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993A - 전지의 착탈 구조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지의 착탈 구조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993A
KR20180064993A KR1020170165826A KR20170165826A KR20180064993A KR 20180064993 A KR20180064993 A KR 20180064993A KR 1020170165826 A KR1020170165826 A KR 1020170165826A KR 20170165826 A KR20170165826 A KR 20170165826A KR 20180064993 A KR20180064993 A KR 20180064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aging material
case
protective sheet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076B1 (ko
Inventor
싱고 후쿠시마
다카히로 모리야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22
    • H01M2/1005
    • H01M2/106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카메라(100)에 있어서, 전지(121)는, 슬릿(124)을 가지는 보호 시트(122)에 의해 에워싸이고, 케이스(11)는, 보호 시트(122)에 의해 에워싸인 전지(121)가 수용되는 수용부(111)를 가지고, 케이스(11)의 수용부(111)와 보호 시트(122)는, 일부의 영역에서 접착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지의 착탈 구조 및 전자 기기{DETACHABLE STRUCTURE OF BATTERY TO BE ATTACHED TO CASE, AND ELECTRONIC DEVICE}
본 출원은 2001년 12월 6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236370호, 2017년 6월 4일자 출원된 제2017-16927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 원용된다.
본 발명은, 전지의 착탈(着脫) 구조 및 전자 기기(機器)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강성(剛性)이 낮은 전지 팩을 내장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전지 팩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하여 재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포장재로 전지 팩을 포장하고, 포장재를 전지 수용부에 접착하는 기술이 일본 공개특허 제2015―88449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 제2015―884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전지 팩을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장재로 포장된 전지 팩을 전지 수용부로부터 분리해 내고(detach), 그 후에 포장재를 찢을 필요가 있어 수고를 요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5―088449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전지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전지의 착탈 구조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지의 착탈 구조는,
케이스에 장착하는 전지의 착탈 구조로서,
상기 전지는, 슬릿(slit)을 가지는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이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인 상기 전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와 상기 포장재는, 일부의 영역에서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지의 착탈 구조는,
케이스에 장착하는 전지의 착탈 구조로서,
상기 전지가 접착되는 판형의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은, 강성을 가지고, 적어도 1변의 일부에 손잡이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프레임에 접착된 상기 전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에 접착된 상기 전지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부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지의 착탈 구조는,
케이스에 장착하는 전지의 착탈 구조로서,
상기 전지는, 소정의 얇기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이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인 상기 전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와 상기 포장재는, 일부의 영역에서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전지의 교환 시에, 상기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수용부에 접착되어 있는 상기 포장재가 찢어짐으로써 상기 포장재로부터 상기 전지가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상기 기재된 전지의 착탈 구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지의 착탈 구조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고, 일부는 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이하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 및 획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은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에 주어진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실시형태 1의 구성인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통상 촬영 모드의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실시형태 1의 구성인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렌즈부 유닛에 대하여 표시부 유닛을 회동(回動)시키고 있는 상태의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표시부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상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놓여진 전지 어셈블리(battery assembly)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바닥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놓여진 전지 어셈블리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보호 시트의 전개도(展開圖)이다.
도 5a는, 보호 시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보호 시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c는, 보호 시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d는, 보호 시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케이스의 수용부에 수용된 전지 어셈블리를 위쪽으로부터 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b는, 수용부에 수용된 전지 어셈블리를 도 6a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6c는, 당겨올렸을(pull up) 때의 전지 어셈블리를 도 6a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의 보호 시트의 전개도이다.
도 8a는, 본 변형예의 보호 시트에 의한 전지의 포장 수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변형예의 보호 시트에 의한 전지의 포장 수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본 변형예의 보호 시트에 의한 전지의 포장 수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손잡이부를 당겨올리기 전의 상태의 전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손잡이부를 당겨올린 후의 상태의 전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는, 실시형태 2의 보호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보호 시트의 이면도(裏面圖)이다.
도 11a는, 실시형태 2의 변형예의 보호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보호 시트의 이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실시형태 3의 전지가 접착되는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2b는, 전지를 접착한 상태의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3a는, 전지 어셈블리가 수용되기 전의 상태의 수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b는, 전지 어셈블리(단, 전지는 비표시)가 수용된 상태의 수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c는, 전지 어셈블리가 수용된 상태의 수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태양(態樣)을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 기기의 일실시형태의 구성인 카메라(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카메라(100)는, 크게 나누면, 표시부 유닛(1)과, 렌즈부 유닛(2)과, 그립(3)을 구비하고 있다.
