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825A -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825A
KR20180069825A KR1020187011083A KR20187011083A KR20180069825A KR 20180069825 A KR20180069825 A KR 20180069825A KR 1020187011083 A KR1020187011083 A KR 1020187011083A KR 20187011083 A KR20187011083 A KR 20187011083A KR 20180069825 A KR20180069825 A KR 2018006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ase unit
functional module
fastening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이겐 카간
Original Assignee
오이겐 카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이겐 카간 filed Critical 오이겐 카간
Publication of KR2018006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61G12/002Supply appliances, e.g. columns for gas, fluid, electricit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61G12/002Supply appliances, e.g. columns for gas, fluid, electricity supply
    • A61G12/008Supply appliances, e.g. columns for gas, fluid, electricity supply mounted on a mobile base, e.g.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56Apparatus provided with a docking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rsing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장치는 장착 면(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을 구비한 베이스 유닛(1) 및 상기 베이스 유닛(1)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에 결합 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유닛과 전기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2)을 포함하며, 이때 각각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 및 각각의 기능 모듈(2)에는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되어 분리될 수 있는 체결 장치 및 전기 연결 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 장치 및 전기 연결 장치는 장착 면(A)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결 장치 및 전기 연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2)이 상기 장착 면(A)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
본 발명은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집중 치료 장치는 장착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module slot)을 구비한 베이스 유닛(base unit) 및 상기 베이스 유닛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에 결합 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유닛과 전기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functional module)을 포함하며, 각각의 모듈 슬롯과 각각의 기능 모듈에는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되어 분리될 수 있는 체결 장치(locking device) 및 전기 연결 장치(electrical connecting device)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는 중환자 치료 장치(Critical Care Units(CCU))로도 표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E 10 2012 103 029 A1은 이러한 장치를 공지하고 있다.
모듈 방식의 CCU는 결합 된 전체 모듈의 작동 및 에너지 공급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형태의 베이스 유닛에 필요한 기능, 예컨대 활력 징후 모니터링(vital sign monitoring), 세동 제거기(defibrillator), 인공호흡기(ventilator) 및 전술한 것과 유사한 것 이상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를 융통성 있게 개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기능 모듈이 상기 베이스 유닛의 모듈 슬롯에 고정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기본 모듈(basic module) 사이에서 교체된다. 또한, 상기 기본 모듈은 데이터 디스플레이(data display), 데이터 처리 및 파일 저장과 병원의 CIS와 같은 중앙 데이터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그러한 모듈 방식의 장치는 단일 기능 모듈의 결함이 발생할 경우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전에 구성된 그러한 CCU는 이러한 CCU에 넓은 소요 공간이 필요하고, 기능상의 유연성이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에 단지 고정식 사용을 위해 적합했지만, 최근에는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가 강력하게 장려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상기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가 콤팩트(compact)한 치수와 축전지로 통합된 이동식 전원 공급으로 인해 예를 들어 구급 서비스와 같은 비-고정식 사용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특히, 전술한 것은 구조 서비스에 의해 이미 모듈형 집중 치료 장치에 연결된 환자가 전문 병원(clinic)에 도착하여 중환자실에 입원할 때, 해당 환자를 상응하는 치료 장치에 다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연결된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가 환자와 함께 중환자실로 옮겨지고, 중환자실에 있는 고정식 모드(stationary mode)로 인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사용에 따라 치료 장치가 교체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개별 환자에게 필요한 기능 모듈에 상기 치료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지금까지 공지된 모듈 방식의 CCU의 경우, 특히 콤팩트한 구성, 예를 들어 전술한 DE 10 2012 103 029 A1의 구성에서, 베이스 유닛의 전면(front side) 상당 부분은 접촉에 민감한 화면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화면은 개별 치료의 상태 및 환자 감시 장치(patient monitor)를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집중 치료 장치를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조작자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것에 대응하여, 상기 기능 모듈이 측면으로, 예를 들어 장착 면에 대해 평행하게 마운팅 레일(mounting rail)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기능 모듈은 장착 면 영역의 후면에 있는 대응하는 모듈 슬롯에 배치된다. 그러한 구성은 이동식 작동을 위해 높은 안정성과 진동 내구성을 제공하지만, 상기 기능 모듈을 결합하고 분리시킬 때 장착 면과 더불어 넓은 소요 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때 전술한 넓은 소요 공간은 예를 들어 구급차 또는 중환자실에서 모듈 작동을 악화시킨다. 또한, 전술한 구성은 예를 들어 프로브 케이블(probe cable), 환기 관(ventilation tube) 및 전술한 것과 유사한 것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패널(connector panel)이 집중 치료 장치의 정해진 면에 배열되어야 했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것은 조작 및 특히 중환자실에 집중 치료 장치 배치를 제한하였으며, 그 이유는 환자가 가능하면 육안으로 커넥터 패널을 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전술한 것에 대응하여 유동적일 수 있는 파이프 라인과 호스의 간격을 환자에 대해 가능하면 짧게 유지한 결과에 기인한다. 