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307A -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307A
KR20180055307A KR1020160152986A KR20160152986A KR20180055307A KR 20180055307 A KR20180055307 A KR 20180055307A KR 1020160152986 A KR1020160152986 A KR 1020160152986A KR 20160152986 A KR20160152986 A KR 20160152986A KR 20180055307 A KR20180055307 A KR 20180055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ray detector
middle block
side fram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준
김정민
유재원
이재욱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307A/ko
Priority to US15/730,616 priority patent/US20180132806A1/en
Publication of KR20180055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83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a detector unit being housed in a casset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2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e.g. anti-collis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33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matrix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20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 G01T1/2018Scintillation-photodiode combinations
    • G01T1/20188Auxiliary details, e.g. casings or cooling
    • G01T1/20189Damping or insulation against damage, e.g. caused by heat 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61B6/444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the rigid structure being a C-arm or U-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내 충격성을 가지는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를 개시한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미들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미들 블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 충격성을 가지는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x-ray)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상체 내부를 영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용 엑스선 촬영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대상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x-ray source)와,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디텍터(x-ray 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의 다양한 부위를 영상화할 수 있도록 엑스선 소스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는 촬영테이블에 장착되는 테이블 모드, 촬영스탠드에 장착되는 스탠드 모드 또는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포터블(portable)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엑스선 디텍터의 성능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충격이 감지패널 등과 같은 취약부에 직접 전달될 경우, 취약부의 파손 내지 고장 위험이 있고, 이는 엑스선 디텍터의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 충격에 의해 감지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외력에 의한 엑스선 디텍터 외관의 변형으로부터 감지패널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미들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미들 블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탑 프레임에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마주하는 가장자리 면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장자리 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탑 프레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바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완충부를 매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미들 블록을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의 일 단부는 상기 가장자리 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의 일 단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완충부 및 상기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완충부의 일 단부 및 상기 제 2완충부의 일 단부는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완충부 및 상기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상기 제 1완충부의 일 단부 및 상기 제 1완충부의 일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 2완충부의 일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미들 블록과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미들 블록과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는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미들 블록,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미들 블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미들 블록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제 1공간 및 제 2공간으로 구획하는 완충부 및 상기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제 1공간에 배치되는 감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미들 블록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 2공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미들 블록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 2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공간을 정의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제 1공간 및 상기 제 2공간의 배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탑 프레임에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마주하는 가장자리 면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장자리 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 2공간을 정의하는 바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완충부를 매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는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본체, 상기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미들 블록 및 상기 본체에 가해진 충격이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미들 블록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가해진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충격이동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엑스선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탑 프레임에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마주하는 가장자리 면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이동경로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장자리 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이동경로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장자리 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완충부를 적용함으로써 엑스선 디텍터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의해 감지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별도의 완충부재를 사용하는 대신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사이드 프레임 및 미들 블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를 사용함으로써 완충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완충작용에 관여하는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엑스선 디텍터 외관의 변형으로부터 감지패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 및 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미들 블록과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미들 블록을 통해 감지패널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감지패널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엑스선 디텍터를 C-C'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가 