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682A - 부분 부출 직조 직물 - Google Patents

부분 부출 직조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682A
KR20180070682A KR1020187014379A KR20187014379A KR20180070682A KR 20180070682 A KR20180070682 A KR 20180070682A KR 1020187014379 A KR1020187014379 A KR 1020187014379A KR 20187014379 A KR20187014379 A KR 20187014379A KR 20180070682 A KR20180070682 A KR 20180070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yarn
yarns
fabric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0185B1 (ko
Inventor
스티븐 엘 베딩필드
크리스토퍼 지 더햄
Original Assignee
밀리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리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밀리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80070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1/00Lappet- or swivel-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43Protective fabrics for elongated members, i.e. sleev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8Fabrics having an electronic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4Sack- or bag-lik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03D15/12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9Ducts; Conduits; Hollow tubes for air blown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직물은 제 1 직조 구역(210) 및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을 포함하는 교번 패턴을 포함한다. 직물은 경사 그룹 내에 배치된 복수의 경사(100)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직조 구역(210)에서, 위사(200)의 픽은 반복되는 제 1 위사 패턴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 부출 구역(220)에서, 부분 부출 직조 구역 내부의 위사(200)의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및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되는 제 2 위사 패턴을 포함한다. 부분 부출 구역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의 경사 그룹 내부의 일부 경사 만이 적어도 일부의 위사 패턴 반복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위사 위로 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한다. 직물을 포함하는 내관 구조물이 또한 기술된다.

Description

부분 부출 직조 직물
본 발명은 부분 부출(float, 浮出) 직조 구역을 갖는 직물(woven fabrics)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분 부출 직조 구역을 갖는 직물을 사용하는 내관(innerduct)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통신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은 종종 상당수의 가닥이 지하에 제공되고, 심지어 수 마일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당 업계에서는 지중에 케이블을 매설해서 지상의 영역이 케이블 및 그 각각의 지지 장치로 밀집되지 않게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케이블을 지하에 위치시킴으로써, 날씨 및 기타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황으로부터 더 안전하게 보호된다.
또한, 케이블 업계에서는 지중에의 설치 중에 케이블을 더 확실하게 보호하기 위해 케이블을 도관 내에 위치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배관 등의 가닥으로 형성되곤 하는 도관이 지중에 놓이고, 그 후에 로프가 블로잉(blowing; 공기압 포설) 또는 로딩(rodding; 막대로 넣기)에 의해 도관 내에 위치된다. 결국, 로프는 통신 케이블들 중 하나에 연결된다. 도관의 일 단부로부터 로프를 견인함으로써, 케이블이 도관을 통해 제위치로 당겨진다. 도관 내부에 위치되면, 케이블은 날씨, 물 등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도관이 자리를 잡고 나서, 같은 장소에서 제 2 통신 케이블을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비용 및 시간의 관점에서는, 새로운 도관 가닥을 놓기 보다는 기존의 도관 내부의 사각 공간(dead space)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미 제 1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는 도관 내로 제 2 케이블을 단순히 삽입하는 것은 어렵다고 밝혀져 있다. 이미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는 도관 내로 로프가 블로잉되거나 또는 "잡아당겨지는(snaked)" 경우(또는 미리-놓인 케이블이 있는 도관을 통해 제 2 케이블이 "잡아당겨지는" 경우)에는, 로프(또는 케이블)가 제 1 케이블에 의해 방해를 받곤 한다. 이러한 경우에, 로프(또는 제 2 케이블)는 제 1 케이블과 뒤엉키거나 휘감겨서 케이블의 손상을 야기하게 된다. 내관 구조물이 직물로 제조되고 있지만, 개선된 직물 내관 구조물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직물은 제 1 직조 구역 및 부분 부출 직조 구역을 포함하는 교번 패턴을 포함한다. 직물은, 각각의 그룹이 2개 내지 10개의 경사(warp yarn)를 포함하는 경사 그룹들 내에 배치된 복수의 경사, 및 복수의 위사 픽(picks of weft yarns)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직조 구역에서, 위사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적인 제 1 위사 패턴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 부출 구역에서, 부분 부출 직조 구역 내부의 위사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적인 제 2 위사 패턴을 포함한다. 적어도 일부의 경사 그룹 내부의 일부 경사 만이 적어도 일부의 위사 패턴 반복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위사 위로 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한다. 부출하는 것들 이외의, 비-부출(non-floating) 경사는 교번 위사 픽의 위로 및 아래로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케이블용 내관은, 케이블을 둘러싸는 가요성의 길이방향 구획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트립-형상의 전술한 직조 섬유 직물 가닥을 포함한다.
장치는 도관 및 도관 내부에 위치된 내관을 포함하고, 내관은 케이블을 둘러싸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채널을 규정하기 위해 중심에 위치된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접히며 길이방향 에지 부분을 따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형상의 전술한 직조 섬유 재료 패널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직물의 상이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직물을 사용하는 내관 구조물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직물은 임의의 적합한 최종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내관 구조물에 적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직물(10)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직물(10)은 제 1 직조 구역(210) 및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의 교번 패턴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물은 제 1 직조 구역(210) 및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의 교번 패턴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물(10)은 제 1 직조 구역(210),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 및 제 2 직조 구역을 포함하는 패턴을 포함한다. 제 2 직조 구역은 제 1 직조 구역(210) 및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과는 다른 직조 패턴 및/또는 원사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물은 직물(10)의 경사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경사(100)를 갖는다. 직물은, 또한 일반적으로 직물의 경사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위사(200)를 포함한다. 위사(200)는 경사(100)와 교착직조(interwoven)되고, 경사(100)는 위사(200)의 위로 및 아래로 미리 정해진 교차 패턴으로 연장된다.
