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681B1 -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 Google Patents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681B1
KR101211681B1 KR1020120072219A KR20120072219A KR101211681B1 KR 101211681 B1 KR101211681 B1 KR 101211681B1 KR 1020120072219 A KR1020120072219 A KR 1020120072219A KR 20120072219 A KR20120072219 A KR 20120072219A KR 101211681 B1 KR101211681 B1 KR 10121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ptomyces
cmc0647
strain
fusarium
nigrogriseo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균
신명욱
임윤미
박성욱
손한나
심남금
조지현
Original Assignee
(주)씨엠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엠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씨엠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7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8Streptomy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86Streptomy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에 발생하는 흑색썩음균핵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를 이용한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는 마늘이나 양파의 흑색썩음균핵병을 비롯한 여러 식물병에 대해 방제효과가 우수하며, 기존의 화학농약이 가지고 있는 잔류 독성, 환경 유해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화학농약보다 우수한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 농가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Biological agent for plant diseases using 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본 발명은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의식 개선으로 인하여 친환경 농산물의 수요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친환경 농산물의 재배면적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존 관행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화학농약을 대체할 방제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천연 식물 추출물 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흑색썩음균핵병은 1988년 고흥에서 처음 발생이 확인된 이후 함평, 무안, 남해, 서산, 제주도 지방까지 발생이 확대되고 있는 토양 전염성 병해로서, 매년 동일한 재배지에 연작하는 재배 방식상 병원균의 밀도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흑색썩음균핵병은 마늘, 양파 등에 주로 발생하며, 이들의 품종과 상관없이 매년 3월경부터 발생되어 수확기인 6월경까지 증세가 지속된다. 병원균에 감염된 작물은 초기에 황화 현상 등의 시들음 증상이 동반된 생육장해가 발생되며, 후기 증상으로 가면서 시들음 증상이 점점 심해지면서 고사된다. 한편, 흑색썩음균핵병은 방제가 까다롭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살균제는 방제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어서, 대부분의 농가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살균제 이용시, 방제비용이 비싸며, 상기 살균제가 화학농약이기 때문에 인축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고, 약제의 저항성 유발, 농약 잔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마늘이나 양파 등은 양념 채소류로서 대부분의 식품에 첨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가공품 등으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로부터 농약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계속 대두되어 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미생물 살균제를 이용한 친환경 농업을 추구하는 재배농가들이 급속히 증가추세에 있으며 효율적이면서도 보다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한 방제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국내 부존자원인 유용 미생물을 분리, 선발, 이용하여 흑색썩음균핵병을 포함한 식물 병원균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안전하고 품질이 좋은 마늘이나 양파 등의 작물을 생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균주는 흑색썩음균핵병 병원균인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을 비롯한 여러 식물 병원균의 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잔류농약으로 인한 농업생태계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 방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17997호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KCTC18169P]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방제제, 2010.02.16.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5484호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포로클리바투스 CJS-49 KCTC 11109BP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농약, 2010.12.27.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961524호 (신규의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속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2010.05.27.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604203호 (식물병원균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신규 스트렙토마이세스천안엔시스 브이씨-에이4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살균제, 2006.07.18.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식물 병원균 방제용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균주의 균체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물 병원균은 푸사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 및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병원균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 또는 상기 미생물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를 식물에 처리하여 식물 병원균을 방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는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 배지에서 잘 자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YMA(Yeast extract-Malt extract Agar) 배지나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 상에서 잘 자란다.
