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980A - 유량 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980A
KR20180062980A KR1020177032681A KR20177032681A KR20180062980A KR 20180062980 A KR20180062980 A KR 20180062980A KR 1020177032681 A KR1020177032681 A KR 1020177032681A KR 20177032681 A KR20177032681 A KR 20177032681A KR 20180062980 A KR20180062980 A KR 20180062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circumferential
valve element
opening area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356B1 (ko
Inventor
스스무 모리사키
치카 미야호
료타로 사하시
Original Assignee
다이아몬드 엔지니어링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아몬드 엔지니어링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다이아몬드 엔지니어링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6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3/00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 F16K13/02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with both sealing faces shaped as small segments of a cylinder and the moving member pivotal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 Chute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Taps Or Cock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막힘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막힘이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막힘이 해소되도록 함과 더불어, 전병 형태의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유량 조절 밸브를 제공한다.
측면에 분립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홈(3)이 형성된 원주 밸브체(2)와,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갖는 슬라이드 블록(4)과, 원주 밸브체(2)와 슬라이드 블록(4)을 수납하는 케이스(6)를 구비하며, 슬라이드 블록(4)은 탄성체(5)를 통해 케이스(6)에 고정되며, 원주 밸브체(2)의 측면과 평면이 탄성체(5)에 의해 부세됨으로써 당접하게 되며, 유량 조절 홈(3)은, 원주 밸브체(2)의 측면 둘레 측에서 원주 밸브체(2)의 중심축방향으로 절결 형상으로 구비되어, 원주 밸브체(2)를 회전시킴으로써 원주 밸브체(2)의 유량 조절 홈(3)과 슬라이드 블록(4)의 평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통과부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분립체 등의 통과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량 조절 밸브
본 발명은, 원주(圓柱) 표면에 분립체(粉粒體)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홈이 형성된 원주 밸브체를 원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분립체의 통과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분지관과 같은 가는 관의 도중에 설치하여 고정밀도의 유량 제어를 수행하는데 적합한 유량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원주 표면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원주를 대략 평행한 회전축에서 서로 대향 방향으로 연동 회전하도록 구성한 유량 조절 밸브가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1, 특허문헌2 참조), 분체(粉體) 또는 입체(粒體) (이하, "분립체"라 한다.) 혹은 분립체와 기체 및/또는 액체와의 혼합 유체 (이하, "분립체 등" 이라 한다.)의 유량을 조절하는데 적절히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3의 도1 및 도2 참조). 이러한 유량 조절 밸브에서는, 분립체 등의 유량은 한 쌍의 원주 밸브체를 대략 평행한 회전축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동 회전시킴으로써, 유량 조절 홈에 의해 형성되는 통과부의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는, 종래의 유량 조절 밸브(21)를 분해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 쌍의 원주 밸브체(22)의 표면 상에는 유량 조절 홈(23)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다. 원주 밸브체(22)는 밸브체 케이스(24)에 의해서 보호되며, 그 위쪽으로는 분립체 유입로(25)가, 또한, 아래 쪽에는 분립체 배출로(26)가 설치되어 있다. 분립체 유입로(25)에 의해 도입된 분립체 등은 유량 조절 홈(23)에 의해 형성된 통과부를 지나 분립체 배출로(26)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원주 밸브체(22)는, 구동장치(27)와 구동장치(27)의 반대 측에서 밸브체 베어링(2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원주 밸브체(22)는 구동장치(27)에 연결되어 있어, 구동장치(27)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유량 조절 홈(23)에 의해 형성된 통과부의 면적이 변화하여 유량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0은, 종래의 유량 조절 밸브를 구성하는 한 쌍의 원주 밸브체(22, 22)를 나타내는 사시도(A) 및 상방에서 본 도(B)이다. 도10(A)와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 밸브체(22)의 표면에는, 원주 밸브체의 주위를 따라서 축심 방향으로 형성된 절결 형상의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원주 밸브체(22)를 회전축(29)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기 회전시킴으로써, 원주 밸브체(22)가 접하는 통과구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켜 분립체 등의 통과량을 조절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두 개의 원주 밸브체(22)가 밀착되어 있으면 접촉면에서 마모가 생기거나, 도10(B)와 같이 동작 중에 두 원주 밸브체 사이에 분립체가 물려 들어가 전병 형태의 이물질(30)이 생성되어, 큰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두 개의 원주 밸브체를 접촉시키지 않게 간격을 구비한 회전식 조절 밸브도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4 참조).
