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376A - 플랩을 반으로 접는 3d 형태의 연포장재 제조를 위한 절차, 기계, 장치 - Google Patents

플랩을 반으로 접는 3d 형태의 연포장재 제조를 위한 절차, 기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376A
KR20180064376A KR1020187006341A KR20187006341A KR20180064376A KR 20180064376 A KR20180064376 A KR 20180064376A KR 1020187006341 A KR1020187006341 A KR 1020187006341A KR 20187006341 A KR20187006341 A KR 20187006341A KR 20180064376 A KR20180064376 A KR 20180064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strip
triangular
container
triang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페즈-아로스테구이 사엔즈 길레르모
Original Assignee
로페즈-아로스테구이 사엔즈 길레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페즈-아로스테구이 사엔즈 길레르모 filed Critical 로페즈-아로스테구이 사엔즈 길레르모
Publication of KR2018006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haping or reshap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and subsequently folding-down or secur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4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outwardly or adhered to the side or the to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4Closing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B65B7/04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tucking-in mouth portion to form two flaps and subsequently folding-dow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내부에는 유체를 가지며 옵션 혹은 상호 보완적으로 고체, 과립, 분말을 갖는 2면의 3D 탄성 봉합 용기 변형을 위한 절차 및 장비, 일부 방향으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동일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다른 부분으로 올려 1회 이상 반으로 접는다. 또한 이전, 혹은 이후에 생성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측면이나 면을 통해 일부에 대한 봉합을 하거나 이들이 반으로 접는다. 본 시스템은 플랩이나 삼각형 형태를 절단하지 않고 3D로 변형할 기본 용기를 틈이나 찢김 없이 온전히 유지하여 용기의 불변성 및 경제적 및 환경적 고려에 대한 향상을 지원한다.
동시에 다음 이점들 역시 중요성을 갖는다.
- 3D 변형 순간부터 차후 개방이나 포장 제품의 사용시까지 침투나 샘이 없는 용기의 보존 및 유용한 내구성 보장
-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6)을 부착하거나 접기 위한 접착제나 접촉 접착제가 필요치 않음
- 제조 시설이 3D로 변형한 결함 있는 용기를 만드는 것을 방지
-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기저부의 지지 면으로 가져 지지 면이나 측면이 더욱 넓어지고 일관되어 발명품 용기를 더욱 안정적으로 보관

