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567A - 히트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히트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567A
KR20180066567A KR1020160167562A KR20160167562A KR20180066567A KR 20180066567 A KR20180066567 A KR 20180066567A KR 1020160167562 A KR1020160167562 A KR 1020160167562A KR 20160167562 A KR20160167562 A KR 20160167562A KR 20180066567 A KR20180066567 A KR 20180066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refrigerant
engine
heat exchanger
inter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3159B1 (ko
Inventor
신광호
이진우
최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1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both the cooling liquid and the exhaust gases of the propulsion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01N3/04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without contact between liquid and exhaust gases
    • F01N3/046Exhaust manifolds with cooling ja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02B29/0437Liquid 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07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49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cooling sources, e.g. second evapo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냉매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선택적으로 안내되고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선택적으로 안내되고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 및 상기 터빈과 동일 축으로 연결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흡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트펌프 시스템{Heat Pump System}
본 발명은 압축기를 구동하기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에 터보차저 기술이 적용되어 엔진효율을 높일 수 있고, 엔진 배기가스 열을 이용하여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는 냉매의 순환에 기초하여 공조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은 난방모드에서, 압축기(2)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실내기(3)를 향해 안내된다. 실내기(3)에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냉매는 응축되고 공조공간의 난방이 수행될 수 있다.
실내기(3)에서 응축된 냉매는 실외기(1)로 안내된다. 실외기(1)로 유입된 냉매는 팽창밸브(4)에서 팽창된 후에 실외열교환기(5)로 유입되어 증발된다.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한 이상냉매는 어큐뮬레이터(6)에서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로 분리된 후에, 기상냉매만 압축기(2)로 안내된다.
한편,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2)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에 별도의 과급 구조를 적용하지 않고 있어, 엔진 성능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2)를 구동하는 엔진을 통과하는 냉각수가 작동 모드에 관계없이 냉각수 방열기(미도시)를 통해서 항상 방열된다. 즉,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에서는 엔진의 열을 흡수한 냉각수의 열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은 엔진의 배기가스의 열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엔진에 흡입공기를 과급하기 위한 터보차저 기술이 적용된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을 통과한 냉각수와 냉매를 열교환시켜서, 냉각수의 열을 활용할 수 있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와 냉각수를 열교환시켜서, 배기가스의 열을 활용할 수 있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매를 압축하는 냉매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선택적으로 안내되고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선택적으로 안내되고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 및 상기 터빈과 동일 축으로 연결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흡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작동모드에 기초하여, 엔진의 냉각수를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흡입공기 및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열교환시키는 인터쿨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을 경유한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방열기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냉방모드에서, 상기 냉각수 방열기를 통해 냉각된 냉각수가 상기 인터쿨러에서 상기 흡입공기와 서로 열교환할 수 있다.
