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161A - 광 통신 커넥터, 광 통신 케이블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광 통신 커넥터, 광 통신 케이블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161A
KR20180061161A KR1020187007222A KR20187007222A KR20180061161A KR 20180061161 A KR20180061161 A KR 20180061161A KR 1020187007222 A KR1020187007222 A KR 1020187007222A KR 20187007222 A KR20187007222 A KR 20187007222A KR 20180061161 A KR20180061161 A KR 20180061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ng
light
optical
optical communication
collimato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아키 도바
마사나리 야마모토
료헤이 다카하시
사토시 무토
다츠시 나시다
신페이 히라노
나오후미 요네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6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02B2006/4297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having protection means, e.g. protecting humans against accidental exposure to harmful laser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고, 또한 비광결합 시에 있어서 평행광(콜리메이트광)이 광 커넥터 밖으로 직접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고 개량된 광 통신 커넥터, 광 통신 케이블 및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콜리메이트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사출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사출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커넥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광 통신 커넥터, 광 통신 케이블 및 전자 기기
본 개시는 광 통신 커넥터, 광 통신 케이블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 등에 있어서의 통신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보다 큰 전송 용량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구리 케이블을 통한 전송 방식으로는 이와 같은 큰 전송 용량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따라서 보다 큰 전송 용량을 달성 가능한 광 통신이 제안되어 왔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광 통신 케이블에서는, 광 파이버끼리를 커넥터 내에서 맞대는, 소위 피지컬 콘택트(PC)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PC 방식에서는, 양쪽의 광 파이버의 위치 정렬에 고정밀도의 조정이 필요해진다. 또한 그 광 파이버의 맞댐에 있어서는, 광 파이버의 끝에 티끌 등이 부착되어 광 파이버가 파손되지 않도록, 접속할 때마다 양쪽의 광 파이버를 클리닝할 필요가 있다. 또한 PC 방식에서는, 광 파이버의 선단의 간극에 있어서의 결합 불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당해 간극에의 굴절률 조정제의 주입이 불가결하게 되어 있다. 이들의 결과, 일반적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PC 방식에 의한 광 파이버의 삽입 인발이 곤란하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콜리메이트 광결합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콜리메이트 광결합 방식에 있어서는, 각 광 파이버의 끝에 광축을 맞추어 각각 렌즈를 장착하고 광 신호를 평행광으로 하여, 대향하는 렌즈 사이에서 광 신호의 전달을 행한다. 이와 같은 콜리메이트 광결합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광 파이버의 커넥터끼리의 위치 정렬 정밀도가 완화된다. 또한 콜리메이트 광결합 방식은, 광 파이버끼리가 비접촉인 상태에서 광결합되기 때문에, 광 파이버 사이에 침입한 티끌 등에 의한 전송 품질에 대한 악영향도 억제되어, 빈번하고도 주의 깊은 클리닝도 불요해진다.
그런데 콜리메이트 광결합 방식에서 사용되는 평행광은 원리상, 출사부로부터 거리가 떨어지더라도 감쇠되기 어려우며, 그 강도에 따라서는 IEC 60825-1, IEC 60825-2 등의 레이저광에 관한 규격을 만족시키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현재, 비접속 시에 있어서 평행광을 차폐하기 위한 셔터가 광 통신 커넥터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콜리메이트광(평행광)에 의한 레이저 해저드의 방지를 목적으로 한 광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콜리메이트 광결합을 행하기 위한 광 커넥터에 있어서, 광 파이버 고정부와 콜리메이트 렌즈에, 대향하는 2개의 요철 구조를 형성한 광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광 커넥터는, 광 커넥터의 비접속 시에는 콜리메이트 렌즈가 광 파이버 고정부로부터 이격됨과 함께, 요철 구조가 광 파이버로부터의 광을 산란시킨다. 한편, 이 광 커넥터는, 광 커넥터의 접속 시에 있어서는, 콜리메이트 렌즈가 압박됨으로써 콜리메이트 렌즈가 광 파이버 고정부와 2개의 요철 구조를 개재하여 맞닿아 평행광을 사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6480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 커넥터는, 비접속 시에도 콜리메이트 렌즈를 압박함으로써 콜리메이트 렌즈가 광 파이버 고정부와 2개의 요철 구조를 개재하여 맞닿을 수 있어, 광 커넥터로부터 콜리메이트광이 방사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 커넥터는, 콜리메이트 렌즈를 광 파이버 고정부에 대하여 이격, 근접시키기 위한 기구를 요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 커넥터는, 콜리메이트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콜리메이트 렌즈 표면이 먼지 또는 오일 등에 의하여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콜리메이트 결합 방식은 PC 방식과 비교하여 오염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다. 그러나 비교적 삽입 인발의 빈도가 높은 민수용의 기준에 의한 사용 조건에서는 클리닝이 전혀 필요없지는 않다. 또한 콜리메이트 렌즈에 흠집 등이 생겼을 때는 그 신호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동 문헌에 기재된 광 커넥터는, 콜리메이트 렌즈 상에 오염이 발생했을 때 클리닝이 필요해진다. 이와 같은 클리닝은, 광 커넥터가 소형으로 되거나 렌즈가 복수 배치되거나 한 경우에는 그 렌즈 부분의 메인터넌스가 매우 곤란해진다. 또한 광 커넥터에 셔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셔터를 해제하기 위한 지그 등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고, 또한 비광결합 시에 있어서 평행광(콜리메이트광)이 광 커넥터 밖으로 직접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고 개량된 광 통신 커넥터, 광 통신 케이블 및 전자 기기를 제안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콜리메이트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사출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사출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커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광 전송로와,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콜리메이트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통과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사출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커넥터
를 구비하는, 광 통신 케이블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콜리메이트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통과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사출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고, 또한 비광결합 시에 있어서 평행광이 광 커넥터 밖으로 직접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고 개량된 광 통신 커넥터, 광 통신 케이블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 본 명세서에 나타난 어느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및 광 통신 케이블의 외관예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 및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차외 정보 검출부 및 촬상부의 설치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상이한 실시 형태의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 뒤에 상이한 알파벳을 붙여 구별한다. 단,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 등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일한 부호만을 붙인다. 또한 도면 중, 설명의 용이화를 위하여 적절히 설명의 필요가 없는 부재를 생략하였다. 또한 도시된 각 부재의 치수는 설명의 용이화를 위하여 적절히 확대, 축소되어 있으며, 실제의 각 부재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제1 실시 형태
1. 1. 전자 기기 및 광 통신 케이블의 외관예
1. 2. 전자 기기 및 광 통신 케이블의 구성
(광 통신 커넥터)
(전자 기기)
(광 통신 케이블)
2. 제2 실시 형태
3. 응용예
<1. 제1 실시 형태>
[1. 1. 전자 기기 및 광 통신 케이블의 외관예]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00) 및 광 통신 케이블(200)의 외관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광 송수신부(110)를 구비한다. 광 송수신부(110)는 광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광 송수신부(110)는 광 통신 커넥터(10B)를 구비하고 있다. 광 송수신부(110)는 광 통신 커넥터(10B)를 통하여, 전자 기기(100)가 송신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광 신호로서 발신하고, 또한 전자 기기(100)로의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광 통신 케이블(200)은 케이블 본체(201)와 광 통신 커넥터(10A)를 구비하고 있다. 광 통신 케이블(200)은 케이블 본체(201), 광 통신 커넥터(10A)를 통하여, 전자 기기(100)와 다른 전자 기기나 인터넷 등의 통신망과의 사이의 광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스마트폰, PHS, PDA, 태블릿 PC, 랩톱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IC 레코더, 휴대 미디어 플레이어, 전자 수첩, 전자 사전, 전자 계산기, 휴대 게임기 등의 모바일 전자 기기나, 데스크톱 컴퓨터, 디스플레이 장치, 텔레비전 수신기, 라디오 수신기, 비디오 레코더, 프린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게임기, 라우터, 허브, 광 회선 종단 장치(ONU) 등의 다른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또는 전자 기기(100)는, 냉장고, 세탁기, 시계, 인터폰, 공조 설비, 가습기, 공기 청정기, 조명 기구, 조리 기구 등의 전기 제품, 또는 후술하는 차량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 있다.
