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132B1 -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132B1
KR102397132B1 KR1020200040639A KR20200040639A KR102397132B1 KR 102397132 B1 KR102397132 B1 KR 102397132B1 KR 1020200040639 A KR1020200040639 A KR 1020200040639A KR 20200040639 A KR20200040639 A KR 20200040639A KR 102397132 B1 KR102397132 B1 KR 10239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angelica
root rot
anthrax
trichoderma asperel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551A (ko
Inventor
천원수
고재덕
문혜연
박영환
박상규
황혜진
전유정
정충렬
Original Assignee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filed Critical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Priority to KR102020004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1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당귀 재배지에 발생하는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에 길항력을 지닌 담수균류로서 당귀에 심각한 병원성을 나타내는 원인균 2종에 대한 길항력이 매우 우수한 신균주를 활용한 당귀의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와, 당귀의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에 의해 발병하는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당귀 뿌리썩음병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와 이를 활용한 당귀의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당귀의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에 의해 발병하는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 strain having antifungal activ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미생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균주에 관한 것이다.
약용식물은 국내 자생식물 약 5400여 종 중에서 약 100여 종이 한방산업에서 약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 약용작물은 재배면적이 13,458 ha에 달하고 70,456톤이 생산되고 있다. 최근 약용작물은 주요 식품 원료뿐만 아니라 각종 약리성과 기능성을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향장품 등 산업의 중요 생물자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 중에서 당귀는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하는 식물로 경북 지역이 전국 생산면적의 28.6%를 차지한다. 당귀를 비롯한 대부분의 약용작물은 약리적으로 이용되는 목적에 따라 화학농약에 대한 사용은 제한적이다. 많은 약용작물에 뿌리썩음병 및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푸사리움(Fusarium sp.)과 탄저병을 일으키는 콜레토트리쿰(Colletotrichum sp.) 등은 약용작물 재배에 많은 피해를 입힌다. 화학농약을 이용한 방제가 제한적인 약용작물에 효과적인 병해 방제를 위해서는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에 안정적인 생물학적 방제가 요구된다.
생물농약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 곤충, 미생물 등의 배양액이나 추출물을 통해 이들이 생산하는 활성물질을 이용하여 만든 농약이다. 이러한 생물농약은 종래의 화학농약과 비교하여 독성 및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적으며, 환경에 안전하여 화학농약의 대체·보완을 위하여 선진 국가들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환경보전과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또한, 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의 시행에 따라 화학농약을 대체할 만한 생물농약의 개발에 많은 연구를 집중하고 있다. 특히, 농약, 화학농약 등의 화학자재 사용 지양으로 유기물과 같은 자연적 자재로 생산된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화학자재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생태계 사슬과 환경에 유익한 미생물 제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식물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상용화되고 있는 길항 미생물은 바실러스속(Bacillus sp.)의 세균을 이용한 미생물 농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상작물로는 시설재배(고추, 오이, 토마토 등)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대상병으로는 탄저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 등 일부 식물병원균에 대해서만 적용되고 있다.