냉방모드에서, 상기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배기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잇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난방모드에서, 실내열교환기를 통해 응축된 냉매의 일부를 엔진을 통과한 냉각수와 열교환시키는 판형 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해 응축된 냉매의 나머지는 상기 실외열교환기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판형 열교환기에서 상기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증발한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한기를 통과한 냉매와 합류하여 압축기로 안내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한 냉각수는 상기 인터쿨러를 통해 다시 엔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한 냉각수와 상기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인터쿨러에서 서로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작동모드에 기초해서 상기 흡기 압축기를 통해 압축된 흡입공기를 상기 엔진의 흡기구에 직접 연결된 제1흡기유로 및 상기 인터쿨러를 경유하여 상기 엔진의 흡기구에 연결된 제2흡기유로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1삼방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작동모드에 기초해서 상기 인터쿨러를 통과한 흡입공기를 상기 엔진의 흡기구로 안내하거나 상기 인터쿨러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배기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2삼방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작동모드에 기초해서 상기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배기유로 및 인터쿨링 유로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3삼방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작동모드에 기초해서 상기 엔진으로부터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방열기 및 상기 판형 열교환기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4삼방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엔진을 통과한 냉각수를 안내하는 냉각수 유로에 구비되는 냉각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수 펌프는 냉각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인터쿨러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의 일부는 제1분지유로를 통해 상기 판형 열교환기로 안내되고, 냉매의 나머지는 제2분지유로를 통해 실외열교환기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분지유로에 제1팽창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분지유로에 제2팽창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지유로 및 상기 제2분지유로로 각각 안내되는 냉매는 상기 제1팽창밸브 및 상기 제2팽창밸브에서 각각 팽창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냉방모드에서, 상기 실외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2분지유로를 통해 실내열교환기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팽창밸브는 닫히고, 상기 제2팽창밸브는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해 개도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에 흡입공기를 과급하기 위한 터보차저 기술이 적용된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을 통과한 냉각수와 냉매를 열교환시켜서, 냉각수의 열을 활용할 수 있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와 냉각수를 열교환시켜서, 배기가스의 열을 활용할 수 있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모드에서 냉매, 냉각수 및 배기가스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모드에서 냉매, 냉각수 및 배기가스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10)은 가스엔진에 의해 냉매 압축기(100)에 구동력이 제공되는 가스 히트펌프 시스템(gas heat pump system)이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히트펌프 시스템(10)은 냉매를 압축하는 냉매 압축기(100), 상기 냉매 압축기(1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200), 냉매 압축기(100)에서 토출된 냉매가 선택적으로 안내되는 실내열교환기(300)와 실외열교환기(400), 상기 엔진(200)의 배기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500), 및 상기 터빈(500)과 동일 축으로 연결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흡기 압축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 압축기(10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30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를 순환하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냉매로 압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매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유로전환밸브(150)를 통해 실내열교환기(300) 및 실외열교환기(400) 중 하나를 향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150)는 사방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 상기 유로전환밸브(150)는 냉매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열교환기(300)를 향해 안내하고, 냉방모드에서 상기 유로전환밸브(150)는 냉매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00)와 상기 실외열교호나기(40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팽창밸브(910, 9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910, 92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30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0)중 증발기로 작동하는 열교환기를 향하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00)는 공조공간(실내공간)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00)는 난방모드에서 응축기로 작동하고 냉방모드에서 증발기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00)의 일측에는 실내팬(3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난방모드에서 증발기로 작동되고, 냉방모드에서 응축기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400)의 일측에는 실외팬(4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엔진(200)은 상기 냉매 압축기(1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냉매를 압축하는 냉매 압축기(100)는 상기 엔진(2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엔진(200)은 실린더와 피스톤을 구비하는 가스엔진이 될 수 있다.
상기 터빈(500)은 상기 엔진(2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빈(500) 내에는 터빈휠(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엔진(200)의 배기구(202)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상기 터빈(500)으로 유입되어 상기 터빈휠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흠기 압축기(600)는 상기 엔진(200)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흠기 압축기(600)는 상기 터빈(500)과 동일 축(55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흠기 압축기(600) 내에는 블레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빈(500)의 터빈휠과 상기 블레이드는 동일 축(5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200)의 배기가스가 상기 터빈(500)을 구동시키면 상기 터빈휠과 함께 상기 압축기(600)의 블레이드가 회전될 수 있다.
터빈(500) 및 흠기 압축기(600)를 이용하여, 엔진(200)의 배기가스에 의해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것을 터보차저(또는 터보과급기)라고 한다. 상기 터보차저에 의해 엔진(200)으로 유입되는 흡입공기의 밀도가 자연흡기(natural aspiration)보다 높아져서 엔진(200)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10)은 엔진(200)의 냉각수를 엔진(200)으로 유입되는 흡입공기 및 엔진(200)의 배기가스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열교환시키는 인터쿨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쿨러(700)는 작동모드에 기초하여 엔진(200)의 냉각수를 엔진(200)으로 유입되는 흡입공기 및 엔진(200)의 배기가스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열교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방모드에서, 상기 인터쿨러(700)는 엔진(200)의 냉각수와 엔진(200)으로 유입되는 흡입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이때, 엔진(200)의 냉각수는 흡입공기와 열교환하기 전에 냉각수 방열기(810)를 통해 냉각될 수 있다.