적용된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감지패널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장치(1)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70), 엑스선 소스(70)로부터 조사되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디텍터(300) 및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고 정보를 제공하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촬영장치(1)는 엑스선 디텍터(300)가 장착될 수 있는 촬영테이블(10)과 촬영스탠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촬영장치(1)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엑스선 촬영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부(200) 및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대상체에 엑스선(x-ray)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대상체는 인간이나 동물의 생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촬영장치(1)에 의해 그 내부 구조가 영상화될 수 있는 것이면 대상체가 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튜브(x-ray tube)(71)와, 발생된 엑스선을 대상체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72)를 구비할 수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1)가 배치되는 검사실 천장에는 가이드레일(4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캐리지(45)에 엑스선 소스(70)를 연결하여 대상체에 대응되는 위치로 엑스선 소스(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캐리지(45)와 엑스선 소스(70)는 절첩 가능한 포스트프레임(50)을 통해 연결되어 엑스선 소스(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70)은 엑스선이 차단되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S)에 마련될 수 있으며, 엑스선 소스(70) 및 엑스선 디텍터(300)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70)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71) 및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2)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71)는 촬영 프로토콜, 촬영 조건, 촬영 타이밍, 엑스선 소스(70)의 위치 제어 등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71)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는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 엑스선 영상, 엑스선 촬영장치(1)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엑스선 소스(70)의 촬영 타이밍, 촬영 조건 등을 제어할 수 있고, 엑스선 디텍터(3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촬영 프로토콜 및 대상체의 위치에 따라 엑스선 소스(70)나 엑스선 디텍터(300)가 장착된 장착부(14,24)의 위치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1)는 통신부(250)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면, 외부의 서버(260), 의료장치(270) 및 휴대용 단말기(280: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엑스선 디텍터(300)는 촬영스탠드(20)나 촬영테이블(10)에 고정된 고정형 엑스선 디텍터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장착부(14,2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디텍터(portable x-ray detect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휴대용 엑스선 디텍터는 데이터 전송 방식와 전원 공급 방식에 따라 유선 타입 또는 무선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의 일 측면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가 마련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70)의 입력부(171) 및 디스플레이부(172)가 수행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검사실의 천장에 연결된 고정식 엑스선 촬영장치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엑스선 촬영장치는 C-암(arm) 타입 엑스선 촬영장치, 모바일 엑스선 촬영장치 등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의 엑스선 촬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엑스선 디텍터(300)의 전면에는 엑스선이 입사되는 입사면(130)이 마련되고,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에는 감지패널(120)(도2참고)이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장치로, 엑스선의 발생을 위해 엑스선 튜브(71)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되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엑스선 검출은 엑스선 디텍터(300) 내부의 감지패널(120)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감지패널(120)은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게 한다.
감지패널(120)은 재료 구성 방식,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 및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먼저, 감지패널(120)은 재료 구성 방식에 따라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와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로 구분된다.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엑스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단일 소재의 반도체로 구성되거나, 단일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수광 소자인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단일하게 이용하는 경우이다.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엑스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각각 다른 소재로 구성되거나, 다른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 CCD, CdZnTe 등의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엑스선을 검출하고 CMOS ROIC(Read Out Integrated Circuit)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경우, 스트립 디텍터를 이용하여 엑스선을 검출하고 CMOS ROIC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경우 및 a-Si 또는 a-Se 플랫 패널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그리고, 감지패널(120)은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에 따라 직접변환방식과 간접변환방식으로 구분된다.
직접변환방식에서는, 엑스선이 조사되면 수광 소자 내부에 일시적으로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고, 수광 소자의 양단에 인가되어 있는 전장에 의해 전자는 양극으로 정공은 음극으로 이동하는 바, 감지패널(120)이 이러한 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직접변환방식에서 수광 소자에 사용되는 물질은 a-Se, CdZnTe, HgI2, PbI2 등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변환방식에서는, 엑스선 소스(70)(도1참고)에서 조사된 엑스선이 신틸레이터(scintillator)(395)와 반응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갖는 광자(photon)를 방출하면 이를 수광 소자가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간접변환방식에서 수광 소자로 사용되는 물질은 a-Si 등이 있고, 신틸레이터(395)로는 박막 형태의 GADOX 섬광체, 마이크로 기둥형 또는 바늘 구조형 CSI(T1) 등이 사용된다. 도 2에서는 감지패널(120)이 수광 소자로 사용된다.
또한, 감지패널(120)은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전하를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그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전하누적방식(Charge Integration Mode)과 단일 엑스선 광자에 의해 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계수하는 광자계수방식(Photon Counting Mode)으로 구분된다.
감지패널(120)은 상술한 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엑스선 디텍터를 C-C'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10)는 탑 프레임(top frame)(311)을 포함할 수 있다. 탑 프레임(311)은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된 엑스선이 입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탑 프레임(311)에는 입사면(130)(도1참고)이 마련될 수 있다. 탑 프레임(311)은 엑스선 디텍터(3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탑 프레임(311)은 카본 플레이트 등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탑 프레임(311)의 일 면에는 데코 시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체(310)는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3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12)은 엑스선 디텍터(3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탑 프레임(311)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12)은 탑 프레임(311) 및 바텀 프레임(313)을 연결할 수 있다.