이것은 환자가 중환자실에 도착하게 될 경우, 특히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구조 변경이 불가피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류에 대해 콤팩트한 구성과 주어진 공간에 맞게 탄력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기계와 전기적 측면에서 가장 높은 연결 강도 및 적은 소요 공간을 갖는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따른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개선된 내용은 종속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체결 장치(locking device) 및 전기 연결 장치(electrical connecting device)는 장착 면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결 장치 및 전기 연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function module)이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module slot)에 상기 장착 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결합 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기능 모듈이 장착 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결합 되거나, 또는 이러한 장착 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면에 대해 수직 방향의 이러한 배열로 인해, 상기 기능 모듈이 베이스 유닛(base unit)에 장착 또는 이러한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탈착될 때 소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체결과 전기 접촉은 일 측면, 즉 장착 면 영역에서 베이스 유닛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기능 모듈에서 돌출되어 있는 접합 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접합 판은 이러한 접합 판을 관통하는 보어(bore) 및 상기 장착 면에 제공된 삽입 슬롯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각각의 모듈 슬롯 영역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보어에 삽입된 체결 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장치가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될 경우,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기능 모듈이 180°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서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상기 기능 모듈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체결 볼트는 스프링 부하가 걸린 상태로 상기 베이스 유닛에 고정되며, 상기 접합 판을 베이스 유닛에 고정하기 위해 접합 판을 삽입 슬롯에 삽입할 때 자동으로 보어에 맞물려 결합한다. 상기 체결 볼트에 영향을 주는 부속된 구동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보어로부터 상기 체결 볼트가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것은 베이스 유닛에 배열된 해제 부재를 통해 실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 버튼, 기계 레버 또는 기계 버튼이 상기 해제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 유닛에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부속된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모듈 슬롯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속된 구동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해제 부재가 작동할 때 상기 체결 볼트는 이러한 체결 볼트가 자유 단부와 함께 아직 상기 접합 판의 보어 내에 머물러 있는 상태로 상기 보어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체결 볼트가 스프링 장력 방향으로 상기 보어로부터 빠져나온 상태에서 상기 접합 판은 단지 미리 정해진 장력을 사용하여 삽입 슬롯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해제 부재가 작동할 때 대응하는 기능 모듈이 상기 베이스 유닛의 모듈 슬롯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대응하는 장력을 사용하여 해제 부재가 작동함으로써, 그리고 조작자의 조치를 통해서만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기능 모듈이 분리 및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 부재는 각각의 해제 부재 작동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센서와 연결된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 볼트를 보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해제 부재 작동시 구동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지연된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지연으로 인해, 예를 들어 상기 체결 볼트가 활성화되기 전에 우선 상기 기능 모듈의 소프트웨어를 차단하고, 이어서 전기 연결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이러한 기능 모듈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삽입 슬롯에 삽입된 접합 판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접합 판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체결 볼트를 다시 상기 접합 판에 완전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해제 부재를 실수로 작동시켰을 때 상기 기능 모듈이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갑작스럽게 분리되지 않는 높은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정해진 시간이 경과 하고 난 후에 상기 기능 모듈이 자동으로 상기 베이스 유닛과 체결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기능 모듈에서 돌출된 상태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면에 제공된 삽입 개구, 즉 이러한 삽입 개구에 분리될 수 있도록 맞물리는 후크 및 이러한 후크와 작동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의 모듈 슬롯 영역에서 해제 부재로서 제공되는 체결 디스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능 모듈에서 돌출해 있는 후크의 배열은 이러한 기능 모듈 내에서 필요한 기능 부품을 마운팅 하기 위한 설치 공간을 손상시키기 않으며,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한 특히 안정적인 기계적 결합을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장착 면의 베이스 유닛에 있는 각각의 모듈 슬롯 영역에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된 후크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한 체결 레버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체결 레버는 상기 기능 모듈의 해당 삽입 개구와 작동 연결될 수 있는 해제 부재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체결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에 제공된 전기 연결 장치는 서로 180° 방향으로 오프셋(offset) 된 두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에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모듈 슬롯과 전기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측면으로 배열된 상기 기능 모듈의 커넥터 패널이 선택적으로 상기 집중 치료 장치의 