직물(10)의 원사는 임의의 적절한 원사일 수 있다. 직물을 이루는 원사들 각각의 유형, 사이즈, 및 비교의 선택은 직물의 최종 제품에 기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의 "원사(yarn)"는 모노필라멘트 세장형 몸체(monofilament elongated body), 멀티필라멘트 세장형 몸체(multifilament elongated body), 리본(ribbon), 스트립(strip), 얀(yarn), 테이프(tape), 섬유(fiber) 등을 포함한다. 직물(10)은 일 유형의 원사 또는 상기한 것들의 복수의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원사는 방적 스테이플 원사,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단일 성분, 2-성분, 또는 다중-성분과 같이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형, 이형단면(multi-lobal),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테이프), 및 타원과 같이 임의의 적절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섬유(100)는 단일의 복수 원사 또는 단일 유형의 원사로 형성될 수 있거나(예컨대, 직물은 폴리아미드 섬유와 같은 합성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혼방(blend)을 포함하는 원사로 단독으로 형성될 수 있음), 또는 섬유는 몇몇 복수 원사 또는 상이한 유형들의 원사로 형성될 수 있다(예컨대, 직물은 셀룰로오스 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제 1 복수 원사 및 고유 내화 섬유를 포함하는 제 2 복수 원사로 형성될 수 있음). 원사는 셀룰로오스 섬유(예컨대, 코튼, 레이온, 린넨, 삼베, 대마,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그 조합, 혼합, 또는 혼방), 폴리에스테르 섬유(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그 혼방), 폴리아미드 섬유(예컨대, 나일론 6 섬유, 나일론 6,6 섬유, 나일론 4,6 섬유, 및 나일론 12 섬유), 폴리비닐 알콜 섬유, 탄성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공중합체(SPANDEX®내화성 메타-아라미드(NOMEX®및 그 조합, 혼합, 또는 혼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본 발명의 섬유의 특정 실시형태는 고유 내화 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용어인, "고유 내화 섬유(inherent flame resistant fibers)"는 그것을 구성하는 재료의 화학 조성으로 인해 추가적인 난연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내화성을 나타내는 합성 섬유를 의미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유 내화 섬유는 폴리옥사디아졸 섬유, 폴리설폰아미드 섬유, 폴리(벤조이미다졸) 섬유,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섬유, 메타-아라미드 섬유, 파라-아라미드 섬유, 폴리피리도비스이미다졸 섬유, 폴리벤질티아졸 섬유, 폴리벤질옥사졸 섬유,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중합체 섬유, 페놀-포름알데히드 중합체 섬유, 산화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 폴리아미드-이미드 섬유 및 그 조합, 혼합, 또는 혼방과 같이 임의의 적절한 고유 내화 섬유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유 내화 섬유는 폴리옥사디아졸 섬유, 폴리설폰아미드 섬유, 폴리(벤조이미다졸) 섬유,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섬유, 메타-아라미드 섬유, 파라-아라미드 섬유, 및 그 조합, 혼합, 또는 혼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는 모노필라멘트 원사이다. 직물에서의 크림프(crimp)가 적기 때문에(멀티필라멘트 원사에 비해) 모노필라멘트 원사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노필라멘트 원사는 내관이 도관을 통해 견인될 때 적은 신도(elongation)를 갖는다. 예시로서, 경사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및 나일론 및 아라미드, 예컨대 Kevlar®와 같은 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45% 이하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의 피크 인장 하중(peak tensile load)에서 피크 신도를 갖는 원사가 바람직하다. 2-성분 및 다중-성분 원사를 포함하는 모노필라멘트 원사는 내관 분야에서 특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들 재료는 직물에 원하는 성질을 부여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PET 모노필라멘트 원사가 가성비 균형이 양호하기 때문에, 모든 경사가 PET 모노필라멘트 원사이다.
피크 인장 하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신도를 갖는 경사를 선택함으로써, 도관 내에 내관을 설치하는 동안 내관 구조물의 길이방향 신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내관의 "집군(bunching)"이 회피된다. 부가적으로, 직조 프로세스 동안 경사 크림프를 감소시킴으로써, 내관에 혼입된 섬유 직물의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잠재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조 도중에 경사에서 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경사 크림프가 감소되어, 직물에서의 원사 크림프 및 원사 테이크-업에 대한 ASTM D3883 - 표준 테스트 방법(ASTM D3883 - Standard Test Method for Yarn Crimp and Yarn Take-Up in Woven Fabrics)으로 측정했을 때, 5%보다 적은 경사 크림프를 달성할 수 있다. 직물, 특히 평직물에서 경사 크림프를 감소시키면, 위사의 크림프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내관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 직물의 부분의 길이방향 에지를 따라 이음매 강도(seam strength)를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50 내지 1,200 데니어(denier),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750 데니어를 갖는 경사가 사용될 수 있다. 엔드 번수(end count)(경사에서의 인치 당 원사의 수)는 통상적으로 인치 당 25개 내지 75개의 엔드, 바람직하게는 인치 당 35개 내지 65개의 엔드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00 내지 750 데니어 모노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 경사의 인치 당 35개 내지 65개의 엔드를 갖는 평직 섬유 직물이 제공된다.
위사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및 나일론 및 아라미드, 예컨대 Kevlar®와 같은 폴리아미드, 및 그 혼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원사일 수 있다. 45% 이하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의 피크 인장 하중에서 피크 신도를 갖는 원사가 바람직하다.
용어 "픽(pick)", "픽들(picks)", "인치 당 픽(picks per inch)" 및 "ppi"는 (a) 직조 프로세스 동안 형성되는 셰드(shed; 북 길)를 통해 운반되며 경사와 교착되는 하나의 위사; 및 (b) 직조 프로세스 동안 셰드를 통해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운반되며 경사와 교착되는 2개 이상의 위사를 지칭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직조 섬유 직물의 인치 당 픽을 결정하기 위해, 다중-삽입된 위사들은 단일 픽으로서 계수된다.
용어 "다중 삽입(multiple insertion)" 및 "이중 삽입(double insertion)"은 (a) 룸(loom; 직기)의 셰드에 함께 삽입된 다수의 위사; (b) 룸의 셰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동안, 개별적으로 삽입된 다수의 위사; 및 (c) 룸의 셰드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즉 위사들의 삽입간에 25% 이하의 경사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개별적으로 삽입된 다수의 위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사의 픽의 적어도 일부는 다중-삽입된다.
제 1 직조 구역(210)의 직물은 임의의 적절한 직조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제 1 직조 구역(210) 내의 경사(100) 및 위사(200)는, 직물(10)의 전체 폭에 걸쳐 반복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위사가 경사 위를 지나고 나서 인접하는 경사의 아래를 지나는, 평직으로 되어 있다. 적절한 평직은, 성형 중에 섬유 재료의 경사, 위사, 또는 경사와 위사 둘 모두에 추가 원사 또는 보강 원사를 규칙적인 간격으로 혼입함으로써 제조된 립스톱(ripstop) 직조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직은 직물에 안정성과 구조를 부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 1 직조 구역이 지나치게 좁거나 완전히 배제되었을 경우에는, 직물은 너무 성기게 될 수 있으며(경사와 위사가 서로에 대하여 너무 쉽게 움직임) 내관 구조물에 적합하지 않게 된다.
