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105A - 압력 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압력 센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105A
KR20180070105A KR1020160172393A KR20160172393A KR20180070105A KR 20180070105 A KR20180070105 A KR 20180070105A KR 1020160172393 A KR1020160172393 A KR 1020160172393A KR 20160172393 A KR20160172393 A KR 20160172393A KR 20180070105 A KR20180070105 A KR 20180070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using
piezoelectric element
wedg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986B1 (ko
Inventor
박창권
구현호
Original Assignee
두산엔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엔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엔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9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G01L23/24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pressure in inlet or exhaust duct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G01L23/2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센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은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고 일측에 내부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과, 상기 압전 소자를 예압하며 상기 내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예압 부재, 그리고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예압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관통공을 밀폐시키는 상기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센서 모듈{PRESS SENSOR MODULE}
본 발명은 압력 센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압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압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는 고온, 급격한 온도 및 압력 변화, 진동 등의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엔진 실린더 내부의 연소실 압력 측정, 연소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 내의 압력 측정, 또는 연소 후 배기가스의 압력 측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는 상기한 가혹한 환경에서 정밀한 측정을 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그런데, 압력 센서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압력 센서를 통해 가스 누설이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엔진 실린더 내부의 연소실 압력 측정을 위해 설치된 압력 센서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압력 센서를 통해 실린더 내부의 연소가스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 센서는 가혹한 환경에서 견디기 위한 내구성도 갖추어야 하지만, 파손되더라도 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기밀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압력 센서는 하우징만 밀봉될 뿐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여러 구성들에 대한 밀봉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압력 센서가 파손될 경우 가스를 누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밀봉 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파손되더라도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 모듈은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고 일측에 내부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과, 상기 압전 소자를 예압하며 상기 내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예압 부재, 그리고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예압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관통공을 밀폐시키는 상기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이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압력 센서 모듈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개구된 타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에 접합되어 상기 압전 소자에 외부 압력을 전달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압 부재는 상기 압전 소자의 중앙을 가로 질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압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압전 소자 사이에서 상기 압전 소자를 가압하는 예압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기 내부 관통공은 상기 예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압전 소자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 관통공에 끼워지며 상기 내부 관통공에 삽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내부 밀봉 부재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내부 관통공에 끼워지며 상기 내부 관통공에 삽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내부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압력 센서 모듈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예압 부재를 클램핑하며 상기 제2 내부 밀봉 부재를 가압하는 클램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는 내열성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한 압력 센서 모듈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예압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인출 부재와, 상기 내부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예압 부재와 상기 신호 인출 부재의 연결 부위와 상기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를 커버하며 상기 신호 인출 부재가 통과하는 외부 관통공이 형성된 외부 하우징, 그리고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신호 인출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관통공을 밀폐시키는 상기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인출 부재는 상기 예압 부재와 연결되는 부위가 부르동 관(bourdon tub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외부 관통공은 상기 신호 인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압전 소자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외부 관통공에 끼워지며 상기 외부 관통공에 삽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는 양 단부에서 상기 신호 인출 부재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밀봉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압력 센서 모듈은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옆면을 둘러싸는 하우징 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 모듈은 밀봉 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파손되더라도 가스의 누출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 센서 모듈의 다이어프램이 파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101)을 설명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101)은 선박용 엔진의 연소실 내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101)은 압전 소자(200), 내부 하우징(820), 예압 부재(300), 및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101)은 다이어프램(diaphragm, 700), 클램핑 부재(350), 신호 인출 부재(500), 외부 하우징(830),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600), 및 하우징 슬리브(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 모듈(101)은 한 쌍의 전극(260, 2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압전 소자(2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전하로 변환시킨다. 이로 인하여 압력 센서 모듈(101)은 압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할 수 있게 된다.
내부 하우징(820)은 압전 소자(200)를 내부에 수용한다. 즉, 내부 하우징(820)은 압전 소자(200)를 둘러싼다. 그리고 내부 하우징(820)의 일측에는 내부 관통공(823)이 형성되고,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은 개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820)에 형성된 내부 관통공(823)은 압전 소자(200)가 수용된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내부 하우징(820)의 내부 관통공(823)은 후술할 예압 부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전 소자(20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게 된다.
다이어프램(diaphragm, 700)은 내부 하우징(820)의 개구된 타측을 커버하도록 내부 하우징(700)에 접합된다. 이때, 다이어프램(700)은 다양한 방법으로 내부 하우징에 접합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700)은 외부 압력을 압전 소자(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압 부재(300)는 압전 소자(200)를 예압하며 내부 관통공(823)을 관통하여 내부 하우징(820)의 외부로 인출된다. 압전 소자(200)는 압력에는 강하나 인장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압전 소자(200)에 갑자기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압전 소자(200)가 손상되기 쉽다. 이에, 예압 부재(300)가 압전 소자(20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예압 부재(300)는 압전 소자(200)에 일정한 예압(pre-load)을 가하여 압전 소자(200)가 갑자기 인장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전 소자(200)의 수명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예압 부재(300)는 압전 소자(200)의 중앙을 가로 질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예압 부재(300)의 연장된 단부에는 다이어프램(700)과 압전 소자(200) 사이에서 압전 소자(200)를 가압하는 예압 플랜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예압 플랜지(320)는 다이어프램(700)과 압전 소자(200) 사이에 배치되어 압전 소자(200)를 다이어프램(700)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당겨 압전 소자(200)를 가압하게 된다.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는 내부 하우징(820)과 예압 부재(300)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 관통공(823)을 밀폐시킨다. 내부 관통공(823)은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쐐기형 밀봉 부재(400)는 압력을 받을수록 내부 관통공(823)에 강하게 끼워지게 된다. 즉, 쐐기형 밀봉 부재(400)는 강한 압력에도 안정적으로 내부 관통공(823)의 밀폐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는 제1 내부 밀봉 부재(410)와 제2 내부 밀봉 부재(420)를 포함한다.