우측 또는 좌측 면을 향하도록 상기 기능 모듈은 주어진 공간에 따라 베이스 유닛의 모듈 슬롯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의 범위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 모듈은 정해진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을 갖는 것이 아니라, 180°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개별 모듈 슬롯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체결 장치 및 전기 연결 장치는 상기 모듈 슬롯을 지나 뻗어 있는 중심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모듈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유닛에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고, 이러한 베이스 유닛과 전기 연결될 수 있는 기능 모듈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능 모듈의 하우징 내부에 제공된 여유있는 설치 공간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장비를 내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 모듈은 모듈 슬롯을 구비할뿐만 아니라, 요구 조건에 따라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모듈 슬롯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기능 모듈과 모듈 슬롯의 전기 연결 장치는 각각 다수의 접점(contacts)을 갖는 접촉 보드(contact board)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접점은 180° 오프셋 된 상태로 중복 배열되어 있고, 상기 모듈 슬롯에 체결된 기능 모듈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복 배열로 인해, 두 배열 가운데 어떤 배열에서 상기 기능 모듈이 모듈 슬롯에 체결되어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동시에 상기 접촉 보드와 이러한 접촉 보드에 제공된 다수의 접점의 완전한 접촉이 동일하게 보장될 수 있다.
특히, 이동식 장비 투입, 예를 들어 구급차 또는 구급 헬리콥터에서 요구되는 충분한 진동 내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기 연결 장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보드의 접점은 스프링 부하가 걸린 상태로 각각 다른 접촉 보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것은 두 접촉 보드 상호 간에 충분한 접점 압력(contact pressure)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든 접촉 보드는 상기 베이스 유닛 및/또는 기능 모듈에서 신축성 있게, 또는 부동의 상태로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보드의 개별 접점은 각각 또 다른 접촉 보드 방향으로 스프링 부하가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중 치료 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와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또 다른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배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모듈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기능 모듈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베이스 유닛에 체결된 지점과 관련된 도 4에 따른 기능 모듈을 상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모듈의 또 다른 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도 7에 따른 기능 모듈을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기능 모듈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또 다른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의 정면도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 1과 관련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 1과 관련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실시 형태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 1과 관련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6은 도 15에 따른 기능 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은 도면부호 1로 표기된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유닛의 전면(10) 상단 부분은 접촉에 민감한 화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화면은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제어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베이스 유닛(1)의 하단 면은 상기 전면(10)에 대해 직각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바닥 면(13)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바닥 면은 밑면을 형성하고, 다른 한편 상기 베이스 유닛(1)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전원 공급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설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측면도로 바라볼 때, 상기 전면(10)과 바닥 면(13)은 대략 L-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단에는 캐리어 그립(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캐리어 그립은 상기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손으로 운반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베이스 유닛(1)은 환자를 감시하거나, 또는 치료하는 것과 연관된 집중적인 치료 기능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다음에서 기능 모듈(2)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되며, 이때 상기 기능 모듈은 원하는 요구 사항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면(10)에 대해 후면에 배열된 모듈 슬롯(12.1, 12.2, 12.3 및 12.4)에 결합 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유닛(1)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여기에 제공된 네 개의 모듈 슬롯(12.1 내지 12.4)의 치수는 서로 일치하며, 중복된 형태로 배열되어 있지만, 전술한 것과 다른 배열 및 수량을 갖는 모듈 슬롯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 슬롯(12.1, 12.2, 12.3 및 12.4)은 상기 베이스 유닛(1)의 후면(11) 영역에 서로 중복된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후면(11)은 평평한 장착 면(A)을 형성하고 있고, 이러한 장착 면에 기능 모듈(2)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개별 기능 모듈은 도면부호 2로 표기되어 있고,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2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의 일 측, 즉 장착 면(22)으로도 표현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유닛(1)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러한 일 측에는 상기 장착 면(22)에 돌출된 형태로 제공된 접촉 보드(25)가 상기 베이스 유닛(1)에 대해 전기 연결 장치의 일부로서 제공되며, 상기 접촉 보드(25)에 대해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돌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강판(steel sheet)으로 제조된 접합 판(23)은 서로에 대해 중복된 상태로 형성 및 배열되어 있는 보어(24)를 구비하며, 이러한 접합 판은 상기 베이스 유닛(1)을 위한 체결 장치의 일부로서 제공된다.
