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829B1 -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829B1
KR102389829B1 KR1020180079572A KR20180079572A KR102389829B1 KR 102389829 B1 KR102389829 B1 KR 102389829B1 KR 1020180079572 A KR1020180079572 A KR 1020180079572A KR 20180079572 A KR20180079572 A KR 20180079572A KR 102389829 B1 KR102389829 B1 KR 10238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heater
holder
driving devic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939A (ko
Inventor
정민석
고경민
서장원
장용준
정종성
장철호
정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8007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829B1/ko
Priority to PCT/KR2019/008342 priority patent/WO2020013544A1/ko
Publication of KR2020000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Abstract

궐련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궐련을 궐련이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인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히터 및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driver}
본 개시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제거하는 추출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추출기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착탈되는 추출기를 직접 추출하고, 추출기와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분리되는 궐련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착탈되는 추출기는 분실의 위험이 있고, 사용자가 추출기에 잔재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털어낼 것을 요구하며, 수용된 궐련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가열되는 궐련의 온도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에 따라, 종래의 추출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궐련을 추출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궐련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궐련을 상기 궐련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인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궐련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puff)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퍼프의 총 횟수 및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궐련에 대한 흡연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궐련에 대한 흡연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궐련을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퍼프의 총 횟수 및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궐련에 대한 흡연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이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자석에 상기 삽입방향으로의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궐련의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 및 상기 궐련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히터가 상기 궐련의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인 경우 상기 히터가 상기 궐련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까지 상기 궐련을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궐련을 상기 추출방향으로 2 mm 이상 3 mm 이하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궐련을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구동 장치에 의해 수용된 궐련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추출되어 제거되는 대신, 구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센서는 수용된 궐련에 대한 퍼프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는 감지된 퍼프에 기초하여 구동 장치가 수용된 궐련을 추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된 궐련에 대한 사용자의 흡연이 종료된 후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수용된 궐련의 추출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된 경우 구동 장치가 수용된 궐련을 추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구동 장치가 수용된 궐련을 추출하기 위해 구동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궐련의 분리 또는 낙하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되는 구동 장치는 수용된 궐련을 감싸는 형상을 채용하지 않음으로써 가열되는 궐련의 온도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기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착탈이 가능한 구성이 아니라는 점에서 분실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홀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크래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동작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삽입방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추출방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궐련이 추출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삽입방향은 케이스의 말단(141)으로부터 히터(13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추출방향은 삽입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이하, ‘홀더’라고 함)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를 포함한다. 또한, 홀더(1)는 케이스(140)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홀더(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홀더(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홀더(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한다.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의 필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다만,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예를 들어 히터(130)의 청소를 위하여,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다.
케이스(140)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40)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궐련을 홀더(1)에 삽입하여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40)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홀더(1)에서 궐련을 제거(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케이스(140)를 밀거나 당김에 따라, 케이스(140)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케이스(140)는 홀더(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140)의 말단(141)이 형성하는 구멍의 직경은 케이스(140)와 히터(1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제작될 수 있고, 이 경우 홀더(1)에 삽입되는 궐련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홀더(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는,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의 전체 용량 대비 어느 수준인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95% 이상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10% 이하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된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블레이드(blade) 형상 또는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30)는 일부 부분만 가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의 제 1 부분만 가열되고, 제 2 부분은 가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 1 부분은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었을 때 담배 로드가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히터(130)는 부분별로 상이한 온도로 가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 1 부분과 상술한 제 2 부분이 서로 상이한 온도로 가열될 수도 있다.
