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248B1 -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248B1
KR102562248B1 KR1020220169587A KR20220169587A KR102562248B1 KR 102562248 B1 KR102562248 B1 KR 102562248B1 KR 1020220169587 A KR1020220169587 A KR 1020220169587A KR 20220169587 A KR20220169587 A KR 20220169587A KR 102562248 B1 KR102562248 B1 KR 102562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fan
heating
air introduction
cigarette
cigarette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범창
노순진
박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to KR102022016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26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in which the output signal is a pulse-train
    • G05B11/28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in which the output signal is a pulse-train using pulse-height modulation; using pulse-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수용부; 궐련 수용부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팅부; 궐련 수용부로 외기를 도입하는 제1 외기 도입홀; 제1 외기 도입홀을 통해 도입된 외기를 히팅부로 안내하는 외기 도입 관로; 및 외기 도입 관로와 제2 외기 도입홀 사이에 설치되며, 외기를 외기 도입 관로로 불어주는 양압을 형성하는 유동팬;을 포함하며, 유동팬에서 형성한 양압에 의해 외기가 궐련 수용부로 흐르게 함으로써 궐련 수용부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AEROSOL GENERATOR WITH FLOWFAN}
실시예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2)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1) 내에 각 부품들을 제어하는 PCB(21),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2), 히터(30)의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23), 히터(30)의 상태를 알려주는 진동 모터(24), 배터리(22)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20) 및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히터(30)등이 설치된다. 하부 케이스(11)의 하부에 PCB(21), 배터리(22), 버튼(23), 진동 모터(24) 및 단자(25)가 설치된다.
하부 케이스(11)의 상부에는 궐련이 삽입되는 수용부(11b)가 형성되며, 수용부(11b)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수용부(11b) 내에 히터(30)의 상부 팁이 위치되며, 수용부(11b) 내로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삽입되면 자연스럽게 히터(30)가 에어로졸 발생 기재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부 케이스(12)는 하부 케이스(11)의 상부에 결합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30)와 수용부(11b)가 설치된 하부 케이스(11)의 상부를 덮게 된다. 상부 케이스(12)의 상부에는 하부 케이스(11)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11b)를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커버(12b)가 구비된다. 상부 케이스(12)에는 수용부(11b)와 연결된 홀(12f)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커버(12b)가 홀(12f)을 막고 있다가 타측으로 슬라이드 되면 홀(12f)과 수용부(11b)가 개방되어 수용부(11b) 내로 궐련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궐련을 가열하면서 발생한 에어로졸이 차가운 공기와 만나면서 발생하는 그을음, 진액 등이 응축되어 궐련 수용부 내에 지속적으로 쌓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응축물은 위생상의 문제 뿐 아니라 발열체의 효율을 떨어트리고, 악취를 발생시켜 에어로졸의 맛을 변화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떨어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궐련 수용부에 대해 지속적으로 청소가 요구되어 사용이 번거로웠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내부에 응축물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2142634호
실시예는 궐련 수용부에 그을음, 담뱃진 등이 수분과 결합하여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팬을 통해 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는,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수용부; 궐련 수용부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팅부; 궐련 수용부로 외기를 도입하는 제1 외기 도입홀; 제1 외기 도입홀을 통해 도입된 외기를 히팅부로 안내하는 외기 도입 관로; 및 외기 도입 관로와 제2 외기 도입홀 사이에 설치되며, 외기를 외기 도입 관로로 불어주는 양압을 형성하는 유동팬;을 포함하며, 유동팬에서 형성한 양압에 의해 외기가 궐련 수용부로 흐르게 함으로써 궐련 수용부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궐련 수용부로 외기를 도입하는 제2 외기 도입홀;을 더 포함하며, 외기 도입 관로의 일단은 제2 외기 도입홀과 직접 연결되고, 제1 외기 도입홀과 외기 도입 관로 사이에 유동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제2 외기 도입홀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홀 캡;을 더 