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825A - 선조체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 - Google Patents

선조체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825A
KR20180044825A KR1020170137364A KR20170137364A KR20180044825A KR 20180044825 A KR20180044825 A KR 20180044825A KR 1020170137364 A KR1020170137364 A KR 1020170137364A KR 20170137364 A KR20170137364 A KR 20170137364A KR 20180044825 A KR20180044825 A KR 20180044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trike
winding
terminal
hold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618B1 (ko
Inventor
요시히로 모리모토
히로시 다카미자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4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54Arrangements for supporting cores or formers at winding stations; Securing cores or formers to driving members
    • B65H54/553Both-ends supp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52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two or more winding head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2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선조체의 단말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는 선조체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을 제공한다. 선조체를 권취하는 보빈(2)과, 보빈(2)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보빈 구동축(3)과, 보빈 구동축(3)에 고정된 클로 휠(4)과, 요동 가능하게 클로 휠(4)에 지점 핀(51)이 지지된 클로 유닛(5)을 갖고, 클로 유닛(5)은, 클로 휠(4)에 마련된 고정판과의 간극에서 선조체의 감김 시작 단말을 끼워 넣는 클로부를 구비하고, 보빈(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클로 유닛(5)에 작용해서 감김 시작 단말을 끼워 넣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감김 시작 단말을 파지한다.

Description

선조체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WIRE BODY WINDING DEVICE AND WINDING METHOD}
본 발명은 선조체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조체를 보빈에 권취하는 선조체의 권취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 2009-6216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200114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09001 호 공보
예컨대, 상기 특허문헌 1~3에 기재된 선조체의 권취 장치는, 전선, 광파이버 등의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오는 선조체를 보빈에 권취할 때에, 소정량의 권취를 마친(만권된) 보빈으로부터, 새롭게 권취를 개시할 빈 보빈으로, 선조체의 주행을 중단하는 일 없이 권취를 전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선조체를 권취하는 보빈을 교체할 때에, 절단된 선조체의 단말을 고정하기 위한 클로를 구비한 클로 휠에 의해 선조체의 단말을 파지하고, 새로운 빈 보빈으로 선조체를 권취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절단된 선조체의 단말의 파지에 실패하면 이 단말이 보빈에 감겨진 선조체에 부딪쳐, 권취한 선조체에 외상을 주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선조체가 광파이버인 경우는, 권취된 광파이버가 저강도로 되거나 혹은 파단된다. 이 때문에 권취된 광파이버를 폐기해야만 하여, 낭비가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선조체의 단말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는 선조체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장치는,
선조체를 권취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보빈 고정부와,
요동 가능하게 상기 보빈 고정부에 지점이 지지된 단말 파지 기구를 갖고,
상기 단말 파지 기구는, 상기 보빈 고정부에 마련된 고정판과의 간극에서 상기 선조체의 단말을 끼워 넣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상기 단말 파지 기구에 작용해서 상기 단말을 끼워 넣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상기 단말을 파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장치는,
선조체를 권취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보빈 고정부와,
요동 가능하게 상기 보빈 고정부에 지점이 지지된 단말 파지 기구를 갖고,
상기 단말 파지 기구는, 상기 지점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를 갖고,
한쪽의 상기 아암부는 상기 보빈의 일부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가 마련되고,