즉, 냉방모드에서, 상기 냉각수 방열기(810)를 통해 냉각된 냉각수가 상기 인터쿨러(700)에서 흡입공기와 서로 열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모드에서, 상기 냉각수와 상기 흡입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엔진(200)으로 유입되는 흡입공기의 온도가 낮아져서 상기 흡입공기의 밀도가 증가할 수 있다. 흡입공기의 밀도가 증가하면 엔진(200)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방열기(810)는 엔진(200)을 경유한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수 방열기(810)는 엔진(200)의 방열을 위해 가열된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방열기(810)는 상기 실외열교한기(4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실외팬(410)의 구동에 의해 냉각수 방열기(810)를 유동하는 냉각수가 냉각될 수 있다. 냉각수 방열기(810)는 실외열교환기(400)와 실외팬(4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실외팬(410)이 구동하면, 외부공기는 실외열교환기(400)와 실외팬(4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는 실외열교환기(400)와 냉각수 방열기(810)가 포함되는 실외기의 외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냉방모드에서, 상기 터빈(500)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배기유로(1031)를 통해 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저항이 감소됨에 따라서 엔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는 실외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상기 인터쿨러(700)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될 필요가 없다. 즉, 난방모드에서는 엔진(20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밀도가 냉방모드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상기 인터쿨러(700)는 아래와 같이 흡입공기의 온도가 아닌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 엔진(200)의 냉각수는 배기가스와 열교환하기 전에 후술할 판형 열교환기(82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인터쿨러(700)는 엔진(200)의 냉각수와 엔진(200)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즉, 엔진(200)의 배기가스는 터빈(500)을 통과한 후에, 상기 인터쿨러(7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난방모드에서, 상기 인터쿨러(700)를 통해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 냉각수의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즉, 난방모드에서, 배기가스의 폐열을 통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고, 판형 열교환기(820)에서 냉각수와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가 증발될 수 있다.
상기 판형 열교환기(820)는 난방모드에서 실내열교환기(300)를 통해 응축된 냉매의 일부를 엔진(200)을 통과한 냉각수와 열교환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난방모드에서, 실내열교환기(300)를 통해 응축된 냉매의 일부는 엔진(200)의 방열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증발될 수 있다. 이때, 실내열교환기(300)를 통해 응축된 냉매의 나머지는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로 안내되어 응축될 수 있다.
또한, 난방모드에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700)에서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증발한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를 통과한 냉매와 합류하여 압축기(100)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난방모드에서 실외옆교환기(400) 및 판형 열교환기(700)를 통해 냉매의 증발열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난방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700)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한 냉각수는 전술한 인터쿨러(700)를 통해 다시 엔진(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판형 열교환기(700)에서 냉매와 열교환한 냉각수는 인터쿨러(700)에서 배기가스와 열교환한 후에 엔진(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10)은 흡기 압축기(600)를 통해 압축된 흡입공기를 작동모드에 기초하여 엔진(200)의 흡기구(201)로 직접 안내하거나 상기 인터쿨러(700)를 경유하여 상기 엔진(200)의 흡기구(201)로 안내할 수 있는 제1삼방밸브(1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삼방밸브(1010)는 작동모드에 기초하여 흡기 압축기(600)를 통해 압축된 흡입공기를 엔진(200)의 흡기구(201)에 직접 연결된 제1흡기유로(1011) 및 상기 인터쿨러(700)를 경유하여 엔진(200)의 흡기구(201)에 연결되는 제2흡기유로(1012) 중 하나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삼방밸브(1010)는 상기 흡입공기를 상기 제2흡기유로(1012)로 안내하고,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1삼방밸브(1010)는 상기 흡입공기를 상기 제1흡기유로(1011)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10)은 작동모드에 기초해서 인터쿨러(700)를 통과한 흡입공기를 엔진(200)의 흡기구(201)로 안내하거나 인터쿨러(70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배기유로(1031)로 안내하는 제2삼방밸브(10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삼방밸브(1020)는 냉방모드에서 인터쿨러(700)를 통과한 흡입공기를 엔진(200)의 흡기구(201)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인터쿨러(700)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유로(1031)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은 작동모드에 