도 1a는, 통상 촬영 모드의 카메라(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즉, 표시부 유닛(1)의 표시부(1a)가 렌즈부 유닛(2)의 렌즈부[촬상부(撮像部)](2a)에 대하여 반대 방향을 향하고, 그립(3)이 표시부 유닛(1) 및 렌즈부 유닛(2)을 에워싼 상태의 카메라(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1b는, 렌즈부 유닛(2)에 대하여 표시부 유닛(1)을 회동시키고 있는 상태의 카메라(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표시부(1a)를 가지는 표시부 유닛(1)과, 렌즈부(2a)를 가지는 렌즈부 유닛(2)이 제1 힌지축(4)을 통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표시부 유닛(1)의 표시부(1a)가 렌즈부 유닛(2)의 렌즈부(2a)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부 유닛(1)을 회동시킴으로써, 카메라(100)를 통상 촬영 모드로부터 자신 촬영 모드로 이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표시부 유닛(1)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표시부 유닛(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 유닛(1)은, 표시부(1a)가 설치되는 케이스(11)와, 전지 어셈블리(전지 유닛)(12)와, 쿠션(13)과, 커버 프레임(14)과, 외장(外裝) 케이스(15)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11)는, 전지 어셈블리(12)를 수용하는 수용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11)는, 표시부(1a) 등을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 기판(112)을 구비하고 있다.
전지 어셈블리(12)는, 표시부(1a)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이다. 그리고, 전지 어셈블리(12)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쿠션(13)은, 전지 어셈블리(12)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전지 어셈블리(12)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재(예를 들면, 발포 우레탄 시트 등)이다.
커버 프레임(14)은, 수용부(111)에 수용된 전지 어셈블리(12)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커버 프레임(14)은, 쿠션(13)을 통하여 전지 어셈블리(12)의 상면을 덮도록 하여 케이스(1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15)는, 케이스(11)의 수용부(111)에 수용된 전지 어셈블리(12)나 구동 회로 기판(112)을 덮거나 또는 막기 위한 케이스이다.
다음에, 전지 어셈블리(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상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놓여진 전지 어셈블리(12)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3b는, 바닥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놓여진 전지 어셈블리(12)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보호 시트(122)의 전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어셈블리(12)는, 전지(121)와, 보호 시트(포장재)(122)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121)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등의 이른바 소프트 팩 전지이며, 직사각형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지(121)는, 구동 회로 기판(11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21a)를 가지고 있다. 커넥터(121a)가 구동 회로 기판(112)에 접속됨으로써, 구동 회로 기판(112)에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호 시트(122)는, 전지(121)를 보호하기 위한 포장재(예를 들면, PET 필름)이다. 전지(121)는, 보호 시트(122)에 의해, 바닥면 및 측면이 에워싸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지(121)는, 보호 시트(122)의 손잡이부(picking portion)(122f)(후술)를 당겨올리는 것에 의해, 보호 시트(122)와 함께, 즉 전지 어셈블리(12)를 수용부(111)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시트(122)는, 일회용의 시트이며, 전지(121)를 재이용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보호 시트(122)로 교환되게 되지만, 교환 시에 찢어지기 쉽게 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시트(122)는, 전지(121)의 바닥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의 바닥면부(122a)와, 바닥면부(122a)의 각 변에 연접(連接)하는 절곡편(foldable wing)으로서의 상측 측면부(122b), 좌측면부(122c), 우측면부(122d), 하측 측면부(122e)와, 상측 측면부(122b)의 좌측단 상부에 연접하는 손잡이부(탭)(122f)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측면부는, 전지(121)의 대응하는 측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으로 되어 있다. 단, 상측 측면부(122b)는, 우측부에 절결(切缺)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부의 절결은 전지(121)의 커넥터(121a)를 통하는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보호 시트(122)는, 바닥면부(122a)의 전지(121)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 미점착(微粘着) 시트(123)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보호 시트(122)는, 접착된 미점착 시트(123)와 함께, 바닥면부(122a)에 슬릿(124)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24)은, 전지(121) 바닥면의 중심을 향해 돌출한 역 V자형을 이루는 동시에, 바닥면부(122a)의 단부까지 달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124)은, 손잡이부(122f)를 당겨올림으로써 전지 어셈블리(12)를 들어올리는 측[바닥면부(122a)의 상측]과는 반대측[바닥면부(122a)의 하측]의 한 변의 근방에 설치된 것으로 된다. 또한, 보호 시트(122)는, 전지 어셈블리(12)를 들어올리는 측[바닥면부(122a)의 상측]에 손잡이부(122f)가 설치된 것으로 된다. 즉, 슬릿(124)의 돌출한 방향(역 V자형의 정상점(頂点)]의 앞에 있는 상측 측면부(122b)에 손잡이부(122f)가 연접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슬릿(124)의 형상은, 역 V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도 5a∼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직선형, 역 U자형, 사다리꼴, 볼록형 등이라도 된다.
