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490A -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490A
KR20180057490A KR1020170083459A KR20170083459A KR20180057490A KR 20180057490 A KR20180057490 A KR 20180057490A KR 1020170083459 A KR1020170083459 A KR 1020170083459A KR 20170083459 A KR20170083459 A KR 20170083459A KR 20180057490 A KR20180057490 A KR 20180057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extension pipe
arrangement
stopper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633B1 (ko
Inventor
김태광
이동현
임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72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982623B/zh
Priority to PCT/KR2017/012542 priority patent/WO2018093087A1/ko
Priority to US16/462,702 priority patent/US11452422B2/en
Priority to EP17872802.8A priority patent/EP3517013B1/en
Publication of KR2018005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8Dual-powered vacuum cleaners, i.e. devices which can be operated with mains power supply or by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49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being turned through an angle when passing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1 연장관과,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청소기본체와 연결되며, 제 1 연장관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연장관을 포함하고, 제 1, 2 연장관은 제 2 연장관이 제 1 연장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배치와, 제 2 연장관이 제 1 배치로부터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2 연장관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배치를 동작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청소효율을 향상시킨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가전제품이다.
자세하게는 진공청소기는 기본적으로 흡입압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흡입부와, 모터와 흡입부를 연결하는 공기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유로는 해당 진공청소기의 타입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일례로 스틱타입 청소기나, 캐니스터타입 청소기의 경우에는 흡입부와 손잡이 사이에 길게 연장관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몸을 굽히지 않고도 피청소면에 흡입부를 접촉시킴으로서,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청소기로 침대나 쇼파와 같은 가구의 아래 공간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허리를 구부리거나 또는 자세를 낮춘 상태에서 청소기의 흡입부를 가구 아래 공간에 넣어 청소동작을 수행해야한다. 이로 인해 청소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또한 진공청소기는 외관상 본체에 비해 흡입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관이 길게 형성되어, 보관상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연장관의 구조를 개선한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보관이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1 연장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청소기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장관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연장관은,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배치;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2 연장관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배치;를 동작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 1, 2 연장관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3 배치;를 더 동작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링크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상기 제 1, 2 연장관의 회전동작을 제한 또는 제한 해제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장치는, 가압가능하게 구성되는 락킹버튼; 상기 락킹버튼에 의해 가압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제 2 연장관의 회전이 구속되거나, 상기 스토퍼가 이탈하여 상기 제 2 연장관의 회전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는 스토퍼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버튼의 가압방향은, 상기 제 1, 2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상기 제 1, 2 연장관 중 어느 하나의 연장관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가 안착되되 상기 스토퍼의 이동을 상기 가압방향으로 한정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안착부; 상기 다른 하나의 연장관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수용부가 고정배치되는 수용부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가압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복귀시키는 스토퍼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버튼과, 상기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수용부는, 각각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수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2 연장관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제 1, 2 연장관의 내부유로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스토퍼수용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는, 상기 제 1, 2 연장관 중 어느 하나의 연장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연장관의 내부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2 연장관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2 연장관의 배치에 따라 길이가변되는 플렉시블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호스는,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제 1, 2 연장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1 연장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 2 연장관;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링크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상기 제 1, 2 연장관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제 1 회전방향 또는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2 연장관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2 연장관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배치;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3 배치;를 동작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연장관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연장관이 제 1 각도로 이격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상기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연장관이 제 2 각도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2 각도는 아래를 만족할 수 있다.
0 ≤ 제 1 각도 < 180
120 ≤ 제 2 각도 < 180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장치는 제 1 연장관과, 상기 제 1 연장관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연장관을 갖는 청소기; 상기 청소기가 보관되는 장착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는 상기 제 1, 2 연장관이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 1 배치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제 1 회전방향으로 접혀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배치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 2 회전방향으로 접히는 제 3 배치를 동작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장착스테이션은 상기 청소기가 상기 제 2 배치일 때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장관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청소기를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장관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청소기의 보관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흡입력 또는 흡입공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기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구성을 분리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무선청소모드로 동작하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유선청소모드로 동작하는 도면.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연장관과 링크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링크어셈블리와 연장관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링크어셈블리의 일구성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12, 13,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링크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와이어캡에 관한 도면.
도 16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관한 도면.