다른쪽의 상기 아암부는, 상기 보빈의 직경 방향을 따른 직선부와, 해당 직선부의 선단측이 상기 보빈 고정부에 마련된 고정판측으로 만곡된 만곡부와, 해당 만곡부의 선단의 상기 파지부로서 상기 고정판과의 간극에서 상기 선조체의 단말을 끼워 넣는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 파지 기구의 중심(重心)은, 상기 다른쪽의 아암부의 상기 직선부에 있어서 상기 지점으로부터 상기 보빈의 직경 방향에 평행한 선보다 상기 보빈과는 반대측에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방법은,
2개의 보빈 중 한쪽의 보빈을 권취 보빈으로 하여 선조체를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상기 권취 공정에서, 상기 권취 보빈과 함께 회전하는 단말 파지 기구가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선조체에 대한 파지력을 생성시켜 상기 선조체의 단말을 고정하는 단말 고정 공정과,
상기 권취 보빈에 상기 선조체를 소정량 권취한 후, 상기 선조체를 절단하고 상기 선조체를 권취하는 권취 보빈을 다른쪽의 보빈으로 교체하는 교체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선조체의 단말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조체가 광파이버인 경우, 권취된 광파이버의 강도 열화나 파단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선조체의 권취 장치에 있어서의 파지 기구의 일 예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방법의 하나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방법의 하나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방법의 하나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방법의 하나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장치는,
(1) 선조체를 권취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보빈 고정부와,
요동 가능하게 상기 보빈 고정부에 지점이 지지된 단말 파지 기구를 갖고,
상기 단말 파지 기구는, 상기 보빈 고정부에 마련된 고정판과의 간극에서 상기 선조체의 단말을 끼워 넣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상기 단말 파지 기구에 작용해서 상기 단말을 끼워 넣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상기 단말을 파지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단말 파지 기구는, 보빈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작용해서 선조체의 단말을 끼워 넣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파지력을 생성시켜, 선조체의 단말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 파지 기구의 간극으로 벗어난 선조체의 단말이 보빈에 감긴 선조체에 부딪쳐 권취된 선조체에 외상을 미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2) 상기 단말 파지 기구는, 상기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도 상기 간극이 넓어지지 않도록 조정하는 간극 조정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 파지 기구는,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도 간극이 넓어지지 않도록 조정하는 간극 조정부를 가지므로, 보빈이 회전하지 않을 때나 회전이 느려졌을 때 등에도, 간극의 폭을 불필요하게 넓혀 선조체의 단말이 벗어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간극은 안쪽이 좁아지는 테이퍼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 또는 상기 고정판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이 안쪽이 좁아지는 테이퍼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파지부 또는 고정판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체여서, 탄성체의 부드러움에 의해 딱딱한 선조체를 끼우므로, 파지부 또는 고정판의 표면에 상처나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상기 보빈이 빠졌을 때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보빈이 장착되어 있을 때 상태로부터 끼워 넣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 장치로부터 보빈을 분리하면, 파지부가 선조체의 단말을 끼워 넣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되므로, 선조체의 단말이 단말 파지 기구의 간극으로부터 빠진다. 이 때문에, 힘을 가하여 간극으로부터 선조체의 단말을 빼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장치는,
(5) 선조체를 권취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보빈 고정부와,
요동 가능하게 상기 보빈 고정부에 지점이 지지된 단말 파지 기구를 갖고,
상기 단말 파지 기구는, 상기 지점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를 갖고,
한쪽의 상기 아암부는, 상기 보빈의 일부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가 마련되고,
