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913A - 단열블록 - Google Patents

단열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913A
KR20130137913A KR1020120061603A KR20120061603A KR20130137913A KR 20130137913 A KR20130137913 A KR 20130137913A KR 1020120061603 A KR1020120061603 A KR 1020120061603A KR 20120061603 A KR20120061603 A KR 20120061603A KR 20130137913 A KR20130137913 A KR 2013013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block
wall
insulating materi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5269B1 (ko
Inventor
이찬태
김언규
강석봉
Original Assignee
(주)계림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계림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계림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61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2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열재가 내장된 단열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층하여 벽체 형성시 이웃한 단열블록과 암수대응 및 수암대응 삽입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단열블록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은 단열재가 내장되어 우수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을 적층함에 있어서 전후좌우에서 이웃한 블록과 결합시 암수결합 및 수암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전후좌우 블록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견고한 벽체의 형성이 가능하며, 적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철근 등으로 벽체의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 단열블록을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열블록{Insulating block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단열재가 내장된 단열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용 블록은 대략 사각의 적벽돌 또는 시멘트 벽돌로 제작되며, 이러한 블록을 적층하여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블록은 시멘트 몰탈 등을 바르고 적층함에 의해 블록간의 부착이 이루어져 벽체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용 블록은 그 자체로는 단열성이 떨어지므로, 통상적으로는 블록을 적층하여 건물의 외벽체를 형성한 다음, 내측으로 단열재를 부착한 후 다시 블록을 적층하여 내벽체를 형성하여 시공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물의 외벽체를 형성한 다음 단열재와 내벽체를 형성하여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기술은 내벽체 및 외벽체와 단열재를 단순히 접착시키기 때문에 결합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상호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건물의 내외벽체와 단열재가 분리되는 경우 빗물이 스며들거나, 단열재가 접촉하는 내외벽체의 접촉면에서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생기게 되어 내벽체의 마감 재료인 벽지 등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단열성을 고려하여 블록을 제조함에 있어서 단열재를 일체화시킨 다양한 형태의 단열블록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단열재를 일체화시킨 단열블록들은 단열성면에서 상당한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블록을 적층한 다음 몰탈을 도포하여 블록간을 접착시킴에 따라 블록간의 결합력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블록을 적층시 적층이 용이하지 않아 벽체의 형성에 상당히 많은 공사 기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측방향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타측방향에 결합홈을 형성시킨 블록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경우 블록간의 연결이 결합홈에 결합돌기를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에 따라 블록간의 적층이 용이하다는 이점은 있으나 여전히 블록간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철근 등으로 벽체를 보강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단열블록은 주로 시멘트 몰탈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시멘트 몰탈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단열블록으로 벽체를 형성하는 경우 시멘트의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블록을 적층함에 있어서 블록간에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견고한 벽체의 형성이 가능하면서도 적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철근 등으로 벽체의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 단열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력, 축열기능, 온도 및 습도조절력, 자정력, 탈취력 등이 우수한 황토를 이용한 단열블록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층하여 벽체 형성시 이웃한 단열블록과 암수대응 및 수암대응 삽입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단열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단열블록은 중앙에 형성된 제1단열재와, 상기 제1단열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내측벽 및 제1외측벽으로 이루어진 제1측벽부를 포함하는 제1단열블록; 중앙에 형성된 제2단열재와, 상기 제2단열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2내측벽 및 제2외측벽으로 이루어진 제2측벽부를 포함하는 제2단열블록; 및 상기 제1단열재와 상기 제2단열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연결부와, 상기 단열재연결부 외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단열블록과 제2단열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이음부몸체를 포함하는 이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단열블록은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제1삽입돌기,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제2삽입돌기, 상기 제1삽입돌기의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돌기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단열블록은 상기 제1단열블록의 제1삽입돌기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것으로서 하측 또는 상측에 형성된 제3삽입돌기, 상기 제1단열블록의 제2삽입돌기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것으로서 우측 또는 좌측에 형성된 제4삽입돌기, 상기 제3삽입돌기의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3삽입홈, 및 상기 제4삽입돌기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4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상단 중앙에 보강재가 관통되는 보강홀이 형성되고, 좌우측 단부에 이웃하는 좌우측의 단열블록과 결합시 홀이 형성되어 보강재가 관통될 수 있는 보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의 상단면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배근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단열블록의 제1내측벽의 상단면 및 제2단열블록의 제2내측벽의 상단면보다 적어도 철근의 직경만큼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단열재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1측벽부의 제1외측벽 및 상기 제2측벽부의 제2외측벽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단열재와 평행한 방향의 단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이 그보다 내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 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블록은 제1단열블록과 이음부 및 제2단열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긴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결재는 제1단열블록의 제1외측벽의 내부에서부터 제2단열블록의 제2외측벽 내부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긴결재는 양측 단부가 구부러진 철선 또는 사각형상의 섬유망일 수 있다.