상기 장착 면(22)에 인접해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20)의 좁은 면에는 커넥터 패널(21)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그러한 모듈은 상기 커넥터 패널(21)과 이러한 커넥터 패널에 있는 부시(bush)에 삽입된 연결 케이블 또는 연결 튜브(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환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기능 모듈(2)은 예를 들어 EKG-모듈일 수 있지만, 기능은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베이스 유닛(1)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기능 모듈(2)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기능 모듈(2)은 상기 베이스 유닛(1)의 후면에 있는 모듈 슬롯(12.1, 12.2, 12.3 및 12.4) 가운데 하나의 모듈 슬롯에 고정 및 결합 될 수 있으며, 모듈 슬롯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전술한 이러한 고정은 예를 들어 상기 모듈 슬롯(12.2)에서 실시된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전술한 모든 모듈 슬롯(12.1 내지 12.4)은 상기 기능 모듈의 돌출된 접촉 보드(25)를 보완하기 위해 형성된 접촉 보드(18) 형태의 전기 연결 장치 및 상기 기능 모듈(2)에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된 접합 판(23)을 보완하기 위해 형성된 분리 가능한 체결 장치로서 삽입 슬롯(17)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돌출된 접합 판(23)을 갖는 기능 모듈을 선택된 모듈 슬롯(12.1 내지 12.4)의 삽입 슬롯(17)에 삽입할 수 있고, 상호 보완하기 위해 형성된 두 개의 접촉 보드(25, 18)는 서로 전기 연결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접합 판(23)이 상기 모듈 슬롯(12.1 내지 12.4)의 삽입 슬롯(17)에 삽입될 경우,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스프링 부하가 걸린 체결 볼트(170)는 화살표(R)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접합 판과 맞물리며, 더 나은 개관을 위해 상기 베이스 유닛(1)의 하우징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체결 볼트는 상기 접합 판(23) 내의 두 개의 보어(24)에 삽입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선택된 모듈 슬롯의 지점에 상기 기능 모듈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개별 접합 판(23)의 하단 또는 상단 보어(24)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보드(18) 주변에 배열된 개스킷(19)은 상기 접촉 보드(18 및 25) 사이의 전기 접촉에 필요한 대응하는 밀봉을 위해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은 원하는 모듈 슬롯(12.1, 12.2, 12.3 또는 12.4)에 상기 기능 모듈(2)을 상기 베이스 유닛(1)의 후면(1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장착 방향(D)으로 부착함으로써 실시되며, 이러한 장착 방향은 상기 접촉 보드(18 및 25)의 형태 및 접합 판(23)과 삽입 슬롯(17)의 범위를 통해 제공된다. 따라서, 원하는 모듈 슬롯(12.1, 12.2, 12.3 및 12.4)에 상기 기능 모듈(2)을 결합하는 것과, 기계 및 전기 연결하는 것은 상기 장착 면(A)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개별 기능 모듈(2)은 각각의 모듈 슬롯(12.1, 12.2, 12.3 및 12.4)으로부터 장착 면(A)에 대해 수직 방향인 화살표(D)의 반대 방향으로 해제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 유닛(1)에 원하는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모듈(2)이 모듈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능 모듈(2)이 전술한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유닛(1)에 결합할 경우, 상기 베이스 유닛과 기능 모듈 내의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접촉 보드(25, 18)에 제공된 접점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의 의미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1)에 기능 모듈의 등록이 실시되고, 이어서 이러한 베이스 유닛(1)을 통해 상기 기능 모듈(2)에 설치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개별 기능 모듈(2)의 전원은 상기 베이스 유닛(1)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보장되며, 또한 이동식 작동을 위해 장착된 축전지 또는 배터리 또는 연결된 전원 공급 장치를 통해서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유닛은 대응하는 커넥터 소켓(15)을 구비한다.