다른쪽의 상기 아암부는, 상기 보빈의 직경 방향을 따른 직선부와, 해당 직선부의 선단측이 상기 보빈 고정부에 마련된 고정판측으로 만곡된 만곡부와, 해당 만곡부의 선단의 상기 파지부로서 상기 고정판과의 간극에서 상기 선조체의 단말을 끼워 넣는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 파지 기구의 중심은, 상기 다른쪽의 아암부의 상기 직선부에 있어서 상기 지점으로부터 상기 보빈의 직경 방향에 평행한 선보다 상기 보빈과는 반대측에 존재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단말 파지 기구는, 그 중심이 다른쪽의 아암부의 직선부에 있어서의 지점으로부터 보빈의 직경 방향에 평행한 선보다 보빈과는 반대측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보빈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중심에 가해져, 중심에서 고정판측으로 요동하는 분력이 발생하여 선조체의 단말을 끼워 넣는 파지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방법은,
(6) 2개의 보빈 중 한쪽의 보빈을 권취 보빈으로 하여 선조체를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상기 권취 공정에서, 상기 권취 보빈과 함께 회전하는 단말 파지 기구가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선조체에 대한 파지력을 생성시켜 상기 선조체의 단말을 고정하는 단말 고정 공정과,
상기 권취 보빈에 상기 선조체를 소정량 권취한 후, 상기 선조체를 절단하고 상기 선조체를 권취하는 권취 보빈을 다른쪽의 보빈으로 교체하는 교체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선조체를 권취하는 보빈을 교체할 때에, 절단된 선조체의 단말의 파지가 실패하는 것을 방지하여, 선조체의 단말이 보빈에 감겨진 선조체에 부딪쳐 권취된 선조체에 외상을 미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선조체의 권취 장치 및 선조체의 권취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도 1은 선조체의 권취 장치에 빈 보빈이 세트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A부의 부분 확대도이며, 선조체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조체의 권취 장치(1)는, 선조체를 권취하기 위한 보빈(2)과, 보빈(2)을 지지하는 보빈 구동축(3)(지지부의 일 예)과, 보빈(2)을 고정하는 클로 휠(4)(보빈 고정부의 일 예)과, 선조체의 단말을 파지하기 위한 클로 유닛(5)(단말 파지 기구의 일 예)을 구비하고 있다.
보빈(2)은, 선조체가 감기는 몸통부(21)와, 몸통부(21)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원반 형상의 칼라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몸통부(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빈 구동축(3)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빈 구동축(3)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빈 구동축(3)은 장착된 보빈(2)을 지지하고, 보빈 구동축(3) 주위로 보빈(2)을 회전시킨다.
클로 휠(4)은 보빈 구동축(3)에 고정되어 있으며, 보빈 구동축(3)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로 휠(4)은 보빈(2)의 칼라부(22)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클로 휠(4)에는, 보빈 구동축(3)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 볼록부(41)가 마련되어 있으며, 보빈(2)의 한쪽의 칼라부(22)에 형성된 오목부가 고정 볼록부(41)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보빈(2)이 클로 휠(4)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로 휠(4)의 고정 볼록부(41)에 고정된 보빈(2)은, 다른쪽의 칼라부(22)측으로부터 누름 콘(31)이 밀어 넣어짐으로써 보빈 구동축(3)에 고정되고, 보빈 구동축(3)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로 유닛(5)은 지점 핀(51)(지점의 일 예)을 거쳐서 클로 휠(4)에 지지되어 있으며, 지점 핀(51)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로 유닛(5)은 클로 휠(4)측에 장착되는 칼라부(2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주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로 유닛(5)은 지점 핀(51)을 사이에 둔 양측(도면에서 상하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52, 53)를 갖고 있다.
아암부(52)에는, 보빈(2)의 칼라부(22)를 향하여 돌출되는 접촉부(54)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54)는 칼라부(22)의 일부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칼라부(22)에 접촉함으로써 클로 유닛(5)이, 도 2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클로 유닛(5)에는, 접촉부(54)의 칼라부(22)와의 접촉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L)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간극 조정부(55)가 마련되어 있다.
또 다른 한쪽의 아암부(53)는, 보빈(2)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선부(53a)와, 이 직선부(53a)의 선단측이 만곡되어 보빈 구동축(3)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만곡부(53b)를 갖고 있다. 만곡부(53b)는, 칼라부(22)의 두께 방향(보빈 구동축(3) 방향)에 있어서, 칼라부(22)의 내측 측면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만곡부(53b)의 선단에는, 선조체의 감김 시작 단말을 끼우기 위한 클로부(56)(파지부의 일 예)가 마련되어 있다. 클로부(56)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로서는, 고무 등의 재료가 바람직하지만, 그 외에 예컨대 판 스프링 등을 이용해도 좋다.