도 16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구성을 분리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관한 사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구성을 분리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무선청소모드로 동작하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유선청소모드로 동작하는 도면이다.
청소장치(1)는 청소기(10)와 장착스테이션(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스테이션(140)은 청소기(10)가 보관 또는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스테이션(140)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청소기(10)는 무선청소모드(10a)와 유선청소모드(10b, 도 5b참고)를 동작할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모듈(20)과, 무선청소모드(10a)의 동작을 위한 무선청소모듈(90)과, 유선청소모드(10b)를 위한 유선청소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10)는 청소기모듈(20)과 무선청소모듈(90)을 결합하여 무선청소기로 사용될 수도 있고, 청소기모듈(20)과 유선청소모듈(100)을 결합하여 유선청소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자세하게는 청소기모듈(20)과 유선청소모듈(100)의 커넥터(120)를 결합하여 유선청소기(10)로 사용될 수 있다.
청소기모듈(20)은 모듈장착부(22, 도 5a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청소모듈(90)은 청소기모듈(20)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유로(24)와 연결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제 1 흡입모터(95)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청소모듈(100)은 캐니스터(102)와, 캐니스터(102)로부터 청소기모듈(20)로 연결되는 연결호스(110)와, 연결호스(110)에 마련되어 청소기모듈(2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넥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니스터(102)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제 2 흡입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캐니스터(102)는 디스플레이(10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6)는 현재 청소상황에 관한 정보등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청소기모듈(20)의 모듈장착부(22)에 무선청소모듈(90) 또는 유선청소모듈(100)의 커넥터(120)가 장착되어, 무선청소모드(10a) 또는 유선청소모드를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무선청소기(10)에 관하여 설명하며, 무선청소기(10)를 청소기(10)라 칭한다.
청소기(10)는 청소기본체(30), 흡입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본체(3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본체(30)는 핸들부(32)와 조작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부(32)를 파지하고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34)에 마련된 전원버튼(36)등을 조작하여 청소기(10)를 온/오프시키거나 흡입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흡입부(40)는 피청소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흡입부(40)는 헤드유닛이라 칭할 수 있다. 흡입부(40)는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흡입모터(95)로부터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피청소면의 먼지나 오물을 청소기(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청소기본체(30)는 집진장치(38)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장치(38)는 흡입모터(95)보다 공기유동의 상류에 배치되어 흡입부(4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오물을 걸러내어 모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집진장치(38)는 청소기본체(30)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집진장치(38)는 흡입부(4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청소기(10)는 연장관(5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50)의 일단은 청소기본체(30)와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장관(50)은 청소기본체(30)의 흡입관(31)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관(50)의 타단은 흡입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연장관(50)은 흡입부(40)와 피봇연결되어, 관절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50)은 흡입부(40)로부터 흡입되는 먼지 또는 오물을 청소기본체(30)에 구비된 집진장치(38)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사용자가 바닥을 청소할 때, 연장관(50)은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흡입부(40)가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장착스테이션(140)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42)과, 캐비닛(142)의 내측에 배치되는 캐니스터캐비닛(160)과, 청소기장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42)은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어 청소기(10)를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캐비닛(142)의 개방된 일면은 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 청소기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장착스테이션(140)은 캐비닛(142)의 하부에 위치하여, 캐비닛(142)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플레이트(14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42)은 도 2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44)의 상부에서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니스터캐비닛(160)은 일측이 개방되되, 유선청소모듈(200)의 캐니스터(202)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장착부(170)는 캐니스터캐비닛(160)의 상부에 위치하며, 캐니스터캐비닛(160)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캐비닛(160)과 청소기장착부(170)는 캐비닛(142)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캐니스터캐비닛(160)과 청소기장착부(170)는 커넥터(120)가 거치되거나 연결호스(110)가 지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163, 17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은 캐니스터캐비닛(160)의 개방된 일측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니스터캐비닛(160)은 캐니스터(102)가 장착되는 삽입공간(161)을 형성하는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진입경사면(164)를 포함할 수 있다. 