Description

플랩을 반으로 접는 3D 형태의 연포장재 제조를 위한 절차, 기계, 장치
유연한 3D 형태, 용봉이 가능한, 1회용이나 재사용이 가능한 포장재 제조 분야에 속하며 무엇보다도 기댈 수 있는 평평한 면을 만들기 때문에 세워두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품에 사용된 기계나 방법들은 기존에 시장에 출시된 다른 기계들과 함께 통합 솔루션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발명품에 사용된 방법이 다른 기계를 사용하여 생산되었던 한 쪽 혹은 양쪽이 봉합된 기본 포장재나 봉투의 변형이기 때문이다. 이 모든 것을 하나의 기계로 통합할 수도 있지만 기본 포장재를 생산하고 이를 3D 형태로 변형할 수도 있다.
- 예를 들면, 이전에 사용되었던 수직/수평으로 액체나 고체가 채워진 기계들은 본 발명품의 시작인 기본 포장재를 만든다. 이는 하나 이상의 용접 부분으로 봉합되고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액체(예: 액체/반죽 또는 공기/가스)나 추가적으로 고체나 입자, 가루 등을 포함시키는 2개 이상의 면(영국식 포장재나 스태빌로 팩(stabilo pack○R)과 같이 다른 이차적인 면이나 접힘이 가능)을 가진 기존 포장재와 다를 게 없다.
기존 포장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는 내부에 플라스틱, 알루미늄, 판지(발명품의 용접 선이 포장재에 강성과 경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없어도 상관 없음)와 같은 코일이 들어 있는 필름 형태로 유연하다. 게다가, 이들은 단층으로 사용하거나 예를 들면 플라스틱-알루미늄 혹은 플라스틱-알루미늄-판지와 같은 다른 형태의 결합으로 다층/복합 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튜브나 반 튜브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 발명품에 사용된 절차, 기계 및 3D 변형된 포장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 식품:
a.1) 음료(상그리아, 맥주, 샴페인, 와인, 사이다, 가스파초), 장기 이식 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아이스 큐브. 이들은 큐브 형태의 포장이다. 내부에는 물이 들어 있고 코일은 플라스틱 물질의 필름으로 이뤄져 있다. 플라스틱 형태의 외부는 살균을 하며 외부 형태에 따라 2번 포장한다.
a.2) 음료, 야쿠르트, 퓨레, 소스와 같이 고체 식품 이외에 액체나 반죽 형태의 식품을 포장하는 3D 포장재.
a.3) 콘 플레이크, 견과류, 칩스, 올리브, 스넥과 같은 고체 형태의 식품을 포장하는 3D 포장재.
B) 비식품:
b.1) 탄산음료, 합성 오일, 젤, 샴푸, 향수, 크림, 페인트, 화학 물질, 세척제와 같이 고체 이외에 액체나 반죽을 포장하는 3D 포장재.
b.2) 철물(나사, 와셔 등), 장난감, 가정용품과 같은 고체 물질이 내부에 담긴 3D 포장재.
발명 특허에 대한 본 응용은 계속적이거나 본인이 이전에 제출하여 출원한 발명 특허의 2가지 응용과 관련된다. PCT/ES2012/000261-WO2013/039037 2013년 9월 13일자 및 PCT/ES2014/000041-WO2014/140464 2014년 3월 11일자. 이들은 큐브, 직사각형 형태의 프리즘, 마름모꼴의 피라미드, 실린더, 복합 혹은 다양한 형태의 불규칙한 다면체와 같이 기본 포장재를 3D 형태의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 최종 포장재로 유연하게 변형시키는데 다른 절차와 기계를 명시한다.
반면에, 25년 전부터 시장에 출시된 수직/수평 기계와 같이 다른 주입 혹은 봉합 기계를 통해 2개 이상의 면을 가진 탄성 기본 포장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기본 포장재는 양면을 가지지만 스태빌로 팩(stabilo pack○R), 영국식(내부에 플랩이 있는), 도이 팩(Doy Pack) 등과 같은 포장재는 다른 이차적인 면을 갖기도 한다.
기본 포장재를 만드는 수직/수평 기계는 다른 형식이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A) 튜브 내(단층/다층 또는 복합), 기계가 봉합 2개 혹은 위, 아래에 가로 용접을 만든다.
B) 반 튜브(단층/다층 또는 복합), 기계가 봉합 3개나 용접 부분을 만든다: 2개는 가로로 위, 아래에 있으며 1개는 좌측이나 우측 한 쪽에 세로로 있다.
C) 래미네이트(단층/다층 또는 복합), 기계가 3개나 4개 이상의 봉합 또는 용접 부분을 만든다: 2개 이상이 가로로 위, 아래에 있으며 1개 이상이 세로로 측면(좌측이나 우측) 또는 전면이나 후면의 중앙에 있다.
따라서, 어떠한 형태의 기본 포장재도 3D 변형이 가능하다. 이들은 유연한 형태로 2개 이상의 면을 가지며 1개 이상의 용접 라인을 갖는다.
세워둘 수 있는 포장재를 만드는 다른 방법도 있지만 발명품과는 조금 다르며 이들은 다음과 같다.
- tetrabrik®, SIG®, IpI®과 같은 포장재 유형,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일반 제품들과는 다르게 코일 내 판지 필름 형태의 필름으로 만들어야만 하며 이러한 재료가 포장재에 강성과 경도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전에 이러한 판지 형태의 판은 안내선 역할을 하는 다이 컷으로 인해 표시나 자국을 남긴다. 따라서 차후에 수직의 원통형 튜브 형태를 가진 코일 내 필름이 수직 액체 주입 기계에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면 롤러로 가장자리를 눌러 입방체나 3D 형태를 얻게 된다.
-도이 팩(Doy pack)과 같은 포장재는 지지 면을 갖지만 안정적이지 않으며 볼륨감도 적고 비 경제적이다(포장재에 강성과 경도를 제공하기 위해 특수 3층 복합 플라스틱이 필요하기 때문). 게다가, 이러한 포장재는 아랫부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평평하며 측면에 용접 라인 2개를 갖는다: 이로 인해 좁은 입구를 만들어 내며 내부에 액체를 주입시킬 경우, 포장 제품에 가해지는 압력이 덜하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1- 2개 이상의 면을 갖는 탄성 기본 포장재(향낭, 필로우, 파우치, 스탠드 업, 스타빌로, 플랫 보텀, 영국식 등)의 경우, 1개 이상의 플랩이나 삼각형의 몸체에 봉합 및 절단하여 3D의 연포장재로 변형
- 반면에 이러한 3D 포장재가 틈이 없이 밀착하도록 하여 유체[(유체나 반죽) 또는 (공기나 가스)]나 다른 포장 물질들이 잘린 플랩의 봉합 용접 라인을 통해 포장재에서 나오지 않도록 한다. 이는 이러한 용접 라인의 중앙에 좁은 틈(기본 포장재에서 인접한 주변 측면 2개가 결합되어 플랩이 형성될 때 만들어짐)을 가진 지점이 있어 탈출구를 만들어 주며 이 부분을 확실히 열 봉합할 만큼 충분한 플라스틱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포장재(예, 다른 포장재가 위쪽에 위치할 때)의 외부만을 압축했다. 내부에 포장된 유체가 빠져나오거나 흘러나오며 식품이 내부에 포장되어 있을 경우, 이들을 오염시킨다.
-반면에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이 만들어질 때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과 포장재의 나머지 부분의 교차 지점에 접힘이나 주름이 형성되어 구멍이나 균열(유체가 빠져나오는)을 발생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대략 40%) 이러한 교차 부분을 통해 플랩을 정확히 봉합하면 포장재 제조에서의 결함을 없애준다.
- 따라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을 1번 이상 반으로 접고 이전 혹은 이후에 1번 이상 봉합하는 시스템은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이 잘리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플랩/삼각형 몸체와 포장재 몸체의 교차 부분을 낮은 온도로 더 적은 시간에 봉합하여 이러한 용접 라인에 균열이나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플랩이 형성될 때의 주름으로 구멍이나 균열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한다. 게다가, 이러한 용접 라인을 포장 제품을 넣는 입구로 사용할 경우, 약한 강도로 봉합되어 있어 이 부분을 열기가 더욱 쉽다.
- 이와 같이, 고체, 과립, 분말을 넣는 기본 포장재 역시 봉합이나 플랩의 절단 시 구멍이나 균열{잔여물이 만들어진 플랩(삼각형 몸체)의 양 측 사이에 정확히 남아 있도록}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시장 출시가 가능하도록 더욱 신뢰적이며 안전한 3D 연포장재를 만들기 위해 플랩/삼각형 몸체를 저온에서나 더 적은 시간 동안 봉합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이유이다. 마지막으로, 이는 유체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쭈그러짐이나 주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3D 변형된 포장재가 영구적으로 동일한 3D 형태의 몸체를 온전히 유지하도록 한다.
2- 2개 이상의 면을 갖는 탄성 포장재(향낭, 베개, 파우치, stabile, 평저, 영국식 등)의 경우, 1개 이상의 플랩(삼각형의 몸체)을 연포장재의 몸체에 부착 또는 결합하여 3D 연포장재로 변형
-삼각형 플랩이나 몸체가 포장재에 압력(당김)을 가해 지나치게 부풀어져 포장재의 변형을 만들어내거나 수직 안정성을 낮추기 때문에 이러한 플랩들이 포장재의 몸체에 고정되도록 하여 완성된 포장재의 3D 형태(특히 바닥 면)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 또한 플랩이 떨어져 나가거나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하여 포장재의 3D 몸체 형태나 포장재의 안정성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 이와 같이,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포장재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풀이나 플라스틱 스트립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중요하다.
예로 모든 유형의 플라스틱이나 판지 외 튜브, 반 튜브, 래미네이트(단층, 다층, 복합)의 포장재가 될 수 있는 연포장재 제조 시 만들어지는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이나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의 일부 혹은 스트립을 조작하거나 변형하는 절차. 각기 다른 조작 모드를 사용하며 가급적이면 반으로 또는 한 방향으로, 일부 혹은 1개 이상의 삼각형 플랩/몸체나 스트립, 동일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의 일부나 다른 부분에 대한 1회 이상의 접기나 구부리기를 사용한다.
플랩/삼각형 몸체(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또는 이전에 일반적으로 사용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봉합 후 절단하는 다른 구성 방법으로](플랩/삼각형 몸체에서 만들어진)에 대한 다른 조작 모드를 통해 만들어지지만 가급적이면 반으로, 한 방향으로, 플랩/삼각형 몸체(또는 하나의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를)의 일부나 스트립(또는 다른 구성으로)을 동일하거나 다른 플랩/삼각형 몸체(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를)나 스트립(또는 다른 구성으로) 쪽으로 1회 이상 접거나 구부려 만들어진 3D 포장재로 2개 이상의 면을 가지며 내부에 1개 이상의 유체(예, 공기나 가스)에 추가적으로 고체나 과립, 분말이 더해진 포장재나 봉합된 기본 연포장재의 변형을 위한 절차 및 장비
게다가 본 시스템은 삼각형 플랩/몸체(36)나 스트립(37)(또는 다른 구성)의 외형에서 다른 형태의 3D 포장재 제품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생태학적 측면인 포장재의 불변성에 관한 향상이 가능하다.
이후, 3D 포장재로 변형되는 기본 연포장재나 포장재에서 만들어진 1개 이상의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조작하는 다른 절차를 제시한다.
1- 플랩(삼각형 몸체)을 동일한 혹은 다른 삼각형 플랩(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다른 것과 같이 또는 나란히}의 일부에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에 한 방향으로(포장재 몸체 쪽이나 포장재의 인접한 면으로) 1번 이상 접거나 구부리거나 결합시켜 연포장재의 몸체에 영구적으로 결합시키면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직선, 사선, 반원으로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뿐만 아니라 이들을 동일하게 혹은 한 쪽이나 다른 쪽으로 약간 회전시켜 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1면 이상을 통해 플랩/삼각형 몸체(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가 봉합(2개 이상의 일부나 절반이 반으로 1회 이상 접히거나 구부러져 접촉하거나 나란히 위치하도록 함) 되며 다음 옵션의 선택이 가능해 진다.
1a)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 자체의 구부러집이나 접힘으로 만들어진 가장자리 일부의 1면 이상(가장자리의 일부나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서)을 통해 1개 이상의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반원, 오목/볼록, 톱니, 2개 이상의 방향 등)과 함께 봉합.
1b)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구부리거나 접어 만들어지며 대각선이나 반원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가급적이면 평행인 가장자리와 근접한 영역의 일부인 1개 이상의 면을 통해 1개 이상의 용접 라인(직선, 반원, 대각선, 톱니, 2개 이상의 방향 등)과 함께 1번 이상 봉합.
1c) 아래와 같이 1개는 접힘이나 구부러짐 전에 만들어 지며 플랩/삼각형 몸체의 접힘 후 1번 이상이 수행된 2개 이상의 용접 라인(직선, 사선, 반원, 오목/볼록, 톱니, 2개 이상의 방향 등이 될 수 있음)과 함께 봉합.
첫 번째: 플랩/삼각형 몸체 자체, 1개 이상의 용접 라인, 원하는 높이 또는 플랩/삼각형 몸체와 몸체/포장재 잔여 부분 사이의 교차선이나 지점 또한 플랩/삼각형 몸체와 몸체/포장재의 잔여 부분 사이의 영역이나 선 위에 떨어진 부분에서의 구부러짐이나 접힘 전 봉합.
이와 같이, 2가지 옵션 사이의 조합이 주어질 수 있으며 이처럼 용접 라인과 같이(예를 들면, 직선, 대각선, 반원, 오목/볼록 등이 가능) 플랩/삼각형 몸체와 몸체/포장재의 잔여 부분 사이의 영역이나 라인에 봉합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이전 용접 라인, 1개 이상의 용접 라인(예, 직선, 대각선, 반원, 오목/볼록, 톱니, 2개 이상의 방향에서 등이 가능)과 분리되고 플랩 또는 삼각형 몸체와 포장재 몸체의 교차 부분에서 만들어진 용접 라인과 분리되거나 평행하게 될 수도 있다.
게다가, 이러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구부리거나 접기 전 용접 라인은 플랩/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는 과정을 최적화한다. 이는 플랩/삼각형 가죽과 포장재 몸체의 교차 부분에서 만들어진 것과 같이 플랩/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구부리거나 접기 전 만들어진 플랩/삼각형 몸체와 용접 라인 중 하나의 교차 부분을 통해 자체적으로 빠르고 편리하며 정확하게 플랩/삼각형 몸체가 접히거나 구부러지도록 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봉합, 1개 이상의 면을 통해 플랩/삼각형 몸체가 1개 이상의 용접 라인(직선, 반원, 대각선, 톱니, 2개 이상의 방향 등)과 함께 1회 이상 반으로 이미 구부러지거나 접혔을 경우.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구부리거나 접을 때 만들어진 가장자리 일부에 대한 봉합이나 가장자리와 인접한 부분을 1번 이상 봉합하는 것과 같은 옵션 2개가 주어진다. 이와 같이 옵션 2개를 결합하여 봉합을 한다. 예, 용접 라인(예, 직선, 대각선, 반원, 오목/볼록, 톱니 2개 방향 이상 등)과 함께 모든 가장자리 부분에 용접하며 이와 동시에, 이전 용접 라인에서 서로 분리되어 평행하거나 그렇지 않은 다른 1개 이상의 용접 라인(예, 직선, 대각선, 반원, 오목/볼록 등)을 가장자리에서 만들어진 용접 라인과 분리할 수도 있다.
2- 다음과 같은 방식[또는 앞선 것과 같이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첫 번째 단계에서 봉합하고 절단/소작 함] 다른 구성 방식으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봉합(1면 이상을 통해)하거나 절단(또는 소작)한다. 하부에서, 플랩/삼각형 몸체와 포장재 몸체 사이 교차 부분에서 1면 이상의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반원 등), 위쪽을 향한 이전 라인에서 이어진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반원 오목/볼록, 톱니, 2개 방향 이상 등이 가능) 2개는 대개 90도 각도로 앞쪽을 가로지르는 용접 라인에서 결합되는 라인들 사이에서 수직, 평행, 분리됨
삼각형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부분과 같은 방식으로 스트립을 만들 수 있다.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좌, 우측에서 삼각형을 구성하는 2개 이상의 면을 자르고 기본 포장재(특히, 기본 포장재의 위, 아래 부분과 근접한 가로 방향의 용접 라인) 제조 시 만들어진 가로 방향 용접 라인의 삼각형 몸체/플랩의 1면을 따라 세로 부분이나 플랩(삼각형 몸체)의 절반인 스트립의 1면 이상을 절단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스트립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절단되지 않은 이러한 용접 라인이 플랩/삼각형 몸체와 포장재 몸체의 교차 부분에서 만들어진 용접 라인으로 향하는 끝 부분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를 나누는 세로 방향으로 확인되면, 더 적은 공간을 가지고 방해가 되지 않는 스트립 형태로 더 작은 크기의 플랩/삼각형 몸체를 얻게 되며 한편으로는 포장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여 신뢰 적이며 안전한 포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가장 적합한 봉합 및 절단 방식은 "L"자와 동일한 형태로 용접 라인이 만들어질 때(예, 직선, 대각선, 오목/볼록한 반원, 톱니, 2개 방향 이상 등)와 양쪽 모두 "L"자가 되는 특성을 가질 이다. 이들 각각의 세로 부분은 기본 포장재를 만들기 전 만들어진 위, 아래의 가로 용접 라인과 일치하도록 용접 라인을 측면에 위치시킨다.
- 이와 동시에 옵션으로, 위의 [1, 1a, 1b, 1c]에 명시된 절차와 단계를 선택하여 이러한 스트립을 조작할 수 있으며 이제 이들은 [2.1, 2.1a, 2.1b, 2.1c]와 같이 부를 수 있다.
3- 플랩(삼각형 몸체)을 연포장재의 몸체에 영구적으로 결합시키며 이를 통해 2가지 단계를 구성한다.
동일한 혹은 다른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나란히 옆에 위치한 것}의 일부에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에 한 방향으로(포장재 몸체 쪽이나 포장재의 인접한 면으로) 1번 이상 접거나 구부리거나 결합시켜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직선, 사선, 반원으로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뿐만 아니라 이들을 동일하게 혹은 한 쪽이나 다른 쪽으로 약간 회전시킨다.
접촉 접착제나 열 스트립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의 1면 이상을 1회 이상 다른 혹은 동일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에 부착시켜 양쪽 부분이 서로 1회 이상 접히거나 구부려지도록 한다.
4- [1], [1a], [1b], [1c], [2.1], [2.1a], [2.1b], [2.1c], [3]과 같은 옵션들 중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또는 다른 구성 모드, 플랩/삼각형 몸체를 이전 단계에서 봉합하거나 절단/소작]의 일부 만을 조작하는 추가 단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플랩/삼각형 몸체에서 플랩(이러한 부분은 접히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동일한 플랩의 다른 부분과 봉합되지 않음)의 끝부분을 향해 만들어진 마지막 용접 라인이 느슨해 지도록 하고 다음 옵션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i) 푸시 모드를 통해 포장재 몸체(이미 포장재 몸체의 옆부분에 있기 때문)의 플랩이나 느슨한 스트립을 파쇄하고 접촉 접착제와 같은 접착 모드를 통해 이러한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느슨한 스트립이 포장재 몸체에 부착되도록 한다.
ii) 플랩(삼각형 몸체) 혹은 느슨한 스트립 면 또는 그 일부에 대해 1회 이상 저항이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봉합.
iii) 1회 이상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느슨한 스트립의 1면 이상 혹은 일부에 대해 저항이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봉합; 푸시 모드로 포장재 몸체에서 플랩이나 느슨한 스트립을 파쇄(이미 포장재 몸체 옆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하고 접촉 접착제와 같은 접착 모드를 사용하여 이러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또는 다른 구성 형태)을 포장재 몸체에 부착
iiii) 칼날과 같은 것을 사용한 절단 모드로 느슨한 플랩이나 스트립의 전체 혹은 일부를 절단(소작)
iiiii) 1회 이상 플랩이나 느슨한 스트립의 1면 이상 혹은 일부에 대해 저항이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봉합; 칼날과 같은 것을 사용한 절단 모드로 느슨한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의 전체 혹은 일부를 절단(소작).
iiiiii)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느슨한 스트립의 일부를 동일한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느슨한 스트립의 일부나 다른 부분의 방향으로 1회 이상 1방향 이상으로 접거나 구부리는 장치를 이용한 부착 후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 랩(삼각형 몸체)이나 느슨한 스트립을 위에 명시된 옵션 [i], [ii], [iii], [iiii], [iiiii]으로 조정한다.
옵션으로,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느슨한 스트립을 1회 이상 1면 이상을 봉합하는 이전 단계를 사용할 수 있다.
5- 20-40 미크론 두께(대략)의 연포장재나 폴리프로필렌, 생물적 폴리프로필렌, 단방향, 단층, 다층 폴리프로필렌(예, 2층)과 같은 다른 유형의 사용으로 플랩/삼각형 몸체 아치를 봉합하거나 절단할 때 만들어지는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 뿐만 아니라 용접 라인이 다음으로 인해 만들어지기 때문(예, 직선, 대각선, 톱니, 오목/볼록 반원, 2개 이상의 방향 등).
4a) 대략 0.1-5 mm사이로{0.1-2 mm에서 더욱 최적화 됨} 이전 것과 분리되고 평행한 다른 용접 라인이 만들어질 때(직선, 반원, 대각선, 톱니, 2방향 이상 등): 플랩(삼각형 몸체) 또는 스트립과 포장재 몸체 사이의 용접 라인(직선, 반원, 대각선, 톱니, 2개 이상의 방향 등)에서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접음(구부림이 일관되지 않아 안정적이지는 않음) 및 포장재의 1면 이상을 향하는(포장재가 위쪽을 향할 경우 측면, 포장재가 평행에 위치할 때는 위, 아래가 바닥을 향함) 아치(용접 라인이 만들어지는 부분)
4b)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 아치가 포장재 측면을 향하도록 플랩이나 스트립(삼각형 몸체)을 전체의 3/4(대략) 봉합할 때
6- 3D로 변형시킨 동일한 연포장재에 대해 위에 명시된 모든 절차 및 과정을 개별적 또는 모든 내용을 혼합하여 무작위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포장재의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을 다음의 조합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 과정 [4-]를 이용하여 포장재 윗부분에 있는 플랩(삼각형 몸체) 2개나 스트립을 조작하거나 과정 [2a)]를 이용하여 아래에 있는 2개를 조작할 때.
- 과정 [1]을 이용하여 포장재 윗부분에 있는 플랩(삼각형 몸체) 2개를 조작하거나 과정 [2b)]를 이용하여 아래에 있는 2개를 조작할 때.
- 과정 [2b]를 이용하여 포장재 윗부분에 있는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 중 1개를 조작하고 과정 [2a)]를 이용하여 다른 1개를 조작하며 과정 [1)]을 이용하여 아래에 있는 2개를 조작할 때.
- 과정 [4.2)를 이용하여 포장재 윗부분에 있는 플랩(삼각형 몸체) 중 1개를 조작하고 과정 [4.3a)]를 이용하여 다른 1개를 조작하며 과정 [4.3a)]를 이용하여 아래에 있는 2개를 조작할 때.
- 포장재의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과정 [2b)]를 이용하여 조작할 때.
- 과정 [4]를 이용하여 포장재 윗부분에 있는 플랩(삼각형 몸체) 2개를 조작하고 과정 [3a)]와 과정 [5]] 의 iiiii]를 이용하여 아래에 있는 2개를 조작할 때.
7- 위에 명시된 1-6의 모든 과정들은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진 3D 구성 포장재의 다른 제조 과정에 따라 조정 또는 발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들은 다음과 같다. - 릴에 감긴 필름에서 포장재 몸체를 시작하며 제조
- 1개 이상의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통해 제조.
8- 2가지 기계 유형을 통해 발명품을 보호한다.
8a) 탄성 기본 포장재를 3D 포장재로 변형시키는 기계, 포장재 보호막은 주로 사용하는 1개 이상의 유체에 옵션으로 고체나, 과립, 분말 등을 추가로 보호한다.
1개 이상의 지지대, 기본 포장재를 감지하는 1개 이상의 센서, 기계에서 기본적으로 만들어진 포장재.
1개 이상의 움직임이 가능한 충격체[직선이나 회전 이동을 통해 조작]나 움직임이 불가능한: 1개 이상의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을 만들기 위해 1개 이상의 주변 외관 측면의 주변 외부나 1곳 이상의 주변 외부의 1곳 이상을 측면으로 압착하도록 만들어짐.
해당 플랩이나 스트립의 일부에 해당하는 1개 이상의 면이나 주변 혹은 측면 외관의 일부를 이용한 칼날과 같이 절단 모드를 이용한 봉합이나 봉합 및 절단을 위해 만들어져 직선이나 회전 움직임으로 조작하는 1개 이상의 봉합 조나 봉합 및 절단 조로 봉합 조는 영구 지지 면이나 기계의 구성 특성에 따라 만들어진 추가 면 유지를 위해 1개 이상의 열원 모드를 갖는다.
8b) 내부에 1개 이상의 유체가 담기며 옵션이나 추가 사항으로 고체, 과즙, 분말 등을 보호하는 연포장재를 위한 주입 및 봉합 기계
- 포장재 몸체를 만듦,
- 연포장재를 수평 혹은 수직 방향으로(위, 아래) 봉합이나 절단하는 1개 이상의 조 장치나 한 쌍의 조
- 1개 이상의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37)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만듦{플랩 혹은 삼각형 몸체의 봉합이나 절단을 통해 만들어짐}
[8a]나 [8b] 기계는 다음을 장착한다.
- 1회 이상 한 방향으로 하는 절반 접기나 구부림 모드로 결합시키는 1개 이상의 장비: [A1], [A.1.1], [A.1.2], [A.1.3], [A .1.4], [A2], [A.2.1], [A.2.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거나 다른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의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의 일부
- 접촉 접착제 혹은 저항, 레이저, 초음파 등의 열원을 이용하는 용접 시스템(필요시 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에 배정) 등의 접착 시스템으로 충격체나 폐쇄 조의 각 측면{생성 시 플랩/삼각형 몸체(또는 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에 접촉된 면}에 봉합을 위한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옵션으로 사전에 삼각형 플랩/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을 1회 이상 반으로 접어 준다: 1회 이상(2a, 2b, 2ae, 2be) 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을 이용하여, 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을 정확히 접거나 구부릴 수 있는 방식으로, 원하는 용접 라인(2a, 2b, 2ae, 2be){예, 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톱니 등이 가능}을 이용한다.
한편, 플래/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 후에, 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을 이용하여 가장자리{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을 1회 이상의 접거나 구부려 만든}나 인접 부분의 일부에 1회 이상(2a, 2b, 2ae, 2be) 봉합하거나 가장자리에서 분리시킨다. 이 같은 방식으로 영구적으로 삼각형 몸체/플랩(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수 있도록 유지한다. 옵션으로 다음을 제공할 수도 있다.
- 접촉 접착제와 같은 접착, 고정 시스템 또는 용접 시스템{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 면 일부 용접 라인에 대한 봉합을 위해 저항 요소와 같은 열원을 이용}이나 절단/소작 시스템{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의 전체 혹은 일부에 절단용 칼날과 같은 절단 모드 이용},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 후에 느슨하게 남아 있는 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을 측면{생성 시 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랩의 일부 면과 접촉}이나 충격체나 폐쇄 조의 구멍에 배정.
- 다음으로, 2면을 가지고 3D 용기로 변형되는 기본 연 용기에서 만들어진 플랩(삼각형 몸체)을 조작하는 다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충격체(플랩을 만드는)와 폐쇄 손잡이(충격체 측면에 위치) 내에 고정이 가능하다.
A.1- 생성된 가장자리나 가장자리에 인접한 면에서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을 봉합 혹은 봉합 및 절단 할 뿐만 아니라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며 구멍 탐침 (탐침의 몸체)을 이용한 시스템이나 장치.
이를 위해, 충격체(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만드는)나 폐쇄 그립(플랩/삼각형 몸체가 만들어져 활성화되면, 이들 사이에 위치한 플랩/삼각형 몸체를 조이고 밀어 넣기 위해 충격체를 결합시킴)은 다음과 같은 장치들을 갖는다.
A.1.1) 충격체나 폐쇄 그립의 측면에 위치한 장공이나 구멍은 플랩(삼각형 몸체)이 만들어질 때 평행한 이 측면과 접촉하며 플랩의 일부를 장공을 통해 구멍으로 유입시킨 후 플랩/삼각형 몸체에 인접한 면으로 플랩(삼각형 몸체)의 두 부분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다.
옵션으로 이동 게이트와 같은 폐쇄 모드를 이용하여 장공을 덮을 수 있으며 또한 회전이나 상, 하 이동과 같은 이동 모드를 이용하여 열거나 닫을 수도 있다. 이는 폐쇄 그립이 충격체에 접하도록 하며 플랩의 두 면 전체가 서로를 밀도록 하여 플랩/삼각형 몸체의 두 면이 접촉할 때 내용물(액체/반죽/공기/가스)을 몸체나 용기의 나머지 부분으로 빼낸다.
A.1.2) 장공보다 좁아지는 탐침(탐침 몸체)과 같이 플랩의 이동 모드를 통해 구멍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동시에 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가 구멍으로 유입되어 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를 반으로 접는다.
장공이나 폐쇄 그립의 포함 여부에 상관없이 동일한 충격체 내에 움직이는 탐침(탐침 몸체)의 고정이 가능하다.
A.1.3) 구멍 내부, 플랩/삼각형 몸체의 접힌 두 부분의 위, 아래에 위치한 용접 시스템 장치(열원)나 용접 시스템 및 소작 시스템(절단)은 조작 시 혹은 위, 아래로 움직일 때 플랩/삼각형 몸체에서 생성된 가장자리나 가장자리에 인접한 면을 봉합 혹은 봉합/소작한다.
A.1.4) 옵션 혹은 추가로, 충격체나 폐쇄 그립의 일부 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 면에 접촉하는)에 그리고 원하는 높이{장공 높이의 위, 아래(플랩과 몸체나 용기의 잔여 부분 사이의 교차 지점 선호)}에 위치한 용접 시스템 장치, 이를 통해 사전에(폐쇄 그립의 활성화로 충격체와 플랩/삼각형 몸체에 접촉하여 이를 밀어 넣음) 용접 라인들을 만든다.
또한, 플랩/삼각형 몸체를 접거나 구부리는 절차를 최적화 하는 방식은 접거나 구부리기 전 동일한 플랩/삼각형 몸체와 몸체/용기의 나머지 부분의 교차 라인/부분이나 위쪽에 용접 라인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플랩/삼각형 몸체를 접거나 구부리기 바로 전 만들어진 용접 라인 마감의 윗부분에서 빠르고 편리하게 플랩/삼각형 몸체를 접거나 구부릴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직선, 반원, 대각선(따라서 변형된 기본 용기가 원통형이 될 수 있도록 함)과 같이 이러한 용접 라인을 다른 방식으로 만들 수도 있다.
A.2- 이전 혹은 이후에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는 탐침(탐침 몸체)을 이용한 시스템이나 장치는 가장자리(플랩을 반으로 접을 때 생성)의 일부 혹은 가장자리에 인접한 면에서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을 봉합 혹은 봉합/절단한다.
이를 위해, 충격체(플랩/삼각형 몸체를 만드는)나 폐쇄 그립{활성화 시 플랩/삼각형 몸체를 만들어내어 현재 중앙에 위치한 플랩/삼각형 몸체를 밀어 넣거나 모을 수 있도록 충격체를 결합시킨다.}은 다음과 같은 장치들을 갖는다.
A.2.1) 플랩(삼각형 몸체)의 이동 모드, 예: 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를 플랩/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접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 플랩(삼각형 몸체)에 인접한 면으로 이동시키는 탐침(탐침 몸체)
탐침(탐침 몸체)을 충격체나 폐쇄 그립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를 수평 혹은 대각선으로 고정하여 조작이나 움직임 시 직선이나 대각선 경로를 따르도록 할 수 있다.
A.2.2) 플랩(삼각형 몸체) 면의 일부나 1회 이상 반으로 이미 접힌 플랩(삼각형 몸체) 면의 일부에 접한 용접 라인(폐쇄 그립이 활성화되면 충격체 및 플랩/삼각형 몸체와 접촉하여 이에 들어가도록 하는). 따라서 이는 생성된 가장자리나 이에 인접한 부분의 높이 또는 그 이상이나 이하가 될 수 있다(가급적이면, 플랩 면과 컨테이너 몸체의 교차 부분). 또한 플랩/삼각형 몸체를 접거나 구부리는 절차를 최적화하는 방식은 접거나 구부리기 전에 플랩과 용기 몸체의 교차 라인 위에 용접 라인이 만들어지는 것이며 이는 플랩/삼각형 본체를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기 전에 만들어진 플랩/삼각형 몸체와 이러한 용접 라인의 교차 부분에서 빠르고 편하게 플랩(삼각형 몸체)을 접거나 구부릴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직선, 반원(이를 통해 변형된 기본 용기가 원통의 형태를 가짐), 대각선, 톱니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모든 용접 라인을 만들 수 있다.
A.3) 또한 일부 면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을 접거나 구부릴 수 있으며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수도 있다 - 충격체나 폐쇄 그립을 2조각(충격체가 양쪽에 폐쇄 그립을 갖는 경우에는 세 조각이상으로 나눠) 이상으로 나눠, 측면이나 상, 하로 이러한 장치들 중 일부가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위쪽의 1조각은 움직인다{선형 실린더나 선형 병진 장치와 같은 모드를 통해 활성화되어 플랩이나 스트립이 접촉하지 않는 측면이나 기저면에 추가적으로 고정됨}: 첫 번째 예시에서는 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 측면으로 접거나 구부리며 두 번째 예시에서는 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충격체나 폐쇄 그립에 고정된 스트립(탐침, 회전 막대나 절단기(하향 움직임을 보이는)과 같은 밀기 모드를 통해)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다; 뿐만 아니라 접거나 반으로 접지 않고 플랩(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이나 스트립의 일부 용접 라인(예, 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2방향)에 1회 이상 행해지는 봉합{전, 후에 플랩(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이나 스트립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는}
다음으로 6단계로 이루어진 절차나 장비의 실행 모드:
- 첫 번째, 충격체와 폐쇄 그립이 합쳐진다(둘 중 하나 특히 폐쇄 그립이 활성화될 때), 플랩/삼각형 몸체의 하단 2면의 일부가 막히거나 빠짐, 옵션으로 플랩/삼각형 몸체와 용기의 몸체의 교차 부분 또는 이전 용접 라인의 인접 부분에서 1회 이상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톱니, 2방향 가능){저항과 같은 열원 혹은 충격체와 폐쇄 그립 내 모두에서 고정되는 스트립 이용}과 봉합.
- 두 번째, 외부 면으로 플랩이나 스트립을 접고자 할 때, 폐쇄 그립 상부의 조각이 바깥으로 빠져나가 위의 2조각들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낸다.
- 세 번째, 원하는 부분을 밀면 플랩이나 스트립을 접기 위해 충격체 상부의 조각이 외부로 움직이며 이 경우, 교차 부분{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의 교차 부분에서 만들어진 용접 라인의}이나 플랩/스트립의 잔여 부분이 된다.
- 네 번째, 폐쇄 그립의 하부 조각은 충격체 상부 조각의 하부 면 혹은 폐쇄 그립 내에 설치되거나 고정된 탐침, 회전 막대, 절단기(하향 움직임을 갖는)와 같은 밀기 모드를 통해 공간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외부로 움직여 시작 지점으로 반환되어 용기 측면으로 플랩이나 스트립을 접을 수 있게 된다.