클로 휠(4)의 외주부에는, 보빈 구동축(3)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주벽(42)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42)은 클로 유닛(5)의 만곡부(53b)의 외측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42)의 선단에는 보빈(2)의 칼라부(22)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벽(43)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벽(43)에는, 선조체의 감김 시작 단말을 끼우기 위한 고정판(44)이, 클로 유닛(5)의 선단에 마련된 클로부(56)와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고정판(44)과 클로부(56) 사이에는, 선조체가 진입 가능한 간극(45)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45)은, 입구(보빈(2)의 칼라부(22)에 가까운 측)로부터 안쪽을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는 테이퍼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간극(45)은, 입구의 폭이 선조체가 진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의 폭이 선조체가 빠져 나갈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44)과 클로부(56)는, 이러한 구성의 간극(45)에 삽입된 선조체의 감김 시작 단말을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는다. 또한, 고정판(44)은, 예컨대 탄성체로 형성되도록 해도 좋다.
클로 유닛(5)은, 중심(57)의 위치가 아암부(53)의 직선부(53a)에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로 유닛(5)은, 그 중심(57)의 위치가 지점 핀(51)을 지나고 보빈(2)의 직경 방향으로 평행하게 당겨진 선(B)보다 보빈(2)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클로 휠(4)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빈(2)의 회전에 수반하여 클로 유닛(5)의 중심(57)에 원심력(F1)이 발생한 경우, 그 분력으로서 아암부(53)를 고정판(44)측으로 요동시키는 분력(F2)이 발생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권취 장치(1)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선조체의 권취 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적절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의 각 도면에 있어서, 상방의 도면은, 보빈(2(2A, 2B))을 측면 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며, 하방의 도면은, 동일하게 보빈(2(2A, 2B))을 상면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란하게 도시하는 2개의 보빈(2A, 2B)은, 선조체(10)의 주행이 중단되는 일 없이 권취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좌측의 보빈(2A)에서 최초의 권취를 개시하는 경우이고, 다음에 권취하는 보빈(2B)이 우측에 배치되며, 선조체(10)를 안내하는 트래버스(traverse) 롤러(6)가 보빈(2A)과 보빈(2B)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우선,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이, 클로 휠(4A)에 형성된 간극(45A)(도 2의 간극(45) 참조)에 고정되고, 보빈 구동축(3)(도 1 참조)의 구동에 의해 보빈(2A)이 예컨대 도 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권취의 개시시에는, 예컨대 작업자가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을 간극(45A)에 고정시킨다.
선조체(10)의 권취가 개시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 롤러(6)가 보빈(2A)에 대하여 보빈 구동축(3) 방향(하방의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트래버스 롤러(6)의 이동에 따라서 선조체(10)의 패스 라인이 보빈(2A)의 몸통부(21A)를 따라서 이동한다.
또한, 선조체(10)의 권취가 개시되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2A) 및 클로 휠(4A)과 함께 회전하는 클로 유닛(5)에 원심력이 가해져, 클로 유닛(5)의 중심(57)에서 원심력(F1)이 발생한다. 또한, 원심력(F1)의 발생과 함께, 클로 유닛(5)의 중심(57)에서, 지점 핀(51)과 중심(57)을 연결하는 방향의 분력(F3)과, 분력(F3)에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F2)이 발생한다. 이 분력(F2)이, 지점 핀(51)을 회전축으로 하여 클로 유닛(5)을 고정판(44)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된다.
이 회전력은, 클로 유닛(5)의 선단인 클로부(56)를 고정판(44)측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하여, 클로부(56)와 고정판(44)의 간극(45A)을 좁히도록 작용한다. 즉, 회전력은,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를 끼워 넣는 파지력을 클로 유닛(5)에 생성시킨다. 파지력은 회전력의 크기, 즉 보빈(2A)의 회전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보빈 구동축(3)의 회전수가 증가하여 클로 유닛(5)의 원심력(F1)이 커지면, 그 분력(F2)도 커지고, 클로부(56)와 고정판(44)의 파지력이 강해져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이 강하게 고정된다.