다른 적절한 직조 패턴이 제 1 직조 구역(210)의 직조 패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직조(woven)" 및 "교착직조(interwoven)"는 상호-맞물림 성형 스트립을 포함하는 임의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지,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위사(200)는 하나 이상의 인접하는 경사 아래의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2개 이상의 인접하는 경사(100) 위를 지날 수 있고, 이로써 소위 능직(twill weave)이 형성된다. 적절한 능직은, 2/1, 3/1, 3/2, 4/1, 1/2, 1/3, 또는 1/4 능직과 같이, 경부 능직(warp-faced twill weave, 經浮綾織) 및 위부 능직(fill-faced twill weave, 緯浮綾織)을 모두 포함한다. 직조는, 예를 들어 사틴(satin), 사자직(basket-weave), 포플린(poplin), 자카드(jacquard), 및 이지직(crepe weave) 섬유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은 모두 동일한 원사 구성(동일한 유형의 원사, 구성, 및 재료)인 경사(10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구성의 용이성을 위해 이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은 모두 동일한 원사 구성(동일한 유형의 원사, 구성, 및 재료)인 위사(200)의 픽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구성의 용이성을 위해 이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은 상이한 위사(200)들의 반복 패턴을 포함한다. 이는 상이한 유형의 원사들의 상이한 속성들의 이점을 취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 내의 위사(200)는 모두 모노필라멘트 원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 내의 위사(200)는 모두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 내의 위사(200)의 픽은 모노필라멘트 및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모두 포함한다.
위사 방향에 있어서, 다양한 여러 원사를 사용하는 것은 최종 직물 및 구조의 물리적 특성을 조정하는 데 바람직하다. 모노필라멘트 원사는 멀티필라멘트 원사보다 뻣뻣하다(데니어 및 재료를 동일하게 유지). 멀티필라멘트 원사가 더 유연하다. 모노필라멘트 위사 및 멀티필라멘트 위사를 모두 사용하면, 유연성과 뻣뻣함 사이에 균형이 잡힌다. 약간의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혼입하면(멀티필라멘트 원사가 덜 뻣뻣하기 때문), 내관에서의 개방력, 즉 개개의 셀(cell)을 통해 케이블을 미는 데 필요한 힘의 크기가 낮아진다. 다중 또는 이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는 보다 큰 데니어를 갖고, 그에 따라 케이블이 직물에 있는 융기를 "타기(rides)" 때문에 바람직하다. 케이블과 접촉하는 직물의 표면적이 적기 때문에, 마찰이 감소하고 케이블을 견인하는 데 필요한 견인 장력이 일반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체 직물(10) 내에서의 멀티필라멘트 픽에 대한 모노필라멘트 픽의 비율(단일 및 다중-삽입을 모두 포함)은 1:6 내지 4:1 사이이며, 1:1 내지 1:4 사이가 더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 내에서의 멀티필라멘트 픽에 대한 모노필라멘트 픽의 비율(단일 및 다중-삽입을 모두 포함)은 1:6 내지 4:1 사이이며, 1:1 내지 1:4 사이가 더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분 부출 구역(220) 내에서의 멀티필라멘트 픽에 대한 모노필라멘트 픽의 비율(단일 및 다중-삽입을 모두 포함)은 1:6 내지 4:1 사이이며, 1:1 내지 1:4 사이가 더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에서의 위사(200)의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및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 패턴을 포함한다. 해당 패턴은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또는 다중-삽입된 모노필라멘트 원사와 같은 추가적인 원사를 또한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에서의 위사(200)의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및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 패턴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에서의 위사(200)의 픽은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의 교번 패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에서의 위사(200)의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교번 패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에서의 위사(200)의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포함하는 반복 패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에서의 위사(200)의 픽은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하나의 이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포함하는 반복 패턴을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제 1 직조 구역(210)에서의 위사(200)의 픽은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251), 하나의 이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252), 및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253)의 반복 패턴을 갖는다(다만, 이들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순서로 될 수도 있음). 도 1에서의 패턴은, 모노필라멘트 원사와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균형 및 단일-삽입된 원사와 다중-삽입된 원사의 균형이 특정한 최종 용도에 대하여 최적화되고 안정성, 비용, 및 견인 장력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사의 패턴은 전체 직물에 걸쳐 동일하다. 이는 제조의 용이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사의 패턴이 직물(10)의 구역마다 달라진다.
제 1 직조 구역은 단일 반복으로부터 10회 이상 반복까지 임의의 적절한 반복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사의 패턴의 반복 횟수는 2회 내지 6회이다. 이 범위는 구역들(210, 220) 사이의 양호한 균형 및 직물에서의 양호한 안정성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사 픽 패턴의 반복 횟수는 직물의 모든 제 1 구역(210)에서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사 픽 패턴의 반복 횟수는 직물(10)의 적어도 일부 제 1 구역(210)에서는 다르다. 도 1의 직물은 각각의 제 1 구역(210)에서 위사 패턴의 2회 반복이 있는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2의 직물은 각각의 제 1 구역(210)에서 위사 패턴의 4회 반복이 있는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및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포함하는 반복 픽 패턴(위사)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는 이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이다.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및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외에도, 패턴에 대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원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은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의 교번 패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교번 패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포함하는 반복 패턴을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는,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251), 하나의 이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252), 및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253)의 반복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위사의 픽의 이 조합 및 패턴은 안정성, 비용, 및 견인 장력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직물(10)의 경사(100)는 원사들의 그룹(110)들에 배치되며, 각 그룹은 적어도 2개의 원사를, 또한 바람직하게는 10개보다 적은 원사를 포함한다. 이들 원사 그룹(110)은 덜 중요하며, 직조 패턴이 단순 직조(예컨대, 평직 또는 능직)인 도 1에서의 직물(10)의 제 1 직조 구역(210)에서는 용이하게 구별될 수 없다. 그룹(110)은, 각각의 경사 그룹(110)으로부터의 일부 경사(100)가 위사(200)의 일부 픽 위로 "부출(float)"하기 때문에, 부분 부출 직조 구역(200)에서 더 용이하게 확인되고 구별된다. 각각의 그룹(110)에서의 경사의 개수는 규칙적인 패턴으로 또는 무작위로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사(100)의 모든 그룹(110)은 동일한 개수의 경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그룹은 2개 내지 5개의 경사를, 더 바람직하게는 3개의 경사를 포함한다.
경사 그룹(110)에 대해서는, 적어도 일부 그룹 내부의 경사들 중 일부(그룹 내부의 경사들의 총 수보다 적은 수를 의미함)만이 구역(220)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위사 반복 패턴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위사 위로 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한다. 이는, 3개의 경사로 이루어진 그룹의 경우에는, 1개 또는 2개의 경사가 위사 반복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사가 부출하면, 해당 픽(들) 도중에 더 많은 경사가 직물의 동일 측으로 된다. 이로 인해 해당 직물에는 작은 융기가 형성되고, 케이블이 이 융기를 타게 되어서 내관 내로의 견인시에 마찰 항력이 줄어드는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그룹 내에서, 적어도 1개(및 그룹 내의 원사의 총 수보다 적은 수)의 원사가 구역(220) 내부의 각각의 위사 반복 패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위사 위로 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경사 그룹마다 3개의 원사가 존재한다. 경사들 중 하나(3개의 원사 중 중간사)는 각각의 위사 반복 패턴에서 다중-삽입된 위사를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한다.