1. 일본특허공개 소53-138517호 공보 2. 일본특허공개 소56-018172호 공보 3. 일본특허공개 2012-171740호 공보 4. 일본특허공개 평06-294473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원주 밸브체를 접촉시키지 않고 간격을 둔 유량 조절 밸브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한 쌍의 원주 밸브체 사이에 간격이 있으면, 유량의 제어 오차가 커진다는 점이다. 본관(本管)과 같이 관경이 굵은(약 60Φ 이상)곳에 이용되는 경우는, 오차는 그다지 문제가 안 되지만, 분지관처럼 비교적 좁은 관경(약 30Φ)에 이용되는 경우는, 그 오차는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분지관의 중간에 이용되는 유량 조절 밸브에서는 한 쌍의 원주 밸브체 사이에 간격을 둘 수 없고, 그러면 분립체가 물려 들어가 전병 형태의 이물질이 발생하기 쉽다는 딜레마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두 개의 밸브체를 당접시켜도 막힘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막힘이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하게 막힘이 해소되도록 함과 더불어, 전병 형태의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유량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는, 측면에 분립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홈이 형성된 원주 밸브체와,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갖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원주 밸브체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유량 조절 밸브로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탄성체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원주 밸브체의 측면과 상기 평면이 상기 탄성체에 의해 부세됨으로써 당접하게 되며, 상기 유량 조절 홈은, 상기 원주 밸브체의 측면 둘레 측에서 상기 원주 밸브체의 중심축방향으로 절결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주 밸브체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원주 밸브체의 상기 유량 조절 홈과 상기 평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통과부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분립체 등의 통과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에 따르면, 회전하는 것은 하나의 원주 밸브체뿐이므로 제어하기 쉽고, 또한, 원주 밸브체와 슬라이드 블록의 평면이 탄성체에 의해 부세되어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으며, 분립체가 물려 들어간 경우라도, 그만큼 슬라이드 블록이 탄성체의 변형에 의해 후퇴하기 때문에, 원주 밸브체의 회전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도1]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를 분해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를 구성하는 원주 밸브체와 슬라이드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 도2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4]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의 원주 밸브체와 슬라이드 블록의 평면으로 형성되는 분립체 등의 통과부의 형상, 통과부의 개구 면적 및 면적에 상당하는 개구 지름을, 원주 밸브체의 회전각과 대응시켜 나타낸 표이다.
[도5]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각과 개구 면적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6]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7]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8]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9] 종래의 유량 조절 밸브를 분해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0] 종래의 유량 조절 밸브를 구성하는 원주 밸브체 쌍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1)를 분해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원주 밸브체(2)의 표면상에는 유량 조절 홈(3)(이하, "홈" 이라 한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블록(4)의 하나의 평면이 원주 밸브체(2)의 측면과 탄성체(5)의 반력에 의해 부세되어 당접하고 있다. 슬라이드 블록(4)은, 탄성체(5)를 통해 케이스(6)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탄성체(5)로서는 압축 스프링이 바람직하지만, 고무 혹은 판 스프링도 좋다. 또한, 원주 밸브체(2)의 유량 조절 홈(3)과 슬라이드 블록(4)의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통과부 상방에는 분립체 유입로(7)(이하, "유입로"라 한다.)가, 또한, 하방에는 분립체 배출로(8)(이하, "배출로"라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유입로(7)에서 도입된 분립체 등은, 홈(3)에 의해 형성된 통과부를 지나 배출로(8)로 배출된다. 또한, 원주 밸브체(2)는, 구동장치(9)와 구동장치(9)의 반대 측에서 밸브체 베어링(1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원주 밸브체(2)는 구동장치(9)에 연결되어 있어, 구동장치(9)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홈(3)에 의해 형성된 통과부의 면적이 변화하여 유량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동장치(9)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예를 들면, 컴퓨터)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를 구성하는 원주 밸브체(2)와 슬라이드 블록(4)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슬라이드 블록(4)은 탄성체(5)를 통해서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원주 밸브체(2)의 표면에는 원주 밸브체의 주위를 따라서 축심 방향으로 형성된 절결(切缺) 형상의 홈(3)이 형성되어 있다. 