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464B1 -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464B1
KR102612464B1 KR1020210066905A KR20210066905A KR102612464B1 KR 102612464 B1 KR102612464 B1 KR 102612464B1 KR 1020210066905 A KR1020210066905 A KR 1020210066905A KR 20210066905 A KR20210066905 A KR 20210066905A KR 102612464 B1 KR102612464 B1 KR 10261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anthracnose
root rot
freshwater
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058A (ko
Inventor
천원수
고재덕
문혜연
박영환
박상규
서민정
오유선
Original Assignee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filed Critical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Priority to KR102021006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4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4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745Cephalosporium ; Acremoni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담수균류로서 탄저병균과 뿌리썩음병균에 대한 길항력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신균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뿌리썩음병균 또는 탄저병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수탁번호: KCTC14562BP) 균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 strain isolated from freshwater having antifungal activ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미생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뿌리썩음병균 또는 탄저병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과,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능을 가지는 미생물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화학농약의 통해 농업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인류의 식량부족을 해결하고자 노력해 왔다. 화학농약의 발전은 병해충 및 잡초방제, 품종개량, 토양 비옥도 증진 등을 통해 작물의 생산량 증대를 이루어 왔다. 화학농약을 이용한 방제방법은 농업의 생산력 증대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전 세계적으로 화학농약의 사용은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화학농약의 사용은 작물의 생산량 증대에는 큰 기여를 하였지만, 무분별한 오남용으로 인한 농약 중독,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 인축독성, 화학농약에 대한 저항성 개체 등과 같은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찾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화학농약의 대체·보완을 위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최근 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의 시행에 따라 화학농약을 대체할 천연소재를 활용한 생물농약, 미생물제제 등의 개발에 많은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 특히, 화학농약 등의 화학자재 사용 지양으로 유기농업과 같은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화학자재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환경과 생태계 보전에 유익한 미생물제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생물학적 방제제라 일컫는 생물농약은 자연환경에서 존재하는 미생물, 천연소재 등을 활용하여 작물의 생장으로 도와주고, 작물에 발생하는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는 천연 작물보호제를 일컫는다. 생물학적 방제제로 사용되는 주요 미생물로는 바실러스 속(Bacillus),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Streptomyces), 엔테로박터 속(Enterobacter) 등의 세균과 암펠로마이세스 속(Ampelomyces), 트라이코더마 속(Trichoderma) 등의 진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방제제들은 화학농약과 비교하여 인축독성,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저항성 개체 출현 등의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탄저병은 콜레토트리쿰 속(Colletotrichum sp.)에 의하여 발병하는 식물병으로, 고추, 토마토 등의 가지과, 사과, 복숭아, 감 등의 과수, 배추과, 화훼류 등 기주 범위가 매우 넓게 발생하는 병으로 우리나라 주요 작물의 재배에 있어 가장 방제가 어려운 병이다.
뿌리썩음병은 농작물의 수확에 있어서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병해 중 하나이다. 뿌리썩음병은 푸사리움 속(Fusarium sp.) 등의 병원균에 의해 발병하며, 식물체의 뿌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해되거나 썩는 증상이 나타난다.
담수는 국내 농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강수가 7-9월에 집중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상 댐, 저수지, 하천 등의 담수환경으로부터의 농업관개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담수환경 내에 존재하는 담수균류는 생태계에 중요한 분리자 역할로 알려져 있지만 담수균류에 관한 연구는 초기 단계 수준이다. 담수환경에 존재하는 유용 담수균류의 발굴은 매우 중요한 생물자원으로 그 활용도는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용수로 활용되는 담수에서 분리된 담수균류를 활용한 미생물제제 개발은 지금껏 개발된 미생물제제 보다 그 효능을 훨씬 클것으로 판단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51386호는 아크레모니움 속(Acremonium sp.) MJM1 균사체를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에 처리 시 세균 및 곰팡이 병원균에 대한 방제 효과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나, 탄저병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담수균류로서 탄저병균과 뿌리썩음병균에 대한 길항력이 매우 우수하고, 나아가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신균주와, 이를 활용한 탄저병 또는 뿌리썩음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양태로서 본 발명은, 뿌리썩음병균 또는 탄저병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수탁번호: KCTC14562B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뿌리썩음병균은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또는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수탁번호: KCTC14562B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저병균은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수탁번호: KCTC14562B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균주는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수탁번호: KCTC14562B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균주는 담수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수탁번호: KCTC14562B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대사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미생물 배지에 상기 균주를 23 내지 27℃에서 6 내지 8일간 배양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3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제제를 작물 재배지에 