제1 내부 밀봉 부재(410)는 내부 하우징(820)의 내측에서 내부 관통공(823)에 끼워지며, 내부 관통공(823)에 삽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 내부 밀봉 부재(420)는 내부 하우징(820)의 외측에서 내부 관통공(823)에 끼워지며, 마찬가지로 내부 관통공(823)에 삽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는 내부 하우징(820)의 내부에서 큰 압력이 걸리는 경우뿐만 아니라 내부 하우징(820)의 외부에 큰 압력이 걸리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내부 관통공(823)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로 인하여, 다이어프램(700)이 파손되더라도 압력 센서 모듈(101)이 측정하던 대상, 예를 들어 엔진 실린더 내부의 연소가스가 내부 관통공(823)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는 내부 하우징(820)의 외부에 큰 압력이 걸리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내부 관통공(823)을 밀폐시키므로, 내부 하우징(820)에 수용된 압전 소자(200)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는 내열성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클램핑 부재(350)는 내부 하우징(820)의 외부로 인출된 예압 부재(300)를 클램핑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 부재(350)는 예압 부재(300)를 클램핑하면서 동시에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의 제2 내부 밀봉 부재(420)를 내부 하우징(820)의 내부 관통공(8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는 안정적으로 내부 관통공(823)을 밀폐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클램핑 부재(350)는 너트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램핑 부재(350)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예압 부재(300)를 클램핑할 수 있다.
또한, 예압 부재(300)와 클램핑 부재(350)는 도전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예압 부재(300)와 클램핑 부재(3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클램핑 부재(350)는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에 의해 내부 하우징(820)과는 전기 절연된다.
한 쌍의 전극(260, 270) 중 어느 하나(260)는 예압 부재(300)의 예압 플랜지(320)와 압전 소자(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전극(260, 270) 중 다른 하나(270)는 압전 소자(200)와 내부 관통공(823)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820)의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후술할 신호 인출 부재(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극(270)은 예압 부재(300)를 통해 신호 인출 부재(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260, 27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신호 인출 부재(500)는 내부 관통공(823)을 통해 내부 하우징(820)의 외부로 인출된 예압 부재(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신호 인출 부재(500)는 예압 부재(300)와 연결되는 부위가 부르동 관(bourdon tube) 형상(5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신호 인출 부재(500)의 부르동 관 형상(530)으로 형성된 부분은 내부 하우징(820)과는 전기 절연된 클램핑 부재(350)와 접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신호 인출 부재(500)와 예압 부재(300)는 도전 접속될 수 있다.
이에, 압전 소자(200)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다이어프램(700)을 통해 전달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면 이를 전극(270)이 출력하여 예압 부재(300)를 거쳐 신호 인출 부재(500)에 전달된다. 그리고 신호 인출 부재(500)는 압력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외부 하우징(830)은 내부 하우징(820)과 결합되어, 예압 부재(300)와 신호 인출 부재(500)의 연결 부위와,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를 커버한다. 일례로, 외부 하우징(830)과 내부 하우징(820)은 서로 용접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하우징(830)은 신호 인출 부재(500)가 통과하는 외부 관통공(835)이 형성된다. 이때, 외부 하우(830)징의 외부 관통공(835)은 신호 인출 부재(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전 소자(200)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600)는 외부 하우징(830)과 신호 인출 부재(500)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관통공(835)을 밀폐시킨다. 이때,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600)는 외부 하우징(830)의 내측, 즉 내부 하우징(820) 방향에서 외부 관통공(835)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700)이 파손된 경우 고압의 가스가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400)를 뚫고 내부 하우징(820)을 통과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2차적으로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600)가 외부 하우징(830)의 외부 관통공(835)을 밀폐시켜 가스의 누출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101)은 내부에 이중 밀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내부 하우징(820)을 통과한 가스는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600)를 외부 관통공(835)에 밀어 넣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600)의 밀폐력이 강해져 안정적으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600)는 양 단부에서 신호 인출 부재(500)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밀봉 플랜지(603, 605)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600)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외부 관통공(835)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신호 인출 부재(500)는 외부 하우징(830)의 내부에서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400)를 다이어프램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신호 인출 부재(500)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슬리브(850)는 내부 하우징(820)과 외부 하우징(830)의 옆면을 둘러싼다. 일례로, 하우징 슬리브(850)는 내부 하우징(820) 및 외부 하우징(830)과 용접될 수 있다.
