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455A -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455A
KR20180070455A KR1020170128293A KR20170128293A KR20180070455A KR 20180070455 A KR20180070455 A KR 20180070455A KR 1020170128293 A KR1020170128293 A KR 1020170128293A KR 20170128293 A KR20170128293 A KR 20170128293A KR 20180070455 A KR20180070455 A KR 20180070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igarette
holder
crad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161B1 (ko
Inventor
한정호
임헌일
이종섭
한대남
윤진영
김영래
이장욱
장지수
임왕섭
이문봉
주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7758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70436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US16/604,45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246345B2/en
Priority to EP18783776.0A priority patent/EP3610740A4/en
Priority to JP2019555168A priority patent/JP7004391B6/ja
Priority to CN201880024070.7A priority patent/CN110494050A/zh
Priority to PCT/KR2018/004181 priority patent/WO2018190607A2/ko
Publication of KR20180070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Abstract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을 수용하는 통로를 구비한 중공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와, 통로에 수용되는 궐련에 삽입되도록 일측 단부가 통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부에 연결되어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며 전기가 인가되면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s generating apparatus with rotating heater}
실시예들은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궐련을 분리하기 전에 히터가 회전함으로써 궐련과 히터의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잔류물을 궐련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흡연용 기체를 발생시킨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분리하여 폐기한 후 새로운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67124호는 궐련을 가열하여 흡연용 기체를 발생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을 삽입하는 동작이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을 분리하는 동작을 보조하는 홀더(holder)의 구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구조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흡연 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추출되는 홀더에 궐련을 삽입하여 홀더와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 밀어 넣는 동작을 실시하고, 흡연 후에는 홀더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돌출시킨 후 홀더에서 궐련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홀더를 이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홀더가 단순히 궐련의 삽입과 분리 동작을 안내하는 기능만을 하므로, 흡연 중에 가열되는 궐련에서 발생한 잔류물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공간과 히터 등의 구성요소들에 남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청결히 유지하기가 어렵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궐련을 분리할 때에는 홀더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궐련을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홀더의 밖으로 궐련을 당기는 조작에 의해 궐련을 제거하는데, 궐련과 히터의 접촉면에 붙어 있던 담배 성분이 사용자가 궐련을 분리하는 조작 중에도 분리되지 않고 히터에 남는다. 궐련에서 발생한 담배 성분은 궐련과 히터의 사이의 접촉면에 부착되는데, 히터에 부착된 담배 성분이 히터의 열에 의해 응축됨으로써 부착력이 더욱 강해지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시간이 경과할수록 히터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공간의 청결도가 불량해진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67124호(2016.10.11)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또한 궐련의 분리 작업이 편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또한 히터에 부착되는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을 수용하는 통로를 구비한 중공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와, 통로에 수용되는 궐련에 삽입되도록 일측 단부가 통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부에 연결되어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며 전기가 인가되면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다.
회전부는 통로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히터는 통로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회전부와 히터를 연결하며 회전부 및 히터와 함께 회전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연결부와 회전부의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연결부와 회전부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홈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케이스는 돌출부를 관통시키며 회전부가 회전하는 동안 돌출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회전부의 회전중심에 대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구멍을 구비하는 중간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중간통은 돌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는 히터의 일측 단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고, 히터와 관통공 중의 하나에서 돌출되는 결합 돌기와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히터와 관통공 중의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돌출부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돌출부의 이동에 대해 탄성력을 부여하는 가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는 궐련이 수용되는 통로를 갖는 중공형상을 가지며 중간통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통과, 중간통의 외측에 배치되는 중공형상의 외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내통의 단부에 결합되며 히터의 일측 단부가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는 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회전부와 케이스의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이동 돌기와, 이동 돌기가 삽입되도록 회전부와 케이스의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회전부의 회전 중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함으로써 돌출부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 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측면의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가 상기 크래들의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후 틸트(tilt)되어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또 다른 측면의 실시예에 관한 홀더에 삽입되는 궐련은, 복수의 담배 가닥들을 포함하는 담배 로드; 중공을 포함하는 제 1 필터 세그먼트; 상기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냉각 구조물;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을 분리하기 전에 먼저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히터가 회전함으로써 히터와 궐련의 접촉면이 분리되므로 궐련과 히터의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히터가 회전함으로써 잔류물이 궐련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궐련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물을 궐련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Ⅳ-Ⅳ의 선을 따라 취한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도시한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홀더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크래들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홀더 및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홀더가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홀더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 및 20b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f는 궐련의 냉각 구조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을 수용하는 통로(20)를 구비하는 중공형상의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40)와, 회전부(40)와 함께 회전하며 궐련(7)을 가열하는 히터(3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공간에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스(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며, 전방 단부가 외부로 개방되어 궐련(7)이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기와 열을 전달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나, 표면에 플라스틱 소재가 코팅된 금속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스(10)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케이스(10)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스(10)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궐련(7)을 수용하는 통로(20)가 형성된다. 궐련(7)은 원통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통로(20)는 궐련(7)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0)는 궐련(7)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20)를 구비하는 중공형상의 내통(12)과, 내통(12)의 외측에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중간통(11)과, 중간통(11)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통(13)을 구비한다.
내통(12)은 궐련(7)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20)와, 외부로부터 궐련(7)이 삽입되도록 통로(20)의 일단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21)와, 통로(20)의 타단에서 개방되는 타측 개구(22)를 구비한다.
내통(12)에 형성된 통로(20)는 궐련(7)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는 통로(20)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통로(20)의 형상이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통(12)는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내통(12)의 중심축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2p)와, 플랜지(12p)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체결돌기(12c)를 구비한다.
내통(12)의 타측의 단부의 타측 개구(22)에는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통과하는 구멍(29)을 구비하는 캡(14)이 결합된다. 캡(14)은 내통(12)의 체결돌기(12c)가 결합되는 체결홈(14c)을 구비한다. 캡(14)이 내통(12)의 타측 개구(22)를 덮도록 내통(12)에 결합되면, 캡(14)의 체결홈(14c)에 내통(12)의 체결돌기(12c)가 삽입됨으로써 캡(14)이 내통(12)에 고정된다.
실시예는 캡(14)이 내통(12)과 독립된 구성요소로 제작되는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캡(14)과 내통(12)은 일체가 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제작될 수도 있다.
캡(14)은 통로(20)에 수용되는 궐련(7)의 단부와 접촉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가 궐련(7)을 통로(20)에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궐련(7)이 통로(20)를 따라 이동하다가 궐련(7)의 단부가 캡(14)에 도달하면, 궐련(7)을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캡(14)과 궐련(7)의 단부가 접촉하는 느낌이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궐련(7)을 손에 쥐고 통로(20)의 개구(21)에 궐련(7)을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내통(12)는 케이스(1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궐련(7)이 통로(20)를 따라 이동하도록 궐련(7)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궐련(7)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내통(12)와 중간통(11)과 외통(13)이 결합된 후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사용되는 동안 내통(12)는 중간통(11)과 외통(1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케이스(10)에는 궐련(7)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30)가 설치된다. 히터(30)는 핀(pin) 형상 또는 봉(rod) 형상으로 제작되어 히터(30)의 일측 단부(31)는 캡(14)의 구멍(29)을 통해 통로(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케이스(10)에 궐련(7)이 수용되는 경우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궐련(7)의 단부에 삽입된다.
캡(14)에 형성된 구멍(29)의 크기는 히터(30)의 일측 단부(31)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 구멍(29)도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구멍(29)의 내경은 히터(30)의 일측 단부(31)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는 구멍(29)의 내경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구멍(29)의 내경은 히터(30)의 일측 단부(3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구멍(29)의 내면이 히터(30)의 일측 단부(3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히터(30)의 타측 단부(32)는 전기 배선(71)을 통해 케이스(10)의 후방에 배치된 전기공급장치(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스(10)의 후방에는 전기공급장치(72)를 둘러싸는 베이스(19)가 연결된다. 베이스(19)는 케이스(10)와 함께 회전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에 궐련(7)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기공급장치(72)의 전기가 히터(30)에 공급되면 히터(30)가 가열됨으로써 궐련(7)이 가열된다.
