) 내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후방패널(12)에는 관통홀(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L)는 상기 제1캐비닛(1)의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캐비닛(5),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수용부(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5)은 제2처리장치(L)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51, 제2전방패널), 상기 제2처리장치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패널(52, 제2후방패널), 및 제2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캐비닛(1)이 지지되는 상부패널(54, 제2상부패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방패널(51)에는 투입구(제2투입구, 5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투입구(511)는 도어(55, 제2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L)가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수용부(6)는 상기 제2캐비닛(5)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61),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64, 제2드럼)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61)는 터브 지지부(612)를 통해 상기 제2캐비닛(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61)의 전방면에는 상기 제2투입구(5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6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터브 투입구(611)는 가스켓(613)을 통해 상기 제2투입구(5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브(61)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6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를 통해 제2캐비닛(5)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61)를 연결하는 급수관(614) 및 상기 급수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61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터브(61) 내부의 물을 배수펌프(618)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617), 상기 배수펌프(618)에서 배출되는 물을 제2캐비닛(5)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619)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64)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의 전방면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611)를 통해 상기 제2투입구(511)에 연통하는 제2드럼 투입구(641)가 구비되고, 상기 제2드럼의 원주면과 후방면 등에는 제2드럼 내부를 상기 터브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6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럼(64)은 제2구동부(7)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7)는 상기 터브(6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7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72), 및 상기 터브의 후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로터(72)와 제2드럼(64)의 후방면을 연결하는 회전축(7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는 체결부(8)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8)는 상기 제1후방패널(12)과 제2후방패널(52)을 연결하여 상기 제1처리장치(T)를 제2처리장치(L)에 고정하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8)는 일단은 상기 제1후방패널(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후방패널(52)에 고정되어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을 연결하는 체결바디(81, 84), 및 상기 체결바디에 구비되어 운반자의 손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핸들(843, 84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는 상기 제1후방패널(12)에 고정되는 제1체결바디(81), 상기 제2후방패널(52)에 고정되는 제2체결바디(8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바디(81)는 상기 제1후방패널(12)에 접촉하는 제1접촉면(811), 상기 제2상부패널(54)에 접촉하는 제2접촉면(81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T)의 깊이가 상기 제2처리장치(L)의 깊이보다 짧게 설정될 경우, 상기 제1체결바디(81)에는 상기 제1후방패널(12)과 상기 제2후방패널(52)을 연결하는 경사면(8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방패널(11)에서 제1후방패널(12)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2전방패널(51)에서 상기 제2후방패널(52)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될 경우, 상기 경사면(813)은 상기 두 처리장치 사이에 형성된 단차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후방패널(12)과 상기 제2후방패널(52)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813)은 상기 제1후방패널(12)에서 상기 제2후방패널(52)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경사면(813)이 평면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체결바디(84)는 일단은 상기 제1체결바디(8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후방패널(52)에 고정된 보드(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813)은 상기 제1접촉면(811)의 상단과 상기 제2체결바디(84)의 상단을 연결하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8)는 상기 제1체결바디(81)를 관통하는 제1체결홀(814), 상기 제2체결바디(84)를 관통하는 제2체결홀(841), 상기 제1체결홀(814)에 삽입되어 상기 제1후방패널(12)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볼트 등), 및 상기 제2체결홀(841)에 삽입되어 상기 제2후방패널(52)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볼트 등)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체결바디(81, 84)는 두 처리장치(T, L)의 후방패널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므로, 두 처리장치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 있을 때 의류처리장치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00)가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8)가 의류처리장치의 측면으로 노출되더라도 상기 경사면(813)을 통해 디자인적 일체감을 줄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체결바디(81, 84)에 구비되되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1핸들(843), 및 제2핸들(84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핸들(843)과 