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231A -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231A
KR20180060231A KR1020160159491A KR20160159491A KR20180060231A KR 20180060231 A KR20180060231 A KR 20180060231A KR 1020160159491 A KR1020160159491 A KR 1020160159491A KR 20160159491 A KR20160159491 A KR 20160159491A KR 20180060231 A KR20180060231 A KR 2018006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composition
garlic extract
plant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535B1 (ko
Inventor
윤민호
류효승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미텍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5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01N63/0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진균성과 함께 천연에서 유래되어 인체나 가축 및 농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늘 추출물과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ntrolling Fungal Disease of Plant}
본 발명은 천연에서 유래되어 인체나 농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이나 관상식물 등에 발생하는 곰팡이병은 농작물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식물병 중 하나이다. 또한 화훼 농가나 채소 재배 농가에서 생산된 원예 작물, 채소 작물들은 수확된 후 포장, 운송 및 보관되는 유통과정에서 품질이 저하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소비자에게 신선하게 공급되어야 할 채소나, 관상 기간이 짧은 절화의 경우에는 유통 과정에서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판매되지 못하고 폐기되어야 하기 때문에 농가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대표적인 곰팡이병의 원인균인 잿빛곰팡이병균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여 과채류를 비롯한 다양한 작물의 수확 전·후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는 대표적인 다범성 균이다. 이 병원균은 잎, 줄기, 꽃과 과실 및 뿌리 등 작물의 모든 부위에 발생하며 특히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작물에 피해가 매우 크다. 잿빛곰팡이병균은 병원균이면서도 부생적 생활을 하는 특성 때문에 노화된 조직이나 상처 또는 다른 병에 의해 피해를 받은 조직에서 2차적인 감염을 일으킨다. 잿빛곰팡이병균은 내구체인 균핵을 형성함으로써 화학농약 및 각종 부적당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토양 및 죽은 식물체 잔해물에서도 다년간 병원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들은 4℃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생장이 가능하고, 다습할 경우에는 대발생하기 때문에, 겨울철 시설하우스에서 야간의 온도 저하 때문에 환기를 시키지 못할 경우 저온 다습한 조건이 형성되어 잿빛곰팡이병이 대발생하며 큰 경제적 손실을 일으킨다. 또한 수확된 과실을 보관하는 저온창고에서도 쉽게 발생하고 Penicillium병과 함께 저장과실에 심각한 손실을 끼치고 있다. 잿빛곰팡이병균은 유전적 변이가 용이하기 때문에 약제에 대한 저항성을 비교적 쉽게 획득할 수 있다. 그 예로 benzimidazole계 농약의 빈번한 사용은 저항성균의 발생을 촉진시켰으며, 단일약제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저항성균의 우점화가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서도 benzimidazole계 살균제가 등록된 이래 저항성균의 출현 및 그 발생 빈도가 매년 증가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dicarboximide계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균과 여러 계통 약제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다중저항성균이 보고되었다.
식물 탄저병은 고추, 벼, 오이 등의 작물과 감나무, 복숭아나무, 감귤나무, 사과나무 등의 과수에 발생하는 병해로, 갈색이나 흑갈색의 반점이 잎, 줄기, 과실 등에 생기며 이는 낙엽과 낙과의 원인이 된다. 탄저병의 원인균인 탄저병균은 곰팡이의 일종으로 5~32℃에서 생육하며, 26~28℃에서 가장 잘 자란다. 보통 병반부에 만들어진 분생자퇴 형태로 월동한 뒤 이듬해 전염원이 되며, 온도와 습도가 높을 때 발생율이 높다. 피해 작물이 발생했을 때에는 되도록 빨리 제거해 전염원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디치수화제, 타로닐수화제, 프로피수화제 등이 방제에 사용되나 발병 초기에 살포하지 않으면 방제 효과가 높지 않다.