기초해서 터빈(500)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배기유로(1031) 및 인터쿨링 유로(1032)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3삼방밸브(10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모드에서 상기 터빈(500)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상기 제3삼방밸브(1030)에 의해 배기유로(1031)로 안내되어 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난방모드에서 상기 터빈(500)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상기 제3삼방밸브(1030)에 의해 인터쿨링 유로(1032)를 통해 인터쿨러(70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인터쿨링 유로(1032)는 전술한 제2흡기유로(101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인터쿨링 유로(1032)로 안내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제2흡기유로(1012)를 통해 상기 인터쿨러(70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10)은 작동 모드에 기초해서 엔진(200)을 통과한 냉각수를 전술한 냉각수 방열기(810) 및 판형 열교환기(820)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4삼방밸브(10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4삼방밸브(1040)는 엔진(200)으로부터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방열기(810)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난방모드에서 상기 제4삼방밸브(1040)는 엔진(200)으로부터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820)를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엔진(200)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순환하는 냉각수유로(801, 802)는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유로(801, 802)는 냉방모드에서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1냉각수유로(801) 및 난방모드에서 냉각수가 유동하는 제2냉각수유로(8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삼방밸브(1040)에 의해 냉각수의 유로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유로(801, 802)에는 하나의 냉각수 펌프(8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펌프(850)는 냉각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인터쿨러(7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수 펌프(850)는 냉각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인터쿨러(700)의 전단(상류측)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냉방모드에서 엔진(200)을 통과한 냉각수는 제1냉각수유로(801)를 통해 냉각수 방열기(801) 및 인터쿨러(7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다시 엔진(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 엔진(200)을 통과한 냉각수는 제2냉각수유로(802)를 통해 판형 열교환기(820) 및 인터쿨러(7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다시 엔진(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수유로(801)와 상기 제2냉각수유로(802)는 하나의 회수유로(803)를 공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냉각수유로(801)로 안내되는 냉각수는 상기 회수유로(803)를 통해 엔진(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냉각수유로(802)로 안내되는 냉각수 역시 상기 회수유로(803)를 통해 엔진(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회수유로(803)에 전술한 인터쿨러(7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수유로(803)가 상기 인터쿨러(700)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유로(803)에는 하나의 냉각수 펌프(85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냉각수 펌프(850)에 의해 냉각수가 상기 제1냉각수유로(801) 또는 상기 제2냉각수유로(80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인터쿨러(700), 하나의 냉각수 방열기(810), 하나의 냉각수 펌프(850)를 통하여 흡입공기 또는 배기가스의 냉각, 냉각수의 가열, 난방열의 확보와 같은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작동모드에 따른 냉매와 냉각수의 전체적인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모드에서 냉매, 냉각수 및 배기가스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냉매의 유동을 기준으로 설명한 후에, 냉각수의 유동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300)로 안내되어 응축된다.
실내열교환기(300)를 통과한 냉매 제1분지유로(901) 및 제2분지유로(902)를 통해 분지된다. 상기 제1분지유로(901)는 판형 열교환기(820)에 연결되고 상기 제2분지유로(902)는 실외열교환기(4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실내열교환기(300)를 통과한 냉매의 일부는 상기 제1분지유로(901)를 통해 판형 열교환기(820)로 안내되고, 냉매의 나머지는 상기 제2분지유로(902)를 통해 실외열교환기(40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지유로(901)에 제1팽창밸브(9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분지유로(902)에 제2팽창밸브(920)가 구비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팽창밸브(910)와 상기 제2팽창밸브(920)는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개도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팽창밸브(910)와 상기 제2팽창밸브(920)에서 팽창한 냉매는 상기 판형 열교환기(82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0)에서 증발할 수 있다.
