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526A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526A
KR20180064526A KR1020187013695A KR20187013695A KR20180064526A KR 20180064526 A KR20180064526 A KR 20180064526A KR 1020187013695 A KR1020187013695 A KR 1020187013695A KR 20187013695 A KR20187013695 A KR 20187013695A KR 20180064526 A KR20180064526 A KR 20180064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width direction
tire width
tread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하타
준 마츠다
김기운
박창중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Abstract

차외(車外)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耐)하이드로플레이닝(hydroplaning) 성능을 확보하는 것.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에서 타이어 폭 방향 외측(外側)에 개구(開口)하는 러그 홈(24)을 가지고, 러그 홈(24)의 개구부보다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고,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하여,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한 상태에서, 러그 홈(24)의 최대 홈 깊이의 홈 바닥(R)보다도 타이어 경(徑)방향 외측으로 연재(延在)하는 것과 함께, 트레드부(2)의 답면(踏面)(S)보다도 타이어 경방향 내측(內側)에 선단(10a)이 배치되는 돌기부(10)를 구비하고, 접지단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이며 돌기부(10)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이 되는 트레드부(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stopper)부(1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
본 발명은, 차외(車外) 소음을 저감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외 소음을 저감하는 목적으로 한 공기입 타이어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에서 타이어 폭 방향 외측(外側)에 개구(開口)하는 러그 홈을 가지고 있고, 러그 홈의 개구부보다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돌기부가 러그 홈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개구부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당해 공기입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時), 러그 홈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의 기주공명음(氣柱共鳴音)의 방출을 막는다. 이 결과, 차외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는, 버트레스(buttress)부의 외면(外面)에,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09677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006483호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는, 돌기부에 의하여,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의 음(音)의 방출을 차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기입 타이어의 전동(轉動)에 의한 접지 시의 변형에 수반하여 돌기부가 타이어 폭 방향 내측(內側)으로 변형하면, 음 차폐(遮蔽) 효과가 저하하고,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가 저하하거나,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가 얻어질 수 없게 되거나 할 우려가 있고, 또한 러그 홈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개구부가 막혀 내수성이 저하하고, 내(耐)하이드로플레이닝(hydroplaning)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에서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개구하는 러그 홈을 가지고, 상기 러그 홈의 개구부보다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고,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하여,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한 상태에서, 자오단면에 있어서 상기 러그 홈의 최대 홈 깊이의 홈 바닥보다도 타이어 경(徑)방향 외측으로 연재(延在)하는 것과 함께, 상기 트레드부의 답면(踏面)보다도 타이어 경방향 내측에 선단(先端)이 배치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접지단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이며 상기 돌기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이 되는 상기 트레드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stopper)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공기입 타이어의 전동에 의한 접지 시의 변형에 수반하여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를 스토퍼부가 지탱하여 트레드부의 표면으로의 무너져 버림을 방지하기 때문에,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를 확보하는 것과 함께, 러그 홈으로부터의 배수를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돌기부를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투영(投影)한 상기 트레드부의 표면의 범위 내(內)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를 스토퍼부로 효과적으로 지탱하여 무너져 버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돌기부를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투영한 상기 트레드부의 표면의 타이어 폭 방향의 범위에 대하여,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가 10% 이상 90%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퍼부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가 돌기부의 투영 범위의 10% 미만이면, 스토퍼부가 변형하기 쉬워지고,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를 지탱하기 어렵게 되어,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가 저하한다. 한편, 스토퍼부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가 돌기부의 투영 범위의 90%를 넘으면, 스토퍼부가 러그 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양측을 막는 벽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배수성이 저하하고,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가 저하한다. 따라서,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가 0.5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퍼부의 돌출 높이가 0.5mm 미만이면,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가 트레드부의 표면에 거의 접촉하도록 되기 때문에,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가 저하하는 경향이 된다. 따라서,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표면의 상기 러그 홈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總) 치수에 대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가 10% 이상 100%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그 홈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에 대하여 스토퍼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가 10% 미만이면,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를 스토퍼부가 지탱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가 저하하는 경향이 된다. 