뿌리썩음병은 작물의 뿌리나 지하부의 줄기에 진균류가 기생하여 썩는 병으로, 뿌리가 썩는 것에 의해 지상부의 생육이 정체되고 잎의 황화, 조기 낙엽 등을 일으키며 결국 모잘록병상을 보인다. 뿌리썩음병은 모잘록병과 대단히 유사하여 구별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고, 병원도 같은 것이 있어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병원은 모두 토양에 생장하여 토양전염되기 때문에 연작을 계속하면 발생할 기회가 많아진다. 이 병은 식물의 발아 후 떡잎이 생길 때부터 발생하여 160여종 이상의 식물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다. 특히 가지, 감자, 담배, 오이, 양배추, 콩 등은 그 피해가 심각하다. 뿌리썩음병과 모잘록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종래 일반 농가에서는 에디졸, 메타실동, 다찌밀, 다찌가렌, 지오판 등의 농약을 상토 등에 관주하거나 그 액을 희석하여 토양에 뿌려 방제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농약살포의 방법은 적절한 시기에 적정 약량을 살포할 경우 다소의 효과는 인정되지만 확실한 병원균 방제에는 미흡하며, 특히, 모잘록병과 같은 토양 병해에는 효과가 별로 크지 않다. 또한, 발아 직후 어린묘가 연약할 때 살포하거나 자엽기 또는 본엽 1매시 모잘록병의 발병이 확인되는 시점에서 무분별한 약제의 오용 및 고농도의 살포는 오히려 약해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식물 곰팡이병의 병원균을 방제하기 위한 합성 살균제의 경우 오남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저항성균의 발생, 과오용으로 인한 인축독성, 잔류독성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에서 유래하여 곰팡이병균의 사멸률을 높이는 것은 물론 독성이 거의 없으면서도 환경에 노출 시 잘 분해되어 인체나 가축 및 농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천연 항진균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친환경적인 생물학적 방제제는 미생물을 이용한 길항 미생물 제제와 식물 추출물 혹은 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물질을 이용한 천연물제제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길항 미생물 제제는 주변 환경과 제품 배양 상태 등에 따라 효력이 일관되게 유지되지 못하는 재현성의 부족이 종종 나타나고, 미생물이 적용 대상 작물 혹은 주변 생태계에 정착하거나 표적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 효력이 늦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천연물은 외부 환경, 특히 자외선, 열 등에 의해 사용 전후에 분해되거나 효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기에 어려운 경우가 종종 존재한다.
유산균이 생산하는 항균물질 중 PLA(3-phenyllactic acid)는 방향족 유기산의 하나이다. 체내 항균, 면역시스템의 방어기전에 작용하는 천연 항균물질로서 체내에 흡수가 잘 되는 구조이며, 생체 내에서 분해/대사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항균력을 발휘하고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어 신규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식품산업에서 PLA는 생물학적 항생제로써의 가능성이 이미 규명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0860785호는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발효액이 그람 양성군, 그람 음성균, 효모 및 항생제 내성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병원성 식물 곰팡이병균에 대한 항균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등록특허 제10-08607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효과가 빠르게 나타날 뿐 아니라,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항진균성이 우수한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나 가축 및 농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늘 추출물과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유산균은 유산균 자체로 함유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정적으로 유산균이 적용 대상 작물 혹은 주변 생태계에 정착할 수 있도록 사전 배양한 배양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에 의한 항진균 물질의 주성분이 유기산인지, 단백질인지, 효소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사전 실험에서 배양액을 120℃에서 20분간 열처리하거나, pH를 변화시키거나, 단백질 분해효소인 Trypsin을 처리한 후 항진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열처리나 Trypsin 처리에 의해서는 배양액과 항진균 활성의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pH에 의해 항진균 활성의 차이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효소나 단백질이 아닌 3-phenyllactic acid(PLA)와 같은 유기산에 의해 항진균 활성이 나타남을 시사한다. 