진입경사면(164)는 삽입공간(161)으로 캐니스터(102)가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42)과, 캐니스터캐비닛(160)과 청소기장착부(170)와 청소기(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장착스테이션(140)과 청소기(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원을 연결하여 청소기(10)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캐니스터캐비닛(160)은 그 내부에 형성되는 높이가 캐니스터(20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캐니스터캐비닛(160)은 호스보관공간(16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니스터캐비닛(160)은 호스보관공간(162)을 통해 캐니스터(102)와 연결되는 연결호스(110)를 장착스테이션(14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캐니스터(102)는 그 일측에 마련되는 캐니스터핸들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캐니스터핸들부(107)는 캐니스터몸체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캐니스터핸들부(107)를 파지하여 캐니스터(1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캐니스터(102)를 캐니스터캐비닛(160)에 보관시에 캐니스터핸들부(107)가 호스보관공간(162)을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니스터(102)를 캐니스터캐비닛(160)에 안착시에, 호스보관공간(162)에 위치한 연결호스(1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연장관과 링크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연장관(50)은 흡입부(40)와 청소기본체(3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관(50)은 일정각도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연장관(50)은 일자로 길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관절구조를 가짐으로서 일정부분이 구부러지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관(50)은 제 1, 2 연장관(51, 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장관(51)은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흡입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연장관(52)은 청소기본체(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연장관(52)은 제 1 연장관(51)과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2 연장관(51, 52) 중 어느 하나의 연장관이 다른 하나의 연장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연장관(52)은 제 1 연장관(51)에 대해 제 1 회전방향(r1)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연장관(51)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2 연장관(52)이 기준이 되어 제 1 연장관(51)이 제 2 연장관(52)에 대해 회전할 수도 있다.
제 2 연장관(52)은 제 1 연장관(51)과 제 1 각도만큼 이격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제 1 각도는 다음을 만족할 수 있다.
0도 ≤ 제 1 각도 < 180도
제 2 연장관(52)은 제 1 연장관(51)에 대해 제 1 회전방향(r1)과 반대되는 제 2 회전방향(r2)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연장관(52)은 제 1 연장관(51)에 대해 제 1, 2 회전방향(r1, r2)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연장관(52)은 제 1 연장관(51)과 제 2 각도만큼 이격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제 2 각도는 다음을 만족할 수 있다.
120도 ≤ 제 2 각도 < 180도
즉, 제 2 연장관(52)는 제 1 연장관(51)에 대해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청소기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 2 연장관(51, 52)은 제 1, 2 배치(50a, 50b)로 동작할 수 있다.
제 1 배치(50a)에서는 제 1, 2 연장관(51, 52)이 일자로 길게 배치된다. 즉, 제 2 연장관(52)이 제 1 연장관(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1, 2 연장관(51, 52)의 사이 각도는 18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배치(50b)에서는 제 2 연장관(52)이 제 1 배치(50a)로부터 제 1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여 제 1, 2 연장관(51, 52)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2 연장관(51, 52)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접힐 수 있다. 즉, 제 1, 2 연장관(51, 52) 사이의 각도는 0도가 될 수 있다.
제 1, 2 연장관(51, 52)은 제 3 배치(50c)를 동작할 수 있다.
제 3 배치(50c)에서는 제 2 연장관(52)이 제 1 배치(50a)로부터 제 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여, 상호간에 일정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정각도는 120도 일 수 있다.
연장관(50)은 플렉시블호스(5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호스(53)는 제 1, 2 연장관(51, 52)의 내부유로(51a, 52a)를 연결하도록, 제 1, 2 연장관(51, 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시블호스(53)는 수축과 이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연장관(52)이 제 1,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플렉시블호스(53)도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제 2 연장관(52)이 제 1, 2 회전방향(r1, r2)으로 회전하더라도, 제 1, 2 연장관(51, 52)의 내부유로(51a, 52a)가 단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링크어셈블리와 연장관을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링크어셈블리의 일구성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연장관(50)은 링크어셈블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어셈블리(60)는 제 1, 2 연장관(51, 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어셈블리(60)는 제 1, 2 연장관(51, 5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링크어셈블리(60)는 연장관(50)들이 제 1,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링크어셈블리(60)는 락킹장치(62)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장치(62)는 제 1, 2 연장관(51, 52)의 회전동작을 제한 또는 제한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락킹장치(62)는 연장관(50)이 상호간에 일정각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장관(50)이 제 1, 2, 3 배치 중 어느 하나의 배치에 고정되도록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락킹장치(62)는 락킹버튼(63)과 스토퍼(65)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버튼(63)은 가압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락킹버튼(63)은 제 1, 2 연장관(51, 52)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락킹버튼(63)은 제 1, 2 연장관(51, 52)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락킹버튼(63)은 제 1, 2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락킹버튼(63)은 제 1, 2 연장관(51, 52)의 폭방향 중심을 향해 가압될 수 있다. 락킹장치(62)는 락킹버튼(63)의 배면에 락킹탄성부재(6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락킹버튼(63)의 가압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락킹버튼(63)을 탄성복귀시킬 수 있다.