경사 그룹 내부의 비-부출 경사에 대하여, 비-부출 경사는 위사들의 교번 픽들의 위로 및 아래로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평직을 형성한다. 이는 부분 부출 구역(220)에서 원사(경사 및 위사)를 제자리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은 단일 반복으로부터 10회 이상 반복까지 임의의 적절한 반복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사의 패턴의 반복 횟수는 2회 내지 6회이다. 이 범위는 구역들(210, 220) 사이의 양호한 균형 및 직물에서의 양호한 안정성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사 픽 패턴의 반복 횟수는 직물의 모든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에서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사 픽 패턴의 반복 횟수는 직물(10)의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의 적어도 일부에서는 다르다. 도 1 및 도 2의 직물은 부분 부출 직조 구역(220) 각각에서 위사 패턴의 2회 반복이 있는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제 1 직조 구역(210)과 부분 부출 구역(220)(및 임의의 다른 선택적인 구역) 사이의 균형은 위사 방향에 있어서 직물을 얼마나 성기게 또는 촘촘하게 할 지, 그리고 유연하게 또는 뻣뻣하게 할 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분 부출 구역에서의 픽에 대한 제 1 직조 구역(210)에서의 픽의 비율은 약 1:4 내지 4:1 사이이고, 1:2 내지 2:1이 더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분 부출 구역에서의 픽에 대한 제 1 직조 구역(210)에서의 픽의 비율은 1:1이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음).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분 부출 구역에서의 픽에 대한 제 1 직조 구역(210)에서의 픽의 비율은 2:1이다(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
직물은 직조 구역들의 반복 패턴에 부가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물은 직조 구역들의 반복 패턴의 시작 부분, 끝 부분, 또는 중간 부분에 있을 수 있는 하나의 부가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이 제 2 직조 구역이라고 하는 부가적인 구역을 포함했다면, 반복 패턴은 다음의 것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 1 직조 구역, 제 2 직조 구역, 부분 부출 직조 구역...
...제 1 직조 구역, 부분 부출 직조 구역, 제 2 직조 구역...
...제 2 직조 구역, 제 1 직조 구역, 부분 부출 직조 구역...
직물은 구역들로 이루어진 패턴에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역들은 직조 구성의 유형 또는 구역들 내부에 사용되는 원사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물은 UV 안정제를 포함한다. 안정제는 원사에 배합되거나 또는 달리 형성될 수 있거나, 원사의 코팅으로 될 수 있거나, 또는 전체 직물의 코팅으로 될 수 있다. UV 안정제를 지하의 파이프로 들어가는 제품(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관의 경우)에 배치하는 것이 다소 직관적이지는 않지만, 설치하기 전에는, 내관 뭉치가 설치 전 1년까지의 동안에는 비바람과 태양에 노출되는 외부에 놓일 수 있음이 밝혀져 있다. UV 안정제는, 설치되어서 UV 원으로부터 보호되기까지는, 직물 및 내관의 물리적 특성을 보호하도록 기능한다. UV 안정제는 광중합개시를 억제하는 물질(예컨대, UV 흡수제(UVA) 및 여기 상태 억제제(excited state quenchers)), 및 후속 산화 프로세스를 억제하는 물질(예컨대, 라디칼 제거제(radical scavengers) 및 알킬 히드로퍼옥사이드 분해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이산화 티타늄, 및 히드로벤조페논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UV 안정제가 사용될 수 있다.
내관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케이블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길이방향 구획 또는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트립-형상의 직물 가닥으로 구성된다. 스트립-형상의 직물 가닥은 경사가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위사가 내관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스트립-형상의 직물 가닥은 단일의 내관 구조물에 하나,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구획을 형성하도록 함께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획은 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내관은, 길게 접히는, 즉 위사가 접히는, 단일의 스트립-형상의 직물 가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내관은, 특정 디자인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게 접힐 수 있는, 다수의 스트립-형상의 직물 가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어 "구성되는(configured)"은 하나 이상의 직물 가닥의 공간 배치 뿐만 아니라, 원하는 공간 방위로 직물 가닥(들)을 부착하는 수단을 모두 포함한다. 내관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두 개의 이음매를 따라 하나 이상의 스트립-형상의 직물 가닥을 봉합해서 원하는 방위로 편리하게 부착될 수 있다. 내관을 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직물 가닥을 부착하는 부가적인 방법은,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직물을 스테이플링(stapling) 또는 리벳팅(riveting)하거나, 초음파 용접하거나, 또는 직물을 핫 멜트(hot melt) 또는 솔벤트계 접착제로 체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직물에는, 또한 용융될 수 있고 냉각이 허용되는 비교적 저온의 용융 섬유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로써 내관이 융합되는 한편, 구조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유용한 특정 내관 구성의 예시는, 미국 특허 제6,304,696 B1호 및 제6,571,833 B1호, 그리고 미국 특허 출원 제 2008/0054236 A1호 및 제 2008/0264669 A1호를 포함하여, 다양한 참조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당 구성은 2가지 범주, 즉 눈물-방울(tear-drop) 구성 및 공유-벽(shared-wall) 구성으로 나뉜다.
케이블을 둘러싸는 2개의 구획을 가진 눈물-방울 구성을 갖는 내관의 예시는 도 3에 도시되며 500으로 식별된다. 직물의 2개의 스트립-형상의 가닥은 2개의 개별 구획을 생성하도록 접힌다. 내관은, 절첩부를 고정하는 공통 이음매 뿐만 아니라, 이음매 강도를 향상시키고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아래로 접히는, 직물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절단 에지로 구성된다. 눈물-방울 형상의 내관은 체결된 에지의 맞은 편에, 직물을 접어서 형성되는 로브(lobe)를 갖는다. 내관(500)은 도관 내에 설치된다(도시되지 않음). 내관(500)은 또한, 구획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견인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일의 직물을 여러 번 접어서 눈물-방울 형상의 구획을 형성할 수 있다.