처리하여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저병 및 뿌리썩음병 병원균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또한 고추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길항 미생물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 균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균주 또는 이의 대사물질을 미생물 제제로 활용하여 환경오염 및 약제저항성 병원균 출현을 예방하고, 안전한 농산물 생산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작물재배에 가장 문제가 되는 탄저병 및 뿌리썩음병의 친환경 방제 관련 산업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NIBRFG2982 균주를 PDA 평판배지에 계대배양하여 순수배양 균주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NIBRFG2982 균주의 ITS 염기서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본 발명에 따른 NNIBRFG2982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한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NIBRFG2982 균주의 뿌리썩음병균 및 탄저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활성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NNIBRFG2982 균주의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 효과 검정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NNIBRFG2982 균주의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 효과 검정에서 초장의 길이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NNIBRFG2982 균주의 식물생장 호르몬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뿌리썩음병”은 작물 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식물병으로, 뿌리나 지하부의 줄기에 진균류가 기생하여 뿌리가 썩는 것에 의해 지상부의 생육이 정체되고 잎의 황화, 조기 낙엽 등이 발생되는 병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탄저병”은 작물 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식물병으로, 잎 또는 과실의 표면에 작은 반점이 생기고 반점 부분이 괴사 또는 썩는 현상이 발생되는 병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배양액”은 미생물의 생장에 적절한 배지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기에서 일정 기간 동안 미생물의 생장을 유도한 후 수득된, 미생물의 균체 및 미생물이 생장하며 분비한 물질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액으로서 불순물을 걸러내고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생장촉진능”은 일반적인 식물의 생장보다 미생물을 처리함에 따라 식물의 초장, 뿌리 길이 등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그 차이는 비처리된 기주식물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방제”는 일반적으로 식물이 병원균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감염에 있어서의 예방 및 감소는 비처리된 기주식물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병에 우수한 항균력을 지닌 담수균류를 찾고자 전국 여러 담수에서 시료를 확보하였으며, 그 중 제주도 수장동 습지에서 분리한 NNIBRFG2982 균주를 확보하였고, 순수 분리된 담수균류의 분자생물학적 및 형태학적 동정을 실시하고자 ITS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Acremonium tubakii)로 동정되었다. 상기 균주는 탄저병원균 및 뿌리썩음병원균 2종에 대한 길항력이 매우 뛰어나고, 나아가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능을 보유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뿌리썩음병균 또는 탄저병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신규 미생물로서,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수탁번호: KCTC14562BP) 균주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저병균은 콜레토트리쿰 속(Colletotrichum sp.) 병원균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NNIBRFG2982 균주는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병원균에 대한 길항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뿌리썩음병균은 푸사리움 속(Fusarium sp.) 병원균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NNIBRFG2982 균주는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또는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병원균에 대한 길항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대사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대사물질은 상기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균주의 배양여액 등의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균주의 균체는 균 자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상기 배양액은 균체가 포함된 배양액을 의미하며, 상기 배양여액은 균체 비포함 배양액을 의미한다. 상기 배양액은 예컨대, 미생물 배지에 상기 균주를 23 내지 27℃에서 6 내지 8일간 배양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예에 따르면, 상기 미생물 제제, 즉,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대사물질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작물 재배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을 방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탄저병 또는 뿌리썩음병을 방제하는 방법은 예컨대, 상기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 균주를 배양한 대사물질의 유효량을 작물 재배지에 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식물병에 대한 길항력을 보유한 담수균류 NNIBRFG2982 균주의 분리
본 발명에서는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을 지닌 담수균류를 선발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균주 채집 정보로 나타낸 바와 같이, 2016년에 제주시 수장동 습지에 자생하는 마름 식물체에서 담수균류를 순수 분리하기 위하여, 멸균한 하천수에 마름 식물체를 잘게 잘라 2 내지 3일간 진탕배양하여 식물체에 존재하는 균류를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10-3으로 희석하여 항생제(streptomycin, ampicilin)가 첨가된 PDA(감자 전분 4 g, 감자 덱스트로스 20 g 및 아가 15 g 포함) 배지에 도말하여 25℃, 암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 내지 3일 후 균사가 자라나오면 콜로니를 배지에서 분리하여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 V8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고, V8 배지에서 자란 균류는 다시 PDA 배지에 여러 번 계대배양하여 NNIBRFG2892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채집지역 채집년도 수계 분리원 분리균주
제주도 제주시 2016 제주 수장동 습지 식물-마름 NNIBRFG2982
실시예 2: 식물병에 대한 길항력을 보유한 담수균류 NNIBRFG2982 균주의 동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NIBRFG2982 균주를 PDA 평판배지에 계대배양하여 순수배양 균주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과 같이 순수 분리된 담수균류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실시하고자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2(서열번호 1)에 나타내었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2와 같다.