따라서, 상기 배양액은 PLA의 생산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PLA의 전구물질인 phenylpyruvic acid(PPA) 및/또는 phenylalanine(Phe)을 추가로 함유하여 유산균을 배양한 배양액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배지에 PPA를 5mM의 농도로 첨가하여 유산균을 배양한 결과, PLA의 생산이 5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마늘 추출물과 유산균 또는 그 배양액의 단순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형태일 수도 있으나, 마늘 추출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유산균을 배양한 마늘 추출물의 발효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마늘 추출물의 발효액의 경우 단순 혼합물에 비해 항진균 효과가 더욱 증가하여, 마늘 추출물의 발효에 의해 항진균 활성이 더욱 우수한 항진균 물질이 생성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마늘 추출액은 마늘을 잘게 썰어주거나, 분쇄한 후 물에 추출하여 농축한 것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배양액 중 0.01~3%(v/v)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1%(v/v)인 것이 좋다. 마늘 추출액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마늘 추출액에 의한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마늘 추출액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유산균의 생육을 저해하여 항진균 활성이 오히려 저하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칼리프톨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유칼리프톨은 유칼립투스, 생강, 쑥 등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황상포도상구균이나 용혈성 연쇄상구균, 대장균과 같은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유칼리프톨은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증식 억제효능이 25~30% 정도의 수준으로 높지 않았으나, 이를 본 발명의 조성물과 소량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진균 효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모잘록병과 뿌리썩음병을 유발하는 C. aculatum에 대해 더욱 현저하였다. 유칼리프톨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0.001~0.1%(v/v)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였는데, 첨가 농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다. 유칼리프톨이 0.1%(v/v)보다 더 높은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나 함량을 0.3%(v/v)까지 높인 경우에도 항진균 활성은 0.1%(v/v) 첨가 시와 크게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굳이 0.1%(v/v)보다 많은 양을 사용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식물 곰팡이병의 방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잿빛 곰팡이병, 식물 탄저병, 모잘록병 또는 뿌리썩음병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산균은 PLA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Lactobacillus sp., Lactococcus sp. 또는 Leuconostoc sp.의 유산균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Lactobacillus zeae,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alimentarius, Lactobacillus sanfranciscensis,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johnsonii, Lactobacillus casei, Leuconostoc mesenteroides, Leuconostoc citreum, Pediococcus acidilactici, Lactobacillus hilgardii,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rennini, Lactobacillus buchneri, Lactococcus Lactis, Leuconostoc lact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시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PLA 생산기능이 있는 유산균주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Lactobacillus zeae는 다른 유산균주들과 비교하여 PLA의 생산 효능이 높아 본 발명의 조성물에 더욱 적합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에 의하면 마늘 추출물에 의한 빠른 효능과 함께, 유산균에 의해 생성되는 항진균 물질이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마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에 의한 항진균 활성의 증가에 의해 식물 곰팡이병 방제에 대한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에서 유래한 성분으로 인체나 가축, 농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토양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으로 식물 곰팡이병 방제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분리된 Lactobacillus zaea Y44의 16s rDNA 서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분리된 Lactobacillus zaea Y44의 상동성 분석에 의한 계통도.