회전부(40)는 통로(2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O)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가 회전부(40)를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면 회전부(40)가 중심축(O)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히터(30)도 회전부(40)와 함께 중심축(O)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한다.
회전부(40)는 전기와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40)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금속소재로 제작된 후에 사용자의 손이 닿는 외부 표면은 열 및 전기를 전달하지 않는 소재로 코팅될 수 있다.
회전부(40)는 케이스(10)의 외측에 결합되며, 케이스(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40)는 내부가 빈 중공 원통형상을 갖는다. 회전부(40)는 내측면에 오목한 형상의 홈부(41)를 구비한다.
회전부(40)의 내측에는 연결부(50)가 결합된다. 연결부(5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제작된다. 연결부(50)가 회전부(40)와 히터(30)를 연결하므로 연결부(50)가 회전부(40) 및 히터(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연결부(50)는 외측에서 돌출된 돌출부(51)를 구비한다. 연결부(50)가 회전부(40)의 내측에 배치되면 연결부(50)의 돌출부(51)가 회전부(40)의 홈부(41)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부(50)의 회전부(40)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제한된다.
실시예는 연결부(50)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연결부(50)는 원통 형상이나 봉 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부(50)에 돌출부(51)가 설치되고 회전부(40)에 홈부(41)가 설치되는 구성만이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연결부(50)에 홈부를 설치하고 회전부(40)에 돌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50)와 회전부(40)는 홈부나 돌출부를 이용하는 대신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서로를 향하는 면에 나사면을 설치하거나,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50)의 돌출부(51)는 중간통(11)의 안내구멍(11p)을 통과하여 회전부(40)의 홈부(41)에 삽입된다. 안내구멍(11p)은 중간통(11)의 중심축에 대한 원주방향, 즉 회전부(40)의 회전중심에 대한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연장하여 형성된다. 중간통(11)은 안내구멍(11p)의 단부에 회전 제한부(11e)를 구비한다.
연결부(50)는 히터(30)의 일측 단부(31)를 통과시키는 관통공(52)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부(50)의 관통공(52)의 내벽에는 오목한 형상의 결합홈(53)이 형성된다. 히터(30)의 외측면에는 결합홈(5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돌출되는 결합 돌기(33)가 설치된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연결부(50)의 관통공(52)을 통과하면, 히터(30)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결합 돌기(33)가 연결부(50)의 결합홈(53)에 삽입됨으로써 히터(30)가 연결부(50)에 결합되어 연결부(50)와 히터(30)가 함께 회전하는 한몸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 돌기(33)가 히터(30)에 설치되고 결합홈(53)이 연결부(50)에 설치되는 구성만이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히터(30)에 결합홈이 설치되고 연결부(50)에 결합 돌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30)와 연결부(50)는 결합 돌기와 결합홈을 이용하는 대신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서로를 향하는 면에 나사면을 설치하거나,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Ⅳ-Ⅳ의 선을 따라 취한 횡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작동상태를 도시한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회전부(4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40)에 연결된 연결부(50)와 히터(30)가 회전부(40)와 함께 회전 운동을 한다. 연결부(50)의 돌출부(51)는 중간통(11)의 안내구멍(11p)을 따라 회전을 할 수 있으므로, 돌출부(51)가 안내구멍(11p)을 따라 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연결부(50)와 회전부(40)와 히터(30)가 함께 회전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전부(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회전부(40)와 연결부(50)와 히터(30)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안내구멍(11p)의 단부에는 돌출부(51)의 이동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11e)가 위치하므로, 돌출부(51)가 회전 제한부(11e)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부(40)와 연결부(50)와 히터(3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2는 궐련(7)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담배 연기 발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궐련(7)이 케이스(10)의 통로(20)의 최하단까지 삽입된다. 히터(30)의 전체 길이는 약 20mm이며 궐련(7)에 삽입된 히터(30)의 일측 단부(31)의 길이는 약 12mm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궐련(7)의 후방 단부가 히터(30)의 일측 단부(3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히터(30)에 전기가 공급되면 히터(30)가 궐련(7)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궐련(7)을 케이스(10)의 통로(20)에 삽입한 후 통로(20)를 따라 궐련(7)을 밀어 넣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7)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궐련(7)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단에서 돌출된 궐련(7)의 상측 단부를 손으로 잡아 통로(20)의 외측으로 궐련(7)을 잡아당기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7)을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한 후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궐련(7)을 제거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궐련(7)을 제거하기 전에 사용자가 회전부(40)를 회전시키면 연결부(50)와 함께 히터(30)가 중심축(O)을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히터(30)가 회전하는 동안 케이스(10)에 대한 궐련(7)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궐련(7)이 히터(30)에 의해 가열되는 동안 궐련(7)에서 발생한 담배 물질(잔류물)이 히터(30)와 궐련(7)의 사이의 접촉면에 응축되어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궐련(7)에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삽입된 상태에서 히터(30)가 회전을 하면, 궐련(7)과 히터(30)의 사이의 접촉면에 부착된 담배 물질에 의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던 궐련(7)과 히터(30)의 접촉면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히터(30)가 회전함으로써 히터(30)와 궐련(7)의 사이의 접촉면이 서로 분리되면, 사용자가 궐련(7)을 잡아서 케이스(10)의 통로(20)의 외부로 추출함으로써 사용된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케이스(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궐련을 분리할 때에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단순히 빼내는 방식을 이용하므로, 궐련과 히터의 사이에 존재하는 담배 물질이 히터에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는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분리하기 전에 먼저 궐련(7)을 케이스(10)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부(40)를 회전시킴으로써 히터(30)를 회전시킨다.
히터(30)가 회전하는 동안 궐련(7)이 케이스(10)에 대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궐련(7)의 케이스(10)에 대한 위치가 변화하지 않으므로 담배 물질에 의해 고착되어 있던 히터(30)와 궐련(7)의 사이의 접촉면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궐련(7)과 히터(30)의 사이에 존재하던 잔류물이 궐련(7)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술한 작동을 통해 히터(30)와 궐련(7)이 먼저 분리된 후에 사용자가 궐련(7)을 잡아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7)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궐련(7)과 함께 궐련(7)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물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돌출부(51)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돌출부(51)의 이동에 대해 탄성력(저항력)을 부여하는 가압부(70)를 구비한다. 가압부(70)의 일단(70a)은 중간통(11)에 연결되고, 가압부(70)의 타단(70b)은 돌출부(51)에 연결된다. 가압부(70)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돌출부(5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회전부(40)와 함께 연결부(50)가 회전 운동을 한 후에 회전부(40)와 연결부(50)가 원래의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는 가압부(70)의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액체나 기체를 이용한 압축식 실린더를 이용하여 탄성 가압부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길이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7)을 수용하는 통로(20)를 구비하는 중공형상의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40)와, 회전부(140)와 함께 회전하며 궐련(7)을 가열하는 히터(30)를 구비한다.
궐련(7)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는 궐련(7)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져 궐련(7)을 수용하는 통로(20)를 갖는다. 통로(20)는 통로(20)의 일단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21)와 통로(20)에 수용된 궐련(7)의 하측 단부를 지지하는 바닥부(22d)를 구비한다.
케이스(110)는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로(20)와 연결되는 구멍(29)을 구비한다. 구멍(29)은 통로(20)의 바닥부(22d)의 중심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110)에는 궐련(7)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30)가 설치된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는 구멍(29)을 통해 통로(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케이스(10)에 궐련(7)이 수용되는 경우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궐련(7)의 단부에 삽입된다.
