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847A - 로보체인 - Google Patents

로보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847A
KR20180067847A KR1020160169219A KR20160169219A KR20180067847A KR 20180067847 A KR20180067847 A KR 20180067847A KR 1020160169219 A KR1020160169219 A KR 1020160169219A KR 20160169219 A KR20160169219 A KR 20160169219A KR 20180067847 A KR20180067847 A KR 2018006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ross connection
link unit
protective sheet
lin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415B1 (ko
Inventor
김두진
Original Assignee
(주)한신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신체인 filed Critical (주)한신체인
Priority to KR1020160169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15B1/ko
Priority to CN201710816978.9A priority patent/CN108612808B/zh
Publication of KR2018006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보체인에 관한 것으로, 좌측 링크부, 우측 링크부 및 상기 좌측 링크부와 상기 우측 링크부를 연결하는 크로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로보체인에 있어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크로스 연결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좌측 링크부와 상기 우측 링크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호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케이블류 수용 공간 수용된 케이블류가 크로스 연결부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차단하여 그 마모 현상을 저감시킨다.

Description

로보체인 { ROBOCHAIN }
본 발명은 로보체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된 케이블류의 마모 현상을 저감시킴으로써 제품 공정의 완결성을 향상시키는 로보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보체인은 각종 기계를 다루는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직선 상태와 굴곡 상태 간의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링크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구부림 운동을 통해 그 내부 공간에 수용된 유공압 호스, 케이블 등(이하, '케이블류'라 함)을 왕복 운동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로보체인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의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10-1196888B1(특허문헌 1)이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링크유닛과, 링크유닛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링크유닛 각각에서 연결 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링크유닛의 내측에 형성되는 오목부 및 연결 부재가 오목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 부재에 형성된 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케이블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링크유닛의 상 하부 플레이트에 부딪쳐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발생한 케이블류 티끌이 상기 로보체인의 상하부 측으로 방출되면서 제품 공정에 치명적 결함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케이블류가 다수개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류 상호 간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10-1196888B1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상 하부 부품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차단하여 그 마모 현상을 저감시키는 로보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발생한 케이블류 티끌이 로보체인의 상하부 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 공정 상의 완결성을 도모하게 하는 로보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수개의 케이블류를 엉킴없이 효과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로보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로보체인의 부품을 이용하여 케이블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제작 시간과 제작 비용을 절감시키는 로보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케이블류의 두께에 상관없이 케이블류 수용 공간의 상 하측으로 밀착 설치될 수 있는 보호 시트를 개시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게 하는 로보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로보체인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보호 시트를 재사용하여 케이블류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로보체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은 좌측 링크부, 우측 링크부 및 상기 좌측 링크부와 상기 우측 링크부를 연결하는 크로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로보체인에 있어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크로스 연결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좌측 링크부와 상기 우측 링크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호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좌측 링크부는 복수개의 좌측 중앙 링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링크부는 복수개의 좌측 중앙 링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연결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좌측 중앙 링크 유닛과 우측 중앙 링크 유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와 그 하부를 연결하는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링크부는 양 단의 상기 좌측 중앙 링크 유닛에 연결되는 좌측 단부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링크부는 양 단의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에 연결되는 우측 단부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연결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좌측 단부 링크 유닛과 우측 단부 링크 유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와 그 하부를 연결하는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 시트부는 상기 좌측 링크부와 상기 우측 링크부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보호 시트부는 길이 방향의 양 단에 상기 크로스 연결부가 관통되는 크로스 연결부 수용홀이 그 폭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크로스 연결부 수용홀은 상기 좌측 링크부와 상기 우측 링크부의 작동 상태에 따른 길이 변형을 방지하는 길이 변형 댐핑 공간을 가지는 장공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호 시트부는 양 단이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 설치되는 제 1 보호 시트 및 양 단이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 설치되는 제 2 보호 시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보호 시트는 상기 좌측 링크부 및 상기 우측 링크부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양 단 중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감긴 후 상기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제 2 보호 시트는 상기 좌측 링크부 및 상기 우측 