도 3은 각 첨가제의 종류 및 배양 시간에 따른 배양액 중 PLA의 함량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PLA 생산 유산균주의 선별
항균활성을 갖는 PLA(phenyllactic acid)의 생산 효율이 높은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김치, 커피원두, 발효 유제품의 시료를 수집하여 BCP(Bromocresol purple) plate count agar 배지에 10-3∼10-5의 농도로 희석평판한 후 30℃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콜로니 주변에 노란색 환을 형성하는 균주를 1차 선발하였다. 1차 선발된 균주를 MRS(deMan-Rogosa-Sharpe) 배지, 30℃에서 단계적으로 계대배양하여 순수 콜로니로 분리한 후 12시간 간격으로 배양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배양액을 원심분리한 상징액을 0.45㎛ pore-size membrane filter에 여과하고 HPLC(Agilent사의 1260 infinity)로 PLA 생산 정도를 확인하여 이 중 PLA 생산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발된 Y44의 단일 콜로니를 선별하여 Solgen(대전) 사에 의뢰하여 16s rRNA 시퀀싱을 수행하였다. 서열 분석을 위하여 세균의 분류 동정에 사용되는 27F(서열번호 1 : 5'-AGAGTTTGATCCTGGCTCAG-3')과 1492R(서열번호 2 : 5'-AAGGAGGTGATCCAGCCGC-3')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증폭하였다. PCR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94℃ 5분간 반응한 다음 94℃ 변성 30초, 55℃ 어닐링 30초, 72℃ 확장 1분을 35회 반복 후 72℃에서 7분간 최종 확장. 증폭 산물을 Qiagen PCR Purification Kit (Qiagen Inc)로 정제한 후 염기서열을 결정하고(1475 bp), NCBI/GENEBANK의 Bla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동성 검색을 수행하였다. 선별된 균주 Y44의 16s rRNA 서열분석 결과(서열번호 3) Y44는 Lactobacillus zeae ATCC와 99.39%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Lactobacillus zeae Y44로 동정하였다. 도 1은 Y44의 16s rDNA의 서열이며, 도 2는 상동성 분석에 의한 계통도이다.
Lactobacillus zeae Y44의 36시간 배양 시의 PLA 생산량을 표준곡선에 의해 HPLC로 정량한 결과 132.9 ㎎/㎖(0.8mM)로, PLA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산균 및 장내세균에 비해 PLA의 생성능이 현저함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1은 문헌 상에 기재된 각종 균주와 Lactobacillus zeae Y44의 PLA 생성량을 비교하여 정리한 표이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2 : 첨가제에 따른 유산균주의 PLA 생산 효능 평가
Lactobacillus zeae Y44의 배지에 첨가물질로서 phenylpyruvic acid(PPA), phenylalanine(Phe), tyrosine(Tyr) 또는 4-hydroxyphenylpyruvic acid(HPPA)가 PLA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Lactobacillus zeae Y44의 배양 전 배지인 MRS broth 배지에 상기 첨가물질을 5mM의 농도로 첨가한 후, 사전실험에서 최적 배양 pH와 최적 온도로 확인된 pH 6.5, 30℃에서 배양하면서 12시간 간격으로 배양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PLA 생산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배양액 중 PLA의 함량은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대략 24시간부터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첨가제가 없는 경우 배양액 중 PLA의 함량은 0.8mM이었으며, PPA 또는 Phe의 첨가에 의해 PLA의 생산이 증가하였고 PPA의 경우 그 효과가 매우 현저하였다. 반면 HPPA는 PLA의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Tyr은 오히려 PLA의 생산을 저해하였다.
실시예 3 : 마늘 추출액 및 그 발효액의 제조
1) 마늘 추출액의 제조
마늘을 선별하고 깨끗하게 세척하여 표면에 달라붙은 먼지나 이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 추출이 용이하도록 잘게 잘라주었다. 절단된 마늘을 증류수와 1:1(v/v)의 비율로 혼합한 후 약탕기에 넣고 100℃에서 120~180분간 달여주었다. 달여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여액을 40~60℃에서 감압농축하여 원래 부피의 1/10로 농축하였다.
