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717A -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717A
KR20180063717A KR1020160163831A KR20160163831A KR20180063717A KR 20180063717 A KR20180063717 A KR 20180063717A KR 1020160163831 A KR1020160163831 A KR 1020160163831A KR 20160163831 A KR20160163831 A KR 20160163831A KR 20180063717 A KR20180063717 A KR 20180063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b
block
plywood block
panel
osb ply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2254B1 (ko
Inventor
박보규
Original Assignee
박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보규 filed Critical 박보규
Priority to KR1020160163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2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6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fillings between the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내부에 난연성 스티로폼을 충진하고 가변적인 사이즈 조절 및 강도보강을 위한 철판을 구비하여 레고형식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자재를 가공/조립함에 있어서 시공 인원과 숙련도의 차이에 따른 자재의 손실과 시공 후 완성도의 차이를 개선할 수 있으며, 레고형식으로 연결 가능하여 여러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10)은 다각형의 단면형상 공간을 한정하는 OSB(=Oriented Strand Board) 합판블록(20), 상기 OSB 합판블록(20)에 의해서 한정되는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난연성 스티로폼(30), 및 상기 OSB 합판블록(20)에 의해서 한정되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OSB 합판블록(20)과 상기 난연성 스티로폼(30) 사이에 배치되는 철판(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Panel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난연성 스티로폼을 충진하고 가변적인 사이즈 조절 및 강도보강을 위한 철판을 구비하여 레고형식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자재를 가공/조립함에 있어서 시공 인원과 숙련도의 차이에 따른 자재의 손실과 시공 후 완성도의 차이를 개선할 수 있으며, 레고형식으로 연결 가능하여 여러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물은 공장에서 제작·생산한 패널을 현장으로 반입해 조립 및 시공하는 형태의 건축물이다. 즉, 전자제품처럼 공장에서 동일한 품질로 제작하고 단기간에 조립해 손쉽게 건축이 가능한 조립식 건축물이다. 특히, 대부분 조립식 주택이라고 불리는 건축물은 건축법상 경량철골주택을 말하며, 주요 내력벽이 샌드위치 패널로 이루어진 주택이다.
조립식 주택은 패널의 주 재료를 기준으로 스틸주택과 목조주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스틸주택은 스틸빔과 함께 조립 및 시공되기 때문에 강하고 튼튼하며,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므로 공사시간이 짧다. 또한, 이동 및 재설치가 가능하고 대량생산에 의해 건축비용이 저렴하다. 이에 비해서, 목조주택은 주택에 작용하는 하중을 목재부재가 담당하는 주택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첨부도면 도 7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패널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2)로 형성된 함(100)의 공간(16) 내로 단열재(14)가 충진되고, 함(100)의 양측부 또는 양측부와 상하부에 구조재(200)가 설치되고, 패널의 양측면 판재(12a)를 패널의 전후면 판재(12b)의 양측 종단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구조재 설치용 홈(210)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상기 구조재(200)는 목재, 스틸스터드, 철골중에서 택일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단열재와 판재 사이의 틈이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압착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여 단열효과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식 건축물의 패널은 강도보강을 위해 구조재(200) 자체를 강도보강재료로 구성하고 패널과 패널을 각재와 결합편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구조이나, 이로 인하여 미리 정해진 사이즈대로만 벽체의 연결이 가능하여 여러 형태의 구조물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현장에서의 다양한 설계상 욕구를 총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5478호(공개일자 : 2016년 6월 2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7913호(공개일자 : 2013년 12월 18일) 일본특허공보 제2875166호(등록일자 : 1999년 1월 14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식 건축물을 조립·시공함에 있어서 현장에서 자재를 가공/조립함에 따라 시공 인원과 숙련도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자재의 손실을 방지하고 시공 후 완성도의 차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립식 건축물의 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식 건축물을 조립·시공함에 있어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다양하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의 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로서,
다각형의 단면형상 공간을 한정하는 OSB(=Oriented Strand Board) 합판블록;
상기 OSB 합판블록에 의해서 한정되는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난연성 스티로폼; 및
상기 OSB 합판블록에 의해서 한정되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OSB 합판블록과 상기 난연성 스티로폼 사이에 배치되는 철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OSB 합판블록은 다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공간을 한정하기 위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상부벽, 하부벽 및 좌우측벽들을 구비하고, 상기 OSB 합판블록의 길이방향 확장을 위해서 상기 좌우측벽들의 외측에 이중벽의 형태로 추가적인 최외곽 측벽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벽, 상기 하부벽, 상기 좌우측벽들, 및 상기 최외곽 측벽들은 그들의 종방향으로 원하는 사이즈만큼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은, 벽체 형상을 취하고 있는 제 1의 OSB 합판블록과 로드형상을 취하고 있는 제 2의 OSB 합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은 하방향으로 돌출된 최외곽 측벽들을 구비하고, 상기 최외곽 측벽들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의 하부에는 제 1의 결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의 결합공간에는 상기 제 2의 OSB 합판블록이 연결된다.