포함하며, 제2 외기 도입홀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서 궐련 수용부로 흐르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제2 외기 도입홀의 사이즈는 φ0.5~3mm 사이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외기 도입 관로와 궐련 수용부를 연결하는 에어 히팅 관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궐련 수용부는 히팅부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 파이프이며, 에어 히팅 관로는 궐련 수용부와 접촉하며, 궐련 수용부로부터 전도되는 열에 의해 도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에어 히팅 관로 주변에 설치되며 궐련 수용부로 도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에어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궐련 수용부는 자화 발열 가능한 소재로 제조되며, 히팅부는 궐련 수용부를 자화 발열시키는 유도 가열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외기 도입 관로와 궐련 수용부를 연결하며 자화 발열 가능한 소재로 제조되는 에어 히팅 관로; 및 에어 히팅 관로를 자화 발열시키는 유도 가열 코일인 에어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유동팬의 회전 속도는 8500rpm ~ 1700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유동팬의 속도는 PWM제어식 또는 전압 조절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유동팬의 전압은 1.5V~3.3V 사이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기 설정된 프로파일 또는 히터의 온도에 따라 유동팬의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양압을 형성하는 유동팬을 구비하여, 저압인 궐련 수용부로 외기를 강제로 불어넣음으로써 수분을 배출하여 에어로졸과 수분이 결합되어 궐련 수용부에 응축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유동팬과 외기 유입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유동팬에 의한 외기 유입 경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유동팬 제어 장치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작동시킨 경우와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통해 에어로졸을 흡입할 때의 관능 평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종래 기술과 실시예에 따른 3회 평균 ACM을 비교한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유동팬과 외기 유입 구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유동팬에 의한 외기 유입 경로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는 각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110)을 구비한다. 프레임(110)에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전장품을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200) 및 전장품들을 제어하는 제어기판(210)이 설치된다. 배터리(200)의 일 측에는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수용부(310)가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상부 커버(120)가 형성되며, 상부 커버(120)에는 궐련 수용부(310)를 개폐하는 도어 커버(130)가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10)의 하측에는 하부 커버(140)가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서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프레임(110)의 외측에 결합되며 부품들을 커버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미도시)가 구비된다.
궐련 수용부(310)는 궐련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부(320)가 설치되는데, 제1 실시에에서, 궐련 수용부(310)는 자화 발열 가능한 소재(서셉터)로 제조되는 히팅 파이프이며, 히팅부(320)는 궐련 수용부(310)를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이다. 이때, 발열하거나 가열되는 궐련 수용부(310)는 내열 소재의 상부 홀더(334)와 하부 홀더(336)에 의해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또한 유도 가열 코일인 히팅부(320)는 히팅부 브라켓(332)의 외주에 설치된다. 이때, 궐련 수용부(310)의 열이 유도 가열 코일인 히팅부(320)로 전달되는 경우 유도 가열 성능이 저하되므로, 히팅부 브라켓(332)과 궐련 수용부(31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궐련 수용부(310)에 궐련을 수용하고 가열하여 발생시킨 에어로졸을 원활히 흡입하기 위해서는 외기가 궐련 수용부(310) 내로 유입되어 유동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궐련 수용부(310)로 외기를 도입할 수 있는 제1 외기 도입홀(142)이 하부 커버(140)에 형성되며, 제1 외기 도입홀(142)로 도입된 외기를 궐련 수용부(310)로 안내하는 외기 도입 관로(350)가 프레임(110)에 구비된다. 이때, 외기 도입 관로(350)와 제1 외기 도입홀(142) 사이에는 강제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팬(400)이 설치된다. 유동팬(400)은 유동팬 하우징(500)에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유동팬(400)에 의해 외기가 유입되어 양압이 발생하면, 유동팬(4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압인 궐련 수용부(310) 측으로 외기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유동팬(400) 하우징(500)의 일 측에는 토출구(520)가 형성되며, 토출구(520)는 외기 도입 관로(350)와 연결된다.
