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300A -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300A
KR20180009300A KR1020170008009A KR20170008009A KR20180009300A KR 20180009300 A KR20180009300 A KR 20180009300A KR 1020170008009 A KR1020170008009 A KR 1020170008009A KR 20170008009 A KR20170008009 A KR 20170008009A KR 20180009300 A KR20180009300 A KR 20180009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ray
ray detector
main body
midd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철
김대수
박성화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653,16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31847B2/en
Publication of KR2018000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내충격성을 가지는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를 개시한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보스를 가지는 미들 블록 및 상기 보스가 상기 결합홈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홈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충격성을 가지는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x-ray)을 이용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대상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대상체 내부를 영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용 엑스선 촬영장치는 외관으로 확인할 수 없는 대상체 내부의 상해 또는 질병 등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x-ray source)와,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디텍터(x-ray 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의 다양한 부위를 영상화할 수 있도록 엑스선 소스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는 촬영테이블에 장착되는 테이블 모드, 촬영스탠드에 장착되는 스탠드 모드 또는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포터블(portable)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엑스선 디텍터의 성능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충격이 감지패널이나 회로기판 등과 같은 취약부에 직접 전달될 경우, 취약부의 파손 내지 고장 위험이 있고, 이는 엑스선 디텍터의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 충격에 의해 감지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외력에 의한 엑스선 디텍터 외관의 변형으로부터 감지패널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보스를 가지는 미들 블록 및 상기 보스가 상기 결합홈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홈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 벽을 형성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융기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 1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융기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의 다른 일 벽을 형성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리브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 2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융기부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폐루프(closed loop)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지패널은 상기 본체와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측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는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측벽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보스를 가지는 미들 블록, 상기 본체의 측벽 및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따라 형성되는 충격이동경로 및 외부충격이 상기 감지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충격이동경로 상에 마련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폐루프(closed loop)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 벽을 형성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스와 마주하도록 상기 융기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본체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측벽과 평행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 벽을 형성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리브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스와 마주하도록 상기 리브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보스를 가지는 미들 블록 및 상기 미들 블록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홈에 대한 상기 보스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어 상기 미들 블록을 상기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상기 미들 블록의 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지패널은 상기 본체와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측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 벽을 형성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융기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융기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의 다른 일 벽을 형성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상기 리브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홈의 적어도 일부에 완충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엑스선 디텍터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의해 감지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미들 블록을 본체의 바닥판에 고정시킴으로써 엑스선 디텍터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의해 감지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 및 사이드 프레임과 같은 별개의 구성을 이용하여 엑스선 디텍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대신, 개방된 일 면을 가지는 본체를 이용하여 엑스선 디텍터의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엑스선 디텍터 외관의 변형으로부터 감지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감지패널을 본체와 이격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본체에 가해진 외부 충격이 감지패널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감지패널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엑스선 디텍터를 C-C'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핸들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 7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7의 엑스선 디텍터를 I-I'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엑스선 디텍터를 P-P'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미들 블록 및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미들 블록 및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다양한 미들 블록 움직임 방지 구조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저면도