본체(310)는 바텀 프레임(bottom frame)(3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13)은 탑 프레임(311)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313)은 엑스선 디텍터(30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10)는 탑 프레임(311), 사이드 프레임(312) 및 바텀 프레임(313)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는 내부공간(3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간(314)은 미들 블록(320) 및 완충부(370)에 의해 제 1공간(314a) 및 제 2공간(314b)으로 구획될 수 있다. 탑 프레임(311)은 제 1공간(314a)을 정의할 수 있고, 바텀 프레임(313)은 제 2공간(314b)을 정의할 수 있다. 후술할 감지패널(120)은 제 1공간(314a)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할 회로기판(340) 및 배터리(350)는 제 2공간(314b)에 배치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감지패널(sensor panel)(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패널(120)은 미들 블록(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지패널(120)은 미들 블록(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신틸레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틸레이터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틸레이터는 입사된 엑스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신틸레이터의 일 면에는 신틸레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신틸레이터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미들 블록(middle block)(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감지패널(120)을 지지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탑 프레임(311)을 향하는 제 1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패널(120)은 미들 블록(320)의 제 1면(32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바텀 프레임(313)을 향하는 제 2면(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사이드 프레임(312)과 마주하는 가장자리 면(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쿠션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쿠션부재(330)는 외부충격이 감지패널(1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쿠션부재(330)는 탑 프레임(311) 및 감지패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쿠션부재(330)는 탑 프레임(311)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의해 감지패널(120)이 파손 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적어도 하나의 쿠션부재(330)는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쿠션부재(330)는 고무, 실리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쿠션부재(330)는 스펀지(sponge)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회로기판(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340)은 감지패널(120)에서 판독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한다. 회로기판(340)은 엑스선 디텍터(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회로기판(340)은 본체(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회로기판(340)은 미들 블록(320)과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340)은 미들 블록(320)과 이격되도록 바텀 프레임(3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340)을 미들 블록(320)과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미들 블록(320)과 사이드 프레임(312)이 충돌했을 때 미들 블록(320)을 통해 감지패널(120)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회로기판(340)을 미들 블록(320)에 결합시킬 경우, 미들 블록(320)의 총 질량이 증가하여 미들 블록(320)과 사이드 프레임(312)이 충돌할 경우 미들 블록(320)을 통해 감지패널(120)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가 클 수 있다. 반면, 회로기판(340)을 미들 블록(320)과 이격되도록 바텀 프레임(313)에 결합시킬 경우, 미들 블록(320)의 총 질량이 감소하여 미들 블록(320)과 사이드 프레임(312)이 충돌할 경우 미들 블록(320)을 통해 감지패널(120)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가 작을 수 있다.
회로기판(340)은 메모리 및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엑스선의 조사 각도에 따른 대상체의 그림자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부는 감지패널(120)에 맺히는 대상체의 그림자 형상과 메모리의 그림자 정보에 기초하여 엑스선의 조사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메모리 및 연산부는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감지패널(120)과 회로기판(3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배터리(battery)(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회로기판(3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미들 블록(320)과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350)는 미들 블록(320)과 이격되도록 바텀 프레임(3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350)를 미들 블록(320)과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미들 블록(320)과 사이드 프레임(312)이 충돌했을 때 미들 블록(320)을 통해 감지패널(120)에 전달되는 충격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배터리(350)는 회로기판(340) 및 바텀 프레임(313) 사이에 위치하도록 바텀 프레임(3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결합모듈(미도시)이 결합되는 단자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360)는 결합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자부(360)는 회로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모듈은 단자부(360)와의 결합을 통해 회로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360)는 본체(310)의 사이드 프레임(312)에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완충부(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370)는 충격으로부터 감지패널(1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370)는 사이드 프레임(312)에 가해진 충격 내지 사이드 프레임(312)과 미들 블록(320)의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감지패널(1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완충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포함하도록 본체(310) 및 미들 블록(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370)는 사이드 프레임(312) 및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완충부(370)는 주름부를 포함하도록 사이드 프레임(312) 및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12) 및 미들 블록(320)은 완충부(370)를 매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엑스선 디텍터(300)는 충격이동경로(380)(도5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이동경로(380)는 본체(310)에 가해진 충격이 이동하도록 본체(310) 및 미들 블록(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충격이동경로(380)는 본체(310)에 가해진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격이동경로(380)는 사이드 프레임(312) 및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충격이동경로(380)는 사이드 프레임(312) 및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이동경로(380)는 완충부(370)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300)는 미들 블록(32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370)는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가지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완충부(370)는 미들 블록(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는 탑 프레임(311)을 향하여 볼록한 제 1굴곡부(371a) 및 바텀 프레임(313)을 향하여 볼록한 제 2굴곡부(371b)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370)는 제 