또한, 보호 시트(122)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부(122a)의 전지(121)와 접하지 않는 측(외측)의 면의 일부에 양면 테이프(125)가 접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슬릿(124)의 돌출된 부분에 근접한 영역으로서, 또한 슬릿(124)을 경계로 하여 전지(121)의 바닥면의 중심과는 반대측의 영역(도 3b 중의 삼각형의 영역)에 양면 테이프(125)가 접착되어 있다. 이로써, 케이스(11)의 수용부(111)에 전지 어셈블리(12)가 수용되었을 때, 도 3b 중의 삼각형의 영역에서 수용부(111)와 보호 시트(122)가 접착되게 된다(도 6b 참조). 즉, 슬릿(124)을 경계로 하여 전지(121)의 바닥면의 중심과는 반대측의 영역에 양면 테이프(125)가 접착되어 있으면, 슬릿(124)은 직선형이라도 된다. 그리고, 양면 테이프(125)를 접착하는 영역은, 전술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로 하지만, 양면 테이프(125)를 접착할 때의 폭이 최대한 길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양면 테이프(125)의 점착력(粘着力)은, 전술한 미점착 시트(123)의 점착력보다도 강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전지(121)의 바닥면과 접하는 미점착 시트(123)의 면은, 수용부(111)와 보호 시트(122)와의 접착력보다도 약한 접착력을 가지게 된다.
다음에, 전지(121)의 착탈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케이스(11)의 수용부(111)에 수용된 전지 어셈블리(12)를 위쪽으로부터 본 부분 확대도이며, 도 6b는, 수용부(111)에 수용된 전지 어셈블리(12)를 도 6a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며, 도 6c는, 당겨올렸을 때의 전지 어셈블리(12)를 도 6a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수용부(111)에 전지(121)를 장착하는 경우,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시트(122)에 의해 전지(121)의 바닥면 및 측면이 에워싸인 상태, 즉 전지 어셈블리(12)의 상태로 한다. 그리고, 전지 어셈블리(12)를 수용부(111)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어셈블리(12)가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전지(121)가 장착된 상태로 된다. 이 때, 전지 어셈블리(12)는, 양면 테이프(125)를 통하여, 수용부(111)에 접착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전지 어셈블리(12)가 수용부(111)에 수용되었을 때 전지(121)의 상면과 수용부(111)의 입벽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면으로 되도록, 수용부(111) 및 전지 어셈블리(12)가 설계되어 있다.
한편, 수용부(111)로부터 전지(121)를 분리해내는 경우, 도 6a 및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시트(122)의 손잡이부(122f)를 위쪽으로 당겨올린다. 이 때,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 시트(122)에 형성된 역 V자형의 슬릿(124)의 정상점을 기점(起点)으로 하여, 정상점에서 전지(121)와 보호 시트(122)가 박리되기 시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지(121)에 대하여 절곡 부하(bending stress)를 주지 않고,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릴 수 있다. 그리고,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린 후, 보호 시트(122)로부터 전지(121)를 벗겨냄으로써, 전지(121)를 수용부(111)로부터 분리해낸 상태로 된다. 여기서, 전지(121)와 보호 시트(122)는, 미점착 시트(123)를 통하여 접착되어 있으므로, 절곡 부하를 주지 않고 보호 시트(122)로부터 전지(121)를 벗겨낼 수 있어, 전지(121)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전지(121)는, 슬릿(124)을 가지는 보호 시트(122)에 의해 에워싸고, 케이스(11)는, 보호 시트(122)에 의해 에워싸인 전지(121)가 수용되는 수용부(111)를 가지고, 케이스(11)의 수용부(111)와 보호 시트(122)는, 일부의 영역에서 접착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의하면, 수용부(111)로부터 전지(121)를 분리해내는 경우, 전지(121)에 대하여 절곡 부하를 주지 않고,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릴 수 있다. 따라서,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린 후, 보호 시트(122)로부터 전지(121)를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전지(121)는, 전지(121)의 단부(端部)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고, 또한 단부까지 달하지 않는 형상(역 V자형)의 슬릿(124)을 가지는 보호 시트(122)에 의해 에워싸이게 되므로, 수용부(111)로부터 전지(121)를 분리해내는 경우, 보호 시트(122)에 형성된 역 V자형의 슬릿(124)의 정상점을 기점으로 하여, 정상점에서 전지(121)와 보호 시트(122)가 박리되기 시작하게 된다. 이로써, 전지(121)에 대하여 절곡 부하를 주지 않고,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릴 수 있다. 