프라이머
이름
정방향(5'-3')
프라이머 염기서열
프라이머
이름
역방향(5'-3')
프라이머 염기서열
ITS1 TCCGTAGGTGAACCTGCGG ITS4 TCCTCCGCTTATTGATATGC
ITS 염기서열에 대해 NCBI의 BLAST 결과, NNIBRFG2982 균주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로 동정되었다. 또한, 도 3과 같이 근연종의 ITS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도 분석에서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와 100% 유사성을 보였으며, 균사생장, 포자형태, 크기 등에 따라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균주를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 균주로 명명하고, 이를 생물자원센터(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21년 05월 06일자로 수탁하여, 수탁번호 KCTC14562B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3: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Acremonium tubakii ) NNIBRFG2982 균주의 당귀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병원균에 대한 길항력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분리 및 동정한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 균주의 뿌리썩음병과 탄저병 병원균에 대한 길항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뿌리썩음병균 및 탄저병균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를 대치배양을 통하여 각각의 균주에 대하여 길항력을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병원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대치배양 검정법을 실시하였다.
길항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PDA 배지의 양극단에 NNIBRFG2982 균주와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병원균의 아가 플러그(agar plug)를 동일한 크기(5 mm)로 잘라 일정한 간격(60 mm)을 두고 치상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두 병원균만 치상하여 비교하였다. 치상 후, 25℃에서 7일간 배양하여 병원균의 배양체 면적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해 길항력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병원균 생장 억제도(%) = [(대조군 면적-처리군 면적)] / 대조군 면적] × 100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NNIBRFG2982 균주는 푸사리움 옥시프로룸(Fusarium oxysporum),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및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병원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보였으며, 따라서 뿌리썩음병균 및 탄저병균에 대해 강력한 길항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Acremonium tubakii ) NNIBRFG2982 균주의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 효과 검정 및 식물생장 호르몬 분석
상기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 균주의 식물에 대한 생장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NNIBRFG2982 균주의 배양액을 고추 모종에 14일 간격으로 1000배 희석하여 관주처리 하였다. 배양액은 25℃에서 7일간 PDB 배지에 액체 배양하여 처리하였다. 처리구는 물만 처리한 처리구(Control)와 각각의 균주를 처리한 처리구로 구분하였다. 배양액을 처리한 후, 생장 변화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배양액이 처리된 고추가 물만 처리한 처리구(Control)보다 초장 및 엽수가 확연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식물생장 호르몬 분석을 위해 액화질소를 이용하여 마쇄한 고추 잎에서 50 mg을 취한 뒤 1% acetic acid in methanol 980 ㎕와 20㎕ 호르몬 internal standard를 넣은 뒤 4℃에서 5분간 13,000 rpm으로 원심분리 추출하여 LC-ESI-MS/MS를 통해 정량 분석하였다. 고추의 호르몬 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NNIBRFG2982 균주가 처리된 고추 지상부의 호르몬을 추출하여 LC-ESI-MS/MS를 이용한 호르몬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처리구는 물만 처리한 대조군(Control)과 NNIBRFG2982 균주 처리구로 구분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세포분열, 기관형성 및 뿌리생장촉진 효과가 있는 제아틴(zeatin, ZA)과, 세포분열 및 신장촉진 효과가 있는 브라시노스테로이드(brasinosteroid, BR)와, 방어기작에 관여하는 자스민산(jasmonic acid, JA) 및 살리실산(salicylic acid, SA), 줄기 신장, 발아 및 개화에 관여하는 지베렐린산(Gibberellic acid, GA3), 세포신장 및 호흡에 관여하는 인돌아세트산(Indole acetic acid, IAA) 의 함량이 대조군(Control) 대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562BP 20210506
<110>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20> 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 strain isolated from freshwater having antifungal activ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and uses thereof <130> NP21-05043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45 <212> DNA <213> Unknown <220> <223> Acremonium tubakii <400> 1 cgagggatca ttactgagtt atccaactcc caaacccctg tgaacatacc tatgttgctt 60 cggcggaccg tcccgcggcg cgccctcgtg gcgtgacccg gatccaggcg cccgccgggg 120 aaccaaactc ttgttttcta gtgtctcctc tgagtggcat aagcaaaaat aaacaaaact 180 ttcagcaacg gatctcttgg ttctggcatc gatgaagaac gcagcgaaat gcgataagta 240 atgtgaattg cagaattcag tgaatcatcg aatctttgaa cgcacattgc gcccgccagt 300 attctggcgg gcatgcctgt ctgagcgtca tttcaaccct cagcccccgt tcgcggggcg 360 ctggcgttgg ggcccggccg tcctcgcggc ggccgtcccc gaaacacagt ggcggtctcc 420 cacagactcc cctgcgtagt aacactacct cgcagaaggg acgagcgggc tggccacgcc 480 gtaaaacacc ccacttctca aggttgacct cagatcaggt aggaataccc gctgaactta 540 agctt 545

Claims (8)

  1. 뿌리썩음병균 또는 탄저병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Acremonium tubakii) NNIBRFG2982(수탁번호: KCTC14562BP)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썩음병균은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ni) 또는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저병균은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담수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6. 삭제
  7. 제1항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미생물 배지에 상기 균주를 23 내지 27℃에서 6 내지 8일간 배양하여 수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8. 제1항의 미생물 제제를 작물 재배지에 처리하여 뿌리썩음병 또는 탄저병을 방제하는 방법.
