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711A - 이형지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이형지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711A
KR20180060711A KR1020160160533A KR20160160533A KR20180060711A KR 20180060711 A KR20180060711 A KR 20180060711A KR 1020160160533 A KR1020160160533 A KR 1020160160533A KR 20160160533 A KR20160160533 A KR 20160160533A KR 20180060711 A KR20180060711 A KR 20180060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elease paper
separation
separat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470B1 (ko
Inventor
최상준
김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신우에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에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신우에이엔티
Priority to KR102016016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4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4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managing processing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43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managing processing of handled material processing was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9Other feature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Labels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이형지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이형지 제거 장치에 의하면,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분리 대상인 이형지가 적어도 일 면에 부착된 상태인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어 전진하되, 상기 분리 대상체에 일정 압력을 가해줄 수 있는 인입 롤러 부재; 및 상기 인입 롤러 부재에 의해 전진되는 상기 분리 대상체와 상기 분리 대상체에 부착된 상기 이형지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상기 이형지를 분리할 수 있는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이형지 제거 장치는 이형지를 분리하려는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어 자동으로 상기 이형지를 제거하면서도, 제거된 상기 이형지가 미리 준비한 이형지 수집통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형지 제거 장치{Removal machine of release paper}
본 발명은 이형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착테이프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해 점착면에 붙인 종이를 이형지라고 한다.
이와 같은 이형지는 배터리 셀 사이의 절연체를 개입하여 다층 구조로 제작되는 배터리 팩을 제작할 때 쓰이는 절연체에 사용되거나, 라벨지, 스티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점착면 보호 또는 사용시 벗겨내는 목적에 맞게 사용되며,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들이다.
그러나,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들을 포함한 종래의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대상체에 의하면, 이러한 이형지를 제거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작업은 단순하나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이형지를 제거하는 수작업을 일회성이 아닌 계속되는 반복 작업으로 오랜 시간 요할 시, 작업자의 손이 저리거나 아픈 증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거된 이형지를 따로 모아서 버려야 하는 작업도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직접적으로 이형지를 제거해주거나, 이형지를 제거함에 있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공개특허 제 10-2016-0092323호, 공개일자: 2016.08.04., 발명의 명칭: 배터리 팩 등록특허 제 10-1500637호, 등록일자: 2015.03.03., 발명의 명칭: 포장 제품 부착용 라벨스티커
본 발명은 이형지를 분리하려는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어 자동으로 상기 이형지를 제거하면서도, 제거된 상기 이형지가 미리 준비한 이형지 수집통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이형지 제거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는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분리 대상인 이형지가 적어도 일 면에 부착된 상태인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어 전진하되, 상기 분리 대상체에 일정 압력을 가해줄 수 있는 인입 롤러 부재; 및 상기 인입 롤러 부재에 의해 전진되는 상기 분리 대상체와 상기 분리 대상체에 부착된 상기 이형지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상기 이형지를 분리할 수 있는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에 의하면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분리 대상인 이형지가 적어도 일 면에 부착된 상태인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어 전진하되, 상기 분리 대상체에 일정 압력을 가해줄 수 있는 인입 롤러 부재; 및 상기 인입 롤러 부재에 의해 전진되는 상기 분리 대상체와 상기 분리 대상체에 부착된 상기 이형지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상기 이형지를 분리할 수 있는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이형지를 분리하려는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어 자동으로 상기 이형지를 제거하면서도, 제거된 상기 이형지가 미리 준비한 이형지 수집통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의 인입 롤러 부재에 이형지가 부착된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입 롤러 부재에 이형지가 부착된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가 이형지를 분리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로부터 이형지가 분리되어 상기 이형지가 이형지 수집통으로 낙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에 보조 이형지가 부착된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에 이형지가 부착된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거 롤러측 분리 부재의 제거 롤러측 삽입부에 보조 이형지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 이형지가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형지가 보조 이형지 유도 부재를 따라 인입 롤러 쪽으로 향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에서 유도된 보조 이형지가 인입 롤러 재진입 유도부로 유도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입 롤러 재진입 유도부로 유도된 보조 이형지가 인입 롤러측 삽입부로 삽입되면서 인입 롤러측 유도부에 의해 이형지 수집통 쪽으로 낙하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형지가 이형지 수집통 쪽으로 낙하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의 인입 롤러 부재에 이형지가 부착된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입 롤러 부재에 이형지가 부착된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가 이형지를 분리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로부터 이형지가 분리되어 상기 이형지가 이형지 수집통으로 낙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100)는 프레임 부재(150)와, 인입 롤러 부재(110)와,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120)를 포함한다.