따라서,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린 후, 보호 시트(122)로부터 전지(121)를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케이스(11)의 수용부(111)와 보호 시트(122)는, 슬릿(124)의 돌출된 부분에 근접한 영역으로서, 또한 슬릿(124)을 경계로 하여 전지(121)의 중심과는 반대측의 일부의 영역에서 접착되므로, 수용부(111)로부터 전지(121)를 분리해내는 경우, 전지(121)에 대하여 절곡 부하를 주지 않고,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슬릿(124)은, 전지(121)의 종횡 중 어느 한쪽 방향의 한변으로서, 보호 시트(122)에 의해 에워싸인 전지(121)를 들어올리는 측과는 반대측의 한 변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부(111)와 보호 시트(122)와의 접착 면적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고,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렸을 때 전지(121)에 대하여 절곡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보호 시트(122)는, 보호 시트(122)에 의해 에워싸인 전지(121)를 들어올리는 측에 손잡이부(122f)를 가지므로, 전지 어셈블리(12)를 들어올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보호 시트(122)의 전지(121)와 접하는 면 중, 적어도 전지(121)의 바닥면과 접하는 면은, 케이스(11)의 수용부(111)와 보호 시트(122)와의 접착력보다도 약한 접착력을 가지고, 전지(121)와 보호 시트(122)는, 수용부(111)와 보호 시트(122)와의 접착력보다도 약한 접착력으로 접착되므로, 절곡 부하를 주지 않고 보호 시트(122)로부터 전지(121)를 벗겨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보호 시트(122)는, 직사각형의 바닥면부(122a)와, 바닥면부(122a)의 각 변으로부터 각각 절곡되는 측면부[상측 측면부(122b), 좌측면부(122c), 우측면부(122d), 하측 측면부(122e)]를 가지고, 전지(121)는, 보호 시트(122)의 바닥면부(122a)와 각각의 측면부에 의해, 전지(121)의 바닥면 및 측면이 에워싸이게 되므로, 전지(121)의 바닥면 및 측면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슬릿(124)의 돌출한 방향의 앞에 있는 측면부[상측 측면부(122b)]에 손잡이부(122f)를 가지므로, 손잡이부(122f)를 위쪽으로 당겨올림으로써, 보호 시트(122)에 형성된 역 V자형의 슬릿(124)의 정상점을 기점으로 하여, 정상점에서 전지(121)와 보호 시트(122)를 박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지(121)에 대하여 절곡 부하를 주지 않고,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보호 시트(122)의 상측 측면부(122b)에, 케이스(11)[구동 회로 기판(112)]와 전지(12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커넥터(121a)]을 통하는 간극을 가지므로, 전지(121)가 보호 시트(122)에 의해 에워싸인 상태라도, 전지(121)와 구동 회로 기판(112)을 양호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케이스(11)의 수용부(111)에 보호 시트(122)에 의해 에워싸인 전지(121)가 수용되었을 때, 전지(121)의 상면과 수용부(111)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면으로 되므로, 커버 프레임(14)이나 외장 케이스(15)를 장착할 때 커버 프레임(14)이나 외장 케이스(15)가 전지(121)에 충돌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100)에 있어서는, 전술한 착탈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전지(121)가 소프트 팩 타입의 전지라도 절곡 부하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지(121)를 분리해낼 때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이어서,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의 카메라(200)의 보호 시트(222)는, 실시형태 1에서의 보호 시트(122)와는 상이하고, 전지(121)의 측면 및 바닥면만 아니라 상면도 보호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 및 소재가 실시형태 1에서의 미점착 시트(123)에 상당하는 시트인 점에서, 실시형태 1과 상이하게 되어 있다.
도 7은, 본 변형예의 보호 시트(222)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8a∼도 8c는, 보호 시트(222)에 의한 전지(121)의 포장 수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손잡이부(222a2)를 당겨올리기 전의 상태의 전지 어셈블리(22)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b는, 손잡이부(222a2)를 당겨올린 후의 상태의 전지 어셈블리(2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보호 시트(222)는, 전지(121)의 상면을 보호하는 상면 보호부(222a)와, 상면 보호부(222a)의 각 변에 연접하는 상측 되접음부(foldable portion)(222b), 좌측 되접음부(222c), 우측 되접음부(222d), 하측 되접음부(222e)로 구성되어 있다.
상면 보호부(222a)에는, 실질적으로 각형(角形) U자형의 슬릿(222a1)이 형성되는 동시에, 슬릿(222a1)에 의해, 상면 보호부(222a)의 내측에 설형(舌形; tongue-shaped)의 손잡이부(222a2)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222a1)은, 일단부(一端部)[상측 되접음부(222b)에 근접하는 단부]가 상면 보호부(222a)의 단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222a1)에 의해 형성되는 손잡이부(222a2)가 부상(浮上)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슬릿(222a1)의 타단부[하측 되접음부(222e)에 근접하는 단부]는, 상면 보호부(222a)의 단부에 도달하는 위치, 즉 하측 되접음부(222e)와의 경계까지 형성되어 있다. 슬릿(222a1)을 이와 같이 형성하고 있는 것은,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부(222a2)의 자유단측이 전지(121)의 각부(角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부(222a2)를 넘기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측 되접음부(222b)는, 기단부(基端部)의 폭이 좌우로 상이한, 즉 좌측단 쪽이 우측단보다도 짧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측 되접음부(222b)를 이와 같이 설치한 것은, 전지(121)의 커넥터(121a)를 통하는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도 8a∼도 8c 참조).