스토퍼(65)는 락킹버튼(6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스토퍼(65)는 락킹버튼(63)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락킹버튼(63)에 의해 가압되는 스토퍼(65)는 제 1, 2 연장관(51, 52)의 폭방향 중심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스토퍼(65)는 제 1, 2 연장관(51, 52)의 폭방향 중심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락킹장치(62)는 스토퍼수용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수용부(68)는 스토퍼(65)가 수용되어 연장관(50)들의 회전동작을 구속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퍼(65)가 스토퍼수용부(68)로부터 이탈되면 연장관(50)들은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락킹장치(62)는 한 쌍의 스토퍼수용부(68)를 연결하는 회전샤프트(7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샤프트(70)는 제 1, 2 연장관(51, 5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70)는 제 1, 2 연장관(51, 52)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샤프트(70)는 제 1, 2 회전방향(r1, r2)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70)는 제 1, 2 연장관(51, 52)의 내부유로(51a, 52a)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회전샤프트(70)는 플렉시블호스(53)에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50)들의 링크구조가 연장관(50)들에 형성되는 내부유로(51a, 52a)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연장관(50)들이 제 1 배치(50a)로부터 제 1, 2 회전방향(r1, r2)으로 회전하여도, 내부유로(51a, 52a)의 너비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연장관(50)들이 제 1 배치(50a)로부터 제 1, 2 회전방향(r1, r2)으로 회전하여도, 흡입모터(95)의 흡입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65)는 스토퍼수용부(68)에 삽입되는 삽입돌기(6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수용부(68)는 삽입돌기(66)가 삽입되는 수용홀(69)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토퍼(65)의 삽입돌기(66)가 스토퍼수용부(68)의 수용홀(69)에 삽입되어 연장관(50)들의 회전동작을 구속시킨다. 또한 삽입돌기(66)가 수용홀(69)로부터 이탈되어 연장관(50)들이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삽입돌기(66)는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삽입돌기(66)는 회전샤프트(70)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삽입돌기(66) 사이에 회전샤프트(70)의 회전축이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락킹버튼(63)은 수용홀(69)에 대응되는 락킹돌기(64)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돌기(64)는 락킹버튼(63)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락킹돌기(64)는 수용홀(69)로 삽입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링크어셈블리(60)는 스토퍼안착부(75)와 수용부안착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안착부(75)는 제 1, 2 연장관(51, 52) 중 어느 하나의 연장관(5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수용부안착부(80)는 다른 하나의 연장관(50)으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안착부(75)는 제 2 연장관(52)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수용부안착부(80)는 제 1 연장관(51)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토퍼안착부(75)는 제 1 연장관(5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수용부안착부(80)는 제 2 연장관(52)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스토퍼안착부(75)는 스토퍼(65)가 안착되되, 스토퍼(65)의 이동을 락킹버튼(63)의 가압방향으로 한정하도록 마련된다. 즉, 스토퍼안착부(75)는 스토퍼(65)의 이동이 제 1, 2 연장관(51, 52)의 폭방향으로 제한하도록 마련된다. 즉, 스토퍼안착부(75)는 스토퍼(65)가 회전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퍼안착부(75)에는 연장관(50)들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이드(77)가 마련되며, 스토퍼(65)에는 스토퍼가이드(77)가 수용되는 가이드홈(67)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67)에는 스토퍼가이드(77)가 삽입되어, 스토퍼(65)는 스토퍼가이드(77)가 형성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링크어셈블리(60)는 스토퍼(65)를 가압버튼의 가압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복귀시키는 스토퍼탄성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안착부(80)는 스토퍼수용부(68)가 고정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수용부안착부(80)와 스토퍼수용부(68)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수용부(68)가 수용부안착부(80)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제 1, 2 연장관(51, 5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스토퍼안착부(75)가 연장형성되고, 다른 하나로부터 수용부안착부(80)가 연장형성되므로, 스토퍼안착부(75)에 배치되는 스토퍼(65)는 상기 어느 하나의 연장관(5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수용부안착부(80)에 고정되는 스토퍼수용부(68)는 상기 다른 하나의 연장관(5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연장관(51)에 스토퍼안착부(75)가 형성되고, 제 2 연장관(52)에 수용부안착부(80)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연장관(52)에 스토퍼안착부(75)가 형성되고, 제 1 연장관(51)에 수용부안착부(80)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하는 링크어셈블리(6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 13,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링크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와 같이 제 1, 2 연장관(51, 52)이 스토퍼(65)의 삽입돌기(66)는 스토퍼수용부(68)의 수용홀(69)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 1, 2 연장관(51, 52)은 상호간에 대한 회전이 구속되게 된다.