도 18은 도 17a의 일부를 A-A'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배터리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가 적용된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장치의 감지패널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촬영장치(1)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70), 엑스선 소스(70)로부터 조사되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디텍터(300) 및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고 정보를 제공하는 워크스테이션(1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촬영장치(1)는 엑스선 디텍터(300)가 장착될 수 있는 촬영테이블(10)과 촬영스탠드(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촬영장치(1)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엑스선 촬영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부(700) 및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대상체에 엑스선(x-ray)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대상체는 인간이나 동물의 생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촬영장치(1)에 의해 그 내부 구조가 영상화될 수 있는 것이면 대상체가 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튜브(x-ray tube)(71)와, 발생된 엑스선을 대상체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72)를 구비할 수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1)가 배치되는 검사실 천장에는 가이드레일(4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캐리지(45)에 엑스선 소스(70)를 연결하여 대상체에 대응되는 위치로 엑스선 소스(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캐리지(45)와 엑스선 소스(70)는 절첩 가능한 포스트프레임(50)을 통해 연결되어 엑스선 소스(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70)은 엑스선이 차단되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S)에 마련될 수 있으며, 엑스선 소스(70) 및 엑스선 디텍터(300)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70)에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71) 및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72)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71)는 촬영 프로토콜, 촬영 조건, 촬영 타이밍, 엑스선 소스(70)의 위치 제어 등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71)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는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하기 위한 화면, 엑스선 영상, 엑스선 촬영장치(1)의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엑스선 소스(70)의 촬영 타이밍, 촬영 조건 등을 제어할 수 있고, 엑스선 디텍터(3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촬영 프로토콜 및 대상체의 위치에 따라 엑스선 소스(70)나 엑스선 디텍터(300)가 장착된 장착부(14,24)의 위치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엑스선 촬영장치(1)는 통신부(800)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면, 외부의 서버(910), 의료장치(920) 및 휴대용 단말기(930: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엑스선 디텍터(300)는 촬영스탠드(20)나 촬영테이블(10)에 고정된 고정형 엑스선 디텍터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장착부(14,2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휴대용 엑스선 디텍터(portable x-ray detect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휴대용 엑스선 디텍터는 데이터 전송 방식과 전원 공급 방식에 따라 유선 타입 또는 무선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의 일 측면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가 마련될 수 있다. 워크스테이션(170)의 입력부(171) 및 디스플레이부(172)가 수행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서브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검사실의 천장에 연결된 고정식 엑스선 촬영장치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엑스선 촬영장치는 C-암(arm) 타입 엑스선 촬영장치, 모바일 엑스선 촬영장치 등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의 엑스선 촬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엑스선 디텍터(300)의 전면에는 엑스선이 입사되는 입사면(130)이 마련되고,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에는 감지패널(120)(도2참고)이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70)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대상체에 조사하는 장치로, 엑스선의 발생을 위해 엑스선 튜브(71)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되어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엑스선의 검출은 엑스선 디텍터(300) 내부의 감지패널(120)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감지패널(120)은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게 한다.
감지패널(120)은 재료 구성 방식,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 및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먼저, 감지패널(120)은 재료 구성 방식에 따라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와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로 구분된다.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엑스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단일 소재의 반도체로 구성되거나, 단일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수광 소자인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단일하게 이용하는 경우이다.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엑스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각각 다른 소재로 구성되거나, 다른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 CCD, CdZnTe 등의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엑스선을 검출하고 CMOS ROIC(Read Out Intergrated Circuit)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경우, 스트립 디텍터를 이용하여 엑스선을 검출하고 CMOS ROIC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경우 및 a-Si 또는 a-Se 플랫 패널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그리고, 감지패널(120)은 엑스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에 따라 직접변환방식과 간접변환방식으로 구분된다.
직접변환방식에서는, 엑스선이 조사되면 수광 소자 내부에 일시적으로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고, 수광 소자의 양단에 인가되어 있는 전장에 의해 전자는 양극으로 정공은 음극으로 이동하는 바, 감지패널(120)이 이러한 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직접변환방식에서 수광 소자에 사용되는 물질은 a-Se, CdZnTe, HgI2, PbI2 등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접변환방식에서는, 엑스선 소스(70)(도1참고)에서 조사된 엑스선이 신틸레이터(scintillator)(380)와 반응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갖는 광자(photon)를 방출하면 이를 수광 소자가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간접변환방식에서 수광 소자로 사용되는 물질은 a-Si 등이 있고, 신틸레이터(380)로는 박막 형태의 GADOX 섬광체, 마이크로 기둥형 또는 바늘 구조형 CSI(T1) 등이 사용된다. 도 2에서는 감지패널(120)이 수광 소자로 사용된다.
또한, 감지패널(120)은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전하를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그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전하누적방식(Charge Integration Mode)과 단일 엑스선 광자에 의해 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계수하는 광자계수방식(Photon Counting Mode)으로 구분된다.
감지패널(120)은 상술한 방식 중 어느 방식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엑스선 디텍터를 C-C'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10)는 일 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310)는 바닥판(31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311)에는 결합홈(314)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판(311)은 융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융기부(312)는 바닥판(311)의 외측에 배터리 수용부(397)가 형성되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융기부(312)는 결합홈(314)의 일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융기부(312)는 배터리(39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융기부(312)는 바닥판(31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융기부(312)는 바닥판(311)으로부터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312a)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연장부(312a)는 본체(310)의 측벽(315)과 평행하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수직 연장부(312a)는 본체(310)의 측벽(315)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수직 연장부(312a)는 융기부(312)의 측면(側面)을 정의할 수 있다.