도관의 직경에 따라서는, 단일의 내관(500)이 도관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내관(500)과 같은 다수의 내관이 도관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인치 직경의 도관에는 상기와 같은 내관 3개가 삽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광섬유 케이블의 삽입을 위해 9개의 채널이 제공될 것으로 생각된다. 예시로서, 도관이 4인치의 내경을 갖고 스트립-형상의 직물(10) 가닥(내관(40)의 중심에서)의 너비가 3인치이면, 가장 좁은 벽의 폭은 도관의 내경보다 작다. 이는, 내관이 도관을 통해 견인되고 있을 때, 내관(500)의 도관과의 마찰 결합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다.
내관 구조물을 통해 광섬유, 동축 케이블, 또는 기타 케이블을 당기기 위해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한 견인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줄은, 바람직하게는 도관 내부에 내관을 설치하기 전에, 내관의 구획 내부에 위치된다. 예시로서, 견인줄은 촘촘하게 직조된, 비교적 편평한 재료 스트립일 수 있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꼬아 만든 로프(twisted rope) 또는 다-겹 코드(multi-ply cord)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관과 견인줄은 각각 주어진 인장 하중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장률 값을 갖는다. 내관의 신도가 실질적으로 견인줄의 신도와 다르면, 설치 도중에 이들이 함께 도관을 통해 견인될 때 이들 구조물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뒤처질 수 있다. 견인줄은, 약 400 파운드와 약 3,000 파운드 사이의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촘촘하게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셀은 직물(10)로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물(10)을 가늘게 자르고, 에지들을 접착제, 가열, 초음파, 또는 그 밖의 수단을 이용해서 밀봉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물(10)은 셀 구성으로 좁게 직조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물(10) 자체를 여러 번에 걸쳐 접어서 좁은 스트립을 형성하고, 접착제, 스티치, 초음파, 또는 그 밖의 수단을 이용해서 고정하여 두껍고 강한 견인 테이프를 형성한다. 각각의 개별 셀은 빈 셀일 수 있거나, 또는 견인 테이프, 로프, 또는 그 밖의 방법과 같은 견인 매체 부가물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관은 케이블, 전선 등을 보호하고 안내하기 위한 강성 또는 반-강성 파이프 또는 덕트이다. 용어 "케이블(cable)"은 광섬유 케이블, 전선, 동축 케이블 및 3축 케이블 뿐만 아니라, 전기 및/또는 전자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배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시로서, 도관은 금속, 열가소성 중합체와 같은 합성 중합체, 점토 또는 콘크리트로 제조될 수 있다. 도관을 통한 통로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실상 임의의 도관 시스템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내경으로서 산출되는 내관의 통로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당업자는 내관의 폭, 각각의 내관에서의 구획의 개수, 및 개별 내관의 개수를 선택해서 도관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추가로 이해될 수 있다.
경사 인장 강도는 섬유 직물의 파단력 및 신도에 대한 ASTM D5035 표준 테스트 방법(스트립 테스트 방법)(ASTM D5035 Standard Test Method for Breaking Force and Elongation of Textile Fabrics (Strip Test Method))에 따라 측정되었다.
위사 인장 강도는 섬유 직물의 파단력 및 신도에 대한 ASTM D5035 표준 테스트 방법(스트립 테스트 방법)(ASTM D5035 Standard Test Method for Breaking Force and Elongation of Textile Fabrics (Strip Test Method))에 따라 측정되었다.
위사 인장 강도는 섬유 직물의 파단력 및 신도에 대한 ASTM D5034 표준 테스트 방법(그래브 테스트 방법)(ASTM D5035 Standard Test Method for Breaking Force and Elongation of Textile Fabrics (Grab Test Method))에 따라 측정되었다.
견인 장력은, 2개의 90도 만곡 벤드(sweep bend)가 있는, 225 미터의 거리에 걸친 50 mm ID PVC 도관 내에 위치된, 2개의 구획이 있는 눈물-방울 구성 및 44 mm의 폭을 갖는 내관(MaxCell®style 4418-2에 대응)에 2개의 18mm OD 광섬유 케이블을 설치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하중 셀(digital load cell)로 측정한 파운드 힘(pounds force)에 따라 측정되었다.
이음매 강도는 직조 의류 직물의 봉합된 이음매에서의 손상에 대한 ASTM D1683 표준 테스트 방법(ASTM D1683 Standard Test Method for Failure in Sewn Seams of Woven Apparel Fabrics)에 의해 측정되었다.
실시예 1
하기의 특성을 갖는 섬유 직물(도 1에 도시됨)이 도르니에(Dornier) HTVS 4/S 220 cm 기계에서 직조되었다:
경사: 520d 데니어 PET 모노필라멘트 원사의 인치 당 48 엔드;
위사: 3 픽 반복으로 인치 당 18 픽(총 디자인 반복은 18)
(1) 350 데니어 나일론 6 모노필라멘트 원사;
(2) 681 데니어 텍스처드 PET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이중 삽입(2겹 300 데니어 / 68 필라멘트);
(3) 681 데니어 텍스처드 PET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단일 삽입(2겹 300 데니어 / 68 필라멘트).
제 1 직조 구역은 2회 풀 세트의 픽 반복을 포함하는 평직이었다. 경사는 내부 원사가 부출하고 외부 2개의 원사가 평직 스티치를 형성하는 3개의 그룹으로 조직되었다. 부출하는 원사는 픽 반복 패턴의 각각의 반복에서 이중-삽입된 원사(위로부터 #2) 위로 부출했다. 부분 부출 구역은 2회 풀 세트의 픽 반복을 포함했다. 직물은 265 lbs/in 의 경사 인장 및 192 lb의 4x8 위사 인열 강도를 가졌다.
실시예 2
섬유 직물(도 2에 도시됨)은, 제 1 직조가 4회 풀 세트의 평직 구역 반복을 포함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되었다.
실시예 3
하기의 특성을 갖는 섬유 직물이 도르니에(Dornier) HTVS 4/S 220 cm 기계에서 직조되었다. 멀티필라멘트 폴리에스테르 위사가 이중이었다. 직물은, 마감처리되고, 가늘게 잘리고 나서, 밀리켄 & 컴퍼니(Milliken & Company)의 MaxCell®style 4418-2에 대응하는, 2개의 구획이 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눈물-방울 구성의 내관 구조물로 봉합되었다.