상기 제1측벽부 및 제2측벽부 및 이음부몸체는 황토 40 내지 66중량%, 백시멘트 7내지 20중량%, 세골재 9 내지 49중량% 및 혼화재 3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화재는 고로슬래그분말, 니그린슬폰산, 유황, 굴껍질분말, 제올라이트, 마닐라삼, 숯가루, 천매암, 송이석 및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은 단열재가 내장되어 우수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을 적층함에 있어서 전후좌우에서 이웃한 블록과 결합시 암수결합 및 수암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전후좌우 블록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견고한 벽체의 형성이 가능하며, 적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철근 등으로 벽체의 보강이 가능하도록 한 단열블록을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은 벽체부 및 이음부몸체를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함에 따라 자연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력, 축열기능, 온도 및 습도조절력, 자정력, 탈취력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블록에 사용된 단열재 구조물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블록의 정면도,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블록의 평면도,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블록의 측면도,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블록의 측단면도 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블록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측단면도, 도 4b는 정면도, 도 4c는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열블록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측단면도, 도 5b는 정면도, 도 5c는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 적층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평면도, 도 6c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의 적층상태에서 배근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블록에 사용된 단열재 구조물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블록의 정면도,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블록의 평면도,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블록의 측면도, 도 3d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블록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열블록(10)은 제1단열블록(100)과 제2단열블록(200) 및 상기 제1단열블록(100)과 제2단열블록(200)을 상호 연결하는 이음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열블록(100)은 중앙에 형성된 제1단열재(110)와, 상기 제1단열재(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내측벽(121) 및 제1외측벽(122)으로 이루어진 제1측벽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단열블록(200)은 중앙에 형성된 제2단열재(210)와, 상기 제2단열재(2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2내측벽(221) 및 제2외측벽(222)으로 이루어진 제2측벽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음부(300)는 상기 제1단열재(110)와 상기 제2단열재(21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연결부(320)와, 상기 단열재연결부(320) 외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단열블록(100)과 제2단열블록(200)을 상호 연결하는 이음부몸체(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1단열재(110)와 제2단열블록(200)의 제2단열재(210) 및 상기 제1단열재(110)와 제2단열재(210)를 연결해주는 단열재연결부(320)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10)이 우수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단열재(110)와 제2단열재(210) 및 단열재연결부(320)는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각각은 동일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단열재(110), 제2단열재(210) 및 단열재연결부(320)는 발포폴리스티렌이나 발포 우레탄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10)이 제1단열재(110)를 포함하는 제1단열블록(100)과 제2단열재(210)를 포함하는 제2단열블록(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이중의 단열성이 확보될 수 있어 매우 우수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연결부(320)는 제1단열재(110)와 제2단열재(210)를 연결해주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각각 2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단열재연결부(320)를 하나로 형성하거나, 3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단열재(110) 및 제2단열재(210)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단열재연결부(320)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1측벽부(120)의 제1외측벽(122) 및 상기 제2측벽부(220)의 제2외측벽(222)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돌기(111a,111b,211a,21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111a,111b,211a,211b)가 형성되는 경우 제1단열재(110) 및 제2단열재(210)가 견고하게 제1측벽부(120) 및 제2측벽부(220)에 각각 고정되게 되어 제1단열블록(100)과 제2단열블록(2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돌기(111a,111b,211a,211b)는 제1단열재(110) 또는 제2단열재(210)와 평행한 방향의 단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이 그보다 내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 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돌기(111a,111b,211a,211b)는 제1측벽부(120) 또는 제2측벽부(220)에 고정된 이후 잘 빠지지 않도록 된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11a,111b,211a,211b)는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의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고정돌기(111a,111b,211a,211b)가 제1측벽부(120) 또는 제2측벽부(220)에 고정된 이후 쉽게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상술한 제1단열재(110), 제2단열재(210) 및 단열재연결부(320)는 일체화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일체화 