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1386A - 아크레모니움 엠제이엠1 (케이씨티씨 0385비피) 균주를활용한 친환경 생물 농약 - Google Patents

아크레모니움 엠제이엠1 (케이씨티씨 0385비피) 균주를활용한 친환경 생물 농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1386A
KR20070051386A KR1020050108846A KR20050108846A KR20070051386A KR 20070051386 A KR20070051386 A KR 20070051386A KR 1020050108846 A KR1020050108846 A KR 1020050108846A KR 20050108846 A KR20050108846 A KR 20050108846A KR 20070051386 A KR20070051386 A KR 20070051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jm1
acremonium
mycelium
strain
kc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원
권형진
성금화
양영열
Original Assignee
서주원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주원,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주원
Priority to KR102005010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1386A/ko
Publication of KR2007005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745Cephalosporium ; Acremonium
    • C12R2001/75Cephalosporium acremonium ; Acremonium strict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공해 생물비료 생산으로서 주요한 효과가 있는 Acremonium sp. MJM1 (KCTC 0385BP) 균주를 생물 농약으로 활용하는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Acremonium sp. MJM1 균사체를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에 처리하였을 시에 세균 및 곰팡이 병원균에 대한 뛰어난 방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cremonium sp. MJM 101, 생물농약,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 Pseudomonas syringae DC3000 , 세균 감염, 진균 감염, 식물 병원균 방제