- 다섯 번째, 충격체의 하부와 접하도록 탐침이나 회전 막대를 충격체로 유입시키기거나 시작점으로 반환 시키기 위해 반으로 접히거나 구부러진 플랩/삼각형 몸체(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나 스트립(다른 구성)을 1회 이상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톱니, 2방향)과 봉합하기 위해 폐쇄 그립 하부 조각을 활성화한다. 또한 회전 막대는 반으로 접어진 플랩이나 스트립보다 더 큰 너비를 갖게 된다: 폐쇄 그립 하부 조각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시작점으로 이를 반환시킬 필요는 없다.
반면, 충격체 상부 조각을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으며 이는 반으로 접힌 플랩이나 스트립을 고정시킨다.
- 여섯 번째, 충격체 상부 조각과 폐쇄 그립 하부 조각 모두 시작 지점으로 반환된다.
B- 안쪽 혹은 바깥쪽 1방향으로 한 부분을 접거나 구부리거나 결합시키기 전 플랩/삼각형 몸체를 봉합(면의 일부에 접한)이나 절단(소작)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장치.
다음으로, 이러한 시스템 [B]를 구현하는 방식과 이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플랩/삼각형 몸체의 좌, 우측에서 삼각형 구성의 2부분을 봉합(일부 면이나 측면에 대해 1회 이상)이나 절단(소작)하기 위한 시스템이나 장치, 또한 스트립을 만드는 방식으로 절단/소작 없이 플랩(삼각형 몸체) 절반의 세로 부분/스트립을 남긴다.
각 면에 있는 이러한 스트립에서, 튜브나 받침대 형태와 같이 기본 용기 제작 시 만들어지는 위, 아래 가로 용접 라인과 정확히 일치하는 용접 라인이 있거나 이를 따른다.
따라서, 다음 형태를 구성하는 용접 라인이 만들어진다.
- 하부에, 플랩/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잔여 부분 사이의 교차 영역에서 플랩을 가로지르는 라인(직선, 대각선, 반원 등)
- 상부에서, 가로 용접 라인으로 모이거나 결합되어 90도를 형성하는 이러한 선들{플랩/삼각형 몸체 면 절반의 세로 측에 해당하는 무제한의 용접 라인} 사이에 수직, 평행, 분리된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톱니, 2방향 등) 2개
이를 위해, 충격체(플랩/삼각형 몸체를 만드는)나 폐쇄 그립(플랩/삼각형 몸체가 만들어지면 활성화되어 플랩/삼각형 몸체를 밀어 넣기 위해 충격체에 결합되며 현재는 중앙에 위치한)은 다음 장치들을 갖는다.
B.1.1) 용접 시스템이나 저항기와 같은 열원 또는 초음파를 통해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봉합한다.
B.1.2) 플랩/삼각형 몸체의 2가지 삼각형 부분을 절단하기 위한 칼날과 같은 절단이나 소작 시스템
- 이러한 용접, 절단 라인은 위의 [B]장 2, 3번째 문장에 에 명시된 형태를 갖지만 직선, 반원(이로 인해 기본 용기가 원통형으로 변형), 대각선 등과 같이 다른 방식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 옵션으로, 플랩/삼각형 몸체를 봉합, 절단하여 이러한 스트립을 얻으면 [A1], [A.1.1], [A.1.2], [A.1.3], [A.1.4], [A2], [A.2.1], [A.2.2] 장의 각 내용에서 설명, 명시된 바와 같이 플랩/삼각형 몸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를 조작할 수 있다.
C- 이전 장 [ A1 ], [ A.1.1 ], [ A.1.2 ], [ A.1.3 ], [ A.1.4 ], [ A2 ], [ A.2.1 ], [ A.2.2 ], [ B ], [ B.1 ], [ B.2 ] 에서와 같이 조작되는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 추가적, 옵션으로 느슨해진{접거나 구부리지 않으며 동일한 플랩이나 스트립의 다른 부분과 봉합하지 않기 때문에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에서 만들어진 마지막 용접 라인에서 플랩이나 스트립의 끝부분까지}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의 일부를 조작할 수 있으며 다음 옵션들 중 선택이 가능하다.
C.1) 밀기 모드를 이용하여 플랩이나 느슨한 스트립을 용기 몸체(이미 용기 몸체 옆에 위치하기 때문)에 넣는다; 접촉 접착제와 같은 접착 모드를 통해 이러한 플랩(삼각형 몸체)나 느슨한 스트립을 용기 몸체에 부착시킨다.
C.2) 저항기와 같은 열원이나 초음파를 통해 이러한 면들 중 일부에 이를 1회 이상 봉합한다.
C.3)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느슨한 스트립 면에 1회 이상 이를 봉합한다; 밀기 모드를 통해 용기 몸체(이미 용기 몸체 옆에 위치하기 때문)에 플랩이나 느슨한 스트립을 밀어 넣으며 접촉 접착제와 같은 접착 모드를 통해 용기 몸체에 이러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을 부착한다.
C.4) 칼날과 같은 절단 모드를 통해 느슨해진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전체 혹은 일부를 자른다(소작)
C.5) 저항기와 같은 열원 또는 초음파를 통해 접촉 면을 1회 이상 봉합한다; 느슨해진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 일부의 전체 혹은 일부를 칼날과 같은 절단 모드를 통해 절단(소작)한다.
C.6) 접기나 구부리는 시스템을 통해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느슨한 스트립의 일부를 동일한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느슨한 스트립의 일부 쪽 한 방향으로 1회 이상 결합시킨 다음 위에 명시된 옵션 [C.1], [C.2], [C.3], [C.4], [C.5] 중 하나를 선택하여 1회 이상 접거나 구부린 이러한 플랩(삼각형 몸체)이나 느슨한 스트립을 조작한다.
옵션으로, 일부 면으로 이러한 플랩(삼각형 몸체)나 느슨한 스트립을 1회 이상 봉합하는 사전 단계를 사용할 수 있다.
- 발명 절차나 기계를 보완하는 다른 절차 및 과정
A- 탄성 기본 봉합 용기의 2면 이상을 변형시키고 3D 용기 내부에 유체를 그리고 옵션이나 보완 절차로 고체, 과립, 분말들을 함유하도록 하는 절차: 용기 주변 측면을 45도 각도로 누름.
기본 용기를 압착하는 단계로 이를 특징 짓는다. 플랩과 피크(피크 넥)를 동시에 만들며 이는 다음 단계들을 통해 차후에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로 변형된다.
1단계: 약 45도 각도로 충격체를 이용하여 용기 내부로 압착하거나 기본 용기의 동일한 측면 좌, 우측 전부를 처음에는 평행이 되게 압착하고 이후에는 약 45도의 각도로 압착하여 유체 일부가 용기 외형에 퍼지도록 하여 용기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팽창 효과가 발생하도록 하여 다음을 획득:
지지면이나 추가면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충격체가 영향을 주지 않아 용기의 두 면에 의해 형성된 동일한 주변 측면 반대쪽 피크(피크 형태의 넥)
2단계: 그립이나 충격체 한 쌍을 사용하여 용기 내부로 압착하여 피크(피크 넥)에 인접한 주변 측면 2개의 일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하거나 움직이도록 하여 다음을 획득:
지지면이나 추가면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B- 옵션 절차 및 압착 단계 전, 플랩/삼각형 몸체를 생성하고, 플랩/삼각형 몸체를 정확히 만드는 꼭지점이나 모서리가 인접한 부분에서 고체가 자유롭도록 기본 용기(꼭지점 4개와 모서리를 갖는 양측의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중앙을 향하는 내부 방향으로 기본 용기 꼭지점 근처 모서리 부분에 포장하고 위치시킨 고체(예: 상추, 야채, 시리얼, 견과류), 과립, 분말의 이동을 구성하도록 특징 지음:
2단계로 절차를 구성합니다:
- 기본 용기[또는 꼭지점에 가장 근접한 꼭지점과 인접한 주변 측면에 평행한(대략)] 중앙을 향하는 꼭지점 끝 부분에서 45도(대략)의 대각선 경로로 용기 내부 방향으로 충격체나 그립{선형이나 회전식 실린더와 같은 기계식 모드를 통해 활성화}을 사용한 압착으로 플랩/삼각형 몸체가 만들어지는 꼭지점에 인접한 영역이나 측면에 위치한 내부 포장물을 용기 중앙 내부로 이동/유입시킨다.
- 다음으로, 플랩이 만들어지는 꼭지점/모서리에 인접한 고체의 자유 공간을 얻기 위해 이들을 배치(전개)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러한 용기로 유입된 충격체나 그립을 출발 지점으로 반환/이동시키고 용기에 접거나 유입시킨 포장재의 일부가 돌아가도록 하여[예: 고정 그립으로 용기/기본 용기를 압착할 때] 다음을 얻는다:
플랩이 잘 형성되도록 하고 플랩/삼각형 몸체 면의 일부의 용접 라인(플랩과 용기 잔여 부분의 교차 라인)이 최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해당 영역의 빈 공간, 예, 온도 변화가 없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접힘, 갈라짐, 구멍 없는 전체 용접 라인의 완전한 봉합.
게다가, 고정 실린더, 선형 실린더와 같은 기계식 모드로 활성화한 한 쌍의 그립을 통해 꼭지점이나 모서리를 내부 봉입물로 유입시키는 장치를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한 쌍의 그립은 고체의 이동 절차(2단계로 명시된) 중 다음 기능을 수행한다. 꼭지점이나 측면/꼭지점에 인접한 측면 일부에 있는 그립 2개 사이에서 잡거나 밀어 내어 다음을 획득한다.
- 1단계: 용기 포장재 일부를 정확히 접도록 더 높은 제어/정밀도를 가하여 용기 내부/중앙으로 꼭지점 접기 향상
- 2단계: 2단계의 전체 절차 중, 그립을 잡고 있는 한 쌍의 그립이 꼭지점(꼭지점/모서리에 인접한 측면)의 일부를 놓지 않아 포장지의 일부와 접힌 꼭지점이 초기 위치에 자리잡도록 하여 초기 시작 지점/중간 지점(그립이 분리되거나 열리는)으로 되돌아올 때(선형/회전식 실린더와 같은 기계식 방식을 사용한 활성화), 꼭지점으로 이동하여 양측을 가진 사각형/직사각형 형태의 기본 용기와 같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C- 기본 용기에 맞물리는 구멍을 만들어 2면의 기본 용기가 3D 용기로 변형되는 절차, 기본 용기를 3D 형태로 만들 뿐 아니라 플랩/삼각형 몸체를 만든다.
1단계:
기본 용기를 한 쌍의 그립/충격체 사이로 유입/위치시켜 활성화 시, 3면에서 큐빅이나 3D 구멍을 형성하면서 기본 용기의 주변 측면을 막거나 압착하도록 한다. 이러한 유도적이고 자연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진 구멍{큐빅/3D}을 고정하여 원하는 3D 형태와 여러 개의 플랩/삼각형 몸체를 얻게 된다.
단계: 다음으로, 선형/회전 실린더와 같은 이동 모드를 사용하여, 플랩/삼각형 몸체가 만들어지는 일부 면을 때리기 위해 충격체를 활성화 시키며 이러한 방식으로 1. 삼각형 몸체/플랩이 더 잘 형성되며 2. 플랩/삼각형 몸체를 조작할 수 있도록 지지 역할을 하고 충격체와 폐쇄 그립을 구성하는 일부가 되며 다음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옵션으로 플랩/삼각형 몸체1면에 1회 이상 봉합{저항기와 열원 모드나 초음파를 이용}; 생성된 가장자리{플랩/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접을 때} 일부 1면에 1회 이상 플랩/삼각형 몸체의 접기나 구부리기, 절단{칼날과 같은 절단 시스템 이용}, 다음 옵션들로 조작할 수 있다. 용기 몸체에 밀어 넣기 및 접착/결합; 용기 몸체에 봉합, 밀어 넣기 및 접착/결합, 봉합만; 절달이나 봉합/절단.
D- 2면/유체(액체 및 공기/가스)로 봉합되며 내부에 고체가 있는 기본 용기/탄성 봉투를 3D 큐브, 정사각형 프리즘, 실린더, 타원형 실린더, 불규칙 다면체와 같은 기하학적 몸체를 가진 용기로 변형하는 절차
본 절차에서, 이러한 플랩들을 만들면서 내부에 고체화 함께 유체가 포함된 기본 용기가 3D 기하학적 몸체를 갖도록 한다. 기본 용기를 q 수직 위치에 놓아 고체가 내려가게 하여 용기 윗부분/용기 상부 주변 측면에 고체 / 과립 / 분말의 여유 공간을 남기도록 한다.
다음 단계들로 절차를 구성한다.
1단계: 그립이나 한 쌍의 고정 그립을 이용하여, 기본 용기를 잡아 플랩/삼각형 몸체가 만들어진 용기 상부 주변 측면의 인접 영역을 제외한 해당 영역/부분에 고정시킨다. 기본 용기를 잡고 고정시키면서 옵션으로 용기 내부에 포장된 유체를 용기 외곽이나 용기 상부의 주변 측면으로 불어 넣기 위해 일부 면과 접한 동일한 기본 용기 내부에 지속적인 압력과 조절 가능한 완충 작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립이나 한 쌍의 밀기 그립을 추가/옵션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다음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 용기를 특정 위치에 놓거나 움직일 수 있다.
- 용기를 3D로 변형하기 전 혹은 변형하는 중 용기를 놓거나 세울 수 있다.
- 용기 내부에 포장된 유체를 용기 외곽/상부의 주변 측면으로 불어 넣을 수 있다.
밀기 그립은 다음과 같이 고정한다.
- 외부, 위/아래, 각 면에 위치한 고정 그립. 이들은 차례로 강도 조절이 가능하거나 불가능할 수 있으며 모드를 통해 말거나 말지 못할 수 있다.
- 열이나 지지 모드
- 선형 실린더의 막대나 단일 막대 회전 실린더에, 선형 고정 실린더나 회전 실린더에
- 이들이 고정되거나 움직이지 않아 이들을 활성화시키는 어떠한 실린더에도 고정시킬 수 없다.
2단계: 기본 용기 윗부분의 주변 면에서, 충격체를 사용하여 플랩/삼각형 몸체를 만들면서(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 평평한 면이나 지지 면을 만들고 이와 같이 용기의 퍼짐 효과가 발생할 때 기본 용기의 용량을 3D 기하학적 몸체로 변형시킨다.
3단계: [A], [B], [C] 장의 옵션을 선택하여 플랩/삼각형 몸체를 조작한다.
어떠한 옵션에서든, 용기가 3D 기하학적 몸체의 동일한 형태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4단계: 바로 다음, 수직 위치에서 용기를 뒤집는 방식으로, 이러한 용기를 180도(대략) 회전시켜 중력으로{따라서, 용기의 다른 주변 면에서 플랩(삼각형 몸체)을 만들고 조작하는 영역이 떨어지도록 함} 용기 내부의 고체 포장재가 아래로 떨어지게 하며 주변 측면(이전에 용기의 하부에 위치한)이 용기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2가지 다른 방식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a) 앞서 제조한, 플랩 자체의 봉합, 절단, 고정, 접이/구부림 그립 사이에 밀어 넣은 플랩(봉합되거나 되지 않은), 이러한 방식으로 플랩/삼각형 몸체를 절단하지는 않음: 이러한 그립들은 용기 쪽으로 180도(대략)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 바닥이나 하부에 위치한 측면은 이제 상부에 위치하여 플랩/삼각형 몸체를 제조/조작(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할 수 있도록 한다.
b) (a)장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과정이지만, 고정 그립으로만 용기를 180도 회전시키는 것이 다르다. 따라서 플랩을 그립 사이에 밀어 넣지 않고 한 쌍의 그립, 충격/봉합 그립, 봉합/절단 그립 만이 기계에 필요하다. 기계는 1층으로 구성된다.
- 5단계: 마지막으로, 1, 2, 3, 4 단계를 재 진행한다.
1.1 경제적 이점
- 칼날과 같은 절단 플랩(삼각형 몸체)을 위한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가 없음
- 절단된 플랩을 2면을 가진 기본 용기의 3D 변형기에 놓도록 기계를 설정할 필요가 없음
- 절단/소작된 작업자나 용기를 사용하여 플랩을 수집할 필요가 없음
- 플랩(삼각형 몸체)을 용기 몸체에 접착하기 위해 접촉 접착제, 접착제,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가 필요 없음
1.2 위생적 이점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 외곽의 경계를 정하는 영역을 절단할 필요가 없고 전체 플랩/삼각형 몸체의 절단으로 인한 구멍이나 틈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식품의 교차 오염 방지, 따라서 용기 내부에 포장된 식품이 공기/습기와 같은 다른 요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1.3 환경적 이점
- 플랩(삼각형 몸체)/스트립을 접힌 상태로 유지하거나 용기 몸체 옆에 위치시키기 위해 접착제/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접촉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 각 용기에 많은 플랩/삼각형 몸체를 절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폐기물을 적게 발생시키며 재활용 및 폐기물 수거가 간단하다.
- 큐브, 정사각형 프리즘, 실린더, 장사방형, 다면체 피라미드와 같이 구멍이나 틈 없이 확실한 3D의 탄성 용기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판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화석 연료{나무를 자르고 펄프를 추출하며 육로로 이를 운송할 필요가 없음}와 관련된 에너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감자 껍질, 올리브 씨앗에서 추출한 정교한 생물 플라스틱 물질의 사용을 장려하며 이러한 생물 플라스틱 사용으로 인한 가격 증가는 판지 비용으로 상충할 수 있다.
1.4 제품의 장점
- 스트립을 얻고 이를 접고 구부리며 절단하기 위한 플랩/삼각형 몸체의 봉합/절단 외에 플랩/삼각형 몸체의 접기/구부림 및 차후의 봉합 시스템(접히거나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 양측 모두 용기{포장된 제품을 열고 사용한 후 3D로 변형하기 때문}의 사용 수명을 확실히 보장: 변형 없는 3D 구성은 외형 및 상품의 미적 가치를 유지.
- 흔하지는 않지만, 플랩/삼각형 몸체가 있는 탄성 용기가 일부 경우에는 봉합/절단되며 다른 경우에는 용기 몸체에 접착(접촉 접착제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이 용기를 불룩하게 만들며 바닥 면이 평평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약 10% 정도는 용기 내부에 포장된 유체에서 방출된 압력으로 플랩/삼각형 몸체가 용기에서 분리된다.
1.5 제조 이점
다음 세 가지 이유로 제조 공장 내 3D로 변형된 모든 용기에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내부에 고체로 포장된 조각/영역인 플랩(삼각형 몸체)의 봉합/절단 중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 예, 상추, 칩스, 시리얼 등이 봉합되는 플랩의 양면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함. 따라서, 플랩을 1회 이상 접어 봉합함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이는 플랩/삼각형 몸체의 절단을 방지하고 또한 저온에서 더 적은 시각 동안에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 칼날 사용을 방지하여, 더욱 호환성이 높고 안전한 기계를 구현하며 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소음을 감소시킨다.
- 플랩/삼각형 몸체 사이의 교차 부분에 만들어 지는 봉합 라인을 통해 발생하는 구멍이나 틈을 방지하여, 저온, 더 낮은 강도(저온, 더 적은 시간)로 스트립과 용기 잔여 부분의 교차 라인을 봉합할 수 있도록 한다.
- 플랩/삼각형 몸체를 절단/소작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1.6 용기 개방의 장점
- 가위 없이 모든 발명품 용기를 쉽고 편리하게 열 수 있지만, 반으로 접힌/구부러지며 1회 이상 가장자리(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만들어진)에 봉합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을 당기면 이러한 봉합된 가장자리 부분으로 인해 훼손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 플랩/삼각형 몸체를 접거나 구부리는 시스템의 사용은 플랩과 용기의 몸체/잔여 부분 사이의 교차 라인이나 영역에서 만들어진 봉합 라인을 통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저온 및 짧은 봉합 시간에 이러한 용접 라인을 만들 수 있으며 봉합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제도 더 적게 사용하여 이러한 봉합 라인에 대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 스트립{플랩/삼각형 몸체를 봉합/절단할 때 만들어진}의 개방 역시 매우 쉽고 편리하며 이는 스트립에 인접한 2면의 일부를 잡고 벌리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며 스트립 주변의 용접 라인을 통해 용기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1.7 용기 안정성에 대한 장점
지지 면이 더욱 넓어지고 일관되어 용기가 더욱 안정적이 된다. 반으로 접히거나 구부러진 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가 평평하게 되고 확장되어 바닥에 더 많은 지지 면을 만들게 된다. 용기의 측면인 윙은 각 윙에 사용되는 용접 라인의 수나 너비에 따라 면적을 좁히거나 넓히고 더 낮거나 높은 강도를 가진다.
1.8 마케팅 장점
심플함, 효율성, 디자인, 쉬운 소비로 시장을 성공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혁신적인 개발품
도 1은 탄성 기본 용기를 3D 용기로 변형하는 수직 기계 부품 일부의 상승에 대한 세부 내용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상승과 같은 세부적 내용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상승과 관련된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준다.
도 4는 도 1, 2, 3의 상승과 관련된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1, 2, 3, 4의 상승과 관련된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준다.
도 6은 수직 위치에 있는 바구니 형태를 가진 탄성 용기의 상승을 바닥 면에서의 관점으로 보여준다.
도 7은 유연한 큐브 형태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8은 수직 위치에 있는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의 탄성 용기 상승을 보여준다.
도 9는 수직 위치에 있는 주전자와 유사한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10은 수평 위치에 있는 바구니와 유사한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11은 수직 위치에 있는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를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12는 탄성 큐브 형태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13은 수평 위치에 있는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를 가진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14는 수평 위치에 있는 탄성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15a는 도 11에서와 같이 용기 바닥 면에서의 동일한 관점으로 세부 내용을 보여준다. 이는 수직 위치에 있는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의 용기이다.
도 15b는 도 15a에서와 같은 용기를 보여주지만 이번에는 절단/소작(e)을 통한 추가 단계를 수행한다.
도 15c는 도 15a에서와 같은 용기를 보여주지만 이번에는 봉합 및 절단/소작한다. 이 경우, 플랩/삼각형 몸체 부분이 도 15a보다 작아진다.
도 16a는 도 15a의 용기와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주지만, 플랩/삼각형 몸체(36)를 스트립(37)로 대체한다.
도 16b는 도 15b의 용기와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주지만, 플랩/삼각형 몸체(36)를 스트립(37)로 대체한다.
도 16c는 도 15c의 용기와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주지만, 플랩/삼각형 몸체(36)를 스트립(37)로 대체한다.
도 17는 마름모꼴 피라미드 형태를 가진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18은 수평 위치에서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를 가진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19는 탄성 실린더 형태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20은 수직 위치에서 바구니 형태를 가진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주며 이는 바닥 면이 사각형이다.
도 21은 수평 위치에서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를 가진 도 13과 같이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도 1: 탄성 기본 용기를 3D 용기로 변형하는 수직 기계 부품 일부의 상승에 대한 세부 내용을 보여준다. 봉합 장치(옵션)는 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려 2부분으로 만들며 이후 접거나 구부린 플랩의 봉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각, 양면으로 기본으로 유체, 옵션으로 고체가 포함되기도 하는 기본 용기(20년 동안 시판되었으며 액체/고체 주입을 위해 수직/수평 기계로 제조한)를 이 경우에는 플랩 형태 생성을 위해 이를 잡거나 누르는 고정 그립(3){고정 실린더나 선형/회전 실린더의 구동 모드를 통해 활성화} 사이에 위치시킨다. 기본 용기의 상부에는 플랩/삼각형 몸체를 조작하는 3중 세트{중앙의 충격체(6), 좌, 우의 폐쇄 그립(8)}가 있으며 활성화된 충격체(6)는 아래쪽 및 기본 용기 상부 주변 측면 내부로 때려 플랩(36a) 2개나 삼각형 몸체(36a)가 충격체 측면 옆에 위치하도록 한다.
충격체(6){플랩을 만들기 위해 기본 용기가 충격체와 맞부딪치기 때문에 이 경우는 움직이지 않음, 반면에 이것이 움직인다면, 선형 실린더(9)나 회전 실린더 모드를 통해 활성화 됨} 측면은 이 경우 충격체 내부에 고정된 구멍(42b) 및 용접 시스템(또는 열원) 2개를 가지며 이들은 접힌 플랩 2부분의 위, 아래(위, 또는 아래에만 위치할 수 있음)에 위치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수직 위치에 있는 선형 실린더(9) 2개를 통해 이들 각각이 활성화 된다.
반면, 폐쇄 그립(8) 2개는 폐쇄 그립(8)의 활성화 시 플랩(36a)과 정확히 접촉하는 측면의 내부 구멍에 위치한 탐침(46a){이 경우에는 선형 실린더(9) 2개를 통해 활성화된}을 갖고 옵션으로 플랩을 봉합하는 탐침(46a) 위, 아래에 고정된 용접 시스템(38ae)(또는 열원) 2개를 가지며 이 경우에는 가로 방향의 직선 용접 라인이다. 또한, 용기에 일관성과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플랩과 용기 잔여 부분 사이 교차 영역의 봉합이 가능하도록 특정 높이에 옵션인 하부 열원 시스템을 배열하며 추가적으로 특정 높이에 상부 열원 시스템을 배열하며 이는 2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플랩의 접기나 구부리기에 일관성과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둘째, 플랩을 접는 이러한 용접 라인(68ae)을 생성된 가장자리 바로 옆에 만들어 후에 가장자리를 봉합할 경우, 플랩이 쉽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탐침(46a)이 활성화되고 전방을 향할 때 폐쇄 그립(8){이 경우, 선형 실런더(9)에 의해 활성화 됨}과 함께 충격체 옆에서 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를 충격체(6)의 구멍(42b) 내부로 유입시켜 플랩/삼각형 몸체를 두 부분으로 접거나 구부린다.
도면 하부에, 2면을 가진 사각형의 탄성 기본 용기가 있는 해치(10)가 있다. 이는 선형(9)/회전 실린더와 같은 이동 모드를 통해 활성화되어 정적(기본 용기에 플랩/삼각형 몸체 1, 2개 만을 만들 경우 또는 기본 용기를 180도 회전시켜 하부 주변 측면에 플랩 1, 2개를 만들 경우)/동적이 된다.
도 2: 도 1의 상승과 같은 세부적 내용을 보여주지만, 이 경우, 충격체(6)과 폐쇄 그립(8)이 플랩을 봉합(옵션)하거나 두 부분으로 반으로 접고 구부리며 이후 접고 구부린 플랩을 봉합하는 다른 시스템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들을 변경한다.
또한 3중 세트 그립(6, 8)의 충격체(6)는 이를 활성화 시키는 선형/회전 실린더 등의 막대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활성화 또는 충격체(6)를 향하는 기본 용기의 주변 측면에 닿을 수 있도록 수동 방식이나 로봇 발과 같이 자동화된 기계적 방식을 사용한 방법들 모두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조작 상 차이점과 도 1, 2, 3에 묘사된 기계 발명품의 각기 다른 요소, 장치, 부품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충격체(6) 측면(폐쇄 그립(8)에 고정될 수 있음)은 회전 실린더(16)를 통해 활성화되어 내부로 90도 회전하는 게이트(43b)와 충격체(6) 내 상부에 고정된 용접 시스템(또는 열원)(접힌 플랩 두 부분의 상부에 위치)을 2개 가지며 이 경우, 이들 각각은 수직으로 위치한 선형 실린더(9) 2개를 통해 활성화된다.
한편, 폐쇄 그립(8) 2개는 측면 내부 구멍에 위치한 탐침(46a){이 경우, 선형 실린더(9) 2개로 활성화된}을 가지며 이는 폐쇄 그립이 활성화되면(8) 플랩에 정확하게 접촉하고 옵션으로 탐침(46a) 위에 고정된 용접 시스템(38ae)(또는 열원)을 가지며 이를 통해 플랩을 직선 용접 라인의 가로 방향으로 봉합한다. 또한 옵션인 이러한 열원 시스템을 2가지 이유로 특정 높이에 배열한다: 첫째, 플랩을 접거나 구부릴 때 일관성과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둘째, 플랩을 접을 때 이러한 용접 라인(38ae)을 생성된 가장자리 바로 옆에 만들어 이후 가장자리를 봉합할 때 플랩이 쉽게 떨어지도록 한다.
충격체(6)와 폐쇄 그립(8) 조작은 다음과 같다.
플랩/삼각형 몸체를 생성하면, 플랩의 두 면 내부 포장물 배출 또는 플랩 봉합을 위해 플랩을 밀어 넣어 폐쇄 그립(8)을 활성화한다.
다음으로, 탐침(46a)의 활성화와 동시에 또는 이전에, 구멍 개봉을 위해 충격체(6)를 내부로 90도 회전시키고 탐침(46a)을 가로 방향으로 진행시켜 충격체(6)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며 동시에 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려 두 부분이 되도록 플랩의 일부를 유입시킨다.
이후, 탐침(46a)은 시작 지점으로 돌아가고 다음으로 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된 가장자리와 이러한 가장자리에 인접하거나 평행한 부분의 봉합을 위해 용접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2가지 다른 열원(39ac, 39ad)을 갖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용접 시스템(39ac, 39ad)와 폐쇄 그립(8)[탐침(46a)가 시작 지점으로 돌아갈 때도 동일]이 시작 지점으로 돌아가 이미 3D로 변형된 용기를 배출시킨다.
도 3: 도 2의 상승과 관련된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주지만, 이 경우, 대각선 위치에서 탐침(46a)을 배열하고 폐쇄 그립(8)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이 내용만 변경한다.
따라서, 기본 용기를 3D 용기로 변형시키는 수직 기계와 동일한 조작을 수행하고 동일한 요소, 장치, 부품들을 갖는다.
옵션으로 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 영역이나 라인에서 용접 라인(68a)를 봉합하는 폐쇄 그립(8) 하부에서 용접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대각선의 탐침(46)을 만든다. 따라서, 플랩을 구부리거나 접기 전 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등이 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용접 라인(38a, 38ae)를 만들 수 있다.
도4: 도 1, 2, 3의 상승과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주지만 이 경우, 봉합(옵션)이나 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려 두 부분으로 만들며 이후 접힌 플랩을 1회 이상 봉합하는 다른 시스템을 보여주기 때문에 충격체(6)와 폐쇄 그립(8)을 변경한다.
다음으로, 도 1, 2, 3에 명시된 발명 기계와 관련된 조작 상 차이 및 다른 요소, 장치, 부품 만을 설명한다.
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기 위해 충격체(6)의 측면(폐쇄 그립(8)에 고정 가능)은 기울어진 탐침(44)이나 회전 막대(45){선형 실린더(9)나 회전 실린더(1)와 같은 모드를 통해 활성화 됨}를 갖고 옵션으로 다음 옵션(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의 교차 부분, 플랩을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된 가장자리, 가장자리에 인접한 평행 부분이나 선)들을 봉합하도록 정확한 높이에 설정된 용접 시스템(68bc)(또는 열원)을 갖는다.
옵션으로, 이전 문장에서 명시된 동일한 특성을 가지도록 폐쇄 그립(8)을 용접 시스템(38a)(또는 열원)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옵션인 이러한 용접 시스템/열원을 2가지 이유로 특정 높이에 설정할 수 있다. 첫째, 플랩을 접거나 구부릴 때 일관성과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둘째, 플랩을 접을 때 용접 라인(68ae)을 생성된 가장자리 바로 옆에 만들어 이후 가장자리 봉합 시 플랩이 쉽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충격체(6)와 폐쇄 그립(8)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플랩/삼각형 몸체를 만들 때, 플랩의 두 면 내 포장물을 배출하거나 플랩을 봉합하도록 플랩을 밀어 넣어 폐쇄 그립(8)을 활성화시킨다.
다음으로 탐침(46a)의 활성화와 동시에 혹은 이전에, 구멍 개방을 위해 게이트(43b)를 충격체(6) 내부로 90도 회전시키고 탐침(46a)이 수평으로 전진하여 충격체(6)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려 두 부분으로 만들기 위해 플랩의 일부를 유입시키도록 한다.
이후, 탐침(46a)이 시작 지점으로 돌아오며 다음으로 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된 가장자리 봉합을 위해 용접 시스템을 활성화시켜 2가지 다른 열원(39ac, 39ad)을 갖도록 한다. 또한, 원하는 mm 단위의 거리로 이러한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평행한 영역인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2방향 이상 등)들을 분리시킨다.
마지막으로 용접 라인(39ac, 39ad) 모두와 폐쇄 그립(8)[탐침(46a)이 시작지점으로 돌아올 때도 동일]이 시작 지점으로 돌아오면 이미 3D로 변형된 용기를 배출시킨다.
도 5: 도 1, 2, 3, 4의 상승과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주지만 플랩을 봉합(옵션)하거나 반으로 접거나 구부려 두 부분으로 만들고 이후 접힌 플랩을 봉합하는 플랩/삼각형 몸체의 다른 조작 시스템을 보여주기 때문에 충격체(6)와 폐쇄 그립(8)을 변경한다.
다음으로 조작 상 차이 및 도 1, 2, 3에 명시된 발명품 기계와 관련된 다른 요소, 장치, 부품 만을 설명한다.
이 경우, {충격체(6) 하부 면에서 기본 용기 측면을 타격하는} 플랩/삼각형 몸체 2개를 충격체(6) 좌, 우 면에 만드는 3중 세트 그립(6, 8)만을 보여준다. 반면, 이러한 특정 사례에는 봉합 시스템{이 경우는 저항기(40a, 40b)}과 절단 시스템{이 경우는 칼날(41a, 41b)}을 통해 각 플랩에서 스트립(37 도 13)을 얻기 위해 좌측에서 충격체(6)와 폐쇄 그립(8)의 우측 면에 고정한 장치가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장치는 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의 교차 영역과 서로 평행하고 분리된{용접 라인 (1)이 각 플랩의 세로 절반을 통해 이어져 충격체(6)의 측면과 접촉하는 곳까지} 세로 방향의 직선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사선, 오목/볼록 반원, 2개 이상의 방향 등 가능)에서 가로 방향 직선 형태의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2개 이상의 방향, 오목/볼록 반원 등이 가능)을 가지며 가로 용접 라인과 결합하여 90도 각도를 형성한다.
도 6: 수직 위치에 있는 바구니 형태를 가진 탄성 용기의 상승을 바닥 면에서의 관점으로 보여주며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 면을 갖는다.
봉합이나 반으로 접기, 플랩/삼각형 몸체의 봉합을 위한 발명 장치의 사용과 관계 없이 발명과 관련 없는 다른 절차나 기계를 통해 용기를 만드는 반면 3D 형태로의 변형에 사용되는 기본 용기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는 위(1), 아래(1) 용접 라인 2개를 가진 튜브 형태이며 추가적으로 더 짧은 길이의 주변 측면에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 2개 만을 만든다.
- 바구니 용기 밑면의 좌, 우에서, 바닥면(36b)으로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접은 후 영역 또는 평행, 인접한 라인을 직선 용접 라인(2b)[충격체(6)로 생성]을 통해 가장자리(d){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만들어 지는}에 봉합(개별적으로, 이 경우는 약 2mm)한다.
- 용기 상부에는 플랩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용기를 여는 용접 라인(1)만 있다.
도 7: 유연한 큐브 형태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3D로의 변형에 사용되는 기본 용기는 사각형 형태이며 이 경우는 용접 라인 3개를 갖는 배게 유형이다. 2개는 평행{위(1), 아래(1)}하고 1개는 이전 라인{전면/후면 중앙}에 세로/수직(4) 이다. 또한, 플랩을 4개 만든다. 더 짧은 길이의 주변 측면 2개에 플랩 2개씩
- 큐브 형태 용기 상부 면의 좌, 우측에서, 측면(36a)으로 플랩(삼각형 몸체)을 구부(반으로)린 후 직선 용접 라인(2a)[폐쇄 그립(8)로 생성]으로 가장자리를 봉합(c){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한다.
- 이러한 규브 형태 용기 바닥 면의 좌, 우측에서, 바닥면(36b)을 향해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를 구부린 후 직선 용접 라인(2b)[충격체(6)에 의해 생성]으로 가장자리를 봉합(c){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한다.
도 8: 수직 위치에 있는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의 탄성 용기 상승을 보여준다.
3D로의 변형에 사용되는 기본 용기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이 경우는 용접 라인을 3개 가진 베개 유형(칩스를 담은 용기)이다. 2개는 평행{위(1), 아래(1)}이며 1개는 이전 라인에 세로/수직(4)(전면이나 후면의 중앙)이다. 또한 플랩을 4개 만든다. 더 짧은 주변 측면 2개에 플랩 2개.
- 직사각형 프리즘 용기 상부 좌, 우측면에서, 다음 단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플랩과 용기 몸체 교차 영역에서 용접 라인(2b)[충격체(6)를 통해 생성, 측면에 고정된 용접 시스템 보유]으로 플랩/삼각형 몸체(36a)를 봉합, 2. 이러한 평행한 라인을 통해 측면으로 봉합된 플랩(2b)을 접고(반으로) 용접 라인(2b)에서 7mm 정도 분리, 3. 직사각형 용접 라인(2b)[충격체(6)를 통해 생성]으로 가장자리(c){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를 봉합