히터(1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전기 절연 물질로 형성된 기판 상에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판은 세라믹 물질로 제작되고, 전기 전도성 트랙은 텅스텐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홀더(1)에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지 않고,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홀더(1)의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홀더(1)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히터(130)에는 발열 및 온도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에는 발열을 위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이외에 온도 감지를 위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이 별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트랙에 걸리는 전압 및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면, 저항(R)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67473156-pat00001
수학식 1에서, R은 전기 전도성 트랙의 현재 저항 값을 의미하고, R0는 온도 T0(예를 들어, 0℃)에서의 저항 값을 의미하고, α는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온도 계수를 의미한다.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은 고유의 저항 온도 계수를 갖고 있는바, 전기 전도성 트랙을 구성하는 전도성 물질에 따라 α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R)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연산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온도 감지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홀더(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및 히터(130)뿐 만 아니라 홀더(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홀더(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히터(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히터(13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의 상태(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량 등)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퍼프(puff)의 유무 및 퍼프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고, 퍼프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가 작동하고 있는 시간을 계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후술할 크래들(2)이 홀더(1)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홀더(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홀더(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홀더(1)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홀더(1)의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홀더의 사용 가능 여부 등), 히터(13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예열 시작, 예열 진행, 예열 완료 등), 배터리(110)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 홀더(1)의 리셋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 홀더(1)의 청소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 홀더(1)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 퍼프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퍼프 횟수, 퍼프 완료 예고 등) 또는 안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시간 경과 등)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에 모터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를 이용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술한 정보들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사용자가 홀더(1)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및/또는 크래들(2)과 결합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홀더(1)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예를 들어, 1회, 2회 등)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예를 들어, 0.1초, 0.2초 등)을 조절함으로써, 홀더(1)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홀더(1)는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홀더(1)가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배터리(1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홀더(1)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홀더(1)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홀더(1)는 다음과 같이 히터(130)를 제어함으로써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히터(130)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분히 높은 온도는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이 청소되기에 적절한 온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홀더(1)는 삽입된 궐련에서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는 온도 범위 및 히터(130)를 예열하는 온도 범위 중 가장 높은 온도로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홀더(1)는 소정의 시구간 동안 히터(130)의 온도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시구간은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이 청소되기에 충분한 시구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홀더(1)는 10초 내지 10분의 시구간 중 적절한 시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홀더(1)는 20초 내지 1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적절한 시구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홀더(1)는 20초 내지 1분 30초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적절한 시구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홀더(1)가 히터(130)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하고 또한 소정의 시구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킴에 따라, 히터(130)의 표면 및/또는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에 증착된 물질이 휘발됨으로써 청소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및/또는 궐련 삽입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압력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홀더(1)는, 별도의 퍼프 감지 센서가 구비됨이 없이,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변화에 의하여 퍼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발열을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 및/또는 온도 감지를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한다. 또는, 홀더(1)가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을 이용하여 퍼프를 감지하는 것과는 별개로 퍼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궐련 삽입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정전 용량형 센서 또는 저항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궐련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홀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는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의 케이스(140)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이동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케이스(140)의 말단(141)으로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는 사용자가 홀더(1)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15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홀더(1)에는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크래들(2)은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230)을 포함한다. 크래들(2)의 설계에 따라, 크래들(2)은 별도의 뚜껑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크래들(2)에 별도의 뚜껑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후에 크래들(2)의 뚜껑이 닫힘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크래들(2)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크래들(2)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배터리(210)는 크래들(2)이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어 홀더(1)의 단자와 크래들(2)의 단자가 결합하는 경우, 크래들(2)의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된 경우, 배터리(2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의 단자와 크래들(2)의 단자가 결합되면, 홀더(1)의 배터리(110)가 방전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10)는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210)의 용량은 배터리(110)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크래들(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10)를 충전하거나 히터(130)를 가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홀더(1)와 크래들(2)을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흡연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은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터리(220)(예를 들어, 배터리(22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리셋(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홀더(1)의 청소(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충전(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은 사용자가 크래들(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홀더(1)와 결합하는 단자 및/또는 배터리(210)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크래들(2)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크래들(2)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크래들(2)은 홀더(1)의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홀더(1)의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홀더(1) 내의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크래들(2)이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크래들(2)의 배터리(2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크래들(2)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크래들(2)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는 크래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에는 뚜껑이 포함되지 않은 크래들(2)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의 일 측면에는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230)이 존재할 수 있다. 크래들(2)이 뚜껑과 같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에는 사용자가 크래들(2)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24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크래들(2)에는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b에는 뚜껑이 포함된 크래들(2)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의 내부 공간(230)에 홀더(1)가 삽입되고, 뚜껑(250)이 닫힘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삽입될 공간(230)이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존재하므로, 삽입된 홀더(1)는 크래들(2)의 다른 측면들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은, 홀더(1)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한 다른 구성(예를 들어, 뚜껑)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크래들(2)에는 홀더(1)와의 결착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271, 27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181)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착 부재(181, 271, 272)는 자석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1)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1, 27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결착 부재(181, 271, 272)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는 제 1 위치에 결착 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고, 크래들(2)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각각 결착 부재(271, 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와 제 3 위치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는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일 수 있다.