[1. 2. 장치 및 광 통신 케이블의 구성]
다음으로, 도 1에 추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전자 기기(100) 및 광 통신 케이블(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10A)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10B)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10A 및 10B)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먼저 광 통신 커넥터(10A, 10B)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이어서 이들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100) 및 광 통신 케이블(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광 통신 커넥터)
이하, 광 통신 커넥터(10A, 10B)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광 통신 커넥터(10A, 10B)는 공통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광 통신 커넥터(10A)의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의 광 통신 커넥터(10A)는, 케이블 본체(201)의 선단측에 설치된 플러그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통신 커넥터(10A)는 렌즈부(11A)와 굴절부(13A)와 산란 부재(15A)를 주로 갖고 있다. 또한 광 통신 커넥터(10A)는 상술한 구성 외에, 각 부재의 위치 결정을 위한 위치 결정 부재, 각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각 부재를 담지하기 위한 케이싱 등을 적절히 구비할 수 있다.
렌즈부(11A)는 케이블 본체(201) 내에 있는 광 전송로(202A)의 선단측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렌즈부(11A)는 선단측의 콜리메이트 렌즈(111A)에 있어서, 광 전송로(202A)로부터 사출되는 광 신호의 광을 평행광(콜리메이트광) LA1로 변환하여 사출한다. 한편, 렌즈부(11A)는, 선단측의 콜리메이트 렌즈(111A)에 평행광이 입사했을 때 당해 평행광을 집광하여 광 전송로(202A)를 향하여 사출한다.
또한 도면 중 2개의 콜리메이트 렌즈(111A)가 기재되어 있지만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렌즈부(11A)는 광 전송로(202A)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임의의 수의 콜리메이트 렌즈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부(11A)는, 광 통신 커넥터(10A)의 두께 방향, 폭 방향으로 콜리메이트 렌즈가 배열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여도 된다. 예를 들어 렌즈부(11A)는, 두께 방향(도면 중 상하 방향)으로 2열, 폭 방향(도면 중 깊이 방향)으로 복수 행의 콜리메이트 렌즈가 배열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여도 된다.
굴절부(13A)는, 렌즈부(11A)로부터 사출된 평행광 LA1을 굴절시켜 사출하도록 구성·배치된 프리즘이다. 굴절부(13A)는 렌즈부(11A)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굴절부(13A)는, 렌즈부(11A)에 배치된 각 콜리메이트 렌즈(111A)로부터의 평행광 LA1을 수광할 수 있도록 적절히 폭 방향(도면 중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콜리메이트 렌즈(111A)가 두께 방향으로, 예를 들어 3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경우 또는 하나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 굴절부(13A)는 이에 대응하여 두께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굴절부(13A)는 그 선단측, 즉, 후술하는 굴절광 LA2의 사출측의 면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111A)에 의하여 사출된 평행광 LA1과 대략 수직으로 되는 평면(131A)을 이루고 있다.
또한 굴절부(13A)는, 선단측의 평면(131A)에 반사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광 통신 커넥터(10B)로부터 광 신호를 수취할 때 효율적으로 당해 광 신호가 굴절부(13A)에 입사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반사 방지부는 반사 방지막 또는 1㎛ 미만의 주기의 미세한 요철 구조, 예를 들어 모스아이 구조 등에 의하여 실현 가능하다.
또한 굴절부(13A)는, 선단측의 평면(131A)에 표면 보호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굴절부(13A)가 원치 않게 손상하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균일하게 굴절광 LA2가 사출되는 결과, 광 신호의 품질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표면 보호부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 수지막이나 무기 재료에 의한 투명 피막에 의하여 실현 가능하다.
한편, 굴절부(13A)는 그 기단측이, 즉, 평행광 LA1의 입사측의 면이, 평행광 LA1에 대하여 서로 입사각이 상이한 복수의 굴절면(133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굴절부(13A)는 그 기단측의 면이, 두께 방향 중앙으로부터 단부측을 향하여 선단측으로 경사져서 볼록부를 형성하는 2개의 굴절면(133A)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굴절면(133A)에 의하여 평행광 LA1은 굴절되어 굴절광 LA2로 되어 평면(131A)으로부터 사출된다.
또한 2개의 굴절면(133A)에 의하여 굴절된 굴절광 LA2가 두께 방향 중앙 부근에서 교차하도록 2개의 굴절면(133A)의 각도가 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굴절광 LA2가 교차하도록 평행광 LA1을 굴절시킴으로써, 후술하는 광 통신 커넥터(10B)의 굴절광 LA2의 수취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나의 콜리메이트 렌즈(111A)에 의하여 사출된 평행광 LA1은 모두 동일한 굴절면(133A)에 입사된다. 이것에 의하여, 하나의 광 신호가 하나의 광로를 진행하기 때문에, 즉, 하나의 광 신호가 복수로 분기된 후에 통합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광 신호의 노이즈가 적은 것으로 된다.
또한 굴절부(13A)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투명 수지 재료나, BK7, 합성 석영, 무수 합성 석영, 알칼리 알루미노규산염 등의 유리 재료, 그 외의 투명 무기 재료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기계적 강도, 가공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여 굴절부(13A)의 구성 재료로서 적합하다.
산란 부재(15A)는 굴절부(13A)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2매의 판상 부재이다. 산란 부재(15A)는, 굴절부(13A)를 통과한 굴절광 LA2가 조사되도록, 산란 부재(15A)의 선단부측의 면이 굴절부(13A)의 굴절면(133A) 중 어느 것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산란 부재(15A)는, 굴절면(133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평면과 산란 부재(15A)의 내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평면의 교선이 광 통신 커넥터(10A)의 폭 방향과 평행으로 되는 각도로 굴절부(13A)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산란 부재(15A)는, 굴절광 LA2가 조사되는 부위에 있어서 굴절광 LA2를 산란시키는 산란부(151A)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리메이트 렌즈(111A)에 의하여 콜리메이트된 평행광 LA1은, 광 통신 커넥터(10B)와 접속하고 있지 않을 때는 산란부(151A)에 있어서 산란된다. 그 결과, 콜리메이트된 평행광 LA1 및 굴절광 LA2가 원치 않게 광 통신 커넥터(10A) 밖으로 직접 방사되는 것이 방지된다.
산란부(151A)는 광을 산란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조면 또는 알루마이트층 등의 다공질막일 수 있다. 특히 알루마이트층은 간편하고도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광의 산란성이 우수하다.
산란 부재(15A)의 구성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금속재료일 수 있다. 또한 산란부(151A)가 알루마이트층인 경우, 산란 부재(15A)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10B)는, 전자 기기(100)의 측면에 배치된 리셉터클이다. 광 통신 커넥터(10B)는 상술한 광 통신 커넥터(10A)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렌즈부(11B), 굴절부(13B)의 구성은 렌즈부(11A), 굴절부(13A)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한편, 산란 부재(15B)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 통신 커넥터(10A)와의 접속 시에 있어서, 산란 부재(15A)의 선단 부분이 산란 부재(15B)와 렌즈부(11B) 및 굴절부(13B)와의 사이에 삽입 가능하도록 렌즈부(11B) 및 굴절부(13B)와의 사이에 간극을 갖고 있다.
이상, 광 통신 커넥터(10A 및 10B)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광 통신 커넥터(10A, 1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굴절부(13A, 13B) 및 산란부(151A, 151B)에 의하여 서로 접속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비광결합 시에 있어서, 평행광이 광 통신 커넥터(10A, 10B) 밖으로 직접 방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콜리메이트 렌즈(111A, 111B)에 의하여 생성된 평행광 LA1, LB1의 강도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사용자의, 예를 들어 안구 등에 평행광 LA1, LB1이 직접 입사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건강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평행광(레이저광)의 출사광 강도는 열화되는 경우가 원리상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예를 들어 안구에 레이저광이 입사되었을 때 건강 피해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그 때문에, 국제 규격으로서 레이저 제품의 안전성을 규정하는 규격이 존재하고 있다(IEC 60825-1, 2). 광 통신 커넥터(10A 및 10B)는, 상술한 굴절부(13A, 13B) 및 산란부(151A, 151B)에 의하여 이와 같은 국제 규격을 만족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광 통신 커넥터(10A, 10B)가 접속되었을 때는, 2개의 굴절부(13A, 13B)를 통과한 광 신호는 다시 평행광으로 되어 광결합이 가능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통신 커넥터(10A, 10B)는, 그 접속 시에 있어서 굴절부(13A, 13B)가 대칭적으로, 또한 평면(131A, 131B)이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먼저, 광 전송로(202A)로부터 방출된 광은 렌즈부(11A)에 있어서 콜리메이트되어 평행광 LA1로 된다. 이어서, 평행광 LA1은 굴절부(13A)에 입사됨과 함께 굴절면(133A)에 의하여 굴절되어 굴절광 LA2로 된다. 이어서, 굴절광 LA2는 평면(131A)을 통과하여 평면(131B)으로부터 굴절부(13B)에 입사된다. 입사된 굴절광 LA2는 굴절면(133B)에 있어서 다시 굴절되어 LA1과 평행인 평행광 LA3으로 된다. 평행광 LA3은 렌즈부(11B)에 있어서 집광되어 광 전송로(202B)로 반송된다.