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의 예를 들면 몰드에 재료, 예를 들어 발포스티렌을 주입한 다음 냉각 후 탈형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1측벽부(120)와 제2단열블록(200)의 제2측벽부(220)는 각각 이음부(300)를 기준으로 이음부(300)에 인접된 내측벽과 이음부(300)에 인접하지 않고 최외측에 형성되는 외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측벽부(120)는 이음부(300)에 인접한 제1내측벽(121)과 이음부(300)에 인접하지 않은 제1외측벽(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2측벽부(220)는 이음부(300)에 인접한 제2내측벽(221)과 이음부(300)에 인접하지 않은 제2외측벽(2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음부(300)는 단열재연결부(320)의 외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단열블록(100)의 제1내측벽(121)과 제2단열블록(200)의 제2내측벽(221)에 일체화되게 형성된 이음부몸체(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벽부(120)와, 제2측벽부(220) 및 이음부몸체(310)는 콘크리트나 시멘트 몰탈 등 통상의 블록 형성용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측벽부(120)와, 제2측벽부(220) 및 이음부몸체(310)가 콘크리트나 시멘트 몰탈로 형성될 경우 시멘트 독성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황토를 함유하는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황토 40 내지 66중량%, 백시멘트 7내지 20중량%, 세골재 9 내지 49중량% 및 혼화재 3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혼화재는 고로슬래그분말, 니그린슬폰산, 유황, 굴껍질분말, 제올라이트, 마닐라삼, 숯가루, 천매암, 송이석 및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1측벽부(120)와, 제2측벽부(220) 및 이음부몸체(310)를 형성하는 경우 다량의 황토를 함유함에 따라 자연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력, 축열기능, 온도 및 습도조절력, 자정력, 탈취력 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측벽부(120)와, 제2측벽부(220) 및 이음부몸체(310)는 몰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단열재 구조물을 넣은 다음 상기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주입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주입한 후 탈형 및 양생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10)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음부(300)에는 상단 중앙에 보강재가 관통되는 보강홀(331)이 형성되고, 좌우측 단부에 이웃하는 좌우측의 단열블록과 결합시 홀이 형성되어 보강재가 관통될 수 있는 보강홈(332)이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블록의 적층시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블록을 지그재그로 교차적층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단열블록(10) 적층시 보강재가 하측의 단열블록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홀(331)과 보강홈(332)이 구비된다. 여기서 보강홈(332)은 이웃한 단열블록의 보강홈과 하나의 홀을 형성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홀은 하부의 단열블록의 보강홀과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보강재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보강되는 홀 및 보강홀(331)을 관통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수직 강도를 높여 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보강재는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근 등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보강재로 철근 대신 고강도를 구현할 수 있는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직방향의 배근 이외에 수평방향의 배근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음부(300)의 상단면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배근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1내측벽(121)의 상단면 및 제2단열블록(200)의 제2내측벽(221)의 상단면보다 적어도 철근의 직경만큼 낮은 높이의 배근홈(33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근홈(333)을 형성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배근이 가능하여 보다 높은 수평방향의 강도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단열블록(100)의 제1측벽부(120)를 기준으로 제1단열블록(100)의 제1단열재(110)는 상하좌우 4개의 방향 중 2개의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제2단열블록(200)의 제2단열재(210)는 상기 제1단열재(110)의 돌출방향과는 반대인 2개의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형태에 의해 자연스럽게, 제1단열블록(100)과 제2단열블록(200)에는 각각 두 개의 삽입돌기(131,132,231,232)와 두 개의 삽입홈(141,142,241,242)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제1단열블록(100)은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제1삽입돌기(131),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제2삽입돌기(132), 상기 제1삽입돌기(131)의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삽입홈(141), 및 상기 제2삽입돌기(132)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삽입홈(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단열블록(200)은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1삽입돌기(131)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것으로서 하측 또는 상측에 형성된 제3삽입돌기(231),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2삽입돌기(132)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것으로서 우측 또는 좌측에 형성된 제4삽입돌기(232), 상기 제3삽입돌기의(231)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3삽입홈(241), 및 상기 제4삽입돌기(232)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4삽입홈(2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열블록(100)의 제1측벽부(120)를 기준으로 제1단열블록(100)의 제1단열재(110)는 하측 및 우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제2단열블록(200)의 제2단열재(210)는 제1단열재(110)의 돌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즉 상측 및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도 3b 참조).