하측 되접음부(222e)에는, 실시형태 1의 보호 시트(122)에 형성된 역 V자형의 슬릿(124)에 상당하는 슬릿(222e1)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222a1)의 형상이나 배치에 관한 조건은, 슬릿(124)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보호 시트(222)에 의한 전지(121)의 포장 수순을 설명한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전지(121)의 상면(표면)이 보호 시트(222)의 상면 보호부(222a)와 마주하도록, 전지(121)를 보호 시트(222)에 접착한다. 그리고,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되접음부(222b), 좌측 되접음부(222c), 우측 되접음부(222d)를 각각 되접어 전지(121)의 바닥면[이면(裏面)]에 접착한다. 마지막으로,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되접음부(222e)를 되접어 전지(121)의 바닥면에 접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의 카메라(200)에 있어서는, 보호 시트(222)에 의해, 전지(121)의 상면도 덮을 수 있으므로, 실시형태 1의 보호 시트(122)보다도 양호하게 전지(121)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카메라(200)에 있어서는, 보호 시트(222)에 슬릿(222a1)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222a2)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손잡이부(222a2)가 돌출하지 않는만큼 전지 어셈블리(22)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보호 시트(122)의 상측 측면부(122b)의 좌측단 상부에 손잡이부(122f)를 설치하도록 했지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손잡이부(122f)는, 슬릿(124)의 돌출한 방향의 앞에 있는 변, 즉 상측 측면부(122b)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상측 측면부(122b)의 우측단 상부나 중앙 상부에 손잡이부(122f)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슬릿(124)은, 좌우 대칭인 역 V자형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좌우 대칭일 필요는 없고, 전지(121)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측면부(122b)의 우측단에 전지(121)의 커넥터(121a)를 통하기 위한 절결을 형성하였으나, 절결부에 대하여도 커넥터(121a)의 배치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슬릿(124)의 돌출된 부분에 근접한 영역으로서, 또한 슬릿(124)을 경계로 하여 전지(121)의 바닥면의 중심과는 반대측의 영역으로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의 영역에 양면 테이프(125)가 접착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삼각형의 영역에 수용할 필요는 없고, 도 3b 중의 하측 측면부(122e) 측으로 양면 테이프(125)의 접착 영역을 확대해도 된다.
[실시형태 2]
이어서, 실시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의 보호 시트(322)는, 슬릿을 형성하지 않고 시트 전체를 얇게 함으로써, 전지(121)의 교환 시에 찢어지기 쉽게 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과 상이하게 되어 있다.
도 10a는, 실시형태 2의 보호 시트(322)의 평면도이며, 도 10b는, 보호 시트(322)의 이면도이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보호 시트(322)는, 실시형태 1의 보호 시트(122)와 마찬가지로, 전지(121)의 바닥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의 바닥면부(322a)와, 바닥면부(322a)의 각 변에 연접하는 절곡편으로서의 상측 측면부(322b), 좌측면부(322c), 우측면부(322d), 하측 측면부(322e)와, 상측 측면부(322b)의 좌측단 상부에 연접하는 손잡이부(탭)(322f)로 구성되어 있다. 4개의 측면부는, 전지(121)의 대응하는 측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으로 되어 있다. 단, 상측 측면부(322b)는, 우측부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은 전지(121)의 커넥터(121a)를 통하는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보호 시트(322)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부(322a)의 전지(121)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 미점착 시트(323)가 접착되는 동시에,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부(322a)의 전지(121)와 접하지 않는 측(외측)의 면에 양면 테이프(325)가 접착되어 있다. 미점착 시트(323)와 양면 테이프(325)는 모두 바닥면부(322a)의 형상(직사각형)과 유사(相似)형상을 이루고 있고, 미점착 시트(323)와, 바닥면부(322a)와, 및 양면 테이프(325)와 바닥면부(322a)와의 유사비(相似比)는 모두 1 : 2로 되어 있다. 