1굴곡부(371a) 및 제 2굴곡부(371b)가 교대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굴곡부(371a) 및 제 2굴곡부(371b)의 간격은 일정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12)에는 미들 블록(32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375)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75)는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완충부(37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사이드 프레임(312)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75)는 사이드 프레임(3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완충부(370)의 일 단부는 사이드 프레임(31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완충부(370)의 일 단부는 사이드 프레임(312)의 결합부(375)에 결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에 가해진 충격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쇄되므로 감지패널(120)에 전달되는 충격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400)는 사이드 프레임(31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370)는 사이드 프레임(312)으로부터 엑스선 디텍터(4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완충부(370)는 사이드 프레임(3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는 탑 프레임(311)을 향하여 볼록한 제 1굴곡부(371a) 및 바텀 프레임(313)을 향하여 볼록한 제 2굴곡부(371b)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370)는 제 1굴곡부(371a) 및 제 2굴곡부(371b)가 교대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굴곡부(371a) 및 제 2굴곡부(371b)의 간격은 일정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완충부(370)는 사이드 프레임(312) 및 미들 블록(32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3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72)는 엑스선 디텍터(40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완충부(37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체결부(372)에 결합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부는 체결부(37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500)는 사이드 프레임(31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371a,371b)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완충부(370a) 및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371a,371b)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완충부(37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완충부(370a)는 사이드 프레임(312)으로부터 엑스선 디텍터(5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사이드 프레임(3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완충부(370b)는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으로부터 엑스선 디텍터(50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미들 블록(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371a,371b)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371a,371b)에 대한 설명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500)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371a,371b)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371a,371b)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371a)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371b)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제 1완충부(370a) 및 제 2완충부(370b) 중 적어도 하나는 사이드 프레임(312)과 미들 블록(320)을 결합시키는 체결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완충부(370a) 및 제 2완충부(370b)는 각각 사이드 프레임(312)과 미들 블록(320)을 결합시키는 제 1체결부(372a) 및 제 2체결부(37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체결부(372a)는 엑스선 디텍터(50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제 1완충부(370a)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체결부(372b)는 엑스선 디텍터(5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제 2완충부(370b)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체결부(372a) 및 제 2체결부(372b)는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이드 프레임(312) 및 미들 블록(32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400)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5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600)는 충격 흡수 부재(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90)는 완충부(370)를 보완하여 엑스선 디텍터(600)에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감지패널(12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90)는 사이드 프레임(312) 및 미들 블록(320)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격 흡수 부재(390)는 제 1체결부(372a) 및 제 2체결부(372b)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90)는 제 1체결부(372a) 및 제 2체결부(372b)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90)는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충격 흡수 부재(39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390)는 스폰지(sponge)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충격 흡수 부재(390)는 완충부(370)와 함께 사이드 프레임(312)을 통해 미들 블록(320)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의 경우, 충격 흡수 부재(390)는 결합부(375)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400) 및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500)의 경우, 충격 흡수 부재(390)는 체결부(37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700)는 미들 블록(32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370)는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가지도록 엑스선 디텍터(70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완충부(370)는 미들 블록(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7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완충부(370)의 일 단부는 사이드 프레임(312)의 내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800)는 사이드 프레임(31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371)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370)는 사이드 프레임(312)으로부터 엑스선 디텍터(8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완충부(370)는 사이드 프레임(3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80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완충부(370)의 일 단부는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900)는 사이드 프레임(31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371a,371b)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완충부(370a) 및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371a,371b)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완충부(37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완충부(370a)는 사이드 프레임(312)으로부터 엑스선 디텍터(9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사이드 프레임(3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완충부(370b)는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으로부터 엑스선 디텍터(90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미들 