도면번호 20은 점착면을 보호가기 위해 점착면에 붙어진 이형지이고, 도면번호 10은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될 수 있는 분리 대상체로, 상기 분리 대상체(10)에서 상기 이형지(20)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상기 이형지 제거 장치(100)이다.
도면번호 130은 상기 분리 대상체(10)를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로 안내해주는 인입 밴드 부재로, 회전 가능한 롤러로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인입 밴드 부재(130)에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얹혀져 이동되도록 하는 밴드(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 밴드 부재(130)는 상기 밴드(131)에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얹혀져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측을 이동되면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로 인입될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150)는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이형지 제거 장치(100)의 몸체가 된다.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는 상기 프레임 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분리 대상인 상기 이형지(20)가 적어도 일 면에 부착된 상태인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되어 전진하되, 상기 분리 대상체(10)에 일정 압력을 가해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인입 밴드 부재(130)에 얹혀져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쪽으로 이동되는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인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된다.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120)는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에 의해 전진되는 상기 분리 대상체(10)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에 부착된 상기 이형지(20)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분리 대상체(10)에서 상기 이형지(20)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는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전진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150)의 일 부분에 회전하게 연결되되, 상기 분리 대상체(10)와 접촉이나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대전 방지 기능을 포함한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와, 상기 프레임 부재(150)에서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되, 상기 분리 대상체(10)와 접촉이나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대전 방지 기능을 포함한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 또는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는 구동 부재(140)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40)란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기 분리 대상체(10)에서 상기 이형지(20)를 떼어내는 작업에 방해되지 않은 위치의 상기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되고,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 또는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해주는 것으로, 자동 회전이 가능한 모터, 또는 수동으로 회전이 가능한 수동 회전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동 부재(140)의 구동력을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 또는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구동 부재(140)에는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 또는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에 연결이 가능한 구동 전달 부재(14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부재(140)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에 구동력을 보낼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150)에서 하나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에 구동력을 보낼 수 있는 다른 상기 구동 부재(140)가 상기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전달 부재(141)가 상기 구동 부재(140)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를 이어주고 상기 구동 부재(140)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 전달 부재(141)가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력이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이 되도록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가 상기 프레임 부재(15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 사이의 간격(113)이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 사이의 간격(113)에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될 때,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 사이에서 일정 압력을 받아 수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로부터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배출될 때,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팽창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지(20)의 전단부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로부터 떨어져 틈이 벌어지고, 상기 이형지(20)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에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120)가 진입되면서, 상기 분리 대상체(10)로부터 상기 이형지(20)가 제거되기 시작한다.
자세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 밴드 부재(130)의 상기 밴드(131)에 얹혀진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를 향해 전진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 사이의 간격(113)에 진입하여 팽창하면서 배출되면, 상기 이형지(20)의 전단부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로부터 떨어져 틈이 벌어지고, 상기 이형지(20)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에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120)가 진입되는 것이다.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120)는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배출될 때,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 측의 상기 이형지(20)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의 틈에 삽입되는 인입 롤러측 삽입부(121)와,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121)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체(10)에서 분리된 상기 이형지(20)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의 회전에 따라 이형지 수집통(50) 쪽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이형지(20)를 상기 이형지 수집통(50) 쪽으로 유도하는 인입 롤러측 유도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120)는 상기 인입 롤러측 유도부(122)에 연결되고, 상기 인입 롤러측 유도부(122)를 지나 미리 준비한 상기 이형지 수집통(50)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인입 롤러측 가이드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121)는 상기 이형지(20)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의 틈을 향해 날카롭게 형성되거나 이러한 틈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121)가 상기 이형지(20)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로 삽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입 롤러측 유도부(122)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와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있고,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만곡된 곡선으로 형성되었으나, 복수 개의 꺽인 선을 가진 형태로, 상기 이형지(20)가 상기 이형지 수집통(50) 쪽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인입 롤러측 가이드부(123)는 상기 인입 롤러측 유도부(122)를 지난 상기 이형지(20)가 상기 이형지 수집통(50)으로 안전하게 안내되도록 상기 인입 롤러측 유도부(122)에서 연결되어 상기 이형지 수집통(50)에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인입 롤러측 유도부(122)를 지난 상기 이형지(20)가 상기 이형지 수집통(50)이 아닌 다른 외부로 날아가지 못하게 상기 인입 롤러측 