히터(30)의 타측 단부는 전기 배선(71)을 통해 케이스(110)의 후방에 배치된 전기공급장치(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스(110)의 후방에는 전기공급장치(72)를 둘러싸는 베이스(119)가 연결된다. 베이스(119)는 케이스(110)와 함께 회전부(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에 궐련(7)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기공급장치(72)의 전기가 히터(30)에 공급되면 히터(30)가 가열됨으로써 궐련(7)이 가열된다.
회전부(140)는 통로(2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O)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가 회전부(140)를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면, 회전부(140)가 중심축(O)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히터(30)도 회전부(140)와 함께 중심축(O)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한다.
회전부(140)는 케이스(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회전부(140)는 내부가 빈 중공 원통형상을 갖는다.
회전부(140)는 히터(30)의 일측 단부(31)를 통과시키는 관통공(142)을 구비한다. 또한 회전부(140)는 내측면에 홈부(141)를 구비한다. 히터(30)는 회전부(140)의 홈부(14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히터(30)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33)를 구비한다.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회전부(140)의 관통공(142)을 통과하면 히터(30)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돌출부(133)가 회전부(140)의 홈부(141)에 삽입됨으로써, 히터(30)가 회전부(140)에 결합되어 회전부(140)와 히터(30)가 함께 회전하는 한몸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히터(30)에 돌출부(133)가 설치되고 회전부(140)에 홈부(141)가 설치되는 구성만이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히터(30)에 홈부가 설치되고 회전부에 돌출부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140)의 케이스(110)를 향하는 면에는 이동 돌기(147)가 설치된다. 케이스(110)의 회전부(140)를 향하는 면에는 이동 돌기(147)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 홈부(117)가 설치된다. 안내 홈부(117)는 회전부(140)의 회전 중심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119)는 회전부(140)를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148)를 구비한다. 플랜지(148)는 회전부(140)의 회전 중심인 중심축(O)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플랜지(148)는 케이스(110)의 후방에 결합된 베이스(119)로부터 돌출되어 회전부(14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 통로(140s)를 관통함으로써 케이스(110)의 플랜지홈(118)에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부(140)는 케이스(110)와 베이스(119)의 사이에서 플랜지(148)에 의해 회전 중심축(O)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부(140)가 케이스(110)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 회전부(140)의 이동 돌기(147)는 케이스(110)의 안내 홈부(117)에 삽입된 상태로 안내 홈부(117)를 따라 이동한다. 이동 돌기(147)가 안내 홈부(117)의 단부에 도달하면 안내 홈부(117)의 단부가 이동 돌기(147)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을 하므로, 회전부(140)의 회전 운동이 제한된다.
회전부(14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140)에 연결된 히터(30)가 회전부(140)와 함께 회전 운동을 한다. 회전부(140)의 이동 돌기(147)는 케이스(110)의 안내 홈부(117)를 따라 회전을 할 수 있으므로, 이동 돌기(147)가 안내 홈부(117)를 따라 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회전부(140)와 히터(30)가 함께 회전을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궐련(7)을 제거하기 전에 사용자가 회전부(140)를 회전시키면 회전부(140)와 함께 히터(30)가 중심축(O)을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히터(30)가 회전하는 동안 케이스(110)에 대한 궐련(7)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궐련(7)에 히터(30)의 일측 단부(31)가 삽입된 상태에서 히터(30)가 회전을 하면, 궐련(7)과 히터(30)의 사이의 접촉면에 부착된 담배 물질에 의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던 궐련(7)과 히터(30)의 접촉면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히터(30)가 회전함으로써 히터(30)와 궐련(7)의 사이의 접촉면이 서로 분리되면, 사용자가 궐련(7)을 잡아서 케이스(110)의 통로(20)의 외부로 추출함으로써 사용된 궐련(7)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케이스(1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작동을 통해 히터(30)가 먼저 궐련(7)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사용자가 궐련(7)을 잡아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7)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궐련(7)과 함께 궐련(7)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물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의 도 9 내지 도 21a 및 도 21f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변형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에어로졸 생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21a 및 도 21f에서 구성요소들을 지시하는 번호들은 도 1 내지 도 8에서 사용된 번호들과 연관성이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8에서 구성요소들을 지시한 번호들과, 도 9 내지 도 21a 및 도 21f에서 구성요소들을 지시하는 번호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이하, '홀더'라고 함)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를 포함한다. 또한, 홀더(1)는 케이스(140)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홀더(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홀더(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홀더(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한다.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의 필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다만,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다.
케이스(140)는 홀더(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케이스(140)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케이스(140)는 홀더(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40)의 말단(141)이 형성하는 구멍의 직경은 케이스(140)와 히터(1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제작될 수 있고, 이 경우 홀더(1)에 삽입되는 궐련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홀더(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직경이 10mm이고, 길이가 37mm인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110)의 용량은 120mAh 이상 일 수 있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이거나 일회용 배터리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가 충전이 가능한 경우, 배터리(110)의 충전율(C-rate)은 10C, 방전율(C-rate)는 16C 내지 20C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배터리(110)는 충/방전이 8000회 진행된 경우에도, 전체 용량의 80% 이상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는,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의 전체 용량 대비 어느 수준인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95% 이상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10% 이하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된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는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직경이 약 2mm, 길이가 약 23mm인 원기둥 형상을 갖고, 히터(130)의 말단(131)은 예각으로 마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는 일부 부분만 가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의 길이가 23mm라고 가정하면, 히터(130)의 말단(131)으로부터 12mm만 가열되고, 히터(130)의 나머지 부분은 가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히터(1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히터(130)에는 3.2 V, 2.4 A, 8 W의 규격에 따른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히터(130)의 표면 온도는 40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한 때부터 15초가 초과되기 이전에 히터(130)의 표면 온도는 약 350℃까지 상승할 수 있다.
홀더(1)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홀더(1)에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지 않고,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에는 발열을 위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이외에 온도 감지를 위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걸리는 전압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면, 저항(R)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R은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현재 저항 값을 의미하고, R0는 온도 T0(예를 들어, 0℃)에서의 저항 값을 의미하고, α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온도 계수를 의미한다.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은 고유의 저항 온도 계수를 갖고 있는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을 구성하는 전도성 물질에 따라 α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R)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연산될 수 있다.