2) 마늘 추출 발효액의 제조
5mM의 PPA를 첨가한 MRS broth 배지에 1)에서 제조된 마늘 추출액을 1, 2 또는 3%(v/v)의 농도로 투여한 후, Lactobacillus zeae Y44 접종액을 접종하고 30℃에서 3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 중 생균수와 PLA 생산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2
표 2는 마늘 추출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Lactobacillus zeae Y44의 생균수와 PLA의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마늘 추출액이 유산균의 생육을 저해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4 : 식물 곰팡이병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검정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Lactobacillus zeae Y44 배양액(MRSP)과 마늘 추출 배양액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Botrytis cinerea(잿빛 곰팡이병균), Collectotricum aculatum(탄저병균), Rhizoctonia solani(모잘록병균)과 비병원성 곰팡이인 Aspergillus oryzae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패트리디쉬에 PDA 배지를 20㎖씩 분주한 후, 항진균 활성을 검정하고자 하는 하기 실시예 3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 3에 기재된 제조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취하여 PDA 배지에 5%(v/v)가 되도록 첨가하고 굳혀주었다. 배지의 중심에 상기 병원성 혹은 비병원성 곰팡이 중 하나의 균사를 cork borer(8㎜)로 떼어 접종한 후 25℃에서 8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대조군(무처리군)과 균사의 성장 면적을 비교하여 저해율을 구하고 이를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에 기재된 %는 모두 부피%를 의미한다. 표 4는 각 조성물에 대한 항진균 활성의 측정 결과이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110>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Ami-Tech Co.,Ltd <120> Composition for Controlling Fungal Disease of Plant <130> P1116-735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agagtttgat cctggctcag 20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aaggaggtga tccagccgc 19 <210> 3 <211> 1475 <212> DNA <213> Lactobacillus zeae <400> 3 ganntggggg gtgctataat gcagtcgaac gagttttggt cgatgaacgg tgcttgcatc 60 gtgattcaac ttaaaacgag tggcggacgg gtgagtaaca cgtgggtaac ctgcccttaa 120 gtgggggata acatttggaa acagatgcta ataccgcata aatccaagaa ccgcatggtt 180 cttggctgaa agatggcgta agctatcgct tttggatgga cccgcggcgt attagctagt 240 tggtgaggta acggctcacc aaggcgatga tacgtagccg aactgagagg ttgatcggcc 300 acattgggac tgagacacgg cccaaactcc tacgggaggc agcagtaggg aatcttccac 360 aatggacgca agtctgatgg agcaacgccg cgtgagtgaa gaaggctttc gggtcgtaaa 420 actctgttgt tggagaagaa tggtcggcag agtaactgtt gtcggcgtga cggtatccaa 480 cccagaaagc cacggctaac tacgtgccag cagccgcggt aatacgtagg tggcaagcgt 540 tatccgggat ttattgggcg taaagcgagc gcaggcggtt ttttaagtct gatgtgaaag 600 ccctcggctt aaccgaggaa gcgcatcgga aactgggaaa cttgagtgca gaagaggaca 660 gtggaactcc atgtgtagcg gtgaaatgcg tagatatatg gaagaacacc agtggcgaag 720 gcggctgtct ggtctgtaac tgacgctgag gctcgaaagc atgggtagcg aacaggatta 780 gataccctgg tagtccatgc cgtaaacgat gaatgctagg tgttggaggg tttccgccct 840 tcagtgccgc agctaacgca ttaagcattc cgcctgggga gtacgaccgc aaggttgaaa 900 ctcaaaggaa ttgacggggg cccgcacaag cggtggagca tgtggtttaa ttcgaagcaa 960 cgcgaagaac cttaccaggt cttgacatct tttgatcacc tgagagatca ggtttcccct 1020 tcgggggcaa aatgacaggt ggtgcatggt tgtcgtcagc tcgtgtcgtg agatgttggg 1080 ttaagtcccg caacgagcgc aacccttatg actagttgcc agcattcagt tgggcactct 1140 agtaagactg ccggtgacaa accggaggaa ggtggggatg acgtcaaatc atcatgcccc 1200 ttatgacctg ggctacacac gtgctacaat ggatggtaca acgagttgcg agaccgcgag 1260 gtcaagctaa tctcttaaag ccattctcag ttcggactgt aggctgcaac tcgcctacac 1320 gaagtcggaa tcgctagtaa tcgcggatca gcacgccgcg gtgaatacgt tcccgggcct 1380 tgtacacacc gcccgtcaca ccatgagagt ttgtaacacc cgaagccggt ggcgtaaccc 1440 ttttagggag cgagccgtct aatagtgacc aacnn 1475

Claims (9)

  1. 마늘 추출물과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유산균의 배양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용 방제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phenylpyruvic acid 또는 phenylalanine 또는 phenylpyruvic acid와 phenylalanine의 혼합물을 추가로 함유하여 유산균을 배양한 배양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마늘 추출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유산균을 배양한 마늘 추출물의 발효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 중 마늘 추출물은 0.01~3%(v/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칼리프톨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유칼리프톨의 함량은 조성물 중 0.001~0.1%(v/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곰팡이병은 잿빛 곰팡이병, 식물 탄저병, 모잘록병 또는 뿌리썩음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ze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KR1020160159491A 2016-11-28 2016-11-28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KR101874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491A KR101874535B1 (ko) 2016-11-28 2016-11-28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491A KR101874535B1 (ko) 2016-11-28 2016-11-28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231A true KR20180060231A (ko) 2018-06-07