KR1020210066905A 2021-05-25 2021-05-25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612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905A KR102612464B1 (ko) 2021-05-25 2021-05-25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905A KR102612464B1 (ko) 2021-05-25 2021-05-25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058A KR20220159058A (ko) 2022-12-02
KR102612464B1 true KR102612464B1 (ko) 2023-12-08

Family

ID=8441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905A KR102612464B1 (ko) 2021-05-25 2021-05-25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0155A (zh) * 2023-05-18 2023-08-15 兰州大学 一种粉红螺旋聚孢霉菌株、微生物菌剂及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3592A (en) 1996-12-30 1998-05-19 Thermo Trilogy Corporation Acremonium mycoherbicide for biocontrol of dandelion
CN103205367A (zh) 2013-05-10 2013-07-17 国家海洋局第三海洋研究所 桃色顶孢霉s2915及其抗真菌活性蛋白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386A (ko) * 2005-11-15 2007-05-18 서주원 아크레모니움 엠제이엠1 (케이씨티씨 0385비피) 균주를활용한 친환경 생물 농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3592A (en) 1996-12-30 1998-05-19 Thermo Trilogy Corporation Acremonium mycoherbicide for biocontrol of dandelion
CN103205367A (zh) 2013-05-10 2013-07-17 国家海洋局第三海洋研究所 桃色顶孢霉s2915及其抗真菌活性蛋白的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균학회지,제46권,2호,91-97면(201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058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lik The potential for using cyanobacteria (blue-green algae) and algae in the biological control of plant pathogenic bacteria and fungi
CN111424004A (zh) 一株亚麻假单胞菌及其应用
CN106119134B (zh) 黄色蠕形霉y28及其在防治果树腐烂病中的应用
KR102612464B1 (ko)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1363691B (zh) 一株多粘类芽孢杆菌及其应用
Adhikari et al. Effect of Trichoderma isolates on Sclerotium rolfsii Sacc.
KR20180001716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균성 마름병 방제용 항균 조성물
Kim et al. Laboratory and field evaluations of entomopathogenic Lecanicillium attenuatum CNU-23 for control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AU2018267591A1 (en) An Herbicid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arthenium Weed and Strain Thereof
KR20110092616A (ko) 토양근권세균 크라이세오박테리움 인돌로제네스 균주 ise14를 포함하는 식물 탄저병 방제용 및 성숙촉진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탄저병 방제방법
CN114634878A (zh) 一种复合微生物制剂及其在防治根结线虫中的应用
KR102556901B1 (ko)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에드니아 속 nnibrfg151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43620B1 (ko) 자일라리아 그람미카 균주로부터 그람미신의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적 배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53835B1 (ko) 식물의 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아스페르질루스 테레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211681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102190929B1 (ko) 담수퇴적물로부터 분리한 감나무 탄저병균에 대해 길항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렐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30119681A (ko) 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 kjg7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염류 장해 토양의 복원 방법
Potočnik et al. The activity of native Bacillus subtilis strains in control of green mould disease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KR102397132B1 (ko)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0679611A (zh) 一种层生镰刀菌在防控入侵植物刺苍耳中的应用
Gouws-Meyer et al. Potato scab management with Brassica biofumigation and effect of volatiles on Streptomyces growth
Al-Isaw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i associated with seedlings roots of Citrus aurantium and enhance its growth by using some organic extracts
AE Hassan et al. Incidence of root-rot and wilt disease complex of olive trees in New Valley Governorate in Egypt and its control
KR20150079323A (ko) 토양근권세균 슈도모나스 오티티디스 균주 yjr27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및 식물 생장촉진용 조성물
KR102525964B1 (ko) 토마토 시들음병 및 궤양병을 유발하는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 아종 미시가넨시스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k203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