또한,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는 25~35℃ 온도범위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28℃에서 가장 잘 자란다. 생육 pH 범위는 pH 4.5~7.5이며 바람직하게는 pH 5.5~7.5이며, 배양시간은 2~8일, 바람직하게는 2~7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일이 적절하다. 균주의 형태는 포자 사슬 형태(Spore chain morphology)이고, 자일로스(Xylose), 수크로즈(Sucrose), 글루코스(Glucose) 등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5%(w/v) 염화나트륨(NaCl), 100㎍/㎖ 탈리움 아세테이트(Thallium acetate), 20㎍/㎖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 페니실린(Penicillin) 등의 조건에서는 생육이 불가능하지만, 1㎍/㎖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의 조건에서는 생육가능하다. 한편,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의 배양액으로는, 배양 직후의 균체나 포자 등이 모두 포함된 배양액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균체를 제외한 배양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작물에 발생하는 흑색썩음균핵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를 이용한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는 마늘이나 양파의 흑색썩음균핵병을 비롯한 여러 식물병에 대해 방제효과가 우수하며, 기존의 화학농약이 가지고 있는 잔류 독성, 환경 유해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화학농약보다 우수한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 농가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를 YMA(Yeast extract-Malt extract Agar)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의 콜로니 사진이다.
도 2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의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이다.
도 3은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의 16S rRNA gene 계통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서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길항미생물의 분리 및 생리학적 활성 확인>
본 발명의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는 제주도 한라산 기슭의 토양에서 분리하였다. 토양시료를 잘 혼합한 후 멸균수에 희석하여 YMA(Yeast extract-Malt extract Agar) 배지에 희석 평판법으로 미생물을 분리하여 30℃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는 YMA 배지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상기 YMA 배지에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를 접종하여 항온 배양하여 이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균주는 ISP(International Streptomyces Project) 배지에서 배양할 경우, 배양된 균체는 초기에는 살색의 크림형태로 자라다가 점차 균사의 생육이 발달되면서 자주빛으로 균사를 형성하였으며 후기에는 균사색깔이 회갈색인 형태를 나타냈다. 상기 ISP 배지는 방선균의 생리 생태의 확인을 위하여 배양하는 배지로서, 특히,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의 특성 확인에 이용되는 배지이다.
또한, 상기 균주는 25~35℃ 온도범위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28℃에서 가장 잘 자랐다. 생육 pH 범위는 pH 4.5~7.5, 바람직하게는 pH 5.5~7.5이고, 배양시간은 2~8일, 바람직하게는 2~7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일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은 아래 표 1과 같이 분석되었다. 상기 균주는 배지의 종류에 의해 균사의 생성과 색소의 생산능력이 변화되었으며, 균주의 형태는 포자 사슬 형태(Spore chain morphology)이고, 자일로스(Xylose), 수크로즈(Sucrose), 글루코스(Glucose) 등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5%(w/v) 염화나트륨(NaCl), 100㎍/㎖ 탈리움 아세테이트(Thallium acetate), 20㎍/㎖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 페니실린(Penicillin) 등의 조건에서는 생육이 불가능하지만, 1㎍/㎖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의 조건에서는 생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정항목 결과
배지의 종류에 따른 포자 및 균사의 색
ISP 2 배지 회갈색 / 자주색
ISP 3 배지 회갈색 / 자주색
ISP 4 배지 회갈색 / 자주색
ISP 5 배지 회갈색 / 자주색
포자 사슬 형태(Spore chain morphology) 나선형
포자수 / 포자사슬 15~35개
색소( Pigment )
ISP 2 배지
ISP 3 배지
ISP 4 배지
ISP 5 배지
탄소사용 유무
자일로스(Xylose) +
수크로즈(Sucrose) +
프락토스(Fructose) -
글루코스(Glucose) +
만니톨(Mannitol) -
라피노스(Raffiose) -
하기 성분 첨가시 성장 유무
5%(W/V) 염화나트륨(Nacl) -
100 ㎍/㎖ 탈리움 아세테이트(Thallium acetate) -
1 ㎍/㎖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
20㎍/㎖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
10㎍/㎖ 페니실린(Penicillin) -
성장 가능 최저 pH 4.5
< 실시예 2.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의 16S ribosomal RNA(rRNA) gene 염기서열 분석>
실시예 1에서 확인된 균주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은 DNA를 분리하여 16S rRNA의 염기서열을 구명하여 계통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상기 균주의 16S rRNA를 증폭하기 위해 27F(5′-GTG CTG CAG AGA GTT TGA TCC TGG CTC AG-3′)와 1492R(5'-CAC GGA TCC TAC GGG TAC CTT GTT ACG ACT T-3')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도 2 참조)은 NCBI GeneBank의 DNA 데이터베이스와 상동성 검색을 수행하고, CLUSTAL X 프로그램 및 PHYLI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통학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16S rRNA의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학적 분석결과,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속을 포함하는 계통학적 그룹에 속하는 균주로서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Streptomyces nigrogriseolus NBRC13679, AB18446) 균주와 96%의 유연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참조).
상기의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길항미생물은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Streptomyces nigrogriseolus)로 동정되었고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로 명명하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자원센터센터에 2012년 6월 12일 기탁번호 KTCT 18232P호로 기탁하였다.
< 실시예 3.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 배양액의 항진균 활성 측정>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를 YMA(Yeast extract-Malt extract Agar) 배지에서 배양하고, 식물 병원균과 대치배양하여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와 식물 병원균과의 대치배양은 하기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를 살균한 후 50℃의 배지에 각 병원균의 균사와 포자가 함유된 배양액 200㎕를 혼합 평판하고 배지가 완전히 굳은 다음 길항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이의 희석액 10㎕을 페이퍼디스크(직경 8㎜)에 묻힌 후 병원균이 혼합된 페트리디쉬에 올려놓고 각종 병원균의 생육이 잘되는 28℃에서 7일간 배양했다.
이 후,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가 각종 병원균에 미치는 영향을 저지원의 직경으로 조사하고, 이를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의 길항능력을 기존에 미생물 방제제로 사용하던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항진균성이 있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미생물 수탁번호 KCTC18169P) 균주를 상기 길항미생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 및 평판 배양하여 비교 실험에 사용하였다.