담수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데 있어 중요한 농업용수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강우는 7-8월에 집중되어 있어 강우만으로는 충분한 수원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하천, 호소, 저수지 등의 담수환경으로부터 수원을 공급받아야 하는 농업관개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담수환경 내에 존재하는 담수균류는 생태계에서 중요한 분해자로 알려져 있으나, 담수균류를 활용한 연구는 초기 단계 수준이다. 국내에 많이 개발되고 시판되는 미생물 제제는 토양 미생물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으로, 담수에서 분리된 곰팡이를 활용한 미생물 제제 개발 가능성은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등록특허 제0797036호에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토착미생물 트리코더마 아스퍼레룸 DYF0328 균주 및 이를 포함한 식물 병 방제제' 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9-0004726호에서는 '트리코데르마속균을 사용한 농약 제제 조성물, 그 제조법 및 시용법' 이 개시되어 있으나, 당귀의 뿌리썩음병이나 탄저병에 대해 길항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당귀 재배지에 발생하는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에 길항력을 지닌 담수균류로서 당귀에 심각한 병원성을 나타내는 원인균 2종에 대한 길항력이 매우 우수한 신균주를 활용한 당귀의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와, 당귀의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에 의해 발병하는 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과, 당귀에 대한 생장촉진능, 나아가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능을 가지는 미생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당귀 뿌리썩음병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당귀 뿌리썩음병균은 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렐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균주는 담수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렐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귀 뿌리썩음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미생물 배지에 상기 균주를 23 내지 27℃에서 6 내지 8일간 배양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귀 뿌리썩음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3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제제를 당귀 재배지에 처리하여 푸사리움 속(Fusarium sp.)에 의해 발병하는 당귀 뿌리썩음병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4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당귀 탄저병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당귀 탄저병균은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렐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5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당귀에 대한 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6 양태로서 본 발명은,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항 미생물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4324은 당귀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병원균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또한 당귀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균주를 사용하면 당귀 재배 시 토양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환경오염, 인축 독성 등이 없어 친환경 당귀 식물병 방제제로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NIBRFG4324 균주를 PDA 평판배지에 계대배양하여 순수배양 균주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NIBRFG4324 균주의 RPB2 염기서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RPB2 염기서열에 기초한 본 발명에 따른 NNIBRFG4324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위한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NIBRFG4324 균주의 당귀 뿌리썩음병원균 및 탄저병원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활성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NNIBRFG4324 균주의 당귀 재배지에서의 당귀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방제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a) 및 그래프(b),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NNIBRFG4324 균주의 당귀 뿌리의 생장촉진효과 및 뿌리의 건중 결과를 나타낸 사진(a) 및 그래프(b),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NNIBRFG4324 균주의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효과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NNIBRFG4324 균주의 식물의 생장촉진 호르몬의 변화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뿌리썩음병”이란 당귀 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식물병으로 뿌리나 지하부의 줄기에 진균류가 기생하여 뿌리가 썩는 것에 의해 지상부의 생육이 정체되고 잎의 황화, 조기 낙엽 등이 발생되는 병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시들음병”이란 당귀 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토양 식물병으로 뿌리가 물러지고 식물체 전체가 고사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병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탄저병”이란 당귀 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식물병으로 잎의 표면에 작은 반점이 생기고 반점부분이 괴사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병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배양액”은 미생물의 생장에 적절한 배지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기에서 일정 기간 동안 미생물의 생장을 유도한 후 수득된, 미생물의 균체 및 미생물이 생장하며 분비한 물질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액으로서 불순물을 걸러내고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생장촉진능”이란 일반적인 식물의 생장보다 미생물을 처리함에 따라 식물의 초장, 뿌리길이 등의 차이를 말하며, 그 차이는 비처리된 기주식물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방제”는 일반적으로 식물이 병원균의 감염을 예방,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감염에 있어서의 예방 및 감소는 비처리된 기주식물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병에 길항력을 지닌 담수균류를 찾고자 전국 여러 담수에서 시료를 확보하였으며, 그 중 경북 상주보의 담수에서 분리한 NNIBRFG4324 균주를 확보하였고, 순수 분리된 담수균류의 분자생물학적, 형태학적 동정을 실시하고자 RPB2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로 동정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출원인은 2019년 4월 15일자로 “담수퇴적물로부터 분리한 감나무 탄저병균에 대해 길항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렐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라는 명칭으로 특허출원한 바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상기 분리 균주가 당귀에 심각한 병원성을 나타내는 원인균 2종에 대한 길항력이 매우 뛰어나고, 당귀에 대한 생장촉진능을 보유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 미생물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로서, 당귀의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에 대해 길항력을 가지며, 상기 뿌리썩음병 원인균은 푸사리움 속(Fusarium sp.) 병원균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 병원균에 대한 길항력이 뛰어나고, 상기 탄저병 원인균은 콜레토트리쿰 속(Colletotrichum sp.) 병원균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병원균에 대한 길항력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대사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귀 뿌리썩음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대사물질은 상기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균주의 배양여액,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등의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균주의 균체는 균 자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상기 배양액은 균체가 포함된 배양액을 의미하며, 상기 배양여액은 균체 비포함 배양액을 의미하고,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농축 또는 건조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대사산물의 유효량을 당귀 재배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귀 뿌리썩음병 또는 당귀 탄저병을 방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당귀 뿌리썩음병 원인균은 푸사리움 속(Fusarium sp.) 병원균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 병원균일 수 있고, 상기 탄저병 원인균은 콜레토트리쿰 속(Colletotrichum sp.) 병원균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병원균일 수 있다.