경사: 520d 데니어 PET 모노필라멘트 원사의 인치 당 48 엔드;
위사: 6 픽 반복으로 인치 당 18 픽, (1) 520 데니어 나일론 6 모노필라멘트 원사; (2) 681 데니어 텍스처드 PET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이중 삽입(2겹 300 데니어 / 68 필라멘트); (3) 681 데니어 텍스처드 PET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이중 삽입(2겹 300 데니어 / 68 필라멘트); (4) 350 데니어 나일론 6 모노필라멘트 원사; (5) 681 데니어 텍스처드 PET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이중 삽입(2겹 300 데니어/68 필라멘트); 및 (6) 681 데니어 텍스처드 PET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이중 삽입(2겹 300 데니어/68 필라멘트). 직물의 중량은 평방 야드 당 5.8 oz 였다. 이 직물은 밀리켄 & 컴퍼니(Milliken & Company)로부터 MAXCELL™4G 로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테스트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각각의 섬유 직물은 실질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비율을 갖는 눌물-방울 형상의 내관으로 제조되었다. 각각의 직물로 제조된 내관의 성능은 전술한 방법들에 따라 테스트되었고,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견인 장력은 다음과 같으며, 초기 케이블 1은 견인 개시시(t=0)의 견인 장력이고 최대 케이블 1은 제 1 케이블을 내관 구조물 내로 견인하는 동안의 최대 견인 장력이다. 초기 케이블 2는 내관 구조물 내의 제 2 셀의 견인 개시시(t=0)의 견인 장력이고 최대 케이블 2는 제 2 케이블을 내관 구조물 내로 견인하는 동안의 최대 견인 장력이다.
표 1
Figure pct00001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교착의 결과로서 크림프 요인으로 인해 실시예 3에 비해 개선된 신도를 갖는다(부분 부출 구역은 평직에 비해 크림프 형성이 적다). 직물을 늘리지 않는 단단한 견인 및 견인 테이프에 대한 "잠금(lock down)"에 있어서는 신도가 낮은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의 부출 영역은 이론적으로는 케이블이 직물과 덜 접촉해서 마찰이 적은 융기 효과를 생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 인해, 케이블에 전달되는 낮은 마찰 특성에 기인하여 견인 장력이 감소되어야 한다.
위사 방향으로 520 데니어 모노필라멘트를 350 데니어 모노필라멘트 원사로 대체하기 때문에, 실시예 3에 비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위사 인장 강도가 낮다. 부가적으로, 실시예 3과 비교했을 때, 1의 멀티필라멘트 원사가 또한 배제되었다. 내관 구조물의 셀을 통해 케이블을 견인하는 데 필요한 견인 장력을 낮추는 경향 때문에, 인장 강도가 낮을수록 바람직할 수 있다.
공보, 특허 출원, 및 특허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모든 참증은, 이로써, 마치 각각의 참증이 개별적으로 및 특별하게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지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전부 기술된 것처럼, 동일한 범위로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본원의 청구대상을 설명하는 문맥에서(특히, 하기의 청구항들의 문맥에서) 단수형 및 유사한 지시대상의 사용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또는 문맥상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구성하는", "갖는", "포함하는", 및 "함유하는"은 달리 주지하지 않는 한 개방형 용어(즉, "~을 포함하지만,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값들의 범위를 언급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해당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별개의 값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속기 방법으로 기능하게 하려는 것일 뿐이며, 각각의 별개의 값은 마치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인용된 것처럼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또는 문맥상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임의의 및 모든 예시, 또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예시적인 표현(예컨대, "~와 같은")의 사용은 단지 본원의 청구대상을 더욱 잘 나타내려는 것일 뿐이며, 달리 주장되지 않는 한 청구대상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에서의 어떠한 표현도,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요소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청구대상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의 청구대상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청구된 청구대상을 수행하기 위해 발명자들에게 알려진 최선의 모드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이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변형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을 숙독할 경우 당업자에게는 분명해질 수 있다. 발명자들은 당업자가 상기와 같은 변형을 적절히 채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또한 발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청구 대상이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는 다르게 실시되는 것을 의도한다. 따라서, 본 개시물은, 적용 가능한 법률이 허용하는 한, 여기에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인용된 청구대상의 모든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또는 문맥상 명확하게 모순되지 않는 한, 모든 가능한 그 변형에서의 전술한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은 본 개시물에 포함된다.

Claims (22)

  1. 제 1 직조 구역 및 부분 부출 직조 구역을 포함하는 교번 패턴을 포함하는 직물로서,
    상기 직물은:
    각각의 그룹이 2개 내지 10개의 경사를 포함하는 경사 그룹들 내로 배치된 복수의 경사; 및
    복수의 위사 픽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직조 구역에서, 상기 위사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적인 제 1 위사 패턴을 포함하고,
    각각의 부분 부출 구역에서, 상기 부분 부출 직조 구역 내부의 상기 위사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적인 제 2 위사 패턴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경사 그룹 내부의 일부 경사 만이 적어도 일부의 위사 패턴 반복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위사 위로 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하고, 상기 부출하는 경사 이외의, 비-부출 경사는 교번 위사 픽의 위로 및 아래로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 구역 내부에서, 각각의 경사는 평직을 형성하는 교번 위사 픽의 위로 및 아래로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서의 상기 구역들의 반복 패턴은 제 1 직조 구역 및 부분 부출 직조 구역의 교번 패턴으로 구성되는
    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들의 반복 패턴은 제 1 직조 구역, 부분 부출 직조 구역, 및 제 2 직조 구역을 포함하는
    직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 구역 및 상기 부분 부출 구역 양쪽 모두에서 상기 위사는 전체 직물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이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직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 구역 및 상기 부분 부출 구역 양쪽 모두에서 상기 위사는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하나의 이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로 구성되는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직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모노필라멘트 원사인
    직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서 상기 원사들 중 적어도 일부는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직물.
  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사 그룹 내부의 1개의 경사와 상기 경사들의 1/2 개수 사이의 경사가 각각의 위사 패턴 반복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위사 위로 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하는
    직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약 2 인치보다 작은 폭을 갖는 좁은 직조 테이프인
    직물.
  11. 케이블을 둘러싸는 가요성의 길이방향 구획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트립-형상의 직조 섬유 직물 가닥을 포함하는, 케이블용 내관으로서,
    상기 섬유 직물은:
    각각의 그룹이 2개 내지 10개의 경사를 포함하는 경사 그룹들 내로 배치된 복수의 경사; 및
    복수의 위사 픽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직조 구역에서, 상기 위사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적인 제 1 위사 패턴을 포함하고,
    각각의 부분 부출 구역에서, 상기 부분 부출 직조 구역 내부의 상기 위사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적인 제 2 위사 패턴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경사 그룹 내부의 일부 경사 만이 적어도 일부의 위사 패턴 반복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위사 위로 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하고, 상기 부출하는 경사 이외의, 비-부출 경사는 교번 위사 픽의 위로 및 아래로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내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 구역 내부에서, 각각의 경사는 평직을 형성하는 교번 위사 픽의 위로 및 아래로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내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서의 상기 구역들의 반복 패턴은 제 1 직조 구역 및 부분 부출 직조 구역의 교번 패턴으로 구성되는
    내관.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모노필라멘트 원사인
    내관.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서 상기 원사들 중 적어도 일부는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내관.