히터(13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2개의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1개 또는 2개의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온도 감지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홀더(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및 히터(130)뿐 만 아니라 홀더(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홀더(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히터(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히터(13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의 상태(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량 등)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퍼프(puff)의 유무 및 퍼프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고, 퍼프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가 작동하고 있는 시간을 계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후술할 크래들(2)이 홀더(1)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홀더(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홀더(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홀더(1)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홀더(1)의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홀더의 사용 가능 여부 등), 히터(13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예열 시작, 예열 진행, 예열 완료 등), 배터리(110)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 홀더(1)의 리셋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 홀더(1)의 청소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 홀더(1)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 퍼프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퍼프 횟수, 퍼프 종료 예고 등) 또는 안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시간 경과 등)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에 모터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를 이용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술한 정보들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사용자가 홀더(1)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및/또는 크래들(2)과 결합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홀더(1)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예를 들어, 1회, 2회 등)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예를 들어, 0.1초, 0.2초 등)을 조절함으로써, 홀더(1)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홀더(1)는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홀더(1)가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배터리(1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홀더(1)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홀더(1)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홀더(1)는 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및/또는 궐련 삽입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압력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고, 궐련 삽입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정전용량형 센서 또는 저항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궐련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홀더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a는 홀더(1)를 제 1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는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의 케이스(140)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으며, 케이스(140)의 말단(141)으로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는 사용자가 홀더(1)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150) 및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6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0b는 홀더(1)를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홀더(1)는 크래들(2)과 결합되는 단자(17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의 단자(170)가 크래들(2)의 단자(260)와 결합함으로써,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단자(170)와 단자(260)를 통하여,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가 동작할 수도 있고, 홀더(1)와 크래들(2)간에 통신(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자(170)는 4개의 마이크로 핀(pin)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크래들(2)은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2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230)은 크래들(2)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이 별도의 뚜껑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크래들(2)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크래들(2)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배터리(210)는 크래들(2)이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어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가 결합하는 경우, 크래들(2)의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된 경우, 배터리(2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가 결합되면, 홀더(1)의 배터리(110)가 방전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배터리(210) 종류의 예는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배터리(110)의 예와 동일할 수 있다. 배터리(210)의 용량은 배터리(110)의 용량보다 클 수 있고, 예를 들어 배터리(210)의 용량은 3000mAh 이상이 될 수 있다, 다만, 배터리(210)의 용량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크래들(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10)를 충전하거나 히터(130)를 가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홀더(1)와 크래들(2)을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흡연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은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터리(220)(예를 들어, 배터리(22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리셋(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홀더(1)의 청소(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충전(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은 사용자가 크래들(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홀더(1)와 결합하는 단자(260) 및/또는 배터리(210)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크래들(2)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크래들(2)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크래들(2)은 홀더(1)의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홀더(1)의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홀더(1) 내의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크래들(2)이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크래들(2)의 배터리(2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크래들(2)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크래들(2)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a 및 도 12b는 크래들의 일 예를 여러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a는 크래들(2)을 제 1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크래들(2)의 일 측면에는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230)이 있다. 또한, 크래들(2)이 뚜껑과 같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에는 사용자가 크래들(2)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240) 및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25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2b는 크래들(2)을 제 2 방향에서 바라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크래들(2)에는 삽입된 홀더(1)와 결합되는 단자(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260)가 홀더(1)의 단자(170)와 결합함으로써,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단자(170)와 단자(260)을 통하여,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홀더(1)가 동작할 수도 있고, 홀더(1)와 크래들(2)간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자(260)는 4개의 마이크로 핀(pin)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a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1)는 크래들(2)의 내부 공간(23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크래들(2)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고,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tilt)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는 예들을 설명한다.
도 13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삽입될 공간(230)이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존재하므로, 삽입된 홀더(1)는 크래들(2)의 다른 측면들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은, 홀더(1)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한 다른 구성(예를 들어, 뚜껑)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크래들(2)에는 홀더(1)와의 결착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271, 27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181)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착 부재(181, 271, 272)는 자석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1)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1, 27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결착 부재(181, 271, 272)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는 제 1 위치에 결착 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고, 크래들(2)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각각 결착 부재(271, 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와 제 3 위치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는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일 수 있다.
홀더(1) 및 크래들(2)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포함됨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삽입되더라도,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1) 및 크래들(2)에 단자(170, 260) 이외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더 포함됨에 따라,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에 별도의 구성(예를 들어, 뚜껑)이 없더라도, 삽입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자들(170, 260) 및/또는 결착 부재들(181, 271, 272)에 의하여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4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의 내부에서 틸트되어 있다. 여기에서, 틸트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흡연을 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면, 홀더(1)에 궐련이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흡연을 할 수 없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틸트되면, 홀더(1)의 말단(141)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말단(141)에 궐련을 삽입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흡연)할 수 있다. 틸트 각(θ)은 궐련이 홀더(1)의 말단(141)에 삽입될 때, 궐련이 꺾이거나 훼손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한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말단(141)에 포함된 궐련 삽입 구멍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만큼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트 각(θ)의 범위는 0도 초과 180도 이하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 90도 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의 범위는 10도 이상 20도 이하, 10도 이상 30도 이하, 10도 이상 40도 이하, 10도 이상 50도 이하, 또는 10도 이상 60도 이하가 될 수 있다.
또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홀더(1)의 단자(170)와 크래들(2)의 단자(26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1)의 히터(13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의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도,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4에는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2)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3, 274)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결착 부재들(182, 273, 274) 각각의 위치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만약, 결착 부재들(182, 273, 274)이 자석이라고 가정하면, 결착 부재(274)의 자석 강도가 결착 부재(273)의 자석 강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결착 부재(182) 및 결착 부재(274)에 의하여, 홀더(1)는 크래들(2)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자들(170, 260) 및/또는 결착 부재들(182, 273, 274)에 의하여 홀더(1)가 틸트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히터(130)를 가열하거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a에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가 홀더(1)에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크래들(2)의 내부 공간(230)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어부(220)는,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될 수 있도록,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한다.
도 15b에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틸트되면, 제어부(220)는, 홀더(1)의 배터리(110)가 충전되거나, 홀더(1)의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한다.
도 16은 홀더 및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홀더(1) 또는 도 11에 도시된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9에 도시된 홀더(1) 및 도 11에 도시된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6의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810 단계에서, 홀더(1)는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홀더(1) 및 크래들(2)의 단자들(170, 260)이 서로 연결되었는지 및/또는 결착 부재들(181, 271, 272)이 동작하는지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경우에는 82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가 크래들(2)가 분리된 경우에는 830 단계로 진행한다.
820 단계에서, 크래들(2)은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홀더(1) 및 크래들(2)의 단자들(170, 260)이 서로 연결되었는지 및/또는 결착 부재들(182, 273, 274)이 동작하는지에 따라 홀더(1)가 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820 단계에서는 크래들(2)이 홀더(1)의 틸트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홀더(1)의 틸트 여부는 홀더(1)의 제어부(120)에 의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홀더(1)가 틸트된 경우에는 84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가 틸트되지 않은 경우(즉,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는 870 단계로 진행한다.
830 단계에서, 홀더(1)는 홀더(1)의 사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배터리(110)의 잔량 및 홀더(1)의 다른 구성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지를 체크함으로써 사용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홀더(1)의 사용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8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절차를 종료한다.
840 단계에서, 홀더(1)는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 상태임을 알린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홀더(1)의 디스플레이에 사용 가능함을 알리는 화면(image)을 출력할 수도 있고, 홀더(1)의 모터를 제어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850 단계에서, 히터(130)가 가열된다. 일 예로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분리된 경우, 홀더(1)의 배터리(110)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가 틸트된 경우, 크래들(2)의 배터리(210)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홀더(1)의 제어부(120) 또는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히터(13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히터(130)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홀더(1)에 포함된 온도 감지 센서 또는 히터(130)의 전기 전도성 트랙을 통하여 히터(13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860 단계에서, 홀더(1)는 에어로졸 생성 기작(mechanism)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가 퍼프를 수행함에 따라 변하는 히터(130)의 온도를 확인하여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조절하거나 히터(130)에 전력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고, 일정한 퍼프 횟수(예를 들어, 1500회)에 도달하면 홀더의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870 단계에서, 크래들(2)은 홀더(1)의 충전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 전력을 홀더(1)의 배터리(110)에 공급함으로써 홀더(1)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 또는 홀더(1)의 동작 시간에 따라 홀더(1)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제어부(120, 220)가 홀더(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7은 홀더가 동작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홀더(1) 및 도 11에서 도시된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9에 도시된 홀더(1) 또는 도 11에 도시된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7의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91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홀더(1)에 포함된 퍼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퍼프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920 단계에서, 사용자의 퍼프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제어부(120, 220)가 사용자의 퍼프 및 히터(130)의 온도에 따라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를 카운팅한다.
93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퍼프 제한 횟수가 14회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20, 220)는 카운팅된 퍼프 횟수가 14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에 근접한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12회인 경우), 제어부(120, 220)는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 모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950 단계로 진행하고, 사용자의 퍼프 횟수가 퍼프 제한 횟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940 단계로 진행한다.