또한, 주-종 배열(master-slave-arrangement) 또는 "Ad hoc" 방식에 따라 다수의 베이스 유닛(1)을 상호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전술한 방식을 통해 사용 가능한 모듈 슬롯의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종 배열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이 "주(master)"가 되어 "종(slave)"-베이스 유닛에 있는 또 다른 모든 모듈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Ad hoc"-상호 연결에서는 모든 베이스 유닛(1)이 개별 기능 모듈(2)을 위한 제어 기능을 갖지만, 상호 제어 없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형성된, 그리고 복수의 기능 모듈(2)이 제공된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가 예를 들어 중환자실의 환자 침대에 배치될 경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10)에서 바라볼 때 상기 기능 모듈(2)의 우측에 배치된 커넥터 패널(21)의 연결부가 환자 쪽을 향해 있는지, 그리고 단순하고 짧은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는지, 또는 상기 커넥터 패널(21)을 또 다른 좌측 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는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도 1을 도 2와 비교 관찰함으로써 알 수 있는 것은 도시된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에서 모든 기능 모듈을 180° 오프셋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이러한 기능 모듈이 상기 베이스 유닛(1)에 결합 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이유는 정해진 우선 방향이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도 3 및 도 5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모듈 슬롯(12.1 내지 12.4)의 각각의 중심축(M) 및 모듈(2)의 중심축(MF)에 대해 상기 삽입 슬롯(17) 및 접합 판(23)의 대칭 배열이 선택될 수 있으며, 함께 전기 연결 장치를 형성하는 접촉 보드(18, 25) 또한 이러한 중심축(M 및 MF)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기 때문이다. 또한, 그러한 접촉 보드(18, 25)는 이중 방향으로 제공된 접촉 보드이며, 상기 접촉 보드의 접점은 각각 180° 오프셋 된 상태로 중복 배열되기 때문에, 도 2와 도 1의 비교에 근거하여 도 1에 도시된 배열뿐 아니라, 도 2에 따른 180° 회전된 방향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향으로 상기 기능 모듈(2)이 동일하게 상기 베이스 유닛(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모듈 슬롯(12.2)에 결합 된 배열에서 단지 하나의 기능 모듈(2)만 결합 되어 있지만, 마찬가지로 또 다른 모듈 슬롯(12.1, 12.3 및 12.4)도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기능 모듈(2)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복수의 모듈 슬롯이 상기 베이스 유닛(1)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유닛과 전기 연결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기능 모듈(2)에 제공된 기능을 위해 더욱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할 경우에 해당한다. 도 7 및 도 8은 두 개의 모듈 슬롯에 제공된 그러한 기능 모듈(2)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 및 도 10은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결합한 상기 기능 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것에 대응하여, 상기 두 개의 모듈 슬롯을 지나 뻗어 있는 그러한 기능 모듈(2)은 전체적으로 돌출해 있는 네 개의 접합 판(23)을 포함하며, 이러한 접합 판은 대응하는 관통 보어(24)을 구비하지만, 도 9 및 도 10의 실시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단지 하나의 접촉 보드(25)만 상기 모듈 슬롯(12.2 및 12.3)에 결합 되어 있다. 그러한 큰 모듈(2)에 예를 들어 인공호흡기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당연히, 그와 같은 모듈 슬롯을 지나 뻗어 있고, 이러한 모듈 슬롯에 연결되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모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1)의 모듈 슬롯(12.1 내지 12.4)에 상기 기능 모듈(2)을 고정하는 전술한 설명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개별 기능 모듈(2)의 결함 또는 변경된 치료 조건에 따라 개별 기능 모듈(2)이 상기 베이스 유닛(1)에 결합 된 모듈 슬롯(12.1 내지 12.4)의 지점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를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위해, 상기 베이스 유닛(1)은 각각의 모듈 슬롯(12.1 내지 12.4) 일 측에 배열된 해제 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 부재에는 예를 들어 레버 또는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해제 부재(16)는 누름 버튼 형태로 제공되며, 이와 반대로 도 12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해제 부재(16)는 레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해제 부재(16)의 작동으로 인해, 도 6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작동 부재(172)를 구비한 구동 장치(171)는 상기 접합 판(23)에 제공된 보어(24)에 맞물려 있고, 상기 베이스 유닛(1)의 기능 모듈(2)을 연결하고 있으며, 체결 볼트(17)를 스프링 부하가 걸린 화살표 방향(R)으로 당겨 빼내기 때문에, 상기 기능 모듈(2)이 해제되고, 상기 접합 판(23)이 삽입 슬롯(17)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각각의 모듈 슬롯(12.1 내지 12.4)으로부터 상기 기능 모듈이 탈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제 부재(16)가 작동할 때 상기 보어(24)로부터 화살표 방향(R)으로 상기 체결 볼트(170)가 분리되는 것은 약간 챔퍼 처리(chamfered) 