도 5는, 보빈(2A)으로의 권회량이 만권 상태가 되어, 우측의 보빈(2B)으로 권취를 전환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트래버스 롤러(6)가 보빈(2A)과 보빈(2B)의 중간 위치로부터 크게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트래버스 롤러(6)로 안내되고 있는 선조체(10)가 보빈(2B)의 몸통부(21B)에 접촉한다. 또한, 보빈(2B)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선조체(10)가 선 이동 아암(7B)에 의해 클로 휠(4B)측에 접촉하도록 변위된다. 이에 의해, 선조체(10)가 고정판(44)과 클로부(56)의 간극(45B)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이때 좌측의 선 이동 아암(7A)은 보빈(2A)에 있어서의 선조체(10)의 패스 라인이 변화하지 않도록 선조체(10)의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선조체(10)가 간극(45B)에 고정된 상태에서 곧 이어서 보빈(2B)의 회전이 진행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조체(10)가 커터(8)에 의해 절단된다. 보빈(2B)에는 상기 보빈(2A)와 마찬가지로 하여 선조체(10)가 권취되어 간다. 한편, 권취가 종료된 좌측의 보빈(2A)은, 이것으로 회전 구동이 정지되지만, 보빈(2A)의 관성에 의해 즉시 정지하지 않고 서서히 회전 속도를 감속해 나간다.
또한, 상기는 선조체(10)가 간극(45B)에 고정되고, 그 후 커터(8)에 의해 선조체(10)가 절단되는 예를 도시했지만, 선조체(10)가 간극(45B)에 고정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간극(45A)에도 고정되는 구성이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또한 간극(45A)과 간극(45B)의 양쪽에서 선조체(10)를 거의 동시에 고정하기 위해, 보빈(2A)과 보빈(2B)의 사이에 선조체(10)를 끼워 넣고 가이드하는 핀치 롤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2A)의 종료측의 단말이 간극(45A)에 고정됨으로써, 보빈(2A)의 단말이 권회된 선조체(10)에 부딪쳐 외상을 주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보빈(2A)의 회전이 감속되는 것에 의해, 도 2에서 도시한, 클로 유닛(5)의 중심(57)에 생기는 원심력(F1)이 감속에 따라서 작아지고, 원심력(F1)의 감소에 따라서 분력(F2)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을 끼워 넣고 있는 클로 유닛(5)의 파지력이 약해진다. 그런데, 클로 유닛(5)에는, 지점 핀(51)과 중심(57)이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관계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빈(2A)의 회전이 정지되면, 지점 핀(51)을 축으로 하여 클로 유닛(5)을 도 2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중심(57)에 작용한다. 이 경우, 클로 유닛(5)의 접촉부(54)가 칼라부(22)에 접촉함으로써, 도 2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클로 유닛(5)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간극(45A)이 불필요하게 넓어지지 않도록 조정된다.
또한, 도 6에서, 보빈(2A)의 회전이 정지하면, 선조체(10)가 감긴 보빈(2A)은 보빈 구동축(3)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새로운 빈 보빈이 보빈 구동축(3)에 세트된다.