도 13과 같이 락킹버튼(63)을 가압하게 되면, 가압버튼의 가압돌기는 수용홀(69)로 삽입되어 스토퍼(65)의 삽입돌기(66)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서 스토퍼(65)는 락킹장치(62)의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토퍼수용부(68)로부터의 이탈되어 스토퍼수용부(68)로부터 구속이 해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 1, 2 연장관(51, 52)은 구속이 해제되어,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스토퍼(65)의 삽입돌기(66)가 수용홀(69)로부터 이탈한 뒤에 제 1, 2 연장관(51, 52)이 회전하게 되면, 도 14와 같이 삽입돌기(66)는 스토퍼수용부(68)의 내면에 지지되게 된다. 즉, 제 1, 2 연장관(51, 52)이 회전하게 되면 삽입돌기(66)는 스토퍼수용부(68)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삽입돌기(66)는 스토퍼수용부(68)로부터 구속이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고, 제 1, 2 연장관(51, 52)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와이어캡에 관한 도면이다.
연장관(50)은 와이어캡(55)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40)는 전원이 공급되는 파워브러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부(40)가 전원이 요구되는 구성일 경우를 위해, 연장관(50)의 일면에는 청소기본체(30)로부터 흡입부(40)로 연장되는 전선(55a)이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캡(55)은 전선(55a)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선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캡(55)은 연장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캡(55)은 제 1, 2 연장관(51, 52)이 제 2 배치(50b)에 있을 때 마주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장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도 16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관한 도면, 도 16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의 구성을 분리한 도면이다.
캐니스터(202)는 그 일측에 마련되는 밀폐리브(207a)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리브(207a)는 캐니스터몸체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캐니스터(202)를 캐니스터캐비닛(160)에 보관시에 밀폐리브(207a)가 호스보관공간(162)을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니스(202)를 캐니스터캐비닛(160)에 안착시에, 호스보관공간(162)에 위치한 연결호스(1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캐니스터(202)는 캐니스터핸들부(207b)를 포함할수 있다. 사용자는 캐니스터핸들부(207b)를 파지하여 캐니스터(207b)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장착스테이션(240)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42)과, 캐비닛(242)의 내측에 배치되는 청소기장착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착스테이션(240)은 청소기(10)에 장착되는 다양한 형상의 흡입부(40)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243)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장착부(270)는 캐비닛(242)의 내부에서, 캐비닛(242)과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관함(243)의 상부에 청소기장착부(270)가 위치하나, 배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청소장치 10 : 청소기
20 : 청소기모듈 22 : 모듈장착부
30 : 청소기본체 40 : 흡입부
50 : 연장관 50a : 제 1 배치
50b : 제 2 배치 50c: 제 3 배치
51 : 제 1 연장관
52 : 제 2 연장관 53 : 플렉시블호스
60 : 링크어셈블리 62 : 락킹장치
63 : 락킹버튼 64 : 락킹돌기
65 : 스토퍼 66 : 삽입돌기
68 : 스토퍼수용부 70 : 회전샤프트
75 : 스토퍼안착부 80 : 수용부안착부
90 : 무선청소모듈 100 : 유선청소모듈
r1 : 제 1 회전방향 r2 : 제 2 회전방향

Claims (18)

  1.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1 연장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청소기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장관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연장관은,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배치;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2 연장관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배치;를 동작가능하게 마련되는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연장관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3 배치;를 더 동작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링크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상기 제 1, 2 연장관의 회전동작을 제한 또는 제한 해제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는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장치는,
    가압가능하게 구성되는 락킹버튼;
    상기 락킹버튼에 의해 가압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제 2 연장관의 회전이 구속되거나, 상기 스토퍼가 이탈하여 상기 제 2 연장관의 회전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는 스토퍼수용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버튼의 가압방향은,
    상기 제 1, 2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하도록 구성되는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상기 제 1, 2 연장관 중 어느 하나의 연장관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가 안착되되 상기 스토퍼의 이동을 상기 가압방향으로 한정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안착부;