따라서,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돌기부는,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하여,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드부의 답면과 선단과의 타이어 경방향의 거리가 0.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레드부의 답면과 선단과의 타이어 경방향의 거리가 0.5mm 미만이면, 차량의 주행 시에 공기입 타이어가 변형한 경우, 돌기부가 노면(路面) 등에 접촉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돌기부가 변형하는 사태가 많은 경향이 된다. 따라서,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트레드부의 답면과 선단과의 타이어 경방향의 거리를 0.5mm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돌기부가 변형하는 사태가 적어지기 때문에,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돌기부는,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하여,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한 상태에서, 자오단면에 있어서의 중심 직선과 타이어 경방향선이 이루는 각도가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15°이하이고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45°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심 직선과 타이어 경방향선이 이루는 각도가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15°를 넘으면, 돌기부가 타이어 본체에 접촉하기 쉬워지고, 접촉하는 부위에 있어서, 마멸(磨滅)이나 치핑(chipping)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한편, 중심 직선과 타이어 경방향선이 이루는 각도가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45°를 넘으면, 돌기부가 러그 홈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음 차폐 효과가 얻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중심 직선과 타이어 경방향선이 이루는 각도를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15°이하이고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45°이하(타이어 폭 방향 내측을 마이너스로 하고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플러스로 한 경우 -15°이상 +45°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으로, 돌기부에 의한 음 차폐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외의 방향이 지정되어 있고, 적어도 차량 외측에 상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외 소음은, 차량 외측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적어도 차량 외측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음의 차폐를 유효하게 실시할 수 있어, 차외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자오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자오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요부(腰部)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스토퍼부의 자오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스토퍼부의 자오단면 확대도이다.
도 7은, 스토퍼부의 자오단면 확대도이다.
도 8은, 스토퍼부의 자오단면 확대도이다.
도 9는, 스토퍼부의 자오단면 확대도이다.
도 10은, 돌기부 및 스토퍼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돌기부 및 스토퍼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돌기부 및 스토퍼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돌기부 및 스토퍼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다른 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다른 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하여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 또한 용이한 것,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된 복수의 변형예는, 당업자 자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합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자오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타이어 경방향이란, 공기입 타이어(1)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과 직교하는 방향을 말하고, 타이어 경방향 내측이란 타이어 경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을 향하는 측, 타이어 경방향 외측이란 타이어 경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말한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이란, 상기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말한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이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말하고,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이란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타이어 적도선)(CL)을 향하는 측,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이란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말한다. 타이어 적도면(CL)이란, 공기입 타이어(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것과 함께, 공기입 타이어(1)의 타이어 폭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이다. 타이어 폭은,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끼리의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폭, 즉,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CL)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부분간의 거리이다. 타이어 적도선이란, 타이어 적도면(CL) 상에 있어 공기입 타이어(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선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어 적도선에 타이어 적도면과 같은 부호 「CL」을 붙인다. 덧붙여, 이하에 설명하는 공기입 타이어(1)는, 타이어 적도면(CL)을 중심으로 하여 거의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자오단면도(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타이어 적도면(CL)을 중심으로 한 일측(一側)(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좌측)만을 도시하여 당해 일측만을 설명하고, 타측(他側)(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우측)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부(2)와, 그 양측의 숄더부(3)와, 각 숄더부(3)로부터 순차(順次) 연속하는 사이드 월부(4) 및 비드부(5)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공기입 타이어(1)는, 카커스층(6)과, 벨트층(7)과, 벨트 보강층(8)과, 이너 라이너층(9)을 구비하고 있다.