조건
항진균 활성 (저지원 직경)
Fusarium oxysporum Sclerotinia sclerotiorum Sclerotium cepivorum Fusarium fujikuroi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원액 +++++ +++++ +++++ +++++
2배 희석 +++++ +++++ +++++ +++
5배 희석 +++++ +++++ +++++ +++
10배 희석 +++++ +++++ +++++ +++
20배 희석 +++++ +++++ ++++ +++
50배 희석 ++++ ++++ ++++ +++
100배 희석 ++++ ++++ ++++ +++
200배 희석 +++ +++ +++ ++
500배 희석 ++ ++ +++ ++
1000배 희석 + + + +
2000배 희석 + + + +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169P)
원액 ++++ ++++ ++++ ++++
2배 희석 +++ +++ +++ ++
5배 희석 +++ +++ +++ ++
10배 희석 ++ +++ +++ ++
20배 희석 ++ +++ ++ ++
50배 희석 ++ ++ ++ ++
100배 희석 + ++ ++ +
200배 희석 + ++ ++ +
500배 희석 - + + -
1000배 희석 - - - -
2000배 희석 - - - -
-: 효과없음, +: 1~9㎜, ++:10~19㎜,
+++:20~29㎜, ++++: 30~40㎜, +++++:40㎜이상
표 2를 참고하면, 상기 길항미생물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는 흑색썩음균핵병 균주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덩굴쪼갬병이나 시들음병의 균주(Fusarium oxysporum), 키다리병 균주(Fusarium fujikuroi), 균핵병 균주(Sclerotinia sclerotiorum) 등에 강력한 길항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의 배양액의 원액 뿐만 아니라 이를 낮은 농도로 희석한 희석액을 처리하더라도 길항력이 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 균주인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 균주의 길항능력을 확인한 바,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 균주보다 본 발명의 길항미생물 균주가 길항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후, 상기 길항미생물은 YMB(Yeast extract-Malt extract Broth)에서 약 3일간 배양된 배양액을 20% 글리세롤(glycerol) 상태로 만든 후, -70℃ 냉동고에 저장하였다.
< 실시예 4.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의 균체 및 배양여액의 항진균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를 28℃의 YMB(Yeast extract-Malt extract Broth)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이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와 배양여액을 별도로 수거하였다. 상기 수거된 균체와 배양여액에 각각 중량의 2배의 100% 에탄올을 가하고 이를 추출하였다. 이 후, 이를 감압농축 및 건조하여 각각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의 균체 조추출물과 배양여액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상기 균체 조추출물 또는 배양여액 조추출물을 각각의 식물병 균주의 배양시 첨가하였다. 각 식물병 균주의 배양은 PDA 배지에서 7일간 배양하였으며, 각각의 조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무처리군 대비 각 식물병 균주의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마찬가지로,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 균주의 균체 및 이의 배양여액도 조추출물로 제조하여 비교실험을 하였다.