보빈(2A)이 보빈 구동축(3)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클로 유닛(5)의 접촉부(54)에 대한 규제 대상물(칼라부(22))이 없어지기 때문에, 클로 유닛(5)은, 지점 핀(51)을 축으로 하여 도 2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2 참조). 이 때문에, 클로 유닛(5)의 클로부(56)는, 고정판(4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선조체(10)를 끼워 넣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상기 권취 방법에서는 트래버스 롤러(6)가 보빈(2)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예컨대 트래버스 롤러(6)를 고정시켜 두고, 보빈(2)이 트래버스 롤러(6)에 대하여 보빈 구동축(3)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은 선조체의 권취 장치(1)에 의하면, 클로 유닛(5)의 중심(57)은, 아암부(53)의 직선부(53a)에 마련되며, 클로 유닛(5)이 클로 휠(4)에 지지된 경우, 중심(57)의 위치는, 지점 핀(51)으로부터 보빈(2)의 직경 방향으로 당긴 평행한 선(B)보다 보빈(2)과는 반대측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보빈(2)이 회전하면, 그 회전수에 따라서 원심력(F1)이 중심(57)에 발생하는 동시에, 그 분력으로서 클로 유닛(5)을 클로 휠(4)의 고정판(44)측으로 회전시키는 분력(F2)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보빈(2)의 회전 중에 있어서, 클로 유닛(5)의 클로부(56)와 클로 휠(4)의 고정판(44)과의 간극(45)에 선조체(10)를 끼워 넣는 파지력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파지력에 의해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을 간극(45)에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클로 유닛(5)의 간극(45)으로부터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이 벗어나지 않으므로 보빈(2)에 감긴 선조체(10)에 부딪칠 일이 없어, 권취한 선조체(10)에 외상을 미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클로 유닛(5)에는,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 간극(45)이 넓어지지 않도록 접촉부(54)의 길이(L)를 조정 가능한 간극 조정부(5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빈(2)이 회전하지 않을 때나 회전이 느려졌을 때 등에도, 간극(45)의 폭을 불필요하게 넓혀,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이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극(45)이 안쪽이 좁아지는 테이퍼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클로부(56) 또는 고정판(44)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로부(56)와 고정판(44)으로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선조체(1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클로부(56) 또는 고정판(44)의 표면에 상처나 파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빈(2)을 분리하면, 클로부(56)가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을 끼워 넣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때문에, 권회량이 만권 상태가 된 보빈(2)을 빈 보빈으로 교환할 때에, 감김 시작 단말(10a)을 간극(45)으로부터 빼기 쉽다. 따라서, 힘을 가하여 간극(45)으로부터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을 빼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조체의 권취 방법에 의하면, 보빈(2)과 함께 클로 유닛(5)을 회전시켜, 클로 유닛(5)에 원심력(F1) 및 그 분력(F2)을 발생시킴으로써, 선조체(10)를 파지하는 파지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선조체(10)의 권취 공정에서, 선조체(10)의 감김 시작 단말(10a)을 클로부(56)와 고정판(44)의 간극(45)에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조체(10)를 권취하는 보빈(2)을 교체할 때에, 절단된 선조체의 단말의 파지가 실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선조체(10)의 단말이 보빈(2)에 감긴 선조체(10)에 부딪쳐 권취된 선조체(10)에 외상을 미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또한, 상기 설명한 구성 부재의 수, 위치, 형상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수, 위치, 형상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1: 권취 장치 2(2A, 2B): 보빈
3: 보빈 구동축(지지부의 일 예) 4: 클로 휠(보빈 고정부의 일 예)
5: 클로 유닛(단말 파지 기구의 일 예)
10: 선조체 10a: 감김 시작 단말
21: 몸통부 22: 칼라부
41: 고정 볼록부 44: 고정판
45(45A, 45B): 간극 51: 지점 핀(지점의 일 예)
52, 53: 아암부 53a: 직선부
53b: 만곡부 54: 접촉부
55: 간극 조정부 56: 클로부(파지부의 일 예)
57: 중심 F1: 원심력
F2, F3: 분력

Claims (7)

  1. 선조체를 권취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보빈 고정부와,
    요동 가능하게 상기 보빈 고정부에 지점이 지지된 단말 파지 기구를 갖고,
    상기 단말 파지 기구는, 상기 보빈 고정부에 마련된 고정판과의 간극에서 상기 선조체의 단말을 끼워 넣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이 상기 단말 파지 기구에 작용해서 상기 단말을 끼워 넣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상기 단말을 파지하는
    선조체의 권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파지 기구는, 상기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도 상기 간극이 넓어지지 않도록 조정하는 간극 조정부를 갖는
    선조체의 권취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안쪽이 좁아지는 테이퍼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 또는 상기 고정판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체인
    선조체의 권취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이 빠졌을 때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보빈이 장착되어 있을 때의 상태로부터 끼워 넣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되는
    선조체의 권취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이 빠졌을 때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보빈이 장착되어 있을 때의 상태로부터 끼워 넣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변위되는
    선조체의 권취 장치.