마찬가지로, 광 전송로(202B)로부터 방출된 광은 렌즈부(11B)에 있어서 콜리메이트되어 평행광 LB1로 된다. 이어서, 평행광 LB1은 굴절부(13B)에 입사됨과 함께 굴절면(133B)에 의하여 굴절되어 굴절광 LB2로 된다. 이어서, 굴절광 LB2는 평면(131B)을 통과하여 평면(131A)으로부터 굴절부(13A)에 입사된다. 입사된 굴절광 LB2는 굴절면(133A)에 있어서 다시 굴절되어 LB1과 평행인 평행광 LB3으로 된다. 평행광 LB3은 렌즈부(11A)에 있어서 집광되어 광 전송로(202A)에 전송된다. 이상에 의하여, 광 통신 커넥터(10A, 10B)를 통한, 전자 기기(100)와 광 통신 케이블(200) 사이에 있어서의 광 신호의 쌍방향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 통신 커넥터(10A, 10B)는, 굴절부(13A, 13B)가 선단측에 배치됨으로써 콜리메이트 렌즈(111A, 111B) 및 광 전송로(202A, 202B)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광 전송로(202A, 202B), 콜리메이트 렌즈(111A, 111B)로의 진애, 먼지의 침입이 방지됨과 함께 오일 등의 부착이 방지되는 결과, 이들의 클리닝이 불요해져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다. 또한 굴절부(13A, 13B)는, 그 선단측이 평면(131A, 131B)을 이루기 때문에 진애, 먼지 등의 오염이 축적되기 어렵다.
또한 광 통신 커넥터(10A, 10B)는, 광 전송로(202A, 202B) 사이의 광의 전송을 담당하는 굴절부(13A, 13B) 및 렌즈부(11A, 11B)가 각각 동일한 형상이다. 따라서 광 통신 커넥터(10A) 및 광 통신 커넥터(10B)를 포함하는 광 통신 커넥터 세트를 제조할 때는,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품을 공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광 통신 커넥터 세트의 광결합의 품질을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광 통신 커넥터(10A, 10B)는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함과 함께, 콜리메이트 광결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광 통신 커넥터(10A, 10B)는 평행광을 차폐하기 위한 가동 부재를 갖지 않기 때문에, 기구가 간소함과 함께 고장이 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광 통신 커넥터(10A, 10B)는, 비교적 빈번히 광 통신 케이블(200)의 삽입 인발이 행해지는 민수용의 광 통신 용도에 적합하다.
(전자 기기)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광 송수신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광 송수신부(110)는, 광 신호의 발광부(120)와, 광 신호의 수광부(130)와, 리셉터클로서의 광 통신 커넥터(10B)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부(120)는, 전자 기기(100) 내에 있어서 송신해야 하는 데이터를 광 신호로서 출력하고, 발광부(120)의 선단측에 배치된 광 전송로(202B)를 통하여 광 통신 커넥터(10B)에 입력한다.
또한 수광부(130)는, 광 통신 커넥터(10B)로부터의 광 신호를 광 전송로(202B)를 통하여 수광하여, 전자 기기(100) 내의 인터페이스에 출력한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상세한 하드웨어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100)는 주로 CPU(901)와 ROM(902)과 RAM(903)을 구비한다. 또한 전자 기기(100)는 호스트 버스(907)와 브리지(909)와 외부 버스(911)와 인터페이스(913)와 입력 장치(915)와 출력 장치(917)와 스토리지 장치(919)와 드라이브(921)와 접속 포트(923)와 통신 장치(925)를 더 구비한다.
CPU(901)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며, ROM(902), RAM(903), 스토리지 장치(919), 또는 리무버블 기록 매체(927)에 기록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전자 기기(100) 내의 동작 전반 또는 그 일부를 제어한다. ROM(902)은, CPU(90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한다. RAM(903)은, CPU(90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적절히 변화되는 파라미터 등을 1차 기억한다. 이들은, CPU 버스 등의 내부 버스에 의하여 구성되는 호스트 버스(907)에 의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버스(907)는 브리지(909)를 통하여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 버스 등의 외부 버스(911)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장치(915)는,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널, 버튼, 스위치 및 레버 등, 유저가 조작하는 조작 수단이다. 또한 입력 장치(915)는, 예를 들어 적외선이나 그 외의 전파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수단(소위 리모컨)이어도 되고, 전자 기기(100)의 조작에 대응한 휴대 전화나 PDA 등의 외부 접속 기기(929)여도 된다. 또한 입력 장치(915)는, 예를 들어 상기 조작 수단을 사용하여 유저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CPU(901)에 출력하는 입력 제어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기기(100)의 유저는 이 입력 장치(915)를 조작함으로써, 전자 기기(100)에 대하여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동작을 지시하거나 할 수 있다.
출력 장치(917)는, 취득한 정보를 유저에 대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장치로서, CRT 디스플레이 장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L 디스플레이 장치 및 램프 등의 표시 장치나, 스피커 및 헤드폰 등의 음성 출력 장치나, 프린터 장치, 휴대 전화, 팩시밀리 등이 있다. 출력 장치(917)는,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가 행한 각종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는, 전자 기기(100)가 행한 각종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표시한다. 한편, 음성 출력 장치는, 재생된 음성 데이터나 음향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스토리지 장치(919)는, 전자 기기(100)의 기억부의 일례로서 구성된 데이터 저장용의 장치이다. 스토리지 장치(919)는, 예를 들어 HDD(Hard Disk Drive) 등의 자기 기억부 디바이스, 반도체 기억 디바이스, 광 기억 디바이스, 또는 광 자기 기억 디바이스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 스토리지 장치(919)는, CPU(9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및 외부로부터 취득한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드라이브(921)는 기록 매체용 리더라이터이며, 전자 기기(100)에 내장 또는 외장된다. 드라이브(921)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927)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하여 RAM(903)에 출력한다. 또한 드라이브(921)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927)에 기록을 기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무버블 기록 매체(927)는, 예를 들어 DVD 미디어, HD-DVD 미디어, Blu-ray 미디어 등이다. 또한 리무버블 기록 매체(927)는 컴팩트 플래시(등록 상표)(CompactFlash: CF), 플래시 메모리, 또는 SD 메모리 카드(Secure Digital memory card) 등이어도 된다. 또한 리무버블 기록 매체(927)는, 예를 들어 비접촉형 IC 칩을 탑재한 IC 카드(Integrated Circuit card) 또는 전자 기기 등이어도 된다.
접속 포트(923)는, 기기를 전자 기기(100)에 직접 접속하기 위한 포트이다. 접속 포트(923)의 일례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IEEE 1394 포트,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포트 등이 있다. 접속 포트(923)의 다른 예로서 RS-232C 포트, 광 디지털 단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등이 있다. 이 접속 포트(923)에 외부 접속 기기(929)를 접속함으로써, 전자 기기(100)는 외부 접속 기기(929)로부터 직접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외부 접속 기기(929)에 각종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한다. 또한 상기 광 디지털 단자를, 상술한 광 통신 커넥터(10B)를 포함하는 광 송수신부(110)로서 구성해도 된다.
통신 장치(925)는, 예를 들어 통신망(931)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장치(925)는, 상술한 광 통신 커넥터(10B)를 포함하는 광 송수신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 장치(925)는 광 통신용의 라우터여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925)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Bluetooth(등록 상표), 또는 WUSB(Wireless USB)용의 통신 카드 등을 더 포함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925)는, 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용의 라우터, 또는 각종 통신용의 모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통신 장치(925)는,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다른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예를 들어 FTTR, FTTB, FTTH, FTTD 등의 FTTx나 TCP/IP 등의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925)에 접속되는 통신망(931)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하여 접속된 네트워크 등에 의하여 구성되며, 예를 들어 인터넷, 가정 내 LAN, 적외선 통신, 라디오파 통신 또는 위성 통신 등이어도 된다.