제2핸들(845)은 상기 체결바디(81, 84)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체결바디(81, 84)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설치자나 사용자는 상기 핸들을 통해 의류처리장치의 설치나 위치 변경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후방패널(12)에는 상기 공급덕트(46)가 상기 제1후방패널(12)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덕트 수용부(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수용부(13)는 상기 제1후방패널(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급덕트(46)가 수용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다만, 상기 덕트 수용부(13)가 제1후방패널(12)에서 돌출된 간격이 너무 길어지면, 의류처리장치(100)를 설치할 때 요구되는 공간의 부피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 수용부(13)가 제1후방패널(12)에서 돌출된 거리는 상기 제1후방패널(12)에서 상기 제2후방패널(52)까지의 거리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덕트 수용부(13)는 상기 제1후방패널(12)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상기 제2후방패널(52)을 통과하는 수직선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후방패널(1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배출덕트(41)의 자유단은 상기 덕트 수용부(13)와 상기 제1체결바디(8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41)의 자유단이 상기 제1체결바디(81)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체결바디(81)에는 상기 배출덕트(41)의 자유단이 제1체결바디(81)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홈(81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섭방지홈(815)은 상기 제1체결바디(81)의 상단이 상기 배출덕트(41)의 자유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역시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에 구비되는 공급부(4)의 구조를 제외하면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공급부(4)는 상기 제1드럼(21)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41, 46, 48),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는 열교환부(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배출구에 연결된 배출덕트(41), 상기 공급구(243)에 연결된 공급덕트(46), 상기 배출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4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팬의 임펠러(43)는 상기 연결덕트(48)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구비된 열교환부(47)는 상기 연결덕트(48)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471), 및 상기 연결덕트(48)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47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472)를 포함한다. 상기 흡열부(471)와 상기 발열부(472)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75)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덕트(41, 46, 48)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473)에 의해 상기 냉매관(475)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475)에는 상기 발열부(472)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4)가 구비된다.
상기 흡열부(471)는 상기 배출덕트(4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발열부(472)는 상기 압축기(473)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흡열부(471)를 통과할 때 상기 흡열부(471)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48)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흡열부(47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제1처리장치(T)에는 집수바디(481)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바디(481)는 흡열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 가능한 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집수바디(481)가 상기 연결덕트(48)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471, 472)가 상기 집수바디(481)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집수바디(481)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48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바디(481)에는 수집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센서(4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481)에 저장된 물은 응축수 배수관(485)을 통해 상기 제1처리장치(T)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응축수 배수관(485)은 일단은 상기 집수바디(481)에 고정되고, 타단은 의류처리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에 구비된 하수구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 배수관(485)는 일단은 상기 집수바디(48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배수관(617)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응축수 배수관(485)은 상기 제1처리장치(T)의 베이스 패널과 제2처리장치의 상부패널(54)을 관통하여 상기 집수바디(481)와 제1배수관(617)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처리장치(L)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장치로 정의되었지만, 상기 제2처리장치(L)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L)의 구조는 도 1이나 도 3에 도시된 제1처리장치(T)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각 처리장치(T, L)의 제어에 필요한 입력부 및 표시부가 구비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T)에는 제1장치 입력부(922) 및 제1디스플레이(9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처리장치(L)에는 제2장치 입력부(962) 및 제2디스플레이(961)가 구비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921)는 상기 제1처리장치(T)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수단이고, 상기 제1장치 입력부(922)는 상기 제1처리장치(T)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디스플레이(961)는 상기 제2처리장치(L)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2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수단이고, 상기 제2장치 입력부(962)는 상기 제2처리장치(L)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두 