트레드부(2)는, 트레드 고무(2A)로 이루어지고, 공기입 타이어(1)의 타이어 경방향의 가장 외측에서 노출하고, 그 표면이 공기입 타이어(1)의 윤곽이 된다. 트레드부(2)의 외주(外周) 표면, 즉, 주행 시에 노면과 접촉하는 답면(S)에는, 트레드면(21)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드면(21)은,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타이어 적도선(CL)과 평행한 스트레이트 주(主)홈인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주홈(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드면(21)은, 이것들 복수의 주홈(22)에 의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상(狀)의 육부(陸部)(23)가 복수 형성된다. 덧붙여, 주홈(22)은,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재하면서 굴곡이나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트레드면(21)은, 육부(23)에 있어서, 주홈(2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러그 홈(24)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러그 홈(24)을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의 육부(23)에 나타낸다. 러그 홈(24)은, 주홈(22)에 교차하고 있어도 무방하고, 또는 러그 홈(24)은, 적어도 일단(一端)이 주홈(22)에 교차하지 않고 육부(23) 내에서 종단(終端)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러그 홈(24)의 양단이 주홈(22)에 교차하는 경우, 육부(23)가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복수로 분할된 블록상의 육부가 형성된다. 덧붙여, 러그 홈(24)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여 연재하면서 굴곡이나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숄더부(3)는,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 양 외측의 부위이다. 즉, 숄더부(3)는, 트레드 고무(2A)로 이루어진다. 또한, 사이드 월부(4)는, 공기입 타이어(1)에 있어서의 타이어 폭 방향의 가장 외측으로 노출한 것이다. 이 사이드 월부(4)는, 사이드 고무(4A)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고무(4A)는, 타이어 경방향 외측의 단부가, 트레드 고무(2A)의 단부의 타이어 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타이어 경방향 내측의 단부가, 후술하는 림 쿠션 고무(5A)의 단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고무(4A)는, 타이어 경방향 외측의 단부가, 트레드 고무(2A)의 단부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비드부(5)는, 비드 코어(51)와 비드 필러(52)를 가진다. 비드 코어(51)는, 스틸 와이어인 비드 와이어를 링상으로 감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비드 필러(52)는, 카커스층(6)의 타이어 폭 방향 단부가 비드 코어(51)의 위치에서 되접어 꺾이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고무재이다. 이 비드부(5)는, 림(도시하지 않음)과 접촉하는 외측 부분에 노출하는 림 쿠션 고무(5A)를 가진다. 림 쿠션 고무(5A)는, 비드부(5)의 타이어 내측으로부터 하단부를 거쳐 타이어 외측의 비드 필러(52)를 덮는 위치(사이드 월부(4))까지 이르러 설치되어 있다.
카커스층(6)은, 각 타이어 폭 방향 단부가, 한 쌍의 비드 코어(51)에서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되접어 꺾이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토로이드(toroid)상으로 걸어 돌려져 타이어의 골격을 구성하는 것이다. 덧붙여, 카커스층(6)은, 주로 레이디얼(radial)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는 구성이지만, 트레드부(2)의 타이어 경방향 내측에서 분단부를 가지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 카커스층(6)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가 타이어 자오선 방향을 따르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어느 각도를 가지고 복수 병설(竝設)된 카커스 코드(도시하지 않음)가, 코트 고무로 피복된 것이다. 또한, 카커스층(6)은, 적어도 1층으로 설치되어 있다.
벨트층(7)은, 적어도 2층의 벨트(71, 72)를 적층한 다층 구조를 이루고, 트레드부(2)에 있어서 카커스층(6)의 외주인 타이어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카커스층(6)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덮는 것이다. 벨트(71, 72)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20도 ~ 30도)로 복수 병설된 코드(도시하지 않음)가, 코트 고무로 피복된 것이다. 또한, 서로 겹치는 벨트(71, 72)는, 서로의 코드가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벨트 보강층(8)은, 보강하는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벨트 보강층(8)은, 벨트층(7)의 외주인 타이어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벨트층(7)을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덮는 것이다. 벨트 보강층(8)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대략 평행(±5도)이고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병설된 코드(도시하지 않음)가 코트 고무로 피복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벨트 보강층(8)은, 벨트층(7)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고, 또한 벨트층(7)의 타이어 폭 방향 단부를 덮도록 적층 배치되어 있다. 벨트 보강층(8)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층으로, 벨트층(7)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거나, 벨트층(7)의 타이어 폭 방향 단부만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거나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벨트 보강층(8)의 구성은,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층으로, 벨트층(7)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거나, 벨트층(7)의 타이어 폭 방향 단부만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거나 하여도 무방하다. 즉, 벨트 보강층(8)은, 벨트층(7)의 적어도 타이어 폭 방향 단부와 겹치는 것이다. 또한, 벨트 보강층(8)은, 대상(帶狀)(예를 들어 폭 10[mm])의 스트립재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감아 설치되어 있다.