상기 당귀 뿌리썩음병 또는 당귀 탄저병을 방제하는 방법은 예컨대, 상기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 균주를 배양한 대사물질의 유효량을 당귀 재배지에 처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 당귀 식물병에 대한 길항력을 보유한 담수균류 NNIBRFG4324 균주의 분리
본 발명에서는 식물병 원인균에 길항력을 지닌 담수균류를 선발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균주 채집 정보로 나타낸 바와 같이, 2017년에 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상주보에서 그랩을 이용해 담수에서 채집한 담수균류를 순수 분리하기 위하여, 멸균한 하천수를 혼합하여 10-3 으로 희석한 용액을 항생제(streptomycin, ampicilin)가 첨가된 PDA(감자 전분 4 g, 감자 덱스트로스 20 g, 아가 15 g) 배지에 도말하여 25℃, 암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 내지 3일 후 균사가 자라나오면 콜로니를 배지에서 분리하여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 V8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고, V8 배지에서 자란 균류는 다시 PPA 배지에 여러번 계대배양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채집지역 채집년도 수계 분리원
경상북도 상주시 2017 낙동강 상주보 담수
실시예 2 : 당귀 식물병에 대한 길항력을 보유한 담수균류 NNIBRFG4324 균주의 동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NIBRFG4324 균주를 PDA 평판배지에 계대배양하여 순수배양 균주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과 같이 순수 분리된 담수균류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실시하고자 RPB2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2(서열번호 1)에 나타내었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2와 같다.
프라이머 이름 정방향(5'-3')
프라이머 염기서열
프라이머 이름 역방향(5'-3')
프라이머 염기서열
5F2 GGGGWGAYCAGAAGAAGGC 7cR CCCATRGCTTGYTTRCCCAT
RPB2 염기서열에 대해 NCBI의 BLAST 결과, NNIBRFG4324 균주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로 동정되었다. 또한, 도 3과 같이 근연종의 RPB2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도 분석에서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TRS705)과 100% 유사성을 보였으며, 균사생장, 포자형태, 크기 등에 따라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균주를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 균주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 :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Trichoderma asperellum ) NNIBRFG4324 균주의 당귀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에 대한 길항력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분리 및 동정한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 균주의 당귀의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에 대한 길항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당귀 뿌리썩음병균 및 탄저병균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를 대치배양을 통하여 각각의 균주에 대하여 길항력을 확인하였다. 길항력 확인에 사용된 당귀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으로서, 산림청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 분양받은 경북 영주와 봉화 지역의 당귀 뿌리와 잎에서 각각 분리한 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 및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를 사용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당귀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 원인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대치배양 검정법을 실시하였다.
길항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PDA 배지의 양극단에 NNIBRFG4324 균주와 당귀 뿌리썩음병균 및 탄저병균의 아가 플러그(agar plug)를 동일한 크기(5 mm)로 잘라 일정한 간격(60 mm)을 두고 치상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두 병원균만 치상하여 비교하였다. 치상 후, 25
Figure 112020034781188-pat00001
에서 7일간 배양하여 병원균의 배양체 면적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해 길항력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병원균 생장 억제도(%) = [(대조군 면적-처리군 면적)] / 대조군 면적] × 100
대치배양 균사생장억제도(%)
F. solani C. gloeosporioides
NNIBRFG4324 88.6 ± 0.1 87.1 ± 0.3
표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NNIBRFG4324 균주는 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 병원균에 약 88.6%의 생장억제도를,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병원균에는 약 87.1%의 생장억제도를 보여 당귀 뿌리썩음병균 및 탄저병균에 대해 강력한 길항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렐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 균주의 당귀 뿌리썩음병 및 탄저병에 대한 재배지에서의 방제효과 검정
상기 실시예 3의 대치배양 검정법에서 NNIBRFG4324 균주의 당귀 재배지에서의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4324 균주의 배양액을 당귀 재배지에 30일 간격으로 100배 희석하여 지상부에 살포 및 관주 처리하였다. 배양액은 25
Figure 112020034781188-pat00002
에서 7일간 PDB 배지에 액체 배양하여 처리하였다. 배양액 처리 후, 뿌리썩음병과 탄저병의 발생 여부를 관찰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양액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에 비해 뿌리썩음병은 80.8%, 탄저병은 59.6%의 방제율을 보였다.