처리장치가 상하로 배치된 의류처리장치(100)의 디자인적 일체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장치 입력부(922), 제1디스플레이(921), 제2장치 입력부(962) 및 제2디스플레이(961)는 하나의 컨트롤패널(9)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9)은 상부면은 제1처리장치의 전방면(제1전방패널)에 고정되고, 하부면은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전방면(제2전방패널)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9)은 상기 제1처리장치(T)를 제2처리장치(L)에 고정하는 체결부의 역할(제1전방패널과 제2전방패널을 체결하는 역할)도 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컨트롤패널(9)은 상기 제1전방패널(11)과 제2전방패널(51)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3은 상기 컨트롤패널(9)의 상기 제1전방패널(11)의 하단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제1전방패널(11)의 하단에는 상기 제1전방패널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형성된 패널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패널(9)이 상기 패널수용홈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9)은 상기 제1전방패널(11)과 함께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패널(9)이 제2전방패널(51)에 구비될 경우, 상기 컨트롤패널(9)은 상기 제2전방패널(51)의 상단에 구비된 패널수용홈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921)와 상기 제1장치 입력부(922)는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961) 및 제2장치 입력부(962)는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에 의해 제어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입력부를 제어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각각의 장치가 서로 제어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됨을 의미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는 통신회로(98)를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입력부(922)는 제1장치 제1입력부(922a), 제1장치 제2입력부(922b), 및 제1장치 제3입력부(922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제1입력부(922a)는 상기 제1처리장치(T)에 전력 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 구비되고,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922b)는 제1처리장치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 구비되며, 상기 제1장치 제3입력부(922c)는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 또는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치 입력부(962) 역시 제2장치 제1입력부(962a), 제2장치 제2입력부(962b), 및 제2장치 제3입력부(962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치 제1입력부(962a)는 상기 제2처리장치(L)에 전력 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 구비되고,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962b)는 제2처리장치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 구비되며, 상기 제2장치 제3입력부(962c)는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 또는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패널(9)에는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922b), 제1장치 제3입력부(922c)를 통과하는 빛을 방출하여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 및 제1장치 제3입력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제1장치 램프,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962b) 및 제2장치 제3입력부(962c)를 통과하는 빛을 방출하여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 및 제2장치 제3입력부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게 하는 제2장치 램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922b), 제1장치 제3입력부(922c)가 상기 컨트롤패널(9)에 구비된 버튼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장치 램프는 상기 컨트롤패널(9)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922b)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장치 제1램프, 상기 컨트롤패널(9)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장치 제3입력부(922c)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장치 제2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제1램프와 제1장치 제2램프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의 가장자리, 상기 제1장치 제3입력부의 가장자리를 통해 컨트롤패널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922c)와 제1장치 제3입력부(922c)에 사용자가 각 버튼의 기능을 인식하게 하는 문자나 기호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장치 제1램프와 제1장치 제2램프에서 방출된 빛은 각 입력부에 구비된 문자나 기호를 통해 컨트롤패널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962b), 제2장치 제3입력부(962c)가 상기 컨트롤패널(9)에 구비된 버튼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제2장치 램프는 상기 컨트롤패널(9)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962b)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장치 제1램프, 상기 컨트롤패널(9)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장치 제3입력부(962c)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장치 제2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치 제1램프와 제2장치 제2램프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의 가장자리, 상기 제2장치 제3입력부의 가장자리를 통해 컨트롤패널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962c)와 제2장치 제3입력부(962c)에 사용자가 각 버튼의 기능을 인식하게 하는 문자나 기호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2장치 제1램프와 제2장치 제2램프에서 방출된 빛은 각 입력부에 구비된 문자나 기호를 통해 컨트롤패널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T)에 구비된 제1모터(31), 팬 모터(45), 열교환부(47), 및 수위센서(49)는 제1처리장치의 구동부하(제1구동부하, B11)이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921), 제1장치 제2입력부(922b), 제1장치 제3입력부(922c), 및 제1장치 램프는 제1처리장치의 인터페이스 부하(제1인터페이스 부하, B12)이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부하와 상기 제1인터페이스 부하는 제1처리장치의 부하(제1부하부)이다.