이너 라이너층(9)은, 타이어 내면, 즉, 카커스층(6)의 내주면이며, 각 타이어 폭 방향 양단부가 한 쌍의 비드부(5)의 비드 코어(51)의 하부(下部)에 이르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토로이드상으로 걸어 돌려져 첩부(貼付)되어 있다. 이너 라이너층(9)은, 타이어 외측으로의 공기 분자의 투과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공기입 타이어(1)에 있어서, 숄더부(3)에 돌기부(10)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10)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에 설치된 러그 홈(24)의 개구부보다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10)는, 타이어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10)는, 공기입 타이어(1)를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하여,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한 상태에서, 자오단면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의 러그 홈(24)의 최대 홈 깊이의 홈 바닥(R)보다도 타이어 경방향 외측으로 연재하는 것과 함께, 트레드부(2)의 답면(S)보다도 타이어 경방향 내측에 선단(10a)이 배치된다. 덧붙여, 러그 홈(24)이 돌기부(10)의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면에 일부 박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여기에서, 정규 림이란, JATMA에서 규정하는 「표준 림」, TRA에서 규정하는 「Design Rim」, 혹은, ETRTO에서 규정하는 「Measuring Rim」이다. 또한, 정규 내압이란, JATMA에서 규정하는 「최고 공기압」, TRA에서 규정하는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댓값, 혹은 ETRTO에서 규정하는 「INFLATION PRESSURES」이다. 또한, 정규 하중이란, JATMA에서 규정하는 「최대 부하 능력」, TRA에서 규정하는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댓값, 혹은 ETRTO에서 규정하는 「LOAD CAPACITY」이다.
또한, 답면(S)은, 공기입 타이어(1)를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또한 정규 내압을 충전하는 것과 함께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하였을 때, 이 공기입 타이어(1)의 트레드면(21)이 노면(평탄한 면)과 접지하는 면이다. 덧붙여, 답면(S)의 타이어 폭 방향의 양단이 접지단(T)이며, 타이어의 전동 시에 타이어 둘레 방향에 있어서 연속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0)는, 상술한 트레드부(2)의 트레드 고무(2A) 또는 사이드 월부(4)의 사이드 고무(4A)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사이드 고무(4A)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의 단부가 트레드 고무(2A)의 단부의 타이어 경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돌기부(10)는, 트레드 고무(2A)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단부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사이드 고무(4A)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의 단부가 트레드 고무(2A)의 단부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돌기부(10)는, 사이드 고무(4A)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의 단부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돌기부(10)가 러그 홈(24)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개구부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당해 공기입 타이어(1)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러그 홈(24)으로부터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의 기주공명음을 차폐하여 방출을 막는다. 이 결과, 차외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요부 확대도이고, 돌기부(10)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부(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접지단(T)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이며 돌기부(10)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이 되는 트레드부(2)의 표면(육부(23)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공기입 타이어의 전동에 의한 접지 시의 변형에 수반하여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10)를 스토퍼부(11)가 지탱하여 트레드부(2)의 표면으로의 무너져 버림을 방지하기 때문에,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를 확보하는 것과 함께, 러그 홈(24)으로부터의 배수를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스토퍼부(1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0)를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투영한 트레드부(2)의 표면의 P1-P2 사이의 범위 Wp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1은, 트레드부(2)와 사이드 월부(4)와의 사이의 숄더부(3)의 가상(假想) 프로파일(F)에 있어서, 돌기부(10)의 기단(基端)(10b)이 겹치는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의 위치이며, P2는, 돌기부(10)의 선단(10a)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투영하여 트레드부(2)의 표면에 이르는 부분이며, 이것들 P1-P2의 사이의 가상 프로파일(F) 상의 트레드부(2)의 표면의 범위가, 돌기부(10)를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투영한 트레드부(2)의 표면의 범위 Wp이다.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10)를 스토퍼부(11)로 효과적으로 지탱하여 무너져 버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스토퍼부(11)는, 돌기부(10)를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투영한 트레드부(2)의 표면의 타이어 폭 방향의 범위 Wp에 대하여,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 Wr이 10% 이상 90%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부(1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 Wr은, 트레드부(2)와 사이드 월부(4)와의 사이의 숄더부(3)의 가상 프로파일(F)과 겹치는 스토퍼부(1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위치 R1-R2 사이의 가상 프로파일(F) 상의 치수이다.