    상기 다른 하나의 연장관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수용부가 고정배치되는 수용부안착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상기 스토퍼를 상기 가압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복귀시키는 스토퍼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버튼과, 상기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수용부는, 각각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락킹장치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수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2 연장관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제 1, 2 연장관의 내부유로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청소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스토퍼수용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삽입돌기는,
    상기 제 1, 2 연장관 중 어느 하나의 연장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청소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연장관의 내부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 1, 2 연장관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2 연장관의 배치에 따라 길이가변되는 플렉시블호스;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호스(53)는,
    상기 제 1 배치에서 상기 제 1, 2 연장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청소기.
  15.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는 제 1 연장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 2 연장관;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링크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어셈블리는,
    상기 제 1, 2 연장관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제 1 회전방향 또는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청소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연장관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2 연장관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배치;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3 배치;를 동작가능하게 마련되는 청소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연장관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상기 제 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연장관이 제 1 각도로 이격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2 연장관이 상기 제 1 연장관에 대해 상기 제 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2 연장관이 제 2 각도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2 각도는 아래를 만족하는 청소기.
    0 ≤ 제 1 각도 < 180
    120 ≤ 제 2 각도 < 180
  18. 제 1 연장관과, 상기 제 1 연장관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연장관을 갖는 청소기;
    상기 청소기가 보관되는 장착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는 상기 제 1, 2 연장관이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 1 배치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제 1 회전방향으로 접혀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배치와, 상기 제 1 배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 2 회전방향으로 접히는 제 3 배치를 동작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장착스테이션은 상기 청소기가 상기 제 2 배치일 때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청소장치.

KR1020170083459A 2016-11-21 2017-06-30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102321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72034.3A CN109982623B (zh) 2016-11-21 2017-11-07 清扫机
PCT/KR2017/012542 WO2018093087A1 (ko) 2016-11-21 2017-11-07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US16/462,702 US11452422B2 (en) 2016-11-21 2017-11-07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EP17872802.8A EP3517013B1 (en) 2016-11-21 2017-11-07 Vacuum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4837P 2016-11-21 2016-11-21
US62/424,837 2016-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490A true KR20180057490A (ko) 2018-05-30
KR102321633B1 KR102321633B1 (ko) 2021-11-05

Family

ID=623000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460A KR20180057491A (ko) 2016-11-21 2017-06-30 청소장치
KR1020170083459A KR102321633B1 (ko) 2016-11-21 2017-06-30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460A KR20180057491A (ko) 2016-11-21 2017-06-30 청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006801B2 (ko)
EP (1) EP3524113B1 (ko)
KR (2) KR20180057491A (ko)
CN (1) CN1100227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723B1 (ko) * 2018-05-29 2023-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거치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KR102164719B1 (ko) 2018-07-30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WO2020027452A1 (ko) 2018-07-3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KR20210073032A (ko) * 2019-12-10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 장치