원주 밸브체(2)를 회전축 O-O'를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주 밸브체(2)의 홈(3)와 슬라이드 블록(4)의 평면이 당접함으로써 형성되는 통과구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켜, 분립체 등의 통과량을 조절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홈(3)을 형성하는 가공법으로는, 회전하는 원주 리머(reamer)나 원추 형상의 리머를 이용하여 원주 밸브체(2)를 절삭하면서, 원주 밸브체(2)를 서서히 회전시켜 홈(3)을 깍는 방법이 선택된다. 이때, 홈(3)의 깊이와 폭은 리머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조절 가능하다. 또한, 리머 등의 절삭 가공에 의하지 않고, 다축 제어의 가공기에 의해 3차원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홈(3)의 표면은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평활한 면으로 할 필요가 있다. 원주 밸브체(2)의 반경은, 목적으로 하는 분립체 등의 유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50mm~150mm를 예로 들 수 있다. 원주 밸브체(2)의 길이는, 설치하는 홈(3)의 최대폭의 2~4배가 바람직하다. 2배 미만의 경우는, 분립체의 누설 등이 생기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원주 밸브체(2)에 형성되는 홈(3)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 또는 타원을 반분한 형상(육상 경기장 트랙의 형태를 반분한 것 같은 모양)이며, 이 홈(3)과, 대응되는 슬라이드 블록(4)의 평면에 의해서 통과부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구간에서의 통과부의 개구 면적이, 원주 밸브체(2)의 회전각에 대략 비례하도록 홈(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3)의 깊이는 목적으로 하는 유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최대 깊이는 원주 밸브체(2)의 반경의 10~70%가 바람직하다. 70%를 초과하는 깊이로 하면, 회전각에 대한 개구 면적의 변화가 너무 커져, 회전각과 선형 비례하는 관계의 유량제어가 곤란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의 원주 밸브체(2) 및 슬라이드 블록(4)에는, 특히 분립체 등의 마모성 재료를 취급할 때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료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기계 가공성이 우수한 재료로는, 기계구조용 탄소강, 예를 들어 S40C, S45C, S50C 또는 S55C등의 기재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지만, 취급하는 분립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른 재료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초경공구협회 규격(CIS)의 V30, V40에 규정된 탄화텅스텐과 코발트를 주성분으로 한 초경합금 등도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량 조절 밸브(1)에 이용하는 부재에 내마모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경질 크롬도금을 통해 피막 두께 30μm~100μm로 표면 피막을 수행해도 좋다. 추가로, 텅스텐카바이드계 피막, 그레이알루미나계 피막, 크로미아계 피막, 하스테로이계 피막 등의 무기계 재료를 200μm~500μm의 두께로 용사 처리를 통해 설치하는 것도 내마모성 향상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내마모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세라믹계 표면 피막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알루미나 세라믹이나 지르코니아 세라믹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계의 분립체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다이아몬드 코팅 등을 실시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에서는, 슬라이드 블록(4)과 원주 밸브체(2)가 압축 스프링의 반력에 의해 항상 부세되어 당접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블록(4)과 원주 밸브체(2)의 접촉면이 마모되기 쉬우나, 압축 스프링(5)의 강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가 사용되는 분립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석회석, 생석회, 석탄, 철광석 등의 유기질 또는 무기질의 분립체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분립체의 입자 직경도 적절히 선택 가능하지만, 평균 입자 지름으로서 50~150μm의 범위가 유동성이나 폐색성(閉塞性)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분립체의 고기비(고체 성분과 기체 성분의 중량비)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10~80정도가 바람직하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의 주요부인 원주 밸브체(2)와 슬라이드 블록(4)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3에서, (A)도는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원주 밸브체(2)에는 홈(3)이 형성되며, 슬라이드 블록(4)은 탄성체(5)를 통해서 케이스(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4)은 탄성체(5)의 반력에 의해 화살표 X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원주 밸브체(2)에 항상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3(A)는 회전각 θ이 24도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 밸브체(2)의 회전각 θ의 증가에 따라 통과부(도3(B)참조)의 개구 면적이 대략 직선적으로 증가하도록 홈(3)이 마련된 구간을 제어 구간이라 하고, 제어 구간에 이어, 제어 구간의 최대 회전각(본 실시예에서는 36도)로부터 소정의 각도(본 실시예에서는 54도) 나아간 곳에서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홈(3)이 마련된 구간을 개방 구간이라 한다. 통과부에 분립체가 막힌 경우에는, 원주 밸브체(2)를 회전시켜 개방 구간에서의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될 때까지 회전시켜 막힘을 한번에 해소할 수 있다. 만약, 원주 밸브체(2)와 슬라이드 블록(4) 사이에 분립체가 물린 경우라도, 그 만큼 슬라이드 블록이 탄성체의 변형에 의해, 화살표 X와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기 때문에, 원주 밸브체(2)의 회전이 저해될 가능성이 낮다.