  6. 선조체를 권취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보빈 고정부와,
    요동 가능하게 상기 보빈 고정부에 지점이 지지된 단말 파지 기구를 갖고,
    상기 단말 파지 기구는, 상기 지점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부를 갖고,
    한쪽의 상기 아암부는, 상기 보빈의 일부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가 마련되며,
    다른쪽의 상기 아암부는, 상기 보빈의 직경 방향을 따른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선단측이 상기 보빈 고정부에 마련된 고정판측으로 만곡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선단의 상기 파지부로서 상기 고정판과의 간극에서 상기 선조체의 단말을 끼워 넣는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 파지 기구의 중심(重心)은, 상기 다른쪽의 아암부의 상기 직선부에 있어서 상기 지점으로부터 상기 보빈의 직경 방향에 평행한 선보다 상기 보빈과는 반대측에 존재하는
    선조체의 권취 장치.
  7. 2개의 보빈 중 한쪽의 보빈을 권취 보빈으로 하여 선조체를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상기 권취 공정에서, 상기 권취 보빈과 함께 회전하는 단말 파지 기구가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선조체에 대한 파지력을 생성시켜 상기 선조체의 단말을 고정하는 단말 고정 공정과,
    상기 권취 보빈에 상기 선조체를 소정량 권취한 후, 상기 선조체를 절단하고 상기 선조체를 권취하는 권취 보빈을 다른쪽의 보빈으로 교체하는 교체 공정을 포함하는
    선조체의 권취 방법.
KR1020170137364A 2016-10-24 2017-10-23 선조체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 KR102429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7832A JP6812749B2 (ja) 2016-10-24 2016-10-24 線条体の巻取装置および巻取方法
JPJP-P-2016-207832 2016-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825A true KR20180044825A (ko) 2018-05-03
KR102429618B1 KR102429618B1 (ko) 2022-08-04

Family

ID=6201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364A KR102429618B1 (ko) 2016-10-24 2017-10-23 선조체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12749B2 (ko)
KR (1) KR102429618B1 (ko)
CN (1) CN1079731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7230A (zh) * 2021-03-02 2021-06-04 安徽维尔特仪表线缆有限公司 一种成品绝缘电缆收纳用弹性缓冲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074B1 (ko) * 2018-08-30 2020-09-25 (주)이티에스 와이어 핸들러
KR102160073B1 (ko) * 2018-08-30 2020-09-25 (주)이티에스 와이어 핸들러
CN112158663A (zh) * 2019-03-06 2021-01-01 徐德本 指示灯并联指示式绕线机构
CN109704138B (zh) * 2019-03-06 2023-08-08 优易电缆(张家港)有限公司 一种归线器具及归线方法
JP7491305B2 (ja) 2019-05-13 2024-05-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線条体の巻取り装置および線条体の巻取り方法
CN111410081A (zh) * 2020-03-30 2020-07-14 西安西古光通信有限公司 一种收线机专用自复位式光纤捕捉装置及收线机
CN113968522B (zh) * 2020-07-23 2024-05-03 Ykk株式会社 线状体尾线保持夹具
CN113860075A (zh) * 2021-09-24 2021-12-31 山东圣润纺织有限公司 一种纺纱用自络设备
CN114476837B (zh) * 2022-03-30 2023-03-24 南通锦琪合纤有限公司 一种高强度复合纤维加工用带有防偏心保护的纺织纱筒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2787U (ko) * 1977-08-09 1979-03-03
US4438886A (en) * 1980-04-11 1984-03-27 Maillefer S.A. Double wire-winding machine with automatic transfer
JPH11209001A (ja) 1998-01-19 1999-08-03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条体の高速連続巻取装置および高速連続巻取方法
JP2005200114A (ja) 2004-01-13 2005-07-28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条体の巻取り方法及び巻取り装置
JP2009062169A (ja) 2007-09-07 2009-03-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線条体の巻取装置及び線条体の巻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46611C (fi) * 1969-03-27 1973-05-08 Nokia Oy Ab Lisälaite jatkuvatoimiseen puolauslaitteeseen langanpään piiskauksen e stämiseksi.