한편, 외기 도입 관로(350)와 연결되는 제2 외기 도입홀(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시 제1 외기 도입홀(142)과 유동팬(400)을 통해 도입된 외기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제2 외기 도입홀(144)을 통해 외기 도입 관로(350)로 외기가 추가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흡입을 하지 않을 경우, 유동팬(400)의 양압에 의해 발생한 외기 중 일부는 궐련 수용부(310)를 거쳐 배출되고, 일부는 궐련 수용부(310)를 거치지 않고 제2 외기 도입홀(144)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 외기 도입홀(144)을 통한 유동의 배출 여부와 유동 배출량은 유동팬(400)에서 생성한 유동의 풍량과 궐련 수용부(310) 및 제2 외기 도입홀(144)의 유동 저항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제2 외기 도입홀(144)은 홀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유동 저항을 달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유동팬(400)에 의해 발생한 유동 중 궐련 수용부(310)로 흐르는 외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프레임(110)과 하부 커버(140)의 사이에 하부 프레임(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10)의 하면, 하부 커버(140), 하부 프레임(150)에는 유동팬(400)으로 외기를 유입하는 제1 외기 도입홀(112, 142, 152)이 형성된다. 각 파트에 형성되는 제1 외기 도입홀(112, 142, 152)들은 서로 연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동팬 하우징(500)의 토출구(520)가 형성되며, 토출와 외기 도입 관로(350)가 연결되며, 유동팬 하우징(500)의 토출구(520)와 연통할 수 있는 위치에 제2 외기 도입홀(114, 144, 154)이 형성된다. 프레임(110)의 하면, 하부 커버(140), 하부 프레임(150)에 형성되는 제2 외기 도입홀(114, 144, 154)들도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제2 외기 도입홀(114, 144, 154)에는 제2 외기 도입홀(114, 144, 154)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홀 캡(160)이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150)에 형성된 제2 외기 도입홀(154)은 홀 캡(160)을 장착하기 위한 안착단(154a)을 구비하는데, 이때 안착단(154a)과 제2 외기 도입홀(154)이 편심되어 있다. 또한 홀 캡(160)도 편심된 위치에 홀(164)이 형성되어 있어, 홀 캡(160)을 회전시킴에 따라 홀(164)과 안착단(154a)이 서로 겹쳐지는 면적에 따라 홀 캡(160)의 홀(164)의 개방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때 제2 외기 도입홀(114, 144, 154)의 사이즈는 φ0.5~3mm 사이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궐련 수용부(310)로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기를 그대로 도입하는 것보다 외기를 가열하여 도입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외기 도입 관로(350)와 궐련 수용부(310) 사이에는 외기를 가열할 수 있는 에어 히팅 관로(3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에어 히팅 관로(340)는 궐련 수용부(310)와 직접 접촉하고 있어, 열 전도에 의해 가열되고, 전도로 가열된 에어 히팅 관로(340)가 도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에어 히팅 관로(340)의 상단은 궐련 수용부(310)를 고정하는 하부 홀더(336)의 하측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히팅 관로(340)의 하단과 외기 도입 관로(350)의 상단을 연결하는 커넥터(33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커넥터(338)는 하부 홀더(336) 내에 삽입 결합된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히팅 관로(340)는, 궐련 수용부(310)로부터 전도에 의해 열을 전달받아 외기를 가열하지 않고, 별도의 에어 히터(34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에어 히팅 관로(340)를 자화 발열 소재인 서셉터로 형성하고, 에어 히터(344)로 유도 가열 코일을 배치할 수 있다. 유도 가열 코일인 에어 히터(344)는 하부 홀더(336)의 외측에 배치되어, 에어 히팅 관로(340)와 에어 히터(344) 사이에 단열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궐련 수용부(310)와 에어 히팅 관로(340)가 서셉터로 형성되고, 궐련 수용부(310)와 에어 히팅 관로(340)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부(320)와 에어 히터(344)가 유도 가열 코일로 구성되었으나, 유도 가열 코일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궐련 수용부(310)와 에어 히팅 관로(340)를 가열하는 발열 코일 등이 배치되거나, 발열 필름 등이 부착될 수도 있다.
에어 히터(344 주변에 설치되며 궐련 수용부로 도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에어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유동팬 제어 장치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유동팬은 8500rpm ~ 17000rpm의 회전 속도를 가지는 게 바람직한데, 유동팬의 속도는 PWM제어식 또는 전압 조절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팬의 전압은 1.5V~3.3V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프로파일 또는 히터의 온도에 따라 유동팬의 속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유동팬을 작동시킨 경우와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 에어로졸 발생장치를 통해 에어로졸을 흡입할 때의 관능 평가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사용자들은 3점 만점으로 유동팬을 작동시킨 경우와 작동시키지 않은 경우 에어로졸의 맛을 평가하였다. 궐련 수용부 내에 축적되어 있던 응축물이 가열되어 에어로졸과 혼합될 수 있는 초반의 경우, 특히 유동팬을 작동시키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에서 유동팬을 작동시키지 않는 종래 기술에 피해 평가가 높았다.