융기부(312)는 수직 연장부(312a)와 함께 배터리 수용부(397)를 형성하는 수평 연장부(3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연장부(312b)는 수직 연장부(312a)와 함께 일 면이 개방된 배터리 수용부(397)를 형성할 수 있다. 수평 연장부(312b)는 융기부(312)의 상면(上面)을 정의할 수 있다.
바닥판(311)은 리브(rib)(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313)는 융기부(3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브(313)는 결합홈(314)의 다른 일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결합홈(314)은 융기부(312) 및 리브(3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홈(314)은 융기부(312)의 수직 연장부(312a) 및 리브(31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리브(313)는 본체(310)의 측벽(315)으로부터 이격되어 본체(310)의 측벽(315)과 평행하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리브(313)는 결합홈(314)의 일 벽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10)는 측벽(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벽(315)은 바닥판(311)으로부터 엑스선 디텍터(300)의 두께방향(T)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벽(315)은 바닥판(3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315)과 바닥판(311)이 일체인 본체(310)는 측벽(315)과 바닥판(311)이 별개인 본체에 비해 강성이 좋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본체(310)의 변형으로부터 감지패널(12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감지패널(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패널(120)은 미들 블록(3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지패널(120)은 미들 블록(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감지패널(120)은 본체(310)와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패널(120)은 본체(310)의 바닥판(311) 및 측벽(315)과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감지패널(120)을 본체(310)와 접촉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할 경우, 본체(310)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의해 감지패널(120)이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서, 감지패널(120)을 본체(310)의 측벽(315)과 접촉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할 경우, 본체(310)의 측벽(315)에 가해진 외부 충격이 감지패널(120)에 직접 전달될 수 있으므로 감지패널(120)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신틸레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틸레이터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틸레이터는 입사된 엑스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신틸레이터의 일 면에는 신틸레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신틸레이터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미들 블록(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감지패널(120)을 지지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보스(boss)(321)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321)는 결합홈(314)에 삽입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311)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융기부(312) 상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들 블록(320)은 융기부(312)의 수평 연장부(312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본체(310)와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들 블록(320)은 본체(310)의 측벽(315)과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완충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330)는 외부충격이 감지패널(1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310)에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330)는 미들 블록(320)의 보스(321)가 결합홈(314)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홈(314)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330)는 융기부(3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 1완충부재(3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완충부재(331)는 융기부(312)의 수직 연장부(312a)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1완충부재(331)는 융기부(312)의 수직 연장부(312a)의 둘레를 감싸도록 융기부(312)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330)는 리브(3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 2완충부재(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완충부재(332)는 결합홈(31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리브(3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2완충부재(332)는 보스(321)와 마주할 수 있다. 제 2완충부재(332)는 리브(313)에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완충부재(330)가 복수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결합홈(314)에 하나의 완충부재(330)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완충부재(330)는 폐루프(closed loop)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완충부재(332)는 제 1완충부재(331)보다 확장된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완충부재(330)의 형상은 폐루프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완충부재(330)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완충부재(330)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에 외력이 가해지면 미들 블록(320)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완충부재(330)는 미들 블록(320)의 움직임에 따라 미들 블록(320)의 보스(321)가 결합홈(314)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330)는 미들 블록(320)의 엑스선 디텍터(300)의 너비방향(W)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미들 블록(320)이 본체(310)의 측벽(315)에 접촉 내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완충부재(330)는 미들 블록(320)과 본체(31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본체(310)에 가해진 외부 충격이 미들 블록(320) 상에 배치되는 감지패널(12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회로기판(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340)은 감지패널(120)에서 판독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한다. 