Description

아크레모니움 엠제이엠1 (케이씨티씨 0385비피) 균주를 활용한 친환경 생물 농약 {Environment friendly biopesticide using Acremonium sp. MJM1 (KCTC 0385BP) strain}
도 1 : 본 발명 Acremonium sp. MJM1 균사체의 P. syringae 병원성에 대한 방제 효과: 좌로부터 비처리 대조군, 10-1 희석 처리군, 10-2 희석 처리군, 10-3 희석 처리군. 도 1에서는 Acremonium sp. MJM1 균사체를 처리하여 MS 액체 배지 (Murashige and Skoog's medium)에서, Pseudomonas syringae DC3000에 의한 발병을 방제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 본 발명 Acremonium sp. MJM1 균사체의 진균 병원성에 대한 방제 효과: 죄로부터 균사체 처리군, 사멸된 균사체 처리군, 비처리 대조군 (상 하 반복 실험). 도 2에서는 Acremonium sp. MJM1 균사체를 처리하여 상토에서 진균 발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Acremonium sp. MJM1 (KCTC 0385BP) 균사체를 식물 병원균의 방제에 활 용하는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Acremonium sp. MJM1 (KCTC 0385BP) 균사체의 처리가 MS 액체 배지 (Murashige and Skoog's medium)에서 애기장대에 대한 Pseudomonas syringae DC3000 병원성을 완화시키고, 무균 토양에서 자연적인 대기 곰팡이 감염에 대하여 애기장대를 보호하는 효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용작물의 증산에 직접 관련되는 기술이다. 종래 식용작물의 수확 증대를 위한 과도한 화학 합성 농약의 사용은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내성 병원균의 출현을 유도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여 왔다. 또한 화학 합성 농약들은 예외없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므로 식용작물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어왔다.
본 발명은 종래 전통적으로 작물 재배에 적용하여 온 화학 합성 농약의 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Acremonium sp. MJM1 (KCTC 0385BP) 균사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cremonium sp. MJM1 균사체를 무공해 생물 농약으로서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cremonium sp. MJM1 균사체를 식물체에 처리하여 식물에 대한 병원균의 발병을 억제하여 현재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이는 농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Acremonium sp. MJM1 균주를 액체 배양하여 얻은 균사체를 처리하여 애기장대에 대한 세균성, 진균성 병해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Acremonium sp. MJM1 균주를 액체 배양하여 균사체를 얻는 단계; Acremonium sp. MJM1 균사체를 MS 액체 배지에서 애기장대에 처리하는 단계; 균사체가 처리된 MS 배지의 애기장대에 P. syringae 를 처리하여 병원성을 유도하고 균사체 비처리군과 처리군에서의 애기장대의 생장을 비교 조사하는 단계; Acremonium sp. MJM1 균사체의 현탁액을 무균 처리된 토양과 혼합하여 준비하고 애기장대를 심는 단계; 애기장대가 심어진 토양을 대기 중에 노출하여 자연적인 곰팡이 감염을 유발하고, 유발된 곰팡이 병원성에 대한 Acremonium sp. MJM1 균사체의 효과를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와 사용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와 사용실시예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Acremonium sp. MJM1 균주의 균사체 준비]
본 발명에 사용된 Acremonium sp. MJM1를 100ml의 감자설탕 액체배지 (PDB; potato dextrose broth) 에서 10 일간, 20oC, 200rpm의 교반 속도로 진탕배양한 후 거즈를 통과시켜 균사체를 회수하였다. 얻어진 균사체를 멸균수로 세척한 후 100ml 멸균수에 재현탁하였다.
[사용실시예 1 : MS 배지에서 애기장대의 생육과 Acremonium sp. MJM1 균사체의 처리에 의한 P. syringae 병해 억제
본 발명에서 애기장대의 생육은 16시간/8시간 간격으로 명암이 조절되고 24oC, 40% 습도로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진행하였다. 발아 후 15일 된 애기장대를 1ml MS 배지에 옮긴 후 3 일간 생육한 후 10-1, 10-2, 10- 3 로 희석된 균사체 현탁액을 0.1ml 씩 처리하고 다시 3 일간 생육하였다. 이 후 P. syringae 배양체를 0.1ml 씩 처리하였다. P. syringae pv. tomato DC3000 은 리팜피신 (rifampicin)을 50mg/ml 함유하는 영양배지 (nutrient broth)에서 교반 배양 (37oC, 250rpm)하며, 현탁도가 600nm에서 0.4가 된 후 회수하여 사용하였다. 회수된 P. syringae 는 멸균수로 세번 반복 세척하고 동량의 멸균수에 재현탁한 후 0.1ml씩 처리하였다. 이 후 3 일간 애기장대를 생육하고 결과를 조사하였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높은 농도 (10-1 희석액)의 균사체 처리는 애기장대 성장에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적정 농도 (10-2 희석액)의 처리는 P. syringae에 의한 성장 저해를 방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낮은 농도 (10-3 희석액)의 처리군에서는 비처리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는 차이점을 관찰할 수 없었다.
[사용실시예 2]
제 1 단계 : 토양에의 균사체 처리
본 발명에서는 원예용 상토를 121oC 에서 1 시간 멸균한 후 사용하였다. 100g 의 상토를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준비된 Acremonium sp. MJM1 균사체 현탁액 100ml와 혼합한 후 방치하여 물기를 제거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멸균 증류수 또는 멸균처리된 (121oC, 25 분) Acremonium sp. MJM1 균사체 현탁액을 상토와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토 4g을 밀폐된 플라스틱 용기에 채운 다음 발아 후 7 일된 애기장대를 심었다.
제 2 단계 : Acremonium sp. MJM1 균사체에 진균 병원성 방제 효과
제 1 단계에서 준비된 시료가 담긴 플라스틱 용기를 온실로 옮긴 후 덥개를 1 시간 동안 열어 대기의 진균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이후 플라스틱 용기를 다시 밀폐한 후 배양기로 옮겨 한 달간 유지한 후 각 시료에서 애기장대 생육 정도를 조사하 였다. 도 2에 나타나듯이 멸균 처리된 상토에서 노출에 의한 진균 처리로서 애기장대의 생육은 완전히 저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육안으로도 상토 표면에서 진균들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멸균처리된 Acremonium sp. MJM1 균사체 처리군은 애기장대가 원할하게 생육되어 Acremonium sp. MJM1 균사체가 상토에서 병원성 진균의 번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반면 멸균 처리된 Acremonium sp. MJM1 균사체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방제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처리된 Acremonium sp. MJM1 균사체가 토양에 정착하였음을 시사하여 주는 결과이다.
이상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본 발명 Acremonium sp. MJM1 균사체는 식물에 대한 세균성, 진균성 병원균 방제에 유효한 무공해 생물 농약으로 활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진균 균주 Acremonium sp. MJM1의 균사체
  2. 진균 균주 Acremonium sp. MJM1의 균사체를 함유하는 생물 농약
  3. Acremonium sp. MJM1 균주의 병해 방제 효과를 활용한 식물재배방법
KR1020050108846A 2005-11-15 2005-11-15 아크레모니움 엠제이엠1 (케이씨티씨 0385비피) 균주를활용한 친환경 생물 농약 KR20070051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846A KR20070051386A (ko) 2005-11-15 2005-11-15 아크레모니움 엠제이엠1 (케이씨티씨 0385비피) 균주를활용한 친환경 생물 농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846A KR20070051386A (ko) 2005-11-15 2005-11-15 아크레모니움 엠제이엠1 (케이씨티씨 0385비피) 균주를활용한 친환경 생물 농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386A true KR20070051386A (ko) 2007-05-18