- 직사각형 프리즘 용기 밑면 좌, 우측에서 플랩을 봉합(2af)(각 면에서)하여 스트립(37a)을 생성 후 측면(37a)으로 각 스트립(37)을 접고(반으로) 다음으로 직선 용접 라인(2a)[폐쇄 그립(8)을 통해 생성]을 통해 가장자리를 봉합(2ac){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한다.
- 상부에서, 커버(48)를 생성한 후 수직선(2){플랩과 용기 몸체 교차 부분} 2개와 가장자리(3) 좌, 우측에서 다음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사선, 오목/볼록 반원, 2 방향 등)으로 용기를 개방하여 가장자리를 따라 플랩을 떼어낸다.
도 9: 수직 위치에 있는 주전자와 유사한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발명품과 관련 없는 다른 절차나 기계로 용기를 생성하거나 발명 절차로 생성하며 3D로의 변형에 사용되는 기본 용기는 직사각형 형태를 지닌다. 이 경우, 위(1), 아래(1) 용접 라인 2개를 갖는 튜브 유형이다. 또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3개 생성한다. 플랩 2개는 하부 짧은 길이의 주변 측면, 플랩 1개는 상부 짧은 길이 측면
- 이러한 주전자 용기 상부 좌측에서, 측면(36a)으로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1회 이상 반으로(원하는 높이에서) 접거나 구부린 후 직선 용접 라인(2a)[폐쇄 그립(8)으로 생성]으로 꼭지점(c){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을 봉합한다.
- 이러한 항아리 용기 밑면 좌, 우측에서 플랩과 용기 몸체 교차 부분의 용접 라인(2a)[폐쇄 그립(8)을 통해 생성, 측면에 고정된 용접 시스템을 가짐]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에 봉합된 플랩(36)을 생성하고 다음으로 이러한 용접 라인(2a)과 플랩/삼각형 몸체 잔여 부분의 교차 라인을 따라 용기 측면으로 봉합된 플랩(2a)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다. 마지막으로 직선 용접 라인(2a)[폐쇄 그립(8)을 통해 생성]으로 가장자리(c){플랩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를 봉합한다.
도 10: 수평 위치에 있는 바구니와 유사한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3D 변형에 사용되는 기본 용기는 수평 위치에서 직사각형 형태를 지닌다. 이 경우, 위(1), 아래(1)에 용접 라인을 2개 가진 튜브 유형이며 더 긴 주변 측면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를 2개 생성한다. 다음으로, 좌, 우측에 대한 삼각형 구성 부분 2개를 봉합하고 각 플랩에 따라 절단하며 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 교차 부분에서 직선 용접 라인(2)을 따라 봉합(2b/f)하여 스트립(37)을 얻게 된다. 이 경우 스트립 역시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용접 라인 2곳에서 서로 떨어져 생성 전, 후의 면에 의해 봉합(용접 라인 1, 2개로 전체의 3/4)(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2 방향 등)되기 때문에 아치 형태가 된다. 봉합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영역은 정확한 직사각형 형태로 남게 된다.
따라서, 바구니 용기 밑면 좌, 우측에서, 플랩의 각 면에 스트립(37)을 생성한다.
- 바구니 용기 상부에서, 용기를 정확히 개방하는 용접 라인을 만든다.
도11: 수직 위치에 있는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를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3D 변형에 사용되는 기본 용기는 수직 위치에서 직사각형 형태를 지니며 이 경우는 용접 라인을 3개 갖는 베개 유형이다. 2개는 평행{위(1), 아래(1)}하며 1개는 이전 것{전면/후면 중앙}에 세로/수직(4)이다.
또한, 플랩을 4개 생성한다. 하부 짧은 길이 주변 측면 플랩/삼각형 몸체에 2개, 상부 짧은 길이 주변 측면에 2개. 이후 플랩/삼각형 몸체를 봉합(2af)하여 스트립(37)으로 변형시킨다.
- 상부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스트립(37a), 스트립 역시 양측 측면에 위치시키며 한 측면을 통해 좌측에 위치시키는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2 방향 등) 2개 사이에서 봉합(전체의 3/4, 용접 라인으로 서로 분리)하기 때문에 이 경우는 아치이다. 내부가 아닌 스트립(37) 주변 측면에 위치한 영역(2a/f)만 봉합하기 때문에 직사각형 위치에 있다. 또한, 플랩/삼각형 몸체(36)와 용기 몸체(2a) 사이 교차 지점에 용접 라인을 갖는다.
- 이러한 직사각형 프리즘 용기 밑면 좌, 우측에서, 용기 측면(36a)으로 플랩(삼각형 몸체)을 접는다(또는 1회 이상 반으로 구부린다). 이후 직선 용접 라인(2a/d)[폐쇄 그립(8)으로 생성]으로 평행하고 인접한 영역을 봉합(별도로, 이 경우, 가장자리(d)의 약 4mm에서){플랩으로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한다.
- 상부에서, 2개{{2a/37a, 내부 포장 제품 제공}}로 용기를 개방한다.
도 12: 탄성 큐브 형태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3D 변형에 사용되는 기본 용기는 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는 용접 라인을 3개 갖는 베개 유형이다. 평행한 2개{위(1), 아래(1)} 이전 것{전면/후면 중앙}에 세로/수직(4). 또한 기본 용기에 플랩/삼각형 몸체를 4개 생성한다. 주변 측면 1곳에 플랩/삼각형 몸체2개, 전면 주변 측면에 평행한 주변 측면에 플랩 2개.
- 이러한 큐브 형태 용기 상부 좌, 우측에서, 플랩/삼각형 몸체(각 면에서)를 봉합(2af)하여 스트립(37a)을 생성하고 이후 측면(37a)으로 각 스트립(37)을 접는다(반으로). 그 다음 직사각형 용접 라인(2a)[폐쇄 그립(8)으로 생성]으로 가장자리를 봉합(c){플랩/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생성}한다.
- 큐브 형태 용기 상부 좌, 우측에서, 측면(a)으로 플랩/삼각형 몸체(36)를 접는다(반으로). 이후 직선 용접 라인(2a/d)(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2개 방향 등)[폐쇄 그립(8)으로 생성] 2개로 평행하게(이들 사이를 떨어뜨려, 이 경우 약 4mm) 봉합한다. 그 결과 플랩/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접거나 구부려 생성된 가장자리에 평행하고 인접(d)(분리, 이 경우, 약 3mm)하게 된다.
-
측면에서, 용접 라인(2af / 37a) 2개 중 하나로 용기를 개방한다. 내부에 포장된 제품을 빼낼 수 있다. 옵션으로, 이러한 용접 라인(2af/37a) 개방 전, 이후 용기 개방이 가능하도록 가장자리(2ac)에서 스트립(37a)을 떼어낼 수 있다.
도 13: 수평 위치에 있는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를 가진 탄성 용기의 상승
3D로 변형되는 기본 용기는 가로 방향의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는 베개 유형으로 용접 라인을 3개 갖는다. 평행한 2개(위(1), 아래(1), 이전 것에 세로/수직(4)){전면이나 후면 중앙}.
또한 플랩을 4개 만든다: 긴 주변 측면 2곳에 플랩 2개씩.
이러한 직사각형 프리즘 용기 상부 좌, 우측에서, 세로 영역 주변 봉합(2af, 2bf)과 절단을 통해 플립(또는 삼각형 몸체)에서 스트립(37)을 만들고 양 측/생성 전, 후 일부 면의 측면에 배치하는 2개의 용접 라인 사이(직선, 대각선, 2개 방향, 오목/볼록 반원, 톱니 등)에서 스트립을 봉합(전체의 3/4, 각각에서 분리된 용접 라인을 통해)하여 플랩/삼각형 몸체의 중앙을 아치로 만든다.
- 직사각형 프리즘 용기 밑면 좌, 우측에서, 측면으로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구부린(절반으로) 다음 직선 용접 라인(2a)[폐쇄 조(8)를 통해 생성]으로 가장자리(c){플랩의 접기나 구부림으로 생성}를 봉합한다.
- 상부에서, 다음 용접 라인으로 용기를 개방할 때 커버(48)를 만든다. 직각(2af, 2bf){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의 교차 영역에서}인 좌, 우측 용접 라인 2개(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등이 가능)와 가장자리(3). 이와 같이 생성된 캡(48)도 특히 상부의 다른 평행한 가장자리(3)를 봉합하면 바깥쪽으로 당겨 완전한 분리가 가능하다.
도14: 수평 위치에 있는 탄성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또한, 옵션으로, 캡을 상부 면에 접착/고정 시킨다.
3D로 변형되는 기본 용기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이 경우는 위(1), 아래(1)에 용접 라인을 2개 갖는 튜브 유형이다. 게다가, 기본 용기 내에 플랩/삼각형 몸체 4개를 생성한다. 긴 주변 측면 1곳에서 플랩/삼각형 몸체 2개, 이전 것과 평행한 더 긴 길이의 주변 측면에서 다른 플랩 2개.
- 상부 좌측에서는 플랩/삼각형 몸체를 1회 이상 반으로 구부리거나 접지 않지만 플랩과 충격체(6) 사이의 교차 영역에서 직선 용접 라인(2a)으로 이를 봉합한다
- 상부 우측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는 측면(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지 않은)을 향하는 아치가 되지만 포장재의 플라스틱은 약 30미크론의 두께를 가진 복합 물질이며 직선 용접 라인(2a)(대각선, 오목/볼로 반원 가능, 플랩과 충격체(6) 등의 교차 부분에 존재, 평행하거나 이전 것과 2mm 정도 떨어짐) 2개로 봉합하기 때문에 용기 몸체와 결합시키지는 않는다. 10mm 이상 너비의 용접 라인을 만들 경우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아치 모양이 덜하다.
- 본 용기 밑면 좌, 우측에서, 바닥 면(b)을 향해 플랩/삼각형 몸체(36)를 1회 이상 반으로{장치 A} 접은 후 직선으로 평행한 용접 라인(대각선, 사선, 오목/볼록 반원) 2개로 봉합한다. 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 교차 부분에 하나(2a/c[충격체를 이용하여 만듦])와 다른 하나(2b/d)[폐쇄 조(8)를 이용하여 만듦], 가장자리(c){플랩을 반으로 구부리거나 접어서 만듦}에 평행하고 인접함, 둘 다 분리되며 이 경우는 약 2mm 정도.
- 본 용기 밑면의 좌, 우측에서, 1. 용접 라인2개 (2a){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2방향, 톱니 등}[폐쇄 조(8)로 만듦, 측면에 고정된 용접 시스템 보유]를 통해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봉합된 플랩(36)을 만든다. 분리된 이전 것에 평행하고 인접, 이 경우, 약 2mm 정도.
이후 2번째 용접 라인과 플랩/삼각형 몸체 잔여 부분 사이 교차 라인에 있는 용기 측면으로 이러한 봉합 플랩(2a)을 1회 이상 반으로 접으며 마지막으로 직선 용접 라인(2b/c)[충격체(6)를 이용하여 만듦]으로 가장자리(c){플랩을 접거나 구부려 만듦}를 봉합한다.
도 15b: 도 15a에서와 같은 용기를 보여주지만 이번에는 절단/소작(e)을 통한 추가 단계를 수행한다. 이 경우, 직선 용접 라인(2a/d)에 3mm 정도 떨어진 평행하고 인접한 영역/라인. 이에 따라 공간을 만들어 내는 방식으로 생성한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의 분리 영역을 얻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 면에서 플랩을 반으로 접는 경우에도 더욱 안정 적인 패키지를 만들 수 있다.
도 15c: 도 15a에서와 같은 용기를 보여주지만 이번에는 봉합 및 절단/소작한다. 이 경우, 플랩/삼각형 몸체 부분이 도 15a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플랩/삼각형 몸체를 봉합(2e)하고 절단하는 직선 용접 라인을 용접 라인(2a/d)에 평행하고 인접하지만 약 6mm 정도 떨어지게 만든다.
도 16a: 도 15a의 용기와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주지만, 플랩/삼각형 몸체(36)를 스트립(37)로 대체한다.
도 16b: 도 15b의 용기와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주지만, 플랩/삼각형 몸체(36)를 스트립(37)로 대체한다.
도 16c: 도 15c의 용기와 동일한 세부 내용을 보여주지만, 플랩/삼각형 몸체(36)를 스트립(37)로 대체한다.
도 17: 마름모꼴 피라미드 형태를 가진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발명에 적합한 방식으로 용기를 만든다. 3D 형태로의 변환을 위해 분리한 기본 용기는 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이 경우, 주변 인접 측면에 플랩을 1개만 만들 뿐 아니라 각 면에 꼭지점을 4개 갖는다.
- 1) 1회 이상 반으로 구부리거나 접기 전 용접 라인 2개(2a36b){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등}[폐쇄 조(8)로 만듦, 측면에 고정된 용접 시스템 보유]로 바닥의 플랩(36a)을 봉합한다. 한 개는 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2a)에 있으며 다른 한 개(2a/d)는 이전 것에 평행하고 인접하며 이 경우 둘 다 3mm 정도 떨어져 있다.
이후, 두 번째 용접 라인(2a/d)과 플랩/삼각형 몸체 잔여 부분 사이의 교차 라인에 있는 용기 측면으로 이러한 봉합 플랩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고 마지막으로 직선 용접 라인(2a/ c)[충격체(6)로 만듦]으로 가장자리{플랩의 구부리기나 접기로 만듦}를 봉합한다.
- 세로 주변 외곽선과 이러한 3D 용기 절반에서, 기본 용기 주변 측면 4곳에서 만든 용접 라인(1)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 수평 위치에서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를 가진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용기는 도 13과 같지만 여기서는 개구부 상부의 뚜껑(48)을 보여준다. 이 경우, 뚜껑(48)을 용접 라인 3개로 개방하였다(다른 상부 가장자리도 봉합하면 완전한 개방도 가능하다). 반대 면과 플랩/삼각형 몸체를 봉합/절단할 때 만들어진 용접 라인 2개(2a/f/37, 2b/f/37)로 상부 교차 부분에서 만든 가장자리(3)
뚜껑(48)을 여는 방법은 상부에서 우측(2b/f/37){한 쪽만 봉합, 이 경우 우측(b)이나 바깥쪽(용기가 수평 위치에 있을 경우)}으로 이어지는 용접 라인은 이러한 용접 라인을 열기 위한 것이므로 상부에서 좌측(2a/f/37){우측 면만 봉합}으로 이어지는 양쪽 용접 라인 인접 면{반대 방향을 향하는}에 2~3 손가락을 대고 바깥쪽 및 반대쪽으로 당기는 것이다. 다음으로 커버(48)를 당겨 가장자리 용접 라인(3)을 연다.
도 19: 탄성 실린더 형태 용기의 상승을 보여준다.
3D로 변형되는 기본 용기는 직사각형 형태이며 이 경우는 위(1), 아래(1) 용접 라인을 2개 갖는 튜브 유형이다. 게다가, 연결 면에서 반 원통형 오목이나 반 원통형 볼록으로 충격체(6)와 폐쇄 조(8)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삼각형 플랩/몸체를 아치 형태로 만들이 위해 서로를 결합시켜 조립(다른 면 내에 한쪽 면 유입)하는 반원 설정으로 플랩/삼각형 몸체 4개(2개는 짧은 길이 주변 면에 그리고 다른 2개는 이전 것과 평행한 짧은 길이의 다른 면에 2개)를 만든다.
상부에서, 용기 몸체에 플랩/삼각형 몸체 교차 면의 용접 라인{1개는 외부(2ag)에 위치 및 상부 뒤쪽 내부(2bg)}으로 완성된 삼각형 플랩/몸체 2개를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기 전 우선 봉합하고 두 번째로 용기 측면(외부)으로 반으로 접으며 세 번째로 플랩/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접을 때 만들어지는 가장자리 영역에서 용접 라인({하나는 전면에 있는 더 넓고 외부(2acg)에 위치, 다른 하나는 뒤쪽에 있으며 더 좁고 내부(2bcg)에 위치}을 따라 다시 봉합한다.
하부의 반원 구성에서 만들어진 삼각형 플랩 / 몸체 2개를 먼저 용기 바닥을 향하도록(내부) 반으로 접고 두 번째로 플랩/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접을 때 만들어 지는 가장자리(c)에서 용접 라인(2beg)을 따라 봉합한다.
또한, 가장자리{플랩 / 삼각형 몸체를 접는 면 2곳의 교차 영역에 만든}를 따라 상부 플랩을 떼어내면, 용접 라인(2a/g/36a, 2b) /g/36b)을 열어(이러한 용접 라인에 인접한 각 면 바깥쪽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개구부를 만든 후 상부에서 만든 캡을 위쪽으로 잡아당겨 떼어내거나 분리한다.
도 20: 수직 위치에서 바구니 형태를 가진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주며 이는 바닥 면이 사각형이다.
3D로 변형되는 기본 용기는 직사각형 형태이고 이 경우는 위(1), 아래(1)에 용접 라인을 2개 갖는 튜브 유형이다. 짧은 길이 주변 측면 가장자리에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2개만 갖는다.
- 바구니 용기 밑면 좌측에서, 12mm 너비로 만든 플랩 /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 내 직선 용접 라인으로(대각선, 사선, 오목/볼록 반원도 가능)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먼저 봉합(2b)하고 두 번째로 바닥을 향해 플랩 / 삼각형 몸체를 1회 이상 반으로 접는다. 플랩 / 삼각형 몸체와 플랩 / 삼각형 몸체와 용기의 교차 영역에서 만든 이전 용접 라인의 교차 영역을 따라 정확하게 접는다.
마지막으로, 직선 용접 라인 2개(대각선, 사선, 반원(오목/볼록) 가능)로 반으로 접은(저항이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하여) 평행하고 서로 떨어지도록 플랩 / 삼각형 몸체를 봉합한다. 가장자리 용접 라인(2b/c/36b)와 이전 것에 인접한 직선 용접 라인(2b/d), 이 경우에는 용접 라인(2b)의 중앙에 위치.
- 바구니 용기 밑면 우측에서 먼저 한 개(2a)는 플랩 /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의 교차 영역에, 다른 한 개(2a/e)는 이 경우 다른 것에 2mm 정도로 평행하게 떨어진 직선 용접 라인 2개(대각선, 사선, 오목/볼록 반원 가능)로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봉합하고 두 번째로 플랩 / 삼각형 몸체를 정확하게 플랩 / 삼각형 몸체와 이전 용접 라인(2a/e)의 교차 영역을 따라 바닥을 향하게 1회 반으로 접는다.
마지막으로, 반으로 접은(저항이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사용하여) 플랩/삼각형 몸체를 이 경우 용접 라인(2b) 중앙에 위치한 서로 평행하게 분리된 가장자리 용접 라인(c)과 직선 용접 라인(d)의 직선 용접 라인 2개(대각선, 사선, 반원(오목/볼록) 가능)로 봉합한다.
-여기서 용접 라인(c)와 (d)를 만들 때 용기가 더욱 안정되고 플랩 / 삼각형 몸체가 바닥에 더 가까워지도록 하는 삼각형 플랩 / 몸체를 플랩 / 삼각형 몸체의 다른 면으로 서로 접거나 구부리는 작은 부분 외에 용기 하부 양측에서 처마가 되는 넓은 가장자리 2개를 남겨 둔다.
- 용기 상부에서는 플랩을 만들지 않으며 용기를 개방하는 용접 라인(1)만 있다.
도 21: 수평 위치에서 직사각형 프리즘 형태를 가진 도 13과 같이 탄성 용기의 상승을 보여주지만 이 경우, 플랩 /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의 교차 영역에서 상부에 만든 플랩/삼각형 몸체 2개를 봉합(2)하고 절단(2h)한다.
따라서, 본 도면은 모든 탄성 용기에서 본 발명의 절차나 장치에 명시된 바와 같이 플랩 / 삼각형 몸체를 조작하는 방법 외에 비록 이러한 절차가 용기나 포장된 제품의 보존에는 효율적이거나 안전하지 않더라도 봉합(2)이나 봉합/절단(2h)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플랩 / 삼각형 몸체를 다룰 수 있는 동일한 포장재 내에서도 이들이 가능하다는 것에 대한 예시가 된다.
다음은 삼각형 몸체/플랩(36)을 조작하는 다른 방식 외에 예시(도 9)와 같이 용기를 사용한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1- 이 경우, 예시와 같이, 내부에는 칩스와 공기 / 보호 공기(용기를 팽창시킴, 다른 기능 없음)가 있는 튜브 형태{봉합된 사각 용기 2개: 2개는 가로 방향으로 위, 아래로 평행}로 2면을 가진 탄성 기본 용기로 시작하며 플랩/삼각형 몸체 3개를 기본 용기 내에 만들기 위해 1회 반으로 접어 이를 항아리(도 9 참조)와 비슷한 형태를 가진 3D 용기로 변형시킨다.
절차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1단계
기본 용기를 감지하여 이를 체결이고 차단(플랩을 만들 때 용기의 팽창이 가능하도록 하는 완충 작용과 함께 압력 배출)하며 기본 용기의 더 큰 면에서 이러한 체결 조 3개(3)에 변함 없이 완충된 압력(3D의 기하학적 몸체가 될 때 용기 팽창이 가능하도록)을 유지하기 위해 조(3){체결 실린더나 선형 실린더/회전과 같은 운전 모드로 운영되는}를 작동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센서 모드(광학, 적외선, 모션 등) 이후 해치 위와 한 쌍의 체결 조(3) 사이에 용기가 위를 향하도록 놓는다.
2단계
기계에서 선형/회전 실린더로 구동하는 옵션인 해치(10)를 분리시킨 후 두 가지를 활성화 시킨다.(사각형 용기의 각 측면 주변을 3D로 변형시키는 한 가지) 충격체(6){다음 옵션의 선택이 가능: 2중 세트(충격체 1개와 폐쇄 조, 기본 용기 각 모서리를 위함), 3중(충격체 1개와 폐쇄 조 2개) 측면으로, 기본 용기 각 측면 주변을 위함, 4중 세트(측면에서 체결 실린더 1개와 체결 조 2개로 연결된 충격체 2개)} 각 충격체 2개의 충돌을 위해 선형/회전 실린더와 같은{이 경우, 충격체를 평행하게 위치 시킴(한 개는 위에, 다른 것은 모서리를 4개 가진 기본 사각형 용기의 평행한 주변 측면 2개 아래에)} 이동 모드 이용한다. 이 경우, 기본 용기 주변 측면의 중앙에서: 한쪽에서는 충격체(각 충격체에 플랩 2개) 반대 면과 평행하며 각각이 측면 주변 끝 부분에 위치한 플랩(삼각형 몸체) 4개를 만들고 다른 한쪽에서는, 기본 포장재가 3D 기하학적 구조의 원하는 형태를 얻게 된다. 용기 팽창(또는 3D 형태의 부피 재분배)을 위해 또한, 이와 동시에 이미 3D로 변형된 용기를 유지하거나 잠귀 두기 위해, 이 경우에는 플랩을 4개 만들기 때문에 큐브 형태를 갖도록 하기 위해 체결 조(3)는 열리지만 용기 내부에는 압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3단계
이후, 선형/회전 실린더와 같은 이동 모드로 폐쇄 조(8) 4개[각 플랩/삼각형 몸체에 한개]를 운영하며 충격체와 폐쇄 조 사이에 끼일 경우 이들을 밀어 넣기 때문 만들어진 플랩과의 접촉, 충격체(6) 측면에 결합, 플랩의 고정 / 차단, 액체 / 반죽이나 공기 / 가스와 같은 내부 포장물을 분출하기 위해 이들이 충격체(6) 측면에 평행하게 위치하게 한다.
4단계
바로 플랩/삼각형 몸체를 조작한다.
예시와 같은 본 단계의 설명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를 3개만 만드는 도 9를 참조한다.
다음과 같다(도 1, 2. 3, 4의 장치 참조).
- 용기 면이나 바닥 좌, 우측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를 2개 만든다.
우선, 이러한 특정 사례(38a, 38b, 38ac, 38bc, 38ae, 38be)에서는 폐쇄 조(8)나 충격체(6)의 측면에 고정된 용접 시스템의 각 모드나 열원(38a, 38ae)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용접 라인(대각선, 반원 가능)으로 원하는 높이에서 봉합한다. 따라서, 이는 플랩 /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 / 잔여 부분의 교차 영역이나 라인(39a) 또는 돌기 위 영역이나 라인에 위치한다.
플랩을 접기 전 만들어 지거나 만들어지지 않은 용접 라인은 특히 장치[c]의 경우 플랩을 반으로 구부리거나 접어서 만든 가장자리를 통해 플랩/삼각형 몸체의 찢김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용접 라인(38a)이나 마지막 용접 라인(38a)과 플랩/삼각형 몸체의 잔여 부분 사이의 교차 영역을 따라 플랩을 정확히 접거나 구부리며 이는 가급적이면 플랩을 접거나 구부리기 전 용접 라인(38a)을 통해 한 번 그리고 플랩/삼각형 몸체를 구부리거나 접은 후 만든 가장자리 용접 라인을 통해 두 번 봉합하기 때문이다.
모든 용접 라인(예: 도 2a, 2b, 2a/c)은 mm 단위(1; 2; 3; 4; 5; 6; 7; 8; 9; 10 등)로 너비와 길이를 표시한다.
2. 각 플랩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다[도 1, 2, 3(42, 43, 46); 도 4(38a)(16, 44, 45)].
다름으로, 플랩(36)이나 삼각형 몸체(36)를 접거나 구부리는 다른 세 가지 방법을 보여준다.
장치 A: (도 1)
완성이 될 경우, 플랩 / 삼각형 몸체(완성되지 않을 수 있음)와 폐쇄 조(8)의 첫 번째 봉합을 충격체(6) 옆에 위치시켜 1개 이상의 돌기(46a){직선 실린더(9)와 같은 이동 모드로 조작, 이 경우 역시 폐쇄 조 내부에 고정됨}가 구멍(42b)에 들어갈 수 있도록 일정 거리만큼 앞으로 나아가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를 구멍으로 넣어 플랩/삼각형 몸체의 2면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다.
다음으로 돌기(46a)를 시작 지점으로 되돌린 후 용접 시스템이나 열원을 활성화 시킨다(선형 실린더(9)나 회전과 같은 이동 모드로 조작, 이 경우, 접은 플랩 위, 아래의 충격체(6) 내부에 고정). 하지만 이 경우, 두 가지를 고정시킨다: 직선 용접 라인(반원, 대각선, 사선 가능) 영역(플랩/삼각형 몸체의 전체 가로 영역에 있는)을 봉합하고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접을 때 만든 가장자리에 평행하도록[특정 거리에서는 수직이 될 수도 있음] 하는 더욱 외부에 위치한 위의 것(39ad)과 플랩/삼각형 몸체를 구부리거나 반으로 접을 때 만들거나 동일한 가장자리가 될 수도 있으며 결국에는 가장자리(c)에 인접한 영역이나 라인 부분의 가장자리에서 직선 용접 라인(반원, 대각선, 사선 등이 가능) 부분(플랩/삼각형 몸체의 전체 가로 영역 내)을 봉합하는 더욱 내부에 위치한 아래 것.
장치 B: (도 2와 3)
충격체 (6) 옆에 위치한 플랩 / 삼각형 몸체와 폐쇄 조(8)의 첫 번째 봉합을 완성하면(완성하지 못할 수도 있음), 이와 동시에(또는 게이트 먼저) 이들을 활성화 시킨다: 이 경우, 가로 위치(46afig2)에서 열고(선형 실린더(9)나 회전 실린더와 같은 이동 모드 이용) 충격체나 폐쇄 조(6)외부 에서와 같이 내부에서도 고정할 수 있는 게이트(43b)와 돌기(46a){선형 실린더(9) 와 같은 이동 모드로 조작, 또한 폐쇄 조(8)와 충격체(6) 모두의 내부에 고정 가능}. 또한 이는 대각선이 되어 구멍(42b){열린 게이트(43)을 통해 만든}에 들어가기 위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플랩/삼각형 몸체(36)의 2개 부분을 접거나 구부리는 부분의 구멍(42b)으로 유인할 수도 있다.
이후 돌기(46a)를 시작 지점으로 되돌리고 그 즉시 용접 시스템이나 열원을 활성화 시킨다[도 2, 3(39ac, 39ad)]{접은 플랩의 위, 아래에 고정이 가능한 선형(9)이나 회전 실린더와 같은 이동 모드로 조작하며 충격체(6)와 폐쇄 조(8)에 위치: 플랩(39ac)의 접기와 가장자리(c)에 인접한 영역/라인 부분(전체 가로 영역 내)과 평행한(원하는 거리에서 수직이 될 수도 있음) 직선 용접 라인(반원, 대각선, 사선 가능)의 봉합(39ad)으로 만든 가장자리 부분의 봉합을 위해.
장치 C: (도 4)
충격체(6) 옆에 위치한 플랩/용기 몸체와 폐쇄 조(8) 사시의 가로 혹은 교차 영역이나 라인 부분에서 삼각형 플랩/몸체의 첫 번째 봉합(2a, 38a)을 완성하면(완성하지 못할 수도 있음), 플랩을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여유 공간을 위해 폐쇄 조(8)가 시작지점으로 돌아온다.
그 다음, 아래쪽으로 회전(16)하고 180도로 플랩의 측면을 향하는 회전 막대(45b)나 60도로 하향 이동하는 기울어진 돌기(44b)의 밀기 모드를 통해 플랩을 두 부분으로 접기 위해 충격체(6) 측면 옆에 위쪽을 향한 삼각형 플랩/몸체가 아래를 향하도록 한다. 이 모두는 선형 실린더(9)나 이것의 회전(16)과 같은 이동 모드로 조작한다.
이와 같이, 접기나 플랩 접기 전의 용접 라인(38a)과 접기나 접은 플랩/삼각형 몸체 후 가장자리(38bc)의 용접 라인을 이용한 두 번 봉합으로 플랩을 구부리거나 반으로 접을 때 만든 가장자리를 통한 플랩/삼각형 몸체의 찢어짐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용접 라인(38a) 바로 위나 마지막 용접 라인(38a)과 플랩/삼각형 몸체의 잔여 부분 사이의 교차 영역에서 접을 플랩을 이용하여 플랩을 접기 전 만든 용접 라인(2a)
플랩/삼각형 몸체를 접고 나면, 가급적이면 전체 가로 영역과 가장자리(38bc)의 전체 영역이나 라인 내 또는 직선 용접 라인(반원, 대각선, 사선 가능)과 함께 가장자리(38a)에 인접하고 평행(수직 용접 라인을 가질 수 있음)하며 적당히 떨어진 영역이나 라인 내 접은 플랩 부분에서 직선 용접 라인(반원, 대각선, 사선 등) 부분으로 양 측(a, b)에 접은 플랩을 봉합(38a)하기 위해 플랩에 접촉하고 충격체(6)에 결합될 때까지 폐쇄 조(8)가 다시 앞으로 나아간다.
회전 막대(45)의 경우, 플랩을 접기 위한 아래쪽 180도 회전(16)은 위쪽 180도 회전(16)을 통해 시작 지점으로 돌아가거나 두 부분을 반으로 접기 위한 플랩/삼각형 몸체 봉합 과정 중 봉합을 위해 아래쪽에 남아 있는다(180도로 회전하며). 하지만 봉합이 완료되고 폐쇄 조(8)가 시작 지점으로 돌아오면 회전 막대(45)는 180도 올라가며 시작지점으로 돌아온다.
기울여진 돌기(44)의 경우, 플랩과 충격체(6)의 결합을 위해 폐쇄 조(8)가 활성화되기 전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동조된 충격체(6) 내로 넣을 수도 있다. 동시에, 앞으로{플랩 및 충격체(6)와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기 때문에, 1회 이상 접은 삼각형 플랩/몸체를 가진 폐쇄 조(8)를 1회 이상 봉합한다.
- 용기 면이나 상부에서 만든 플랩/삼각형 몸체를 좌, 우측에서 선택할 수 있다.
첫째, 이런 특정 사례에서, 플랩/삼각형 몸체의 접기나 구부리기 전 용접 라인 없이 이를 봉합(39a, 39b, 39ac, 39bc, 39ad, 39bd, 39ae, 39be)하지 않는다.
둘째, 플랩과 용기 잔여 부분 사이 교차 부분 용접 라인의 동일한 상부 라인(용접 라인 끝부분)에서 좌, 우측의 플랩을 접거나 반으로 접는다[도 1, 2, 3(39a / b / ac / ad / ae / bc 46, 43); 도 4(39a, 39bc, 44, 45)]. 다음으로 플랩/삼각형 몸체를 접는 세 가지 다른 방식들을 아래에서 보여준다.
장치 A: (도 1)
충격체(6) 옆에 있는 폐쇄 조(8)를 통해, 돌기(46a){선형 실린더(9)와 같은 이동 모드로 조작되는, 이 경우 폐쇄 조(8) 내부에 고정된}가 구멍(42b)에 들어가기 위해 원하는 거리만큼 앞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2 부분으로 접거나 구부리기 위해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 부분의 구멍에 유입된다.
돌기(46a)는 시작 지점으로 돌아오고 그 즉시, 용접 시스템이나 열원이 활성화(선형 실린더(9)와 같은 이동 모드로 조작, 이 경우, 접은 플랩 위(39ad)의 충격체(6)에 고정) 되지만, 삼각형 플랩/몸체를 반으로 구부리거나 접을 때 만든 가장자리(c) 바로 위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가장자리(플랩을 접을 때 만든)의 직선 용접 라인(반원, 대각선, 사선 가능) 부분(가급적이면, 플랩/삼각형 몸체의 전체 가로 영역 내)을 봉합한다. 또한 이는 동일한 가장자리(c)에 있을 수 있으며 결국 가장자리(d)에 인접한 라인이나 영역 부분에 위치한다.
장치 B: (도 2, 3)
폐쇄되어 있는 충격체(6)의 이동 게이트(43)가 있어 충격체(6) 옆에 위치한 폐쇄 조(8)를 통해, 플랩/삼각형 몸체(36)내 포장된 모든 내용물(공기/가스나 액체/반죽)을 배출한다.
그 즉시, 혹은 동시에 게이트(43b)는 돌기(46a){선형 실린더(9)와 같은 이동 모드로 조작, 이 경우에는 폐쇄 조(8)의 측면 내부에 고정}를 열고(선형 실린더(9)나 회전 실린더(16)과 같은 이동 모드로 조작), 또한 충격체/폐쇄 조(6) 외부 에서와 같이 내부에 고정 가능} 이 경우에는 90도 뒤로 회전하여 이동시킨다. 이는 구멍(42b) 내부에 유입되도록 원하는 거리만큼 앞으로 나아가는 동시에 플랩/삼각형 몸체(36)를 접은 부분 2곳의 구멍으로 유입된다.
이후, 돌기(46a)는 시작 위치로 돌아오고 그 즉시 용접 시스템이나 열원을 활성화(선형 실린더(9)와 같은 이동 모드로 조작, 이 경우는 반으로 접은 플랩 충격체(6)의 구멍 내부 위(39ad)) 시킨다. 이는 플랩/삼각형 몸체(36)를 접어 만든 가장자리(c) 위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가장자리(c)의 직선 용접 라인(반원, 대각선, 사선 가능) 부분(가급적이면, 플랩/삼각형 몸체의 전체 가로 영역)을 봉합한다. 또한 가장자리(c)에 인접한 영역이나 라인 부분도 봉합한다. 마지막으로 용기를 3D로 변환하면, 90도 위로 돌아가 게이트(43b)를 닫는다.
장치 C: (도 4)
이 경우, 구부리기 전(도 9)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봉합하지 않기 때문에, 플랩/삼각형 몸체(원하는 높이에서) 가로 라인 영역 부분의 체결(구부리기 전)을 위해 충격체(6)에 훅이나 핀과 같은 잠금 시스템 모드를 결합해야 하며 이는 훅이나 핀으로 플랩을 차단하고 있는 라인이나 영역을 통한 접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훅이나 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패키지 플랩과 몸체 사이의 교차 라인으로 플랩을 접어 가장자리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플랩을 반으로 접을 수 없다.
다음은 플랩 생성으로 구성된 절차 단계에 대한 설명이다.
첫 단계에서, 충격체(6) 옆과 위에 플랩을 위치시킨다. 이는 차단하고 체결한다(훅이나 핀{원하는 플랩 / 삼각형 몸체 영역이나 라인 내 선형 실린더(9)나 회전 실린더와 같은 이동 모드로 작동하는}을 통해 원하는 높이에서, 가급적이면 용기 플랩과 몸체 사이 교차 라인 위).
두 번째 단계에서, 가급적이면 180도로 아래쪽 및 플랩 측으로 회전하는(16) 회전 막대(45b) 또는 가급적이면 60도로 하향 이동하는 돌기(44b)와 같은 밀기 모드로 플랩 / 삼각형 몸체를 아래쪽으로 제거하여 플랩을 두 부분으로 접는다. 선형 실린더(9)나 회전(16)과 같은 제거 모드로 둘 다를 조작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를 접으면, 폐쇄 조(8)를 충격체(6)에 결합하고 라펠이 이들 사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훅이나 핀이 처음 위치로 돌아간다.
네 번째 단계에서, 가급적이면 가장자리(38bc)의 전체 교차 영역이나 전체 영역 또는 평행(수직 용접 라인을 가질 수 있음)하고 원하는 거리인 직선 용접 라인(반원, 대각선, 사선 가능)과 함께 가장자리(38a)에 인접한 영역이나 라인으로 접은 플랩 부분에서 직선 용접 라인(반원, 대각선, 사선 가능)일부로 접은 플랩의 한 쪽 혹은 양측(a, b)을 봉합(38a)하기 위해 플랩과 접촉하고 충격체(6)에 결합할 때까지 폐쇄 조(8)를 앞으로 움직인다.
도 9의 특정 사례에서, 플랩을 반으로 접을 때 만든 전체 가장자리인 직선 용접 라인으로 이를 봉합하고 영역이나 라인이 가장자리(c)에 인접할 때에도 해당 부분을 봉합한다.
회전 막대(45)의 경우, 플랩을 반으로 접기 위해 아래로 180도 회전(16)시키면180도 위로 회전(16)하여 시작 위치로 돌아가거나 봉합이 가능하도록 두 면을 1회 이상 반으로 접어 플랩/삼각형 몸체를 봉합하는 동안 하부(180도 회전)에 남아있을 수 있다. 하지만 봉합이 완료되고 폐쇄 조(8)가 시작 위치로 돌아오면, 회전 막대(45)가 180도 올라가 시작 위치로 돌아간다.
기울어진(44) 돌기의 경우, 플랩과 충격체(6)를 결합하기 위해 폐쇄 조(8)를 활성화 하기 전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동조 방식으로 충격체(6)로 삽입할 수도 있으며 이 때 1회 이상 접은 삼각형 플랩/몸체를 봉합하도록 폐쇄 조(8)를 앞으로 움직이도록만 하면 된다(플랩/충격체(6)에 접촉할 때까지).
다섯 번째 단계에서, 이 경우 세 가지인(한 가지도 가능) 모든 삼각형 플랩/몸체의 조작을 완료하면, 폐쇄 조(8)와 충격체(6)[체결 조(3)와 함께 또는 전에 가능]는 일부 3D로 변형한 용기 측면에 있는 면을 나타내는 [a], 3D로 변형한 용기의 위, 아래 면(지지면)을 나타내는 [b]인 플랩/삼각형 몸체의 인접 면과 함께 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 인접한 측으로 접은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지속적으로 배치(접착제 없이 접착)하기 위해 시작 지점(또는 시작)으로 되돌아가거나 이동하여 용기를 배출한다.
또한, 기본 포장을 3D로 변형시키는 변형기 옆에 위치한 변형벨트 에서 마침내 3D 변형 용기를 측면으로 이동시키고 마지막으로 용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체결 조(3){1, 2, 3, 4개의 체결 조(3) 가능}를 작동시키는 실린더(예: 체결 실린더나 선형, 회전 실린더)를 회전, 선형 실린더에 고정한다.
아래는 플랩/삼각형 몸체의 스트립(37)을 얻게 하는 도 5 장치의 조작에 관한 설명이다.
2- 충격체(6) 옆에서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를 생성한 후 이는 충격체(6) 측면에 평행하게 위치(단독으로)하며 다음 단계들을 수행한다.
- 1단계: 선형/회전 실린더와 같은 이동 모드로 폐쇄 조(8)를 조작한다. 또한 이들은 생성한 플랩과 접촉하고 충격체(6) 측면과 결합하기 위해 충격체(6) 측면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동시에 이들은 충격체와 폐쇄 조 사이에 넣어져 플랩을 고정/차단하고 액체 / 반죽, 공기 / 가스와 같은 내부 포장물을 분출 시킨다.
- 2단계: 즉시, 저항(40a, 40b)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플랩/삼각형 몸체(5)를 봉합(2af, 2bf)한 후 충격체(6)나 폐쇄 조(8) 측면에 고정된 것들을 칼날(41a, 41b)로 절단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스트립을 얻게 된다. 이는 주로 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에 옆으로 있는 직선 용접 라인(대각선, 반원 가능)뿐만 아니라 최대한 서로 평행하고 분리된 수직 직선 용접 라인 2개(대각선, 반원 가능){세로축 절반으로 이어지고 플랩/삼각형 몸체 측면에 있어 집중되며 가로 용접 라인과 결합하여 90도 각도 [
Figure pct00001
]를 형성하는 용접 라인(1)}를 이용하여 삼각형 플랩 / 몸체를 봉합하고 절단하기 때문이다.
모든 용접 라인(예 도 9 2a, 2b, 2a/c)은 mm 단위의 모든 치수(1, 2, 3, 4, 5, 6, 7, 8, 9, 10)를 가질 수 있다.
- 3단계: 시작 위치로 돌아와 폐쇄 조(8)를 분리하며 한편으로는 용기를 배출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삼각형 부분 2곳을 절단/소작 하거나 플랩/삼각형 몸체에서 분리시킨다.
이동이 가능할 경우, 3D로 변형한 용기 배출을 위해 충격체(6)도 분리하여 시작 위치로 되돌린다. 하지만, 충격체(6)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수동 혹은 로봇의 잡기와 같은 기계식 방법을 사용한 조작 모드로 충격체(6)를 때리거나 충돌시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생성하는 것은 용기임}, 이후 3D 변형 기계에서 떨어져 나오는 것은 용기이다.
게다가,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봉합, 절단(또는 소작)하여 스트립을 얻게 되면, 발명품을 만들어 내는 방법 제시(PRESENTATION OF A METHOD TO CARRY OUT THE INVENTION)에 관한 첫 번째 예시인 위의 4단계에서 제시하고 설명한(도 설명 직후)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봉합(옵션)하고 접은 후 마지막 접기}이 가능하다.