상기 제1구동부하(B11)에 공급되는 전력 및 작동에 요구되는 제어명령(구동제어명령)은 제1부하 제어부(91)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인터페이스 부하(B12)는 전력의 공급여부는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제어명령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로부터 전송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T)는 제1전력선(931)을 통해 전원(99)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전력선(931)으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은 제1변환부(93)를 통해 직류전력으로 변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는 상기 제1변환부(93)에 연결된 제1장치 제1전력회로(932)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는 제1장치 제2전력회로(93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1구동부하(B11)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 부하(B12)는 제1장치 제3전력회로(937)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935)에는 제1제어부 스위치(936)가 구비되고,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937)에는 제1부하부 스위치(9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936)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935)의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제어부 스위치 회로(934)를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가 폐쇄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936)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935)를 폐쇄한다.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936)가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935)를 폐쇄하면,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는 전력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 회로(934)를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가 회로의 개방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936)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935)를 개방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부하부 스위치(938)는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937)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937)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제1부하부 스위치 회로(911)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부하부 스위치(938)가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937)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부하부 스위치 회로(911)는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936)을 통해 제1제어부 스위치 회로(934)에 연결된 회로로 구비(도 5)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부하부 스위치(938)와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를 연결하는 회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 및 상기 제1장치 제1입력부(922a)는 상기 제1장치 제1전력회로(932)를 통해 항상 전원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1장치 제1입력부(922a)를 통해 제어명령(전력의 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는 제1제어부 스위치 회로(934)를 통해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936)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935)가 폐쇄되면(제1부하 제어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는 상기 제1부하부 스위치 회로(911)를 통해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937)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1부하부 스위치(938)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램프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935) 및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가 폐쇄(937)되면 점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935)를 폐쇄했지만, 상기 제1부하부 제어부(91)가 제1장치 제3전력회로(937)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1장치 램프는 점등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제1처리장치(T)는 제1부하부(B11, B12)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와 제1장치 제1입력부(922a)에만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대기전력의 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제2처리장치(L)에 구비된 제2구동부(7), 급수밸브(616), 및 배수펌프(618)는 제2처리장치의 구동부하(제2구동부하, B21)이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961), 제2장치 제2입력부(962b), 제2장치 제3입력부(962c), 및 제2장치 램프는 제2처리장치의 인터페이스 부하(제2인터페이스 부하, B22)이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부하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 부하는 제2처리장치의 부하(제2부하부)이다.
상기 제2구동부하(B21)에 공급되는 전력 및 작동에 요구되는 구동제어명령은 제2부하 제어부(94)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인터페이스 부하(B22)는 전력의 공급여부는 상기 제2부하 제어부(94)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제어명령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로부터 전송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L)는 제2전력선(971)을 통해 상기 전원(99)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전력선(971)으로 공급되는 교류전력은 제2변환부(97)를 통해 직류전력으로 변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T)의 전력선(931)과 제2처리장치(L)의 전력선(971)이 구분된 것은, 두 전력선 중 어느 하나의 전력선이 파손되거나 두 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상황에서도 나머지 하나의 장치는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는 상기 제2변환부(97)에 연결된 제2장치 제1전력회로(972)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2부하 제어부(94)는 제2장치 제2전력회로(975)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2구동부하(B21) 및 상기 제2인터페이스 부하(B22)는 제2장치 제3전력회로(977)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975)에는 제2제어부 스위치(976)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977)에는 제2부하부 스위치(9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976)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975)의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제어부 스위치 회로(974)를 통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가 폐쇄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976)는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975)를 폐쇄한다.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976)가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975)를 폐쇄하면, 상기 제2부하 제어부(94)는 전력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상기 제2부하부 스위치(978)는 상기 제2부하 제어부(94)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977)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가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977)를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제2부하부 스위치 회로(941)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부하부 스위치(978)가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977)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부하부 스위치 회로(941)는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976)을 통해 제2제어부 스위치 회로(974)에 연결된 회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부하부 스위치(978)와 상기 제2부하 제어부(94)를 연결하는 회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 및 상기 제2장치 제1입력부(962a)는 상기 제2장치 제1전력회로(972)를 통해 항상 전원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2장치 제1입력부(962a)를 통해 제어명령(전력의 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는 제2제어부 스위치 회로(974)를 통해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976)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976)를 통해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975)가 폐쇄되면, 상기 제2부하 제어부(94)는 상기 제2부하부 스위치 회로(941)를 통해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977)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2부하부 스위치(978)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장치 램프는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975) 및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977)가 폐쇄되면 점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975)는 폐쇄되었지만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977)는 개방된 경우, 상기 제2장치 램프는 점등되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제2처리장치(L)는 제2부하부(B21, B22)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와 제2장치 제1입력부(962a)에만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대기전력의 소비량을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는 상기 통신회로(98)를 통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4)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935)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제1처리장치(T)는 대기모드 상태(제1대기모드 단계,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제1장치 제1입력부에만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에 있고, 제2처리장치(L)는 작동 중인데,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가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에 제어명령(wake-up 신호)을 전송한 경우이다. 상기 제1처리장치(T)는 대기모드 상태이고 상기 제2처리장치(L)는 작동 중인 경우, 상기 제1장치 램프는 점등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제2장치 램프는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가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1장치 램프는 점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는 상기 통신회로(98)를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975)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L)는 대기모드 상태이고 상기 제1처리장치(T)는 작동 중인 경우, 상기 제2장치 램프는 점등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제1장치 램프는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가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2장치 램프는 점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장치의 작동이 필요한 상황이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하나의 장치가 다른 하나의 장치의 작동을 개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장치 제1입력부(922a) 및 제2장치 제1입력부(962a)를 통해 상기 제1처리장치(T)와 제2처리장치(L)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는 각각 제1대기모드 단계(S10) 및 제2대기모드 단계(S20)를 진행한다.
