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063A -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063A
KR20180068063A KR1020160169647A KR20160169647A KR20180068063A KR 20180068063 A KR20180068063 A KR 20180068063A KR 1020160169647 A KR1020160169647 A KR 1020160169647A KR 20160169647 A KR20160169647 A KR 20160169647A KR 20180068063 A KR20180068063 A KR 2018006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ushioning material
main plate
stru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687B1 (ko
Inventor
김성신
박영욱
김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6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상충되는 차량의 길이방향의 특성과 폭방향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가 간격을 두고 차량의 차체에 체결되며 중심에 관통공(11a)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11)와, 적어도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저면과 상기 관통공(11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11)로 전달되는 진동을 절연시키는 완충재(12)와, 상기 완충재(12)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끼워지고, 중심에 쇽 업소버의 상부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상부 하우징(14) 및 하부 하우징(15)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관통공(11a)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의 직경과 상기 차량의 폭방향의 직경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INSULATOR BUSH FOR STRUT TYPE SUSPENSION IN VEHICLE}
본 발명은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에서 스트러트를 차체에 체결시키는 부위에 적용되는 인슐레이터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상충되는 차량의 길이방향의 특성과 폭방향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장치 중에는 내부에 쇽 업소버와 코일이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차륜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차량의 차륜으로부터 차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스트러트형 현가장치가 있다.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는 그 상단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슐레이터 부시(110)를 통하여 차체에 고정된다.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10)는, 차체에 마운트되고 중심에 상기 쇽 업소저의 상단이 관통하는 관통공(111a)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111), 상기 메인 플레이트(111)의 하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베어링 플레이트(113)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11)와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113) 사이를 채우는 완충재(112)와, 상기 완충재(112)의 중심에서 상부와 하부에 장착되는 상부 하우징(114) 및 하부 하우징(11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슐레이터 부시(110)는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11)는 둘레를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10)의 길이방향 단면(도 3 참조)와 폭방향 단면(도 4 참도)도 상기 완충재(112)에 형성된 장공(112a)을 제외하면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111)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공(111a)과 상기 메인 플레이트(111)의 관통공(111a)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완충재(112)의 관통공은 모두 정원(正圓)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따른 특성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재(112)에 장공(112a)을 형성한다. 상기 차량은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의 정특성이 낮아야 유리하고, 핸들링 측면에서는 차량의 폭방향의 정특성이 일정수준 이상을 만족해야 하며, 상기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노이즈를 고려한다면, 차량의 전방향(길이방향, 폭방향, 높이방향)의 동특성이 낮아야 유리하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인슐레이터 부시(110)는 둘레를 따라 동일한 구조를 가져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상기 완충재(112)에 장공(112a)을 형성하여,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10)의 길이방향 특성과 폭방향 특성이 이원화되도록 한다. 상기 장공(112a)은 상기 완충재(112)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장공(112a)에 의해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10)의 길이방향 정특성을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10)의 길이방향 특성과 폭방향 특성이 다르게 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하여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10)의 횡방향 특성도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기 완충재(112)의 경도를 상향시켜야 하는데, 이는 동특성을 증가시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노이즈를 충분히 저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스프링(21)과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10)가 접촉하는 부위에 개재되는 스트러트 베어링(22)을 고정하기 위한 베어링 플레이트(113)가 하중의 전달 경로상에 위치하여, 진동이 저감되는 것을 방해하여,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 향상에 장애가 되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14-001950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현가장치와 차체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길이방향의 특성을 개선시키면서도 폭방향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륜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장애없이 완충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가 간격을 두고 차량의 차체에 체결되며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절연시키는 완충재와, 상기 완충재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끼워지고, 중심에 쇽 업소버의 상부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관통공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의 직경과 상기 차량의 폭방향의 직경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관통공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의 직경이 상기 차량의 폭방향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재의 관통공은 정원(正圓)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관통공과 상기 완충재의 관통공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는 스트러트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 지지수단은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베어링 지지홈이고,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에는 상기 베어링 지지홈에 끼워지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 지지홈은,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서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과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완충재의 중심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 지지수단은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베어링 지지돌기이고,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끼워지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재의 저면은 직접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과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재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으 상부면과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에 따르면, 인슐레이터 부시에서 방향에 따라 완충재의 두께가 달라지도록 메인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차량의 길이방향의 축이 차량의 폭방향의 축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의 차량의 길이방향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차량의 폭방향 특성이 증대시킬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서로 상충되는 인슐레이터 부시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특성을 모두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완충재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에 