스토퍼부(1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 Wr이 돌기부(10)의 투영한 범위 Wp의 10% 미만이면, 스토퍼부(11)가 변형하기 쉬워지고,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10)를 지탱하기 어렵게 되어,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가 저하한다. 한편, 스토퍼부(1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 Wr이 돌기부(10)의 투영 범위 Wp의 90%를 넘으면, 스토퍼부(11)가 러그 홈(24)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양측을 막는 벽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배수성이 저하하고,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가 저하한다. 따라서,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덧붙여,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얻기 위하여, 스토퍼부(1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 Wr이 돌기부(10)의 투영 범위 Wp의 15% 이상 70%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 40%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스토퍼부(11)의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 Wr이 돌기부(10)의 투영 범위 Wp의 상기 범위에 형성되어 있으면, 스토퍼부(11)가 타이어 폭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스토퍼부(11)는, 트레드부(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 Hr이 0.5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부(11)의 트레드부(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 Hr은, 트레드부(2)와 사이드 월부(4)와의 사이의 숄더부(3)의 가상 프로파일(F)의 법선이, 스토퍼부(11)의 돌출단에 이르는 가장 큰 치수이다. 덧붙여, 도 5 ~ 도 9는, 스토퍼부의 자오단면 확대도이며, 스토퍼부(1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단이 단을 가지고 다른 높이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스토퍼부(1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단이 원호상(圓弧狀)으로 팽출하는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스토퍼부(1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스토퍼부(11)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스토퍼부(11)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가 점차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5 ~ 도 9는, 스토퍼부(11)의 자오단면 형상의 예이며, 이것들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퍼부(11)의 돌출 높이 Hr이 0.5mm 미만이면,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10)가 트레드부(2)의 표면에 거의 접촉하도록 되기 때문에,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가 저하하는 경향이 된다. 덧붙여, 스토퍼부(11)의 돌출 높이 Hr은, 10mm를 넘어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10)가 무너져 버림을 막는 효과의 대폭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또한 타이어 중량을 억제하는 것에 연결된다. 따라서,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를 현저하게 얻는 데 있어서, 스토퍼부(11)의 돌출 높이 Hr을 0.5mm 이상 10mm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 도 13은, 돌기부 및 스토퍼부의 평면도이다. 도 10 ~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스토퍼부(11)는, 트레드부(2)의 표면의 러그 홈(24) 사이의 치수 Br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Br에 대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치수 Cr의 총 치수 ΣCr이, 10%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드부(2)의 표면의 러그 홈(24) 사이의 치수 Br은, 스토퍼부(11)가 설치되어 있는 타이어 폭 방향의 범위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 대상(帶狀)의 범위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대 치수이다. 또한, 스토퍼부(1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치수 Cr은, 스토퍼부(1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대 치수이다.