Claims (99)

  1. 탄성 용기를 변형하는 절차, 내부 범위를 지정하는 두 면을 갖는 용기, 이러한 면들은 측면이나 용기의 일부 혹은 전체를 닫는 더 적은 봉합이나 접기로 규정된 측면 외부 범위를 지정한다. 용기는 1개 이상의 유체를 담으며 옵션 또는 추가로 고체, 과립, 분말 등을 담는다. 절차는 다음 단계들에 따라 특징짓는다.
    - 압축, 예, 끝 부분이나 꼭지점에 인접한 인접 면이나 지점의 부분[또한 예, 중간 지점, 일부 지점, 전체 지점 반대로 / 을 통해 / 사이에서]에 / 반대로 / 을 통해 / 사이에서1개 이상의 충격체(6)[또는 유도 공기 밀기 모드 사용]를 사용하는 용기 내부 방향, 또한 기본 용기와 충격체(6) 모두가 움직이는 모든 경우: 용기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고 국부 팽창 효과를 만들어 유체 부분이 용기 외부로 떨어져 나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충격체가 충격을 주는 용기 부분에서 지지 면이나 추가 면을 얻게 되며 이는 용기를 세우고 용기의 기하학적 구조와 지지 면(또는 추가면)과 인접하고 용기의 2면 부분으로 생성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를 변경한다.

    - 기계식, 공기 지정 모드에 의한 한쪽 방향 혹은 반으로 밀기, 접기, 구부리기 결합, 동일하거나 다른 플랩(36) / 삼각형 몸체(36)[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의 다른 부분을 향하는 플랩(36) / 삼각형 몸체(36)[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 부분. 더욱이 삼각형 플랩 / 몸체(또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의 이러한 2면 부분을 평행하게 또는 한쪽 또는 다른 쪽에 대한 약간의 회전 각도로 겹치게 하고 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모양으로 삼각형 플랩(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음을 얻게 된다.
    2면의 일부 면이나 삼각형 플랩(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의 절반, 동일한 혹은 다른 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해당 부분 또는 다른 삼각형 몸체 / 플랩)의 일부나 다른 부분으로 이를 접는다.
    포장재가 구멍이나 틈이 없이 영구적으로 물이 새지 않도록 용기를 유지하는 2면이나 플랩(36) / 삼각형 몸체(36) 절반(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의 교차 부분에서 만든 가장자리나 접는 부분
  2. 탄성 용기를 변형하는 절차, 해당 용기를 다음과 같이 제공.
    내부 범위를 지정하는 두면, 인접 면으로 규정한 인접 외곽으로 지정
    용기의 일부나 전체를 닫는 봉합 라인이나 접는 부분, 용기는 1개 이상의 유체를 보관하고 옵션 혹은 추가로 고체나 과립 분말 등을 보관한다.
    용기는 1개 이상의 유체에 추가로 고체, 과립, 분말을 보관한다. 방법은 다음 단계의 구성에 따라 특징짓는다.
    1단계: 한쪽 끝이나 꼭지점에 인접한[용기 상부에 위치 또는 반대, 인접 측면은 충격체(6)나 기본 용기 및 충격체(6)가 움직이는 모든 경우에서 / 반대로 / 을 통해 / 사이에서 / 내에서 때리는 부분] 인접 측면 2곳의 인접 면이나 지점 부분[또는 중간 지점, 일부 지점, 전체 지점의 반대로 / 을 통해 / 사이에서 / 내에서]에서 / 반대로 / 을 통해 / 사이에서 / 내부에서 충격체(6)를 사용[또는 유도 공기 밀기]하여 용기 내부 방향[가급적이면, 수직으로 세워져 있을 때 해당 부분에는 고체 등이 없으므로 용기의 하향 방향]으로 압축
    이를 통해 용기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고 국부 팽창 효과를 만들어 켜 유체 부분을 용기 외곽으로 떼어내어 다음을 얻는다.
    충격체로 충격을 준 용기 영역 내 1개 이상의 지지면이나 추가면, 이는 용기를 세우고 용기의 기하학적 구조를 변경한다.
    지지면에 인접하고 용기의 2면으로 형성한 한 플랩(36) / 삼각형 몸체(36)[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
    2단계:
    이상으로 또는 반으로 기계식, 밀기, 유도 공기 모드에 의한 접기, 구부리기 결합을 통해, 동일하거나 다른 플랩(36) / 삼각형 몸체(36)의[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더 작은 부분] 다른 부분을 향하는 플랩(36) / 삼각형 몸체(36) 부분[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 게다가 이러한 삼각형 플랩 / 몸체(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의 두 부분을 평행하게 또는 한쪽이나 다른쪽으로 향하는 일정 각도로 겹치고 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등으로 삼각형 플랩(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을 반으로 1회 이상 접거나 구부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2면 부분이나 삼각형 플랩의 절반(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으로1개 이상의 방향이나 동일하거나 다른 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다른 삼각형 몸체 / 플랩 부분)의 다른 부분으로 1회 이상 이 부분을 접는다.
    포장재를 구멍이나 균열 없이 물이 새지 않도록 영구히 보존하는 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의 2부분 혹은 절반의 교차 부분에서 만든 가장자리나 접는 부분.
    3단계: 다음으로 가급적이면 위쪽으로 용기를 툭 치는 방식으로 용기를 180도(약) 회전시켜 한편으로는 중력으로 인해 용기 내 포장된 고체가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1개 이상의 인접 측면(이전에는 용기 하부에 위치한)이 용기 상부를 향하도록 한다.
    4단계: 현재는 용기 상부에 위치한 1개 이상의 인접면에서 위의 1, 2, 3단계에서 명시된 절차를 반복한다.
  3. 연재질의 3D 구조 용기 제조를 위해 다른 절차를 향상시키는 과정, 다음과 같이 방법을 구성.
    - 용기 몸체 생성 시작, 코일 내 필름.
    - 하나 이상의 열원 모드를 이용한 봉합 매체
    - 플랩 / 삼각형 몸체(36)(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나 스트립(37)의 생성 매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성.
    - 동일하거나 다른 플랩(36) / 삼각형 몸체(36)[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의 다른 부분으로 플랩(36) / 삼각형 몸체(36)[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를1회 이상 1방향 이상으로 혹은 반으로 기계식, 밀기나 유도 공기 모드를 이용한 접기, 구부리기 결합을 통해. 또한 삼각형 플랩 / 몸체(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이러한 2면 부분을 평행하게 또는 한 면이나 다른 면에 대한 일정 회전 각도로 겹치고 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으로 삼각형 플랩(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려 다음을 얻는다.
    1개 이상 방향 혹은 동일하거나 다른 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해당 부분이나 다른 삼각형 몸체 / 플랩 부분)의 다른 부분으로 1회 이상 접는 삼각형 플랩(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의 2부분이나 절반
    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의 2면이나 절반의 교차부분에서 만든 가장자리나 접는 부분
    삼각형 플랩(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 부분을 1회 이상 1개이상 방향으로 또는 구멍이나 틈 없이 용기를 영원히 봉합하는 동일하거나 다른 삼각형 몸체(또는 해당 부분 혹은 다른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 부분으로 접는 1개 이상 부분이나 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부분)로 변형시킨 용기
  4. 동일하거나 다른 플랩/삼각형 몸체[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의 일부나 다른 일부로 플랩/삼각형 몸체[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를 1개 이상 방향 또는 반으로 1회 이상 접기나 구부리거나 결합시키는 단계 전 주장 1, 2, 3을 따르는 절차
    1회 이상[플랩 / 삼각형 몸체(또는 플랩 / 삼각형 몸체의 일부)의 일부나 면 또는 측면을 통해 직선, 오목/볼록 반원이 되는 1개 이상의 용접 라인(2a, 2b, 2ad, 2be)을 통해] 열원(저항기, 레이저, 초음파 등)과 같은 방법으로 이를 봉합한다.
    지지 면이나 추가 면을 영구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1개 이상의 용접 라인
    1회 이상 이를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 후 1개 이상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플랩 / 삼각형 몸체(또는 플랩 / 삼각형 몸체의 일부)
  5. 플랩 / 삼각형 몸체(또는 플랩 / 삼각형 몸체의 일부)의 면이나 측면 일부로 그리고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과 용기 몸체 사이(또는 지지면/추가면)의 교차 영역에서 1회 이상의 봉합 단계 수행으로 특징 짓는 주장 4에 따른 절차. 이를 통해 용접 라인(2a, 2b)으로 봉합을 수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평행하거나 수직이며 다른 기울기를 갖는다. 또한 직선, 대각선, 사선, 반원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1개 이상을 만들어 다음을 획득하게 된다.
    영구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1개 이상의 지지 면이나 추가 면을 갖는 1개 이상의 용접 라인

    1개 이상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플랩 / 삼각형 몸체(또는 플랩 / 삼각형 몸체의 일부), 이후 이를 1회 이상 반으로 접을 경우, 특히 플랩 / 삼각형 몸체(또는 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와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의 용접 라인으로 접기나 구부리기를 정확히 수행하고 처마가 외부로 돌출하게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용기를 더욱 안정적으로 만드는 수평면에서 더욱 견고한 영역(이러한 용접 라인에 해당)을 만들어
  6. 주장 4나 5에 따른 절차, 2개 이상의 다른 영역에 2회 이상 봉합 단계를 수행하여 결정
    1개 이상 면의 일부나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과 용기 몸체 또는 지지면(또는 추가면) 과의 교차 영역의 측면을 통해 첫 번째 용접라인으로 1회 이상 봉합한다.
    1개 이상 면의 일부나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의 두 번째 용접 라인으로 1회 이상 봉합한다. 하지만 이전 용접(또는 첫 번째)과 나머지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 사이에 구성한 영역은 제외한다. 또한 이러한 봉합이나 두 번째 용접 라인을 첫 번째(또는 이전) 용접 라인에 인접하거나 분리되도록 만들 수 있다.
    게다가, 평행, 수직, 다른 기울기를 가진 용접 라인으로 봉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직선, 대각선, 사선, 반원과 같이 다른 방식으로 이를 만들 수도 있다.
  7. 동일하거나 다른 플랩/삼각형 몸체[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 일부나 다른 일부로 플랩 / 삼각형 몸체의 일부[또는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일부]를 1개 방향 이상 혹은 반으로 1회 이상 접고 구부리거나 결합하는 단계 전 구성으로 특징 짓는 주장 4, 5, 6에 따른 절차
    플랩 / 삼각형 몸체(또는 플랩 / 삼각형 몸체 일부)의 전체 혹은 일부에서 수행하는 칼날/저항기/레이저와 같은 절단 방법이나 열원을 통한 추가 절단 혹은 소작 단계
  8. 추가 결합[최소로 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플랩 / 삼각형 몸체의 일부)를 한 방향 혹은 반으로 또는 해당 혹은 다른 플랩(36)/삼각형 몸체(36)(또는 플랩 / 삼각형 몸체의 일부)의 일부분이나 다른 부분으로 1회 이상 접거나 구부리는]으로 특징 짓는 주장 1, 2, 3, 4, 5, 6, 7에 따른 절차, 다음 단계로 구성
    - 다음을 영구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플랩 / 삼각형 몸체의 일부) 2부분이나 절반의 일부(접거나 구부리는 부분 또는 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의 교차 영역과 접촉하는 부분)에 대한 봉합{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외 평행, 수직, 반원을 만드는 용접 라인(2a, 2b, 2ae, 2be)을 통해 열원, 저항기, 초음파와 같은 방식을 통해}
    지지 부를 만드는 면 또는 추가면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는 플랩(36)(또는 삼각형 몸체)의 일부로 다음을 획득.