그리고, 미점착 시트(323)는, 바닥면부(322a)의 전지(121)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 미점착 시트(323)의 중심과 바닥면부(322a)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접착되어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325)는, 바닥면부(322a)의 전지(121)와 접하지 않는 측(외측)의 면에, 양면 테이프(325)의 중심과 바닥면부(322a)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접착되어 있다. 즉, 바닥면부(322a)의 중앙부는, 미점착 시트(323)와 양면 테이프(325)에 의해 협지된 3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바닥면부(322a)의 중앙부의 두께는, 0.13㎜[보호 시트(322)의 두께; 0.05㎜, 미점착 시트(323)의 두께; 0.05㎜, 양면 테이프(325)의 두께; 0.03㎜]로 되어 있고, 전지(121)의 교환 시에 찢어지기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면부(322a)의 중앙부의 두께는, 0.05∼0.10㎜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바닥면부(322a)의 중앙부의 두께는 결과적으로 0.05∼0.10㎜로 되어 있으면 되고, 보호 시트(322)와 미점착 시트(323)와 양면 테이프(325)에 의한 두께의 내역(內譯)은 적절히 임의로 설정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미점착 시트(323)와 같은 재질의 미점착 시트로서, 보호 시트(322)와 같은 형상으로 커팅한 미점착 시트를 전술한 보호 시트(322) 대신에 사용함으로써, 시트 자체가 전술한 미점착 시트(323) 및 양면 테이프(325)의 역할을 겸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시트(미점착 시트)의 두께는 0.05∼0.10㎜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300)에 있어서는, 전지(121)는, 전지(121)의 교환 시에 찢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얇기로 형성되어 있는 보호 시트(322)에 의해 에워싸이고, 케이스(11)는, 보호 시트(322)에 의해 에워싸인 전지(121)가 수용되는 수용부(111)를 가지고, 케이스(11)의 수용부(111)와 보호 시트(322)는, 일부의 영역에서 접착되게 된다. 그러므로, 수용부(111)로부터 전지(121)를 분리해내는 경우, 전지(121)에 대하여 절곡 부하를 주지 않고,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릴 수 있다. 따라서, 전지 어셈블리(12)를 당겨올린 후, 보호 시트(322)로부터 전지(121)를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된다.
[변형예]
이어서, 실시형태 2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형태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의 보호 시트(322)는, 시트의 일부를 얇게 함으로써, 전지(121)의 교환 시에 찢어지기 쉽게 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2와 상이하게 되어 있다.
도 11a는, 본 변형예의 보호 시트(322)의 평면도이며, 도 11b는, 보호 시트(322)의 이면도이다.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보호 시트(322)는, 실시형태 2의 보호 시트(322)와 마찬가지로, 바닥면부(322a)의 전지(121)와 대향하는 측의 면에 미점착 시트(323)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보호 시트(322)는, 접착된 미점착 시트(323)와 함께, 바닥면부(322a)에 홈(326A)이 형성되어 있다. 홈(326A)은, 실시형태 1의 보호 시트(122)에 있어서 역 V자형의 슬릿(124)이 형성된 위치에, 동일한 역 V자형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 시트(322)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의 보호 시트(322)와 마찬가지로, 바닥면부(322a)의 전지(121)와 접하지 않는 측(외측)의 면에 양면 테이프(325)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보호 시트(322)는, 접착된 양면 테이프(325)와 함께, 바닥면부(322a)에 홈(326B)이 형성되어 있다. 홈(326B)은, 실시형태 1의 보호 시트(122)에 있어서 역 V자형의 슬릿(124)이 형성된 위치에, 동일한 역 V자형을 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보호 시트(322) 중, 보호 시트(322)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홈(326A) 및 홈(326B)의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도 얇아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미점착 시트(323)와 같은 재질의 미점착 시트로서, 보호 시트(322)와 같은 형상으로 커팅한 미점착 시트를 전술한 보호 시트(322)의 교체에 사용함으로써, 시트 자체가 전술한 미점착 시트(323) 및 양면 테이프(325)의 역할을 겸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시트에 전술한 홈(326A) 및 홈(326B)이 형성되게 된다.
[실시형태 3]
이어서, 실시형태 3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의 카메라(400)는, 단지 강성을 가지는 프레임(422) 상에 전지(121)를 접착시킨 상태의 것을 전지 어셈블리(42)로 하고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와 상이하게 되어 있다.