도3(B)는, 도2에 나타낸 원주 밸브체(2)와 슬라이드 블록(4)를 바로 위에서 본 도를 나타내고 있다. 원주 밸브체(2)에 형성된 홈(3)과 슬라이드 블록(4)의 평면에 의해서 분립체가 통과하는 통과부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4)이 원주 밸브체(2)와 당접하는 평면상에는, 분립체 등이 통과하는 방향 (도3(A)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이 반원 형상의 홈(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11)을 구비하는 이유는, 회전각 θ이 0도인 경우에도 통과부의 개구 면적이 제로가 되지 않도록 하여 분립체가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1)의 원주 밸브체(2)와 슬라이드 블록(4)의 평면으로 형성되는 분립체 등의 통과부의 형상, 통과부의 개구 면적 및 면적에 상당하는 개구 지름을, 원주 밸브체(2)의 회전각과 대응시켜 나타낸 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각 0도인 때의 개구 지름은 6mm상당이므로, 도3(B)에서의 홈(11)의 반경은 3mm가 된다. 또한 분립체의 최대 직경은 약 1mm로, 그 5배 이상의 통과부의 개구 직경이라면 막힘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회전각 0도 인 때의 개구 지름이 반경 3mm(6mmΦ)이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개방 구간에서의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는 것은, 회전각이 90도인 경우로, 그 면적은 약 831mm2이다. 한편, 제어 구간에서의 개구 면적의 최대값은 회전각이 36도인 경우의 약 130mm2이다. 따라서, 개방 구간에서의 개구 면적의 최대값은 제어 구간에서의 개구 면적의 최대치의 약 6.4배다. 일반적으로는, 2배 이상이면, 막힘의 해소에는 지장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5는, 본 실시예에서의 원주 밸브체(2)의 회전각 θ과, 통과부의 개구 면적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는 도4의 표에 나타낸 것을 이용했다.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어 구간(0°≤θ≤36°)에서는, 회전각 θ과 통과부의 개구 면적이 거의 직선 비례 관계에 있다. 또한, 개방 구간(36°<θ)에서는 개구 면적이 급격히 증가하여, θ=90°에서 최대가 된다. 개방 구간은, 막힘을 신속하게 해소할 목적이므로, 개구 면적이 회전각에 따라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이 이치에 맞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유량 조절 밸브(1)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3에 나타낸 실시예와 다른 점은, 원주 밸브체(2)의 개방 구간(도3참조)의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는 개소(회전각이 90도인 곳)에서, 홈(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위치(후술의 도7(B)참조)에 돌기(12)를 구비한 점뿐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7(A)는 회전각이 90도인 경우에서의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원주 밸브체(2)의 회전각이 90도가 됐을 때, 돌기(12)에 의해서 슬라이드 블록(4)이 원주 밸브체(2)의 회전 중심축 O-O'과 직교하는 방향(도의 화살표 Y방향)으로 후퇴되며, 원주 밸브체(2)와 슬라이드 블록(4)사이에 간극 Z를 발생시킴으로써, 원주 밸브체(2)와 슬라이드 블록(4)사이에 낀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도7(B)는, 도2에 나타낸 원주 밸브체(2)와 슬라이드 블록(4)을 바로 위에서 본 도를 나타내고 있다. 원주 밸브체(2)에 마련된 돌기(12)에 의해서 슬라이드 블록(4)이 화살표 Y방향으로 후퇴되어, 원주 밸브체(2)와 슬라이드 블록(4) 사이에 간극 Z가 발생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돌기(12)는 균형을 고려하여 좌우에 총 2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쪽만 있어도 상관없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3과 다른 점은, 슬라이드 블록(4)의 평면 중 최소한 원주 밸브체(2)의 측면과 당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도의 4a)이, 슬라이드 블록(4)의 4a이외의 부분(도의 4b)의 재료와는 다른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4a부분의 재료가 4b부분의 재료보다도 단단한 것이 특징이다.