되어 있으며, 도 6에서 도면부호 170a로 표기된 상기 체결 볼트(170)의 전방 단부가 아직 상기 보어(24) 내에 머물러 있는 정도로만 실시되기 때문에, 해제된 그러한 기능 모듈(2)은 화살표 방향(R) 쪽으로 스프링 부하가 걸린 체결 볼트(170)로 인해 상기 베이스 유닛(1)에 여전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미리 정해진 대응하는 물리적 힘의 제공을 통해, 또한 화살표 방향(K)으로 상기 기능 모듈(2)을 고정 및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체결 볼트(170)를 상기 보어(24)로부터 스프링 초기 장력 방향으로 완전히 밀어내고 상기 기능 모듈(2)을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해제 부재(16)가 작동할 때 센서가 활성화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액추에이터(171)가 작동하지 전에, 그리고 전술한 방식으로 상기 체결 볼트(170)가 화살표 방향(R)으로 분리가 개시되기 전에 해제된 기능 모듈(2)의 소프트웨어를 먼저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해제 부재(16)에 예를 들어 홀 센서(hall sensor)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홀 센서는 상기 구동 장치(171)의 활성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대응하는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 장치는 상기 삽입 슬롯(17)에 삽입된 접합 판(23)을 측정하기 위해 센서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 내에 도 6에 따른 화살표 방향(K)으로 상기 접합 판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 장치(171)는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다시 비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체결 볼트(170)는 이러한 체결 볼트의 스프링 초기 장력 방향에 해당하는 화살표(R)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접합 판(23)을 다시 고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해제 부재(16)의 의도하지 않은 개시에 따른 실수로 인한 기능 모듈의 분리가 억제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로 인해,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를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을 상기 베이스 유닛에 모듈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개별 기능 모듈은 정해진 우선 방향을 갖는 것이 아니라, 사용 방식에 따라 180° 오프셋 상태로 형성된 두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유닛(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1)에 체결 및 연결하는 것은 오류 없이, 그리고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구급차 또는 구급 헬리콥터와 같이 움직이는 대상에서 그러한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 사용을 위한 해당 진동 테스트 조건이 충족될 수 있다.
진동 테스트와 관련하여, 상기 베이스 유닛(1)과 기능 모듈(2) 사이의 충분한 전기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접촉 보드(18)를 상기 베이스 유닛(1) 및/또는 상기 기능 모듈(2)의 접촉 보드(25)를 스프링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 각기 또 다른 접촉 보드 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때 예를 들어 사기 접촉 보드(18 및 25)는 부동 상태로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접촉 보드(18, 25)에 제공된 개별 접점은 스프링으로 인해 각기 따른 접촉 보드 방향으로 초기 장력을 받게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집중 치료 장치는 선택된 상기 모듈 슬롯(12.1, 12.2, 12.3 및 12.4)에 개별 기능 모듈(2)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기계식 고정 요소의 형태를 통해서만 전술한 실시 형태와 구분되고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 장치는 장착 면(A)의 상기 각각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 영역에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된 후크(162) 및 방향 전환될 수 있는 체결 레버(161)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레버는 기계식 고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기능 모듈(2)의 좁은 면에 제공된 대응하는 슬롯 형태의 리세스(275)에 맞물릴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돌출된 형태의 후크(162)는 상기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의 배열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 면(A)의 우측 에지에 제공되어 있는 반면, 상기 장착 면(A)의 반대쪽 좌측 에지에는 90°로 방향 전환될 수 있는 체결 레버(161)가 해제 부재로서 제공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따른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모든 개별 기능 모듈(2)은 화살표(D)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 면(A)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화살표(D)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롯 형태의 리세스(275)가 먼저 상기 후크(162)와 맞물리고, 이어서 상기 접촉 보드(18, 25) 사이의 전기 연결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능 모듈(2)이 장착 면(A) 위에서 회전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모듈 슬롯(12.2)에서 개방된 체결 레버(161)가 폐쇄 위치로 방향 전환되며, 상기 폐쇄 위치는 예를 들어 모듈 슬롯(12.3)에서 확인될 수 있고, 이러한 폐쇄 위치에서 상기 체결 레버(161)는 상기 기능 모듈의 기계적 체결을 위해 상기 기능 모듈(2)에 제공된 리세스(275)에 맞물린다.
상기 기능 모듈(2)의 탈착은 대응하는 역 순서 및 조치 방법으로 실시된다.