도 12a는, 전지(121)가 접착되는 프레임(422)의 평면도이며, 도 12b는, 전지(121)를 접착한 상태의 프레임(422)의 평면도이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422)은, 강성 및 자성을 가지는 부재(예를 들면, 마르텐사이트(martensite)계, 페라이트계,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의 스테인레스)이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프레임(422)이 자성을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케이스(11)의 수용부(111)에 배치된 자석(도시하지 않음)에 프레임(422)을 흡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422)은, 우측단 상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손잡이부(422a)를 가지는 동시에, 좌측단 하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손잡이부(422a)를 가진다. 각각의 손잡이부(422a)에는, 케이스(11)의 수용부(111)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돌기부(도시하지 않음)를 삽통(揷通)시키는 구멍(422a1)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422)은, 평면부가 전지(121)의 바닥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을 이루고 있고, 평면부에 강 점착(粘着)의 양면 테이프를 통하여 전지(121)가 접착되는 것에 의해,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어셈블리(42)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전지(121)는, 프레임(422)과 일체, 즉 전지 어셈블리(42)로서 재이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지 어셈블리(42)는, 쿠션(13)에 의해 고정되므로, 프레임(422)은 자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전지 어셈블리(42)의 착탈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a는, 전지 어셈블리(42)가 수용되기 전의 상태의 수용부(111)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3b는, 전지 어셈블리(42)[단, 전지(121)는 비표시]가 수용된 상태의 수용부(111)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3c는, 전지 어셈블리(42)가 수용된 상태의 수용부(111)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수용부(111)에 전지 어셈블리(42)를 장착하는 경우,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422)의 각각의 손잡이부(422a)가 수용부(111)의 끼워맞춤부(도시하지 않음)에 끼워맞추어지고, 또한 각각의 손잡이부(422a)에 형성된 구멍(422a1)에 수용부(111)의 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삽통되도록, 전지 어셈블리(42)를 수용부(111)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전지 어셈블리(42)가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 어셈블리(42)가 장착된 상태로 된다.
한편, 수용부(111)로부터 전지 어셈블리(42)를 분리해내는 경우, 프레임(422)의 손잡이부(422a)를 잡아올림으로써, 전지(121)에 절곡 부하를 주지 않고, 전지 어셈블리(42)를 수용부(111)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400)에 있어서는, 전지(121)가 접착되는 프레임(422)을 가지고, 프레임(422)은, 강성을 가지고, 적어도 1변의 일부에 손잡이부(422a)를 가지고, 케이스(11)는, 프레임(422)에 접착된 전지(121)가 수용되는 수용부(111)를 가지고, 수용부(111)는, 프레임(422)에 접착된 전지(121)가 수용되었을 때 손잡이부(422a)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진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400)에 의하면, 수용부(111)로부터 전지 어셈블리(42)를 분리해내는 경우, 프레임(422)의 손잡이부(422a)를 잡아올림으로써, 전지(121)에 절곡 부하를 주지 않고, 전지 어셈블리(42)를 수용부(1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400)에 있어서는, 수용부(111)는, 끼워맞춤부에 돌기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손잡이부(422a)에는, 돌기부를 삽통시키는 구멍(422a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422a) 및 손잡이부(422a)에 형성된 구멍(422a1)에 의해, 수용부(111)에 전지 어셈블리(42)를 수용할 때, 전지 어셈블리(42)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전지 어셈블리(42)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400)에 있어서는, 수용부(111)에 수용된 전지(121)는, 쿠션(13)을 통하여 외장 케이스(15)에 의해 덮히고 또한 막히게 되므로, 전지 어셈블리(42)를 수용부(111)의 소정 위치에 바람직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메라(400)에 있어서는, 프레임(422)은, 자성을 가지고, 케이스(11)의 수용부(111)에 구비된 자석에 의해 흡착되게 되므로, 전지 어셈블리(42)를 수용부(111)의 소정 위치에 바람직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프레임(422)의 우측단 상부와 좌측단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손잡이부(422a)에 의해, 전지 어셈블리(42)의 위치 결정 및 고정을 행하도록 했지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지(121)의 외형에 의해 전지 어셈블리(42)의 위치 결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손잡이부(422a)는 프레임(422)의 우측단 상부와 좌측단 하부 중 어느 1개소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강(强) 점착의 양면 테이프에 의해, 프레임(422)과 전지(121)를 접착하도록 했지만, 이것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예를 들면, 미점착 시트를 통하여 프레임(422)과 전지(121)를 접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전지(121) 단체(單體)에서의 재이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있어서는, 카메라[카메라(100, 200, 300), 400)]를 일례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를 구비하는 스마트 폰 등 다른 전자 기기라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와 균등한 범위를 포함한다.

Claims (18)

  1. 케이스에 장착하는 전지의 착탈(着脫) 구조로서,
    상기 전지는, 슬릿(slit)을 가지는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이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인 상기 전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와 상기 포장재는, 일부의 영역에서 접착되어 있는,
    전지의 착탈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상기 전지의 단부(端部)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고 또한 상기 단부까지 달하지 않는 형상의 상기 슬릿을 가지는 상기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여 있는, 전지의 착탈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와 상기 포장재는, 상기 슬릿의 돌출된 부분에 근접한 영역으로서, 또한 상기 슬릿을 경계로 하여 상기 전지의 상기 중심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일부의 영역에서 접착되어 있는, 전지의 착탈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전지의 종횡 중 어느 한쪽 방향의 한변으로서, 상기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인 상기 전지를 들어올리는 측과는 반대측의 한 변의 근방에 설치되는, 전지의 착탈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인 상기 전지를 들어올리는 측에 손잡이부(picking portion)를 구비하는, 전지의 착탈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상기 전지와 접하는 면 중, 적어도 상기 전지의 바닥면과 접하는 면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와 상기 포장재와의 접착력보다도 약한 접착력을 가지고, 상기 전지와 상기 포장재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포장재와의 접착력보다도 약한 접착력으로 접착되는, 전지의 착탈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직사각형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각 변으로부터 각각 절곡되는 절곡편(foldable wing)을 구비하고,
    상기 전지는, 상기 포장재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절곡편에 의해, 상기 전지의 상기 바닥면 및 측면이 에워싸인, 전지의 착탈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돌출한 방향의 앞에 있는 상기 절곡편에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전지의 착탈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편의 일부에,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전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을 통과시키는 간극을 구비하는, 전지의 착탈 구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에 상기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인 상기 전지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전지의 상면과 상기 수용부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 면으로 되는, 전지의 착탈 구조.