상기 판형 열교환기(82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0)에서 각각 증발한 냉매는 합류하여 압축기(100)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엔진(200)을 통과한 냉각수는 제4삼방밸브(1040)를 통해 제2냉각수유로(802)로 안내될 수 있다.
냉각수는 제2냉각수유로(802)를 통해 판형 열교환기(820)로 안내되어 냉매와 열교환한다. 이때, 냉각수는 냉매로 열을 방출하여 냉각될 수 있다.
상기 판형 열교환기(820)를 통과한 냉각수는 회수유로(803)를 통해 엔진(200)을 향해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수는 회수유로(803)에 구비되는 인터쿨러(700)에서 배기가스와 열교환한 후에 엔진(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엔진(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터빈(500), 제3삼방밸브(1030), 인터쿨러(700) 및 제2삼방밸브(102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배기유로(1031)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는 터빈(500)을 구동시켜서 터빈(600)에 연결된 흡기 압축기(6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는 상기 인터쿨러(700)에서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그 온도가 내려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모드에서 냉매, 냉각수 및 배기가스의 유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300)로 안내될 수 있다. 즉,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유로전환밸브(150)를 통해 실외열교환기(300)로 안내되어 응축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300)에서 응축된 냉매는 전술한 제2분지유로(902)를 통해 실내열교환기(300)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제1팽창밸브(910)는 닫히고, 제2팽창밸브(920)는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해 개도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팽창밸브(920)에서 팽창한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기(300)에서 증발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300)에서 증발한 냉매는 다시 압추기(100)로 안내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압축기(100)의 전단에 냉매를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로 분리하여 기상냉매만 압축기(100)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0)의 후단에는 냉매에 함유된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분리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엔진(200)을 통과한 냉각수는 제4삼방밸브(1040)를 통해 제1냉각수유로(801)로 안내될 수 있다. 냉각수는 제1냉각수유로(801)를 통해 냉각수 방열기(810)로 안내되어 냉각될 수 있다.
냉각수 방열기(810)를 통과한 냉각수는 회수유로(803)를 통해 엔진(200)을 향해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수는 회수유로(803)에 구비되는 인터쿨러(700)에서 흡입공기와 열교환한 후에 엔진(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흡기 압축(600)를 통과한 고온고압의 흡입공기는 상기 인터쿨러(700)에서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는 상기 인터쿨러(700)에서 흡입공기와 열교환한 후에 엔진(200)으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엔진(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터빈(500)을 통과한 후에 제3삼방밸브(1030)에 의해 바로 배기유로(1031)로 안내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 저항이 감소되어 엔진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냉매 압축기 200 엔진
300 실내열교환기 400 실외열교환기
500 터빈 600 흡기 압축기
700 인터쿨러

Claims (16)

  1. 냉매를 압축하는 냉매 압축기;
    상기 냉매 압축기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
    상기 냉매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선택적으로 안내되고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상기 냉매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선택적으로 안내되고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 및
    상기 터빈과 동일 축으로 연결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흡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모드에 기초하여, 엔진의 냉각수를 상기 엔진으로 유입되는 흡입공기 및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열교환시키는 인터쿨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엔진을 경유한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방열기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일측에 구비되고,
    냉방모드에서, 상기 냉각수 방열기를 통해 냉각된 냉각수가 상기 인터쿨러에서 상기 흡입공기와 서로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냉방모드에서, 상기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배기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난방모드에서, 실내열교환기를 통해 응축된 냉매의 일부를 엔진을 통과한 냉각수와 열교환시키는 판형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해 응축된 냉매의 나머지는 상기 실외열교환기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에서 상기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증발한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한기를 통과한 냉매와 합류하여 냉매 압축기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난방모드에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한 