러그 홈(24)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Br에 대하여 스토퍼부(1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Cr이, 10% 미만이면,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돌기부(10)를 스토퍼부(11)가 지탱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가 저하하는 경향이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러그 홈(24)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Br에 대하여 스토퍼부(1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Cr은 100%여도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을 확보하는 효과를 현저하게 얻는 데 있어서, 러그 홈(24)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Br에 대하여 스토퍼부(1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Cr을 10% 이상 1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러그 홈(24)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Br에 대하여 스토퍼부(1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Cr을 10% 이상으로 한 다음, 스토퍼부(11)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러그 홈(24)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러그 홈(24)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막히지 않도록 하고, 또한, 타이어의 중량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러그 홈(24)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Br에 대하여 스토퍼부(11)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Cr을 10% 이상으로 한 다음, 스토퍼부(11)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러그 홈(24)의 사이에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고, 타이어의 중량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의 균일성(유니포미티(uniformity))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스토퍼부(11)는, 러그 홈(24)의 사이에 1개 걸러 또는 수(數) 개 걸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0)는,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하여,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한 상태에서, 자오단면에 있어서 트레드부(2)의 답면(S)과 선단(10a)과의 타이어 경방향의 거리 D가 0.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드부(2)의 답면(S)과 선단(10a)과의 타이어 경방향의 거리 D가 0.5mm 미만이면, 차량의 주행 시에 공기입 타이어(1)가 변형한 경우, 돌기부(10)가 노면 등에 접촉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돌기부(10)가 변형하는 사태가 많은 경향이 된다. 따라서, 트레드부(2)의 답면(S)과 선단(10a)과의 타이어 경방향의 거리 D를 0.5mm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돌기부(10)가 변형하는 사태가 적어지기 때문에, 차외 소음의 저감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0)는,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하여,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한 상태에서, 자오단면에 있어서의 중심 직선(SL)과 타이어 경방향선(L)이 이루는 각도(θ)가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15°이하이고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45°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중심 직선(SL)은, 자오단면에 있어서, 돌기부(10)의 선단(10a)에 있어서의 두께의 중심점(Pa)과, 기단(10b)에 있어서의 두께(가상 프로파일(F))의 중심점(Pb)를 잇는 직선이며, 돌기부(10)의 돌출 방향을 따른 것이다.
여기에서, 타이어 경방향선(L)의 각도(θ)를 0°로 한 경우,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의 기울기를 마이너스로 하고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의 기울기를 플러스로 하면, 상기 각도(θ)의 범위는 -15°이상 +45°이하가 된다.
그리고, 중심 직선(SL)과 타이어 경방향선(L)이 이루는 각도(θ)가 -5미만이면(마이너스의 각도가 커진다), 돌기부(10)가 러그 홈(24)에 가까워지게 되어, 음 차폐 효과가 얻기 어려워진다. 한편, 중심 직선(SL)과 타이어 경방향선(L)이 이루는 각도(θ)가 +45°를 넘으면(플러스의 각도가 커진다), 돌기부(10)가 타이어 본체에 접촉하기 쉬워지고, 접촉하는 부위에 있어서, 마멸이나 치핑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중심 직선(SL)과 타이어 경방향선(L)이 이루는 각도(θ)를 -15°이상 +45°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으로, 돌기부(10)에 의한 음 차폐 효과를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덧붙여, 돌기부(10)에 의한 음 차폐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얻으려면, 중심 직선(SL)과 타이어 경방향선(L)이 이루는 각도(θ)를 -5°이상 +30°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에서는, 차량 장착 시에서의 차량 내외의 방향이 지정되어 있고, 적어도 차량 외측에 돌기부(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장착 시의 차량 내외의 방향의 지정은,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이드 월부(4)에 설치된 지표에 의하여 도시된다. 그리고, 차량에 장착한 경우에 차량의 내측을 향하는 측이 차량 내측이 되고, 차량의 외측을 향하는 측이 차량 외측이 된다. 덧붙여, 차량 내측 및 차량 외측의 지정은, 차량에 장착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림 끼움한 경우에,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의 내측 및 외측에 대한 림의 방향이 정해져 있다. 이 때문에, 공기입 타이어(1)는, 림 끼움한 경우,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차량 내측 및 차량 외측에 대한 방향이 지정된다.