차량의 폭방향의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폭방향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완충재의 경도를 하향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완충재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의 제조에 소요되는 완충재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트러트 베어링을 상기 완충재가 직접 지지함으로써,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플레이트의 삭제가 가능해져, 차륜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장애없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에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에서 메인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를 도 1의 Ⅰ-Ⅰ선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를 도 1의 Ⅱ-Ⅱ선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에서 차륜으로부터 하중이 전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에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에서 메인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를 도 6의 Ⅰ-Ⅰ선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를 도 6의 Ⅱ-Ⅱ선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에서 차륜으로부터 하중이 전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가 간격을 두고 차량의 차체에 체결되며 중심에 관통공(11a)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11)와, 적어도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저면과 상기 관통공(11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11)로 전달되는 진동을 절연시키는 완충재(12)와, 상기 완충재(12)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끼워지고, 중심에 쇽 업소버의 상부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상부 하우징(14) 및 하부 하우징(15)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재(12)가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관통공(11a)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의 직경과 상기 차량의 폭방향의 직경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메인 플레이트(11)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차체와 스트러트형 현가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1) 둘레를 따라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0)를 차체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11)는 중심에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쇽 업소버의 상단이 관통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1a)은 서로 직각인 방향으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11a)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의 직경은 폭방향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 7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공(11a)은 차량의 길이방향(도 7에서 상하 방향)의 직경(da)이 차량의 폭방향(도 7에서 좌우방향)의 직경(db)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완충재(12)는 적어도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저면과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완충재(12)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관통공(11a)보다 더 내측에 상기 관통공(11a)과 동심인 관통공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재(12)의 관통공은 정원(正圓)으로 형성되어, 방향에 상관없이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메인 플레이트(11)가 방향에 따라 관통공(11a)의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완충재(12)의 두께도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관통공(11a)과 상기 완충재(12)의 관통공의 중심은 서로 일치한다.
상기 완충재(12)는 고무를 재질로 하여, 상기 차량의 차륜으로부터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통하여 상기 차체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절연한다. 즉, 상기 완충재(12)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와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와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완충재(12)가 그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진동을 절연하게 된다.
상기 완충재(1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상부면과 바깥쪽 둘레를 덮어, 상기완충재(12)의 내부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11)가 수용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에서 차체와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완충재(12)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완충재(12)의 저면에는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0)와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장착될 때, 상기 완충재(12)의 저면과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의 스프링(21) 사이에 개재되는 스트러트 베어링(22)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베어링 지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재(12)의 저면은 직접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과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완충재(12)의 저면에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이 장착되어, 상기 완충재(12)와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 사이에는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지 않는다. 이때, 탄성변형되는 상기 완충재(12)의 저면에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이 장착될 때, 상기 완충재(12)와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의 정해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 지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 지지수단의 구체적인 예의 하나로서, 상기 완충재(12)의 저면에 형성되는 베어링 지지홈(12a)이 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지지홈(12a)은 상기 완충재(12)에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상기 완충재(12)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지지홈(12a)은 상기 완충재(12)의 저면에서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의 접촉하는 부위에서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0)의 중심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은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0)에서 중심 부분이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 지지홈(12a)을 이용하여, 상기 베어링 지지홈(12a)에 끼워지는 지지돌기(22a)가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완충재(12)의 저면에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어링 지지수단으로 상기 완충재(12)의 저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의 일측에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완충재(12)의 중심, 즉,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완충재(12)가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와 체결을 위한 상부 하우징(14)과 하부 하우징(15)이 장착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4)과 상기 하부 하우징(15)은 각각 컵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14)과 상기 하부 하우징(15)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체결된다. 즉, 상기 상부 하우징(14)은 둘레에 비하여 중간이 아래로 오목한 컵의 형태를 갖고, 상기 하부 하우징(15)은 둘레에 비하여 중간이 위로 볼록한 컵의 형태로 형성되어, 중간 부분이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부 하우징(14)과 상기 하부 하우징(15)이 체결된 상태에서 그 둘레에는 상기 완충재(12)가 채워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인슐레이터 부시(10)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1)가 방향에 따라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재(12)는 정원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완충재(12)가 둘레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다.