94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홀더(1)가 동작한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홀더(1)가 동작한 시간은 홀더가 동작을 시작한 시점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작 제한 시간이 10분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20, 220)는 홀더(1)가 10분 이상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한편, 홀더(1)의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에 근접한 경우(예를 들어, 홀더(1)가 8분 동안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20, 220)는 디스플레이 또는 진동 모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만약, 홀더(1)가 동작 제한 시간 이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950 단계로 진행하고, 홀더(1)의 동작 시간이 동작 제한 시간보다 적은 경우에는 920 단계로 진행한다.
950 단계에서, 제어부(120, 220)는 홀더의 동작을 강제 종료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 220)는 홀더의 에어로졸 생성 기작을 중지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 220)는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홀더의 동작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도 18은 크래들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1에 도시된 크래들(2)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1에 도시된 크래들(2)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18의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1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크래들(2)의 동작은,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수행될 수 있다.
1010 단계에서,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버튼(240)이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버튼(240)이 눌려진 경우에는 1020 단계로 진행하고, 버튼(240)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1030 단계로 진행한다.
1020 단계에서, 크래들(2)은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현재 상태(예를 들어, 잔량량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250)에 출력할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크래들(2)의 제어부(220)는 크래들(2)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크래들(2)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에 케이블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크래들(2)에 케이블이 연결된 경우에는 10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절차를 종료한다.
1040 단계에서, 크래들(2)은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210)를 충전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1)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궐련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고,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이하, 도 19 내지 도 21f를 참조하여, 홀더(1)에 삽입될 수 있는 궐련의 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홀더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궐련(3)은 케이스(140)의 말단(141)을 통하여 홀더(1)에 삽입될 수 있다. 궐련(3)이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3)의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궐련(3)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궐련(3)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310)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3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3)은 제 2 부분(320)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320)에 삽입될 수도 있다.
홀더(1)의 내부에는 제 1 부분(310)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320)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홀더(1)의 내부에 제 1 부분(310)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310) 및 제 2 부분(320)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320)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와 혼합되어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는 궐련(3)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유입(1110)될 수도 있고, 홀더(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1120)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사용자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궐련(3)은 담배 로드(310),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을 포함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310)은 담배 로드(31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320)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을 포함한다.
한편, 도 20a와 도 20b를 비교하면, 도 20b의 궐련(3)은 도 20a의 궐련(3)에 비하여 제 4 래퍼(334)를 더 포함한다.
다만,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궐련(3)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에는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담배 로드(3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로드(310)의 길이는 약 7mm 내지 15mm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약 12mm가 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310)의 직경은 7mm 내지 9mm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약 7.9mm일 수 있다. 담배 로드(310)의 길이 및 직경은 전술한 수치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3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아세테이트 화합물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미제는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isosweet),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윤제는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담배 로드(310)는 담배 각초들로 충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담배 각초들은 담배 시트를 잘게 분쇄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넓은 담배 시트가 좁은 공간의 담배 로드(310)에 채워지기 위해서는, 담배 시트가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담배 로드(310)를 담배 시트로 충전하는 것에 비하여, 담배 로드(310)를 담배 각초들로 충전하는 것이 더 용이하며, 담배 로드(310)를 생산하는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담배 로드(310)는 담배 시트가 세절된 복수의 담배 가닥들로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310)는 복수의 담배 가닥들이 서로 같은 방향(평행)으로 또는 무작위로 합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담배 가닥은 가로 길이가 1 mm, 세로 길이가 12mm, 두께(높이)가 0.1 mm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담배 로드(310)가 담배 시트로 충전되는 것과 비교하여, 담배 가닥들로 충전된 담배 로드(310)는 더 많은 양의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다. 동일한 공간에 충전되는 것을 가정하면, 담배 시트에 비하여, 담배 가닥들이 더 넓은 표면적을 보장한다. 넓은 표면적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기회가 더 많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담배 로드(310)가 담배 가닥들로 충전될 경우, 담배 시트로 충전된 것에 비하여 더 많은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궐련(3)을 홀더(1)에서 분리할 때, 담배 가닥들로 충전된 담배 로드(310)가 담배 시트로 충전된 것에 비하여 보다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담배 시트에 비교하여, 담배 가닥들이 히터(130)와 접촉하여 생성되는 마찰력이 더 작다. 따라서, 담배 로드(310)가 담배 가닥들로 충전될 경우, 담배 시트로 충전된 것에 비하여 홀더(1)로부터 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담배 시트는 담배 원료를 슬러리 형태로 분쇄한 후 슬러리를 건조시킴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러리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15 내지 30% 첨가될 수 있다. 담배 원료는 담배 잎 조각, 담배 줄기, 담배 처리 중 발생된 담배 분진 및/또는 담배 잎의 주요 옆편 스트립일 수 있다. 또한, 담배 시트에는 목재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다른 첨가제가 함유될 수도 있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일 수 있다.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약 7mm 내지 15mm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약 7 mm가 될 수 있다. 제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약 7mm보다 짧을 수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궐련 요소(예를 들어, 냉각요소, 캡슐, 아세테이트 필터 등)의 기능이 훼손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전술한 수치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는 확장 가능하며, 제1 필터 세그먼트(321)의 길이에 따라 궐련(3) 전체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는 중공을 포함하는 리세스 필터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의 길이는 약 5mm 내지 15mm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약 12mm가 될 수 있다. 제2 필터 세그먼트(323)의 길이는 전술한 수치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324)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324)은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324)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캡슐(324)의 직경은 2mm 이상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2~4mm일 수 있다.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는 전분 및/또는 겔화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겔화제로서는 젤란 검이나 젤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겔화 조제(助劑)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겔화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칼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가소제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가소제로서는 글리세린 및/또는 소르비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324)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착색료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의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로서는 멘톨, 식물의 정유(精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MCT)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은 색소, 유화제(乳化劑), 증점제(增粘劑) 등의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냉각 구조물(322)은 히터(130)가 담배 로드(310)을 가열함으로써 생성된 에어로졸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당한 온도로 냉각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는 약 10mm 내지 20mm일 수 있거나, 바람직하게, 약 14mm가 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의 길이는 전술한 수치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냉각 구조물(322)은 폴리락트 산으로 제작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은 단위 면적 당 표면적(즉, 에어로졸과 접촉하는 표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들로 제작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의 다양한 예들은 도 21a 내지 도 21f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담배 로드(310) 및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은 제 1 래퍼(331)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331)는 내유성을 갖는 종이류 포장재로 제작될 수 있다.
냉각 구조물(322)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는 제 2 래퍼(332)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또한, 궐련(3) 전체는 제 3 래퍼(333)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래퍼(332) 및 제 3 래퍼(333)은 일반적인 종이류 포장재로 제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2 래퍼(332)는 내유하드 권지 또는 PLA 가향지일 수 있다. 또한, 제 2 래퍼(332)는 제 2 필터 세그먼트(323) 부분을 포장하고, 추가적으로 제 2 필터 세그먼트(323) 및 냉각 구조물(322)을 더 포장할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궐련(3)은 제 4 래퍼(334)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로드(310)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 중 적어도 하나는 제 4 래퍼(334)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담배 로드(310)만 제 4 래퍼(334)에 의하여 포장될 수도 있고, 담배 로드(310) 및 제 1 필터 세그먼트(321)가 제 4 래퍼(334)에 의하여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4 래퍼(334)는 종이류 포장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 4 래퍼(334)는 종이류 포장재의 일 표면 또는 양 표면에 소정의 물질이 도포(또는, 코팅)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물질의 예로서는 실리콘이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리콘은 온도에 따른 변화가 적은 내열성, 산화되지 않는 내산화성, 각종 약품에 대한 저항성, 물에 대한 발수성, 또는 전기 절연성 등의 특성을 갖는다. 다만, 실리콘이 아니더라도, 상술한 특성들을 갖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제 4 래퍼(334)에 도포(또는,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도 20b에는 궐련(3)이 제 1 래퍼(331) 및 제 4 래퍼(334)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궐련(3)이 제 1 래퍼(331) 및 제 4 래퍼(334)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제 4 래퍼(334)는 궐련(3)이 연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310)가 히터(130)에 의하여 가열되면, 궐련(3)이 연소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담배 로드(310)에 포함된 물질들 중 어느 하나의 발화점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될 경우, 궐련(3)이 연소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4 래퍼(334)는 불연성 물질을 포함하므로, 궐련(3)이 연소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4 래퍼(334)는 궐련(3)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에 의하여 홀더(1)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에 의하여, 궐련(3) 내에서 액체 물질들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3)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외부 공기에 의하여 냉각됨으로써, 액체 물질들(예를 들어, 수분 등)이 생성될 수 있다. 제 4 래퍼(334)가 담배 로드(310) 및/또는 제 1 필터 세그먼트(321)를 포장함에 따라, 궐련(3) 내에서 생성된 액체 물질들이 궐련(3)의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의 케이스(140) 등이 궐련(3)에서 생성된 액체 물질들에 의하여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1f는 궐련의 냉각 구조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예를 들어, 도 21a 내지 도 21f에 도시된 냉각 구조물은 순수한 폴리락트 산(PLA)으로 생산된 섬유들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필름(시트)를 충전하여 냉각 구조물을 필름(시트)을 제작하는 경우, 필름(시트)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부스러질 수 있다. 이 경우, 냉각 구조물이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효과가 감소된다.