슬라이드 블록(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료를 선정할 필요가 있으나, 이러한 재료는 일반적으로 고가이다. 그러나,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것은, 원주 밸브체(2)와 접하는 부분을 포함한 부분(4a)뿐이므로, 그 부분(4a)만을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료로 구성하고, 나머지 부분(4b)은 그보다는 부드러운 값싼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함으로써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4a부분이 마모되어 닳았을 경우는, 4a부분만 새 것으로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유량 조절 밸브의 내구 사용연수를 늘릴 수 있다. 이상으로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지만, 본 발명에서, 유량 조절 밸브의 구체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즉,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1: 유량 조절 밸브
2: 원주 밸브체
3: 유량 조절 홈
4: 슬라이드 블록
5: 탄성체
6: 케이스
7: 유입로
8: 배출로
9: 구동장치
10: 밸브체 베어링
11: 홈
12: 돌기부

Claims (7)

  1. 측면에 분립체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유량 조절 홈이 형성된 원주 밸브체와,
    적어도 하나의 평면을 갖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원주 밸브체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유량 조절 밸브로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탄성체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원주 밸브체의 측면과 상기 평면이 상기 탄성체에 의해 부세됨으로써 당접하게 되며,
    상기 유량 조절 홈은, 상기 원주 밸브체의 측면 둘레 측에서 상기 원주 밸브체의 중심축 방향으로 절결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주 밸브체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원주 밸브체의 상기 유량 조절 홈과 상기 평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통과부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분립체 등의 통과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상기 평면 중 상기 유량 조절 홈과 대향되는 개소에, 단면이 반원 형상인 홈이 상기 분립체 등이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상기 평면 중 적어도 상기 원주 밸브체의 측면과 당접하는 개소를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상기 부분 이외의 재료와는 다른 재료로 구성되며, 아울러 상기 원주 밸브체의 측면과 당접하는 개소를 포함하는 부분의 재료가,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상기 부분 이외의 재료보다도 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밸브체의 회전각의 증가에 따라 상기 통과부의 개구 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유량 조절 홈이 구비된 제어 구간과,
    상기 제어 구간에 이어, 상기 제어 구간의 최대 회전각로부터 소정의 각도 나아간 곳에서 상기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유량 조절 홈이 구비된 개방 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개방 구간에서의 개구 면적의 최대치가, 상기 제어 구간에서의 개구 면적의 최대치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구간에서의 상기 통과부의 개구 면적이, 상기 회전각에 대략 비례하도록 상기 유량 조절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7.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밸브체의 상기 개방 구간의 상기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는 개소에서, 상기 유량 조절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곳에 돌기가 설치되어,
    상기 원주 밸브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되었을 때,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후퇴되어, 상기 원주 밸브체와 상기 슬라이드 블록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 밸브.