즉, 차량의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차량의 폭방향에 비하여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감싸는 완충재(12)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완충재(12)의 중심의 관통공이 정원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11)의 관통공(11a)의 직경이 차량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완충재(12)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더 두껍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완충재(12)의 두께가 ta가 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완충재(12)의 두께가 tb가 되는데, 'ta > tb'이므로,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더 두껍게 완충재(12)가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0)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완충재(12)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정특성이 낮아져 승차감이 향상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장공을 형성하기 위해 완충재의 경도를 높여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재(12)의 경도를 높이지 않아도 되고, 상기 완충재(12)를 폭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얇게 유지해도 되므로, 상기 인슐레이터 부시(10)에서 차량의 폭방향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완충재(12)의 경도를 높이지 않아도 되므로 전방향(차량의 길이방향, 폭방향, 상하방향)에 대한 동특성을 낮출 수 있어, 차륜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재(12)의 저면이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과 직접 접하고 있고, 그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요소(예컨대, 베어링 플레이트)가 없기 때문에, 차륜으로부터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은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22)으로부터 직접 충격을 흡수하는 상기 완충재(12)로 전달되기 때문에 하중이 전달되는 경로 상에 하중의 전달을 방해하는 요소가 삭제되기 때문에 상기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이 향상된다.
10 : 인슐레이터 부시
11 : 메인 플레이트
11a : 관통공
12 : 완충재
12a : 베어링 지지홈
14 : 상부 하우징
15 하부 하우징
21 : 스프링
22 : 스트러트 베어링
22a : 베어링 지지돌기
110 : 인슐레이터 부시
111 : 메인 플레이트
112 : 완충재
112a : 장공
113 : 베어링플레이트
114 : 상부 하우징
115 : 하부 하우징

Claims (10)

  1.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둘레가 간격을 두고 차량의 차체에 체결되며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적어도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관통공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을 절연시키는 완충재와,
    상기 완충재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끼워지고, 중심에 쇽 업소버의 상부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관통공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의 직경과 상기 차량의 폭방향의 직경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관통공은,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의 직경이 상기 차량의 폭방향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관통공은 정원(正圓)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관통공과 상기 완충재의 관통공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는 스트러트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지지수단은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베어링 지지홈이고,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에는 상기 베어링 지지홈에 끼워지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지지홈은,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서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과 접하는 부위에서 상기 완충재의 중심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지지수단은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 형성되는 베어링 지지돌기이고,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끼워지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의 저면은 직접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과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완충재의 저면에 상기 스트러트 베어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KR1020160169647A 2016-12-13 2016-12-13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KR10245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47A KR102452687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47A KR102452687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63A true KR20180068063A (ko) 2018-06-21
KR102452687B1 KR102452687B1 (ko) 2022-10-11

Family

ID=6280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47A KR102452687B1 (ko) 2016-12-13 2016-12-13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6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864A (ja) * 2005-05-12 2006-11-24 Honda Motor Co Ltd ダンパ
JP2006336869A (ja) * 2006-07-25 2006-12-14 Tokai Rubber Ind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の製造方法
JP2008144905A (ja) * 2006-12-12 2008-06-26 Bridgestone Corp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12533710A (ja) * 2009-07-17 2012-12-27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エスコーエッフ スラスト軸受、及び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20140019502A (ko) 2012-08-06 2014-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KR20140127952A (ko) * 2013-04-26 2014-11-05 평화산업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864A (ja) * 2005-05-12 2006-11-24 Honda Motor Co Ltd ダンパ
JP2006336869A (ja) * 2006-07-25 2006-12-14 Tokai Rubber Ind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の製造方法
JP2008144905A (ja) * 2006-12-12 2008-06-26 Bridgestone Corp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12533710A (ja) * 2009-07-17 2012-12-27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エスコーエッフ スラスト軸受、及び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20140019502A (ko) 2012-08-06 2014-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KR20140127952A (ko) * 2013-04-26 2014-11-05 평화산업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687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085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고무 부시
US8434749B2 (en) Body mount assembly
KR20120116074A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럿조립체의 리바운드스톱퍼
US9975388B2 (en) Shock absorber upper mount
US20100012451A1 (en) Amplitude selective shock absorber
KR20170109160A (ko) 엔진마운트의 체결구조
US20140306419A1 (en) Strut top mount with mcu and integral travel limiter
JPH04358916A (ja) ストラットサスペンションの上部取付構造
CN101445027A (zh) 用于车辆悬架的下弹簧座安装结构
US8398060B2 (en) Vibration absorber for a vehicle suspension spring
KR102522291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180068063A (ko)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KR102452684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부시,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3836A (ko) 유체 봉입형 부시
KR102487823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101746581B1 (ko) 롤마운트
JP2020190268A (ja) キャブマウント
KR102563031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JP7471439B2 (ja) ストラット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用いた車両
KR102512791B1 (ko) 스태빌라이저 바 부시
JPH0429153Y2 (ko)
JP2018100760A (ja) 軸ばね
JPS6218773B2 (ko)
KR20200113806A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갖는 현가장치
KR20090082819A (ko) 댐퍼와 에어스프링을 구비하는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