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078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078A
KR20200005078A KR1020180078301A KR20180078301A KR20200005078A KR 20200005078 A KR20200005078 A KR 20200005078A KR 1020180078301 A KR1020180078301 A KR 1020180078301A KR 20180078301 A KR20180078301 A KR 20180078301A KR 20200005078 A KR20200005078 A KR 20200005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older
flange
heating wir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292B1 (ko
Inventor
장철호
정진철
고경민
서장원
정민석
정종성
장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8007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292B1/ko
Priority to PCT/KR2019/008095 priority patent/WO2020009455A1/ko
Publication of KR2020000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외주면의 일 부분에 캠홀부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의해 하부 단부가 지지되는 히터; 및 캠홀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캠돌기를 갖고 히터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히터 플랜지;를 구비하고, 히터는 히터 플랜지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제 1 히터 열선과 히터 플랜지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 2 히터 열선을 갖고, 캠돌기가 캠홀부를 따라 이동하면 히터 플랜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히터 플랜지가 이동함에 따라 제 2 히터 열선이 히터 플랜지의 상부 측으로 노출되고, 제 1 히터 열선 및 제 2 히터 열선이 가열되어 히터에 점착된 고착물을 연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흡연 시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의 잔여 물질들이 점착된다. 점착된 잔여 물질들은 고착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손상이나 고장을 유발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하거나 열 효율 감소로 인하여 사용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고착물들이 가열되어 불완전한 연소가 일어나 불쾌한 냄새가 흡연 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를 개별적으로 청소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히터의 부분들 중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 요소들에 의해 은폐되어 노출되지 않은 부분은 사용자의 청소에 의해서도 고착물들이 쉽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존재한다.
사용자의 청소에도 제거되지 않은 히터의 내부에 점착된 고착물들의 제거를 위해 종래에는 히터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켜 히터에 점착된 고착물들을 연소시켜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러한 히터의 가열을 통한 고착물들의 연소는 사용자들이 쉽게 청소할 수 없는 히터의 내부 부분의 고착물들을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연소를 통한 제거 방법은 히터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킬 필요가 발생하여 히터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예를 들어 히터 플랜지)들이 열에 의해 용융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히터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들을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열이 전달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들에서 이격된 부분들만이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어 히터의 내부 부분에 여전히 고착물들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들은 히터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히터 플랜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외주면의 일 부분에 캠홀부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의해 하부 단부가 지지되는 히터; 및 캠홀부를 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캠돌기를 갖고 히터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히터 플랜지;를 구비하고, 히터는 히터 플랜지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제 1 히터 열선과 히터 플랜지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 2 히터 열선을 갖고, 캠돌기가 캠홀부를 따라 이동하면 히터 플랜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히터 플랜지가 이동함에 따라 제 2 히터 열선이 히터 플랜지의 상부 측으로 노출되고, 제 1 히터 열선 및 제 2 히터 열선이 가열되어 히터에 점착된 고착물을 연소시킬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캠홀부가 형성된 외주면의 일 부분을 감싸며 내면에 장착홈을 갖는 회전부를 더 구비하고, 캠돌기는 장착홈과 결합되어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캠홀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캡홀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캠홀부가 형성된 외주면의 일 부분을 감싸며 내면에 장착홈을 갖는 회전부를 더 구비하고, 캠돌기는 장착홈과 결합되어 회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캠홀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PCB 및 PCB와 연결되어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캠홀부가 형성된 외주면의 일 부분은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단턱진 구조일 수 있다.
제 2 히터 열선의 온도는 제 1 히터 열선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히터 플랜지 및 회전부는 내열성 재료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a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b는 실시예에 관한 홀더의 히터 플랜지의 이동 전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1c는 실시예에 관한 홀더의 히터 플랜지의 이동 후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1d는 실시예에 관한 홀더의 외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e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홀더의 외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홀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크래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이하, '홀더'라고 함)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를 포함한다. 또한, 홀더(1)는 하우징(140)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홀더(1)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홀더(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홀더(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한다.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열된 히터(130)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의 필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다만,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예를 들어 히터(130)의 청소를 위하여, 홀더(1)는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다.