홀더(1) 및 크래들(2)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포함됨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삽입되더라도,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1) 및 크래들(2)에 단자 이외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더 포함됨에 따라,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에 별도의 구성(예를 들어, 뚜껑)이 없더라도, 삽입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자들 및/또는 결착 부재들(181, 271, 272)에 의하여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6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의 내부에서 틸트되어 있다. 여기에서, 틸트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흡연을 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면, 홀더(1)에 궐련이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흡연을 할 수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틸트되면, 홀더(1)의 말단(141)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말단(141)에 궐련을 삽입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흡연)할 수 있다. 틸트 각(θ)은 궐련이 홀더(1)의 말단(141)에 삽입될 때, 궐련이 꺾이거나 훼손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한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말단(141)에 포함된 궐련 삽입 구멍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최소 각도 또는 그 보다 큰 각도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트 각(θ)의 범위는 0°초과 180°이하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이상 9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의 범위는 5°이상 20°이하, 5°이상 30°이하, 5°이상 40°이하, 5°이상 50°이하, 또는 5°이상 6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은 10°가 될 수 있다.
또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홀더(1)의 단자와 크래들(2)의 단자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1)의 히터(13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의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도,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는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2)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3, 274)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결착 부재들(182, 273, 274) 각각의 위치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만약, 결착 부재들(182, 273, 274)이 자석이라고 가정하면, 결착 부재(274)의 자석 강도가 결착 부재(273)의 자석 강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결착 부재(182) 및 결착 부재(274)에 의하여, 홀더(1)는 크래들(2)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자들 및/또는 결착 부재들(182, 273, 274)에 의하여 홀더(1)가 틸트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히터(130)를 가열하거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7은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동작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홀더(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 외에 구동 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홀더(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홀더(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구동 장치(160)가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구동 장치(160)가 추출방향 또는 삽입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홀더(1)가 크래들(2)에 결합되는 경우, 배터리(110) 및 배터리(21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 장치(160)가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 및 제어부(22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히터(130)는 궐련(3)의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히터(130)는 궐련(3)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일 수 있다.
구동 장치(160)는 구동 장치(16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이 특정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기계적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동 장치(160)는 홀더(1) 내에서 고정된 위치를 갖는 고정부와 홀더(1) 내에서의 위치가 변할 수 있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160)에 포함되는 이동부는 추출방향 또는 삽입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장치(160)는 사용자에 의해 삽입방향으로 삽입된 궐련(3)을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구동 장치(160)가 추출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 구동 장치(160)는 궐련(3)에 접촉하여 궐련(3)을 추출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장치(160)는 견인 수단을 구비하여 궐련(3)을 추출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장치(160)는 고리 형상일 수 있고, 궐련(3)의 밑면을 견인하는 후크를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장치(160)는 전자석(electromagnet)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은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자성을 띠는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구동 장치(160)가 전자석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석은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기초하여, 삽입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추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석은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반대되는 자성을 띨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석은 자심(magnetic core)를 중심으로 도선이 감긴 형태의 솔레노이드(solenoid)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전류가 시계 방향인지 반시계 방향인지에 따라, 솔레노이드는 N극을 띠는 일측과 S극을 띠는 타측을 가지거나, S극을 띠는 일측과 N극을 띠는 타측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석은 솔레노이드 외에도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화 방향이 달라지는 형태일 수 있다.
구동 장치(160)의 고정부 및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석일 수 있다.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고정부 및 이동부 간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고정부 및 이동부 간에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구동 장치(160)의 이동부가 추출방향 또는 삽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는 자화 방향이 고정된 영구 자석이고, 이동부는 두 개의 자화 방향을 가질 수 있는 전자석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장치(160)는 전자석 외에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160)가 전자석 외에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전자석은 추출방향으로 구동하여 궐련(3)을 추출할 수 있고, 전자석에 연결된 탄성체는 추출방향으로 이동된 전자석을 삽입방향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석이 추출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 탄성체는 추출방향으로 변형되어 확장될 수 있다. 전자석이 추출방향으로 구동하면 탄성체는 전자석에 대해 복원력을 가할 수 있고,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류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탄성체는 전자석을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석이 추출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 탄성체는 추출방향으로 변형되어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구동 장치(160)가 추출방향 또는 삽입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전자석을 포함하거나 전자석 및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음이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장치(160)가 추출방향 또는 삽입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음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궐련(3)을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 장치(160)를 제어함에 따라, 궐련(3)은 구동 장치(160)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추출되어 제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궐련(3) 또는 궐련(3)을 수용하는 추출기를 직접 추출할 것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홀더(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히터(130), 구동 장치(160) 외에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궐련(3)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퍼프의 횟수 및 퍼프가 수행되는 누적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퍼프의 횟수 및 퍼프가 수행되는 누적 시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어부(120)는 메모리, 카운터 및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퍼프에 대한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궐련(3)에 대한 사용자의 흡연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20)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퍼프의 총 횟수 및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궐련(3)에 대한 사용자의 흡연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퍼프의 총 횟수 및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궐련(3)에 대한 사용자의 흡연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궐련(3)에 대한 사용자의 흡연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120)는 궐련(3)을 추출하도록 