    용기 몸체나 인접 면을 향하는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의 영구적 위치, 또한 이러한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의 일부는 용기 인접 면과 영구적으로 접촉한다(일부 경우, 접촉하지 않을 수 있음).
    특히 이러한 가장자리(c)(또한 교차 영역)에 대한 1개 이상의 면이나 측면 일부에서 봉합할 경우, 더욱 견고하고 일관될 뿐만 아니라 더 나은 형태를 가지고 제한하는 가장자리{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플랩/삼각형 몸체의 일부) 2부분이나 절반의 교차 부분에서 만든, 동일하거나 다른 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해당 부분 또는 다른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일부)의 일부나 다른 부분에 대해(또는 쪽으로) 1개 이상 방향으로 1회 이상 일부나 절반을 접음}
  9. 제공된 해당 용기인 탄성 용기를 변환하는 절차
    내부를 제한하는 두 면, 해당 면은 1개 이상의 인접 측면으로 규정한 외부 인접 외곽을 통해 제한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용기를 닫는 봉합 라인이나 접는 부분, 용기는 1개 이상의 유체를 담으며 옵션 혹은 추가로 1개 이상의 고체, 과립, 분말을 담을 수 있다.
    절차는 다음 단계의 구성으로 특징짓는다.
    - 일부[또는 끝 부분이나 꼭지점에 인접한 인접 측면 2개의 인접 측면이나 영역 또는 그 반대, 인접 측면은 충격체(에서 / 반대하여 / 통해 / 사이에서 / 내에 타격을 하는 것, 또한 많은 경우, 기본 용기와 충격체(6)가 움직이도록(6) 함)]에서 / 반대하여 / 통해 / 사이에 / 내에 충격체(6)[또는 유도 공기의 밀기 모드 등을 이용]를 사용하는 용기 내부에 대한 압축
    유체의 일부가 용기 외곽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용기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국부 팽창 효과를 발생시켜 다음을 획득.
    용기 영역 내 지지면이나 추가면이 충격체를 통해 타격을 하여 용기가 서도록 한다. 이를 통해, 용기의 기하학적 구성을 변경한다.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가 지지면에 인접(또는 추가면)하고 용기 2면의 일부가 되도록 한다.

    - 아래와 같이 용기 플랩(36) / 삼각형 몸체(36)(또는 플랩 / 삼각형 몸체의 일부)의 일부나 면 혹은 측면인 용접 라인에 대해 1개 이상의 용접 라인을 통해 열원[저항기(40a, 40b 도5), 레이저, 초음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한 봉합

    한편으로는,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과 용기 몸체(지지면이나 추가면) 사이의 교차 영역에서 직선(대각선, 사선, 반원 가능)인 용접 라인을 통해. 또한 용접 라인(1){2면을 갖는 모든 기본 용기의 상부와 하부가 교차하는}을 봉합하지 않고 남겨두는 이러한 교차 라인 중앙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서로 평행하고 분리된{세로 절반 및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면까지 이어지는 용접 라인 (1)까지 여유 공간을 갖는다} 수직 직선 용접 라인 2개(대각선, 사선, 반원 가능)가 교차 용접 라인에 집중되고 결합하여 90도 각도를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 여기서 뒤집어진 대문자 "T"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수직 막대를 한 개가 아니라 두 개 가지므로 " __|_|__ "와 같은 형태가 되며 이는 단일 용접 라인을 만들기 때문이다. 또한, 대문자 "L" 2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지만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 __| |__ "과 같은 형태가 되며 이는 용접 라인을 2개 만들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다음을 얻게 된다.
    영구적으로 용기의 지지 면이나 추가 면에 안정성을 유지하는 용접 라인
    구멍이나 틈 없이 봉합 패키지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용접 라인

    - 경계선 및 이러한 용접 라인과 매우 근접한 부분을 또는 동일하지만 외부에 위치한 용접 라인에서 절단하는 방식으로 대문자 "L"과 유사한 형태를 지니지만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좌, 우 용접 라인 2개로 제한되는 두 부분을 통해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을 부분적으로 절단(또는 소작)하는 방식으로 스트립(37)을 제한하는 영역에서 칼날(41a, 41b)과 같은 절단 방법을 통한 절단(또는 소작)으로 다음을 얻는다.
    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 교차 라인에서 V 형태의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끝 부분까지 이어지는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의 중앙 및 세로 부분에 해당하며 용기로 보호하는 스트립(37)과 유사한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의 좁아지는 부분,
  10. 탄성재로 제조하는 3D 용기를 준비하는 다른 절차를 향상시키는 절차, 과정은 다음 단계들로 구성.
    - 코일 내 필름과 같이 용기 몸체를 만들며 시작
    - 열원을 이용한 방법과 같은 봉합 방법
    -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만드는 방법
    절차는 다음 단계들의 구성에 따라 결정:
    - 아래와 같이 용기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측면 용접 라인에 저항기, 레이저,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봉합

    한쪽으로는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과 용기 몸체(지지면이나 추가면) 사이의 교차 영역에서 직선(대각선, 사선, 반원 가능)과 같은 용접 라인을 통해. 또한 라인(1){모든 두 면의 기본 용기가 갖는 상부와 하부의 교차 지점}이 이러한 교차 라인 중앙에서 옵션으로 봉합하지 않은 상태로 남겨둘 수 있다.
    또한 90도를 형성하며 교차 용접 라인으로 집중되고 결합하는 서로{세로축 절반까지 이어지고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면이 빈 곳에 있는 용접 라인[모든 두 면의 기본 용기가 갖는 상부와 하부의 교차 지점]까지} 평행하고 분리된 수직 직선 용접 라인 2개(대각선, 사선, 반원 가능), 이러한 경우, 뒤집어진 대문자 "T" 형태를 갖게 된다. 하지만 수직 만대가 하나가 아니라 두 개이다. "__|_|__", 단일 용접 라인을 만들고 대문자 "L"이 두 개 있는 것과 유사한 형태를 만들지만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다." __| |__", 이는 용접 라인이 2개 만들어지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다음을 얻게 된다.
    용기 지지 면이나 추가 면에서 영구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는 용접 라인
    규멍이나 틈 없이 봉합 포장재를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용접 라인

    - 스트립(37)을 제한하는 영역에서 칼날과 같은 절단 방법을 이용한 절단(또는 소작), 이를 통해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를 부분적으로 절단(또는 소작)한다. 좌, 우 용접 라인 2개로 제한된 2면은 대문자 "L" 두 개와 비슷한 형태를 지니지만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다. 이와 같이 경계선 및 이러한 용접 라인들에 근접한 지점이나 동일하지만 외부에 위치한 용접 라인을 절단한다.
    스트립(37)과 유사하게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의 좁아지는 부분, 용기에서 보면 플랩과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지점에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의 V형태까지 이어지는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의 중앙 및 세로 영역과 일치한다.
  11. 봉합 단계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느냐 로 특징짓는 주장 9나 10에 따른 절차.
    -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에 만든 이전 용접 라인 위나 분리된 영역의 두 번째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사선, 반원 외 평행, 수직, 대각선 등}에서 저항기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봉합, 이를 통해 두 번째 용접 라인(2a/e, 2b/e)는 이러한 스트립(37) 잔여 부분과 두 번째 용접 라인(2a/e, 2b/e) 교차 영역으로 스트립(37)을 정확히 반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 또는 용기 측면에 대한 스트립(37) 일부의 확장으로 처마를 만든다.
  12. 다음의 추가 단계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9나 10] 또는 11에 따른 절차
    - 스트립(37) 일부를 동일한 스트립의 다른 부분으로 1회 이상 반으로 및 한 방향으로(예: a, b) 기계식, 밀기나 유도 공기 방법을 이용한 접기 구부리기 결합. 더욱이, 스트립(37)의 이러한 두 부분을 평행하게 또는 한쪽이나 다른 쪽에 대한 약간의 회전 각도로 겹칠 수 있다. 또한 직선, 사선, 오목/볼록 반원 등으로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음을 얻게 된다.
    1 방향 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스트립(37)의 다른 일부로 1회 이상 접거나 구부리는 스트립(37)의 일부나 절반
    스트립(37)의 두 부분이나 절반의 교차 영역에서 접거나 구부리는 가장자리
  13. 다음 단계의 추가적 포함으로 특징짓는 주장 12에 따른 절차

    스트립(37)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는 면이나 일부를 1회 이상{용접 라인 1개 이상(2a, 2b, 2ae, 2be) 이용, 평행하거나 대각선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직선, 사선, 오목/볼록 반원도 가능}
    저항기, 초음파와 같은 열원 등의 방법을 이용한 봉합으로 영구적 안정성 유지:
    1회 이상 접거나 구부리는 스트립(37)의 일부로 다음을 획득:
    용기 몸체, 인접면(예: a, b)을 향하는 스트립(37)의 영구적 위치. 또한 스트립(37)의 일부가 용기 인접면과 영구적으로 접촉하도록 한다.
    더욱 견고하고 일관될 뿐 아니라 더 나은 형태를 갖고 제한된 가장자리(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릴 때 스트립(37) 두 부분 사이의 교차 지점에 만든), 무엇보다도 이러한 가장자리(c)(교차 영역)의 일부나 면에 봉합을 한다.
  14. 생성한 가장자리(c){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 역시 동일한 용접 라인으로 용접}의 일부에 1회 이상 봉합 단계 수행으로 특징짓는 주장 8이나 13을 따르는 절차.
    게다가, 직선, 대각선, 사선, 반원과 같이 다른 방식으로 용접 라인을 만들 뿐만 아니라 평행, 직각, 다른 기울기로 할 수 있다.
  15. 가장자리에 인접한(d) 영역의 일부에 1회 이상 봉합 단계 수행으로 결정짓는 주장 8이나 13에 따른 절차. 게다가 이는 직선, 대각선, 사선, 오목과는 다른 방식으로 만들 수 있는 용접 라인 뿐만 아니라 평행, 수직, 다른 기울기 각도가 될 수 있다.
  16. 다른 영역 2개에 2회 이상 봉합 단계 수행으로 특징짓는 주장 14와 15에 따른 절차:
    - 가장자리(c) 면이나 일부에 있는 용접 라인
    - 가장자리에 인접한(d) 면 또는 이에 선행하는 용접 라인에 있는 용접 라인
  17. 다른 2면에 2번 이상의 봉합 단계 수행으로 특징짓는 주장[8이나 13] 및 16에 따른 절차:
    -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의 일부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37) 앞에 있는 첫 번째 용접 라인(2a, 2b)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다. 절차 7이나 8의 경우, 용접 라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 전체 혹은 일부 부분이나 면에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 앞 첫 번째 용접 라인(2a, 2b)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다. 이는 양측[
    Figure pct00002
    ]에서 스트립을 제한하는 이전 용접 라인 2개 다음으로 이어진다.
    - 가장자리 일부 면의 두 번째 용접 라인(c)
  18. 다른 두 부분에서 2회 이상 봉합 단계 수행으로 특징짓는 주장[8이나 13] 및 16에 따른 절차:
    -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의 면이나 일부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기 전 첫 번째 용접 라인(2a, 2b). 절차 7이나 8에서, 용접 라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 전체나 일부 부분이나 면에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기 전 첫 번째 용접 라인(2a, 2b). 양측[
    Figure pct00003
    ]에서 스트립을(37) 측면에 위치시키는 이전 용접 라인 2개 다음으로 이어진다.
    - 가장자리{플랩/삼각형 몸체(36)이나 스트립(37)의 접기로 생성}나 이전 용접 라인 영역의 면이나 부분에 있는 두 번째 용접 라인(d)
  19. 플랩/삼각형 몸체(36)과 스트립(37) 앞에 있는 용접 라인의 교차 영역에 인접한(e) 면에 대한 1회 이상 추가 봉합으로 특징짓는 주장 16이나 17에 따른 절차
  20. 플랩/삼각형 몸체(36)와 스트립(37)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d) 의 면이나 부분에 1회 이상 추가 봉합으로 특징짓는 주장 16이나 17에 따른 절차
  21. 다른 면 4곳에 4회 이상 봉합 단계 수행으로 특징짓는 주장[(1, 2, 3) 및 4, 5, 6, 7, 8, 14, 20] 또는 [(9, 10) 및 11-20]에 따른 절차
    -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 면이나 부분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기 전 첫 번째 용접 라인(2a, 2b). 절차 7이나 8의 경우, 용접 라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 전체 혹은 일부 부분이나 면에서 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기 전 첫 번째 용접 라인(2a, 2b), 이는 양측[
    Figure pct00004
    ]에서 스트립(37)을 측면에 위치시키는 이전 용접 라인 2개에 이어진다.
    - 인접 영역 면이나 부분에서 플랩/삼각형 몸체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고 플랩(삼각형 몸체)와 용기 모체 사이 교차 영역에서 만든 용접 라인을 분리시키기 전 두 번째 용접 라인(e)
    - 가장자리 일부나 면의 세 번째 용접 라인(c)
    - 가장자리(d)에 인접한 영역의 네 번째 용접 라인
  22. 다른 영역 5 곳에서 5회 이상 봉합 단계 수행으로 특징짓는 주장 21에 따른 절차, 다음을 추가한다.
    - 인접 영역에 있으며 가장자리(d)의 인접 영역에 만든 용접 라인과 떨어진 다섯 번째 용접 라인
  23. 추가 단계 포함으로 특징짓는 주장[(1, 2, 3) 및 4-8] 또는 [9나 10], 및 11, 12에 따른 절차
    동일한 플랩/삼각형 몸체(36)이나 스트립(37)의 일부나 다른 부분에 있는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 부분에 1회 이상 접촉 접착제나 열 스트립과 같은 접착제나 부착 방법을 사용한 접착이나 부착, 해당 부분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린다.
  24. 옵션으로 느슨하거나 느슨해질{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에서 만든 마지막 용접 라인에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 끝 부분, 접거나 구부리지 않고 동일한 스트립의 다른 부분과 봉합하지 않음} 플랩/삼각형 몸체(36)이나 스트립(37)을 조작하는 추가 단계를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1, 2, 3) 및 4, 5, 6, 7, 8, 14-22], [(9나 10) 및 11-22] 또는 23에 따른 절차는 다음과 같다.
    - 밀기 방법으로 느슨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을 용기 몸체 위로 보내기(이미 용기 몸체 옆에 있기 때문)
    - 접촉 접착제와 같은 접착 방법으로 이러한 느슨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을 용기 몸체에 접착 혹은 부착
  25. 옵션으로 느슨하거나 느슨해질{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마지막 용접 라인에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끝부분까지, 접거나 구부리지 않고 동일한 플랩의 다른 부분과 용접하지 않음}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을 조작하는 추가 단계를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1, 2, 3) 및 4, 5, 6, 7, 8, 14-22], [(9나 10) 및 11-22] 또는 23에 따른 절차는 다음과 같다.
    -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느슨한 면 일부에 1회 이상 저항기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봉합.
  26. 옵션으로 느슨하거나 느슨해질{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에 만든 마지막 용접 라인에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끝 부분까지, 접거나 구부리지 않으며 동일한 플랩의 다른 부분과 봉합하지 않음}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을 조작하는 추가 단계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1, 2, 3) 및 4, 5, 6, 7, 8, 14-22], [(9나 10), 11-22] 또는 23에 따른 절차는 다음과 같다.
    - 플랩/삼각형 몸체(36)이나 스트립(37)의 느슨한 부분에 1회 이상 저항기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봉합
    - 밀기 방법으로 느슨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을 용기 몸체 위로 보내기(이미 용기 몸체 옆에 있기 때문)
    - 접촉 접착제와 같은 접착 방법을 통해 느슨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일부를 용기 몸체에 부착
  27. 옵션으로 느슨하거나 느슨해질{플랩/삼각형 몸체(36)이나 스트립(37)에 만든 마지막 용접 라인에서 플랩/삼각형 몸체(36)이나 스트립(37)의 끝 부분, 접거나 구부리지 않고 동일한 플랩의 다른 부분과 봉합하지 않음}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을 조작하는 추가 단계를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1, 2, 3), 4, 5, 6, 7, 8, 14-22], [(9나 10), 11-22] 또는 23에 따른 절차
    - 느슨한 부분이나 느슨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36a 도 15a)에 대해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칼날과 같은 절단 방법을 통한 소작(46 도 15b)
  28. 옵션으로 느슨하거나 느슨해질{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에 만든 마지막 용접라인에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 끝 부분까지, 접거나 구부리지 않고 동일한 플랩의 다른 부분과 봉합하지 않음}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을 조작하는 추가 단계를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 [(1, 2, 3), 4, 5, 6, 7, 8, 14-22], [9나 10], 11-22에 따른 절차는 다음과 같다.
    -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느슨한 부분에 1회 이상 저항기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하여 봉합(2/e 도 15c)
    -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 부분을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칼날과 같은 절단 방법을 이용하여 절단/소작(46 도 15b)
  29. 옵션으로 느슨하거나 느슨해질{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에 만든 마지막 용접 라인에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끝 부분까지, 접거나 구부리지 않고 동일한 플랩의 다른 부분과 봉합하지 않음}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을 조작하는 추가 단계를 구성하여 특징짓은 주장[(1, 2, 3), 4, 5, 6, 7, 8, 14-22], [(9나 10), 11-22]나 23에 따른 절차는 다음과 같다.
    - 느슨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일부를 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혹은 다른 회전 각도로 1회 이상 접기나 구부리기
  30. 옵션으로 다음 추가 단계를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 28에 따른 절차
    -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는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느슨한 부분에 1회 이상 저항기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하여 봉합(2/e 도 15c)
  31. 옵션으로 다음의 추가 단계를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 28이나 29에 따른 절차
    - 밀기 방법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고 구부리는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을 용기 몸체 위나 용기 몸체 측면 위로 보내기
    -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는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 일부에서 1회 이상 접촉 접착제나 열 스트립과 같은 접착이나 부착 방법으로 용기 몸체 측면을 용기 몸체에 접착 혹은 부착
    옵션으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기 전에,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일부를 1회 이상 봉합할 수 있다.
  32. 가장자리{1회 이상 반으로 접거나 구부리는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두 부분 사이 교차 부분에 만든}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을 찢거나 분리할 수 있는 지에 따라 특징짓는 주장[(1, 2, 3), 4, 5, 6, 7, 8, 14], [(1, 2, 3), 4, 5, 6, 7, 8, 14-22]나 23에 따른 절차는 가장자리를 다음과 같이 봉합하여 제공한다.
    첫 번째 사례에서, 가장자리 용접 라인(c)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가장자리를 1회 이상, 다음의 경우 찢는 과정을 더욱 쉽고 편리하게 최적화.
    두 번째 사례에서,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의 양측에서 가장자리 용접 라인(c)으로 이를 2회 봉합한다.
    세 번째 사례에서, 이를 2회 이상 봉합하지만 플랩과 용기(2a, 2b) 몸체 사이 교차 부분이나 인접 영역이며 이전 것(2ae, 2be)보다 더 높으며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 가장자리(c)에 접한 다른 용접 라인을 1개 이상 갖는 측면 용접 라인만 봉합하며 이를 통해 다음을 얻게 된다.
    처음의 두 사례에서, 가장자리{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 사이 교차 부분에 만든, 1회 이상 반으로 구부리거나 접음}에 있는 개구부는 내부에 포장된 내용물이 나갈 수 있는 개구부를 만든다
    세 번째 사례에서, 내부 포장물이 밖으로 빠져 나가는 개구부를 만들기 위해 이후{이와 인접한 두 측을 반대 방향으로 당겨} 개방할 용접 라인(2a, 2b, 2ae, 2be)
  33.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발명품 측면에 커버(48)를 만들어 특징짓는 주장 28에 따른 절차
    인접한 양 측을 반대 방향으로 당겨 삼각형 형태 / 커버(36)나 스트립(37)을 찢은 후 가장자리{1회 이상 반으로 접는 스트립(37) 두 부분 사이 교차 영역에 만든}를 통해 개방한다.
    옆의 양측을 반대 방향으로 당겨 가장자리 용접 라인(3){이전에 개방한 가장자리 2곳 옆} 개방
    삼각형 형태 / 커버(36)나 스트립(37)을 찢은 후 가장자리{1회 이상 반으로 접는 스트립(37) 두 부분 사이 교차 영역에 만든}를 이용하여 옆의 양쪽 측면을 반대 방향으로 당겨 개방
    옆의 양쪽 측면을 반대 방향으로 당겨 가장자리 용접(3) 라인{이전 개방 가장자리 옆} 2곳 이상을 개방:
    두 사례에서,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커버(48) 역시 당길 때 완전히 빼야 한다.
  34. 2조각으로의 분할을 통해 커버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한쪽으로 접고 이후 1회 이상 반으로 접는 시스템의 포함으로 특징짓는 주장[(1, 2, 3), 4, 5, 6, 7, 8, 14-22] 또는 [(9나 10), 11-22]에 따른 절차, 충격체(6)나 지퍼(8)의 기저부나 측면에 고정된(커버 / 삼각형 형태나 스트립과의 접촉을 위해 유입) 탐침(44), 회전 막대(45)나 절단기(상하 움직임)와 같은 밀기 모드를 통해 커버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위해 측면 혹은 상하로 장치들을 움직이는 방식으로 상부의 조각들이 움직이는{선형 실린더나 선형 변형 장치 등을 통한 움직임, 커버나 스트립이 다른 것과 접촉하지 않는 측면이나 기저부에 고정 가능} 충격체(6)나 지퍼(8){3중 혹은 4중 세트의 경우, 양쪽에 지퍼(8)가 있기 때문에 충격체(6)를 3조각으로 나눔}
    다음, 6단계의 장치 사용법:
    - 1단계, 한편으로는 커버 / 삼각형 몸체나 스트립 아래부분 2면의 일부를 차단하거나 잡고 다른 한편으로는 커버 / 삼각형 몸체와 용기 몸체(2a, 2b) 사이 교차 영역이나 이전 용접 라인의 인접 부분에서 옵션으로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지그재그, 2방향 이상 등){잠금을 위한 지퍼와 같이 충격체에 고정하는 저항이나 스트립과 같은 열원을 통해}을 통한 1회 이상의 용접을 위해 충격체와 지퍼를 결합시킨다(둘 중 하나의 운동 시, 하지만 중요한 것은 지퍼).
    - 2단계에서, 커버와 스트립을 외부 면에 부착하고자 할 때, 지퍼 조 상부 조각이 외부를 향해 앞쪽으로 움직여 위의 두 조각들을 위한 공간을 남겨둔다.
    - 3단계에서, 충격체 위의 조각이 외부를 향해 앞쪽으로 움직여 원하는 부분, 이 경우는 교차 영역{플랩과 용기 몸체 교차 부분에서 수행하는 용접 라인의}과 플랩이나 스트립의 잔여 부분을 밀 때 커버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접도록 한다.
    - 4단계, 지퍼 조 하부의 조각은 충격체(6) 상부 조각 하부나 측면 또는 경우에 따라 잠금 지퍼 조(8)에 설치하고 고정한 탐침(44), 회전 막대(45), 절단기(상하 움직임)에서와 같은 밀기 모드를 통해 플랩, 커버, 삼각형 몸체(36), 스트립을 용기 측면으로 접을 때 일부 공간을 남기도록 외부로 움직여 시작 지점으로 돌아온다.
    - 5단계, 지퍼 조(경우에 따라, 충격체) 하부 조각은 탐침(44)이나 회전 막대(45)가 동조 방식으로 충격체에 삽입되고 허용을 위해 시작 지점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지그재그, 2방향 이상 등)으로 반으로 접는 플랩 / 삼각형 형태(36)이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봉합(2a, 2b, 2ae, 2be)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충격체 하부에 접촉하게 된다. 동시에, 반으로 접은 플랩이나 스트립보다 더 큰 너비를 갖는 회전 막대(45)는 잠금 지퍼 조 하부 조각의 경로를 막지 않기 때문에 시작지점으로 돌아갈 필요가 없다.
    또한, 돌출을 통해 충격체 상부 조각이 1회 이상 반으로 접는 플랩이나 스트립의 고정을 쉽게 하기 위해 외부를 향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 6단계에서, 충격체 상부 조각은 잠금 지퍼 조 하부 조각과 같이 시작 지점으로 돌아온다.
  35. 모든 측면에서 2방향 이상으로 충격체를 통해 압력을 적용하는 압축 단계로 특징짓는 주장 1, 2, 9에 따른 절차는 첫 번째 패키지가 이를 통해 동일한 형태를 획득하는 구멍을 만든다.
  36. 인접 주변 측면의 압축 단계에서 서로의 앞에 위치하고 주변 측면, 플랩, 삼각형 형태 사이를 규정하기 위해 움직이는 조의 이중 세트(6, 8)를 이해하는 충격체(6)로 특징짓는 주장 1, 2, 9에 따른 절차
  37. 주장 1이나 9에 따라 탄성 용기를 변형시키는 절차, 본 절차는 일부 혹은 전체적으로 기본 용기의 동일한 주변 측면 좌, 우측에 45도 기울기로 수행한 압축 단계, 평행한(대략) 압축, 45도 기울기를 가진 지속적인(충격체를 가급적이면 45도로 회전) 압축으로 특징 지으며 다음을 얻는다.
    지지 측면이나 추가 측면, 플랩이나 삼각형 형태의 피크
    이후, 조의 이중 세트(6, 8)나 충격체 2개를 사용하여 피크 형태를 가진 플랩 / 삼각형 형태의 양측을 압축하며 이를 통해 플랩 / 삼각형 형태를 규정한다.
    마지막으로 플랩을 조작한다.
  38. 용기가 충격체를 향하도록 하며 수행하는 압축 단계로 특징짓는 주장 1, 2, 9, 36, 37 및 수동으로 혹은 로봇 손이나 기계식 팔과 같은 자동화 기계를 통해 선택한 운영에 따른 절차
  39. 결합으로 특징 짓는 주장 1, 2, 9, 35, 36, 37, 38에 따른 절차, 충격체(6)를 통한 압축 전, 충격체(6)가 행동을 시작하는 플랩 영역과 떨어진 영역에서 용기 외곽으로 내부에 담긴 유체에서 압력을 배출하며 이를 차단하고 잡기 위해 용기를 잡는 추가 단계 및 용기 팽창이 불가능하게 하여 3D의 기하학적 몸체를 만드는 방식으로 충격체를 적용할 때 용기 배출(또는 잡은 상태 유지를 위해 배출을 하고 여전히 압력을 가함)을 위한 추가 단계
  40. 플랩 / 삼각형 형태나 스트립을 만드는(37) 압축 단계 전에 이를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 1, 2, 9, 35, 36, 37, 38에 따른 절차:
    플랩이나 삼각형 형태 또는 스트립(37)을 만드는 기본 용기 와동이나 모서리 옆에 이러한 공간을 제공하여 플랩/삼각형 조각이나 스트립(37)의 형성이나 봉합이 쉽도록 내부 공간, 가급적이면 기본 용기(직사각형이나 사각형 형태의 두 면을 가진 용기, 와동이나 모서리 4곳 포함) 중심이나 중앙으로 향하는 낟알로 되거나 분상인{통조림, 기본 용기 와동 인접 영역 모서리에 위치} 고체(상추, 야채, 시리얼, 건과일)의 움직임
    절차는 간단한 두 단계들로 설명한다.
    - 플랩이나 삼각형 형태의 몸체가 만들 내부 내용물, 특히 해당 와동 옆 영역이나 측면에 정확히 위치한 것을 제거하거나 내부로, 가급적이면 용기 중앙이나 중심으로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기본 용기[또는 와동 옆 주변 인접 면, 가급적이면 이러한 와동에 가장 근접한 영역에 평행한(대략) 사인] 와동의 극단에서 중간이나 중심으로 가급적이면 45도(대략적 크기)의 대각선 트랙과 함께 용기의 내부 영역을 향하는 선형 실린더와 같은 기계식 방식으로 자극을 준 충격체나 조를 사용한 압축
    - 이후, 용기 내부로 유입시킨 이러한 충격체나 조는 플랩 / 삼각형 몸체나 스트립을 만들 와동 / 모서리 옆 또는 와동의 측면 인접 면 빈 공간, 특히 고체가 없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초기 시작 지점으로 돌아가거나 움직인다.
    와동이나 모서리는 다음을 통해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팽창을 위해 와동으로 향하는 공기나 액체 등의 흐름 방향으로 잡기 조(3)나 다음을 이용한 용기 압축
    집게는 와동/모서리를 주요 시작 지점으로 가져가는 것과 같이 이러한 집게들이 주요 출발 지점으로 돌아갈 때, 내부 영역에 와동/모서리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와동의 일부 혹은 와동 옆 측면이나 인접 측면인 양 조 사이를 이전 단계들의 모든 절차를 통해 잡게 될 두 개 조 세트{집게-실린더나 선형 실린더와 같은 기계식 모드로 자극}
  41. 이러한 용기를 다음과 함께 제공하여 탄성 용기를 완벽하게 하고 향상시키는 절차:
    내부 공간을 제한하는 두 면, 주변 측면으로 규정한 외부 주변 영역으로 제한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유체를 담고 있는 또는 옵션 혹은 상호 보완적으로 고체, 과립, 분상 물질들을 담고 있는 용기를 닫는 봉합 및 접는 라인
    20-45 마이크론 두께(대략)의 연재료 및 폴리프로필렌,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단 방향 폴리프로필렌, 단층 혹은 다층 특성들을 사용한 포장 유형
    플랩 / 삼각형 몸체나 스트립(37){플랩이나 삼각형 몸체를 통한 봉합이나 절단 시 생성} 조작으로 생성