가이드부(123)가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형지 수집통(50)은 상기 분리 대상체(10)에 부착되어 있던 상기 이형지(20)를 수집하는 일정 부피를 가지는 통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분리 대상체(10)에 부착되어 있던 상기 이형지(20)가 상기 롤러측 유도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지나 상기 이형지 수집통(50)으로 자동으로 모아질 수 있으므로, 종래에 분리된 상기 이형지(20)를 따로 모으는 별도의 수작업이 불필요해짐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지(20)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에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121)가 삽입되고,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에 의해 계속적으로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지(20)가 상기 분리 대상체(10)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인입 롤러측 유도부(122)와 상기 인입 롤러측 가이드부(123)를 지나 상기 이형지 수집통(50)쪽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가 상기 분리 대상체(10)와 접촉이나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대전 방지 기능을 포함함으로, 상기와 같이 상기 분리 대상체(10)에서 상기 이형지(2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와 상기 분리 대상체(10) 사이의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정전기에 의한 상기 분리 대상체에(10)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1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112) 사이의 간격(113)을 완전히 지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지(20)가 상기 분리 대상체(10)로부터 완벽하게 제거되고, 상기 이형지 수집통(50)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이형지(20)를 분리하려는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인입 롤러 부재(110)에 인입되어 자동으로 상기 이형지(20)를 제거하면서도, 제거된 상기 이형지(20)가 미리 준비한 상기 이형지 수집통(50)으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상기 이형지(20) 분리 작업을 자동화시키면서, 이러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에 보조 이형지가 부착된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에 이형지가 부착된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거 롤러측 분리 부재의 제거 롤러측 삽입부에 보조 이형지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 이형지가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형지가 보조 이형지 유도 부재를 따라 인입 롤러 쪽으로 향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에서 유도된 보조 이형지가 인입 롤러 재진입 유도부로 유도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입 롤러 재진입 유도부로 유도된 보조 이형지가 인입 롤러측 삽입부로 삽입되면서 인입 롤러측 유도부에 의해 이형지 수집통 쪽으로 낙하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조 이형지가 이형지 수집통 쪽으로 낙하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200)는 프레임 부재(250)와, 인입 롤러 부재(210)와,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220)와,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260)와, 제거 롤러측 분리 부재(2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에는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220)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이형지(20)와 다른 이형지(20)인 보조 이형지(25)가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220)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이형지(20)가 부착되어 있는 면과 다른 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인입 롤러 부재(210)는 상기 인입 롤러 부재(210)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전진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250)의 일 부분에 회전하게 연결되는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와, 상기 프레임 부재(250)에서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는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212)를 포함한다.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220)는 상기 인입 롤러 부재(210)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배출될 때,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212) 측의 상기 이형지(20)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의 틈에 삽입되는 인입 롤러측 삽입부(221)와,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221)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체(10)에서 분리된 상기 이형지(20)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212)의 회전에 따라 이형지 수집통(50) 쪽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이형지(20)를 상기 이형지 수집통(50) 쪽으로 유도하는 인입 롤러측 유도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260)는 상기 프레임 부재(2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조 이형지(25)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220)에 의해 상기 이형지(20)가 분리된 상태인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되는 것으로,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를 포함한다.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는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260)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전진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250)의 일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분리 대상체(10)와 접촉이나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대전 방지 기능을 포함한 것이다.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는 상기 프레임 부재(250)에서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전진되도록 하되, 상기 분리 대상체(10)와 접촉이나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대전 방지 기능을 포함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가 구동 부재(240)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또는 본래 구동력을 가지는 별도의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의 구동력이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로 전달되도록 제거 롤러측 구동 전달 부재(2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구동 부재(240)의 구동력이 구동 전달 부재(241)로 인해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로 전달되고,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가 구동되면서 발생되는 구동력이 상기 제거 롤러측 구동 전달 부재(242)로 전달된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구동 부재(240) 하나만 구동되어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와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를 모두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 사이의 간격(263)은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이 되도록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가 상기 프레임 부재(25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 사이의 간격(263)에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인입될 때,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 사이의 간격(263)이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높이보다 좁으므로,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부착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일정 압력을 받아 수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260)로부터 상기 보조 이형짖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배출될 때,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팽창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로부터 틈이 벌어지고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에 상기 제거 롤러측 분리 부재(270)가 진입되면서, 상기 분리 대상체(10)로부터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제거되기 시작한다.