차외 소음은, 차량 외측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이 공기입 타이어(1)에 의하면, 적어도 차량 외측에 돌기부(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음의 차폐를 유효하게 실시할 수 있어, 차외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다른 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다른 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다른 예의 공기입 타이어(1)는, 상술한 돌기부(10)에 대신하여 돌기부(10’)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10’)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트레드부(2)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에 설치된 러그 홈(24)의 개구부보다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10’)는, 타이어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10’)는, 타이어 경방향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돌기부(10’)는, 자오단면에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V자 형상으로 홈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조건이 다른 복수 종류의 공기입 타이어에 관하여, 통과 소음 및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에 관한 성능 시험이 행하여졌다(도 16 및 도 17 참조).
이 성능 시험에서는, 타이어 사이즈 245/40R18 93W의 공기입 타이어(시험 타이어)를, 정규 림(18×8 1/2J)에 조립 장착하고, 정규 내압(250kPa)을 충전하여, 배기량 3000cc의 세단 타입의 시험 차량에 장착하였다.
통과 소음의 평가 방법은, ECE R117-02(ECE Regulation No.117Revision 2)에서 정하는 타이어 소음 시험법에 따라 측정한 차외 통과음의 크기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시험 차량을 소음 측정 구간의 아주 충분히 전(前)부터 주행시키고, 당해 구간의 가장 앞쪽에서 엔진을 정지하고, 타행 주행시켰을 때의 소음 측정 구간에 있어서의 최대 소음값 dB(주파수 800Hz ~ 1200Hz의 범위의 소음값)를, 기준 속도에 대하여 ±10km/h의 속도 범위를 거의 등간격으로 8 이상으로 구획한 복수의 속도로 측정하여, 평균을 차외 통과 소음으로 하였다. 최대 소음값 dB는, 소음 측정 구간 내의 중간점에 있어서 주행 중심선으로부터 측방으로 7.5m 또한 노면으로부터 1.2m의 높이에 설치한 정치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A 특성 주파수 보정 회로를 통하여 측정한 음압 dB(A)이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종래예를 기준(0)으로 한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기준에 대하여 음압 dB가 작을수록 통과 소음이 작고, 차외 소음 저감 성능이 뛰어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의 평가 방법은, 수심 10mm의 물을 채운 풀(pool)에, 시험 차량으로 직진 진입하고, 하이드로플레이닝 현상이 발생할 때까지 진입 속도를 증가시키면서 반복하여 행한다. 그리고, 하이드로플레이닝 현상이 발생한 진입 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종래예를 기준(0)으로 한 평가가 행하여진다. 이 평가는, 기준에 대하여 진입 속도를 따른 포인트가 작을수록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이 뛰어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있어서, 종래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돌기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비교예의 공기입 타이어는 도 3에 도시하는 형상의 돌기부를 가지고 있지만 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 있어서, 실시예 1 ~ 실시예 18의 공기입 타이어는, 도 3에 도시하는 형상의 돌기부를 가지고 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돌기부의 각도는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의 기울기를 마이너스로 하고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의 기울기를 플러스로 한다.