회로기판(340)은 엑스선 디텍터(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회로기판(340)은 본체(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로기판(340)은 미들 블록(32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340)은 본체(310)의 바닥판(311)과 마주하는 미들 블록(320)의 일 면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340)은 메모리 및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엑스선의 조사 각도에 따른 대상체의 그림자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부는 감지패널(120)에 맺히는 대상체의 그림자 형상과 메모리의 그림자 정보에 기초하여 엑스선의 조사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메모리 및 연산부는 엑스선 디텍터(30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감지패널(120)과 회로기판(3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본체 커버(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커버(350)는 개방된 본체(310)의 일 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체 커버(350)는 카본 플레이트 등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 커버(350)의 일 면에는 데코 시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쿠션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재(36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감지패널(120)을 보호하도록 감지패널(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부재(360)는 스펀지(sponge)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재(360)는 감지패널(120) 및 본체 커버(35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쿠션부재(3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360)는 감지패널(120) 및 미들 블록(3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2쿠션부재(3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배터리(3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95)는 배터리 수용부(397)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배터리 커버(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390)는 배터리 수용부(397)를 개폐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3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결합모듈(미도시)이 결합되는 단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500)는 결합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자부(500)는 회로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30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모듈은 단자부(500)와의 결합을 통해 회로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500)는 본체(310)의 측벽(315)에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300)는 충격이동경로(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이동경로(370)는 외부충격이 이동하는 경로로서, 본체(310)의 측벽(315) 및 본체(310)의 바닥판(31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충격이동경로(370) 상에는 외부충격이 감지패널(1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충부재(330)가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330)는 본체(310)로부터 충격이동경로(370)를 따라 이동하는 충격을 차단함으로써 감지패널(12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충격이동경로(37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감지패널(120)의 가장자리는 외부충격에 취약하다. 즉, 외부충격이 감지패널(120)의 가장자리로 전달될 경우, 감지패널(120)이 손상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체(310)에 가해진 외부충격이 감지패널(120)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로를 충격이동경로(370)라고 정의할 때, 충격이동경로(370)는 최대한 길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충격이동경로(370)가 길 경우, 본체(310)에 가해진 외부 충격이 충격이동경로(37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멸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긴 충격이동경로(370)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감지패널(120)을 본체(310)와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충격이동경로(370)는 충격이 감지패널(120)의 가장자리 대신 감지패널(120)의 중앙부로 전달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감지패널(120)의 중앙부가 감지패널(120)의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격에 덜 취약하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의 바닥판(311)과 미들 블록(320)을 구성할 경우, 외부충격이 감지패널(120)의 가장자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체(310)의 측벽(315)에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외부충격은 충격이동경로(370)를 따라 본체(310)의 측벽(315)에서 본체(310)의 바닥판(311)으로 전달된다. 이 때, 외부충격의 대부분은 충격이동경로(370) 상에 있는 완충부재(330)에 의해 흡수된다. 완충부재(330)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일부 충격은 완충부재(330)를 지나 바닥판(311)의 융기부(312)에 도달한다. 융기부(312), 특히 수평 연장부(312b)는 미들 블록(320)과 직접 접하도록 배치되므로, 충격은 미들 블록(320)을 거쳐 미들 블록(320) 상에 배치되는 감지패널(120)에 도달한다. 이 때, 융기부(312)는 바닥판(311)의 중앙부에 형성되므로, 충격은 감지패널(120)의 가장자리 대신 중앙부로 전달된다. 즉, 충격이 감지패널(120)의 중앙부보다 감지패널(120)의 가장자리로 먼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감지패널(12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핸들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300)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핸들(380)은 본체(31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핸들(380)은 본체(310)의 측벽(315)에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핸들(380)은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본체(310)에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핸들(380)은 평소에는 본체(310)에 인입된 상태로 존재하고, 필요 시에 사용자가 본체(310)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핸들(380)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본체(3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310)에 내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핸들(380)을 엑스선 디텍터(300)에 적용함으로써, 엑스선 디텍터(300)의 낙하를 방지하여 엑스선 디텍터(300)의 파손 내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 7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엑스선 디텍터를 I-I'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400)는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일 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310)는 바닥판(41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411)에는 결합홈(314)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판(411)은 바닥판(411)의 외측에 배터리 수용부(397)가 형성되도록 엑스선 디텍터(400)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융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융기부(312)는 결합홈(314)의 일 벽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판(411)은 리브(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313)는 융기부(3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엑스선 디텍터(400)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브(313)는 결합홈(314)의 다른 일 벽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판(411)은 배터리 수용부(397)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홈부(4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홈부(411a)는 배터리 수용부(397)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터리 수용부(397)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홈부(411a)는 바닥판(411)이 엑스선 디텍터(400)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부(411a)의 함몰 정도는 배터리 수용부(397)의 함몰 정도보다 작을 수 있다.
