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177A -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177A
KR20180061177A KR1020187008289A KR20187008289A KR20180061177A KR 20180061177 A KR20180061177 A KR 20180061177A KR 1020187008289 A KR1020187008289 A KR 1020187008289A KR 20187008289 A KR20187008289 A KR 20187008289A KR 20180061177 A KR20180061177 A KR 20180061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oking vessel
base
bowl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누와 링린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8006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5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가열 수단과 결합하도록 의도된, 기부(3), 측벽(4), 및 에너지 회수 장치(10)를 포함하는 보울(2)을 포함하는 조리 용기(1)에 관한 것이고, 상기 에너지 회수 장치(10)는 보울(2)로부터 분리되고, 루프의 형상이며, 기부(3) 상에 배열된 강성 홀더(11), 및 피착에 의해, 특히 스크린 인쇄, 패드 인쇄, 열 분사, 데칼코마니 또는 레이저 소결에 의해, 홀더(11)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절연된 전도 요소(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11)는 2개의 자유 단부(17a, 17b)를 포함하는 개방 루프(14), 및 2개의 자유 단부(17a, 17b)에서 시작하여 기부(3)로부터 측벽(4)을 향해, 서로 접촉하지 않고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연장부(15, 16)를 포함하고, 전도 요소(20)는 피착에 의해 개방 루프(14) 및 2개의 연장부(15, 16)에 부착된다.

Description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본 발명은 음식의 조리를 위해 유도 가열 수단 상에 배열되도록 의도된 조리 용기, 특히 프라이팬, 소스팬, 스킬렛(skillet), 더치 오븐, 또는 압력 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조리 용기 상에 배열된 전기 장치 및/또는 전기 기계적 장치를 급전하기 위해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문헌 FR3010293호로부터, 유도 가열 수단과 협동하도록 의도된, 기부, 측벽, 및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보울(bowl)을 포함하는 조리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에너지 회수 장치는 기부 내에 배열된 폐쇄 루프 형상의 강성 홀더, 및 기부 및 측벽 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루프 측방의 부분을 포함한다. 절연된 전도 요소가 피착(deposition)에 의해 강성 홀더에 부착된다. 전도 요소는 그가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 내에 잠길 때 전류의 위치가 됨으로써 에너지를 회수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 내에 잠길 때, 홀더의 폐쇄 루프는 홀더의 폐쇄 루프의 줄(joule) 효과에 의해 열을 생성하는 유도 전류의 위치가 된다. 그러한 가열은 홀더에 부착된 전도 요소의 열화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결점을 해결하고, 시간에 걸쳐 내구적인, 신뢰할 수 있으며 반복 가능한 작동을 제공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갖춘 조리 용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설계를 가지며 사용하기가 경제적인 에너지 회수 장치를 갖춘 조리 용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유도 가열 수단과 협동하도록 의도된, 기부, 측벽, 및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보울을 포함하는 조리 용기이며, 상기 에너지 회수 장치는 기부 상에 배열된 루프 형상인, 보울로부터 분리된 강성 홀더, 및 피착에 의해, 특히 스크린 인쇄, 패드 인쇄, 열 분사, 데칼코마니, 또는 레이저 소결에 의해, 홀더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절연된 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에 있어서, 홀더는 2개의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개방 루프, 및 2개의 자유 단부에서 시작하여 기부로부터 측벽까지, 서로 접촉하지 않고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전도 요소는 피착에 의해, 개방 루프 및 2개의 연장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에너지 회수 장치는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 내에 잠길 때, 폐쇄 루프와 대조적으로, 유도 전류의 순환을 허용하지 않는 개방 루프 및 2개의 연장부를 갖는 홀더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홀더의 루프는 줄 효과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이는 피착에 의해 홀더에 부착된 전도 요소의 수명을 개선한다.
"전도 요소는 피착에 의해 강성 홀더에 부착된다"는 전도 요소가 강성 홀더에 피착되어 고정되기 전에는 본질적으로 강성이 아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리하게는, 전도 요소는 열 처리에 의해 홀더에 부착되는 금속성 분말을 포함한다. 훨씬 더 유리하게는, 금속성 분말은 그의 피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페이스트형 액체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제와 조합될 수 있다. 변경예에서, 분말은 강성 홀더 상에 피착되기 전에 임시 홀더 상에 배열된 트랙을 형성하도록 결합제와 조합된다.
에너지 회수 장치에서, 홀더는 에너지 회수 능력을 갖지 않는다.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 내에 위치된 전도 요소만이 에너지 회수를 보장한다.
유리하게는, 홀더는 비철자성 재료, 특히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배열은 홀더가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 내에 잠길 때 홀더를 가열하는 것을 회피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울은 기부가 평면의 일부가 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홀더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은 기부의 표면이 편평 장착 표면을 갖는 가열 수단과 적절하게 협동하도록 허용한다.