상기 제1대기모드 단계(S10)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와 제1장치 제1입력부(922a)에만 전력이 공급되는 단계이고, 상기 제2대기모드 단계(S20)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와 제2장치 제1입력부(962a)에만 전력이 공급되는 단계이다. 상기 제1대기모드 단계 및 상기 제2대기모드 단계에서 상기 제1장치 램프와 제2장치 램프는 점등되지 않는다.
상기 제1대기모드 단계(S10)의 진행 중 상기 제1장치 제1입력부(922a)를 통해 전력의 공급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제1부하부(B11, B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전력공급단계(S11)를 진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장치 램프는 점등되지만, 제2장치 램프는 점등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력공급단계(S11)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가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 회로(934)를 제어하여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가 상기 제1부하부 스위치(938)을 제어하여 제1부하부(B11, B12)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제1장치 제2입력부(922b) 및 제1장치 제3입력부(922c)를 통해 제1처리장치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의 선택 및 실행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 (코스의 선택명령 및 코스의 실행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기 설정된 기준시간동안 사용자가 코스의 선택명령 및 실행명령을 입력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방법은 코스선택명령과 실행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할 수도 있고, 상기 제1대기모드 단계(S10)를 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922b) 및 제3입력부(922c)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선택된 코스를 실행하는 코스실행단계(S15)를 진행한다. 상기 코스실행단계(S15)는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가 제1부하부(B11, B12)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를 실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처리장치(T)가 건조기로 구비될 경우, 상기 코스실행단계(S15)는 제1모터(21)를 제어하여 제1드럼(21)을 회전시키는 단계, 압축기(473), 압력조절기(474), 및 팬 모터(45)를 제어하여 상기 제1드럼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스실행단계(S15)는 기 설정된 설정시간동안 진행(S17)된다.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부하부(B11, B12)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코스실행단계를 종료한다(S19). 상기 코스종료단계(S19)는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가 상기 제1부하부 스위치(938)를 통해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937)를 개방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스종료단계(S19)가 완료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92)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단계(S30)를 진행한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가 통신회로(98)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어방법은 제2부하부(B21, B2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전력공급단계(S21)를 진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장치 램프는 점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력공급단계(S21)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96)가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 회로(974)를 제어하여 상기 제2부하 제어부(94)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2부하 제어부(94)가 상기 제2부하부 스위치(978)을 제어하여 제2부하부(B21, B22)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부하부에 전력이 공급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배수펌프(618)를 작동시키는 단계(S23)를 진행한다. 상기 배수펌프 작동단계(S23, 응축수 배수단계)는 제1처리장치(T)의 작동 중 발생된 응축수를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수하는 과정이다.