다른 예로서, 압출 성형 등에 의하여 냉각 구조물을 제작하는 경우, 구조물의 절단 등의 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공정의 효율이 낮아진다. 또한, 냉각 구조물을 다양한 형상들로 제작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구조물을 폴리락트 산 섬유들을 이용하여 제작함(예를 들어, 직조)에 따라, 냉각 구조물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기능을 상실하게 될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섬유들을 조합하는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냉각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섬유들을 이용하여 냉각 구조물을 제작함으로써, 에어로졸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냉각 구조물의 에어로졸 냉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21a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10)은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냉각 구조물(1310)의 단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1311)가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21b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20)은 복수의 섬유들이 서로 얽힌 구조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섬유들 사이로 흐를 수 있고, 냉각 구조물(1320)의 형태에 따라 와류가 형성될 수도 있다. 형성된 와류는 냉각 구조물(1320)에서 에어로졸이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주고, 에어로졸이 냉각 구조물(1320) 내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 준다. 따라서, 가열된 에어로졸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도 21c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30)은 복수 개의 다발(1331)들이 모아진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21d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40)은 폴리락트 산, 각초 또는 숯 각각으로 제조된 과립들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과립은 폴리락트 산, 각초 및 참숯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과립은 폴리락트 산, 각초 및/또는 숯 외에도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1e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50)은 제 1 단면(1351) 및 제 2 단면(13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면(1351)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과 접경하며, 에어로졸이 유입되는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면(1352)은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와 접경하며, 에어로졸이 방출될 수 있는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면(1351)과 제 2 단면(1352)은 직경이 동일한 단일 공극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제 1 단면(1351)과 제 2 단면(1352)에 포함되는 공극의 직경 및 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불어, 냉각 구조물(1350)은 제 1 단면(1351)과 제 2 단면(1352) 사이에, 복수의 공극들이 포함된 제 3 단면(13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단면(1353)에 포함된 복수의 공극들의 직경은 제 1 단면(1351) 및 제 2 단면(1352)에 포함된 공극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3 단면(1353)에 포함된 공극들의 수는 제 1 단면(1351) 및 제 2 단면(1352)에 포함된 공극의 수 보다 많을 수 있다.
도 21f를 참조하면, 냉각 구조물(1360)은 제 1 필터 세그먼트(321)와 접경하는 제 1 단면(1361) 및 제 2 필터 세그먼트(323)와 접경하는 제 2 단면(13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각 구조물(1360)은 하나 이상의 관형 요소(136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형 요소(1363)는 제 1 단면(1361)과 제 2 단면(1362)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관형 요소(1363)는 미세다공질 포장재로 포장될 수 있고, 에어로졸의 냉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충전재(예를 들어, 도 21d를 참조하여 상술한 과립)로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홀더는 궐련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가 독립적으로 또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어 틸트된 상태에서도 에어로졸을 생성시킬 수 있다. 특히, 홀더가 틸트된 경우에는 크래들의 배터리의 전력에 의하여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7: 궐련 33: 결합 돌기
10, 110: 케이스 40, 140: 회전부
11p: 안내구멍 41, 141: 홈부
11: 중간통 50: 연결부
11e: 회전 제한부 51: 돌출부
12: 내통 52: 관통공
12c: 체결돌기 53: 결합홈
12p: 플랜지 70: 가압부
13: 외통 70a: 일단
14c: 체결홈 70b: 타단
14: 캡 71: 전기 배선
19, 119: 베이스 72: 전기공급장치
20: 통로 117: 안내 홈부
21: 개구 118: 플랜지홈
22d: 바닥부 133: 돌출부
22: 타측 개구 140s: 연결 통로
29: 구멍 142: 관통공
30: 히터 147: 이동 돌기
31: 일측 단부 148: 플랜지
32: 타측 단부

Claims (11)

  1. 궐련을 수용하는 통로를 구비한 중공형상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통로에 수용되는 상기 궐련에 삽입되도록 일측 단부가 상기 통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며, 전기가 인가되면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통로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통로의 길이방향의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히터를 연결하며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히터와 함께 회전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회전부의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상기 회전부의 다른 하나에 형성된 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돌출부를 관통시키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돌출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중심에 대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구멍을 구비하는 중간통을 더 구비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통은 상기 돌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더 구비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히터의 상기 일측 단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히터와 상기 관통공 중의 하나에서 돌출되는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히터와 상기 관통공 중의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구비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부의 이동에 대해 탄성력을 부여하는 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궐련이 수용되는 상기 통로를 갖는 중공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간통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통과, 상기 중간통의 외측에 배치되는 중공형상의 외통을 더 구비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히터의 상기 일측 단부가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는 캡을 더 구비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케이스의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이동 돌기와, 상기 이동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부와 상기 케이스의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함으로써 상기 돌출부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 홈부를 더 구비하는,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0128293A 2016-12-16 2017-09-29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4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04,458 US11246345B2 (en) 2017-04-11 2018-04-10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rotary heater
EP18783776.0A EP3610740A4 (en) 2017-04-11 2018-04-10 AEROSOL PRODUCTION DEVICE EQUIPPED WITH A ROTARY HEATING ELEMENT
JP2019555168A JP7004391B6 (ja) 2017-04-11 2018-04-10 回転するヒータを具備したエアロゾル生成装置
CN201880024070.7A CN110494050A (zh) 2017-04-11 2018-04-10 具有旋转式加热器的气溶胶生成装置
PCT/KR2018/004181 WO2018190607A2 (ko) 2017-04-11 2018-04-10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72889 2016-12-16
KR1020160172889 2016-12-16
KR20170046938 2017-04-11
KR1020170046938 2017-04-11
KR1020170077586 2017-06-19
KR1020170077586A KR20180070436A (ko) 2016-12-16 2017-06-19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455A true KR20180070455A (ko) 2018-06-26
KR102141161B1 KR102141161B1 (ko) 2020-08-04

Family

ID=62788349

Famil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389A KR102240404B1 (ko) 2016-12-16 2017-07-03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170084391A KR102487079B1 (ko) 2016-12-16 2017-07-03 이동식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0084390A KR102487080B1 (ko) 2016-12-16 2017-07-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0084386A KR102135892B1 (ko) 2016-12-16 2017-07-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흡연 제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170084385A KR102138873B1 (ko) 2016-12-16 2017-07-03 히터를 사전예열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170084387A KR102140798B1 (ko) 2016-12-16 2017-07-03 흡연 부재 클리닝 디바이스 및 흡연 부재 시스템
KR1020170084388A KR102142634B1 (ko) 2016-12-16 2017-07-03 흡연 부재 거치 디바이스 및 흡연 부재 시스템
KR1020170128293A KR102141161B1 (ko) 2016-12-16 2017-09-29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10841A KR20180070516A (ko) 2016-12-16 2018-01-29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180010835A KR102158355B1 (ko) 2016-12-16 2018-01-29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10834A KR102146054B1 (ko) 2016-12-16 2018-01-29 이동식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18815A KR102078263B1 (ko) 2016-12-16 2019-02-18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190033784A KR102033039B1 (ko) 2016-12-16 2019-03-25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200116256A KR102376514B1 (ko) 2016-12-16 2020-09-10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220148790A KR20220155960A (ko) 2016-12-16 2022-11-09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389A KR102240404B1 (ko) 2016-12-16 2017-07-03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170084391A KR102487079B1 (ko) 2016-12-16 2017-07-03 이동식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0084390A KR102487080B1 (ko) 2016-12-16 2017-07-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0084386A KR102135892B1 (ko) 2016-12-16 2017-07-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흡연 제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170084385A KR102138873B1 (ko) 2016-12-16 2017-07-03 히터를 사전예열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0170084387A KR102140798B1 (ko) 2016-12-16 2017-07-03 흡연 부재 클리닝 디바이스 및 흡연 부재 시스템