(광 통신 케이블)
광 통신 케이블(200)은 케이블 본체(201)와 광 통신 커넥터(10A)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블 본체(201)는 내부에 광 전송로(202A)를 갖고 있다. 광 전송로(202A)는, 예를 들어 광 파이버이다. 또한 광 전송로(202A)는 광을 전송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광 파이버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광 전송로(202A)는 그 외주면에 적절히 피복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광 전송로(202A)의 선단측에는 광 통신 커넥터(10A)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 통신 케이블(200)은, 상술한 전자 기기(100) 등의 전자 기기와 다른 기기 사이의 광 통신을 위한 접속에 사용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커넥터(10C)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커넥터(10D)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10C 및 10D)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커넥터(10C 및 10D)는 굴절부(13C 및 13D)의 형상이 상이하며, 이에 수반하여 광 전송로(202C, 202D)로부터의 광의 광로가 상이한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 통신 커넥터(10A, 10B)와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 및 광 통신 케이블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00) 및 광 통신 케이블(200)과의 상위점은, 광 통신 커넥터(10C 및 10D)에 관한 상위점뿐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주로 설명하며, 마찬가지의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10C)의 굴절부(13C)는, 렌즈부(11C)로부터 사출된 평행광 LC1을 굴절시켜 굴절광 LC2를 사출하도록 구성·배치된 프리즘이다. 굴절부(13C)는 렌즈부(11C)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굴절부(13C)는, 렌즈부(11C)에 배치된 각 콜리메이트 렌즈(111C)로부터의 평행광 LC1을 수광할 수 있도록 적절히 폭 방향(도면 중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굴절부(13C)는 콜리메이트 렌즈(111C)의 배치에 대응하여 두께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도 있다.
굴절부(13C)는 그 기단측, 평행광 LC1의 입사측의 면이, 평행광 LC1과 대략 수직으로 되는 평면(137C)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굴절부(13C)에 입사되는 평행광 LC1은 굴절부(13C) 내에 있어서 굴절을 받지 않고 진행한다.
한편, 굴절부(13C)는 그 선단측, 즉, 굴절부(13C)의 출사측의 면이, 콜리메이트 렌즈(111C)로부터의 입사광(평행광 LC1)에 대하여 서로 각도가 상이한 복수의 굴절면(135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굴절부(13C)는 선단측에 2개의 굴절면(135C)을 가지며, 이들에 의하여 중심선(138)을 정점으로 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굴절면(135C)에 침입한 평행광 LC1은 굴절되어, 중심선(138)에 대하여 외측을 향하는 굴절광 LC2로 된다. 또한 굴절광 LC2는, 그 진행 방향 상에 있는 산란 부재(15C)의 산란부(151C)에 있어서 산란된다.
또한 굴절면(135C)에는 반사 방지부 및/또는 표면 보호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굴절부(13C)의 구성 재료는 상술한 굴절부(13A)의 구성 재료와 마찬가지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광 통신 커넥터(10D)의 굴절부(13D)도, 렌즈부(11D)로부터 사출된 평행광 LD1을 굴절시켜 굴절광 LD2를 사출하도록 구성·배치된 프리즘이다. 또한 굴절부(13D)는, 렌즈부(11D)에 배치된 각 콜리메이트 렌즈(111D)로부터의 평행광 LD1을 수광할 수 있도록 적절히 폭 방향(도면 중 깊이 방향)으로 적절히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굴절부(13D)는 콜리메이트 렌즈(111D)의 배치에 대응하여 두께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도 있다.
굴절부(13D)는 그 기단측, 평행광 LD1의 입사측의 면이, 평행광 LD1과 대략 수직으로 되는 평면(137D)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굴절부(13D)에 입사되는 평행광 LD1은 굴절부(13D) 내에 있어서 굴절을 받지 않고 진행한다.
한편, 굴절부(13D)는 그 선단측, 즉, 굴절부(13D)의 출사측의 면이, 콜리메이트 렌즈(111D)로부터의 입사광(평행광 LD1)에 대하여 서로 각도가 상이한 복수의 굴절면(135D)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굴절부(13D)는 선단측에 2개의 굴절면(135D)을 가지며, 이들에 의하여 중심선(139)을 저부로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굴절면(135D)에 침입한 평행광 LD1은 굴절되어, 중심선(139)측을 향하는 굴절광 LD2로 된다. 또한 굴절광 LD2는, 그 진행 방향 상에 있는 산란 부재(15D)의 산란부(151D)에 있어서 산란된다.
또한 굴절부(13D)의 굴절면(135D)은, 접속 시에 있어서 대향하는 굴절부(13C)의 굴절면(135C)과 대응하는 형상, 예를 들어 면적, 각도 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굴절면(135D)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절부(13C)의 굴절면(135C)에 의하여 사출된 굴절광(도 6에 있어서의 굴절광 LC2)을 다시 굴절시켜 평행광 LC3으로 하여 콜리메이트 렌즈(111D)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굴절면(135D)에는 반사 방지부 및/또는 표면 보호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굴절부(13D)의 구성 재료는 상술한 굴절부(13A)의 구성 재료와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광 통신 커넥터(10C 및 10D)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굴절부(13C, 13D) 및 산란부(151C, 151D)에 의하여 서로 접속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비광결합 시에 있어서 평행광이 광 통신 커넥터(10C, 10D) 밖으로 직접 방사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광 통신 커넥터(10C, 10D)가 접속되었을 때는, 2개의 굴절부(13C, 13D)를 통과한 광 신호는 다시 평행광으로 되어 광결합이 가능해진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통신 커넥터(10C, 10D)는, 그 접속 시에 있어서 굴절부(13C, 13C)의 굴절면(135C, 135D)이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먼저, 광 전송로(202C)로부터 방출된 광은 렌즈부(11C)에 있어서 콜리메이트되어 평행광 LC1로 된다. 이어서, 평행광 LC1은 굴절부(13C)에 입사됨과 함께 굴절면(135C)에 의하여 굴절되어 굴절부(13C)로부터 사출된다. 이어서, 굴절된 광은, 곧바로 대향하는 굴절부(13D)의 굴절면(135D)에 입사됨과 함께 다시 굴절되어 LC1과 평행인 평행광 LC3으로 된다. 평행광 LC3은 렌즈부(11D)에 있어서 집광되어 광 전송로(202D)로 반송된다.
마찬가지로, 광 전송로(202D)로부터 방출된 광은 렌즈부(11D)에 있어서 콜리메이트되어 평행광 LD1로 된다. 이어서, 평행광 LD1은 굴절부(13D)에 입사됨과 함께 굴절면(135D)에 의하여 굴절되어 굴절부(13D)로부터 사출된다. 이어서, 굴절된 광은, 곧바로 대향하는 굴절부(13C)의 굴절면(135C)에 입사됨과 함께 다시 굴절되어 LD1과 평행인 평행광 LD3으로 된다. 평행광 LD3은 렌즈부(11C)에 있어서 집광되어 광 전송로(202C)로 반송된다. 이상에 의하여, 광 통신 커넥터(10C, 10D)를 통한, 전자 기기와 광 통신 케이블 사이에 있어서의 광 신호의 쌍방향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 통신 커넥터(10C, 10D)는, 굴절부(13C, 13D)가 선단측에 배치됨으로써 콜리메이트 렌즈(111C, 111D) 및 광 전송로(202C, 202D)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광 전송로(202C, 202D), 콜리메이트 렌즈(111C, 111D)의 클리닝이 불요해져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하다. 또한 굴절부(13A, 13B)는 그 선단측이 요철을 이루기 때문에, 접속 시의 광 통신 커넥터(10C, 10D)끼리의 위치 정렬이 용이하다.
<3. 응용예>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오토바이 등의 어느 종류의 차량에 탑재되는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 제어 시스템(20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차량 제어 시스템(2000)은, 통신 네트워크(2010)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전자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차량 제어 시스템(2000)은 구동계 제어 유닛(2100), 보디계 제어 유닛(2200), 배터리 제어 유닛(2300),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 차내 정보 검출 유닛(2500) 및 통합 제어 유닛(2600)을 구비한다. 이들 복수의 제어 유닛을 접속하는 통신 네트워크(2010)는, 예를 들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FlexRay(등록 상표) 등의, 임의의 규격에 준거한 차량 탑재 통신 네트워크이어도 된다.