상기 제 2의 OSB 합판블록의 하부벽은 상기 최외곽 측벽들의 두께만큼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 최외곽 측벽들은 상기 하부벽의 노출면상에 놓여지게 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과 상기 제 2의 OSB 합판블록이 밀착 결합된다.
상기 최외곽 측벽들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의 일측에 한정되는 제 2의 결합공간에는 제 3의 OSB 합판블록이 안착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 3의 OSB 합판블록의 하부벽은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의 상기 최외곽 측벽들 두께만큼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 최외곽 측벽들은 돌출된 상기 하부벽의 노출면상에 놓여지게 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과 상기 제 3의 OSB 합판블록이 밀착 결합된다.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 상기 제 2의 OSB 합판블록 및 상기 제 3의 OSB 합판블록이 레고형식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의 타측에 마련된 제 4의 결합공간 내로 제 4의 OSB 합판블록이 결합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단위벽체가 완성된다.
상기 철판은 강성보강에 유리하도록 "ㄱ"자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난연성 스티로폼을 충진한 OSB 합판 블록을 레고형식으로 연결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고 내부에 사이즈 조절과 기둥 보강기능을 갖는 철판을 절곡하여 배치함으로써, 현장의 요구에 따라서 여러 방향으로 사이즈를 변경시키면서 다양한 형태로 구조물을 변형시킬 수 있다. 즉, 패널공법을 적용한 자재를 공장에서 생산ㆍ가공한 후 설계도에 따라 조립하게 됨으로써, 현장 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상 오차가 거의 없으며, 누수 등의 하자 문제도 거의 없다. 또한, 조립형이므로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다양한 구조로 주택을 지을 수 있다. 게다가, 구조 부재를 공장에서 사전에 재단해 현장에 배송한 후 조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짧고, 주택의 정밀도가 뛰어나다. 여기에 현장에서 자르거나 제작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자재의 로스율이 현저히 줄고 건축 폐기물 처리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을 레고형식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을 레고형식으로 연결하여 완성된 단위벽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단위벽체들을 레고형식으로 연결하여 확장 가능한 벽체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출원의 도면과 그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발표한 기구 및 방식들의 장점 및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도면들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다르게 강조하지 않는 한, 도면을 통해서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요소들은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참조부호들로서 나타내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 본 발명은 하기의 명세서에 발표하거나 도면에 나타낸 구성 및 부품들의 배열로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 및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채용된 어법과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좌측, 우측, 위 및 아래와 같이 여기에서 사용한 모든 비교 설명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지만, 제한적인 개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한 실시 예들은 어떤 실시 예들의 가변적인 사항들의 바람직한 특징들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특징들, 부품들, 모듈들, 요소들 및/또는 설명의 양태들은 개시된 장치나 방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남이 없이 결합, 상호연결, 순서화, 분리, 교환, 위치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다. 부품들의 형상 및 크기는 예시적인 것이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한 발표한 발명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제한함이 없이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10)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10)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공간을 한정하는 OSB(=Oriented Strand Board) 합판블록(20), 상기 OSB 합판블록(20)에 의해서 한정되는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난연성 스티로폼(30), 그리고 상기 OSB 합판블록(20)에 의해서 한정되는 내부공간에서 상기 OSB 합판블록(20)과 상기 난연성 스티로폼(30) 사이에 배치되는 철판(40)을 