상기 배수펌프 작동단계(S23)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구비된 집수바디(481)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 이하가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S25). 상기 집수바디(481)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하인지 여부는 상기 수위센서(49)에서 전송되는 수위데이터를 상기 제1부하 제어부(91)가 기준수위와 비교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집수바디(481)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하이면, 상기 제어방법은 배수펌프의 작동을 종료하는 단계(S27)를 진행한 뒤 제2대기모드 단계(S20)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이 종료된 때(S27), 또는 상기 코스종료단계(S19)의 완료 후 상기 제1대기모드 단계(S10)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T: 제1처리장치 L: 제2처리장치
1: 제1캐비닛 11: 제1전방패널 12: 제1후방패널
13: 덕트 수용부 111: 제1투입구 121: 관통홀
15: 제1도어 2: 제1수용부 21: 제1드럼
211: 드럼 바디 22: 전방지지부 225: 제1드럼 투입구
226: 배출구 227: 필터 24: 후방지지부
243: 공급구 3: 제1구동부 4: 공급부
41: 배출덕트 45: 팬 모터 46: 공급덕트
48: 연결덕트 481: 집수바디 485: 응축수 배수관
47: 열교환부 471: 흡열부 472: 발열부
473: 압축기 474: 압력조절기 475: 냉매관
49: 수위센서 5: 제2캐비닛 51: 제2전방패널
52: 제2후방패널 54: 상부패널: 511: 제2투입구
55: 제2도어 6: 제2수용부 61: 터브
611: 터브 투입구 614: 급수관 616: 급수밸브
617: 제1배수관 618: 배수펌프 619: 제2배수관
64: 제2드럼 641: 제2드럼 투입구 642: 드럼 관통홀
7: 제2구동부 8: 체결부 81: 제1체결바디
811: 제1접촉면 812: 제2접촉면 813: 경사면
814: 제1체결홀 815: 간섭방지홈 84: 제2체결바디
841: 제2체결홀 843: 제1핸들 845: 제2핸들
9: 컨트롤패널 91: 제1부하 제어부
911: 제1부하부 스위치 회로 92: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
921: 제1디스플레이 922: 제1장치 입력부 922a: 제1장치 제1입력부
922b: 제1장치 제2입력부 922c: 제1장치 제3입력부
93: 제1변환부 931: 제1전력선 932: 제1장치 제1전력회로
934: 제1제어부 스위치 회로 935: 제1장치 제2전력회로
936: 제1제어부 스위치 937: 제1장치 제3전력회로
938: 제1부하부 스위치 94: 제2부하 제어부
941: 제2부하부 스위치 회로 96: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
961: 제2디스플레이 962: 제2장치 입력부 962a: 제2장치 제1입력부
962b: 제2장치 제2입력부 962c: 제2장치 제3입력부
97: 제2변환부 971: 제2전력선 972: 제2장치 제1전력회로
974: 제2제어부 스위치 회로 975: 제2장치 제2전력회로
976: 제2제어부 스위치 977: 제2장치 제3전력회로
978: 제2부하부 스위치 98: 통신회로 99: 전원

Claims (18)

  1.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수용부; 및 제1부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상부패널이 구비된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수용부; 및 제2부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수용부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가 구비된 제2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
    상기 제1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된 제1장치 입력부;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전원에 연결하는 제1장치 제1전력회로;
    상기 전원과 상기 제1부하 제어부를 연결하며, 제1제어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장치 제2전력회로; 및
    상기 전원과 상기 제1구동부를 연결하며, 제1부하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1장치 제3전력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되도록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상기 제1부하 제어부는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1부하부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2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제2디스플레이;
    상기 제2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된 제2장치 입력부;
    상기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장치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제2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2장치 입력부를 전원에 연결하는 제2장치 제1전력회로;
    상기 전원과 상기 제2부하 제어부를 연결하며, 제2제어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2장치 제2전력회로;
    상기 전원과 상기 제2구동부를 연결하며, 제2부하부 스위치에 의해 개폐되는 제2장치 제3전력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장치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되도록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상기 제2부하 제어부는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가 폐쇄되도록 상기 제2부하부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되도록 상기 제2제어부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되도록 상기 제1제어부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 입력부는 상기 제1구동부에 전력 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장치 입력부는 상기 제2구동부에 전력 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과 상기 제2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 상기 제1장치 입력부, 상기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장치 입력부는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1장치 제2입력부;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를 통과하는 빛을 방출하여 상기 제1장치 제2입력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하는 제1장치 램프;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제2장치 제2입력부;
    상기 컨트롤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를 통과하는 빛을 방출하여 상기 제2장치 제2입력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하는 제2장치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장치 램프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 및 상기 제1장치 제3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점등되며,
    상기 제2장치 램프는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 및 상기 제2장치 제3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1수용부에 연통하는 제1투입구가 구비된 제1전방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2수용부에 연통하는 제2투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전방패널이 위치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구비된 제2전방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패널은 상기 제1전방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패널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컨트롤패널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패널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드럼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1부하 제어부가 구비된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1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 상기 제1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된 제1장치 입력부; 제1캐비닛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제2드럼, 상기 제2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 및 상기 열교환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및 상기 제2구동부 및 상기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제2부하 제어부가 구비된 제2처리장치; 상기 제2처리장치에 입력 가능한 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2처리장치에 입력된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구비된 제2장치 입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에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장치 제1전력회로를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받는 제1대기모드 단계;