각 제어 유닛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 처리를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각종 연산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각종 제어 대상의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각 제어 유닛은, 통신 네트워크(2010)를 통하여 다른 제어 유닛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I/F를 구비함과 함께, 차내외의 장치 또는 센서 등과의 사이에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I/F를 구비한다. 도 9에서는, 통합 제어 유닛(2600)의 기능 구성으로서 마이크로컴퓨터(2610), 범용 통신 I/F(2620), 전용 통신 I/F(2630), 측위부(2640), 비콘 수신부(2650), 차내 기기 I/F(2660), 음성 화상 출력부(2670), 차량 탑재 네트워크 I/F(2680) 및 기억부(2690)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제어 유닛도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 통신 I/F 및 기억부 등을 구비한다.
구동계 제어 유닛(2100)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차량의 구동계에 관련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구동계 제어 유닛(2100)은, 내연 기관 또는 구동용 모터 등의 차량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력 발생 장치, 구동력을 차륜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기구, 차량의 타각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기구, 및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 장치 등의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구동계 제어 유닛(2100)은 ABS(Antilock Brake System) 또는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의 제어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져도 된다.
구동계 제어 유닛(2100)에는 차량 상태 검출부(2110)가 접속된다. 차량 상태 검출부(2110)에는, 예를 들어 차체의 축 회전 운동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혹은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량,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 스티어링 휠의 조타각, 엔진 회전수 또는 차륜의 회전 속도 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구동계 제어 유닛(2100)은 차량 상태 검출부(21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연산 처리를 행하여, 내연 기관, 구동용 모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장치 등을 제어한다.
보디계 제어 유닛(2200)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차체에 장비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보디계 제어 유닛(2200)은,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 스마트 키 시스템, 파워 윈도 장치, 혹은 전조등, 후진등, 브레이크등, 방향 지시등 또는 안개등 등의 각종 램프의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보디계 제어 유닛(2200)에는, 키를 대체하는 휴대기로부터 발신되는 전파 또는 각종 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보디계 제어 유닛(2200)은 이들 전파 또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하여 차량의 도어 록 장치, 파워 윈도 장치, 램프 등을 제어한다.
배터리 제어 유닛(2300)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구동용 모터의 전력 공급원인 이차 전지(23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 제어 유닛(2300)에는, 이차 전지(2310)를 구비한 배터리 장치로부터 배터리 온도, 배터리 출력 전압 또는 배터리의 잔존 용량 등의 정보가 입력된다. 배터리 제어 유닛(2300)은 이들 신호를 이용하여 연산 처리를 행하여, 이차 전지(2310)의 온도 조절 제어, 또는 배터리 장치에 구비된 냉각 장치 등의 제어를 행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은, 차량 제어 시스템(2000)을 탑재한 차량의 외부의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에는 촬상부(2410) 및 차외 정보 검출부(2420) 중 적어도 한쪽이 접속된다. 촬상부(2410)에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단안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및 그 외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차외 정보 검출부(2420)에는, 예를 들어 현재의 날씨 또는 기상을 검출하기 위한 환경 센서, 또는 차량 제어 시스템(2000)을 탑재한 차량 주위의 다른 차량, 장해물 또는 보행자 등을 검출하기 위한 주위 정보 검출 센서가 포함된다.
환경 센서는, 예를 들어 우천을 검출하는 빗방울 센서, 안개를 검출하는 안개 센서, 일조 정도를 검출하는 일조 센서, 및 강설을 검출하는 눈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여도 된다. 주위 정보 검출 센서는 초음파 센서, 레이더 장치 및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Laser Imaging Detection and Ranging) 장치 중 중 적어도 하나여도 된다. 이들 촬상부(2410) 및 차외 정보 검출부(2420)는 각각 독립된 센서 내지 장치로서 구비되어도 되고, 복수의 센서 내지 장치가 통합된 장치로서 구비되어도 된다.
여기서, 도 10은, 촬상부(2410) 및 차외 정보 검출부(2420)의 설치 위치의 예를 도시한다. 촬상부(2910, 2912, 2914, 2916, 2918)는, 예를 들어 차량(2900)의 프런트 노즈, 사이드 미러, 리어 범퍼, 백 도어, 및 차실 내의 앞유리의 상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된다. 프런트 노즈에 구비되는 촬상부(2910) 및 차실 내의 앞유리의 상부에 구비되는 촬상부(2918)는 주로 차량(2900)의 전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사이드 미러에 구비되는 촬상부(2914, 2912)는 주로 차량(2900)의 측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리어 범퍼 또는 백 도어에 구비되는 촬상부(2916)는 주로 차량(2900)의 후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차실 내의 앞유리의 상부에 구비되는 촬상부(2918)는 주로 선행 차량, 혹은 보행자, 장해물, 신호기, 교통 표지 또는 차선 등의 검출에 사용된다.
또한 도 10에는, 각각의 촬상부(2910, 2912, 2914, 2916)의 촬영 범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촬상 범위 a는 프런트 노즈에 설치된 촬상부(2910)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고, 촬상 범위 b, c는 각각 사이드 미러에 설치된 촬상부(2912, 2914)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고, 촬상 범위 d는 리어 범퍼 또는 백 도어에 설치된 촬상부(2916)의 촬상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촬상부(2910, 2912, 2914, 2916)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중첩시킴으로써, 차량(2900)을 상방에서 본 부감 화상이 얻어진다.
차량(2900)의 프런트, 리어, 사이드, 코너, 및 차실 내의 앞유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외 정보 검출부(2920, 2922, 2924, 2926, 2928, 2930)는,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더 장치여도 된다. 차량(2900)의 프런트 노즈, 리어 범퍼, 백 도어, 및 차실 내의 앞유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차외 정보 검출부(2920, 2926, 2930)는, 예를 들어 LIDAR 장치여도 된다. 이들 차외 정보 검출부(2920 내지 2930)는 주로 선행 차량, 보행자 또는 장해물 등의 검출에 사용된다.
도 9에 되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은, 촬상부(2410)에 차외의 화상을 촬상시킴과 함께,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은, 접속되어 있는 차외 정보 검출부(2420)로부터 검출 정보를 수신한다. 차외 정보 검출부(2420)가 초음파 센서, 레이더 장치 또는 LIDAR 장치인 경우에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은 초음파 또는 전자파 등을 발신시킴과 함께, 수신된 반사파의 정보를 수신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은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람, 차, 장해물, 표지 또는 노면상의 문자 등의 물체 검출 처리, 혹은 거리 검출 처리를 행해도 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은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강우, 안개 또는 노면 상황 등을 인식하는 환경 인식 처리를 행해도 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은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외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은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람, 차, 장해물, 표지 또는 노면상의 문자 등을 인식하는 화상 인식 처리, 혹은 거리 검출 처리를 행해도 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은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왜곡 보정 또는 위치 정렬 등의 처리를 행함과 함께, 다른 촬상부(2410)에 의하여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부감 화상 또는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2400)은, 다른 촬상부(2410)에 의하여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점 변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차내 정보 검출 유닛(2500)은 차내의 정보를 검출한다. 차내 정보 검출 유닛(2500)에는, 예를 들어 운전자의 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자 상태 검출부(2510)가 접속된다. 운전자 상태 검출부(2510)는, 운전자를 촬상하는 카메라,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생체 센서, 또는 차실 내의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 등을 포함해도 된다. 생체 센서는, 예를 들어 좌석면 또는 스티어링 휠 등에 설치되며, 좌석에 앉은 탑승자 또는 스티어링 휠을 쥐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한다. 차내 정보 검출 유닛(2500)은 운전자 상태 검출부(2510)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피로 정도 또는 집중 정도를 산출해도 되며, 운전자가 졸고 있지는 않은지를 판별해도 된다. 차내 정보 검출 유닛(2500)은 집음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캔슬링 처리 등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통합 제어 유닛(2600)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200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통합 제어 유닛(2600)에는 입력부(280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2800)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버튼, 마이크로폰, 스위치 또는 레버 등, 탑승자에 의하여 입력 조작될 수 있는 장치에 의하여 실현된다. 입력부(2800)는, 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그 외의 전파를 이용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여도 되고, 차량 제어 시스템(2000)의 조작에 대응한 휴대 전화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외부 접속 기기여도 된다. 입력부(2800)는, 예를 들어 카메라여도 되며, 그 경우, 탑승자는 제스처에 의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800)는,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2800)를 사용하여 탑승자 등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며, 통합 제어 유닛(2600)에 출력하는 입력 제어 회로 등을 포함해도 된다. 탑승자 등은 이 입력부(2800)를 조작함으로써 차량 제어 시스템(2000)에 대하여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동작을 지시하거나 한다.