KR1020170084388A KR102142634B1 (ko) 2016-12-16 2017-07-03 흡연 부재 거치 디바이스 및 흡연 부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841A KR20180070516A (ko) 2016-12-16 2018-01-29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180010835A KR102158355B1 (ko) 2016-12-16 2018-01-29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10834A KR102146054B1 (ko) 2016-12-16 2018-01-29 이동식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90018815A KR102078263B1 (ko) 2016-12-16 2019-02-18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190033784A KR102033039B1 (ko) 2016-12-16 2019-03-25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0200116256A KR102376514B1 (ko) 2016-12-16 2020-09-10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0220148790A KR20220155960A (ko) 2016-12-16 2022-11-09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5) KR102240404B1 (ko)
CN (1) CN208192123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55A1 (ko)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0017696A1 (ko) * 2018-07-20 2020-01-23 (주)엠티아이지 티타늄을 이용하는 전자 담배용 히터 모듈
KR20200045818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이엠텍 승하강 히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KR20200125010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00129465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10000528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77375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77400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827B1 (ko) * 2018-06-26 2020-08-27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 입자 발생 장치의 예열완료 시간 제어 방법 및 미세 입자 발생 장치
JP7021351B2 (ja) * 2018-07-02 2022-02-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加熱型喫煙物品用の巻紙、非燃焼加熱型喫煙物品及び電気加熱型喫煙システム
KR102389828B1 (ko) * 2018-07-04 2022-04-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367432B1 (ko) * 2018-07-04 2022-02-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퍼프인식 방법
KR102376515B1 (ko) * 2018-07-05 2022-03-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89830B1 (ko) * 2018-07-05 2022-04-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296B1 (ko) * 2018-07-05 2021-1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75096B1 (ko) * 2018-07-05 2021-07-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0008028A1 (en) 2018-07-06 2020-01-09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adaptable haptic feedback
KR102372338B1 (ko) * 2018-07-06 2022-03-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89829B1 (ko) * 2018-07-09 2022-04-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42636B1 (ko) * 2018-08-07 2020-08-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청소하는 방법
EA202190502A1 (ru) * 2018-09-14 2021-07-30 ДжейТи ИНТЕРНЕШНЛ СА Удерживающий механизм расх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2203851B1 (ko) 2018-11-12 2021-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EP3677135B1 (en) * 2019-01-05 2022-01-05 Tuanfang Liu Electronic cigarette
CN109820253A (zh) * 2019-01-24 2019-05-31 东莞市麦斯莫科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吸烟器及双支组合装电子烟装置
KR102224748B1 (ko) 2019-02-13 2021-03-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GB201903245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KR102232204B1 (ko) * 2019-03-19 2021-03-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이의 배터리 수명 추정방법
PL3711552T3 (pl) 2019-03-22 2023-10-23 Imperial Tobacco Limited Układ zastępujący palenie
EP4190177A1 (en) 2019-03-22 2023-06-07 Nerudia Limited Smoking substitute system
KR102319257B1 (ko) * 2019-04-02 2021-11-01 (주)마그론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10146945A (ko) * 2019-04-04 2021-12-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오목형 지지 구성요소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MX2021012086A (es) * 2019-04-04 2021-11-03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generador de aerosol que comprende un elemento de soporte tubular hueco.
KR102342332B1 (ko) * 2019-04-17 2021-12-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위한 청소 기능을 구비한 충전 시스템 및 충전 기기
KR102272403B1 (ko) * 2019-04-29 2021-07-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포함되는 기류감지모듈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에서 사용자의 퍼프를 확인하는 방법
KR102273151B1 (ko) * 2019-04-30 2021-07-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52458B1 (ko) * 2019-04-30 2021-05-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52455B1 (ko) * 2019-05-09 2021-05-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퍼프를 검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71275B1 (ko) * 2019-05-14 2021-06-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키트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253052B1 (ko) * 2019-05-16 2021-05-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L3968798T3 (pl) 2019-05-17 2023-09-18 Philip Morris Products S.A. Układ wytwarzania aerozolu i haptyczne elementy wyjściowe do układu wytwarzania aerozolu
KR102281296B1 (ko) * 2019-06-17 2021-07-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81870B1 (ko) * 2019-06-18 2021-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마이크로웨이브를 통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330301B1 (ko) * 2019-06-21 2021-1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WO2021002392A1 (ja) * 2019-07-03 2021-01-0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の電源ユニットを動作させる方法、吸引装置の電源ユニット、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330808B1 (ko) * 2019-08-02 2021-1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7229B1 (ko) * 2019-08-05 2021-12-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433808B1 (ko) * 2019-08-08 2022-08-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353865B1 (ko) * 2019-08-08 2022-01-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255923B1 (ko) * 2019-08-09 2021-05-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청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315389B1 (ko) * 2019-08-09 2021-10-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청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WO2021053165A1 (en) * 2019-09-18 2021-03-25 Jt International S.A. Display bar graph and adaptive control
KR102329281B1 (ko) * 2019-10-11 2021-11-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0710710A (zh) * 2019-11-06 2020-01-21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降温吸附效果的低温卷烟嘴棒
KR102431330B1 (ko) * 2019-11-12 2022-08-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23895B1 (ko) * 2019-11-25 2022-07-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397451B1 (ko) * 2020-01-06 2022-05-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2543B1 (ko) * 2020-01-16 2021-11-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02064B1 (ko) * 2020-01-31 2022-05-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예열 시간이 단축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583905B1 (ko) * 2020-02-17 2023-09-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냉각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102544198B1 (ko) * 2020-03-17 2023-06-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30544B1 (ko) * 2020-04-08 2022-08-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427857B1 (ko) * 2020-05-14 2022-08-0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102533744B1 (ko) * 2020-06-04 2023-05-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기류패스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77685B1 (ko) * 2020-06-15 2022-12-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99213B1 (ko) * 2020-06-18 2022-05-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열 효율이 향상된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533743B1 (ko) * 2020-06-18 2023-05-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50721B1 (ko) * 2020-06-18 2022-10-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열 효율이 개선된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487084B1 (ko) * 2020-07-02 2023-01-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68652B1 (ko) * 2020-07-03 2022-11-22 몬스 주식회사 일회용 전자담배
JP7269378B2 (ja) * 2020-07-17 2023-05-08 ケー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ロゾル生成物品用加圧装置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102564029B1 (ko) * 2020-08-04 2023-08-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498888B1 (ko) * 2020-08-19 2023-02-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56047B1 (ko) * 2020-09-02 2023-07-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37975B1 (ko) * 2020-11-10 2023-05-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