자세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 롤러 부재(210)로부터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배출되면서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260)를 향해 전진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 사이의 간격(273)에 진입하면서 팽창된 후 배출되면,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로부터 떨어져 틈이 벌어지고,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에 상기 제거 롤러측 분리 부재(270)가 진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거 롤러측 분리 부재(270)는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260)에 의해 전진되는 상기 분리 대상체(10)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에 부착된 상기 보조 이형지(25)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분리 대상체(10)에서 상기 보조 이형지(25)를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제거 롤러측 삽입부(271)와, 보조 이형지 유도 부재(272)를 포함한다.
상기 제거 롤러측 삽입부(271)는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260)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배출될 때,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 측의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의 틈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거 롤러측 삽입부(271)는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의 틈을 향해 날카롭게 형성되거나 이러한 틈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거 롤러측 삽입부(271)가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로 삽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이형지 유도 부재(272)는 상기 제거 롤러측 삽입부(271)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체(10)에서 분리된 상기 보조 이형지(25)를 상기 인입 롤러 쪽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제거 롤러측 삽입부(271)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 이형지 유도 부재(272)는 상기 제거 롤러측 삽입부(271)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체(10)에서 분리된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입 롤러 쪽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보조 이형지 유도부(273)와, 상기 보조 이형지 유도부(273)에서 유도되는 상기 보조 이형지(25)를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의 상부로 유도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274)와, 상기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274)에서 유도된 상기 보조 이형지(25)를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212)의 틈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인입 롤러 재진입 유도부(275)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이형지 유도부(273)는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되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의 직경을 따라 만곡된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꺽인 선을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274)는 상기 보조 이형지 유도부(273)를 지난 사기 보조 이형지(25)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 측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보조 이형지 유도부(273)에서 연결되어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의 상단부 부근까지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인입 롤러 재진입 유도부(275)는 상기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274)에서 연결되고 상기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274)에서 유도된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212) 사이의 간격(213)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인입 롤러 재진입 유도부(275)는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되,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212) 사이의 간격(213)으로 유도되도록 만곡된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꺽인 선을 가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274)에서 유도된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221)로 삽입되면서 상기 인입 롤러측 유도부(222)에 의해 상기 이형지 수집통(50) 쪽으로 낙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부착된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260)로 인입되어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분리되는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 사이의 간격(273)에 진입하면서 팽창된 후 배출되면서,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로부터 떨어져 틈이 벌어지고,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에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221)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가 상기 분리 대상체(10)와 접촉이나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대전 방지 기능을 포함함으로, 상기와 같이 상기 분리 대상체(10)에서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260)와 상기 분리 대상체(10) 사이의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정전기에 의한 상기 분리 대상체에(10)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261)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262) 사이의 간격(273)에 더 진입하면서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가 상기 보조 이형지 유도부(273)를 지나 상기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274)로 진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260)로 더 인입되어 지나가면서,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상기 분리 대상체(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가 상기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274)를 지나 상기 인입 롤러 재진입 유도부(275)로 유도된다.