Family

ID=3827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846A KR20070051386A (ko) 2005-11-15 2005-11-15 아크레모니움 엠제이엠1 (케이씨티씨 0385비피) 균주를활용한 친환경 생물 농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513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058A (ko) * 2021-05-25 2022-12-02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058A (ko) * 2021-05-25 2022-12-02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아크레모니움 투바키 nnibrfg2982 균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7521C1 (ru) Штамм актиномицета streptomyces lydicus для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от грибковой инфекци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от грибковой инфекции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растения к грибковой инфекции (варианты)
CN109097295B (zh) 贝莱斯芽孢杆菌菌株hn03及其应用
García et al. Effect of inocul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on tomato and pepper
CN104818216B (zh) 一株用于防治番茄与葡萄根结线虫病害的淡紫拟青霉
KR101905045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ygb70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미생물 제제
CN103789234A (zh) 一种解淀粉芽孢杆菌及其应用
Caron et al. Effect of inoculation sequence on the interaction between Glomus intraradices and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lycopersici in tomatoes
BG67257B1 (bg) Бактериален щам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bs89 като средство за повишаване на продуктивността на растенията и тяхната защита срещу болести
WO2018194199A1 (ko) 총채벌레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Lundquist et al. The propagation of Casuarina species from rooted stem cuttings
CN106701635B (zh) 一株具杀根结线虫能力的香蕉内生链霉菌及其研制的生物育苗基质
US20200385670A1 (en) PGP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Cultivation of Tomato and Potato Species
JP5854517B2 (ja) 新菌株、該新菌株を用いた根頭がんしゅ病防除剤及び/又は植物種子発芽率向上剤
CN116918832A (zh) 一种复合生防菌剂、制备方法、应用与应用方法
JP3132195B2 (ja) 新規微生物および植物病害防除剤
KR20070051386A (ko) 아크레모니움 엠제이엠1 (케이씨티씨 0385비피) 균주를활용한 친환경 생물 농약
WO2018062822A1 (ko) 뿌리혹선충에 대해 살선충활성을 가지는 자일라리아 그람미카 el 000614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0724640B (zh) 番茄根结线虫生防菌、其制剂及其应用
CN102647910A (zh) 植物培育剂,植物病害抗性诱导剂,及植物病害控制方法
JP2614913B2 (ja) シュードモナス属細菌p―4菌株、土壌病害防除剤及び土壌病害防除方法
NL2028897B1 (en) Striga suppression
CN112493252B (zh) 瓜类鞘氨醇单胞菌及其发酵产物在防治水稻细菌性病害中的应用
JP2824510B2 (ja) 揮発性静菌物質を利用した施設栽培キュウリの病害防除と生育促進に効果的な栽培方法
JP3527837B2 (ja) 植物病害を防除するための微生物および資材
CN109182209B (zh) 一种用于防治植物根结线虫的肠杆菌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