구동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궐련(3)에 대한 흡연을 완료하는 경우, 제어부(120)에 의해 궐련(3)의 추출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궐련(3)의 추출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1)가 배터리(110), 제어부(120), 히터(130), 구동 장치(160) 외에 별도의 입력 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버튼 및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입력을 제어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0)가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된 입력을 수신한 경우 궐련(3)을 추출하도록 구동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서 및 제어부(120)에 의해 흡연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고, 그에 따라 구동 장치(160)가 궐련(3)을 추출하여 궐련(3)이 홀더(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궐련(3)의 낙하 등의 불편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장치(160)가 궐련(3)을 추출하기 위해 구동하는 경우, 궐련(3)이 홀더(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 장치(160)가 추출방향으로 구동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 히터(130)가 궐련(3)의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인 경우, 구동 장치(160)는 히터(130)가 궐련(3)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까지 궐련(3)을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궐련(3)은 히터(130)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궐련(3)이 홀더(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궐련(3)의 분리 및 낙하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히터(130)가 궐련(3)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경우, 구동 장치(160)는 궐련(3)이 히터(130)에 의해 지지되어 홀더(1)와 분리되지 않는 위치까지 궐련(3)을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장치(160)는 궐련(3)에 히터(130)가 삽입되는 길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장치(160)는 추출방향으로 15 mm 이하의 거리만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궐련(3)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130)의 경우에도 궐련(3)이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는 거리가 채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 장치(160)는 궐련(3)을 추출방향으로 1 mm 이상 6 mm 이하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구동 장치(160)는 궐련(3)을 추출방향으로 2 mm 이상 3 mm 이하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구동 장치(160)는 궐련(3)을 추출방향으로 4m 이상 8m 이하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구동 장치(160)는 궐련을 추출방향으로 2m 이상 12m 이하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장치(160)가 궐련(3)을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리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예를 들면 15 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거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가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홀더
3: 궐련
110: 배터리
120: 제어부
130: 히터
160: 구동 장치

Claims (9)

  1. 궐련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궐련을 상기 궐련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인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궐련에 대한 사용자의 퍼프(puff)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퍼프의 총 횟수 및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궐련에 대한 흡연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궐련에 대한 흡연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궐련을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퍼프의 총 횟수 및 누적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궐련에 대한 흡연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삭제
  5. 궐련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궐련을 상기 궐련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인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이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자석에 상기 삽입방향으로의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궐련의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 및 상기 궐련의 외부에 위치하는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궐련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궐련을 상기 궐련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인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 및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궐련의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이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히터가 상기 궐련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까지 상기 궐련을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궐련을 상기 추출방향으로 2 mm 이상 3 mm 이하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궐련을 상기 추출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79572A 2018-07-09 2018-07-09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8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72A KR102389829B1 (ko) 2018-07-09 2018-07-09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CT/KR2019/008342 WO2020013544A1 (ko) 2018-07-09 2019-07-08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72A KR102389829B1 (ko) 2018-07-09 2018-07-09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39A KR20200005939A (ko) 2020-01-17
KR102389829B1 true KR102389829B1 (ko) 2022-04-22

Family

ID=6914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572A KR102389829B1 (ko) 2018-07-09 2018-07-09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9829B1 (ko)
WO (1) WO2020013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305B1 (ko) * 2020-06-17 2023-05-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39263B1 (ko) * 2021-06-29 2024-02-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퍼프보상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92637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알림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68320A (en) * 2011-11-21 2018-10-30 Philip Morris Products Sa Extra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N111772243B (zh) * 2015-02-06 2023-08-04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改进的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提取器
CN205597118U (zh) * 2016-03-14 2016-09-28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支加热装置及电子烟
KR102240404B1 (ko) * 2016-12-16 2021-04-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CN107713009B (zh) * 2017-11-29 2024-02-13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轴向转动取烟的电加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544A1 (ko) 2020-01-16
KR20200005939A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1941B1 (en) Fine particle generating device
KR10244736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8982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389829B1 (ko)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111438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と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37651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3029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42635B1 (ko)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238983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62658A (ko) 방열 구조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7233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67432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퍼프인식 방법
KR102442048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제어 방법
KR102330294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배터리의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2442184B1 (ko) 다단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9344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29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83057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이상동작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0507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295B1 (ko)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80409A (ko)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가열 챔버
KR10233029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38180A (ko)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