하우징(140)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40)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궐련을 홀더(1)에 삽입하여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40)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홀더(1)에서 궐련을 제거(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하우징(140)를 밀거나 당김에 따라, 하우징(140)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하우징(140)는 홀더(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말단(141)이 형성하는 구멍의 직경은 하우징(140)와 히터(13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제작될 수 있고, 이 경우 홀더(1)에 삽입되는 궐련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홀더(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는,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배터리(110)의 전체 용량 대비 어느 수준인가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95% 이상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에 저장된 전력이 전체 용량의 10% 이하인 경우에, 배터리(110)가 완전 방전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110)의 완전 충전 및 완전 방전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히터(130)는 배터리(11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된다.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면,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는 궐련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블레이드(blade) 형상 또는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30)는 일부 부분만 가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의 제 1 부분만 가열되고, 제 2 부분은 가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 1 부분은 궐련이 홀더(1)에 삽입되었을 때 담배 로드가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히터(130)는 부분별로 상이한 온도로 가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 1 부분과 상술한 제 2 부분이 서로 상이한 온도로 가열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관한 홀더의 히터 플랜지(135)의 이동 전의 중심축 방향 단면도인 도 1b를 참조하면 홀더(1)에 대해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홀더(1)는 히터(130)를 지지하는 지지부(1305)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30)의 하부 단부는 지지부(130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히터(13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히터 플랜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 플랜지(135)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히터(130)에 대해 히터(130)의 상부 방향에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히터(130)는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히터 플랜지(135)의 상부 측에는 제 1 히터 열선(1301)이 위치하고 히터 플랜지(135)의 하부 측에는 제 2 히터 열선(1302)이 위치할 수 있다. 흡연 시에 히터 플랜지(135)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히터 열선(1301)만이 노출된다.
따라서 제 1 히터 열선(1301)은 궐련이 히터(130)에 삽입된 후 궐련을 가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히터 플랜지(135)가 사용자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에는 제 2 히터 열선(1302)은 흡연 시 히터 플랜지(135)에 의해 은폐된다.
도 1d를 참조하여 홀더(1)의 외주면의 일 부분에 형성된 캠홀부(1352)와 캠홀부(1352)로부터 돌출된 히터 플랜지(135)의 캠돌기(1351)을 살펴보면, 홀더(1)의 외주면의 일 부분에는 캠홀부(13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캠홀부(1352)는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히터 플랜지(135)는 히터 플랜지(135)의 외측면에서 하우징(140)으로 연장하는 캠돌기(1351)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히터 플랜지(135)의 캠돌기(1351)는 하우징(140)의 캠홀부(1352)를 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플랜지(135)의 캠돌기(1351)는 홀더(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히터 플랜지(135)의 캠돌기(1351)는 캠홀부(135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캠홀부(1352)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는 캠돌기(1351)는 히터 플랜지(135)를 이동시킬 수 있다. 히터 플랜지(135)가 이동함에 따라 히터 플랜지(135)의 하부 측에 위치한 제 2 히터 열선(1302)이 히터 플랜지(135)의 상부 측으로 이동하여 노출될 수 있다. 제 2 히터 열선(1302)이 노출됨에 따라 히터 플랜지(135)는 히터(130)의 하부 단부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관한 홀더의 외면을 도시한 도 1e를 참조하면, 홀더(1)의 외주면의 일 부분에 형성된 캠홀부(1352)는 홀더(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히터 플랜지(135)의 캠돌기(1351)는 하우징(140)의 캠홀부(1352)를 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홀더(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캠홀부(1352)를 통하여 돌출된 캠돌기(1351)는 캠홀부(135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히터 플랜지(135)가 이동하여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이 모두 히터 플랜지(135)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히터 플랜지(135)의 캠돌기(1351)를 통하여 하우징(140)의 캠홀부(1352)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이 모두 히터 플랜지(135)의 상부 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히터 플랜지(135)가 고정되었던 홀더(1)에서는 히터(130)의 하단 부분, 즉 히터(130)와 히터 플랜지(135)가 접촉하고 있는 히터(130)의 부분이 노출되지 않고 고착물이 히터 플랜지(135)에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히터(130)의 하단부에 점착된 고착물들을 청소 또는 연소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실시예에 관한 홀더(1)에서는 히터 플랜지(135)가 이동 가능하여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이 모두 히터 플랜지(135)의 상부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히터(130)에 점착되어 있던 고착물들 또한 함께 노출되게 되어 청소 및 연소가 용이하다.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은 홀더(1)의 흡연 기능과는 상이한 청소 기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이 모두 작동되어 전원이 공급되게 되면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이 가열되게 된다.