    다음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용기의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 면에서 2개 용접 라인으로 저항이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관련 봉합(36a 도 14)으로 절차를 특징 짓는다.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과 용기 몸체 사이 교차 영역에서 용접 라인(직선, 반원, 대각선, 사선, 지그재그, 2방향 이상 등)을 갖는 한쪽 측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비슷한 방식으로 0.1-5mm(대략){0.1-2mm 사이에서 더욱 최적화 됨} 사이의 이전 것에서 분리된 다른 더 많은 용접 라인(직선, 반원, 대각선, 사선, 지그재그, 2개 방향 이상 등)으로 다음을 얻을 수 있다.
    용기의 지지 측면이나 추가 면에서 영구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는 용접 라인(교차 영역의)
    용기의 인접 면으로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이나 스트립(37)을 위한 용접 라인을 수행한 영역 내 접는 지점이나 아치
  42. 탄성 용기를 변형하여 다음을 갖춘 용기를 얻을 수 있도록 완벽하게 하고 향상시키는 절차:
    주변 측면으로 규정한 외부 주변 영역으로 내부 공간을 제한하는 두 면
    유체를 담고 있고 옵션 혹은 상호 보완적으로 고체, 과립, 분상 물질을 담은 용기를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닫는 봉합이나 접는 라인
    10-45 마이크론(대략) 두께를 가진 탄성재 및 동일한 유형의 폴리프로필렌,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단 방향, 2층과 같은 단층/다층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포장 방법이 있다.
    다루게 될 플랩 / 삼각형 조각이나 스트립(37){플랩이나 삼각형 조각을 봉합 및 절단하여 생성} 생성 방법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 면들의 전체 혹은 표면의 3/4(대략)에 해당하는 용접 라인으로 저항이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통한 봉합의 구성 내용에 따라 절차를 특징 지으면 다음을 얻게 된다.
    용기의 지지 면이나 추가 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용접 라인
    용기 인접 측면을 향하는 플랩(또는 삼각형 조각)이나 스트립(37)의 아치
  43. 기본 탄성 용기를 3D 용기로 변형시켜 이러한 탄성 용기들이 기본적으로 다음 특성을 갖게 하는 기계 내 장치
    내부 영역을 제한하고 이와 동시에 주변 면으로 규정한 주변 측면 영역을 제한하는 두 측면
    용기를 닫는 봉합 혹은 접는 라인
    용기는 몇몇 유체를 담지만 옵션 혹은 상호 보완적으로 고체, 다른 유형의 고체, 과립, 분말 등을 담을 수 있으며 다음 내용도 가능하다.
    탄성 용기의 주입 및 봉합 기계에 다음을 구성한다.
    - 코일 필름에서 용기 몸체 생성 방법
    - 두 면에서 측면 및 수평으로 기본 용기를 봉합하고 절단하는 조나 클램프 또는 평행한 조, 집게, 클램프의 2개 세트를 가진 장치
    - 탄성 용기에서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나 스트립(플랩 / 삼각형 형태를 봉합 및 절단하여 생성)생성하는 장치