링크부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양 단 중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감긴 후 상기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보호 시트는 상기 좌측 링크부 및 상기 우측 링크부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일단이 하나의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 설치되고 타단이 다른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감긴 후 상기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제 2 보호 시트는 상기 좌측 링크부 및 상기 우측 링크부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일단이 하나의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 설치되고 타단이 다른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감긴 후 상기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호 시트부는 양 단이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과 상기 우측 단부 링크 유닛에 끼워져 조립되는 보조핀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제 1 보호 시트와 상기 제 2 보호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 3 보호 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보체인은 케이블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상 하부 부품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차단하여 그 마모 현상을 저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로보체인은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발생한 케이블류 티끌이 상기 로보체인의 상하부 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 공정 상의 완결성을 도모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로보체인은 다수개의 케이블류를 엉킴없이 효과적으로 수용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로보체인은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로보체인의 부품을 이용하여 케이블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제작 시간과 제작 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로보체인은 케이블류의 두께에 상관없이 케이블류 수용 공간의 상 하측으로 밀착 설치될 수 있는 보호 시트를 개시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로보체인은 로보체인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보호 시트를 재사용하여 케이블류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의 굴곡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보체인의 일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좌측 링크부의 일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우측 중앙 링크 유닛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트 부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보호 시트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로보체인의 직선 상태를 나타낸 일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로보체인에서 중앙 링크 유닛을 일부 제거한 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로보체인에 보호 시트부의 구성이 추가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단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의 굴곡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보체인의 일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좌측 링크부의 일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우측 중앙 링크 유닛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트 부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보호 시트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로보체인의 직선 상태를 나타낸 일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로보체인에서 중앙 링크 유닛을 일부 제거한 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로보체인에 보호 시트부의 구성이 추가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단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서 추가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1000)은 좌측 링크부(1100), 우측 링크부(1200) 및 상기 좌측 링크부(1100)와 상기 우측 링크부 (1200)를 연결하는 크로스 연결부(1300)를 포함하는 로보체인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보체인(1000)은 특히 보호 시트부(1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 링크부(1100) 및 상기 우측 링크부(120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좌측 링크부(1100) 및 상기 우측 링크부(1200)는 곡선 상태와 직선 상태로 변형 가능한 링크 구조로 형성되고, 상호 간 대칭적인 구부림 운동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류를 왕복 이동시킨다.
이하, 상기 좌측 링크부(1100) 및 상기 우측 링크부(1200)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에 의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10-1196888B1에 개시된 기술을 토대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링크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링크부(1100)는 복수개의 좌측 중앙 링크 유닛(1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좌측 링크부(1100)는 양 단의 상기 좌측 중앙 링크 유닛(1110)에 연결되는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은 제 1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1) 및 제 2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링크부(1100)는 이하 서술하는 상기 우측 링크부(1200)와 완전히 대칭 형태로 구비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상기 우측 링크부(1200)을 기준으로 서술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링크부(1100)의 상기 좌측 중앙 링크 유닛(1110)에 형성되는 중간 오목부(1111, 1112) 및 돌기(1113, 1114)는 후술하는 상기 우측 링크부(1200)의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에 형성되는 중간 오목부(1211, 1212) 및 돌기(1213, 1214)로 상호 대칭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좌측 중앙 링크 유닛(1110), 제 1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 제 2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2)은 커넥트 부재(1500)에 의하여 상호간 연결되어 링크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우측 링크부(1200)는 복수개의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우측 링크부(1200)는 양 단의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에 연결되는 우측 단부 링크 유닛(1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0)은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1) 및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은 상부와 하부에 후술하는 크로스 연결부(1300)와 결합되는 상기 돌기(1213, 1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커넥트 부재(1500)가 결합되는 상기 중간 오목부(1211, 1212)가 2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트 부재(1500)는 상기 로보체인(1000)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상기 중간 오목부(1211, 1212)에 결합된다.