실시예 5 :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렐룸( Trichoderma asperellum ) NNIBRFG4324 균주의 당귀 및 고추에 대한 생장촉진효과 검정 및 식물생장 호르몬 분석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4324 균주의 식물에 대한 생장촉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4의 방법과 동일하게 배양액을 처리한 후, 생장 변화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당귀의 지상부는 무처리구에 비해 뚜렷한 생장촉진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니 뿌리의 경우, 무처리구에 비해 66% 증가된 건조중량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식물생장촉진효과가 뛰어난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FG4324 균주에 대하여 고추를 대상으로 pot 실험을 진행하였다. 처리구는 물만 처리한 처리구(a)와, 균주를 배양할 때 사용하는 배지만 처리하는 처리구(b) 및 NNIBRFG4324 균주 처리구(c)로 하였다. 배양액 처리 30일 후 pot 실험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양액이 처리된 고추의 초장이 증가하였고, 뿌리의 경우 잔뿌리가 크게 증가하여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뿌리 비대효과를 나타내었다.
식물생장 호르몬 분석을 위해 액화질소를 이용하여 마쇄한 고추 잎에서 50 mg을 취한 뒤 1% acetic acid in methanol 980 ㎕와 20㎕ 호르몬 internal standard를 넣은 뒤 4℃에서 5분간 13,000 rpm으로 원심분리 추출하여 LC-ESI-MS/MS를 통해 정량 분석하였다. 고추의 호르몬 합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보기 위해 NNIBRFG4324 균주가 처리된 고추 지상부의 호르몬을 추출하여 LC-ESI-MS/MS를 이용한 호르몬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처리구는 물만 처리한 대조군(Con1)과, 균주를 배양할 때 사용하는 배지만 처리하는 대조군(Con2) 및 NNIBRFG4324 균주 처리구(4324)로 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세포분열, 기관형성, 뿌리생장촉진 효과가 있는 제아틴(zeatin, ZA)(c)과, 세포분열 및 신장 촉진효과가 있는 브라시노스테로이드(brasinosteroid, BR)(b)와, 방어기작에 관여하는 살리실산(salicylic acid, SA)(a)의 함량이 대조군 대비 높음을 보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811BP 20190213
<110>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20> 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 strain having antifungal activ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and uses thereof <130> NP20-03019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688 <212> DNA <213> Unknown <220> <223> 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 <400> 1 gttacacttt tgcttcgaca ctttctcatt tgcgtcgtac caatacaccc atcggaagag 60 atggtaagct ggcgaagcct cgacagcttc acaacacaca ctggggtttg gtatgcccag 120 ccgagacccc tgaaggacag gcttgtggtt tggtcaaaaa cttgtctctg atgtgctacg 180 tcagtgtcgg atctccttcc gagcccttga tcgagtttat gatcaacaga ggtatggagg 240 tcgttgagga gtacgaaccg ctgaggtatc cccatgcgac aaagattttt gtgaatggtg 300 tctgggttgg aatccaccaa gaccccaagc atctggtaaa ccaagttttg gacactcgtc 360 gtaaatccta tctgcagtac gaagtctctc tgatcagaga tattcgtgac caagaattca 420 aaatcttctc tgacgccggt cgtgttatgc gtcctgtctt tactgtacag caagaggatg 480 acccggaaac gggcatcaac aagggccacc tggttttaac caaggatctt gtcaatagac 540 tggccaaaga gcaggctgag cctccggaag acccaagcat gaagcttgga tgggaagggt 600 taattcgggc tggtgcggtg gaatatctcg atgctgagga agaagaaacg gctatgattt 660 gcatgacacc ggaggatctt gagcttta 688

Claims (10)

  1. 당귀 뿌리썩음병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로서,
    상기 당귀 뿌리썩음병균은 푸사리움 소라니(Fusarium solani)이고,
    상기 균주는 담수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Trichoderma asperellum) NNIBRFG4324(수탁번호: KCTC13811BP) 균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귀 뿌리썩음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5. 제4항 있어서,
    상기 배양액은 미생물 배지에 상기 균주를 23 내지 27℃에서 6 내지 8일간 배양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귀 뿌리썩음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6. 제4항의 미생물 제제를 당귀 재배지에 처리하여 푸사리움 속(Fusarium sp.)에 의해 발병하는 당귀 뿌리썩음병을 방제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40639A 2020-04-03 2020-04-03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9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639A KR102397132B1 (ko) 2020-04-03 2020-04-03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639A KR102397132B1 (ko) 2020-04-03 2020-04-03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551A KR20210124551A (ko) 2021-10-15