도 15 및 도 16은 전술한 것과 차이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된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체결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형태로 제공된 후크(26)는 상기 장착 면(A) 쪽을 향해 있는 상기 기능 모듈(2)의 면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술한 것을 위해, 상기 베이스 유닛(1)의 장착 면(A)은 모든 모듈 슬롯(12.1, 12.2, 12.3 및 12.4) 영역에서 상기 접촉 보드(18)에 대해 대칭으로 제공된 삽입 개구(175)를 구비하며, 도 1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장착 면(A)의 우측 에지에 배열된 삽입 개구(175)는 각각 수직 웨브(176)를 구비하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능 모듈(2)에 부속된 후크(26)는 상기 수직 웨브를 뒤쪽에서 고정한다. 상기 장착 면(A)의 반대쪽 좌측 면에는 체결 디스크(160)가 배열되어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기 체결 디스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러한 체결 디스크가 회전할 때, 상기 후크(26)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삽입 개구(175)가 개방되든지, 또는 삽입된 후크(26)를 뒤쪽에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삽입 개구(175)에 맞물릴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모듈 슬롯(12.1, 12.2, 12.3 및 12.4)에 상기 기능 모듈(2)을 장착 및 상기 모듈 슬롯으로부터 이러한 기능 모듈을 탈착하는 것은 화살표 방향(D)으로, 또는 이러한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장착 면(A)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6에 따른 실시 예에서 개별 기능 모듈(2)을 180° 회전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유닛(1)에 고정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로서,
    장착 면(A)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을 구비한 베이스 유닛(1), 및 상기 베이스 유닛(1)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에 결합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유닛과 전기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2)을 포함하며, 각각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 및 각각의 기능 모듈(2)에는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되어 분리될 수 있는 체결 장치 및 전기 연결 장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 장치 및 전기 연결 장치는 장착 면(A)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장치 및 전기 연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2)이 상기 장착 면(A)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집중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기능 모듈(2)에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어 있는 접합 판(23)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합 판은 접합 판을 관통하는 보어(24) 및 상기 장착 면(A)에 제공되어 있는 삽입 슬롯(17)과 상기 베이스 유닛(1)의 각각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 영역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보어(24)에 삽입된 체결 볼트(170)를 구비하는, 집중 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170)는 스프링 부하가 걸린 상태로 상기 베이스 유닛(1)에 고정되며, 상기 접합 판(23)을 삽입 슬롯(17)에 삽입할 때 보어(24)에 맞물려 결합하고, 상기 접합 판을 고정하며, 부속된 구동 장치(171)가 사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유닛(1)에 배열된 해제 부재(16)를 통해 상기 체결 볼트가 보어(24)로부터 부분적으로 빠져나옴에 따라, 상기 보어(24)로부터 스프링 장력 방향으로 체결 볼트(170)가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에서 상기 접합 판(23)은 미리 정해진 장력을 사용하여 삽입 슬롯(17)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집중 치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16)는 각각의 해제 부재(16) 작동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된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 볼트(171)를 상기 보어(24)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해제 부재(16) 작동시 구동 장치(171)는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지연된 상태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삽입 슬롯(17)에 삽입된 접합 판(23)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와 연결되어 있지 않아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접합 판(23)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 장치(171)가 제어 장치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체결 볼트(170)를 다시 상기 접합 판(23)에 고정하는, 집중 치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2) 상에서 돌출되는 체결 후크(26)의 체결 장치는 상기 장착 면(A)에 삽입 개구(175)를 구비하고 있으며, 삽입 개구(175)는 후크(23)에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고 후크(23)와 작동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유닛(1)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 영역에서 해제 부재(16)로서 제공된 체결 디스크(160)로 형성되어 있는, 집중 치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는 상기 장착 면(A)의 베이스 유닛(1)의 모든 모듈 슬롯(12.1, 12.2, 12.3, 12.4) 영역에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된 후크(162)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한 체결 레버(161)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레버는 상기 기능 모듈(2)의 삽입 개구(275)와 작동 연결될 수 있는 해제 부재(16)로서 제공되는, 집중 치료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2)에 제공된 전기 연결 장치는 서로 180° 방향으로 나아가는 두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모듈 슬롯과 전기 연결될 수 있는, 집중 치료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장치 및 전기 연결 장치는 상기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을 지나 뻗어 있는 중심축(M)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 집중 치료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유닛(1)에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고, 베이스 유닛과 전기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2)이 제공되는, 집중 치료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2)과 상기 베이스 유닛(1)에 제공된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의 전기 연결 장치는 각각 다수의 접점을 갖는 접촉 보드(18, 25)를 통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접점은 180°로 엇갈린 배열에서 중복되며, 상기 모듈 슬롯(12.1, 12.2, 12.3, 12.4)에 체결된 기능 모듈(2)에 설치되는, 집중 치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보드(18, 25)에 제공된 접점은 스프링 부하가 걸린 상태로 각각 또 다른 접촉 보드(25, 18)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집중 치료 장치.