    내용물로 특징짓는 기계 장치:
    1개 이상의 접는 방식을 사용하는 장치: 동일한 플랩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다른 부분에 대해 플랩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개 이상의 방향으로 1회 이상 만들며 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에서 플랩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반으로 1회 이상 접을 수 있도록 하며 평행하게 혹은 한 쪽 혹은 다른 쪽을 향한 일정 각도로 이들을 겹친다.
  44. 다음과 같이 플랩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8)과 동일한 플랩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다른 부분의 통합 유지를 위한 접착이나 고정 방법의 포함으로 특징짓는 주장 43에 따른 장치
    - 플랩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8)의 일부에 대해 1회 이상 접는 동일한 플랩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8) 측면을 1회 이상 봉합하는 열원을 사용한 용접 시스템
  45. 충격체(6)나 지퍼 조(8)의 측면이나 면에서{생성 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과 접촉} 플랩(36)이나 스트립(37) 내에 1회 이상 반으로 접는 부분 두 곳을 유입시키기 위한 빈 슬롯(42) 및 구멍{단일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에 언제나 놓인} 또는 플랩(36)이나 스트립(37) 내에서 1회 이상 반으로 접는 부분 두 곳을 유입시키기 위해 구멍을 향하고 빈 슬롯(42)을 지나치는 플랩(36)이나 스트립(37) 일부의 밀기 포함으로 특징짓는 주장 43과 44에 따른 장치: 또한 측면이나 면의 내, 외, 정확히는 빈 슬롯 및 구멍에 포함하지 않거나 고정하지 않고 충격체(6)나 지퍼 조(8)에 고정하는{생성 시 플랩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과 접촉} 수평이나 대각선 위치에서{선형 실린더(9)나 회전 실린더와 같은 이동 모드로 활성화, 또한 지퍼 조(8)와 함께 충격체(6) 내, 외부의 일부가 되거나 완전히 위치 혹은 고정할 수 있음} 탐침(46)을 갖는다.
    이와 동시에 접착이나 고정 시스템이 있으며 가장자리(c)의 일부 측면이나 플랩/삼각형 조각(36)이나 스트립(37)의 가장자리(d) 옆 영역에서 봉합{선형 실린더(9)나 회전 장치의 이동 방식으로 활성화되며 실린더의 일부나 전체를 충격체(6)나 지퍼 조(8)의 내, 외부에 위치시키거나 고정함}을 위해 구멍 내 고정된 저항이나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용접 시스템이 한 예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옵션으로 더 많은 결합 및 고정 시스템이 있으며 플랩 / 삼각형 모형(36)이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플랩 / 삼각형 모형(36)이나 스트립(37) 면의 봉합(2a, 2b, 2ae, 2be)을 위해 충격체(6)나 지퍼 조(8)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는 (생성 시 플랩 / 삼각형 모형(36)이나 스트립(37)의 측면에 접촉)저항, 레이저,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사용하는 용접 시스템{플랩 / 삼각형 모형(36)이나 스트립(37)을 위해 항상 배치)을 예로 들 수 있다.
  46. 빈 슬롯이 쉬운 열기나 닫기를 위해 충격체(6)나 지퍼 조(8) 측면에 고정한 열기나 닫기가 가능한{선형이나 회전 실린더(16)와 같은 이동 모드를 통해 활성화} 유동적 문(43)과 같은 닫기나 열기 시스템을 가질 수 있도록 특징짓는 주장 45에 따른 장치: 한편으로는 생성 시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의 양 면 사이에 남아있는 용기 내 포장 내용물을 몸체 쪽으로 방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저항이나 초음파와 같은 용접 시스템을 위한 지지면 역할을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 하부에서 봉합이 가능하다.
  47. 탐침이 판자나 플랫폼(46) 형태를 갖도록 하고 움직이지 않을 경우 충격체나 지퍼 조(8) 내, 외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수평 방향 혹은 대각선으로 각각 움직일 수 있도록 놓는 측면이나 면에 따라 수평이나 대각선 위치에 놓도록 특징짓는 주장 45에 따른 장치
  48. 봉합을 위해 충격체(6)나 지퍼 조(8)의 측면{생성 시 플랩/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 면에 접촉하는}에 고정할 수 있는 저항, 레이저,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통한 용접 시스템{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위해 매번 배치하는}과 같은 결합이나 고정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특징짓는 주장 43과 44에 따른 장치
    한편으로는, 옵션으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쉬운 방식으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 면을 통해 다수(2a, 2b, 2ae, 2be) 봉합, 이후 이전에 사용한 용접 라인으로 1회 이상 정확하게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을 1회 이상 반으로 접은 후, 제자리에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은 상태로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가장자리(c){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접을 때 생성}나 이러한 가장자리(c)의 인접 영역(d)에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 면을 통해 다수 봉합(2ac, 2bc, 2ad, 2bd)
    충격체(6)나 지퍼 조(8)의 측면에{생성 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과 접촉하는)}는 단일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위해 항상 배치하는 탐침(44, 45 도 5){선형 실린더(9)나 회전 실린더와 같은 모션 모드로 활성화}과 같은 밀기 시스템을 배치한다. 또한 탐침(44, 45)이 활성화 되지 않을 때는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 부분에 대한 아래쪽 밀기를 목적으로 안쪽에{충격체(6)와 지퍼 조(8)를 결합시키도록 외부로 향하는 돌이 없이} 배치한다. 그 옆에는 지퍼 조(8)뿐만 아니라 충격체(6) 모두의 내, 외부에 실린더 일부 혹은 전체를 배치하고 고정하여 이들을 반으로 접을 수 있다.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으로 동일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다른 부분을 덮는다.
    한편으로는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이들을 1회 이상 봉합하지 않을 경우, 나중에 훅이 잡거나 차단하는 라인이나 영역을 따라 플랩/삼각형 형태(36)와 스트립(37)을 정확히 접을 수 있도록 접기 전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에 적합한 높이에서 이를 잡기 위해 훅{선형이나 회전 실린더와 같은 이동 모드를 통해 작동}과 같은 차단 시스템 모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체(6)나 지퍼 조(8)의 측면{생성 시 플랩/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의 측면에 접촉}에 고정이 가능하다.
  49. 바(44)의 형태를 가진 탐침으로 특징짓는 주장 48에 따른 장치, 또한 활성화 되지 않을 경우 충격체나 지퍼 조(8) 내에 고정 한다. 뿐만 아니라 이것이 위치하며 대각선이나 사선인 측면과 관련하여 평행 혹은 수직 위치로 배치하는 방법(아래쪽이나 측면으로 움직이기 위한 대각선 또는 사선 위치)이 될 수 있다.
  50. 90도로 접은 회전 막대(45)와 같은 형태를 지닌 탐침으로 특징짓는 주장 48에 따른 장치, 활성화 되지 않을 경우, 수평 방향으로 측면에 평행인 막대의 일부는 충격체나 지퍼 조(8) 내에 위치한다, 게다가, 아래쪽으로 180 도(대략)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90도 ~ 180도로 돌릴 수 있도록 회전 막대(45) 손잡이에 이러한 막대(45)를 고정하여 더욱 최적화 한다. 회전 막대를 180도(대략) 위로(45) 올릴 필요 없이 지퍼 조(8)가 다시 한 번 충격체(6) 근처로 가도록 움직일 수 있다.
  51. 측면으로 접는 플랩/삼각형 형태나 스트립을 위해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특징짓는 주장 43, 44에 따른 장치 이후 이는 1회 이상 반으로 접을 수 있다. 충격체(6)나 지퍼 집게(8){3중 혹은 4중 세트의 경우, 충격체(6)를 세 조각 이상으로 나누며 이는 이것이 지퍼 집게(8)의 두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 상부 조각은 측면이나 상, 하와 같이 장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 같은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고 다른 것{선형 실린더나 선형 배치 장치와 같은 방식으로 활성화, 플랩이나 스트립이 접촉하지 않는 측면, 기저부에 부착 가능}에 독립된다. 첫 번째 예시는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측면으로 접기 위한 것이며 두 번째 예시는 아직 접거나 반으로 접지 않은 플랩(36)이나 스트립(37) 일부의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사선, 반원, 오목/볼록, 지그재그, 2방향 이상)을 통한 1회 이상 봉합{이전 혹은 이후, 플랩(36)이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는}과 함께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반으로{측면에 고정한(기저부나 측면, 또는 충격체(6)나 지퍼 조(8)의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과 접촉하는 측면에서 최적화) 탐침(44), 회전 막대(45), 절단기(상, 하 운동)과 같은 밀기 모드를 통해} 접는다.
  52. 1회 이상 반으로 접을 때 느슨한 상태로 있는 플랩 / 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봉합이나 봉합 및 절단에 따른 옵션으로 장치를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 43-48에 따른 장치로 다음을 갖는다.
    - 접촉 후미와 같은 접착 및 고정 시스템 또는 용접 시스템(플랩/삼각형 형태(36)나 느슨한 스트립(37)의 일부 면에 있는 용접 라인으로 1회 이상 봉합을 위해 저항과 같은 열원을 사용) 또는 절단/소작{느슨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전체 혹은 일부를 절단하기 위해 칼과 같은 절단 모드 사용} 시스템, 1회 이상 반으로 접고 난 후 느슨하게 끝나는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위해 배치. 또한 측면{추후 생성 시 플랩/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과 접촉하는}이나 충격체(6)나 지퍼 조(8) 모두의 구멍(42) 등에 이들을 고정한다.
  53. 다음을 갖는 탄성 기본 용기를 3D 용기로 변형하는 기계
    내부 영역을 제한함과 동시에 인접 측면으로 규정한 인접 외부 영역으로 제한되는 두 측면
    용기와 근접한 봉합 혹은 접기 라인
    용기가 유체를 담고 옵션으로 혹은 상호 보완적으로 고체, 과립, 분말 등을 담을 수 있음
    기본 용기나 처음에 기계에 유입시킨 용기 검출을 위한 센서
    이동 가능한 충격체(6)[선형 이동 방법(9)이나 회전으로 활성화]나 이동 불가능한(도 2) 충격체: 플랩/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을 생성하기 위해 주변 측면 일부에서 주변 외곽 측면 방향으로 누르기 위함
    지지 면이나 추가적 생성 면을 영구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봉합 집게(8)가 열원 모드를 갖는 해당 플랩(또는 삼각형 몸체)이나 스트립(37)의 일부 측면이나 외부 주변, 측면 외곽에서 마무리 봉합, 봉합 및 절단, 칼날을 사용한 절단 방법 등과 함께 선형 움직임 방법(9)이나 회전 방법으로 활성화 하는 봉합 조나 클램프(8) 또는 봉합 및 절단(8) 시스템
    다음의 유무로 기계를 특징 지음
    -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일부를 동일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다른 부분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기를 통해 수집하는 장치, 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 라인과 같이 1회 이상 플랩/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는 역량과 함께 평행하게 혹은 양측에 대한 일부 각도로 이들을 겹친다.
    - 봉합을 위한 충격체(6)나 지퍼 조(8)에서 측면{생성 시커버/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의 면과 접촉} 등에 저항, 레이저,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용접 시스템{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위해 항상 배치}과 같은 접착이나 고정 시스템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옵션으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쉬운 방식으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 면을 통해 다수(2a, 2b, 2ae, 2be) 봉합, 이후 이전에 사용한 용접 라인으로 1회 이상 정확하게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을 1회 이상 반으로 접은 후, 제자리에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은 상태로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가장자리(c){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접을 때 생성}나 이러한 가장자리(c)의 인접 영역(d)에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 면을 통해 다수 봉합(2ac, 2bc, 2ad, 2bd)
  54. 유체를 내부에서 잡고 옵션으로 또는 상호 보완적으로 고체, 과립, 분상을 잡아 다음을 구성하여 탄성 용기 기계를 정확히 하고 향상시킴:
    - 용기 몸체 생성 방법
    - 탄성 용기를 가로 및 수평 방향으로 봉합하고 절단하는 체결 장치나 평행한 클램프, 조 2개 세트
    - 조작을 위한 플랩/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플랩이나 삼각형 형태를 봉합 및 절단 시 생성}을 위한 생성 방법
    구성으로 기계를 특징지을 때:
    -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동일한 플랩/삼각형 조각(36)이나 스트립(37)으로 덮어 한 방향(예: a, b)으로 절반으로 접는 방법을 통해 조립할 장치, 직선, 대각선, 오목/볼록 반원에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이들을 평행하게 혹은 한쪽이나 다른 쪽을 향한 일정 회전 각도로 겹친다.
    - 저항, 레이저, 초음파와 같은 열원을 이용한 용접 시스템{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위해 항상 배치}과 같은 결합이나 고정 시스템을 부착이나 결합할 충격체(6)나 지퍼 조(8)의 측면{생성 시 플랩/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과 접촉하는}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옵션으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쉬운 방식으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 면을 통해 다수(2a, 2b, 2ae, 2be) 봉합, 이후 이전에 사용한 용접 라인으로 1회 이상 정확하게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을 1회 이상 반으로 접은 후, 제자리에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은 상태로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가장자리(c){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접을 때 생성}나 이러한 가장자리(c)의 인접 영역(d)에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 면을 통해 다수 봉합(2ac, 2bc, 2ad, 2bd)
  55. 탄성 용기의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는 장치로 특징짓는 주장 53이나 54에 따른 기계는 다음을 갖는다.
    열고 닫는 폐쇄를 통해 빈 슬롯과 함께 플랩(36)이나 스트립(37)에서 1회 이상 반으로 접는 두 조각을 유입시킬 충격체(6)나 지퍼 조(8) 측면에 빈 슬롯(42) 및 구멍, 이는 고정한(43){선현이나 회전 실린더(16)와 같은 이동 모드로 활성화 하는} 작은 문을 가질 수 있다.
    빈 슬롯이나 구멍이 있거나 없는 수평이나 대각선 위치 및 충격체(6)나 지퍼 조(8)의 측면 내, 외부에 고정할 플랩(36)이나 스트립(37)에서 반으로 접은 조각 두 개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멍으로 플랩(36)이나 스트립(37)의 일부를 밀어 빈 슬롯(42)을 지나치는 탐침{선형 실린더(9)나 회전 실린더와 같은 이동 방식으로 활성화, 실린더의 일부나 전체는 충격체(6)나 지퍼 조(8) 내, 외부에 고정}
  56. 탄성 용기의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에서 반으로 접는 장치를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 53이나 54를 준수하는 기계는 다음을 갖는다.
    차후에 수행한 용접 라인(2a, 2b, 2ae, 2be)을 위해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정확한 접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면에 대해 수 차례(2a, 2b, 2ae, 2be)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옵션으로 부착이나 봉합을 하는 용접 시스템과 같은 부착 및 고정 시스템,
    충격체(6)나 지퍼 집게(8)의 측면에 고정한 탐침(44)이나 회전 막대(45){선형 실린더(9)나 회전 실린더(16)와 같은 이동 모드로 활성화}와 같은 시스템 내 밀기 방식, 활성화 되지 않을 때 내부{충격체(6)와 닫는 집게(8)가 결합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한 돌출부 없이}에 위치하여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 일부를 동일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위로 접을 수 있도록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일부를 밀어 내린다.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으면, 가장자리(c){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접을 때 생성}나 이러한 가장자리(c) 옆에 떨어져 있는 (d)에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면을 통해 수 차례(2ac, 2bc, 2ad, 2bd) 봉합하거나 결합시키는 용접 시스템과 같은 부착 및 고정 시스템, 이 같은 방식으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영구적으로 고정하거나 반으로 접는다.
  57. 탄성 용기의 플랩/삼각형 형태나 스트립을 한 쪽 이상을 향해 접고 이후 1회 이상 반으로 접는 시스템을 갖도록 특징짓는 주장 53이나 54를 따르는 기계는 다음을 갖는다.
    - 옵션으로 결합이나 봉합을 하며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 면을 통해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수차례(2a, 2b, 2ae, 2be) 반으로 접기 전에 방식으로 차후에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사용하고자 하는 용접 라인(2a, 2b, 2ae, 2be)에 대해 정확하게 절반으로 접는 것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시스템과 같은 여러 개의 결합 및 고정 시스템
    - 두 조각으로 나눈{또는 충격체(6)가 지퍼 조(8)의 양 측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세 조각} 충격체(6)나 지퍼 조(8), 이들 중 하나는 움직임이 가능하여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접기 위해 측면으로 움직인다{선형 실린더나 선형 변형 장치와 같이 기계식 방법을 통한 움직임}.
    - 충격체(6)나 지퍼 조(8)상부에서 조각의 기저 면이나 측면에 고정시킨 탐침(44), 회전 막대(45), 절단기(위, 아래 움직임){선형 실린더(9)나 회전(16 도 4)움직임을 통해 활성화}와 같은 밀기 시스템 방식, 이는 내부{충격체(6)와 지퍼 조(8)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한 돌출 없이}에 위치하며 활성화 되지 않을 경우,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 부분을 아래쪽으로 밀어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이 동일한 플랩/삼각형 형태(38)나 스트립(37)위로 올라가도록 반으로 접는다.
    -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으면 가장자리(c){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접을 시 생성}나 가장자리(c) 옆 분리된 영역(d)의 일부에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이 1회 이상 반으로 접히도록 유지하는 방식으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면들을 통해 수차례(2ac, 2bc, 2ad, 2bd) 봉합하거나 결합시키는 용접 시스템과 같은 결합이나 고정 시스템
  58. 옵션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고 난 후 느슨해진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봉합 또는 봉합 및 절단을 위한 장치 구성으로 특징 짓는 주장 53이나 54를 준수하는 기계는 다음을 갖는다.
    - 용접 시스템(용접 라인 및 느슨해진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 면의 일부를 사용한 봉합을 위해 저항과 같은 열원을 사용한)것과 같은 결합 및 고정 시스템 또는 1회 이상 반으로 접은 후 느슨해지는 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위해 배치한 절단/소작 시스템{느슨해진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의 전체 혹은 일부의 절단을 위해 칼날과 같은 절단 방식을 사용}
  59. 선택한 충격체(6)과 지퍼 조(8)로 특징짓는 주장 53을 준수하는 기계:
    - 충격체(6)와 지퍼 조(8)에 맞춰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2중 세트
    - 중앙에 위치한 충격체(6)에 맞춰 조정하는 지퍼 조(8) 두개를 포함하는 3중 세트
    - 중앙에 위치하는 충격체(5) 2개에 맞춰 조정하는(또는 자체를 조정) 지퍼 조(8) 두 개를 포함하는 4중 세트
  60. 자체를 조정하거나 조정되도록 하며 이들 사이의 분리가 필요한 2개 세트[충격체(6)와 지퍼 집게(8) 두개]로 구성하도록 특징짓는 주장 59를 준수하는 기계로 용기나 변형된 기본 용기가 이들 내로 들어가거나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다음 세트의 선택이 가능하다.
    - 1, 2개 세트(3중 혹은 4중)이나 1, 2, 3, 4개 세트, 충격체(6)을 움직이거나[선형 움직임 방법(9)나 회전 모션 장치로 활성화]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61. 기계에서 기본 용기로 유입시키기 전 또는 잡기 집게(3) 사이에서 추가 단계의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53, 55, 56, 57, 58, 59, 60을 준수하는 기계, 충격체(6)나 지퍼 조(8) 또는 2중, 3중, 4중 집게 세트(6, 8) 또는 일부 경우에서는 잡기 집게(3)들을 배치하고 선형 실린더(9)나 회전 실린더와 같은 자극 모드를 통해 이를 시작 지점으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시작 패키지를 우리가 원하는 3D의 기하학적 몸체로 변형시키면 선형 이동 장치에서 어려움 없이 기계의 시작 지점으로 주요 용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62. 잡기 클램프(3)나 잡기 클램프{집게 실린더나 회전 또는 선형 실린더와 같은 자극 모드로 활성화}를 2개 이상 갖는 다양한 세트들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 53, 55, 56, 57, 58, 59, 60, 61을 준수하는 기계, 이들은 용기를 잡거나 용기 내 담긴 유체에 충격체(6)가 움직이는 플랩과 떨어진 영역인 용기 외곽 쪽으로 약간의 압력을 배출하게 된며 이를 통해 잡기 클랩프(3)를 집어 넣어 해당 충격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또는 해제 후 용기에 압력을 배출하여 더욱 세게 잡도록 함). 이 같은 방식으로 해당 충격체를 적용하면 용기가 팽창하여 3D 형태의 기하학적 물체를 얻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배출 압력은 플랩의 형성을 증가시킨다.
  63. 시작 용기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고 출발 시키는 선형이나 회전 모션 방법 또는 잡기 클랩프(3)가 변형 전 기본 용기의 지지 기반 역할을 하도록 하여 활성화하는 추가적인 작은 문(10) 구성으로 이를 특징짓는 주장 53, 55, 56, 57, 58, 59, 60, 61, 62를 준수하는 기계, 또한 작은 문의 높이에서 청사진의 높이를 조절하고 기본 용기가 적합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잡기 클랩프(3)가 극단 면의 중간 지점이나 플랩을 만들어 내는 측면 주변 측 옆을 제외한 영역에서 기본 용기를 잡도록 하는 이동 모드로 구성하기도 한다.
  64.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53, 55, 56, 57, 58을 준수하는 기계
    - 지지
    - 기본 용기나 기계에 처음으로 유입되는 용기를 파악하는 센서
    - 1회 이상 반으로 접는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고정 및 봉합하고 플랩(36)이나 스트립(37)을 반으로 접기 위해 충격체(6)와 폐쇄 조(8) 모두를 배치하는 상부에 있는 3중 또는 4중 클램프나 조(6, 8) 세트
    상부에 있는(6, 8) 조 세트와 하부에 있는 것들은 조정되거나 수직으로 자체를 조정하고 최소 이미 변형된 용기나 기본 용기가 지나가거나 이러한 조(6, 8) 세트 2개 사이로 유입되도록 이들 사이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세트에서 충격체(6){플랩이 더 잘 형성되기 때문에 실린더 형태를 가질 때 더욱 최적화 됨, 특히 용기 내부에 유체나 반죽이 있을 때}를 회전 실린더 손잡이에 고정시키며 상부에 있는 회전 실린더를 선형 실린더(9)에 수직으로 고정시킨다.
    각 3중, 4중 조 세트(6, 8)의 지퍼 조(8){반 실린더 형태를 가지거나 볼록할 경우 더욱 최적화되어 충격체(6) 측면에 결합하거나 분리되도록 함}가 각각의 충격체(6)에 고정되면 다음을 발생시킨다.
    기본 용기가 때리거나 충돌하게 한다(또는 그 반대):
    - 첫 번째 예시의 기본 용기는 충격 조나 클램프(6) 상부에 충돌하거나 이를 때려 2개 플랩의 길을 만들어준다.
    -in second instance, after turning180 degrees and advancing downwwards actioned by the linear cylinder (9) on the upper side}, the other lateral side parallel to the lateral side in which the flaps 두 번째 예시에서, 상부에서 선형 실린더(9)를 통해 180도로 회전하고 아래로 향한 후 클램프나 조(6, 8)가 잡은 플랩이 위치한 측면과 평행한 다른 측면은 하부의 충격체(6)를 때려 다른 충격체나 2개 플랩을 생성한다.
    - 세 번째 예시에서, 용접 라인[플랩이나 삼각형 형태에서 스트립(37)을 생성할 경우: 이를 다시 봉합하고 절단]을 통해 위, 아래에서 만든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을 첫째, 옵션으로 1회 이상 봉합하고 봉합 및 절단이 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 예시에서, 이들을 반으로 접으며 세 번째 예시에서 용접 라인으로 이를 봉합한다.
    지퍼 클램프나 조(8)를 활성화 하면 양쪽 클램프(6, 8) 사이에 잡은 플랩/삼각형 형태를 통해 용기를 잡는다.
    충격체(6)는 용기를 180도 아래쪽으로 회전시켜[이들을 회전 실린더의(16) 손잡이에 고정하기 때문] 용기를 배출하도록 한 후 충격체(6)를 180도 회전시켜 처음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한다.
  65. 주장 53-64에 명시된 기계 사용 외 주장 1-42에 명시된 절차를 통한 획득 또는 주장 43-52의 장치 사용으로 특징짓는 탄성 용기
  66. 하부에서 조작하는 한 개 플랩(삼각형 형태)과 함께 마름모꼴 피라미드(도 17)와 유사한 방식의 용기 몸체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에 따른 탄성 용기는 다음과 같다.
    일부 방향 혹은 측면이나 면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고 가장자리(c) 면의 일부 혹은 이전 가장자리의 인접 영역(d) 에서 용접 라인으로 봉합한다.
  67. 아치가 측면을 향하며 아래에서 구성 스트립(37)을 봉합하고 절단하도록 조작하는 한 개의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을 통해 마름모꼴 피라미드(도 17)와 유사한 용기 몸체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68. 스트립(37)의 추가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7을 준수하는 탄성 용기, 일부 방향이나 측면 혹은 면을 향하는 반으로 접기 또는 가장자리(c)의 측면이나 면 또는 이전 가장자리의 인접 영역(d)의 용접 라인을 통한 봉합
  69. 일부나 면에서 일부 용접 라인을 통해 플랩(36)이나 스트립(39)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추가적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6이나 [67또는 68]을 준수하는 탄성 용기, 플랩과 용기 몸체(2a, 2b)의 교차영역이나 인접 영역(2ae, 2be)에서 교차 라인 또는 앞서 진행하는 용접 라인
  70. 아래에서 다음과 같이 조작하는 2개 플랩(삼각형 형태)을 갖고 바구니(도 6)와 유사한 용기 몸체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방향이나 측면으로 서로 반으로 접고 가장자리(c)나 이전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d) 한 쪽 측면의 일부 용접라인으로 봉합
  71. 하부에서 2개 혹은 둘 중 하나를 봉합하고 절단하여 아치가 측면을 향하는 스트립(37)을 만들도록 조작하는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과 함께 바구니(도 6)와 유사한 형태의 용기 몸체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에 따른 탄성 용기
  72. 일부 방향이나 측면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고 가장자리(c)의 일부나 이전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d) 용접 라인을 통해 봉합하는 스트립(37)의 추가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71을 준수하는 탄성 용기
  73. 플랩과 용기 몸체(2a, 2b) 사이 교차 영역이나 교차 영역이나 앞서 나오는 용접 라인에 인접한 영역(2ae, 2be)의 일부나 측면의 용접 라인을 통해 플랩(36)이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추가적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9나[71 또는 72]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74. 세 개 플랩(삼각형 형태)을 통해 항아리(도 9)와 유사한 용기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는 다음과 같이 된다.
    몇몇 방향이나 측면을 향해 이들 위로 1회 이상 접고 가장자리(c)나 가장자리나 선행하는 용접 라인에 인접한 영역(d) 의 일부나 측면에 있는 용접라인으로 봉합한다.
  75. 세 개 혹은 그들 중 일부가 되도록 조작하고 아치가 측면을 향하는 구성된 스트립(37)을 봉합 절단하는 세 개 플랩(삼각형 형태)을 통해 항아리(도 9)와 유사한 용기 몸체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76. 스트립(37)에서 추가적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7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한쪽 방향이나 측면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또한 가장자리(c)의 일부나 면 또는 이전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d)의 용접 라인을 통한 봉합
  77. 플랩의 교차 영역에서 용기(2a, 2b) 몸체까지 부분이나 앞선 교차 영역이나 용접 라인의 인접 영역(2ae, 2be) 일부 면 또는 측면에 있는 용접 라인을 통해 플랩(36)이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추가적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74나[76 또는 76]준수하는 탄성 용기
  78. 큐브(도 7)나 4개 플랩(삼각형 형태)을 갖는 직사각형 프리즘과 같은 평행한 파이프 형태의 용기 몸체를 통한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로 다음과 같다.
    일부 방향이나 측면을 향해 1회 이상 반으로 접고 가장자리(c)나 선행하는 가장자리 또는 용접 라인에 인접한 영역(d)의 일부나 면에 있는 용접 라인으로 봉합한다.
  79. 4개 플랩(삼각형 형태)을 가진 큐브(도 7)나 직사각형 프리즘과 같이 평행한 파이프 형태의 용기 몸체를 통해 구성하도록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아치가 측면을 향하는 4개 전부 혹은 1개 이상의 플랩을 봉합하고 절단한다.
  80. 일부 방향이나 측면 혹은 면에 대한 1회 이상의 절반 접기와 가장자리(c)나 이전 가장자리 인접 영역의 일부나 면에 있는 용접 라인에 대한 봉합으로 4개나 1개의 스트립(37)에서 추가적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79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81. 큐브(도 7)나 4개 플랩을 가진 직사각형 프리즘과 같이 평행한 파이프 형태의 용기 몸체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는 다음과 같다.
    이부 방향 또는 측면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고 가장자리(c)나 앞선 가장자리나 용접 라인 인접 영역(d)의 일부나 면의 용접 라인을 통해 봉합한 하부의 양측
    수직으로(도 11) 그리고 수평으로 위치한 용기 내 상부 면을 향해 위치한 용기에서 아치가 측면을 향하는 구성 스트립(37)을 봉합하고 절단하는 상부 양측
  82. 일부 플랩 / 삼각형 형태와 용기 몸체(2a, 2b)의 교차 영역 또는 이전 용접 라인의 교차 영역에 인접한 영역(2ae, 2be)의 일부나 면에 있는 용접 라인을 통해 플랩(36)이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기 전 추가적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78, [79 및 80] 또는 81을 준수하는 탄성 용기
  83. 4개 플랩(삼각형 형태)을 가진 실린더(도. 10) 형태의 용기 몸체 구성으로 특징 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는 다음과 같다.
    일부 방향이나 측면 또는 면으로 1회 이상 반으로 접고 가장자리(c/g)나 앞선 가장자리나 용접 라인에 인접한 영역(d/g)인 일부 면의 용접 라인을 통해 봉합한다.
  84. 4개 플랩(삼각형 형태)을 가지며 4개 혹은 이중 하나로 아치가 측면을 향하는 구성 스트립(37)을 봉합하고 절단하는 실린더(도 19) 형태의 용기 몸체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85. 4개 혹은 이중 한 개 스트립(37)을 방향이나 측면으로 반으로 접고 가장자리(c/g)나 이전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d/g) 측면의 용접 라인을 통해 봉합하는 추가적 구성으로 특징 짓는 주장 84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86. 4개 플랩(삼각형 형태)을 가진 실린더(도 19) 형태의 용기 몸체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는 다음과 같다.
    일부 방향이나 측면으로 1회 이상 서로 접고 가장자리(c/g)나 앞선 가장자리나 용접 라인에 인접한 영역(d/g)의 일부 면에 있는 용접 라인을 통해 봉합하는 양측 아래
    양측 모두 위에서 아치가 측면을 향하는 구성 스트립(37)을 봉합하고 절단
  87. 플랩/삼각형 형태와 용기 몸체(2ag, 2bg) 사이 교차 영역[한 개, 상부 양측, 4개 모두]이나 앞선 교차 영역이나 용접 영역에 인접한 영역(2aeg, 2beg)의 측면 일부에 있는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사선, 오목/볼록 반원, 지그재그, 2개 방향 이상)을 통해 플랩(36)이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의 접기 전에 추가적 구성을 위해 특징짓는 주장 83이나[84, 85] 또는 86을 준수하는 탄성 용기
  88. 측면에 가장자리 용접 라인(3) 배치 시 몇몇 플랩(48)을 구성하는 것으로 특징짓는 주장[78-82]나 [83-87]을 준수하는 탄성 용기
  89. 1회 이상 반으로 접는 플랩/삼각형 몸체(36)나 스트립(37) 부분들의 결합이나 부착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88을 준수하는 탄성 용기
  90. 측면이나 용접 라인(46, 47)을 통해 플랩/삼각형 몸체(36) 또는 느슨한 스트립(37)의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65-88)이나 89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91. 절단 라인(46, 47)에 대한 플랩/삼각형 형태(36)나 느슨한 스트립(37) 봉합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89나 90을 준수하는 탄성 용기
  92. 절단 라인(46, 47)에 대해 플랩/삼각형 형태(36)나 느슨한 스트립(39)을 구성하도록 특징짓는 주장(65-88) 또는 89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93. 플랩/삼각형 형태(36)나 느슨한 스트립(39)을 용기 몸체나 플랩/삼각형 형태(36) 또는 스트립(37)에 결합시키도록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65-87) 또는 89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94. 플랩/삼각형 형태(36)나 느슨한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또는 일부 방향을 향하게 접도록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65-88) 또는 89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95. 플랩/삼각형 형태(36)나 스트립(37)을 1회 이상 반으로 접어 용기 몸체나 플랩/삼각형 형태(36)이나 스트립(37)에 결합시키도록 구성하여 특징짓는 주장 94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96. 한 쪽은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과 용기 몸체 교차 영역에서 발생하고 다른 부분은 이전 것과 0.1-5mm정도(대략) 떨어져 발생하는 플랩/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을 통한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사선, 오목/볼록 반원, 지그재그, 2개 방향 이상)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97. 플랩(또는 삼각형 형태)나 스트립(37)의 표면이나 일부 면에서 전체 혹은 3/4의(대략) 용접 라인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5를 준수하는 탄성 용기
  98. 플랩/삼각형 형태와 용기 몸체(2 도 14) 사이 교차 영역에서 플랩/삼각형 형태의 면을 통한 용접 라인(직선, 대각선, 사선, 오목/볼록 반원, 지그재그, 2개 방향 이상)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66-96을 준수하는 탄성 용기
  99. 플랩/삼각형 형태와 용기 몸체(2h 도. 21) 사이 교차 영역에서 수행하는 동일한 용접 라인 위나 이를 통한 절단 라인 구성으로 특징짓는 주장 97을 준수하는 탄성 용기

KR1020187006341A 2015-08-04 2016-08-04 플랩을 반으로 접는 3d 형태의 연포장재 제조를 위한 절차, 기계, 장치 KR201800643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201531164 2015-08-04
ESP201531164 2015-08-04
PCT/ES2016/000085 WO2017021570A1 (es) 2015-08-04 2016-08-04 Procedimiento, máquina y dispositivos para fabricar envases flexibles en 3d, por medio de plegar la solapa sobre sí mism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376A true KR20180064376A (ko) 2018-06-14

Family

ID=5794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341A KR20180064376A (ko) 2015-08-04 2016-08-04 플랩을 반으로 접는 3d 형태의 연포장재 제조를 위한 절차, 기계,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190161218A1 (ko)
EP (1) EP3403939A4 (ko)
JP (2) JP2018521922A (ko)
KR (1) KR20180064376A (ko)
CN (1) CN108290643A (ko)
AU (2) AU2016303131A1 (ko)
BR (1) BR112018002358A2 (ko)
CA (1) CA2994618A1 (ko)
CO (1) CO2018002430A2 (ko)
EA (1) EA201890459A1 (ko)
IL (1) IL257348A (ko)
MA (1) MA43847A (ko)
MX (1) MX2018001475A (ko)
PH (1) PH12018550010A1 (ko)
WO (1) WO2017021570A1 (ko)
ZA (1) ZA2018014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0520A4 (en) 2017-12-04 2024-02-21 Lopez Arostegui Saenz Guillermo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AND SEALING FLAPS OF FLEXIBLE PACKAGING, AND VARIOUS MODELS OF MORE 3D FLEXIBLE PACKAGING
TWI755173B (zh) * 2020-07-28 2022-02-1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取物方法、取物設備、開袋設備及取物系統
CN114639298B (zh) * 2020-12-15 2024-01-16 苏州市伯太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进行模块化组合的制造业小型教育设备
CN114368506B (zh) * 2022-02-22 2022-08-02 深圳市华耀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全自动纱布包装机
CN117342086B (zh) * 2023-12-04 2024-02-27 苏州慧胜自动化设备有限公司 真空包装四边同步折角转运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36005A1 (de) * 1962-06-22 1968-10-31 Jagenberg Werke Ag Vorrichtung zum Herstellen,Fuellen und Schliessen fluessigkeitsdichter Behaelter
BE786405A (ko) * 1971-08-03 1973-01-18 Quepor Sa
US4094127A (en) * 1976-11-29 1978-06-13 Andrea Romagnoli Apparatus for forming, filling and closing plastics trays
DE3545228A1 (de) * 1985-12-20 1987-07-02 Rovema Gmbh Verpackungsmaschine zum herstellen, fuellen und verschliessen von beuteln
DE19546846A1 (de) * 1995-12-15 1997-07-0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it Fließmittel gefüllten Beutelpackung
ES1039411Y (es) * 1997-12-15 1999-05-16 Dominguez Martin Francisco J Envase doblado de volumen-variable.
US6895729B2 (en) * 2001-09-19 2005-05-24 Polymer Packag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ag having an indent bottom wall
DE102005015565A1 (de) * 2005-04-05 2006-10-12 Krones Ag Anlage zum Herstellen und Bearbeiten von Behältern
CH699024B1 (de) * 2007-02-20 2010-01-15 Billy Ljungcrantz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hältern für die Massenanfertig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2857316A4 (en) * 2011-09-13 2015-09-16 Pack Save Planet S L METHOD AND MACHINES FOR TRANSFORMING INITICALLY SEALED PACKAGING INTO IRREGULAR CUBE OR POLYEDRIC PACKAGING BY MEANS OF SEALING AND CUTTING VALVES
WO2014140394A1 (es) * 2013-03-08 2014-09-18 Lopez-Arostegui Sáenz Guillermo Procedimiento y máquinas para transformar env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94618A1 (en) 2017-02-09
MA43847A (fr) 2021-05-05
WO2017021570A1 (es) 2017-02-09
EP3403939A1 (en) 2018-11-21
MX2018001475A (es) 2019-06-06
JP2023024451A (ja) 2023-02-16
US20190161218A1 (en) 2019-05-30
PH12018550010A1 (en) 2018-07-09
BR112018002358A2 (pt) 2018-09-25
AU2021282435A1 (en) 2021-12-23
AU2016303131A1 (en) 2018-03-29
ZA201801467B (en) 2018-12-19
CN108290643A (zh) 2018-07-17
IL257348A (en) 2018-03-29
EP3403939A4 (en) 2021-05-05
JP2018521922A (ja) 2018-08-09
CO2018002430A2 (es) 2018-07-31
EA201890459A1 (ru)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4376A (ko) 플랩을 반으로 접는 3d 형태의 연포장재 제조를 위한 절차, 기계, 장치
ES2640966T3 (es) Envase flexible con característica de cierre reutilizable interno
US5184896A (en) Self-expanding flexible pouch including improved extensible stay to maximize opening
CA2113273C (en) Self-expanding and reclosable flexible pouch
JP2014530150A (ja) 手順、機械、充填機、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および容器
CN106660680B (zh) 具有可分离的密封特征结构的包装及其制造方法
BR112012002560B1 (pt) método para fabricar continuamente recipientes feitos a partir de material flexível e máquina para realização de tal método
CN1478037A (zh) 可重复闭合袋及其填充和使用
JP2023024451A5 (ko)
JP2018521922A5 (ko)
WO2014140394A1 (es) Procedimiento y máquinas para transformar envases
JP2022051748A (ja) 様々なフレキシブルプラス3dコンテナのモデル、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のフラップを生成してシールする機械と手順。
US20150251374A1 (en) Method and Machine for Transforming Initial Sealed Packagings into Irregular Cubic or Polyhedral Packagings by Means of Sealing and Cutting Flaps
CN108082709A (zh) 保持打开装置和具有该装置的包装
KR101538051B1 (ko) 사면 입체 포장체 및 사면 입체 포장 방법
JP5035569B2 (ja) 紙容器
RU225578U1 (ru) Пакет упаковочный полимерный
WO2016042176A1 (es) Procedimiento y máquinas para transformar envases flexibles que contienen sólidos en envases 3d; modelos de envase 3d; dos sistemas oclusivos de la solapa
WO2016087690A1 (es) Procedimientos y procesos para transformar envases iniciales flexibles de dos caras, en envases tridimensionales; dispositivo de plegado y pegado de solapas; dispositivo de extracción de fluido; tapa generada en el mismo envoltorio de uno cualesquiera envase flexible
JP4728543B2 (ja) 内容物充填済軟質容器体包装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00325U (ja) 食品包装容器
RU2021123897A (ru) Процедура, модели гибких контейнеров и машина для создания и запечатывания клапанов гибких контейнеров
JP2019059519A (ja) 食品包装袋とその製造方法
MXPA99011660A (en) Bolsita, procedure for manufacturing the bag and using the mi
NZ336050A (en) A packaging bag or liner for a tray or box with longitudinal strips at top to form 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