포함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OSB(=Oriented Strand Board)합판이란 손가락 두 개 정도 크기의 나무 입자를 방수성 수지와 함께 압착하여 만든 인공 판재로서, 강도와 안정성을 극대화시킨 제품이다. OSB 합판블록(20)은 다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공간을 한정하기 위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다수의 벽들을 구비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도 1에서와 같이 상부벽(21), 하부벽(23) 및 좌우측벽들(22,24)을 구비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10)에서는, OSB 합판블록(20)의 길이방향 확장을 위해서 좌우측벽들(22,24)의 외측에 이중벽의 형태로 추가적인 최외곽 측벽들(26,28)을 구비할 수 있다. OSB 합판블록(20)은 첨부도면들에서 나타낸 정사각형, 직사각형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음을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OSB 합판 블록(20)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상부벽(21), 하부벽(23) 및 측벽들(22,24)에 의해 한정되는 OSB 합판 블록(20)의 내부공간에 난연성 스티로폼(30)을 충진시켰다.
이때, 상부벽(21), 하부벽(23) 및 좌우측벽들(22,24)과 난연성 스티로폼(30) 사이에는 철판(40)이 배치된다. 철판(40)은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10)에 강성을 부여하는 역할은 물론, OSB 합판블록들(20)을 레고형식으로 서로 연결하여 벽체 등의 구조물을 형성할 때,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철판(40)은 수평판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강성보강에 유리하도록 "ㄱ"자로 절곡된 형태로서 사방으로 방향만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10)은 형성하고자 하는 건축 구조물에 따라서 OSB 합판블록들(20)의 상부벽(21), 하부벽(23) 및 좌우측벽들(22,24)을 그들의 종방향으로 희망하는 사이즈만큼 확장할 수 있다. 이때, OSB 합판블록들(20)의 상부벽(21), 하부벽(23) 및 좌우측벽들(22,24)을 연장하는 만큼 그에 상응하여 철판(40)의 사이즈도 확장하여 배치함으로써 강성을 유지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10)을 레고형식으로 연결하는 방식이 나타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벽체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은 로드형상을 취하고 있는 제 2의 OSB 합판블록(2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은 하방향으로 돌출된 최외곽 측벽들(26A,28A)을 구비한다. 이때, 하방향으로 돌출된 최외곽 측벽들(26A,28A)에 의해서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하부에는 제 1의 결합공간(S1)이 형성된다. 이렇게 조성된 제 1의 결합공간(S1)에는 제 2의 OSB 합판블록(20B)이 연결된다. 이때, 제 2의 OSB 합판블록(20B)은 제 1의 결합공간(S1)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그에 부합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제 2의 OSB 합판블록(20B)의 하부벽(23B)은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최외곽 측벽들(26A,28A) 두께만큼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서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최외곽 측벽들(26A,28A)은 돌출된 상기 하부벽(23B)의 노출면상에 놓여지게 되며, 이에 의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의 OSB 합판블록(20A)과 제 2의 OSB 합판블록(20B)이 밀착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하부에 제 2의 OSB 합판블록(20B)이 결합되면,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측면에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이 결합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최외곽 측벽들(26A,28A)에 의해서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일측에 한정되는 제 2의 결합공간(S2)에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이 안착하여 결합된다. 이때,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의 구조는 위에서 언급한 제 2의 OSB 합판블록(20B)과 그 구조가 동일하되, 다만 도 2와 3에서 수평한 상태로 있는 것과는 달리 수직한 상태로 배치한 것에 불과하다. 상세하게는,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의 하부벽(23C)은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최외곽 측벽들(26A,28A) 두께만큼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서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최외곽 측벽들(26A,28A)은 돌출된 상기 하부벽(23C)의 노출면상에 놓여지게 되며, 이에 의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의 OSB 합판블록(20A)과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이 밀착 결합된다.