홀더(1)의 흡연 모드에서 제 1 히터 열선(1301)만이 가열되는 것과는 상이하게 청소 기능에서는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이 모두 가열되게 된다. 히터 플랜지(135)가 히터(130)에 고정된 채 제 1 히터 열선(1301) 또는 제 2 히터 열선(1302)이 고착물들을 연소시키기 위해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게 되면 히터 플랜지(135)의 용융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홀더(1)의 히터 플랜지(135)는 히터(130)의 하단 부분으로 이동하여 히터(130)의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이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히터(130)에 점착된 고착물을 연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홀더(1)는 캠홀부(1352)가 형성된 외주면의 일 부분을 감싸며 내면에 장착홈을 갖는 회전부(13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부(1355)의 내면에 형성된 장착홈은 히터 플랜지(135)의 캠돌기(1351)와 결합될 수 있다.
히터 플랜지(135)의 캠돌기(1351)와 회전부(1355)의 장착홈이 결합됨에 따라 회전부(1355)를 회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히터 플랜지(13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히터 플랜지(135)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회전부(1355)를 회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홀더(1)는 또한 히터(130)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PCB 및 PCB와 연결되어 히터(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히터(130)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PCB, 및 PCB와 연결되는 배터리(110)를 통하여 히터(13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히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흡연 기능에서 제 1 히터 열선(1301)이 가열될 수 있고, 청소 기능에서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이 모두 가열될 수 있다.
캠홀부(1352)가 형성된 홀더(1)의 외주면의 일 부분, 즉 회전부(1355)가 위치하는 외주면의 일 부분은 홀더(1)의 하우징(140)의 내부 방향으로 단턱진 구조일 수 있다. 단턱진 구조에 회전부(1355)가 위치하여 홀더(1)가 회전부(1355)와 일체로서 굴곡 없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홀더(1)가 일체로서 굴곡 없는 외주면을 가질 수 있어 크래들과 결합할 때 사용자는 걸림 없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히터(130)의 제 2 히터 열선(1302)의 온도는 히터(130)의 제 1 히터 열선(1301)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히터(130)의 제 2 히터 열선(1302)이 위치하는 히터(130)의 하부 부분에 점착된 고착물들은 평상시 노출되지 않아 쉽게 청소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부분의 온도를 상부 부분의 온도보다 높게 가열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고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홀더(1)의 히터 플랜지(135)와 회전부(1355)는 내열성 재료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1)의 청소 기능을 사용할 때 홀더(1)의 히터 플랜지(135)와 회전부(1355)는 제 1 히터 열선(1301) 및 제 2 히터 열선(1302)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히터(130)나 다른 구성 요소들을 통하여 열이 전달되어 히터 플랜지(135)나 회전부(1355)가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 플랜지(135) 및 회전부(1355)는 내열성 재료를 구비할 수 있다.