유리하게는, 홀더는 보울의 외부로 향하며 유도 가열 수단에 대향하여 배열되도록 의도된 외측 면을 포함하고, 전도 요소는 상기 외측 면 상에 배열되고, 전도 요소를 갖춘 외측 면은 기부가 일부인 평면으로부터 거리(d)만큼 후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조리 용기가 유도 가열 수단과 협동할 때, 전도 요소는 에너지 회수를 최적화하기 위해 유도 가열 수단의 인덕터에 가능한 한 가까이에서, 거리(d)에 배열된다. 또한, 공간이 전도 요소와 편평 장착 표면 사이에 생성된다. 그러한 공간은 가열 수단 또는 작업 표면 상에서의 연속적인 피착 중에 전도 요소에 대한 충격을 회피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거리(d)는 0.1밀리미터와 2밀리미터 사이이다.
전도 요소와 기부가 일부인 평면 사이의 그러한 거리는 양호한 에너지 회수 능력과 양호한 보호 능력을 허용하는 양호한 절충이다.
유리하게는, 조리 용기는 철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홀더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은 금속 플레이트 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금속 플레이트 상에서의 부착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홀더가 비코팅 내측 표면을 구비하는 경우, 그러한 배열은 홀더의 내측 면과 금속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을 증진시키는 것을 허용하고, 따라서 홀더 내에서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2개의 접촉 지점들 사이에서의 루프의 형성을 회피한다.
유리하게는, 홀더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을 갖는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은 원재료로부터 압출되거나 방사된 요소로 만들어진 홀더를 제작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홀더에 대한 제조 공정은 특히 경제적이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0.5밀리미터와 2밀리미터 사이,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밀리미터의 두께(e)를 갖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은 보울에 부착되기 전의 그의 제조 중에 조작되기에 충분히 강성이지만, 조리 용기의 기부 내에 쉽게 배열될 수 있기에 충분히 얇은 홀더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도 요소는 350℃보다 더 높은 온도에 대해 내열성인 재료, 특히, 유리 프릿, 세라믹, 또는 에나멜의 피착에 의해 형성된 절연 층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러한 배열은 특히 식기 세척기 내에서의 세척 중에, 높은 온도 및 세제의 화학적 공격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장치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절연 층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공정은 전도 요소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유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리 용기는 프라이팬, 소스팬, 스킬렛, 더치 오븐, 또는 압력 조리기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제한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고려하여 더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회수 장치를 갖춘 조리 용기의 보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에너지 회수 장치의 보울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선 Ⅲ-Ⅲ에 따른 도 1의 보울 및 에너지 회수 장치의 상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용기(1)는 기부(3) 및 측벽(4)을 포함하는 보울(2)을 포함한다. 보울(2)은 기부(3) 내에 매립된 에너지 회수 장치(10)를 포함한다. 에너지 회수 장치(10)는 보울(2)로부터 분리된 강성 홀더(11)를 포함한다.
보울(2)은 충격에 의해 기부(3)에 부착된 타공된 금속 플레이트(6)를 포함한다. 금속 플레이트(6)는 유도 가열 수단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철자성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진다. 기부(3)는 바람직하게는 기부(3) 상으로의 금속 플레이트(6)의 압착 중에, 충격에 의해 만들어진 하우징(7)을 포함한다. 하우징(7)은 홀더(11)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갖는다. 홀더(11)는, 특히 기부(3)가 가열 수단의 장착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편평 표면을 갖도록, 하우징(7) 내에 위치된다.
홀더(11)는 기부(3)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된 개방 루프(14)를 갖는다. 개방 루프(14)는 2개의 단부(17a, 17b)를 갖고, 이로부터 2개의 연장부(15, 16)가 기부(3)로부터 측벽(4)까지 연장한다. 각각의 연장부(15, 16)는 개방 루프(14)에 대해 측방으로, 기부(3) 상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직선 부분(18a, 18b), 및 측벽(4) 상에서 연장하는 곡선 부분(19a, 19b)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연장부(15, 16)들은 평행하고, 따라서 공간이 2개의 연장부(15, 16)들을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리시킨다.