도 16 및 도 17의 시험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실시예 18의 공기입 타이어는, 통과 소음이 작고 차외 소음 저감 성능이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실시예 18의 공기입 타이어는, 내하이드로플레이닝 성능이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 공기입 타이어
2: 트레드부
3: 숄더부
4: 사이드 월부
10: 돌기부
11: 스토퍼부
24: 러그 홈
D: 거리
L: 타이어 경방향선
S: 답면
SL: 중심 직선
T: 접지단
θ: 각도
ΣBr: 러그 홈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ΣCr: 스토퍼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

Claims (8)

  1. 트레드부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에서 타이어 폭 방향 외측(外側)에 개구(開口)하는 러그 홈을 가지고, 상기 러그 홈의 개구부보다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고,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하여,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한 상태에서, 자오단면에 있어서 상기 러그 홈의 최대 홈 깊이의 홈 바닥보다도 타이어 경(徑)방향 외측으로 연재(延在)하는 것과 함께, 상기 트레드부의 답면(踏面)보다도 타이어 경방향 내측(內側)에 선단(先端)이 배치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접지단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이며 상기 돌기부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내측이 되는 상기 트레드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토퍼(stopper)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돌기부를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투영(投影)한 상기 트레드부의 표면의 범위 내(內)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돌기부를 타이어 폭 방향 내측에 투영한 상기 트레드부의 표면의 타이어 폭 방향의 범위에 대하여, 타이어 폭 방향의 치수가 10% 이상 90%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높이가 0.5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트레드부의 표면의 상기 러그 홈 사이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總) 치수에 대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총 치수가 10% 이상 100%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하여,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드부의 답면과 선단과의 타이어 경방향의 거리가 0.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정규 림에 림 끼움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하여, 정규 하중의 70%를 부하한 상태에서, 자오단면에 있어서의 중심 직선과 타이어 경방향선이 이루는 각도가 타이어 폭 방향 내측으로 15°이하이고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45°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장착 시(時)에서의 차량 내외의 방향이 지정되어 있고, 적어도 차량 외측에 상기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187013695A 2015-11-25 2015-11-25 공기입 타이어 KR201800645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3121 WO2017090136A1 (ja) 2015-11-25 2015-11-25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526A true KR20180064526A (ko) 2018-06-14

Family

ID=5876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695A KR20180064526A (ko) 2015-11-25 2015-11-25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345729A1 (ko)
JP (1) JPWO2017090136A1 (ko)
KR (1) KR20180064526A (ko)
CN (1) CN108430801A (ko)
DE (1) DE112015007150T5 (ko)
WO (1) WO2017090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780B1 (ko) * 2021-01-06 2022-09-2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TWI776542B (zh) * 2021-06-07 2022-09-01 正新橡膠工業股份有限公司 防偏磨耗之輪胎胎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6483A (ja) 2010-06-24 2012-01-1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12096776A (ja) 2010-10-04 2012-05-24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97617A (fr) * 1935-11-12 1936-05-01 Pneumatique avec double bande de protection contre les éclaboussures latérales
JPH0891017A (ja) * 1994-09-21 1996-04-0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3365731B2 (ja) * 1997-11-18 2003-01-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0301920A (ja) * 1999-04-19 2000-10-31 Toyo Tire &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
JP4492068B2 (ja) * 2003-09-05 2010-06-3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0588997B1 (ko) * 2003-11-27 2006-06-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JP2006182179A (ja) * 2004-12-27 2006-07-1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KR100928550B1 (ko) * 2007-11-22 2009-11-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럭/버스용 타이어의 디커플링 홈 구조
JP5658728B2 (ja) * 2012-11-20 2015-01-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6483A (ja) 2010-06-24 2012-01-1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12096776A (ja) 2010-10-04 2012-05-24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5729A1 (en) 2018-12-06
JPWO2017090136A1 (ja) 2018-09-13
WO2017090136A1 (ja) 2017-06-01
CN108430801A (zh) 2018-08-21
DE112015007150T5 (de)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1105B (zh) 充气轮胎
JP545877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3542741A (ja) 最適化された自己封止製造物層を備えるタイヤ
US11433715B2 (en) Pneumatic tire
WO2018154968A1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80064524A (ko) 공기입 타이어
KR20180064526A (ko) 공기입 타이어
JP5698439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80064525A (ko) 공기입 타이어
CN109328146B (zh) 充气轮胎
JP201312404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569494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864779B2 (en) Pneumatic tire
JP201915631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7115074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80064527A (ko) 공기입 타이어
JP7077556B2 (ja) 乗用車用空気入りタイヤ
US11787238B2 (en) Pneumatic tire
JP711965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734849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8730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911560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20008702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116069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3542742A (ja) 最適化された自己封止製造物の層を備える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