그런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212) 사이의 간격(213)으로 유도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221)로 삽입되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 롤러측 유도부(222)에 의해 상기 이형지 수집통(50) 쪽으로 낙하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212) 사이의 간격(213)을 지나기 전까지, 또다른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인입 롤러 부재(210)에 인입되지 않고, 상기 보조 이형지(25)의 전단부부터 말단부까지 이형지(20)가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211)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212) 사이의 간격(213)을 지나게 되면, 또 다른 상기 분리 대상체(10)가 상기 인입 롤러 부재(210)에 인입될 수 있도록 또 다른 상기 분리 대상체(10)는 대기 시간을 가짐으로써,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이형지(20)와 상기 보조 이형지(25)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분리 대상체(10)의 상기 이형지(20)와 보조 이형지(25)를 수작업으로 제거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제거가 가능하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종래의 수작업보다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분리된 상기 이형지(20)나 상기 보조 이형지(25)를 한곳에 따로 모아두는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해짐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형지 제거 장치에 의하면, 이형지를 분리하려는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어 자동으로 상기 이형지를 제거하면서도, 제거된 상기 이형지가 미리 준비한 이형지 수집통으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이형지 제거 장치
110 : 인입 롤러 부재
120 :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
130 : 인입 밴드 부재
140 : 구동 부재
150 : 프레임 부재
260 :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
270 : 제거 롤러측 분리 부재

Claims (7)

  1.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분리 대상인 이형지가 적어도 일 면에 부착된 상태인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어 전진하되, 상기 분리 대상체에 일정 압력을 가해줄 수 있는 인입 롤러 부재; 및
    상기 인입 롤러 부재에 의해 전진되는 상기 분리 대상체와 상기 분리 대상체에 부착된 상기 이형지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상기 이형지를 분리할 수 있는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롤러 부재는
    상기 인입 롤러 부재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분리 대상체가 전진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 부분에 회전하게 연결되되, 상기 분리 대상체와 접촉이나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대전 방지 기능을 포함한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서 상기 상단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상단 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되, 상기 분리 대상체와 접촉이나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대전 방지 기능을 포함한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 사이의 간격은 상기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이 되도록 상기 상단 롤러와 상기 하단 롤러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의 사이에 상기 분리 대상체가 인입될 때, 상기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가 일정 압력을 받아 수축되고, 상기 인입 롤러 부재로부터 상기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가 배출될 때, 상기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가 팽창하면서 상기 이형지의 전단부가 상기 분리 대상체의 전단부로부터 떨어져 틈이 벌어지고,
    상기 이형지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에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가 진입되면서, 상기 분리 대상체로부터 상기 이형지가 제거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제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는
    상기 인입 롤러 부재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가 배출될 때, 상기 하단 롤러 측의 상기 이형지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의 전단부 사이의 틈에 삽입되는 인입 롤러측 삽입부와,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분리된 상기 이형지가 상기 하단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형지 수집통 쪽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이형지를 상기 이형지 수집통 쪽으로 유도하는 인입 롤러측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제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대상체에는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이형지와 다른 이형지인 보조 이형지가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이형지가 부착되어 있는 면과 다른 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이형지 제거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조 이형지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에 의해 상기 이형지가 분리된 상태인 상기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는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 및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에 의해 전진되는 상기 분리 대상체와 상기 분리 대상체에 부착된 상기 보조 이형지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상기 보조 이형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거 롤러측 분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제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는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분리 대상체가 전진하도록,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 부분에 회전하게 연결되되, 상기 분리 대상체와 접촉이나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대전 방지 기능을 포함한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서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분리 대상체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되, 상기 분리 대상체와 접촉이나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억제할 수 있는 대전 방지 기능을 포함한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보조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이 되도록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의 사이에 상기 보조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가 인입될 때, 상기 보조 이형지가 부착된 상기 분리 대상체가 일정 압력을 받아 수축되고,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로부터 상기 보조 이형지가 부착된 상기 분리 대상체가 배출될 때, 상기 보조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의 상기 분리 대상체가 팽창하면서 상기 보조 이형지의 전단부가 상기 분리 대상체의 전단부로부터 떨어져 틈이 벌어지고,
    상기 보조 이형지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의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에 상기 제거 롤러측 분리 부재가 진입되면서, 상기 분리 대상체로부터 상기 보조 이형지가 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제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롤러측 분리 부재는
    상기 보조 이형지 제거 롤러 부재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가 배출될 때, 상기 제거 롤러측 상단 롤러 측의 상기 보조 이형지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의 전단부 사이의 틈에 삽입되는 제거 롤러측 삽입부와,
    상기 제거 롤러측 삽입부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분리된 상기 보조 이형지를 상기 인입 롤러 쪽으로 유도하는 보조 이형지 유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제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롤러측 분리 부재는
    상기 인입 롤러 부재에서 상기 분리 대상체가 배출될 때, 상기 하단 롤러 측의 상기 이형지의 전단부와 상기 분리 대상체의 전단부 사이의 틈에 삽입되는 인입 롤러측 삽입부와,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분리된 상기 이형지가 상기 하단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형지 수집통 쪽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이형지를 상기 이형지 수집통 쪽으로 유도하는 인입 롤러측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이형지 유도 부재는
    상기 제거 롤러측 삽입부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체에서 분리된 상기 보조 이형지가 상기 제거 롤러측 하단 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인입 롤러 쪽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보조 이형지 유도부와,
    상기 보조 이형지 유도부에서 유도되는 상기 보조 이형지를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의 상부로 유도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와,
    상기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에서 유도된 상기 보조 이형지를 상기 인입 롤러측 상단 롤러와 상기 인입 롤러측 하단 롤러의 틈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인입 롤러 재진입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 롤러 방향 유도부에서 유도된 상기 보조 이형지가 상기 인입 롤러측 삽입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인입 롤러측 유도부에 의해 상기 이형지 수집통 쪽으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지 제거 장치.