상기 중간 오목부(1211, 1212 중 1212를 기준으로 설명)는 외측에 대략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만곡진 인입부(1212a)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1212a)의 중앙에 내측으로 좀 더 깊게 형성되며 상기 인입부(1212a)의 내측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한 좁은홈부(1212b)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부(1212a)와 상기 좁은홈부(1212b)의 경계인 상기 좁은홈부(1212b)의 입구(1212c)는 좁은홈부(1212b)의 내측직경보다 작은 내측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인입부(1212a)에는 상기 커넥트 부재(1500)를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1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의 외측면에는 좌측과 우측에 경사면(1216, 1217)이 형성된다. 상기 좌측 경사면(1216)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 경사면(1217)은 최상부에서 중단부까지는 좌측 경사면(1216)과 평행한 경사를 이루다가 중단부 이하에서는 거의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 부분(1218)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 경사면(1216)과 상기 우측 경사면(1217)은 서로 인접한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이 상기 절곡 부분(1218)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 부분(1218)은 상기 인입부(1212a)의 상기 절개부(1215) 형성 위치와 동일 수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1)은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1)은 상기 제 1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1)과 대칭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1)은 상부와 하부에 후술하는 크로스 연결부(1300)와 결합되는 돌기(1221-1, 12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커넥트 부재(1500)가 결합되는 단부 오목부(122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트 부재(1500)는 상기 로보체인(1000)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상기 단부 오목부(1221-3)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단부 오목부(1221-3)를 복수개 구비하여 그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커넥트 부재(1500)를 이에 대응되게 구성하면 된다.
상기 단부 오목부(1221-3)는 외측에 대략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만곡진 인입부(1221-3a)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1221-3a)의 중앙에 내측으로 좀 더 깊게 형성되며 상기 인입부(1221-3a)의 내측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한 좁은홈부(1221-3b)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부(1221-3a)와 상기 좁은홈부(1221-3b)의 경계인 상기 좁은홈부(1221-3b)의 입구(1221-3c)는 좁은홈부(1221-3b)의 내측직경보다 작은 내측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입부(1221-3c)에는 상기 커넥트 부재(1500)를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1221-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1)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제 3 보호 시트(1430)을 설치하기 위한 보조핀(1431)을 수용하는 보조핀 오목부(12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1)의 외측면에는 좌측 경사면(1221-6)이 형성된다. 상기 좌측 경사면(1221-6)은 바로 인접한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의 상기 우측 경사면(1217)과 접촉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2)은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2)은 상기 제 2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2)과 대칭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2)은 상부와 하부에 후술하는 크로스 연결부(1300)와 결합되는 돌기(1222-1, 12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2)의 내측면에는 상기 커넥트 부재(1500)가 결합되는 단부 오목부(1222-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트 부재(1500)는 상기 로보체인(1000)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상기 단부 오목부(1222-3)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단부 오목부(1222-3)를 복수개 구비하여 그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커넥트 부재(1500)를 이에 대응되게 구성하면 된다.
상기 단부 오목부(1222-3)는 외측에 대략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만곡진 인입부(1222-3a)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1222-3a)의 중앙에 내측으로 좀 더 깊게 형성되며 상기 인입부(1222-3a)의 내측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한 좁은홈부(1222-3b)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부(1222-3a)와 상기 좁은홈부(1222-3b)의 경계인 상기 좁은홈부(1222-3b)의 입구(1222-3c)는 좁은홈부(1222-3b)의 내측직경보다 작은 내측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입부(1222-3c)에는 상기 커넥트 부재(1500)를 수용하기 위한 절개부(1222-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2)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제 3 보호 시트(1430)을 설치하기 위한 보조핀(1431)을 수용하는 보조핀 오목부(12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2)의 외측면에는 우측 경사면(1222-6)이 형성된다. 상기 우측 경사면(1222-6)은 바로 인접한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의 상기 좌측 경사면(1216)과 접촉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트 부재(1500)는 상기 좌측 링크부(1100) 및 상기 우측 링크부(1200)에 형성된 상기 중간 오목부(1111, 1112, 1211, 1212)와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 및 상기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0)에 형성된 상기 단부 오목부(1221-3, 1222-3,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의 경우 도면 부호 미표시)에 인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1510)와, 서로 인접한 상기 체결부(1510)의 사이를 연결하는 조인부(1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1510)는 상기 중간 오목부(1111, 1112, 1211, 1212) 및 상기 단부 오목부(1221-3, 1222-3,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의 경우 도면 부호 미표시)에 끼워지도록 상기 인입부(1212a, 1221-3a, 1222-3a)에 대응되는 볼록부(1511)와, 상기 볼록부(15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좁은홈부(1212b, 1221-3b, 1222-3b)에 대응되는 선단돌기(1512)와, 상기 좁은홈부(1212b, 1221-3b, 1222-3b)의 입구(1212c, 1221-3c, 1222-3c)에 대응되는 목부(1513) 및 인입부(11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볼록부(1511)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1511)보다 직경이 큰 덮개부(15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각 유닛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1514)에 의해 상기 볼록부(1511)와 밀착된 상기 인입부(1212a, 1221-3a, 1222-3a)의 둘레를 덮을 수 있어 상기 좌측 링크부(1100) 및 상기 우측 링크부(1200) 사이에 수용되는 케이블류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케이블류와의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크로스 연결부(130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좌측 중앙 링크 유닛(1110)과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10)와 그 하부를 연결하는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크로스 연결부(130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과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30)와 그 하부를 연결하는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10) 및 상기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20)는 상기 좌측 중앙 링크 유닛(1110)과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에 형성된 상기 돌기(1113, 1114, 1213, 1214)에 결합되게 결합공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30) 및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40)는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과 상기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0)에 형성된 상기 돌기(1221-1, 1221-2, 1222-1, 1222-2,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의 경우 도면부호 미표시)에 결합되게 결합공을 가질 수 있다.