홀더(11)는 보울(2)로 향하는 내측 면(12)(도 3) 및 보울(2)의 외부로 향하는 외측 면(13)을 포함한다. 전도 요소(20)가 피착에 의해 홀더(11)의 외측 면(13)에 부착된다. 전도 요소(20)는 유도 가열 수단과 협동하도록 의도된다. 전도 요소(20)는 조리 용기가 가열 수단 상에 위치될 때,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으로부터 코일 발생 전기를 형성한다.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는 조리 용기 상에 배열된 전기 장치 및/또는 전기기계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급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홀더(11) 상에 배열된 전도 요소(20)는 2개의 단부(24a, 24b)를 갖춘 개방 루프(21)를 갖고, 2개의 단부로부터 2개의 측방 부분(22, 23)이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개방 루프(21)는 홀더(11)의 개방 루프(14), 및 직선 부분(18a, 18b) 및 곡선 부분(19a, 19b) 상의 측방 부분(22, 23) 상에 배열된다. 전도 요소(20)는 절연 층(25)(도 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전도 요소(20) 및 절연 층(25)은 피착에 의해 홀더(11)에 부착된다. 전도 요소(20)는, 예를 들어 손잡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내에 배열된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의도된 2개의 단부(26a, 26b)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는, 예를 들어, 처리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수단, 및/또는 가열 수단 또는 원격 단자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1)의 개방 루프는 홀더(11)가 용접에 의해 하우징(7) 내의 금속 플레이트(6) 상에 부착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120°로 배열된 3개의 내부 돌출부(31, 32, 33)를 포함한다. 기부(3)는 평면의 일부이고, 전도 요소(20)를 갖춘 외측 면(13)은 기부가 일부인 평면으로부터 거리(d)만큼 후방에 설치된다. 유리하게는, 거리(d)는 0.1밀리미터와 2밀리미터 사이이다.
"보울(2)로부터 분리된 지지부(11)"는 홀더(11) 및 보울(2)이 2개의 상이한 부품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도 요소(20)를 갖춘 홀더(11)는 하위 조립체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홀더(11)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사각형 단면, 5밀리미터와 30밀리미터 사이, 바람직하게는 10밀리미터인 폭, 및 0.3밀리미터와 3밀리미터 사이, 바람직하게는 0.8밀리미터인 두께를 갖는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홀더(11)가 만들어지는 재료는 스테인리스강, 바람직하게는 오스테나이트이다. 홀더(11)가 만들어지고, 그 다음 절연 층(25)의 제1 부분(25a)(도 3), 예를 들어, 유리 프릿이 외측 면 상에 피착된다. 전도 요소(20), 예를 들어, 은 프릿이 그 다음 피착된다. 마지막으로, 절연 층(25)의 제2 부분(25b)이 피착된다.
작동 시에, 사용자는 가열 수단 상에, 조리 용기(1)의 보울(2)을 위치시킨다. 조리 용기(1)는 전기 장치 또는 전기기계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도 가열 수단을 켠다. 유도 가열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내에 위치된 전도 요소(20)의 코일이 그 다음 조리 용기(1) 상에 배열된 전기 장치 또는 전기기계 장치로 전달되는 전류를 제공한다.
당연히,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제공된,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로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다양한 구성요소의 조성의 관점으로부터의 또는 등가의 기술의 대체에 의한 변형이 본 발명의 보호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전히 가능하다.
따라서, 변경 실시예에서, 에너지 회수 장치는 회수되는 에너지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나란히 배열된 2개의 전도 요소를 갖춘 홀더를 포함한다.

Claims (11)

  1. 유도 가열 수단과 협동하도록 의도된, 기부(3), 측벽(4), 및 에너지 회수 장치(10)를 포함하는 보울(2)을 포함하는 조리 용기(1)이며, 상기 에너지 회수 장치(10)는 기부(3) 상에 배열된 루프 형상인, 보울(2)로부터 분리된 강성 홀더(11), 및 피착에 의해, 특히 스크린 인쇄, 패드 인쇄, 열 분사, 데칼코마니, 또는 레이저 소결에 의해, 홀더(11)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절연된 전도 요소(20)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1)에 있어서,
    홀더(11)는 2개의 자유 단부(17a, 17b)를 포함하는 개방 루프(14), 및 2개의 자유 단부(17a, 17b)에서 시작하여 기부(3)로부터 측벽(4)까지, 서로 접촉하지 않고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연장부(15, 16)를 포함하고, 전도 요소(20)는 피착에 의해, 개방 루프(14) 및 2개의 연장부(15, 1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11)는 비철자성 재료, 특히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울(2)은 기부(3)가 평면의 일부가 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홀더(11)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4. 제3항에 있어서, 홀더(11)는 보울(2)의 외부로 향하며 유도 가열 수단에 대향하여 배열되도록 의도된 외측 면(13)을 포함하고, 전도 요소(20)는 상기 외측 면(13) 상에 배열되고, 전도 요소(20)를 갖춘 외측 면(13)은 기부(3)가 일부인 평면으로부터 거리(d)만큼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5. 제4항에 있어서, 거리(d)는 0.1밀리미터와 2밀리미터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리 용기는 철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타공된 금속 플레이트(6)를 포함하고, 홀더(11)를 수납하기 위한 하우징(7)은 금속 플레이트(6)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7. 제6항에 있어서, 홀더(11)는 금속 플레이트(6) 상에서의 부착을 위한 수단(31, 32, 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8. 제1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11)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을 갖는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9. 제8항에 있어서, 홀더(11)는 0.3밀리미터와 3밀리미터 사이,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8밀리미터의 두께(e)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 요소(20)는 350℃보다 더 높은 온도에 대해 내열성인 재료, 특히 유리 프릿, 세라믹, 또는 에나멜의 피착에 의해 형성된 절연 층(25)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리 용기는 프라이팬, 소스팬, 스킬렛, 더치 오븐, 또는 압력 조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1).