기억부(2690)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각종 파라미터, 연산 결과 또는 센서값 등을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2690)는, HDD(Hard Disc Drive) 등의 자기 기억 디바이스, 반도체 기억 디바이스, 광 기억 디바이스 또는 광 자기 기억 디바이스 등에 의하여 실현해도 된다.
범용 통신 I/F(2620)는, 외부 환경(2750)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범용적인 통신 I/F이다. 범용 통신 I/F(2620)는, GSM(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s), WiMAX, 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LTE-A(LTE-Advanced) 등의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 또는 무선 LAN(Wi-Fi(등록 상표)라고도 함) 등의 기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실장해도 된다. 범용 통신 I/F(2620)는,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외부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클라우드 네트워크 또는 사업자 고유의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기기(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제어 서버)에 접속해도 된다. 또한 범용 통신 I/F(2620)는, 예를 들어 P2P(Peer To Peer)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근방에 존재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보행자 혹은 점포의 단말기, 또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와 접속해도 된다.
전용 통신 I/F(2630)는, 차량에 있어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여 책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서포트하는 통신 I/F이다. 전용 통신 I/F(2630)는, 예를 들어 하위 레이어의 IEEE 802.11p와 상위 레이어의 IEEE 1609의 조합인 WAVE(Wireless Access in Vehicle Environment), 또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등의 표준 프로토콜을 실장해도 된다. 전용 통신 I/F(2630)는, 전형적으로는 차-차 간(Vehicle to Vehicle) 통신, 도로-차 간(Vehicle to Infrastructure) 통신 및 보행자-차 간(Vehicle to Pedestrian) 통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념인 V2X 통신을 수행한다.
측위부(2640)는, 예를 들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으로부터의 GNSS 신호(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의 GPS신호)를 수신하여 측위를 실행하여, 차량의 위도, 경도 및 고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측위부(264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신호의 교환에 의하여 현재 위치를 특정해도 되고, 또는 측위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 PHS 혹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비콘 수신부(2650)는, 예를 들어 도로 상에 설치된 무선국 등으로부터 발신되는 전파 또는 전자파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 정체, 통행 금지 또는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비콘 수신부(2650)의 기능은 상술한 전용 통신 I/F(2630)에 포함되어도 된다.
차내 기기 I/F(2660)는, 마이크로컴퓨터(2610)와 차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기와의 사이의 접속을 중개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차내 기기 I/F(2660)는 무선 LAN, Bluetooth(등록 상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USB(Wireless USB)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접속을 확립해도 된다. 또한 차내 기기 I/F(2660)는 도시하지 않은 접속 단자(및 필요하다면 케이블)를 통하여 유선 접속을 확립해도 된다. 차내 기기 I/F(2660)는, 예를 들어 탑승자가 갖는 모바일 기기 혹은 웨어러블 기기, 또는 차량에 반입되거나 혹은 설치되는 정보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교환한다.
차량 탑재 네트워크 I/F(2680)는, 마이크로컴퓨터(2610)와 통신 네트워크(2010)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차량 탑재 네트워크 I/F(2680)는, 통신 네트워크(2010)에 의하여 서포트되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신호 등을 송수신한다.
통합 제어 유닛(2600)의 마이크로컴퓨터(2610)는, 범용 통신 I/F(2620), 전용 통신 I/F(2630), 측위부(2640), 비콘 수신부(2650), 차내 기기 I/F(2660) 및 차량 탑재 네트워크 I/F(26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200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2610)는 취득되는 차내외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력 발생 장치, 스티어링 기구 또는 제동 장치의 제어 목표값을 연산하여, 구동계 제어 유닛(2100)에 대하여 제어 명령을 출력해도 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2610)는, 차량의 충돌 회피 또는 충격 완화, 차간 거리에 기초하는 추종 주행, 차속 유지 주행, 자동 운전 등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해도 된다.
마이크로컴퓨터(2610)는, 범용 통신 I/F(2620), 전용 통신 I/F(2630), 측위부(2640), 비콘 수신부(2650), 차내 기기 I/F(2660) 및 차량 탑재 네트워크 I/F(26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의 주변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지도 정보를 작성해도 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2610)는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충돌, 보행자 등의 근접, 또는 통행 금지인 도로로의 진입 등의 위험을 예측하여 경고용 신호를 생성해도 된다. 경고용 신호는, 예를 들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고 램프를 점등시키거나 하기 위한 신호이어도 된다.
음성 화상 출력부(2670)는, 차량의 탑승자 또는 차외에 대하여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출력 장치에 음성 및 화상 중 적어도 한쪽 출력 신호를 송신한다. 도 9의 예에서는, 출력 장치로서 오디오 스피커(2710), 표시부(2720)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2730)이 예시되어 있다. 표시부(2720)는, 예를 들어 온보드 디스플레이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표시부(2720)는 AR(Augmented Reality) 표시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출력 장치는 이들 장치 이외의, 헤드폰, 프로젝터 또는 램프 등의 다른 장치여도 된다. 출력 장치가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 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2610)가 행한 각종 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 또는 다른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표, 그래프 등 다양한 형식으로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출력 장치가 음성 출력 장치인 경우, 음성 출력 장치는, 재생된 음성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2010)를 통하여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제어 유닛이 하나의 제어 유닛으로서 일체화되어도 된다. 또는, 개개의 제어 유닛이 복수의 제어 유닛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차량 제어 시스템(2000)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제어 유닛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어느 제어 유닛이 담당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른 제어 유닛이 갖게 해도 된다. 즉, 통신 네트워크(2010)를 통하여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면, 소정의 연산 처리가 어느 제어 유닛에서 행해지도록 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어느 한쪽 제어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또는 장치가 다른 제어 유닛에 접속됨과 함께, 복수의 제어 유닛이 통신 네트워크(2010)를 통하여 서로 검출 정보를 송수신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차량 제어 시스템(2000)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광 통신 커넥터(10A 내지 10D)는, 도 9에 도시한 각종 인터페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통신 커넥터(10A 내지 10D)는, 범용 통신 I/F(2620), 전용 통신 I/F(2630), 차내 기기 I/F(2660), 음성 화상 출력부(2670), 차량 탑재 네트워크 I/F(2680)나, 이에 대응하는 외부 환경(2750), 차내 기기(2760), 오디오 스피커(2710), 표시부(2720), 인스트루먼트 패널(2730), 통신 네트워크(2010) 등에 있어서의 통신 커넥터로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기기,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예를 들어 통합 제어 유닛(2600)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광 통신 케이블, 예를 들어 광 통신 케이블(200)은 통신 네트워크(2010) 외에, 차량 제어 시스템(2000) 내외의 각 인터페이스 및 기기와의 접속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1,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전자 기기(1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는, 도 9에 도시한 통합 제어 유닛(2600)을 위한 모듈(예를 들어 하나의 다이로 구성되는 집적 회로 모듈)에 있어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는,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전자 기기(100)가, 도 9에 도시한 차량 제어 시스템(2000)의 복수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이면,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명확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 통신 커넥터(10A)가 광 통신 케이블(200)에, 광 통신 커넥터(10B)가 전자 기기(100)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광 통신 커넥터(10A, 10B)의 배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 통신 커넥터(10A)가 전자 기기(100)에, 광 통신 커넥터(10B)가 광 통신 케이블(200)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광 통신 커넥터(10C, 10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광 통신 커넥터(10A 내지 10D)의 굴절부(13A 내지 10D)의 형상은, 콜리메이트 렌즈(111A 내지 111D)로부터의 평행광 LA1 내지 LD1을 굴절시킬 수 있는 것이면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굴절부의 굴절면의 수는, 예를 들어 그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의 광 신호의 수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형태에서는, 광 통신 커넥터(10A)와 광 통신 커넥터(10B)의 접속 시에 있어서 평면(131A, 131B)이 맞닿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개시에 따른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 통신 커넥터(10A)와 광 통신 커넥터(10B)의 접속 시에 있어서 평면(131A, 131B)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굴절면(133A, 133B)의 경사각을 적절히 조절하여 굴절부(13A, 13B) 내에 있어서의 광로를 적절히 조절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도시된 형태에서는, 광 통신 커넥터(10C)와 광 통신 커넥터(10D)의 접속 시에 있어서 굴절면(135C, 135D)이 맞닿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개시에 따른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 통신 커넥터(10C)와 광 통신 커넥터(10D)의 접속 시에 있어서 굴절면(135C, 135D)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굴절면(135C, 135D)의 경사각을 적절히 조절하여 굴절부(13C, 13D)에 있어서의 광로를 적절히 조절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 방지부는 굴절부(13A 내지 13D)의 광의 출사측(선단측)에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개시에 따른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 방지부는, 예를 들어 굴절부의 광의 입사측(기단측)에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형태에서는, 광 통신 커넥터(10A 내지 10D)의 산란부(151A 내지 151D)는 굴절광 LA2 내지 LD2의 전부를 산란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개시에 따른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산란부(151A 내지 151D)는 굴절광 LA2 내지 LD2의 일부만을 산란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산란부(151A 내지 151D)의 굴절광 LA2 내지 LD2를 산란시키는 정도는, 상술한 국제 규격(IEC 60825-1, 2)을 만족시키도록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는 않다. 즉,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콜리메이트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사출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사출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커넥터.