KR1020160160533A 2016-11-29 2016-11-29 이형지 제거 장치 KR101882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533A KR101882470B1 (ko) 2016-11-29 2016-11-29 이형지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533A KR101882470B1 (ko) 2016-11-29 2016-11-29 이형지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711A true KR20180060711A (ko) 2018-06-07
KR101882470B1 KR101882470B1 (ko) 2018-07-27

Family

ID=62621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533A KR101882470B1 (ko) 2016-11-29 2016-11-29 이형지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2027A (zh) * 2021-04-01 2021-06-11 万邦(清新)鞋业有限公司 一种带离型纸的鞋部件的撕纸制具
KR20210130490A (ko) 2020-04-22 2021-11-01 주식회사 리텍 필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5774A (ko) * 2011-02-21 2012-08-29 주식회사 킴스코퍼레이션 반복 이송식 인쇄회로기판 보호필름 필링장치 및 필링방법
KR101500637B1 (ko) 2013-12-30 2015-03-09 (주)네이쳐앤휴먼지피 포장 제품 부착용 라벨스티커
KR20160092323A (ko) 2015-01-27 2016-08-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5774A (ko) * 2011-02-21 2012-08-29 주식회사 킴스코퍼레이션 반복 이송식 인쇄회로기판 보호필름 필링장치 및 필링방법
KR101500637B1 (ko) 2013-12-30 2015-03-09 (주)네이쳐앤휴먼지피 포장 제품 부착용 라벨스티커
KR20160092323A (ko) 2015-01-27 2016-08-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490A (ko) 2020-04-22 2021-11-01 주식회사 리텍 필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링 방법
CN112932027A (zh) * 2021-04-01 2021-06-11 万邦(清新)鞋业有限公司 一种带离型纸的鞋部件的撕纸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470B1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470B1 (ko) 이형지 제거 장치
US20090026299A1 (en) Web separator with reverse rotation mechanism for tissue paper winding machine
JP6106385B2 (ja) スリーブ取外し装置
US527773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 butt splice in a web unwinder
KR20180044825A (ko) 선조체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
CN111711125A (zh) 一种电缆剥皮机
KR100835541B1 (ko) 접착테이프 선단 자동 말림 접착기능을 갖는 롤형접착테이프 컷터기
JP2923523B2 (ja) ペーパーウエブの切離し装置
KR20200114840A (ko) 광케이블 탈피장치
US6325265B1 (en) Feed accessory apparatus and process for feeding the tail of a material web into a roll machine
KR101056991B1 (ko) 도광판 보호필름 랩핑장치
CN114221009B (zh) 一种包膜设备
US20180154584A1 (en) Adhesive dispenser and a sheath-connection device including such a dispenser
KR102634874B1 (ko) 테이프 디스펜서
CN218506330U (zh) 便于取用的拭子及其剥离装置
KR101780438B1 (ko) 포장용 스티커 분리장치
JP5053817B2 (ja) テープの貼付装置
JPS62269837A (ja) 用紙回収装置
JP2767715B2 (ja) 梱包体における結束バンド回収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2366659U (zh) 一种电缆剥皮机
JPS6213254B2 (ko)
SE455781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automatisk banderollering av buntade arkformiga objekt
JP2004162415A (ja) 貼付器
JP2005320030A (ja) ラベル剥離方法及びラベル剥離装置
JP3070079U (ja) 粘着テ―プディスペ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