본체(310)는 바닥판(411)으로부터 엑스선 디텍터(400)의 두께방향(T)으로 연장되는 측벽(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400)는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감지패널(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패널(120)은 본체(310)와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400)는 감지패널(120)이 안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미들 블록(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본체(310)와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들 블록(320)은 본체(310)의 측벽(315)과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미들 블록(320)은 결합홈(314)에 삽입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411)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보스(321)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400)는 배터리 커버(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390)는 배터리 수용부(397)를 개폐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4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400)는 고정부재(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420)는 미들 블록(320)을 본체(310)의 바닥판(411)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420)는 미들 블록(320)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결합홈(314)에 대한 보스(321)의 삽입방향(M)과 반대방향(N)으로 바닥판(411)에 결합되어 미들 블록(320)을 바닥판(4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420)는 바닥판(411)의 홈부(411a)에 결합되어 미들 블록(320)을 바닥판(4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420)는 바닥판(411), 특히, 홈부(411a)를 관통하여 미들 블록(320)의 보스(32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420)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으나, 고정부재(420)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420)를 이용하여 미들 블록(320)을 바닥판(411)에 고정시킬 경우, 엑스선 디텍터(400)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미들 블록(320)의 엑스선 디텍터(400)의 너비방향(W)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본체(310)의 측벽(315)에 대한 미들 블록(320)의 접촉 내지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420)로 미들 블록(320)을 바닥판(411)에 고정시켜 미들 블록(320)에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미들 블록(320) 상에 배치되는 감지패널(12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엑스선 디텍터를 P-P'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미들 블록 및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300)에 관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14는 배터리 커버(390a)를 생략하고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10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엑스선 디텍터(10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10)는 일 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310)는 바닥판(10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측벽(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벽(315)은 바닥판(1010)으로부터 엑스선 디텍터(1000)의 두께방향(T)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벽(315)은 바닥판(10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315)과 바닥판(1010)이 일체인 본체(310)는 측벽(315)과 바닥판(1010)이 별개인 본체에 비해 강성이 좋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본체(310)의 변형으로부터 감지패널(12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체(310)는 배터리 수용부(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100)는 배터리(395)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수용부(1100)는 본체(310)의 바닥판(10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수용부(1100)는 바닥판(1010)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닥판(101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100)는 본체(310)의 바닥판(1010) 및 후술할 미들 블록(191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체(310)는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은 배터리 수용부(1100)의 둘레를 따라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은 배터리 수용부(110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은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배터리 커버(390a)는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310)는 격벽(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벽(1300)은 배터리 수용부(1100)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격벽(1300)은 배터리 수용부(1100)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격벽(1300)의 일 단부는 서로 마주하는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의 일 측에 연결되고, 격벽(1300)의 다른 단부는 서로 마주하는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의 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격벽(1300)은 배터리 수용부(1100)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격벽(1300)에 의해 구획되는 배터리 수용부(1100)의 복수의 공간의 개수 및 크기는 복수의 공간에 수용되는 복수의 배터리의 개수 및 크기에 대응한다.
본체(310)는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은 배터리 수용부(1100)의 둘레를 따라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은 후술할 복수의 고정부재(180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800)는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을 관통하여 미들 블록(19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보스(150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은 일 측이 개방된 홀(hole)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엑스선 소스(70)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감지패널(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패널(120)은 미들 블록(19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지패널(120)은 미들 블록(19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감지패널(120)은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미들 블록(1910) 상에 접착될 수 있다.
감지패널(120)은 본체(310)와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패널(120)은 본체(310)의 바닥판(1010) 및 측벽(315)과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감지패널(120)을 본체(310)와 접촉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배치할 경우, 본체(310)에 가해진 외부 충격에 의해 감지패널(120)이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서, 감지패널(120)을 본체(310)의 측벽(315)과 접촉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배치할 경우, 본체(310)의 측벽(315)에 가해진 외부 충격이 감지패널(120)에 직접 전달될 수 있으므로 감지패널(120)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신틸레이터(4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틸레이터(4000)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틸레이터(4000)는 입사된 엑스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신틸레이터(4000)의 일 면에는 신틸레이터(400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신틸레이터(400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신틸레이터(4000)는 본체 커버(350)와 마주하도록 감지패널(12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미들 블록(19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 블록(1910)은 감지패널(120)을 지지하도록 본체(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블록(1910)은 감지패널(120)을 향하는 제 1면(1911)과, 본체(310)의 바닥판(1010)을 향하는 제 2면(1912)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패널(120)은 미들 블록(1910)의 제 1면(191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후술할 회로기판(340)은 미들 블록(1910)의 제 2면(1912) 상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미들 블록(1910)은 본체(310)의 바닥판(1010)과 함께 배터리 수용부(1100)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들 블록(1910)의 제 2면(1912)은 본체(310)의 바닥판(1010)과 함께 배터리 수용부(1100)를 정의할 수 있다.