냉각수는 상기 인터쿨러를 통해 다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난방모드에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를 통해 냉매와 열교환한 냉각수와 상기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인터쿨러에서 서로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작동모드에 기초해서 상기 흡기 압축기를 통해 압축된 흡입공기를 상기 엔진의 흡기구에 직접 연결된 제1흡기유로 및 상기 인터쿨러를 경유하여 상기 엔진의 흡기구에 연결된 제2흡기유로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1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작동모드에 기초해서 상기 인터쿨러를 통과한 흡입공기를 상기 엔진의 흡기구로 안내하거나 상기 인터쿨러를 통과한 배기가스를 배기 유로로 안내하기 위한 제2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작동모드에 기초해서 상기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를 배기유로 및 인터쿨링 유로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3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작동모드에 기초해서 상기 엔진으로부터 열을 흡수한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방열기 및 상기 판형 열교환기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제4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4. 제5항에 있어서,
    난방모드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의 일부는 제1분지유로를 통해 상기 판형 열교환기로 안내되고, 냉매의 나머지는 제2분지유로를 통해 실외열교환기로 안내되며,
    상기 제1분지유로에 제1팽창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분지유로에 제2팽창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냉방모드에서,
    상기 실외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2분지유로를 통해 실내열교환기로 안내되고,
    상기 제1팽창밸브는 닫히고, 상기 제2팽창밸브는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해 개도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16. 제2항에 있어서,
    엔진을 통과한 냉각수를 안내하는 냉각수 유로에 구비되는 냉각수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펌프는 냉각수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인터쿨러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KR1020160167562A 2016-12-09 2016-12-09 히트펌프 시스템 KR10189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62A KR101893159B1 (ko) 2016-12-09 2016-12-09 히트펌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62A KR101893159B1 (ko) 2016-12-09 2016-12-09 히트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567A true KR20180066567A (ko) 2018-06-19
KR101893159B1 KR101893159B1 (ko) 2018-08-29

Family

ID=6279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562A KR101893159B1 (ko) 2016-12-09 2016-12-09 히트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73A (ko) * 2018-11-27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엔진 히트펌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983A (ja) * 2003-05-19 2005-01-06 Denso Corp 水冷式吸気冷却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100550574B1 (ko) * 2004-08-17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전 공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983A (ja) * 2003-05-19 2005-01-06 Denso Corp 水冷式吸気冷却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100550574B1 (ko) * 2004-08-17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전 공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73A (ko) * 2018-11-27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엔진 히트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159B1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61907A1 (zh) 一种热管理系统
CN103062851B (zh) 空调系统及其除湿方法
US10352593B2 (en) Gas heat-pump system
US10054348B2 (en) Air conditioner
EP1719962A2 (en) Cogeneration system
CN104101125B (zh) 空调器
CN101788208B (zh) 一种空气源热泵空调冷热水机组
WO2023109768A1 (zh) 电动车及其热泵系统
KR101893159B1 (ko) 히트펌프 시스템
WO2021098552A1 (zh) 一种热泵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3109767A1 (zh) 电动车及其热泵系统
WO2022068606A1 (zh) 热管理系统
WO2021228018A1 (zh) 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KR102042238B1 (ko) 가스 히트펌프 시스템
CN111845244B (zh) 热综合管理系统
CN107449129B (zh) 空调系统及具有其的车辆
JP6917583B2 (ja) 空気調和機
KR101170712B1 (ko) 지열을 이용한 가스엔진히트펌프 냉난방 시스템
KR102007301B1 (ko) 공기조화기
WO2022179593A1 (zh) 热管理系统
KR101082193B1 (ko) 지열원을 이용한 가스히트펌프 시스템
JP2004239453A (ja) 超臨界冷媒を用いた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
JP4262901B2 (ja) 冷凍装置
CN114619840B (zh) 轴流风机氢能车热泵系统控制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21063272A1 (zh) 热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