도 8은 종래 기술과 실시예에 따른 3회 평균 ACM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ACM은 에어로졸의 양을 무게로 측정한 것으로, 3회 퍼프 시의 ACM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유동팬이 없는 종래 기술과 유동팬을 작동시킨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의 발생량은 모두 12mg으로 에어로졸 발생량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은 궐련 20개피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킨 후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무게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유동팬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궐련 20개피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킨 경우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무게는 13.1mg 증가하였으나, 유동팬을 작동시키면서 궐련 20개피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킨 경우 4mg밖에 증가하지 않았다. 즉, 유동팬을 사용하여 궐련 수용부 내의 습기를 배출하는 실시예의 경우 종래 기술에 비해 궐련 가열 후 궐련 수용부에 축적되는 응축물의 양이 확연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3)

  1.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수용부;
    궐련 수용부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팅부;
    궐련 수용부로 외기를 도입하는 제1 외기 도입홀;
    제1 외기 도입홀을 통해 도입된 외기를 히팅부로 안내하는 외기 도입 관로;
    외기 도입 관로의 일단이 직접 연결되어 외기 도입 관로를 통해 궐련 수용부로 추가로 외기를 도입하는 제2 외기 도입홀;
    제2 외기 도입홀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홀 캡; 및
    외기 도입 관로와 제1 외기 도입홀 사이에 설치되며, 외기를 외기 도입 관로로 불어주는 양압을 형성하는 유동팬;을 포함하며,
    유동팬에서 형성한 양압에 의해 외기가 궐련 수용부로 흐르게 하고 제2 외기 도입홀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궐련 수용부로 흐르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면서 궐련 수용부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외기 도입홀의 사이즈는 φ0.5~3mm 사이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외기 도입 관로와 궐련 수용부를 연결하는 에어 히팅 관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궐련 수용부는 히팅부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 파이프이며,
    에어 히팅 관로는 궐련 수용부와 접촉하며, 궐련 수용부로부터 전도되는 열에 의해 도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에어 히팅 관로 주변에 설치되며 궐련 수용부로 도입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에어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8.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궐련 수용부는 자화 발열 가능한 소재로 제조되며,
    히팅부는 궐련 수용부를 자화 발열시키는 유도 가열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외기 도입 관로와 궐련 수용부를 연결하며 자화 발열 가능한 소재로 제조되는 에어 히팅 관로; 및
    에어 히팅 관로를 자화 발열시키는 유도 가열 코일인 에어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팬의 회전 속도는 8500rpm ~ 17000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1.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팬의 속도는 PWM제어식 또는 전압 조절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유동팬의 전압은 1.5V~3.3V 사이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프로파일 또는 히터의 온도에 따라 유동팬의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0220169587A 2022-12-07 2022-12-07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KR102562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587A KR102562248B1 (ko) 2022-12-07 2022-12-07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587A KR102562248B1 (ko) 2022-12-07 2022-12-07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248B1 true KR102562248B1 (ko) 2023-08-01

Family

ID=8756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587A KR102562248B1 (ko) 2022-12-07 2022-12-07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2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634B1 (ko) 2016-12-16 2020-08-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연 부재 거치 디바이스 및 흡연 부재 시스템
KR20200129465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20044158A (ko) * 2020-09-28 2022-04-06 차이나 타바코 윈난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궐련 전단에서 유도 가열되는 발연 장치
KR20220104073A (ko) * 2015-08-31 2022-07-25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흡연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KR20220118601A (ko) * 2021-02-18 2022-08-26 황성하 휴대용 담배연기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4073A (ko) * 2015-08-31 2022-07-25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흡연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KR102142634B1 (ko) 2016-12-16 2020-08-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연 부재 거치 디바이스 및 흡연 부재 시스템
KR20200129465A (ko) *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20044158A (ko) * 2020-09-28 2022-04-06 차이나 타바코 윈난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궐련 전단에서 유도 가열되는 발연 장치
KR20220118601A (ko) * 2021-02-18 2022-08-26 황성하 휴대용 담배연기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1871B2 (en) Coffee maker and microwave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023173A1 (zh) 一种烟草蒸发器
JP7277605B2 (ja) エアロゾル生成デバイスのための装置
WO2019115475A1 (e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efficient heating
WO2010126037A1 (ja) 加熱調理器
CN109965351B (zh) 外围电加热吸烟装置及加热控制方法
CN210017883U (zh) 加热组件、雾化器及电子烟
CN210008531U (zh) 加热组件、雾化器及电子烟
CN211241756U (zh) 电子烟、雾化器及其调气结构
WO2022063329A1 (zh) 双加热低温烟草加热装置
KR102562248B1 (ko) 유동팬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JP2003185145A (ja) 湿度センサを備えた電子レンジ
JP2023012550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306667B1 (ko) 증발식 흡연장치
CN210353148U (zh) 加热不燃烧器具
WO2021143798A1 (zh) 气溶胶发生装置
CN209314972U (zh) 低温不燃烧发烟设备
JP2023547923A (ja) 自己支持構成要素を備えたエアロゾル発生装置
CN216821807U (zh) 一种汽化冷凝水的气溶胶生成装置
JP3218283B2 (ja) 蒸気排出装置
US20230404156A1 (en) Accessory for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heating element
KR102569308B1 (ko)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
JP2004093048A (ja) 加熱調理器
CN219047392U (zh) 加热组件及混合加热装置
CN112438432A (zh) 雾化器、电子烟、气溶胶递送系统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