  11. 케이스에 장착하는 전지의 착탈 구조로서,
    상기 전지가 접착되는 판형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강성(剛性)을 가지고, 적어도 1변의 일부에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프레임에 접착된 상기 전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에 접착된 상기 전지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손잡이부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전지의 착탈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끼워맞춤부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돌기부를 삽통(揷通)시키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의 착탈 구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전지는, 완충재를 통하여 외장(外裝) 케이스에 의해 덮히고 또한 막혀 있는, 전지의 착탈 구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자성을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에 구비된 자석에 의해 흡착되는, 전지의 착탈 구조.
  15. 케이스에 장착하는 전지의 착탈 구조로서,
    상기 전지는, 소정의 얇기로 형성되어 있는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이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인 상기 전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부와 상기 포장재는, 일부의 영역에서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전지의 교환 시에, 상기 일부의 영역에서 상기 수용부에 접착되어 있는 상기 포장재가 찢어짐으로써 상기 포장재로부터 상기 전지가 분리되는,
    전지의 착탈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일부가 타부(他部)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포장재에 의해 에워싸여 있는, 전지의 착탈 구조.
  17. 제1항, 제11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지의 착탈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촬상부(撮像部)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70165826A 2016-12-06 2017-12-05 전지의 착탈 구조 및 전자 기기 KR102494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6370 2016-12-06
JP2016236370 2016-12-06
JP2017169273A JP6547802B2 (ja) 2016-12-06 2017-09-04 電池の着脱構造及び電子機器
JPJP-P-2017-169273 2017-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993A true KR20180064993A (ko) 2018-06-15
KR102494076B1 KR102494076B1 (ko) 2023-01-30

Family

ID=6256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826A KR102494076B1 (ko) 2016-12-06 2017-12-05 전지의 착탈 구조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47802B2 (ko)
KR (1) KR102494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994A (ko) * 2021-02-01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8449A (ja) 2013-09-24 2015-05-0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15211022A (ja) * 2014-04-30 201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WO2015182050A1 (ja) * 2014-05-30 2015-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5140A (ja) * 1992-02-10 1993-09-03 Sharp Corp 電池装着装置
JP4506120B2 (ja) * 2003-07-1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ボタン型電池内蔵機器
WO2015186285A1 (ja) * 2014-06-05 2015-12-1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電池パック、及び粘着シート
JP2017134887A (ja) * 2014-06-05 2017-08-0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電池パック、及び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8449A (ja) 2013-09-24 2015-05-0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15211022A (ja) * 2014-04-30 201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WO2015182050A1 (ja) * 2014-05-30 2015-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076B1 (ko) 2023-01-30
JP6547802B2 (ja) 2019-07-24
JP2018092900A (ja)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55310B (zh) 电池的装卸构造及电子设备
TWI354155B (en) Display
JP6225247B2 (ja) 携帯機器
JP6211694B2 (ja) 携帯機器
JP5504583B2 (ja) 電子機器の表示装置固定構造及び該構造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9105610A (ja) 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JP2017134887A (ja) 電子機器、電池パック、及び粘着シート
WO2015186285A1 (ja) 電子機器、電池パック、及び粘着シート
US20150228944A1 (en) Fixing tub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0044497A (ja) パネル固定用フレーム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80064993A (ko) 전지의 착탈 구조 및 전자 기기
CN205790099U (zh) 电子设备和电池组件
JP6247974B2 (ja) 携帯端末
JP2001210289A (ja) 電池ケース
JP2007293104A (ja) 表示装置
JP7376986B2 (ja) 電子機器
JP7017816B2 (ja) 分離式電池サイドシルプレート
JP4180002B2 (ja) 電池パック
CN107483664B (zh) 主板及移动终端
CN111556702A (zh) 衬垫、包括衬垫的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219180696U (zh) 电池模组及电子设备
KR20140082381A (ko) 평판표시장치
JPH06867Y2 (ja) カセット装置
JP200709368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6678537B2 (ja) 表示装置保護構造および表示装置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