각 연결 플레이트(1310, 1320, 1330, 1340)는 직육면체의 판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그 폭 방향에 다수개의 결합공을 구비하여 로보체인의 폭 방향 조절 시에도 동일 플레이트의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시트부(1400)는 1차적으로 상기 로보체인(1000)의 케이블류 수용 공간(1000a)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상기 크로스 연결부(1300)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시트부(1400)는 상기 크로스 연결부(1300)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좌측 링크부(1100)와 상기 우측 링크부(1200) 사이에 개재된다.
이 경우, 상기 보호시트부(1400)는 케이블류가 상기 크로스 연결부(1300)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좌측 링크부(1100)와 상기 우측 링크부(1200) 사이의 폭, 즉 상기 좌측 링크부(1100)와 상기 우측 링크부(1200) 사이의 상기 크로스 연결부(1300)의 중앙 측 폭(즉, 양 단의 결합 부분을 제외한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보호 시트부(1400)는 길이 방향의 양 단에 상기 크로스 연결부(1300)가 관통되는 크로스 연결부 수용홀(1400a)이 그 폭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보호 시트부(1400)는 케이블류 수용 공간(1000a)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상기 크로스 연결부(1300)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그 마모 현상을 저감시킨다.
더 나아가,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발생한 케이블류 티끌이 상기 로보체인의 상하부 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 공정 상의 완결성을 도모하게 한다.
이때, 상기 크로스 연결부 수용홀(1400a)은 상기 좌측 링크부(1100)와 상기 우측 링크부(1200)의 작동 상태에 따른 길이 변형을 방지하는 길이 변형 댐핑 공간을 가지는 장공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크로스 연결부 수용홀(1400a)은 상기 크로스 연결부(1300)가 각 연결 플레이트(1310, 1320, 1330, 1340)로 구성될 때, 그 플레이트의 폭보다 소정 길이 더 긴 폭을 가지는 장공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술하면, 상기 보호 시트부(1400)는 양 단이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30)에 결합 설치되는 제 1 보호 시트(1410) 및 양 단이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40)에 결합 설치되는 제 2 보호 시트(14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보호 시트(1410)는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30)에 결합 설치되되, 상기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길이를 형성함으로써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발생한 케이블류 티끌이 상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제 1 보호 시트(1410)는 케이블류 수용 공간(1000a)에 수용되는 케이블류와의 마찰 계수가 작은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케이블류가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마모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 제 1 보호 시트(1410, 이하 제 2 보호 시트(1420)도 동일)는 그 단부의 폭이 일부 좁아지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좌측 링크부(1100)와 상기 우측 링크부(1200)의 구성 부품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 2 보호 시트(1420)는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40)에 결합 설치되되, 상기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2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길이를 형성함으로써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발생한 케이블류 티끌이 하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제 2 보호 시트(1410)는 케이블류 수용 공간(1000a)에 수용되는 케이블류와의 마찰 계수가 작은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케이블류가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마모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9의 로보체인(1000)의 사용 상 필요에 따라 상기 좌측 중앙 링크 유닛(1110) 및 우측 중앙 링크 유닛(1210)을 동일 개소씩 제거한 상황에서도 동일한 보호시트부(1400)가 활용 가능한 구조를 개시한다.