제 1의 OSB 합판블록(20A), 제 2의 OSB 합판블록(20B) 및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이 레고형식으로 연결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타측에 마련된 제 4의 결합공간(도시되지 않음) 내로 제 4의 OSB 합판블록(20D)이 상기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의 결합방식과 마찬가지로 결합하게 된다. 제 4의 OSB 합판블록(20D)의 결합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레고형식의 결합에 의해서 단위벽체(W1)가 완성된다.
한 단위벽체(W1)가 완성되면, 마찬가지 방식으로 OSB 합판블록들을 연결하여 단위벽체들(W2,W3)을 연결하여 벽체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도 6에는 단위벽체들을 레고형식으로 연결하여 확장 가능한 벽체구조가 나타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건축물 조립식 패널을 현장에서 가공/조립함에 있어서 시공 인원과 숙련도의 차이에 따른 자재의 손실이 발생하고 시공 후 완성도에 있어서도 차이가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난연성 스티로폼을 충진한 OSB 합판 블록을 레고형식으로 연결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고 내부에 사이즈 조절과 기둥 보강기능을 갖는 철판을 절곡하여 배치함으로써, 현장의 요구에 따라서 여러 방향으로 사이즈를 변경시키면서 다양한 형태로 구조물을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20,20A,20B,20C : OSB 합판 블록
21 : 상부벽 22,24 : 측벽
23 : 하부벽 26,26A,28,28A : 최외곽 측벽
30 : 난연성 스티로폼 40 : 철판
S1,S2 : 공간 W1,W2,W3 : 단위 벽체

Claims (8)

  1.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10)로서,
    다각형의 단면형상 공간을 한정하는 OSB(=Oriented Strand Board) 합판블록(20);
    상기 OSB 합판블록(20)에 의해서 한정되는 내부공간에 충진되는 난연성 스티로폼(30); 및
    상기 OSB 합판블록(20)에 의해서 한정되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OSB 합판블록(20)과 상기 난연성 스티로폼(30) 사이에 배치되는 철판(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SB 합판블록(20)은 다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공간을 한정하기 위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상부벽(21), 하부벽(23) 및 좌우측벽들(22,24)을 구비하고, 상기 OSB 합판블록(20)의 길이방향 확장을 위해서 상기 좌우측벽들(22,24)의 외측에 이중벽의 형태로 추가적인 최외곽 측벽들(26,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21), 상기 하부벽(23), 상기 좌우측벽들(22,24), 및 상기 최외곽 측벽들(26,28)은 그들의 종방향으로 원하는 사이즈만큼 확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10)은, 벽체 형상을 취하고 있는 제 1의 OSB 합판블록(20A)과 로드형상을 취하고 있는 제 2의 OSB 합판블록(20B)을 포함하며,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은 하방향으로 돌출된 최외곽 측벽들(26A,28A)을 구비하고, 상기 최외곽 측벽들(26A,28A)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하부에는 제 1의 결합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의 결합공간(S1)에는 상기 제 2의 OSB 합판블록(20B)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OSB 합판블록(20B)의 하부벽(23B)은 상기 최외곽 측벽들(26A,28A)의 두께만큼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 최외곽 측벽들(26A,28A)은 상기 하부벽(23B)의 노출면상에 놓여지게 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20A)과 상기 제 2의 OSB 합판블록(20B)이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측벽들(26A,28A)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일측에 한정되는 제 2의 결합공간(S2)에는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이 안착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의 하부벽(23C)은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상기 최외곽 측벽들(26A,28A) 두께만큼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 최외곽 측벽들(26A,28A)은 돌출된 상기 하부벽(23C)의 노출면상에 놓여지게 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20A)과 상기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이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20A), 상기 제 2의 OSB 합판블록(20B) 및 상기 제 3의 OSB 합판블록(20C)이 