(2) 상기 굴절부는, 광의 사출측의 면이 평면을 이루고 있는, (1)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3) 상기 굴절부는, 광의 입사측의 면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하여 서로 각도가 상이한 복수의 굴절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굴절면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에 의하여 콜리메이트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서로 교차하도록 굴절시키는, (1) 또는 (2)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4) 상기 굴절부는 광의 입사측에 2개의 굴절면을 갖고,
상기 2개의 굴절면에 의하여 볼록부가 형성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5) 상기 굴절부와 동일한 형상의 다른 굴절부를 구비하는 제2 광 통신 커넥터를, 상기 굴절부와 상기 다른 굴절부가 상기 굴절부의 사출측면에서 대칭적으로 대향하도록 접속했을 때,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되어 상기 다른 굴절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사출된 광과 평행인 평행광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6) 상기 굴절부는, 그 광의 출사측의 면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하여 서로 각도가 상이한 복수의 굴절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7) 상기 굴절부는 광의 출사측에 2개의 굴절면을 갖고,
상기 2개의 굴절면에 의하여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6)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8) 상기 굴절부의 상기 굴절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른 굴절면을 갖는 다른 굴절부를 구비하는 제2 광 통신 커넥터를, 상기 굴절면과 상기 다른 굴절면이 대향하도록 접속했을 때,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되어 상기 다른 굴절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사출된 광과 평행인 평행광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6) 또는 (7)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9) 상기 굴절부는 프리즘인,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10) 상기 굴절부는 반사 방지부를 갖는,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11) 상기 굴절부는, 광의 출사측의 면에 표면 보호부를 갖는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12) 상기 굴절부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13) 상기 산란부는 알루마이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 통신 커넥터.
(14) 광 전송로와,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콜리메이트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통과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사출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커넥터
를 구비하는, 광 통신 케이블.
(15)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콜리메이트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통과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사출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10A, 10B, 10C, 10D: 광 통신 커넥터
11A, 11B, 11C, 11D: 렌즈부
111A, 111B, 111C, 111D: 콜리메이트 렌즈
13A, 13B, 13C, 13D: 굴절부
131A, 131B: 평면
133A, 133B: 굴절면
135C, 135D: 굴절면
137C, 137D: 평면
138, 139: 중심선
15A, 15B, 15C, 15D: 산란 부재
151A, 151B, 151C, 151D: 산란부
100: 전자 기기
110: 광 송수신부
120: 발광부
130: 수광부
200: 광 통신 케이블
201: 케이블 본체
202A, 202B, 202C, 202D: 광 전송로
907: 호스트 버스
909: 브리지
911: 외부 버스
913: 인터페이스
915: 입력 장치
917: 출력 장치
919: 스토리지 장치
921: 드라이브
923: 접속 포트
925: 통신 장치
927: 리무버블 기록 매체
929: 외부 접속 기기
931: 통신망
2000: 차량 제어 시스템
2010: 통신 네트워크
2100: 구동계 제어 유닛
2110: 차량 상태 검출부
2200: 보디계 제어 유닛
2300: 배터리 제어 유닛
2310: 2차 전지
2400: 차외 정보 검출 유닛
2410: 촬상부
2420: 차외 정보 검출부
2500: 차내 정보 검출 유닛
2510: 운전자 상태 검출부
2600: 통합 제어 유닛
2610: 마이크로컴퓨터
2640: 측위부
2650: 비콘 수신부
2670: 음성 화상 출력부
2690: 기억부
2710: 오디오 스피커
2720: 표시부
2730: 인스트루먼트 패널
2750: 외부 환경
2760: 차내 기기
2800: 입력부
2900: 차량
2910, 2912, 2914, 2916, 2918: 촬상부
2920, 2921, 2922, 2923, 2924, 2925, 2926, 2927, 2928, 2929, 2930: 차외 정보 검출부

Claims (15)

  1.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콜리메이트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사출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사출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광의 사출측의 면이 평면을 이루고 있는, 광 통신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광의 입사측의 면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하여 서로 각도가 상이한 복수의 굴절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굴절면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에 의하여 콜리메이트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서로 교차하도록 굴절시키는, 광 통신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광의 입사측에 2개의 굴절면을 갖고,
    상기 2개의 굴절면에 의하여 볼록부가 형성되는, 광 통신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와 동일한 형상의 다른 굴절부를 구비하는 제2 광 통신 커넥터를, 상기 굴절부와 상기 다른 굴절부가 상기 굴절부의 사출측면에서 대칭적으로 대향하도록 접속했을 때,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되어 상기 다른 굴절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사출된 광과 평행인 평행광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 통신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그 광의 출사측의 면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의 입사광에 대하여 서로 각도가 상이한 복수의 굴절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광 통신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광의 출사측에 2개의 굴절면을 갖고,
    상기 2개의 굴절면에 의하여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광 통신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의 상기 굴절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른 굴절면을 갖는 다른 굴절부를 구비하는 제2 광 통신 커넥터를, 상기 굴절면과 상기 다른 굴절면이 대향하도록 접속했을 때,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되어 상기 다른 굴절부를 통과한 광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로부터 사출된 광과 평행인 평행광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광 통신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프리즘인, 광 통신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반사 방지부를 갖는, 광 통신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광의 출사측의 면에 표면 보호부를 갖는, 광 통신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광 통신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알루마이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광 통신 커넥터.
  14. 광 전송로와,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콜리메이트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통과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사출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커넥터
    를 구비하는, 광 통신 케이블.