    전원에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장치 제1전력회로를 통해, 상기 제2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장치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받는 제2대기모드 단계;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제1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제1부하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상기 제1부하 제어부가 제1장치 제3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열교환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치 입력부를 통해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제2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제2부하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가 폐쇄되면, 상기 제2부하 제어부가 제2장치 제3전력회로를 폐쇄하여 상기 제2구동부 및 상기 배수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가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가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장치 제2전력회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열교환부를 작동시키는 코스실행단계;
    상기 코스실행단계의 완료 후 상기 통신회로를 통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단계;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제어부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부하 제어부는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응축수 배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기모드 단계는 상기 응축수 배수단계의 완료 후 재개되고,
    상기 제1대기모드 단계는 상기 응축수 배수단계의 완료 후, 또는 상기 코스실행단계의 완료 후 재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21698A 2020-02-21 2020-02-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6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98A KR102560670B1 (ko) 2020-02-21 2020-02-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7/180,246 US11952702B2 (en) 2020-02-21 2021-02-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E102021201592.1A DE102021201592A1 (de) 2020-02-21 2021-02-19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und Steuerverfahren dafür
KR1020230092941A KR20230113703A (ko) 2020-02-21 2023-07-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98A KR102560670B1 (ko) 2020-02-21 2020-02-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941A Division KR20230113703A (ko) 2020-02-21 2023-07-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70A true KR20210106770A (ko) 2021-08-31
KR102560670B1 KR102560670B1 (ko) 2023-07-27

Family

ID=771762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698A KR102560670B1 (ko) 2020-02-21 2020-02-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30092941A KR20230113703A (ko) 2020-02-21 2023-07-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941A KR20230113703A (ko) 2020-02-21 2023-07-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52702B2 (ko)
KR (2) KR102560670B1 (ko)
DE (1) DE10202120159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459B1 (ko) * 2005-11-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세탁 건조기
KR20110019082A (ko) * 2009-08-19 201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1433A (ko) * 2016-08-22 201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20180072254A (ko) * 2016-12-21 2018-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65370C (en) * 1995-02-01 2001-12-11 Mark A. Cracraft Selective back lighting of appliance control panel
US20030115682A1 (en) * 2001-12-26 2003-06-26 Gardner Douglas W. Auto-programming of a dryer based on the washer cycle
US20090025432A1 (en) * 2006-01-13 2009-01-29 Seong Kyu Kim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459B1 (ko) * 2005-11-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세탁 건조기
KR20110019082A (ko) * 2009-08-19 201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1433A (ko) * 2016-08-22 2018-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20180072254A (ko) * 2016-12-21 2018-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2139A1 (en) 2021-08-26
KR102560670B1 (ko) 2023-07-27
DE102021201592A1 (de) 2021-08-26
KR20230113703A (ko) 2023-08-01
US11952702B2 (en) 202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41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06241367B2 (en) A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59449B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7520145B2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80053163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21012202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03981674A (zh) 立式洗衣烘干机
KR2021012202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60670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1030144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4020955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3889337B1 (en)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14024346A1 (ja) 洗濯乾燥機
JP2014083275A (ja) 洗濯乾燥機
EP3296452B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1030145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2759634A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18010537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22023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1030145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3013703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40052166A (ko)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CN114622379A (zh)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2014009578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72038A (ko) 소형 의류 건조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