첨가 조건
식물병 균주의 성장 억제 활성 (%)
Fusarium oxysporum Sclerotinia sclerotiorum Sclerotium cepivorum Fusarium fujikuroi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균체
조추출물
5㎍/㎖ 62.4 61.2 59.1 63.2
50㎍/㎖ 77.4 79.6 78.5 71.2
250㎍/㎖ 97.3 95.3 96.4 95.4

배양여액 조추출물
5㎍/㎖ 51.9 54.4 51.2 58.4
50㎍/㎖ 72.6 76.5 72.3 76.3
250㎍/㎖ 93.7 92.7 93.4 91.6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169P)

균체
조추출물
5㎍/㎖ 24.4 26.6 27.6 24.5
50㎍/㎖ 37.5 38.5 39.4 38.8
250㎍/㎖ 79.6 81.8 77.5 74.7

배양여액 조추출물
5㎍/㎖ 24.3 24.5 24.7 22.6
50㎍/㎖ 36.4 33.4 36.3 38.9
250㎍/㎖ 77.5 72.7 78.4 76.8
무처리군 0.0 0.0 0.0 0.0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고하면, 각각의 추출물을 고농도로 처리한 경우의 효과는 두 균주 유래의 추출물에서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낮은 농도로 처리한 경우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 유래의 추출물의 효과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5.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 균주의 흑색썩음균핵병 방제효과>
흑색썩음균핵병을 방제할 수 있는 미생물은 파종 전에 토양에 혼화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토양 내 정착을 위해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미강, 피마자박, 유박 등을 혼합조건의 담체를 사용하였다.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 균주의 흑색썩음균핵병 방제효과를 마늘에서 직접 확인하기 위해 990㎡의 시험포장에 흑색썩음균핵병 균주(Sclerotium cepivorum)를 밀곡립배지에서 25일간 배양한 병원균 접종원을 시험포장 1㎡ 당 4.5g씩 접종하였다. 24시간 후에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 균주를 YMA(Yeast extract-Malt extract Agar) 배지에서 3일간 진탕배양한 배양액(108cfu/㎖)을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균체만 수확하여 멸균수에 하기 표 4에 개시된 각각의 농도로 희석하여 담체에 처리하여 토양에 혼화처리한 후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정식기부터 수확 직전까지 10일 간격으로 발병주율을 조사하여 환산한 방제가([1-처리구 발병주율/무처리구 발병주율]×100)로서 그 효과를 표 4에 나타내었고 각 실험은 세 번 반복되었다. 마찬가지로,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 균주를 이용하여 비교실험을 하였다.

시 험 약 제

처리농도
발병주율(%) 방제효과
(%)
I반복 II반복 III반복 평균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1.0×108cfu/㎖ 4.0 3.0 5.0 4.0 88.5
1.0×104cfu/㎖ 9.0 12.0 9.0 10.0 71.2
5.0×102cfu/㎖ 12.0 8.0 12.0 10.7 69.2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169P)
1.0×108cfu/㎖ 8.0 18.0 14.0 13.3 61.5
1.0×104cfu/㎖ 26.0 24.0 27.0 25.7 26
5.0×102cfu/㎖ 33.0 30.0 29.0 30.7 11.5
무 처 리 - 36.0 36.0 32.0 34.7 -
표 4의 결과를 확인하면 길항미생물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는 1.0×108cfu/㎖의 농도로 처리시, 마늘 파종 전 토양혼화 처리하였을 때, 발병주율이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며 88.5%의 방제효과를 나타냈고, 이를 낮은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하더라도 강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 균주는 1.0×108cfu/㎖의 농도로 처리시, 61.5%의 방제효과를 나타내기는 하였지만, 이를 낮은 농도로 희석한 경우에는 방제효과가 높지 않아 스트렙토마이세스 라벤둘래 CMC0992 균주의 길항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생육기간 중 발병초기에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 배양액을 1회 토양관주하면 방제효과는 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실시예 1의 표 1의 결과를 통해 확인된 대로,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 균주는 각각의 식물병 균주의 성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토양 미생물 제제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232P 20120621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5)