히터(13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는 전기 절연 물질로 형성된 기판 상에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판은 세라믹 물질로 제작되고, 전기 전도성 트랙은 텅스텐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홀더(1)에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지 않고,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홀더(1)의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홀더(1)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히터(1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히터(130)에는 발열 및 온도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에는 발열을 위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 이외에 온도 감지를 위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이 별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트랙에 걸리는 전압 및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면, 저항(R)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R은 전기 전도성 트랙의 현재 저항 값을 의미하고, R0는 온도 T0(예를 들어, 0℃)에서의 저항 값을 의미하고, α는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온도 계수를 의미한다.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은 고유의 저항 온도 계수를 갖고 있는바, 전기 전도성 트랙을 구성하는 전도성 물질에 따라 α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R)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연산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온도 감지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홀더(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및 히터(130)뿐 만 아니라 홀더(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홀더(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히터(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히터(13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의 상태(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량 등)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퍼프(puff)의 유무 및 퍼프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고, 퍼프의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홀더(1)가 작동하고 있는 시간을 계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후술할 크래들(2)이 홀더(1)와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홀더(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홀더(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및 히터(13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홀더(1)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홀더(1)의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홀더의 사용 가능 여부 등), 히터(13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예열 시작, 예열 진행, 예열 완료 등), 배터리(110)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11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 홀더(1)의 리셋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 홀더(1)의 청소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 홀더(1)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 퍼프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퍼프 횟수, 퍼프 종료 예고 등) 또는 안전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시간 경과 등)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에 모터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모터를 이용하여 진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술한 정보들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사용자가 홀더(1)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및/또는 크래들(2)과 결합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홀더(1)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예를 들어, 1회, 2회 등)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예를 들어, 0.1초, 0.2초 등)을 조절함으로써, 홀더(1)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홀더(1)는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홀더(1)가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배터리(1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홀더(1)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홀더(1)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홀더(1)는 다음과 같이 히터(130)를 제어함으로써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히터(130)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충분히 높은 온도는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이 청소되기에 적절한 온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홀더(1)는 삽입된 궐련에서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는 온도 범위 및 히터(130)를 예열하는 온도 범위 중 가장 높은 온도로 히터(130)를 가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홀더(1)는 소정의 시구간 동안 히터(130)의 온도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시구간은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이 청소되기에 충분한 시구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홀더(1)는 10초 내지 10분의 시구간 중 적절한 시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홀더(1)는 20초 내지 1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적절한 시구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홀더(1)는 20초 내지 1분 30초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적절한 시구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홀더(1)가 히터(130)를 충분히 높은 온도로 가열하고 또한 소정의 시구간 동안 가열된 히터(130)의 온도를 유지시킴에 따라, 히터(130)의 표면 및/또는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에 증착된 물질이 휘발됨으로써 청소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및/또는 궐련 삽입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압력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홀더(1)는, 별도의 퍼프 감지 센서가 구비됨이 없이,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변화에 의하여 퍼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발열을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 및/또는 온도 감지를 위한 전기 전도성 트랙을 포함한다. 또는, 홀더(1)가 히터(130)에 포함된 전기 전도성 트랙을 이용하여 퍼프를 감지하는 것과는 별개로 퍼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궐련 삽입 감지 센서는 일반적인 정전 용량형 센서 또는 저항 센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홀더(1)는 궐련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홀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는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의 하우징(140)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이동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하우징(140)의 말단(141)으로 궐련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는 사용자가 홀더(1)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15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홀더(1)에는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크래들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크래들(2)은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230)을 포함한다. 