레고형식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 1의 OSB 합판블록(20A)의 타측에 마련된 제 4의 결합공간 내로 제 4의 OSB 합판블록(20D)이 결합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단위벽체(W1)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40)은 강성보강에 유리하도록 "ㄱ"자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KR1020160163831A 2016-12-02 2016-12-02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KR101952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831A KR101952254B1 (ko) 2016-12-02 2016-12-02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831A KR101952254B1 (ko) 2016-12-02 2016-12-02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717A true KR20180063717A (ko) 2018-06-12
KR101952254B1 KR101952254B1 (ko) 2019-02-26

Family

ID=6262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831A KR101952254B1 (ko) 2016-12-02 2016-12-02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326A (zh) * 2022-08-15 2022-09-09 山东惠晟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全预制装配式民居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5166B2 (ja) 1993-09-13 1999-03-24 忠道 野々下 断熱構造建物及び建築用パネル
KR200333016Y1 (ko) * 2003-08-13 2003-11-12 이명주 내화패널
KR20130137913A (ko) 2012-06-08 2013-12-18 (주)계림건축사사무소 단열블록
KR101375028B1 (ko) * 2011-11-21 2014-03-17 김기태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20160075478A (ko) 2016-06-21 2016-06-29 김경훈 조립식 건축물의 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5166B2 (ja) 1993-09-13 1999-03-24 忠道 野々下 断熱構造建物及び建築用パネル
KR200333016Y1 (ko) * 2003-08-13 2003-11-12 이명주 내화패널
KR101375028B1 (ko) * 2011-11-21 2014-03-17 김기태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20130137913A (ko) 2012-06-08 2013-12-18 (주)계림건축사사무소 단열블록
KR20160075478A (ko) 2016-06-21 2016-06-29 김경훈 조립식 건축물의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326A (zh) * 2022-08-15 2022-09-09 山东惠晟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全预制装配式民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254B1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0716A (ko) 모듈형 벽체 블록 및 벽 구조물
KR101952254B1 (ko)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KR20170050513A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474651B2 (ja) 建物の外壁構造および外壁パネル
JP2009155986A (ja) 建物ユニット
KR20190001270U (ko) 건축용 벽체 블록 및 건축용 벽체 모듈 조립체
JP2020084730A (ja) 建築工法および建築構造
CN104364451A (zh) 建筑用组装式墙体框架及利用此的天花板框架
KR20070080802A (ko) 조립식월칸막이 시공방법
JPH10231561A (ja) 木質構造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具
JP6444444B2 (ja) 建築用ブロック、建築用ブロック複合体及び建築用のフレーム
JP4425143B2 (ja) モジュラー建築ユニットおよび組み立て方法
JP2018123601A (ja) 間仕切り用パネル
KR101830357B1 (ko) 벽체 시공용 블록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JP3241376U (ja) 住宅用断熱パネル及び管柱付住宅用断熱パネル
KR101639256B1 (ko) 공학용 목재를 이용한 복합모듈러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31659A (ko) 목재블록벽체
KR20120009744A (ko) 건축용 그린팀버웰 내력벽 구조
JPH0711733A (ja) 横架材構造
KR102162737B1 (ko) 조립식 벽체 구조물
JP5830720B2 (ja) 下地枠体及びこれを用いた袖壁構造
KR20090009668A (ko) 건축용 판넬과 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0298613Y1 (ko) 목조 판넬의 조립구조
JPH045351A (ja) 木造軸組工法における住宅建築方法およびその壁用および床用パネル
JP2008190229A (ja) 骨組構築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建築用構造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