KR20210130461A (ko) * 2020-04-22 2021-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거치대
KR20230052932A (ko) * 2020-10-08 2023-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청소기
EP4265168A1 (en) * 2020-12-16 2023-10-25 LG Electronics Inc. Cleaner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032A (ja) * 1990-03-16 1991-11-27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KR20070037179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 청소기의 굴절 연장관
JP2014045870A (ja) * 2012-08-30 2014-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掃除具及びこの掃除具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15042320A (ja) * 2014-12-01 2015-03-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6043208A (ja) * 2014-08-27 2016-04-04 リョービ株式会社 携帯用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373A (en) * 1980-02-15 1983-09-13 Kuemmerlin Walter Hinge fitting for foldable ladders
FR2499395A1 (fr) * 1981-02-10 1982-08-13 Amphoux Andre Conduit deformable tel que bras d'aspiration de fluide gazeux
US4566150A (en) * 1981-12-21 1986-01-28 Little Giant Industries, Inc. Ladder hinge and multi-position locking mechanism therefor
US4407045A (en) * 1981-12-21 1983-10-04 Boothe Leland H Ladder hinge and multi-position locking mechanism therefor
US4697305A (en) * 1985-02-14 1987-10-06 Harold R. Wing Release mechanism for locking hinge for multi-positioned ladder
KR890003205Y1 (ko) * 1986-03-04 1989-05-17 주식회사 우경제작소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US4890950A (en) * 1988-11-08 1990-01-02 Yoo Hoe G Positioning joint for a folding ladder
US5039118A (en) * 1990-08-22 1991-08-13 Huang Ming Tai Stroller with an improved connector
US5123768A (en) * 1991-08-06 1992-06-23 Franklin Ronald D Articulating positioning device for tools
US5358352A (en) * 1992-05-21 1994-10-25 Guenter Klarhorst Swivel joint for a support arm adjustably receiving an appliance, lighting fixture or the like
SE470563B (sv) * 1993-01-08 1994-08-29 Electrolux Ab Dammsugare
US5954157A (en) * 1994-10-18 1999-09-21 Fiberlite Technologies, Inc. Fiber/resin composite ladder and accompanying accessories
US5542151A (en) * 1995-05-01 1996-08-06 Century Products Company Rotatable bending joint for collapsible playpen
US5926909A (en) * 1996-08-28 1999-07-27 Mcgee; Daniel Remote control vacuum cleaner and charging system
SE510283C2 (sv) * 1997-04-24 1999-05-10 Electrolux Ab Dammsugare
CN2383467Y (zh) * 1999-07-09 2000-06-21 浙江黄岩黄燕模具集团有限公司 一种干湿两用吸尘器
KR100603207B1 (ko) * 1999-12-08 2006-07-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공기분출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EP1182322B1 (en) * 2000-08-14 2006-11-15 Tom Yeh Hinge on ladder
US6503018B2 (en) * 2001-03-15 2003-01-07 Link Treasure Limited Structure of handlebar joint
US6711780B2 (en) * 2001-08-22 2004-03-30 Sinclair Worldwide, Inc. Hinge for collapsible ladders
JP2004321699A (ja) * 2003-04-28 2004-11-18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用管継手及び電気掃除機
JP3905867B2 (ja) * 2003-07-17 2007-04-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充電式電気掃除機
KR100572891B1 (ko) * 2003-10-20 2006-04-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굴절 연장관
KR20050059573A (ko) 2003-12-15 2005-06-2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굴절 연장관
US7100739B2 (en) * 2004-05-14 2006-09-05 Werner Co. Step stool, hinge and method
US7093321B2 (en) * 2004-06-07 2006-08-22 Cosco Management, Inc. Lockable hinge
JP2005095655A (ja) 2004-11-17 2005-04-14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2006192248A (ja) * 2005-01-14 2006-07-27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真空掃除機の屈折延長管
US20060272120A1 (en) * 2005-06-01 2006-12-07 Kenneth Barrick Extraction cleaner
SE529141C2 (sv) * 2005-08-04 2007-05-15 Fumex Ab Låsbar friktionsled samt användning av en sådan led
EP1764021A1 (en) * 2005-09-16 2007-03-21 IMETEC S.p.A. Extension tube for domestic cleaning devices and domestic cleaning device comprising such an extension tube
SE531125C2 (sv) * 2007-01-19 2008-12-23 Electrolux Ab Förbättringar med avseende på luftströmningsförluster i en dammsugare