KR1020187011083A 2015-10-15 2016-10-17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 KR20180069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7581.9 2015-10-15
DE102015117581.9A DE102015117581A1 (de) 2015-10-15 2015-10-15 Modulares Intensivtherapiegerät
PCT/EP2016/074859 WO2017064318A1 (de) 2015-10-15 2016-10-17 Modulares intensivtherapiegerä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825A true KR20180069825A (ko) 2018-06-25

Family

ID=5723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083A KR20180069825A (ko) 2015-10-15 2016-10-17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362144B1 (ko)
KR (1) KR20180069825A (ko)
CN (1) CN108136193B (ko)
DE (1) DE102015117581A1 (ko)
ES (1) ES2741378T3 (ko)
PL (1) PL3362144T3 (ko)
WO (1) WO2017064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2503B4 (de) * 2017-02-08 2018-08-16 Eugen Kagan Modulares Gerät
DE102018122994A1 (de) * 2018-09-19 2020-03-19 B. Braun Melsungen Ag Verriegelung für ein modulares Ordnungssystem
TWI743546B (zh) * 2019-08-30 2021-10-2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超音波系統
CN110786881A (zh) * 2019-10-23 2020-02-1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超音波系统
CN112546370B (zh) * 2020-12-02 2023-01-10 巴豪斯医疗器械(苏州)有限公司 呼吸机的快速锁定装置
WO2024066872A1 (zh) * 2022-09-27 2024-04-04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通气设备主机、通气设备以及医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9063A (en) * 1994-03-08 1996-06-25 Physio-Control Corporation Modular system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a medical electronic device
DE19922855C1 (de) * 1999-05-19 2001-02-01 Draeger Medizintech Gmbh Patientenüberwachungsvorrichtung
US20030028219A1 (en) * 2001-07-20 2003-02-06 Powers Daniel J. Modular medical device, base unit and module thereof,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methods for assembling and using the AED
CN200973918Y (zh) * 2006-07-27 2007-11-14 北京麦邦光电仪器有限公司 具有模块化多参数监护的除颤监护仪
DE202007010052U1 (de) * 2006-10-14 2007-10-25 Dräger Medical AG & Co. KG Medizinischer Arbeitsplatz mit einem Therapiemodul
US9050125B2 (en) * 2011-10-10 2015-06-09 Ethicon Endo-Surgery, Inc.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 with modular end effector
DE102012103029A1 (de) 2012-04-05 2013-10-10 Eugen Kagan Modulares Intensivtherapiegerät
US9457197B2 (en) * 2012-05-08 2016-10-04 Physio-Control, Inc. Utility module system
RU2672020C2 (ru) * 2012-12-26 2018-11-08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Телемедицинский сервер дефибриллятора-монитор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2144A1 (de) 2018-08-22
ES2741378T3 (es) 2020-02-10
EP3362144B1 (de) 2019-07-17
DE102015117581A1 (de) 2017-04-20
CN108136193B (zh) 2021-11-23
PL3362144T3 (pl) 2019-10-31
WO2017064318A1 (de) 2017-04-20
CN108136193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9825A (ko) 모듈 방식의 집중 치료 장치
JP5101624B2 (ja) パワーレールシステム
US20150083564A1 (en) Arrangement of pushbutton switches with a programmable display
CN206820207U (zh) 插拔连接器系统
MX2009007341A (es) Ensamble de conectores para miembros de panel de montaje de extremo.
RU2010101800A (ru) Авиационное электрон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WO2014125540A1 (ja) 配線器具
TWI569532B (zh) 接觸件、連接器及連接裝置
KR20110044138A (ko) 벽스위치 장치
CN103316410A (zh) 呼吸仪和用于呼吸仪的壁支架
KR101381959B1 (ko) 전기계장설비의 시퀀스 제어시스템
KR101325511B1 (ko) 모듈형실습부품
US9470736B2 (en) Wiring test device for electronics cabinets having internal signal wiring
US7229294B1 (en) Supplying power
CN103369988B (zh) 具有用于调节至少一个可移动元件的操作系统的家具产品
KR101047444B1 (ko) 이오나이저
US20140082426A1 (en) Detection circuit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ion integrity
CN103948433A (zh) 一种医用吊塔附件与箱体的快速接口结构
KR101259859B1 (ko) 지능형 릴레이 제어 장치
JP2009117280A (ja) 建設機械の端子接続装置
JP4185929B2 (ja) 基板異常検出回路付き装置
GB2209892A (en) Anti-vibration, connector for mounting a water heater in a car
TWI539265B (zh) 具有磁力產生組件的電子裝置
JP2023525487A (ja) 特に多軌道型の秤のためのモジュール形式の測定技術装置
JPH09199195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