블록(3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90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제 1완충부(370a)의 일 단부 및 엑스선 디텍터(9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제 2완충부(370b)의 일 단부는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의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371a,371b)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371a,371b)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371a)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371b)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 제 5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700), 제 6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800) 및 제 7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9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1000)는 충격 흡수 부재(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90)는 완충부(370)를 보완하여 엑스선 디텍터(1000)에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감지패널(12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90)는 사이드 프레임(312) 및 미들 블록(320)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격 흡수 부재(390)는 제 1완충부(370a) 및 제 2완충부(370b)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90)는 엑스선 디텍터(100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제 1완충부(370a)의 일 단부 및 엑스선 디텍터(10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제 2완충부(370b)의 일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390)는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충격 흡수 부재(39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390)는 스폰지(sponge)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충격 흡수 부재(390)는 완충부(370)와 함께 사이드 프레임(312)을 통해 미들 블록(320)에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 5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700)의 경우, 충격 흡수 부재(390)는 엑스선 디텍터(7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완충부(370)의 일 단부 및 사이드 프레임(312)의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6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800)의 경우, 충격 흡수 부재(390)는 엑스선 디텍터(80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완충부(370)의 일 단부 및 미들 블록(320)의 가장자리 면(3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1100)는 바텀 프레임(313) 및 사이드 프레임(312)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엑스선 디텍터(1100)의 본체(310)는 모노코크 구조(monocoque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바텀 프레임(313) 및 사이드 프레임(312)을 모노코크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엑스선 디텍터(1100)의 경량화 효과 및 내 충격성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바텀 프레임(313) 및 사이드 프레임(312)을 모노코크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할 경우, 다이캐스팅(die casting) 가공 대신 프레스(press) 가공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제작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엑스선 촬영장치 10: 촬영테이블
14,24: 장착부 20: 촬영스탠드
40: 가이드레일 45: 이동캐리지
50: 포스트프레임 70: 엑스선 소스
71: 엑스선 튜브 72: 콜리메이터
120: 감지패널 130: 입사면
170: 워크스테이션 171: 입력부
172: 디스플레이부 200: 제어부
250: 통신부 260: 서버
270: 의료장치 280: 휴대용 단말기
310: 본체 311: 탑 프레임
312: 사이드 프레임 313: 바텀 프레임
314: 내부공간 314a: 제 1공간
314b: 제 2공간 320: 미들 블록
321: 제 1면 322: 제 2면
323: 가장자리 면 330: 쿠션부재
340: 회로기판 350: 배터리
360: 단자부 370: 완충부
370a: 제 1완충부 370b: 제 2완충부
371: 굴곡부 371a: 제 1굴곡부
371b: 제 2굴곡부 372: 체결부
372a: 제 1체결부 372b: 제 2체결부
375: 결합부 380: 충격이동경로
390: 충격 흡수 부재 395: 신틸레이터
300,400,500,600,700,800,900,1000,1100: 엑스선 디텍터

Claims (20)

  1.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미들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미들 블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탑 프레임에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마주하는 가장자리 면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장자리 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탑 프레임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바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완충부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미들 블록을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의 일 단부는 상기 가장자리 면에 고정 결합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의 일 단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면에 고정 결합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완충부; 및
    상기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완충부의 일 단부 및 상기 제 2완충부의 일 단부는 서로 고정 결합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1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1완충부; 및
    상기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 2굴곡부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 2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상기 제 1완충부의 일 단부 및 상기 제 1완충부의 일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 2완충부의 일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미들 블록과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미들 블록과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2.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미들 블록;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미들 블록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미들 블록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을 제 1공간 및 제 2공간으로 구획하는 완충부; 및
    상기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제 1공간에 배치되는 감지패널;을 포함하는 엑스선 디텍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미들 블록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 2공간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디텍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미들 블록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 2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디텍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공간을 정의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제 1공간 및 상기 제 2공간의 배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탑 프레임에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마주하는 가장자리 면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장자리 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엑스선 디텍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2공간을 정의하는 바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는 엑스선 디텍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완충부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는 엑스선 디텍터.