KR1020187008289A 2015-09-29 2016-09-27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KR201800611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9192A FR3041518B1 (fr) 2015-09-29 2015-09-29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nergie
FR1559192 2015-09-29
PCT/FR2016/052451 WO2017055733A1 (fr) 2015-09-29 2016-09-27 Ré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écupération d'énerg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177A true KR20180061177A (ko) 2018-06-07

Family

ID=5436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289A KR20180061177A (ko) 2015-09-29 2016-09-27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059132A1 (ko)
EP (1) EP3355751B1 (ko)
JP (1) JP2018532469A (ko)
KR (1) KR20180061177A (ko)
CN (1) CN108348105B (ko)
ES (1) ES2765231T3 (ko)
FR (1) FR3041518B1 (ko)
WO (1) WO2017055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09490A1 (de) * 2020-04-06 2021-10-07 Miele & Cie. Kg Küchengeschirr
KR20220050445A (ko) * 2020-10-16 2022-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5064A1 (de) * 1976-04-07 1977-10-20 Husqvarna Ab Kochpfanne mit elektronisch gesteuerter temperaturregelung und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FR2773974B1 (fr) * 1998-01-23 2000-03-31 Seb Sa Ustensile de cuisson comportant une sonde de temperature integree dans le fond de cet ustensile
CN101352307B (zh) * 2008-09-16 2010-10-27 明高五金制品(深圳)有限公司 半导体制冷片温差发电电子测温锅
US20100147832A1 (en) * 2008-12-16 2010-06-17 Barker Iii Charles R Induction cookware identifying
FR2977776B1 (fr) * 2011-07-13 2014-05-23 Seb Sa Article culinaire alimente par induction et procede pour fabriquer le recipient d'un tel article
FR3010609B1 (fr) * 2013-09-06 2017-10-20 Seb Sa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nergie cooperant avec un recipient de cuisson
FR3010293B1 (fr) * 2013-09-06 2015-09-25 Seb Sa Calotte d'un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 support muni d'un dispositif electrique
CN104720569B (zh) * 2015-04-13 2018-01-05 上海纯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饭煲真空锅胆恒温装置
FR3084806B1 (fr) * 2018-08-01 2023-11-03 Seb Sa Procede d'appairage automatique pour la communication entre un article culinaire et un foyer d'une table de cuisson a in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59132A1 (en) 2019-02-21
JP2018532469A (ja) 2018-11-08
EP3355751B1 (fr) 2019-12-04
EP3355751A1 (fr) 2018-08-08
ES2765231T3 (es) 2020-06-08
FR3041518A1 (fr) 2017-03-31
CN108348105A (zh) 2018-07-31
FR3041518B1 (fr) 2017-10-20
CN108348105B (zh) 2021-01-29
WO2017055733A1 (fr)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98882A1 (en) Bowl of a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Mounting Provided with an Electric Device
EP2472185B1 (en) Heating system
ES2687697T3 (es) Un dispositivo de cocina inalámbrico operado sobre un fogón de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US9491809B2 (en) Induction cooktop appliance
KR20180061177A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
CN106923685B (zh) 适于电磁加热的内锅及具有其的烹饪器具
US20140209598A1 (en) Cooking Pot with a Heated Lateral Wall and Process
ES2659011T3 (es) Dispositivo de recuperación de energía que coopera con un recipiente de cocción
EP2230466A1 (en) Cooking device, especially domestic cooking device
AU2014286541A1 (en) Power saving induction cooking plate, cooking vessel and induction cooking arrangement
JP2012110636A (ja) 誘導加熱調理器用調理容器
CN107361620B (zh) 烹饪器具
JP2010262751A (ja) 複合誘導加熱調理器
JP2009048867A (ja) 加熱調理器
EP3934382B1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JP2014190611A (ja) 加熱調理器
CN215637369U (zh) 烹调器和烹饪器具
CN106937426B (zh) 适于电磁加热的内锅
CN211432333U (zh) 烹饪锅具以及烹调器
JP2011003490A (ja) 誘導加熱装置
JP5473700B2 (ja) 加熱調理器
JP2004360964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KR101813279B1 (ko) 전기 호브
CN210169700U (zh) 烹饪锅具及烹调器
JP2006210215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加熱補助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