  15.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콜리메이트하는 콜리메이트 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보다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 렌즈를 통과한 상기 광 전송로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사출하는 굴절부와, 상기 굴절부로부터 사출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산란부를 구비하는 광 통신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0187007222A 2015-09-30 2016-09-07 광 통신 커넥터, 광 통신 케이블 및 전자 기기 KR201800611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4460 2015-09-30
JPJP-P-2015-194460 2015-09-30
PCT/JP2016/076295 WO2017056889A1 (ja) 2015-09-30 2016-09-07 光通信コネクタ、光通信ケーブル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161A true KR20180061161A (ko) 2018-06-07

Family

ID=5842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222A KR20180061161A (ko) 2015-09-30 2016-09-07 광 통신 커넥터, 광 통신 케이블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502902B2 (ko)
EP (1) EP3358384B1 (ko)
JP (1) JP6784260B2 (ko)
KR (1) KR20180061161A (ko)
CN (1) CN108351470B (ko)
RU (1) RU2018110083A (ko)
TW (1) TWI738668B (ko)
WO (1) WO20170568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9369B2 (en) 2017-12-21 2023-02-14 Sony Corporation Optical communication connector, optical communication cable,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8110083A (ru) 2015-09-30 2019-09-24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Разъем для оптической связи, кабель для оптической связи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I731128B (zh) * 2016-08-10 2021-06-21 日商索尼股份有限公司 光連接器、光纜線及電子機器
CN109891289A (zh) 2016-12-19 2019-06-14 株式会社藤仓 插芯、带光纤的插芯以及带光纤的插芯的制造方法
JP6749228B2 (ja) * 2016-12-19 2020-09-0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WO2019138683A1 (ja) 2018-01-15 2019-07-18 ソニー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セット、ケーブル及び電子機器
US11506850B2 (en) 2018-12-13 2022-11-22 Sony Group Corporation Optical connector, optical cable, and electronic device
WO2020153237A1 (ja) 2019-01-24 2020-07-30 ソニー株式会社 光通信装置、光通信方法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JP7396304B2 (ja) 2019-01-24 2023-12-1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光通信装置、光通信方法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WO2020184094A1 (ja) 2019-03-08 2020-09-17 ソニー株式会社 光通信装置、光通信方法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WO2022158192A1 (ja) 2021-01-22 2022-07-2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光導波路、光通信装置、光通信方法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WO2023281812A1 (ja) * 2021-07-09 2023-01-1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測定用コネクタ、測定用治具及び測定システム
CN114257889B (zh) * 2021-12-22 2023-03-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网元管理方法及其系统、网元、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4803A (ja) 2011-09-15 2013-04-11 Fujitsu Ltd 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9321A (en) * 1966-02-24 1968-12-31 Lear Siegler Inc Laser optical apparatus for cutting holes
US3547526A (en) * 1967-10-26 1970-12-15 Kollsman Instr Corp Optical beam cross-section converter
US3508807A (en) * 1967-10-27 1970-04-28 Ford Motor Co Light pipe connector
GB1441369A (en) * 1974-05-07 1976-06-30 Plessey Co Ltd Optical fibre transmission compensator
US4128302A (en) * 1977-03-21 1978-12-05 Cselt - Centro Studi E Laboratori Telecomunicazioni S.P.A. Ray-path equalizer for signal transmission via multimode optical waveguides
US4183618A (en) * 1976-08-06 1980-01-15 Smiths Industries Limited Couplings and terminals for optical waveguides
JPS5511216A (en) * 1978-07-10 1980-01-26 Olympus Optical Co Ltd Connecting optical system of light guide
US4255021A (en) * 1979-04-20 1981-03-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Optical device with conical input and output prism faces
DE3010347C2 (de) * 1980-03-18 1984-08-30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Einrichtung zur Verbindung von Lichtleitern
JPS5828713A (ja) * 1981-08-13 1983-02-19 Olympus Optical Co Ltd 環状照明装置
JPS59143146A (ja) * 1983-02-07 1984-08-16 Nippon Kogaku Kk <Nikon> ミラ−集光型照明光学系
GB8312650D0 (en) 1983-05-07 1983-06-08 Plessey Co Plc Optical connectors
JPS60262119A (ja) * 1984-06-08 1985-12-2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照明光学系
US4627068A (en) * 1984-06-13 1986-12-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Fiber optics interface for a dye laser oscillator and method
US4814118A (en) * 1984-07-02 1989-03-21 Polaroid Corporation Method of molding a connector for optical fibers
US4636611A (en) * 1985-04-15 1987-01-13 General Electric Company Quiescent circle and arc generator
US4859029A (en) * 1986-07-03 1989-08-22 Durell William E Variable ratio beam splitter and beam launcher
US4834484A (en) * 1987-07-09 1989-05-30 University Of Houston-University Park Optical fiber coupler including refractive means for producing an annular beam
US4961622A (en) * 1988-02-25 1990-10-09 University Of Houston - University Park Optical coupler and refractive lamp
US4868361A (en) * 1988-04-01 1989-09-19 General Electric Company Coupling device for high power laser beam transmitting optical fibers
JPH01287531A (ja) * 1988-05-14 1989-11-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源装置
US5101393A (en) * 1990-07-25 1992-03-31 Hewlett-Packard Company Optical position error detection using complementary steep angle reflections/transmissions
US5592328A (en) * 1991-04-19 1997-01-07 Edge Scientific Instrument Company Llc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high definition light microscope
JP2552213B2 (ja) * 1991-11-26 1996-11-06 アダマンド工業株式会社 光半導体素子実装用レセプタクル
US5953166A (en) * 1995-03-22 1999-09-14 Moritex Corporation Laser trapping apparatus
US5892620A (en) * 1995-10-03 1999-04-06 Stone; Thomas W. Optical shuffle device
US5751869A (en) * 1996-08-08 1998-05-12 Cogent Light Technologies, Inc. Optical system for coupling light from a single fiber optic into a fiber bundle
JP4323571B2 (ja) * 1997-01-31 2009-09-02 エックスワイ,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学装置
JP3654053B2 (ja) * 1999-06-04 2005-06-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装置
US6438290B1 (en) * 2000-06-22 2002-08-20 Eastman Kodak Company Micro-aspheric collimator lens
US20020172451A1 (en) * 2001-03-19 2002-11-21 Pavan Gupta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scalable optical fiber cross-connect core
US7465414B2 (en) * 2002-11-14 2008-12-16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article
JP2004187095A (ja) * 2002-12-04 2004-07-02 Sharp Corp リモコン信号送信機能付き赤外線通信用モジュール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携帯機器および携帯電話機
GB2387447B (en) * 2003-01-20 2004-04-28 Polatis Ltd Optical connector with total internal reflection surface
GB2428490B (en) * 2005-07-19 2009-06-17 Gigacom Holding Ab Optical assembly
US7286730B2 (en) * 2006-03-15 2007-10-23 Avanex Corporation Optical switch having angle tuning elements and multiple-fiber collimators
US20080013809A1 (en) * 2006-07-14 2008-01-17 Bracco Imaging, Spa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gistration in image guided surgery
JP4724648B2 (ja) 2006-12-08 2011-07-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光学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モジュール用ホルダ、光モジュールならびに光コネクタ
TWM324785U (en) * 2007-04-16 2008-01-01 Young Optics Inc Illumination system
JP5124225B2 (ja) * 2007-05-15 2013-01-2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構造
US7991257B1 (en) * 2007-05-16 2011-08-02 Fusion Optix,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composite
US8177408B1 (en) * 2008-02-15 2012-05-15 Fusion Optix, Inc. Light filtering directional control element and light fixture incorporating the same
JP5198353B2 (ja) * 2009-05-11 2013-05-1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レンズアレイ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モジュール
US9557488B2 (en) * 2011-01-11 2017-01-31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connector with lenses having opposing angled planar surfaces
CN102707391B (zh) * 2011-10-21 2015-03-11 徐秋霜 可监控的现场安装光纤活动连接器的方法和装置
JP6214170B2 (ja) 2012-08-30 2017-10-18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202735540U (zh) * 2012-09-04 2013-02-13 成都锦江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多通道多光谱光纤旋转连接器
CN203773093U (zh) * 2013-03-01 2014-08-13 三菱电线工业株式会社 光连接器及使用该光连接器的光缆
TWI572929B (zh) * 2013-04-30 2017-03-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光學傳輸接頭
CN105556363B (zh) * 2013-09-16 2017-06-30 3M创新有限公司 光通信组件
CN103487894A (zh) * 2013-10-09 2014-01-01 珠海保税区光联通讯技术有限公司 光开关
CN106062602B (zh) 2014-03-06 2018-06-08 索尼公司 光连接器、线缆和光通信装置
JP5834125B1 (ja) * 2014-09-29 2015-12-1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モジュール
JP6255326B2 (ja) * 2014-10-02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係止装置
RU2018110083A (ru) 2015-09-30 2019-09-24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Разъем для оптической связи, кабель для оптической связи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4803A (ja) 2011-09-15 2013-04-11 Fujitsu Ltd 光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9369B2 (en) 2017-12-21 2023-02-14 Sony Corporation Optical communication connector, optical communication cable,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8384B1 (en) 2023-05-10
RU2018110083A3 (ko) 2020-02-04
TW201723551A (zh) 2017-07-01
WO2017056889A1 (ja) 2017-04-06
JP6784260B2 (ja) 2020-11-11
US10983283B2 (en) 2021-04-20
CN108351470B (zh) 2021-01-22
US10502902B2 (en) 2019-12-10
EP3358384A1 (en) 2018-08-08
EP3358384A4 (en) 2019-05-29
US20200110221A1 (en) 2020-04-09
TWI738668B (zh) 2021-09-11
US20180259715A1 (en) 2018-09-13
RU2018110083A (ru) 2019-09-24
CN108351470A (zh) 2018-07-31
JPWO2017056889A1 (ja)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3283B2 (en) Optical communication connector, optical communication cable, and electronic device
TWI731128B (zh) 光連接器、光纜線及電子機器
US10137842B2 (en) Camera system for a vehicle
CN109937373B (zh) 光学连接器、光缆和电子设备
JP6962195B2 (ja) 光通信コネクタ、光通信ケーブル及び電子機器
WO2020184233A1 (ja) 光源モジュール、測距装置及び制御方法
US11579369B2 (en) Optical communication connector, optical communication cable, and electronic device
JP6828299B2 (ja) 光コネクタ、光ケーブル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