즉, 상기 제 1 보호 시트(1410)는 상기 좌측 링크부(1100) 및 상기 우측 링크부(1200)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양 단 중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30)에 감긴 후 상기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보호 시트(1410)는, 도 10에서와 같이, 일단이 제 2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2)과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2)에 결합된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30)에 결합 설치되고, 타단이 제 1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1)과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1)에 결합된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30)에 감긴 후 상기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보호 시트(1410)는 전체적으로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보호 시트(1420)도 상기 좌측 링크부(1100) 및 상기 우측 링크부(1200)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양 단 중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40)에 감긴 후 상기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30)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보호 시트(1420)는, 도 10에서와 같이, 일단이 제 2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2)과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2)에 결합된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40)에 결합 설치되고, 타단이 제 1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1)과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1)에 결합된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40)에 감긴 후 상기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보호 시트(1420)는 전체적으로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2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13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9의 로보체인(1000)의 사용 상 필요에 따라 케이블류의 다층 구조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다.
즉, 상기 보호 시트부(1400)는, 양 단이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과 상기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0)에 끼워져 조립되는 보조핀(1431)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제 1 보호 시트(1410)와 상기 제 2 보호 시트(1420)의 사이의 높이에 개재되는 제 3 보호 시트(14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하면, 상기 제 3 보호 시트(1431)는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과 상기 우측 단부 링크 유닛(1220)에 형성된 상기 보조핀 오목부(1221-4, 1222-4,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1120)의 경우 미도시)에 끼워진 상기 보조핀(1431)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3 보호 시트(1431)는 양 단부에 상기 보조핀(1431)이 관통 되어 결합되는 보조핀 수용홀(143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핀 수용홀(1430a)은 전술한 크로스 연결부 수용홀(1400a)과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로보체인(1000)은 다수개의 케이블류를 엉킴없이 효과적으로 수용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로보체인은 케이블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케이블류가 크로스 연결부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차단하여 그 마모 현상을 저감시키고, 케이블류가 마모되면서 발생한 케이블류 티끌이 로보체인의 상하부 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 공정 상의 완결성을 도모하게 하며, 다수개의 케이블류를 엉킴없이 효과적으로 수용하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로보체인은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이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개시된 부품을 이용하여 케이블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제작 시간과 제작 비용을 절감시키고, 케이블류의 두께에 상관없이 케이블류 수용 공간의 상 하측으로 밀착 설치될 수 있는 보호 시트를 개시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며, 그 로보체인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보호 시트를 재사용하여 케이블류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로보체인에 관한 것으로, 유공압 호스, 케이블 등의 왕복 운동이 요구되는 기계 장치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0: 로보체인
1100: 좌측 링크부
1110: 좌측 중앙 링크 유닛
1111, 1112: 중간 오목부
1113, 1114: 돌기
1120: 좌측 단부 링크 유닛
1121: 제 1 좌측 단부 링크 유닛
1122: 제 2 좌측 단부 링크 유닛
1200: 우측 링크부
1210: 우측 중앙 링크 유닛
1211, 1212: 중간 오목부
1213, 1214: 돌기
1220: 우측 단부 링크 유닛
1221: 제 1 우측 단부 링크 유닛
1221-1, 1221-2: 돌기
1221-3: 단부 오목부
1221-4: 보조핀 오목부
1222: 제 2 우측 단부 링크 유닛
1222-1, 1222-2: 돌기
1222-3: 단부 오목부
1222-4: 보조핀 오목부
1300: 크로스 연결부
1310: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
1320: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
1330: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
1340: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
1400: 보호 시트부
1400a: 크로스 연결부 수용홀
1410: 제 1 보호 시트
1420: 제 2 보호 시트
1430: 제 3 보호 시트
1431: 보조핀
1500: 커넥트 부재
1510: 체결부
1520: 조인부

Claims (9)

  1. 좌측 링크부, 우측 링크부 및 상기 좌측 링크부와 상기 우측 링크부를 연결하는 크로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로보체인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연결부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좌측 링크부와 상기 우측 링크부 사이에 개재되는 보호 시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링크부는 복수개의 좌측 중앙 링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링크부는 복수개의 우측 중앙 링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연결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좌측 중앙 링크 유닛과 우측 중앙 링크 유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와, 그 하부를 연결하는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링크부는 양 단의 상기 좌측 중앙 링크 유닛에 연결되는 좌측 단부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우측 링크부는 양 단의 상기 우측 중앙 링크 유닛에 연결되는 우측 단부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연결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좌측 단부 링크 유닛과 우측 단부 링크 유닛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와, 그 하부를 연결하는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부는,