US7617569B2 (en) * 2006-11-09 2009-11-17 Unique Product & Design Co., Ltd. Articulation having angle adjustable function
USD562669S1 (en) * 2007-02-01 2008-02-26 Nathan Kipperman Hinge for adjustable furniture
CN201101488Y (zh) * 2007-10-30 2008-08-20 昌哲科技股份有限公司 三段可分离式无线吸尘器
KR101375653B1 (ko) * 2007-12-05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US8500147B2 (en) * 2007-12-21 2013-08-06 Radio Flyer Inc. Folding scooter
CN201346182Y (zh) * 2008-12-30 2009-11-18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立式真空吸尘器的软管组件
CN201414751Y (zh) * 2009-06-10 2010-03-03 宁波锦隆电器有限公司 手持式吸尘器
JP2011224224A (ja) 2010-04-22 2011-11-10 Hitachi Appliances Inc 電気掃除機
CN201790739U (zh) * 2010-09-26 2011-04-13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具有吸口定位结构的二合一吸尘器
CN102727139B (zh) * 2011-04-14 2014-12-17 科沃斯机器人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伸缩管
DE102011083319A1 (de) * 2011-09-23 2013-03-28 Robert Bosch Gmbh Werkzeugzusatzgerät
CN202313124U (zh) * 2011-10-21 2012-07-11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内置式推杆拉伸结构的简易手持立式除尘装置
US9456721B2 (en) * 2013-02-28 2016-10-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526015B (en) * 2013-03-01 2020-09-1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base
KR102070774B1 (ko) 2013-03-15 202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청소기 모드를 갖는 복합 청소기
CN105263382B (zh) * 2013-06-05 2018-08-07 格雷技术有限公司 手持真空吸尘器
KR102178458B1 (ko) 2014-05-12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10105022B2 (en) * 2013-09-05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US8898862B1 (en) * 2014-04-29 2014-12-02 Andrew H. McGrath Push-button, locking hinge assembly
US9451853B2 (en) * 2014-07-18 2016-09-2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IL240494B (en) * 2014-08-29 2020-04-30 Britax Child Safety Inc Pivot without freedom for a stroller
KR102277144B1 (ko) 2014-12-18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CN204654807U (zh) * 2015-04-30 2015-09-23 宁波亮的电器有限公司 手持式无线真空吸尘器
CN204698451U (zh) * 2015-06-02 2015-10-14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带独立尘气分离和储灰装置的杆式手持二合一分体吸尘器
US10966581B2 (en) * 2015-10-22 2021-04-06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ing device with foldable wand to provide storage configuration
JP2019005153A (ja) * 2017-06-23 2019-01-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電気掃除装置
WO2020027452A1 (ko) * 2018-07-3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032A (ja) * 1990-03-16 1991-11-27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KR20070037179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 청소기의 굴절 연장관
JP2014045870A (ja) * 2012-08-30 2014-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掃除具及びこの掃除具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16043208A (ja) * 2014-08-27 2016-04-04 リョービ株式会社 携帯用掃除機
JP2015042320A (ja) * 2014-12-01 2015-03-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20864A1 (en) 2019-10-24
EP3524113A1 (en) 2019-08-14
KR20180057491A (ko) 2018-05-30
CN110022744A (zh) 2019-07-16
EP3524113B1 (en) 2021-01-06
US11452422B2 (en) 2022-09-27
KR102321633B1 (ko) 2021-11-05
CN110022744B (zh) 2021-04-23
EP3524113A4 (en) 2019-11-13
US11006801B2 (en) 2021-05-18
US20200077856A1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7490A (ko) 청소기 및 이를 갖는 청소장치
US10154765B2 (en) Vacuum cleaner including a removable canister assembly
US20090178229A1 (en) Vacuum cleaner
JP6710186B2 (ja) 電気掃除機の充電台
US11147421B2 (en)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KR102372897B1 (ko) 청소기
JP2005161010A (ja) 真空掃除機の屈折延長管
US9955834B2 (en) Cleaner and cleaner accessory
CN109982623B (zh) 清扫机
US20090217483A1 (en) Upright type cleaner
JP6731358B2 (ja) 電気掃除機の充電台
CN1327804C (zh) 延伸管支撑装置和具有该延伸管支撑装置的真空吸尘器
JP2007021058A5 (ko)
JP2007021058A (ja) 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10207526A (ja) 電気掃除機用ブラシアタッチメント
KR102153352B1 (ko) 진공 청소기
KR20230086156A (ko) 청소기
JP2019098029A (ja) 電気掃除機
KR20070066144A (ko) 청소기
JP2003290099A (ja) 延長管及び電気掃除機
JP2007021055A (ja) 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20030031651A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