이와 같은 제1단열재(110) 및 제2단열재(210)의 돌출형상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열블록(100)은 제1단열블록(100)의 제1측벽부(120)를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된 제1삽입돌기(131), 우측에 형성된 제2삽입돌기(132), 상기 제1삽입돌기(131)의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삽입홈(141), 및 상기 제2삽입돌기(132)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삽입홈(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단열블록(200)에는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1삽입돌기(131)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측에 형성된 제3삽입돌기(231),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2삽입돌기(132)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것으로서 좌측에 형성된 제4삽입돌기(232), 상기 제3삽입돌기(231)의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3삽입홈(241), 및 상기 제4삽입돌기(232)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4삽입홈(2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1삽입돌기(131)는 이웃한 다른 단열블록의 제1단열블록의 제1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2삽입돌기(132)는 이웃한 다른 단열블록의 제1단열블록의 제2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1삽입홈(141)에는 이웃한 다른 단열블록의 제1단열블록의 제1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단열블록(100)의 제2삽입홈(142)에는 이웃한 다른 단열블록의 제1단열블록의 제2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단열블록(200)의 제3삽입돌기(231)와 제4삽입돌기(232)는 이웃한 다른 단열블록의 제2단열블록의 제3삽입홈과 제4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2단열블록(200)의 제3삽입홈(241)과 제4삽입홈(242)에는 이웃한 다른 단열블록의 제2단열블록의 제3삽입돌기 및 제4삽입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위와 같은 결합관계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10)은 상하좌우 모든 방향에서 이웃한 다른 단열블록과 암수결합 및 수암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단열블록(10)을 적층하여 벽체를 형성시 단열블록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에 용융된 단열재료, 예를 들어 발포스티렌을 주입한 다음 냉각 후 탈형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단열재 구조물을 제조한 다음, 이렇게 제조된 단열재 구조물을 다시 몰드에 넣고 시멘트 콘크리트나 시멘트 몰탈, 또는 전술한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주입한 다음 탈형 및 양생하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10)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10)에서 제1단열블록(100)의 제1외측벽(122)은 제1내측벽(121)과 제1단열재(11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게 되는데, 그 재질이 상이하므로 상호간의 결합력이 다소 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단열블록(200)의 제2외측벽(222)은 제2내측벽(221)과 제2단열재(21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상호간의 결합력이 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단열블록(100)과 제2단열블록(2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긴결재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열블록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측단면도, 도 4b는 정면도, 도 4c는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열블록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측단면도, 도 5b는 정면도, 도 5c는 측면도이다.
상기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열블록은 제1단열블록(100)과 이음부(300) 및 제2단열블록(20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열블록(100)과 이음부(300) 및 제2단열블록(2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긴결재(40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단열블록(100)과 이음부(300) 및 제2단열블록(2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는 긴결재(400)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 그 특징이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긴결재(400)는 제1단열블록(100)의 제1외측벽(122)의 내부에서부터 제2단열블록(200)의 제2외측벽(222) 내부까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긴결재(400)가 제1단열블록(100)의 제1외측벽(122)의 내부에서부터 제2단열블록(200)의 제2외측벽(222) 내부까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1내측벽(121)과 제1외측벽(12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단열재(110) 및 제2내측벽(221)과 제2외측벽(222) 사이에 위치하는 제2단열재(210)의 상호간의 이질재료에 의한 결합력 약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긴결재(400)는 도 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가 구부러진 철선일 수 있다. 양측 단부가 구부러진 형태일 경우 보다 우수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철선대신 유사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적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긴결재(40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섬유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섬유망 형태일 경우 시멘트 몰탈이나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전술한 조성의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1측벽부(120)와 제2측벽부(220) 및 이음부(300)를 형성시 이들 재료가 섬유망 내부를 통과하여 일체화됨에 따라 상호간의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상기 섬유망은 탄소섬유망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5c에서는 긴결재(400)가 4개인 것을 각각 예시하여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가감이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른 단열블록(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에 긴결재(400)를 위치시킨 다음 용융된 단열재료, 예를 들어 발포스티렌을 주입한 다음 냉각 후 탈형하여 긴결재(40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단열재 구조물을 제조한 다음 이렇게 제조된 단열재 구조물을 다시 몰드에 넣고 시멘트 콘크리트나 시멘트 몰탈, 또는 전술한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주입한 다음 탈형 및 양생하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10)은 적층하여 벽체를 형성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 적층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평면도, 도 6c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의 적층상태에서 배근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은 적층시 제1열의 단열블록(10)과 제2열의 단열블록(10')이 서로 지그재그로 교차 적층된다. 이때 상하좌우 각 단열블록간의 결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단열블록 및 제2단열블록의 삽입돌기들은 각각 이웃한 다른 단열블록의 제1단열블록 및 제2단열블록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1단열블록 및 제2단열블록에 형성된 삽입홈에는 각각 이웃한 다른 단열블록의 제1단열블록 및 제2단열블록의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은 이웃한 다른 단열블록과 전후좌우에서 암수결합 및 수암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져 견고한 결합이 가능해진다.