KR101874535B1 KR101874535B1 (ko) 2018-07-04

Family

ID=6262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491A KR101874535B1 (ko) 2016-11-28 2016-11-28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605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상상구르메 마늘박을 적용한 채소배양액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785B1 (ko) 2008-05-15 2008-09-29 주식회사 리스나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발효액을 함유하는 천연 항균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785B1 (ko) 2008-05-15 2008-09-29 주식회사 리스나 유산균을 이용한 마늘 발효액을 함유하는 천연 항균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농학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농화학과, 2015 *
농학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농화학과, 송준섭, 201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605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상상구르메 마늘박을 적용한 채소배양액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535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252B1 (ko) 인삼 뿌리썩음병에 대한 길항력을 가지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arri17 및 이의 이용
KR101624628B1 (ko) 작물의 생육촉진 및 내한성 증강효과를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발리스모티스 bs07m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제제
KR102125456B1 (ko)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346698B1 (ko) 식물병원성 세균 및 진균을 방제하는 기능과 약제 다제내성 세균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eml-cap7
KR101563645B1 (ko)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과 효소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kr-pbs6 균주
WO2022004515A1 (ja) ラクトバチルス属に属する新規微生物、並びにラルストニア・ソラナケアルムまたはラルストニア・シュードソラナケアルムによる植物病害に対する防除剤および防除方法
US20220132862A1 (en) Pseudomonas sp. stra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100914226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m010b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식물병원균 방제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KR102124060B1 (ko)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mws28와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방제제 및 이를 생산하는 방법
KR100827352B1 (ko) 유도전신저항성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hk-isr1 균주 및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와 이를 이용한인삼병 방제 방법
KR20150015309A (ko)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39;&#39;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JP2023513563A (ja) 様々な植物に抵抗性を誘導するバシラスサチリスjck-1398菌株、これを用いたマツ材線虫病防除用組成物及び防除方法
KR20080045346A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엠27 균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한 식물 균핵병 방제 방법
CN113151044A (zh) 一种防治太子参病害的假单胞菌以及分离筛选鉴定方法与应用
KR101874535B1 (ko)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KR102670981B1 (ko) 고추 탄저병과 세균병 방제 및 생육촉진 효과를 가진 다기능 천연식물보호제 개발
KR20110120748A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션스 씨피 1 및 이를 이용한 딸기 탄저병균의 방제방법
KR102612464B1 (ko)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73487B1 (ko) 바실러스 발리스모티스 bs07m 균주를 접종한 가축분 입상 퇴비의 제조방법
KR101953835B1 (ko) 식물의 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아스페르질루스 테레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211681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20150079323A (ko) 토양근권세균 슈도모나스 오티티디스 균주 yjr27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및 식물 생장촉진용 조성물
KR102586242B1 (ko) 오이탄저병을 방제하는 슈도모나스 세사미(Pseudomonas sesami) BC4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며 열에 안정성을 갖는 미생물 제제
EP4212020A1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