KR1020177032681A 2016-08-05 2017-05-17 유량 조절 밸브 KR101939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54588A JP6057448B1 (ja) 2016-08-05 2016-08-05 流量調節弁
JPJP-P-2016-154588 2016-08-05
PCT/JP2017/018495 WO2017191850A1 (ja) 2016-08-05 2017-05-17 流量調節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980A true KR20180062980A (ko) 2018-06-11
KR101939356B1 KR101939356B1 (ko) 2019-01-16

Family

ID=5775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81A KR101939356B1 (ko) 2016-08-05 2017-05-17 유량 조절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57448B1 (ko)
KR (1) KR101939356B1 (ko)
CN (1) CN107923545B (ko)
TW (1) TWI649508B (ko)
WO (1) WO201719185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8517A (en) 1977-05-10 1978-12-04 Nippon Steel Corp Flow quantity regulating valve
JPS5618172A (en) 1979-07-20 1981-02-20 Kubota Ltd Flow control valve
JPH06294473A (ja) 1993-04-01 1994-10-21 Daiyamondo Eng Kk 回転式調節弁
JP2012171740A (ja) 2011-02-21 2012-09-10 Diamond Engineering Kk 粉体供給装置、及び、粉体供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0475A (en) * 1965-06-24 1968-04-30 O B Armstrong & Son Gate valve
JPS5618171A (en) * 1979-07-20 1981-02-20 Kubota Ltd Flow control valve
JPS5618174A (en) * 1979-07-23 1981-02-20 Kubota Ltd Flow rate control valve
JPS5963484A (ja) * 1982-10-05 1984-04-1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粉粒体の流量制御弁
JPS62200080A (ja) * 1986-02-28 1987-09-03 Nippon Kokan Kk <Nkk> ロ−タリ弁
JP3084210B2 (ja) * 1995-06-22 2000-09-04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バタフライ弁のシートリング
JP2954926B1 (ja) * 1998-04-16 1999-09-27 平田バルブ工業株式会社 流量調整弁
JP3375913B2 (ja) * 1999-08-31 2003-02-10 富山化学工業株式会社 開閉弁構造及び該開閉弁構造を備えた開閉弁装置
US7770867B2 (en) * 2004-11-22 2010-08-10 Dezurik, Inc. Plug valve with flow area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low area of the connected piping
EP1808623A1 (en) * 2006-01-11 2007-07-18 Paul Wurth S.A. Flow control valve for fluidized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8517A (en) 1977-05-10 1978-12-04 Nippon Steel Corp Flow quantity regulating valve
JPS5618172A (en) 1979-07-20 1981-02-20 Kubota Ltd Flow control valve
JPH06294473A (ja) 1993-04-01 1994-10-21 Daiyamondo Eng Kk 回転式調節弁
JP2012171740A (ja) 2011-02-21 2012-09-10 Diamond Engineering Kk 粉体供給装置、及び、粉体供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21645A (ja) 2018-02-08
WO2017191850A1 (ja) 2017-11-09
TW201805557A (zh) 2018-02-16
KR101939356B1 (ko) 2019-01-16
JP6057448B1 (ja) 2017-01-11
TWI649508B (zh) 2019-02-01
CN107923545B (zh) 2019-01-04
CN107923545A (zh) 201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7315B (zh) 用于眼镜片上的光学有效面的精细处理的工具的抛光盘
JP5761783B2 (ja) 低摩擦要素の製造
FI61239C (fi) Anordning vid ventiler med vridbar ventilkropp
JP6832998B1 (ja) 滑り円運動ガイド装置および滑り円運動ガイド装置を用いたロータリワークヘッド
KR101939356B1 (ko) 유량 조절 밸브
US11644109B2 (en) Floating valve seat for a rotary control valve for use in severe service applications
CN102084163A (zh) 减少关闭件和阀座之间在相对滑动运行中发生损伤的阀门
CN103878682A (zh) 一种多级加工研磨抛光盘
JP4983292B2 (ja) 流路切換えバルブ
US9841121B2 (en) Nonlinear transmission rate between operating handle and operated mechanism
JP2012237345A (ja) 非接触式バルブ装置
WO2018064042A1 (en) Rotary valve utilizing low shear exchangeable bore
JP6116736B1 (ja) 流量調節弁
EP1604134A1 (en) Anti-scaling control element for a rotary control valve
US11767921B2 (en) Ball valve
Şahin Wear analysis of polyamide based on a statistical Approach
JP2017172776A (ja) 流量調節弁
CN201593622U (zh) 暗杆闸阀
CN210435840U (zh) 一种基于弹性体磁致固态流变效应的抛光装置
SE455723B (sv) Anordning vid regler- eller avstengningsventiler
JP2007016842A (ja) メタルタッチ型の流体流通制御装置
CA3144671A1 (en) Adjustable erosion resistant choke valve
JP4529127B2 (ja) 支持装置及び加工機
JP4192808B2 (ja) 直線移動式切替弁
JP6261047B2 (ja) 被覆方法及び装置、並びに被覆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