미들 블록(1910)은 복수의 보스(boss)(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스(1500)는 미들 블록(1910)의 제 2면(191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보스(1500)는 복수의 가이드 홀(1400)에 대응하도록 배터리 수용부(1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800)는 복수의 보스(15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고정부재(1800)는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을 관통하여 복수의 보스(15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800)에 의해 미들 블록(1910)은 본체(3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미들 블록(1910)은 리브(rib)(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1600)는 본체(310)의 격벽(1300)에 대응하도록 미들 블록(1910)에 형성될 수 있다. 리브(1600)는 본체(310)의 격벽(1300)과 함께 배터리 수용부(1100)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리브(1600)는 미들 블록(1910)의 제 2면(191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브(1600)는 격벽(13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브(1600)는 격벽(1300)에 형성되는 리브 결합홈(1700)에 결합될 수 있다. 리브 결합홈(1700)은 리브(16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격벽(130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미들 블록(1910)과 본체(310)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부재(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800)는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을 관통하여 미들 블록(19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보스(15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800)와 복수의 보스(1500) 사이의 결합을 통해 미들 블록(1910)은 본체(3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고정부재(1800)와 복수의 보스(1500) 사이의 결합을 통해 미들 블록(1910)은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800)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복수의 고정부재(1800)의 종류는 스크루에 한정하지 않는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회로기판(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340)은 감지패널(120)에서 판독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한다. 회로기판(340)은 엑스선 디텍터(10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10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회로기판(340)은 본체(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로기판(340)은 미들 블록(191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340)은 미들 블록(1910)의 제 2면(1912)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340)은 메모리 및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엑스선의 조사 각도에 따른 대상체의 그림자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부는 감지패널(120)에 맺히는 대상체의 그림자 형상과 메모리의 그림자 정보에 기초하여 엑스선의 조사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메모리 및 연산부는 엑스선 디텍터(1000)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감지패널(120)과 회로기판(3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3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본체 커버(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커버(350)는 개방된 본체(310)의 일 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체 커버(350)는 카본 플레이트 등과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 커버(350)의 일 면에는 데코 시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배터리(3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95)는 배터리 수용부(1100)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395)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배터리 커버(39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390a)는 배터리 수용부(1100)를 개폐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커버(390a)는 배터리 수용부(1100)를 개폐하도록 본체(310)의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는 결합모듈(미도시)이 결합되는 단자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500)는 결합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1000)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자부(500)는 회로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모듈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엑스선 디텍터(100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모듈은 단자부(500)와의 결합을 통해 회로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자부(500)는 본체(310)의 측벽(315)에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1000)에 외력이 가해지면 미들 블록(1910)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800)는 미들 블록(1910)을 본체(310)에 결합시킴으로써 미들 블록(1910)의 움직임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브(1600)는 격벽(1300)과의 결합을 통해 미들 블록(1910)을 본체(310)에 결합시킴으로써 미들 블록(1910)의 움직임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1000)에 복수의 미들 블록(1910) 움직임 방지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엑스선 디텍터(100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미들 블록(1910)이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들 블록(1910) 상에 배치되어 미들 블록(1910)과 일체로 움직이는 감지패널(120)의 움직임 또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감지패널(120)이 본체(310)에 충돌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감지패널(12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미들 블록 및 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다양한 미들 블록 움직임 방지 구조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8은 도 17a의 일부를 A-A'으로 절개한 단면도다. 이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1000)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도 17a에 도시된 미들 블록 움직임 방지 구조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2000)는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엑스선 디텍터(20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10)는 일 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bo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310)는 배터리 수용부(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100)는 배터리(395)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수용부(1100)는 본체(310)의 바닥판(10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수용부(1100)는 바닥판(1010)의 가장자리로부터 바닥판(1010)의 내측방향으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1100)는 본체(310)의 바닥판(1010) 및 미들 블록(192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체(310)는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은 배터리 수용부(1100)의 둘레를 따라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은 배터리 수용부(110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은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390a)는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310)는 격벽(1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벽(1300)은 배터리 수용부(1100)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격벽(1300)은 배터리 수용부(1100)를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격벽(1300)의 일 단부는 서로 마주하는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의 일 측에 연결되고, 격벽(1300)의 다른 단부는 서로 마주하는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의 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격벽(1300)은 배터리 수용부(1100)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격벽(1300)에 의해 구획되는 배터리 수용부(1100)의 복수의 공간의 개수 및 크기는 복수의 공간에 수용되는 복수의 배터리의 개수 및 크기에 대응한다.