KR102397132B1 true KR102397132B1 (ko) 2022-05-13

Family

ID=7815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639A KR102397132B1 (ko) 2020-04-03 2020-04-03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1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1486A (zh) 2012-12-28 2014-07-02 甘肃农业大学 一种当归根腐病预防方法
CN109749943A (zh) * 2019-03-06 2019-05-14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棘孢木霉菌及其应用
CN110272832A (zh) * 2019-08-05 2019-09-24 海南大学 棘孢木霉fj069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1486A (zh) 2012-12-28 2014-07-02 甘肃农业大学 一种当归根腐病预防方法
CN109749943A (zh) * 2019-03-06 2019-05-14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棘孢木霉菌及其应用
CN110272832A (zh) * 2019-08-05 2019-09-24 海南大学 棘孢木霉fj069及其应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crob Cell Fact, (2019) 18:89 pp.1-14*
곽인규 기자, 감 탄저병균 성장 억제 ‘담수균류’발견... 생물학적 방제 ‘활짝’, 경북매일 (2019.04.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551A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68555A1 (zh) 一种耐硼赖氨酸芽孢杆菌作为底盘细胞制备的槟榔根腐病杀菌剂
Ayudya et al. Insecticidal activity of culture filtrates from liquid medium of Beauveria bassiana isolates from South Sumatra (Indonesia) wetland soil against larvae of Spodoptera litura
Phong et al. Antifungal Activities of Chaetomium spp. against Fusarium Wilt of Tea.
CN104818216A (zh) 一株用于防治番茄与葡萄根结线虫病害的淡紫拟青霉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Abada et al. Management Fusarium wilt of sweet pepper by Bacillus strains
Nefzi et al. Suppressing Fusarium Crown and Root Rot infections and enhancing the growth of tomato plants by Lycium arabicum Schweinf. Ex Boiss. extracts
KR100735572B1 (ko) 주요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스트렙토마이세스 파다누스 vsp-32 및 이를 이용한식물 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0781300B1 (ko) 신규한 바실러스속 미생물균주를 이용한 딸기 시들음병방제용 미생물제제 및 그 제조방법
de Carvalho et al. Divers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ulturable endophytic fungi associated with the neotropical ethnomedicinal plants Copaifera langsdorffii and Copaifera pubiflora
Farhaoui et al. Biological control of diseases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2-2 in sugar beet (Beta vulgaris L.) using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KR20150113255A (ko) 곤충병원성 보베리아 바시아나 및 이를 이용한 수도해충 방제용 제제
AU2018267591B2 (en) An Herbicid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arthenium Weed and Strain Thereof
KR101143033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2612464B1 (ko)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001716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균성 마름병 방제용 항균 조성물
KR102397132B1 (ko)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레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90929B1 (ko) 담수퇴적물로부터 분리한 감나무 탄저병균에 대해 길항력을 가지는 트라이코더마 아스퍼렐룸 nnibrfg4324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8559716B (zh) 一株防治辣椒疫病的高效生防菌株及其应用
Kim et al. Laboratory and field evaluations of entomopathogenic Lecanicillium attenuatum CNU-23 for control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KR101905058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ak―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1953835B1 (ko) 식물의 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아스페르질루스 테레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211681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102556901B1 (ko)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에드니아 속 nnibrfg15114 균주 및 이의 용도
JP2011229443A (ja) Fusariumuoxysporumのジャガイモシストセンチュウおよびジャガイモそうか病に対する防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