단열블록(10,10') 적층시 강도보강을 위하여 철근(F)을 배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300) 상면에 형성된 배근홈(333)과 이음부(300)의 보강홀(331), 또는 이웃한 단열블록의 이음부(300)의 보강홈(332)들이 맞물려져서 형성된 홀에 철근(F)의 배근이 가능하다. 단열블록의 교차 적층시 보강홀(331)의 하부에는 이음부(300)의 보강홈(332)들이 맞물려져 형성된 홀이 형성되므로 철근(F)의 수직 배근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단열블록(10,10')의 적층시 단열블록의 상면에 시멘트 몰탈이나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등을 도포한 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철근(F)을 배근한 배근부위, 즉 이음부(300)의 상면이나 보강홀(331) 등에 몰탈을 채워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10,10')의 적층시 단열블록과 단열블록 사이에는 줄눈(500)이 형성된다. 상기 줄눈(5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줄눈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시공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블록(10)을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하게 되면 단열블록(10) 내에 단열재가 내장되어 우수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열블록(10)을 적층함에 있어서 전후좌우에서 이웃한 단열블록과 결합시 암수결합 및 수암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전후좌우 단열블록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견고한 벽체의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암수결합 및 수암결합을 통해 단열블록(10)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용이하게 단열블록(10)을 적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근(F) 등으로 벽체의 보강이 가능하여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들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단열블록
100 : 제1단열블록
110 : 제1단열재 111a, 111b : 고정돌기
120 : 제1측벽부 121 : 제1내측벽
122 : 제1외측벽 131 : 제1삽입돌기
132 : 제2삽입돌기 141 : 제1삽입홈
142 : 제2삽입홈
200 : 제2단열블록
210 : 제2단열재 211a, 211b : 고정돌기
220 : 제2측벽부 221 : 제2내측벽
222 : 제2외측벽 231 : 제3삽입돌기
232 : 제4삽입돌기 241 : 제3삽입홈
242 : 제4삽입홈
300 : 이음부
310 : 이음부몸체 320 : 단열재연결부
331 : 보강홀 332 : 보강홈
333 : 배근홈
400 : 긴결재 500 : 줄눈
F : 철근

Claims (10)

  1. 중앙에 형성된 제1단열재와, 상기 제1단열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내측벽 및 제1외측벽으로 이루어진 제1측벽부를 포함하는 제1단열블록;
    중앙에 형성된 제2단열재와, 상기 제2단열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2내측벽 및 제2외측벽으로 이루어진 제2측벽부를 포함하는 제2단열블록; 및
    상기 제1단열재와 상기 제2단열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재연결부와, 상기 단열재연결부 외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단열블록과 제2단열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이음부몸체를 포함하는 이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단열블록은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제1삽입돌기,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된 제2삽입돌기, 상기 제1삽입돌기의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돌기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단열블록은 상기 제1단열블록의 제1삽입돌기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것으로서 하측 또는 상측에 형성된 제3삽입돌기, 상기 제1단열블록의 제2삽입돌기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것으로서 우측 또는 좌측에 형성된 제4삽입돌기, 상기 제3삽입돌기의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3삽입홈, 및 상기 제4삽입돌기 반대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4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적층하여 벽체 형성시 이웃한 단열블록과 암수대응 및 수암대응 삽입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단 중앙에 보강재가 관통되는 보강홀이 형성되고, 좌우측 단부에 이웃하는 좌우측의 단열블록과 결합시 홀이 형성되어 보강재가 관통될 수 있는 보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의 상단면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배근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단열블록의 제1내측벽의 상단면 및 제2단열블록의 제2내측벽의 상단면보다 적어도 철근의 직경만큼 낮은 높이를 갖는 배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단열재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1측벽부의 제1외측벽 및 상기 제2측벽부의 제2외측벽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단열재와 평행한 방향의 단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이 그보다 내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 비하여 더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블록은 제1단열블록과 이음부 및 제2단열블록의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긴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긴결재는 제1단열블록의 제1외측벽의 내부에서부터 제2단열블록의 제2외측벽 내부까지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긴결재는 양측 단부가 구부러진 철선 또는 사각형상의 섬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부 및 제2측벽부 및 이음부몸체는 황토 40 내지 66중량%, 백시멘트 7내지 20중량%, 세골재 9 내지 49중량% 및 혼화재 3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 황토 함유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혼화재는 고로슬래그분말, 니그린슬폰산, 유황, 굴껍질분말, 제올라이트, 마닐라삼, 숯가루, 천매암, 송이석 및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블록.