하우징 슬리브(850)는 압력 센서 모듈(101)이 설치될 측정 보어에 삽입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101)은 밀봉 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파손되더라도 가스의 누출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모듈(101)은 내부에 이중 밀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압력 센서 모듈
200: 압전 소자
300: 예압 부재
320: 예압 플랜지
350: 클램핑 부재
400: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
410: 제1 내부 밀봉 부재
420: 제2 내부 밀봉 부재
500: 신호 인출 부재
530: 부르동 관 형상
560: 걸림부
600: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
603, 605: 밀봉 플랜지
820: 내부 하우징
823: 내부 관통공
830: 외부 하우징
835: 외부 관통공
850: 하우징 슬리브

Claims (13)

  1. 압전 소자;
    상기 압전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고 일측에 내부 관통공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
    상기 압전 소자를 예압하며 상기 내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예압 부재; 및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예압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관통공을 밀폐시키는 상기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
    를 포함하는 압력 센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이 개구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개구된 타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내부 하우징에 접합되어 상기 압전 소자에 외부 압력을 전달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부재는 상기 압전 소자의 중앙을 가로 질러 연장되며,
    상기 예압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압전 소자 사이에서 상기 압전 소자를 가압하는 예압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기 내부 관통공은 상기 예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압전 소자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내부 관통공에 끼워지며 상기 내부 관통공에 삽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내부 밀봉 부재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내부 관통공에 끼워지며 상기 내부 관통공에 삽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내부 밀봉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예압 부재를 클램핑하며 상기 제2 내부 밀봉 부재를 가압하는 클램핑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압력 센서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는 내열성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예압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신호 인출 부재;
    상기 내부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예압 부재와 상기 신호 인출 부재의 연결 부위와 상기 쐐기형 내부 밀봉 부재를 커버하며, 상기 신호 인출 부재가 통과하는 외부 관통공이 형성된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신호 인출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관통공을 밀폐시키는 상기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인출 부재는 상기 예압 부재와 연결되는 부위가 부르동 관(bourdon tube)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외부 관통공은 상기 신호 인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압전 소자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외부 관통공에 끼워지며 상기 외부 관통공에 삽입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외부 밀봉 부재는 양 단부에서 상기 신호 인출 부재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밀봉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옆면을 둘러싸는 하우징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센서 모듈.
KR1020160172393A 2016-12-16 2016-12-16 압력 센서 모듈 KR102574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93A KR102574986B1 (ko) 2016-12-16 2016-12-16 압력 센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93A KR102574986B1 (ko) 2016-12-16 2016-12-16 압력 센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105A true KR20180070105A (ko) 2018-06-26
KR102574986B1 KR102574986B1 (ko) 2023-09-05

Family

ID=6278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393A KR102574986B1 (ko) 2016-12-16 2016-12-16 압력 센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482A (ko) * 2020-12-07 2022-06-14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압력 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3451A1 (en) * 2007-07-27 2010-10-21 Piezocryst Advanced Sensorics Gmbh Piezoelectric pressure sensor
KR20150026956A (ko) * 2013-08-30 2015-03-11 피에조크리스트 어드밴스드 센서릭스 게엠베하 압력 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3451A1 (en) * 2007-07-27 2010-10-21 Piezocryst Advanced Sensorics Gmbh Piezoelectric pressure sensor
KR20150026956A (ko) * 2013-08-30 2015-03-11 피에조크리스트 어드밴스드 센서릭스 게엠베하 압력 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482A (ko) * 2020-12-07 2022-06-14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압력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986B1 (ko)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2334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pressure detector
CN104169702B (zh) 带有燃烧压力检测装置的内燃机
WO2013129483A1 (ja) 燃焼圧検出装置、燃焼圧検出装置付き内燃機関
US10274388B2 (en) Pressure sensor including sensor module having diaphragm and joint attached with the sensor module
US8635915B2 (en) Torque insensitive header assembly
KR20180070105A (ko) 압력 센서 모듈
KR20160086337A (ko) 측정 챔버 내 유체 매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 장치
US20050126297A1 (en) Pressure sensor element having an integrated sealing surface
US9645030B2 (en) Pressure measurement sensor head
JP4357264B2 (ja) ガス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85516A (ja) 圧力センサ
JPH02141635A (ja) 高圧用半導体式圧力センサの取付け構造
KR20190114610A (ko) 압력 센서
KR20170023836A (ko) 측정 챔버 내 유체 매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
JP2009150325A (ja) 燃焼圧センサ
JP2019027917A (ja) ガスセンサ
JP2013195163A (ja) 燃焼圧検出装置付き内燃機関および燃焼圧検出装置
JP2013140044A (ja) 圧力検出装置および圧力検出装置付き内燃機関
JP6845731B2 (ja) 圧力検出装置
WO2004106910A1 (ja) ガス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6716501B2 (ja) 筒内圧センサ
JP6855367B2 (ja) 筒内圧センサ
JP2021167780A (ja) 固体電解質センサ
JP2020056610A (ja) 圧力検出装置
JP2008145377A (ja) 圧力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