크래들(2)의 설계에 따라, 크래들(2)은 별도의 뚜껑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크래들(2)에 별도의 뚜껑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후에 크래들(2)의 뚜껑이 닫힘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크래들(2)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크래들(2)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배터리(210)는 크래들(2)이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어 홀더(1)의 단자와 크래들(2)의 단자가 결합하는 경우, 크래들(2)의 배터리(210)는 홀더(1)의 배터리(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된 경우, 배터리(210)는 홀더(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의 단자와 크래들(2)의 단자가 결합되면, 홀더(1)의 배터리(110)가 방전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10)는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터리(210)의 용량은 배터리(110)의 용량보다 클 수 있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크래들(2)의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크래들(2)과 홀더(1)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크래들(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와 크래들(2)이 결합되면, 제어부(220)는 배터리(210)의 전력을 홀더(1)에 공급함으로써, 배터리(110)를 충전하거나 히터(130)를 가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홀더(1)와 크래들(2)을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흡연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크래들(2)은 배터리(210) 및 제어부(22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은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에 디스플레이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터리(220)(예를 들어, 배터리(220)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리셋(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홀더(1)의 청소(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2)의 충전(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은 사용자가 크래들(2)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홀더(1)와 결합하는 단자 및/또는 배터리(210)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크래들(2)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누르는 횟수 또는 입력 장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크래들(2)의 복수의 기능들 중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작동시킴에 따라, 크래들(2)은 홀더(1)의 히터(130)를 예열하는 기능, 홀더(1)의 히터(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 홀더(1) 내의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크래들(2)이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크래들(2)의 배터리(210)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크래들(2)의 리셋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크래들(2)의 기능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는 크래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에는 뚜껑이 포함되지 않은 크래들(2)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의 일 측면에는 홀더(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230)이 존재할 수 있다. 크래들(2)이 뚜껑과 같은 별도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2)에는 사용자가 크래들(2)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24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크래들(2)에는 화면(image)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b에는 뚜껑이 포함된 크래들(2)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의 내부 공간(230)에 홀더(1)가 삽입되고, 뚜껑(250)이 닫힘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더(1)가 삽입될 공간(230)이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존재하므로, 삽입된 홀더(1)는 크래들(2)의 다른 측면들에 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은, 홀더(1)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한 다른 구성(예를 들어, 뚜껑)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크래들(2)에는 홀더(1)와의 결착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271, 27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홀더(1)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착 부재(181)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착 부재(181, 271, 272)는 자석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1)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1, 27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결착 부재(181, 271, 272)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홀더(1)는 제 1 위치에 결착 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고, 크래들(2)은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에 각각 결착 부재(271, 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와 제 3 위치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되는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일 수 있다.
홀더(1) 및 크래들(2)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포함됨에 따라, 홀더(1)가 크래들(2)의 일 측면에 삽입되더라도,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1) 및 크래들(2)에 단자 이외에 결착 부재(181, 271, 272)가 더 포함됨에 따라, 홀더(1)와 크래들(2)이 더욱 강하게 결착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래들(2)에 별도의 구성(예를 들어, 뚜껑)이 없더라도, 삽입된 홀더(1)가 크래들(2)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자들 및/또는 결착 부재들(181, 271, 272)에 의하여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6은 홀더가 크래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틸트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홀더(1)가 크래들(2)의 내부에서 틸트되어 있다. 여기에서, 틸트는 홀더(1)가 크래들(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흡연을 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되면, 홀더(1)에 궐련이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홀더(1)가 크래들(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흡연을 할 수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가 틸트되면, 홀더(1)의 말단(141)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말단(141)에 궐련을 삽입하고,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흡연)할 수 있다. 틸트 각(θ)은 궐련이 홀더(1)의 말단(141)에 삽입될 때, 궐련이 꺽이거나 훼손되지 않을 수 있도록 충분한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는 말단(141)에 포함된 궐련 삽입 구멍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최소 각도 또는 그 보다 큰 각도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트 각(θ)의 범위는 0°초과 180°이하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이상 9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의 범위는 5°이상 20°이하, 5°이상 30°이하, 5°이상 40°이하, 5°이상 50°이하, 또는 5°이상 60°이하가 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틸트 각(θ)은 10°가 될 수 있다.