KR1020120061603A 2012-06-08 2012-06-08 단열블록 KR10139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603A KR101395269B1 (ko) 2012-06-08 2012-06-08 단열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603A KR101395269B1 (ko) 2012-06-08 2012-06-08 단열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913A true KR20130137913A (ko) 2013-12-18
KR101395269B1 KR101395269B1 (ko) 2014-05-15

Family

ID=4998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603A KR101395269B1 (ko) 2012-06-08 2012-06-08 단열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2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180B1 (ko) * 2015-10-23 2016-07-29 연성환 건물 벽체
KR20170022130A (ko) * 2015-08-19 2017-03-02 김명선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KR20180063717A (ko) 2016-12-02 2018-06-12 박보규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KR102249058B1 (ko) * 2019-12-11 2021-05-07 최은숙 조립식 벽체
EP4056781A1 (en) * 2021-03-10 2022-09-14 Grzegorz Gwózdz Multilayer building blo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646B1 (ko) * 2015-10-08 2015-12-10 윤승차 일체형 난연 단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990748B1 (ko) 2018-11-23 2019-06-19 주식회사 월드와이즈월 침투성 표면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강화 접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27Y1 (ko) * 2001-11-22 2002-02-25 정용식 조립식 단열벽돌
KR100753544B1 (ko) 2006-10-20 2007-08-30 문기명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KR100966578B1 (ko) 2008-03-24 2010-06-29 김재락 단열재가 부착된 조립식 벽체 블록
KR101137668B1 (ko) 2009-12-29 2012-04-20 현성현 건축용 결합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130A (ko) * 2015-08-19 2017-03-02 김명선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KR101644180B1 (ko) * 2015-10-23 2016-07-29 연성환 건물 벽체
KR20180063717A (ko) 2016-12-02 2018-06-12 박보규 조립식 건축물용 패널
KR102249058B1 (ko) * 2019-12-11 2021-05-07 최은숙 조립식 벽체
EP4056781A1 (en) * 2021-03-10 2022-09-14 Grzegorz Gwózdz Multilayer building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269B1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269B1 (ko) 단열블록
CA1229994A (en) Building blocks
US8424261B2 (en) Composite building block having moisture barrier and insulation element
US5983585A (en) Building block with insulating center portion
KR101565084B1 (ko) Pc단열벽체구조물
US5339592A (en) Insulated building blocks and composite walls having stackable half-bond symmetry
US20140150361A1 (en) Building block with insulating core
US20110258957A1 (en) Masonry unit for constructing a multi-wythe wall
KR200440000Y1 (ko) 벽체 구성용 조립식 단열 블록
KR101688832B1 (ko) 건축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100583988B1 (ko) 건축용 리모델링 블럭
CN2923876Y (zh) 卡口保温砌块
US20020038532A1 (en) Assembly of construction block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of
CN210827824U (zh) 一种预制墙体的连接结构
KR100701497B1 (ko) 건축용 무모르타르 블럭
CN2457257Y (zh) 轻质混凝土复合砌块
KR101231785B1 (ko) 조립식 블럭
CN203640142U (zh) 一种轻质墙砖及轻质墙体
CZ274295A3 (en) Walling block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KR101259941B1 (ko) 건축용 벽돌
KR200459623Y1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US1067854A (en) Reinforced structural building-section.
KR20050093984A (ko) 황토 벽돌
CN215212031U (zh) 一种骨架、保温板和保温外墙
CN209244006U (zh) 复合自保温砌块窗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