CN113080530A (zh) * 2021-04-09 2021-07-09 福建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电子烟及其控制方法和控制器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30398B1 (ko) * 2021-06-11 2024-01-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3053183A1 (ja) * 2021-09-28 2023-04-0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の動作方法、プログラム、及び吸引装置
KR20230080587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미세입자 발생장치용 충전 및 살균 크래들
KR20230089625A (ko) 2021-12-13 2023-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온도 예측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230102574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스틱용 점화 시스템 및 이를 장착한 궐련 스틱
KR20230114791A (ko) * 2022-01-24 2023-08-0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연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WO2023139206A1 (en) * 2022-01-24 2023-07-27 Philip Morris Products S.A. Modular device with free rotation indexed user interface
KR20230121354A (ko) 2022-02-11 2023-08-18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초음파 세척 기능을 가지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WO2024053942A1 (en) * 2022-09-06 2024-03-14 Kt & G Corporation Inhaler providing vibration for powder inhalation
KR102562248B1 (ko) 2022-12-07 2023-08-01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029A (ko) * 2009-05-21 2012-03-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
KR20140092312A (ko) * 2011-10-25 2014-07-23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히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JP2015506170A (ja) * 2011-12-30 2015-03-0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温度分布が改善されたエアロゾル発生装置
CN205597118U (zh) * 2016-03-14 2016-09-28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支加热装置及电子烟
KR101667124B1 (ko) 2011-11-21 2016-10-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추출기
US20170095006A1 (en) * 2011-09-06 2017-04-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Heat insula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30744C1 (ru) * 1998-09-09 1999-05-27 Ставрулов Игорь Анатольевич Штучное табачн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упаковки штучных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AU2146700A (en) * 1998-11-10 2000-05-29 Philip Morris Products Inc. Brush cleaning unit for the heater fixture of a smoking device
US7861726B1 (en) * 2006-11-27 2011-01-04 Lukasavitz Steven J Filtration device for tobacco products
EP1989946A1 (en) 2007-05-11 2008-11-12 Rauchless Inc. Smoking device, charging means and method of using it
EP2201850A1 (en) * 2008-12-24 2010-06-30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rticl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use in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JP4739433B2 (ja) * 2009-02-07 2011-08-03 和彦 清水 無煙喫煙治具
EP2454956A1 (en) * 2010-11-19 2012-05-23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units
KR101098112B1 (ko) * 2011-03-30 2011-12-26 한정환 흡연 횟수 및 흡연 시간에 따라 전자 담배를 제어하는 시스템
BR112014012956B1 (pt) * 2011-12-30 2021-01-12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go para fumar, processo de usar um artigo para fumar e sistema
PL2797448T5 (pl) 2011-12-30 2019-12-31 Philip Morris Products S.A. Urządzenie do wytwarzania aerozolu z wykrywaniem przepływu powietrza
AU2012360820B2 (en) * 2011-12-30 2017-07-13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consumption monitoring and feedback
EP2816913B1 (en) * 2012-02-22 2019-01-09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improved heater element
AR091509A1 (es) * 2012-06-21 2015-02-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rticulo para fumar para ser usado con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interno
KR101383577B1 (ko) * 2012-07-26 2014-04-17 신종수 휴대용 전자담배 충전장치
KR200466757Y1 (ko) * 2012-11-01 2013-05-06 (주)잔티아시아 다기능 제어수단을 갖는 스마트 전자담배
TWI629007B (zh) * 2012-12-21 2018-07-11 Philip Morris Products S. A. 包含氣流導向元件的煙品
US9560883B2 (en) * 2013-03-15 2017-02-07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s
WO2015046386A1 (ja) * 2013-09-30 2015-04-0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WO2015107552A1 (en) 2014-01-17 2015-07-23 Godfrey Phillips India Limited Device and method of vaporizing a liquid material
DE202014001718U1 (de) * 2014-02-27 2015-05-28 Xeo Holding GmbH Rauchvorrichtung
US20150272211A1 (en) * 2014-03-25 2015-10-01 Chanseol Chung Electronic cigarette cover
CA2935967A1 (en) * 2014-03-31 2015-10-08 Philip Morris Products S.A. Electrically heated aerosol-generating system
KR20160012329A (ko) * 2014-07-23 2016-02-03 신원국 전자담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01476U (ko) * 2014-10-28 2016-05-10 하기성 전자 담배
WO2016075746A1 (ja) * 2014-11-10 2016-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制御方法
CN204317494U (zh) * 2014-11-15 2015-05-13 李述彦 一种滑盖式电子烟
KR101523088B1 (ko) * 2015-02-16 2015-05-26 전병철 전자담배
KR101908058B1 (ko) * 2015-07-07 2018-10-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담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029A (ko) * 2009-05-21 2012-03-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
US20170095006A1 (en) * 2011-09-06 2017-04-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Heat insula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KR20140092312A (ko) * 2011-10-25 2014-07-23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히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1667124B1 (ko) 2011-11-21 2016-10-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추출기
JP2015506170A (ja) * 2011-12-30 2015-03-0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温度分布が改善されたエアロゾル発生装置
CN205597118U (zh) * 2016-03-14 2016-09-28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支加热装置及电子烟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55A1 (ko)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00005078A (ko) * 2018-07-05 2020-01-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0017696A1 (ko) * 2018-07-20 2020-01-23 (주)엠티아이지 티타늄을 이용하는 전자 담배용 히터 모듈
KR20200045818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이엠텍 승하강 히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WO2020218855A3 (en) * 2019-04-25 2020-12-03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00125010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817587A4 (en) * 2019-04-25 2022-01-0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TWI785325B (zh) * 2019-04-25 2022-12-01 南韓商韓國煙草人參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裝置及包含其之系統
KR20230020487A (ko) * 2019-04-25 2023-02-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1957171B2 (en) 2019-04-25 2024-04-16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00129465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WO2020226458A3 (en) * 2019-05-08 2020-12-10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210000528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77375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077400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440A (ko) 2018-06-26
KR102240404B1 (ko) 2021-04-15
KR20190034514A (ko) 2019-04-02
KR102138873B1 (ko) 2020-07-29
KR20180070510A (ko) 2018-06-26
KR20180070439A (ko) 2018-06-26
KR102141161B1 (ko) 2020-08-04
KR20220155960A (ko) 2022-11-24
KR20180070442A (ko) 2018-06-26
KR102146054B1 (ko) 2020-08-20
KR20190019114A (ko) 2019-02-26
KR102078263B1 (ko) 2020-04-07
KR20200108398A (ko) 2020-09-18
CN208192123U (zh) 2018-12-07
KR102142634B1 (ko) 2020-08-07
KR20180070444A (ko) 2018-06-26
KR20180070516A (ko) 2018-06-26
KR102033039B1 (ko) 2019-11-08
KR20180070441A (ko) 2018-06-26
KR20180070509A (ko) 2018-06-26
KR102487080B1 (ko) 2023-01-16
KR20180070445A (ko) 2018-06-26
KR102140798B1 (ko) 2020-08-04
KR102376514B1 (ko) 2022-03-21
KR20180070443A (ko) 2018-06-26
KR102487079B1 (ko) 2023-01-27
KR102158355B1 (ko) 2020-09-22
KR102135892B1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0455A (ko)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1246345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rotary heater
US11197497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13589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610741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33037B1 (ko)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EP3610740A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rotary heater
KR10206507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610745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provided with movable heater
KR10207493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1252999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3303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610744A1 (en) Device for cleaning smoking member, and smoking member system
US20200154775A1 (en) Device for cleaning smoking member, and smoking memb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