  16.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사 그룹 내부의 1개의 경사와 상기 경사들의 1/2 개수 사이의 경사가 각각의 위사 패턴 반복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위사 위로 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하는
    내관.
  17. 장치로서,
    도관;
    상기 도관 내부에 위치되며, 케이블을 둘러싸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채널을 규정하기 위해 중심에 위치된 길이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접히며 길이방향 에지 부분을 따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형상의 직조 섬유 재료 패널을 포함하는 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직조 섬유 재료는:
    각각의 그룹이 2개 내지 10개의 경사를 포함하는 경사 그룹들 내로 배치된 복수의 경사; 및
    복수의 위사 픽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직조 구역에서, 상기 위사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적인 제 1 위사 패턴을 포함하고,
    각각의 부분 부출 구역에서, 상기 부분 부출 직조 구역 내부의 상기 위사 픽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적인 제 2 위사 패턴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의 상기 경사 그룹 내부의 일부 경사 만이 적어도 일부의 위사 패턴 반복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위사 위로 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하고, 상기 부출하는 경사 이외의, 비-부출 경사는 교번 위사 픽의 위로 및 아래로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 구역 내부에서, 각각의 경사는 평직을 형성하는 교번 위사 픽의 위로 및 아래로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조 구역 및 상기 부분 부출 구역 양쪽 모두에서 상기 위사는 전체 직물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모노필라멘트 원사, 적어도 하나의 이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일-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원사의 반복 패턴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모노필라멘트 원사인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서 상기 원사들 중 적어도 일부는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사 그룹 내부의 1개의 경사와 상기 경사들의 1/2 개수 사이의 경사가 각각의 위사 패턴 반복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중-삽입된 멀티필라멘트 위사 위로 부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3개의 위사 위로 부출하는
    장치.
KR1020187014379A 2015-11-24 2016-11-02 부분 부출 직조 직물 KR102050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50,778 US10254498B2 (en) 2015-11-24 2015-11-24 Partial float weave fabric
US14/950,778 2015-11-24
PCT/US2016/060022 WO2017091332A1 (en) 2015-11-24 2016-11-02 Partial float weave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682A true KR20180070682A (ko) 2018-06-26
KR102050185B1 KR102050185B1 (ko) 2019-11-28

Family

ID=5739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379A KR102050185B1 (ko) 2015-11-24 2016-11-02 부분 부출 직조 직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10254498B2 (ko)
EP (2) EP3854921A1 (ko)
JP (1) JP6629459B2 (ko)
KR (1) KR102050185B1 (ko)
CN (2) CN206502927U (ko)
AU (1) AU2016359122B2 (ko)
ES (1) ES2875604T3 (ko)
MY (1) MY187512A (ko)
PH (1) PH12018500780A1 (ko)
WO (1) WO20170913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380A (ko) * 2018-12-20 2020-06-30 밀리켄 앤드 캄파니 다중 챔버 내관 구조체
KR20200077379A (ko) * 2018-12-20 2020-06-30 밀리켄 앤드 캄파니 다중 챔버 절첩식 내관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4498B2 (en) * 2015-11-24 2019-04-09 Milliken & Company Partial float weave fabric
US10959890B2 (en) * 2018-02-12 2021-03-30 SecurLyft Safety movement, repositioning and transport device
DE202018101435U1 (de) * 2018-03-14 2018-03-21 Certoplast Technische Klebebänder Gmbh Klebeband insbesondere Wickelband
US11661683B2 (en) * 2018-03-29 2023-05-30 Milliken & Company Flame resistant textile
IN201821014302A (ko) * 2018-04-14 2018-10-05
US11522347B2 (en) 2018-06-12 2022-12-06 Wesco Distribution, Inc. Method of making an innerduct for a conduit
US20200161844A1 (en) 2018-11-20 2020-05-21 Milliken & Company Innerduct having multiple sized chambers
CN114134617B (zh) * 2021-12-02 2023-01-03 华纺股份有限公司 一种梭织仿条绒家纺面料制备方法
US11913593B2 (en) 2021-12-07 2024-02-27 Milliken & Company Blowable flexible innerduct
WO2023107805A1 (en) 2021-12-07 2023-06-15 Milliken & Company Blowable flexible innerdu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5902A1 (en) * 2004-02-20 2005-08-25 Federal-Mogul World Wide, Inc. Low-friction pull tape
US20120132309A1 (en) * 2010-11-30 2012-05-31 Morris David D Woven textile fabric and innerduct having multiple-inserted filling yarns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1200A (en) 1973-01-15 1975-10-07 Sun Chemical Corp Electrical cable housing assemblies
US4281211A (en) 1979-04-13 1981-07-28 Southern Weaving Company Woven cover for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
CA1170418A (en) 1980-07-28 1984-07-10 Pushpkumar Changani Heat recoverable articles
GB8300220D0 (en) 1983-01-06 1983-02-09 Raychem Ltd Arrangement for enclosing substrates
US4862922A (en) 1983-01-18 1989-09-05 The Bentley-Harris Manufacturing Company Abrasion resistant sleeve for flat substrates
US4582093A (en) 1983-12-05 1986-04-15 Libbey-Owens-Ford Company Fiber optic duct insert
US4602763A (en) 1984-04-20 1986-07-29 Gaylin Wayne L Method for positioning cable
US5027864A (en) 1985-05-21 1991-07-02 Arnco Corporation Tubular apparatus for transmission cable
GB8528966D0 (en) 1985-11-25 1986-01-02 Raychem Ltd Wrap-around fabric articles
US4929478A (en) 1988-06-17 1990-05-29 The Bentley-Harris Manufacturing Company Protective fabric sleeves
US5016859A (en) 1989-10-12 1991-05-21 The Mead Corporation Wiring harness installation accessory
US5442136A (en) 1992-07-02 1995-08-15 Allen; Jerry L. Method of installation of partitioning device for a tubular conduit
FI97351C (fi) 1993-11-22 1996-12-10 Kvaerner Masa Yards Oy Äänenvaimennusjärjestelmä
US5587115A (en) 1994-03-22 1996-12-24 Vikimatic Sal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it assembly with a floating divider
US5789711A (en) 1996-04-09 1998-08-04 Belden Wire & Cable Company High-performance data cable