본체(310)는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은 배터리 수용부(1100)의 둘레를 따라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은 복수의 고정부재(180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800)는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을 관통하여 미들 블록(1920)에 형성되는 복수의 보스(150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은 일 측이 개방된 홀(hole)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7a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는 복수의 결합보스(1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중공을 가지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중공을 가지도록 격벽(130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격벽(13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배터리 커버(390a)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중공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복수의 결합보스(195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미들 블록(1920)은 복수의 결합돌기(19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1960)는 복수의 결합보스(1950)에 대응하도록 미들 블록(192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1960)는 미들 블록(1920)의 제 2면(191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1960)는 복수의 결합보스(195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결합돌기(1960)는 복수의 결합보스(1950)의 중공에 삽입되어 복수의 결합보스(195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는 복수의 결합보스(1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중공을 가지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중공을 가지도록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서로 마주하는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격벽(1300)과 평행한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의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은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장변과, 복수의 장변에 연결되어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장변에는 복수의 가이드 홀(1400)이 형성되고, 각각의 복수의 단변에는 복수의 결합보스(19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단변은 격벽(1300)과 평행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배터리 커버(390a)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중공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복수의 결합보스(195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미들 블록(1920)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돌기(1960)는 복수의 결합보스(195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는 복수의 결합보스(1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중공을 가지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배터리 커버(390a)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는 중공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복수의 결합보스(195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미들 블록(1920)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돌기(1960)는 복수의 결합보스(195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보스(1950)의 일부는 도 17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격벽(1300)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결합보스(1950)의 다른 일부는 도 17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에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2000)에 외력이 가해지면 미들 블록(1920)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재(1800)는 미들 블록(1920)을 본체(310)에 결합시킴으로써 미들 블록(1920)의 움직임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결합돌기(1960)는 복수의 결합보스(1950)와의 결합을 통해 미들 블록(1920)을 본체(310)에 결합시킴으로써 미들 블록(1920)의 움직임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엑스선 디텍터(2000)에 다양한 복수의 미들 블록(1920) 움직임 방지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엑스선 디텍터(200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미들 블록(1920)이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들 블록(1920) 상에 배치되어 미들 블록(1920)과 일체로 움직이는 감지패널(120)의 움직임 또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감지패널(120)이 본체(310)에 충돌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감지패널(12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배터리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3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1000)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서 도면부호 "3000"은 제 5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디텍터를 지칭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3100)는 복수의 돌기(31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111)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111)는 배터리 커버(3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돌기(3111)는 배터리 커버(3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111)는 배터리 수용부(1100)와 마주하는 배터리 커버(3100)의 일 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는 복수의 돌기 결합홈(3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결합홈(3222)은 복수의 돌기(3111)와 대응하도록 본체(310)의 바닥판(101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돌기 결합홈(3222)은 본체(310)의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120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111)는 복수의 돌기 결합홈(32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3100)에는 배터리 수용부(110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는 배터리 수용부(1100)와 마주하는 배터리 커버(310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엑스선 촬영장치 10: 촬영테이블
20: 촬영스탠드 40: 가이드레일
45: 이동캐리지 50: 포스트프레임
70: 엑스선 소스 71: 엑스선 튜브
72: 콜리메이터 120: 감지패널
130: 입사면 170: 워크스테이션
171: 입력부 172: 디스플레이부
300,400: 엑스선 디텍터 310: 본체
311,411,1010: 바닥판 312: 융기부
312a: 수직 연장부 312b: 수평 연장부
313: 리브 314: 결합홈
315: 측벽 320: 미들 블록
321: 보스 330: 완충부재
331: 제 1완충부재 332: 제 2완충부재