또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홀더(1)의 단자와 크래들(2)의 단자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1)의 히터(130)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의 배터리(110)의 잔량이 적거나 없는 경우에도, 홀더(1)는 크래들(2)의 배터리(210)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는 홀더(1)가 하나의 결착 부재(182)를 포함하고, 크래들(2)이 두 개의 결착 부재들(273, 274)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결착 부재들(182, 273, 274) 각각의 위치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만약, 결착 부재들(182, 273, 274)이 자석이라고 가정하면, 결착 부재(274)의 자석 강도가 결착 부재(273)의 자석 강도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홀더(1)가 틸트되더라도, 결착 부재(182) 및 결착 부재(274)에 의하여, 홀더(1)는 크래들(2)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자들 및/또는 결착 부재들(182, 273, 274)에 의하여 홀더(1)가 틸트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20)은 배터리(210)의 전력을 이용하여, 홀더(1)의 히터(130)를 가열하거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외주면의 일 부분에 캠홀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의해 하부 단부가 지지되는 히터; 및
    상기 캠홀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캠돌기를 갖고 상기 히터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히터 플랜지;를 구비하되,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 플랜지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제 1 히터 열선과 상기 히터 플랜지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 2 히터 열선을 갖고,
    상기 캠돌기가 상기 캠홀부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히터 플랜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히터 플랜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히터 열선이 상기 히터 플랜지의 상부 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 1 히터 열선 및 상기 제 2 히터 열선이 가열되어 상기 히터에 점착된 고착물을 연소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캠홀부가 형성된 상기 외주면의 일 부분을 감싸며 내면에 장착홈을 갖는 회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캠돌기는 상기 장착홈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홀부를 따라 이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홀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캠홀부가 형성된 상기 외주면의 일 부분을 감싸며 내면에 장착홈을 갖는 회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캠돌기는 상기 장착홈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캠홀부를 따라 이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히터와 연결되는 접속 단자, 상기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PCB 및 상기 PCB와 연결되어 상기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홀부가 형성된 상기 외주면의 일 부분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방향으로 단턱진 구조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히터 열선의 온도는 상기 제 1 히터 열선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플랜지 및 상기 회전부는 내열성 재료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78301A 2018-07-05 2018-07-05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301A KR102330292B1 (ko) 2018-07-05 2018-07-05 에어로졸 생성 장치
PCT/KR2019/008095 WO2020009455A1 (ko) 2018-07-05 2019-07-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301A KR102330292B1 (ko) 2018-07-05 2018-07-05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78A true KR20200005078A (ko) 2020-01-15
KR102330292B1 KR102330292B1 (ko) 2021-11-24

Family

ID=6906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301A KR102330292B1 (ko) 2018-07-05 2018-07-05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0292B1 (ko)
WO (1) WO202000945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381A (ko) * 2011-12-30 2014-10-0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발생 장치의 히팅 요소를 청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147435A (ko) * 2015-06-15 2016-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 회로의 수율 예측 방법 및 집적 회로의 설계 최적화 방법
KR20170106915A (ko) * 2016-03-14 2017-09-22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담배 가열 장치 및 전자 담배
US20180049471A1 (en) * 2015-02-05 2018-02-22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nchored heater
KR20180070455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86395C (en) * 2012-12-28 2020-10-27 Philip Morris Products S.A. Heating assembly for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381A (ko) * 2011-12-30 2014-10-0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발생 장치의 히팅 요소를 청소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80049471A1 (en) * 2015-02-05 2018-02-22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nchored heater
KR20160147435A (ko) * 2015-06-15 2016-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적 회로의 수율 예측 방법 및 집적 회로의 설계 최적화 방법
KR20170106915A (ko) * 2016-03-14 2017-09-22 센젠 퍼스트 유니온 테크놀러지 캄파니 리미티드 담배 가열 장치 및 전자 담배
KR20180070455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회전하는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455A1 (ko) 2020-01-09
KR102330292B1 (ko)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34026B (zh) 气溶胶生成装置及控制气溶胶生成装置的方法
JP6275221B2 (ja) 少なくとも2つのユニットを備える電気加熱式喫煙システム
RU2760124C1 (ru) Кур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JP6643245B2 (ja) 電気加熱式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ES2637322T3 (es)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con unidad de calentamiento
KR10244736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5670437B2 (ja) 電気加熱式喫煙システム
KR20180085365A (ko) 가열 방식의 미세 입자 발생 장치
KR10233029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62658A (ko) 방열 구조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7233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8983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89829B1 (ko)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00004695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퍼프인식 방법
KR102442184B1 (ko) 다단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173668B2 (ja) 霧化器及びそれを含むカートリッジ
KR102330294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배터리의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227509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29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42048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동작제어 방법
KR10233029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295B1 (ko)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9344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83057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이상동작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