US5843542A (en) 1997-11-10 1998-12-01 Bentley-Harris Inc. Woven fabric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conformability
US6178278B1 (en) 1997-11-13 2001-01-23 Alcatel Indoor/outdoor dry optical fiber cable
US5969295A (en) 1998-01-09 1999-10-19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Twisted pair communications cable
JP4578681B2 (ja) 1998-08-17 2010-11-10 ロルフ シャイヴィラー 成形ブロック及び成形ブロック結合
US6262371B1 (en) 1999-06-23 2001-07-17 Marc Tal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a conduit into compartments
US6304698B1 (en) 1999-09-22 2001-10-16 Milliken & Company Conduit insert for optical fiber cable
US6356684B1 (en) 2000-04-14 2002-03-12 General Dynamics Advanced Technology Systems, Inc. Adjustable optical fiber grating dispersion compensators
US6571833B1 (en) 2000-07-14 2003-06-03 Milliken & Company Optic cable conduit ins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398190B1 (en) 2000-10-30 2002-06-04 Milliken & Company Cable assembly and method
JP3857541B2 (ja) 2001-04-25 2006-12-13 Ykk株式会社 帯体
JP3883402B2 (ja) 2001-06-22 2007-02-2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建材製造用単層織物
US7027697B2 (en) * 2001-12-28 2006-04-11 Pirelli Communications Cables And Systems Usa, Llc Cable having conduits for receiving optical fibers
US7873028B2 (en) * 2002-01-25 2011-01-18 Quanta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flexible peripheral access router
DE10204019A1 (de) 2002-01-31 2003-08-14 Lothar Hermann Vorrichtung zur Unterteilung eines rohrartigen Hohlraumes
US6718100B2 (en) 2002-03-28 2004-04-06 Milliken & Company Fire resistant conduit insert for optical fiber cable
EP1490622A4 (en) 2002-03-29 2009-11-11 Tvc Communications L L C AIR CHANNEL WITH SEVERAL FANES
CA2496520C (en) 2002-08-28 2012-01-17 Federal-Mogul Powertrain, Inc. Cable guide sleeving structure
US7512668B2 (en) * 2004-04-21 2009-03-31 Sap Ag Message-oriented middleware server instance failover
TW200624617A (en) 2004-07-20 2006-07-16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Self-curling sleeve
JP4113177B2 (ja) 2004-11-11 2008-07-09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X線発生装置
DE102004059780B4 (de) 2004-12-07 2020-10-15 Kikuchi Kogyo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f Nadelwebmaschinen gewebten Bandes mit webtechnisch gleichen Kanten
US20080054236A1 (en) 2006-08-31 2008-03-06 Morris David D Method of installing a conduit, innerduct, and cable
US7754971B2 (en) 2006-11-21 2010-07-13 Milliken & Company Detectable pull tape
US20080135119A1 (en) 2006-12-07 2008-06-12 Takashi Tonooka Protective sleeve assembly having a support memb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7621505B2 (en) 2007-02-28 2009-11-24 Hamrick James C Line runner for conduit
US7799997B2 (en) * 2007-04-27 2010-09-21 Milliken & Company Innerduct structure having increased flexibility
US8387954B2 (en) 2007-08-30 2013-03-05 Wesco Distribution, Inc. System for the simultaneous introduction of two items into a conduit
US8701716B2 (en) 2008-02-29 2014-04-22 Federal-Mogul Corporation Protective textile sleeve having high edge abrasion resistance and method of construction
HU3578U (en) 2008-08-08 2009-04-28 Gyoergy Beofsics Improved aid for facilitate the moving of cables in culverts
US20120073854A1 (en) 2010-09-23 2012-03-29 Allen Jerry L Conduit innerduct having reduced friction and high strength
JP5594885B2 (ja) * 2010-10-13 2014-09-24 三和テクノ株式会社 織物部材からなる横ずれ防止用案内部材
JP5414704B2 (ja) 2011-01-21 2014-0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796981B2 (ja) * 2011-03-31 2015-10-21 ユニチカ株式会社 シューター
US8809682B2 (en) 2011-04-18 2014-08-19 Milliken & Company Divided conduit
KR200473979Y1 (ko) 2013-05-30 2014-08-14 김희록 고강도 천을 이용한 케이블 정리장치
US20150085902A1 (en) 2013-09-23 2015-03-26 Qualcomm Incorporated RFDAC Transmitter Using Multiphase Image Select FIR DAC and Delta Sigma Modulator with Multiple Rx Band NTF Zeros
US10254498B2 (en) * 2015-11-24 2019-04-09 Milliken & Company Partial float weave fabric
CN211151396U (zh) 2018-12-20 2020-07-31 美利肯公司 多空腔内导管结构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5902A1 (en) * 2004-02-20 2005-08-25 Federal-Mogul World Wide, Inc. Low-friction pull tape
US20120132309A1 (en) * 2010-11-30 2012-05-31 Morris David D Woven textile fabric and innerduct having multiple-inserted filling yar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380A (ko) * 2018-12-20 2020-06-30 밀리켄 앤드 캄파니 다중 챔버 내관 구조체
KR20200077379A (ko) * 2018-12-20 2020-06-30 밀리켄 앤드 캄파니 다중 챔버 절첩식 내관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95587B2 (en) 2023-10-24
CN206502927U (zh) 2017-09-19
KR102050185B1 (ko) 2019-11-28
US20210238776A1 (en) 2021-08-05
US11008680B2 (en) 2021-05-18
MY187512A (en) 2021-09-24
JP6629459B2 (ja) 2020-01-15
WO2017091332A1 (en) 2017-06-01
PH12018500780A1 (en) 2018-10-15
US20170235080A1 (en) 2017-08-17
US10829874B2 (en) 2020-11-10
AU2016359122B2 (en) 2020-01-30
CN106995969A (zh) 2017-08-01
EP3380659A1 (en) 2018-10-03
ES2875604T3 (es) 2021-11-10
US20170145603A1 (en) 2017-05-25
EP3854921A1 (en) 2021-07-28
JP2019504220A (ja) 2019-02-14
US20170235081A1 (en) 2017-08-17
EP3380659B1 (en) 2021-05-05
US10254498B2 (en) 2019-04-09
AU2016359122A1 (en) 2018-04-19
CN106995969B (zh)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0682A (ko) 부분 부출 직조 직물
KR101486178B1 (ko) 위사들이 다중-삽입된 직조물 및 내관
US11226463B2 (en) Multiple chamber folded innerduct structure
KR102342554B1 (ko) 다중 챔버 내관 구조체
CN213476233U (zh) 织物内导管结构和套管系统
US20200161844A1 (en) Innerduct having multiple sized chambers
CN213417158U (zh) 套管系统
CN213547023U (zh) 织物内导管结构和套管系统
CN213417154U (zh) 织物内导管结构和套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