    상기 좌측 링크부와 상기 우측 링크부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그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부는,
    길이 방향의 양 단에 상기 크로스 연결부가 관통되는 크로스 연결부 수용홀이 그 폭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연결부 수용홀은,
    상기 좌측 링크부와 상기 우측 링크부의 작동 상태에 따른 길이 변형을 방지하는 길이 변형 댐핑 공간을 가지는 장공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부는,
    양 단이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 설치되는 제 1 보호 시트 및 양 단이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결합 설치되는 제 2 보호 시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 시트는 상기 좌측 링크부 및 상기 우측 링크부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양 단 중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 2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감긴 후 상기 제 1 어퍼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제 2 보호 시트는 상기 좌측 링크부 및 상기 우측 링크부의 형성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 양 단 중 적어도 일단이 상기 제 2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에 감긴 후 상기 제 1 로워 크로스 연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보체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부는,
    양 단이 상기 좌측 단부 링크 유닛과 상기 우측 단부 링크 유닛에 끼워져 조립되는 보조핀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제 1 보호 시트와 상기 제 2 보호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 3 보호 시트;
    를 더 포함하는 로보체인.
KR1020160169219A 2016-12-13 2016-12-13 로보체인 KR10192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219A KR101923415B1 (ko) 2016-12-13 2016-12-13 로보체인
CN201710816978.9A CN108612808B (zh) 2016-12-13 2017-09-12 机械链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219A KR101923415B1 (ko) 2016-12-13 2016-12-13 로보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847A true KR20180067847A (ko) 2018-06-21
KR101923415B1 KR101923415B1 (ko) 2018-11-29

Family

ID=6280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219A KR101923415B1 (ko) 2016-12-13 2016-12-13 로보체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3415B1 (ko)
CN (1) CN108612808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88B1 (ko) 2012-05-07 2012-11-01 (주)한신체인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63671B (de) * 1958-06-07 1959-08-20 Kabelschlepp Gmbh Einrichtung zum Fuehren und Entlasten von an bewegliche Verbraucher mittels Ketten zugefuehrten Kabeln, Schlaeuchen od. dgl.
DE2638154C3 (de) * 1976-08-25 1979-05-31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Schutzabdeckung für die Energieleitungen in einer Energieführungskette
DE3537961C1 (de) * 1985-10-25 1987-04-09 Kabelschlepp Gmbh Energieleitungstraeger
JPH0727799Y2 (ja) * 1991-03-11 1995-06-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透明樹脂製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
JP3716989B2 (ja) * 2003-05-07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414820B2 (ja) * 2012-02-27 2014-0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427614B1 (ko) * 2013-03-22 2014-08-07 송영우 케이블 보호기능을 갖는 케이블 베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88B1 (ko) 2012-05-07 2012-11-01 (주)한신체인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12808A (zh) 2018-10-02
KR101923415B1 (ko) 2018-11-29
CN108612808B (zh)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5815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10221919B2 (en) Long-object guide device and affixation member
US20090039196A1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20070068694A1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TWI584546B (zh) 纜線類保護引導裝置
JP6060064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6300271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のケーブル類クランプ部材
JP2007177857A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KR20110085890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US7045705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5709813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5315382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CA2838098C (en) Support module of sleeve for transmission line
JP5709832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923415B1 (ko) 로보체인
KR102017509B1 (ko) 케이블 베어
TWI593896B (zh) 長條物之導引裝置
JP4098297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923417B1 (ko) 자켓 타입의 로보체인
JP528039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EP2077403B1 (en) Energy guiding chain having low noise and good durability
KR101923416B1 (ko) 자켓 타입의 로보체인
KR102630152B1 (ko) 로보체인 조립체
KR101935517B1 (ko) 자켓 타입의 로보체인
WO2023106139A1 (ja) 長尺物の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