  1. 푸사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 및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병원균 방제용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균주.
  2.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CMC0647(Streptomyces nigrogriseolus CMC0647, 미생물 수탁번호 KCTC18232P) 균주의 균체 또는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사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 및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3. 삭제
  4. 제1항의 균주 또는 제2항의 미생물 제제를 식물에 처리하여 푸사리움 푸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 및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병원균을 방제하는 방법.
  5. 삭제
KR1020120072219A 2012-07-03 2012-07-03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101211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19A KR101211681B1 (ko) 2012-07-03 2012-07-03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19A KR101211681B1 (ko) 2012-07-03 2012-07-03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681B1 true KR101211681B1 (ko) 2012-12-12

Family

ID=47907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219A KR101211681B1 (ko) 2012-07-03 2012-07-03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3378A1 (en) * 2013-02-27 2014-09-04 Malaysian Palm Oil Boar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ganoderma disease in plants and method thereof by using soil actinomycetes
CN115161243A (zh) * 2022-07-28 2022-10-11 浙江省农业科学院 一株产生提高黄精产量的黑色浅灰链霉菌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203B1 (ko) 2005-05-02 2006-07-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병원균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신규 스트렙토마이세스천안엔시스 브이씨-에이4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방제용 살균제
KR100961524B1 (ko) 2007-12-14 2010-06-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의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속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101005484B1 (ko) 2008-05-30 2011-01-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포로클리바투스 cjs-49 kctc 11109bp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농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203B1 (ko) 2005-05-02 2006-07-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병원균에 항균활성을 가지는 신규 스트렙토마이세스천안엔시스 브이씨-에이4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방제용 살균제
KR100961524B1 (ko) 2007-12-14 2010-06-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의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속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KR101005484B1 (ko) 2008-05-30 2011-01-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포로클리바투스 cjs-49 kctc 11109bp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농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3378A1 (en) * 2013-02-27 2014-09-04 Malaysian Palm Oil Boar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ganoderma disease in plants and method thereof by using soil actinomycetes
CN115161243A (zh) * 2022-07-28 2022-10-11 浙江省农业科学院 一株产生提高黄精产量的黑色浅灰链霉菌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 et al. Evaluation of the biocontrol potential of endophytic fungus Fusarium solani CEF559 against Verticillium dahliae in cotton plant
KR101905045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ygb7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0800566B1 (ko) 크랩시엘라 옥시토카 c103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생장 촉진과 식물병 방제 및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피해감소 방법
Arfaoui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in vitro characterization of grapevine rhizobacteria to control ochratoxigenic Aspergillus spp. on grapes
KR20130032100A (ko) 작물의 생육촉진 및 내한성 증강효과를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발리스모티스 bs07m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제제
EP3467097A1 (en) Use of compositions containing streptomyces melanosporofaciens agl225 in controlling plant diseases
KR20140071145A (ko) 신균주인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 ab-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942228B1 (ko) 플라보박테리움 헤르시니움 이피비-씨313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20170054158A (ko) 인삼뿌리썩음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버크홀데리아 피로시니아 cj4 및 이의 이용
Müller-Stöver et al. The potential of Ulocladium botrytis for biological control of Orobanche spp.
KR101211681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AU2018267591B2 (en) An Herbicid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arthenium Weed and Strain Thereof
KR101765304B1 (ko) 바실러스속 씨에비12243-2 균주를 이용한 배추 무름병 방제제
KR101660229B1 (ko) 트라이코데르마 하지아눔 mpa167 및 이의 용도
JP2003531603A (ja) 新規のトリコデルマ属微生物菌株を利用した生物学的防除用微生物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05058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ak―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2612464B1 (ko)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00116023A (ko) 슈도모나스 제니큘라타 mh10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0961786B1 (ko) 버크홀데리아 파이로시니아 씨에이비08106-4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101953835B1 (ko) 식물의 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아스페르질루스 테레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RU2673155C1 (ru) Штамм Bacillus amyloliquefaciens, обладающий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й и фунгистат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и микробиологический препарат на его основе против болезни растения, вызываемой фитопатогенным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м
KR101044273B1 (ko) 비카베린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및 이를 이용하여식물병을 방제하는 방법
AU2019347770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bioprotection of potatoes from Streptomyces scabies
KR20180116172A (ko) 인삼뿌리썩음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버크홀데리아 암비파리아 cj4 및 이의 이용
Sayed et al. Endophytic fungi associated with Allium Plants and their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Fusarium oxysporum f. sp. Cep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