340: 회로기판 350: 본체 커버
360: 쿠션부재 361: 제 1쿠션부재
362: 제 2쿠션부재 370: 충격이동경로
380: 핸들 390,390a: 배터리 커버
395: 배터리 397: 배터리 수용부
420: 고정부재 411a: 홈부
500: 단자부 14,24: 장착부
700: 제어부 800: 통신부
910: 서버 920: 의료장치
930: 휴대용 단말기 1000,2000,3000: 엑스선 디텍터
1100: 배터리 수용부 1200: 배터리 수용부 프레임
1300: 격벽 1400: 가이드 홀
1500: 보스 1600: 리브
1700: 리브 결합홈 1800: 고정부재
1910,1920: 미들 블록 1950: 결합보스
1960: 결합돌기 3100: 배터리 커버
3111: 돌기 3222: 돌기 결합홈
341: 연성회로기판 1911: 제 1면
1912: 제 2면 4000: 신틸레이터

Claims (20)

  1.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보스를 가지는 미들 블록; 및
    상기 보스가 상기 결합홈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홈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 벽을 형성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융기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 1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융기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의 다른 일 벽을 형성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리브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 2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융기부 상에 지지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폐루프(closed loop)형상을 가지는 엑스선 촬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패널은 상기 본체와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측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9.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측벽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보스를 가지는 미들 블록;
    상기 본체의 측벽 및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따라 형성되는 충격이동경로; 및
    외부충격이 상기 감지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충격이동경로 상에 마련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엑스선 디텍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폐루프(closed loop)형상을 가지는 엑스선 디텍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 벽을 형성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스와 마주하도록 상기 융기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엑스선 디텍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본체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측벽과 평행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 벽을 형성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리브에 밀착 배치되는 엑스선 디텍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스와 마주하도록 상기 리브에 밀착 배치되는 엑스선 디텍터.
  15.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및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엑스선 디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엑스선 디텍터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엑스선 소스에서 조사된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감지패널;
    상기 감지패널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보스를 가지는 미들 블록; 및
    상기 미들 블록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홈에 대한 상기 보스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어 상기 미들 블록을 상기 바닥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바닥판을 관통하여 상기 미들 블록의 보스에 결합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패널은 상기 본체와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미들 블록은 상기 측벽과 이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바닥판의 외측에 배터리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 벽을 형성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융기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융기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홈의 다른 일 벽을 형성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상기 리브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엑스선 촬영장치.
KR1020170008009A 2016-07-18 2017-01-17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KR20180009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53,165 US10531847B2 (en) 2016-07-18 2017-07-18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0577 2016-07-18
KR1020160090577 2016-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300A true KR20180009300A (ko) 2018-01-26

Family

ID=6102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009A KR20180009300A (ko) 2016-07-18 2017-01-17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93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2196B2 (ja) 電子カセッテ
JP5110784B2 (ja) 衝撃吸収性カバーを設けたx線検出器
US7581885B2 (en) Method and system of aligning x-ray detector for data acquisition
US7359482B2 (en) X-ray detector system
CN104905806B (zh) 可移动式放射线摄影装置及箱体
US10335111B2 (en) Electronic cassette system and electronic cassette
JP5908668B2 (ja) 可搬型放射線撮影装置
US10338238B2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891871B2 (ja) 可搬型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5104765B2 (ja) 可搬型放射線画像撮影装置
CN103220979A (zh) 数字x 线检测装置
JP2012150320A (ja) 放射線画像検出カセッテ
US20180008216A1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686207B2 (ja) 電子カセッテ
US10531847B2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80132806A1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2001897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robustness in a digital radiographic capture device
KR20180009300A (ko)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JP2010127882A (ja) 放射線画像検出装置
JP5445651B2 (ja) 可搬型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10164881A (ja) 放射線画像撮影用のカセッテ
JP2016182345A (ja) 電子カセッテ
KR20180006268A (ko) 엑스선 디텍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장치
EP4014071B1 (en) Radiographic detector
JP6546257B2 (ja) 電子カセッ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