GB1309733A (en) * 1969-06-03 1973-03-14 Davy Plastics Machinery Ltd Method and machine for winding filamentary material
FR2200836A5 (ko) * 1972-09-25 1974-04-19 Rhone Poulenc Textile
JPS616967Y2 (ko) * 1973-10-13 1986-03-03
JPS5921431A (ja) * 1982-07-28 1984-02-0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巻取機の線材端末処理方法
US4477034A (en) * 1983-08-15 1984-10-16 Rieter Machine Works, Ltd. Thread catching structure
JP2003300670A (ja) * 2002-04-10 2003-10-21 Hamanako Denso Co Ltd ソレノイドコイ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3662993B (zh) * 2014-01-06 2016-01-06 朝阳三创新产品制造有限公司 卡口定位器
CN103991757B (zh) * 2014-05-29 2016-09-21 无锡双龙信息纸有限公司 一种票据芯管回收机的票据夹紧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2787U (ko) * 1977-08-09 1979-03-03
US4438886A (en) * 1980-04-11 1984-03-27 Maillefer S.A. Double wire-winding machine with automatic transfer
JPH11209001A (ja) 1998-01-19 1999-08-03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条体の高速連続巻取装置および高速連続巻取方法
JP2005200114A (ja) 2004-01-13 2005-07-28 Sumitomo Electric Ind Ltd 線条体の巻取り方法及び巻取り装置
JP2009062169A (ja) 2007-09-07 2009-03-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線条体の巻取装置及び線条体の巻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7230A (zh) * 2021-03-02 2021-06-04 安徽维尔特仪表线缆有限公司 一种成品绝缘电缆收纳用弹性缓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618B1 (ko) 2022-08-04
JP6812749B2 (ja) 2021-01-13
JP2018070274A (ja) 2018-05-10
CN107973190B (zh) 2021-06-15
CN107973190A (zh)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4825A (ko) 선조체의 권취 장치 및 권취 방법
EP2284300A1 (en) Spinning machine and yarn removing method for removing yarn remaining on yarn accumulating roller
EP2407406A2 (en) Fluff binding device, tension applying unit, and automatic winder
EP2966021A1 (en) Yarn winding machine and yarn winding method
EP2298971A1 (en) Spinning machine with yarn accumulating roller
JP2015147633A (ja) ボビンセット装置、及び糸巻取機
CN105253703B (zh) 纱线卷取机以及纱线卷取方法
JP5804306B2 (ja) 糸貯留装置及び糸巻取機
EP2028149A2 (en) Winding tension control device
EP3025996B1 (en) Yarn winding machine with a yarn joining device, and yarn joining method
EP2966023A1 (en) Yarn winding machine and yarn winding method
JP2010180023A (ja) 糸弛み取り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繊維機械
EP2937303B1 (en) Winding drum, winding device and yarn winding machine
WO2013111322A1 (ja) ワイヤ放電加工機及びワイヤ電極除去装置
EP3524556A1 (en) Air spinning machine and air spinning method
WO2015029292A1 (ja) 糸巻取装置
EP3159293B1 (en) Yarn winding device
WO2013111323A1 (ja) ワイヤ放電加工機及びワイヤ電極除去装置
JP2005281909A (ja) 糸巻取機及び糸処理機
EP2966199B1 (en) Spinning machine and spinning method
JPH0258008B2 (ko)
JP2004277947A (ja) 糸継ぎ装置を備えた紡績機
CN114803688A (zh) 纱线卷绕装置
JP2833261B2 (ja) 紡績装置
CN112093586A (zh) 用于无结连接两个纱线头的纱线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