  18.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본체;
    상기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미들 블록; 및
    상기 본체에 가해진 충격이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 및 상기 미들 블록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가해진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충격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엑스선 디텍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엑스선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탑 프레임에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마주하는 가장자리 면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이동경로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장자리 면 사이에 형성되는 엑스선 디텍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이동경로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장자리 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엑스선 디텍터.
KR1020160152986A 2016-11-16 2016-11-16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KR20180055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86A KR20180055307A (ko) 2016-11-16 2016-11-16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US15/730,616 US20180132806A1 (en) 2016-11-16 2017-10-11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986A KR20180055307A (ko) 2016-11-16 2016-11-16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307A true KR20180055307A (ko) 2018-05-25

Family

ID=6210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986A KR20180055307A (ko) 2016-11-16 2016-11-16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132806A1 (ko)
KR (1) KR201800553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843A (ko) 2022-04-29 2023-11-07 (주)아이스트 차폐부가 적용된 엑스레이 디텍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7322B2 (ja) * 2019-04-26 2022-11-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検出器及び放射線画像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185A (ja) * 1996-06-06 1997-12-22 Bridgestone Corp 制振装置
DE102004042365A1 (de) * 2003-09-12 2005-04-14 Siemens Ag Röntgendetektor
US20090161832A1 (en) * 2005-11-24 2009-06-25 Swissray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Generating X-Ray Images
US7495226B2 (en) * 2006-05-26 2009-02-24 Carestream Health, Inc. Compact and durable encasement for a digital radiography detector
US20080078940A1 (en) * 2006-10-03 2008-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Portable imaging device having shock absorbent assembly
JP5196958B2 (ja) * 2007-11-01 201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撮影装置
CN101507610B (zh) * 2008-02-13 2012-12-12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检测器面板和x射线成像装置
JP5675062B2 (ja) * 2009-06-05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画像撮影装置
CN102783956A (zh) * 2011-05-20 2012-11-21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面板支撑板和探测器及x射线成像系统
JP5827856B2 (ja) * 2011-09-28 2015-1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セッテ
JP5972196B2 (ja) * 2013-03-12 2016-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セッテ
JP6397208B2 (ja) * 2014-04-09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EP3025647B1 (en) * 2014-11-28 2019-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633864B2 (ja) * 2015-08-07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及び放射線撮像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843A (ko) 2022-04-29 2023-11-07 (주)아이스트 차폐부가 적용된 엑스레이 디텍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32806A1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8774B1 (ko) 방사선 촬상 장치 및 방사선 촬상 시스템
JP5110784B2 (ja) 衝撃吸収性カバーを設けたx線検出器
US7359482B2 (en) X-ray detector system
US9322934B2 (en) Electronic cassette
US7881435B2 (en) Detector panel and X-ray imaging apparatus
JP5908668B2 (ja) 可搬型放射線撮影装置
US20070085015A1 (en) Lightweight and rugged digital x-ray detector
CN104508514A (zh) 具有弹性体反向散射防护的数字x射线检测器组件
EP3025647B1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341581B2 (en) Radiographic detector with heat sink
JP5396814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KR20180055307A (ko)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JP5104765B2 (ja) 可搬型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160067768A (ko) 방사선 촬상 시스템
JP6458540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撮影装置および体厚の推定方法
JP2008212343A (ja) 軽量で頑丈なディジタルx線検出器
US2022001897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robustness in a digital radiographic capture device
JP6686207B2 (ja) 電子カセッテ
JP5445651B2 (ja) 可搬型放射線画像撮影装置
US20180008216A1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531847B2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6182345A (ja) 電子カセッテ
KR20180009300A (ko)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KR20180006268A (ko)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US20210177369A1 (en) Smart grid processing enabled by aec reconfig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