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762A - 자동차의 전자 장치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자 장치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762A
KR20180054762A KR1020187010843A KR20187010843A KR20180054762A KR 20180054762 A KR20180054762 A KR 20180054762A KR 1020187010843 A KR1020187010843 A KR 1020187010843A KR 20187010843 A KR20187010843 A KR 20187010843A KR 20180054762 A KR20180054762 A KR 2018005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ectronic device
sidewall
wal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955B1 (ko
Inventor
칼-하인츠 로젠탈
마티아스 마르케르트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18005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5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joining features of the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14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ligh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하우징(1)은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해 특정된다. 전자 장치 하우징(1)은, 제 1 베이스 플레이트(40) 및 제 1 측 벽(42)을 갖는 제 1 하우징 쉘(5)은 물론,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제 2 측 벽(12)을 갖는 제 2 하우징 쉘(4)을 갖는다. 제 1 측 벽(42)은 완전히, 또는 적어도 일 부분적으로, 이중 벽들로 여기서 구현되며, 결과적으로, 그루브-형 벽 중간 공간(50)이 제 1 측 벽(42)의 외부 부분 벽(48)과 내부 부분 벽(46) 사이에 형성된다. 하우징(1)의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측 벽(12)은 이 벽 중간 공간(50)으로 넣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자 장치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
본 발명은 자동차(motor vehicle)의 전자 장치(electronics)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이 전자 장치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대한 전자 제어 디바이스(특히, 테일 게이트 제어 디바이스(tailgate control device))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자동차들에는 복수의 전자 제어 디바이스들이 통례적으로 장비된다.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의 통상적인 예는 테일 게이트 제어 디바이스, 즉 자동차의 모터-조정 가능 테일 게이트에 대한 모터 제어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는 보통, 제어 디바이스의 전자 장치가 수용되는 전자 장치 하우징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는 통상적으로 전자 컴포넌트들, 특히 마이크로제어기로 채워지는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 하우징은 특히 침투하는 물에 대하여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은 여기서, 낙수(dripping water)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전자 장치 하우징은 통례적으로, 효과적인 ESD 보호를 제공하도록, 즉 정전기 방전(쇼트에 대한 ESD)에 의한 손상에 대하여 내부에 수용된 전자 장치를 보호하도록 의도된다.
종래의 전자 장치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래칭 연결(클립 연결)에 의해 폼-피팅(form-fitting)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2 개의 하우징 쉘들로 형성된다. 여기서, 2 개의 하우징 쉘들의 측 벽들은 일반적으로 2 개의 측 벽들의 에지 상에 상보적으로 적층된 윤곽을 따라 약간 오버랩된 채로 서로 상에 포지셔닝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장치 하우징은 외부 측 상에서 오버랩되는 하우징 쉘에 수직으로 충돌하는 낙수에 대해서만 충분한 보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최적의 낙수 보호를 위해, 이러한 전자 장치 하우징은 외부 측 상에서 오버랩되는 하우징 쉘이 상향을 가리키는 이러한 방식으로, 이에 따라 하우징 쉘들 사이의 분리가 수평면에 놓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항상 장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치 상황은 통례적으로, 자동차의 국한된 설치 공간을 고려하면 정밀하게 보장될 수 없다. 오히려, 전자 장치 하우징들은 여기서 빈번하게, 비스듬히 또는 에지 상에 장착되어야 하며, 결과적으로, 하우징 쉘들 사이의 분리는 비스듬하거나 수직 평면에 놓인다. 이 경우에, 액체, 특히 낙수가 하우징 쉘들 사이에서 하우징 내부로 스며들고 거기서 전자 장치의 부식 또는 심지어, 전기 단락으로 이어지는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 장치 하우징은 종종 제한된 ESD 보호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근거를 둔 목적은, 특히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특히, 침투하는 액체(예를 들어, 낙수) 및/또는 ESD에 대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자동차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을 특정하는 것이다.
전자 장치 하우징과 관련하여,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자동차에 대한 제어 디바이스(특히, 테일 게이트 제어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이 목적은 청구항 16의 특징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유리하며, 그리고 일부 경우들에서, 그 자체로 독창적인 본 발명의 설계 형태들 및 개발들은 종속항들 및 하기 설명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 하우징은 전자 장치를 수용하는 즉, 특히, 전자 컴포넌트들로 채워지고 자동차에서의 사용을 의도한 인쇄 회로 보드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 장치 하우징은 제 1 하우징 쉘 및 제 2 하우징 쉘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 쉘은 베이스 플레이트 및 그로부터 돌출하는 주변 측 벽을 포함한다. 제 2 하우징 쉘은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 및 그로부터 돌출하는 주변 측 벽을 포함한다. "주변 측 벽"이라는 용어는 2 개의 측 벽들 각각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폐쇄된 프레임으로서 연관된 베이스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2 개의 측 벽들 각각은 여기서, 예를 들어, 케이블들 또는 동작 엘리먼트들(예를 들어, 스위치들, 광 표시기들 등)의 리드쓰루들(leadthrough)로서 역할을 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컷아웃들, 슬롯들 또는 다른 개구들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생산 또는 기능상의 이유들로 요구된다. 따라서, 각각의 하우징 쉘은 여물통-형상(trough-shaped) 설계로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각각의 하우징 쉘은 한 측으로 개방되고 내부를 한정하는 중공 바디를 형성한다. 여기서, 2 개의 하우징 쉘들의 측 벽들은 (장착된 상태에서) 조립되거나 조립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하우징 쉘들은 (임의의 존재하는 리드쓰루들 또는 접촉 개구들과 별개로) 폐쇄되는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이 목적을 위해, 2 개의 측 벽들은 단면이 균일한 윤곽을 갖는다.
용어 구별을 이끌어 내기 위해, 제 1 하우징 쉘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이하 "제 1 베이스 플레이트"로 또한 지정되고, 제 1 하우징 쉘의 측 벽은 또한 "제 1 측 벽"으로 지정된다. 상응하게, 제 2 하우징 쉘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이하 "제 2 베이스 플레이트"로 또한 지정되고, 제 2 하우징 쉘의 측 벽은 또한 "제 2 측 벽"으로 지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제 1 측 벽, 즉, 제 1 하우징 쉘의 측 벽은 완전히 또는 적어도 일 부분적으로 이중-벽이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 1 측 벽은 서로 이격된 2 개의 부분 벽들, 즉 내부 부분 벽과 외부 부분 벽에 의해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그루브-형 벽 내부공간이 서로 이격된 2 개의 부분 벽들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1 측 벽은 (제 1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횡방향으로 측정된) 그의 높이의 지배적인 프랙션(즉, 50 % 초과)에 걸쳐 이중-벽이 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측 벽은 그의 높이의 큰 부분(예를 들어, 75 % 초과, 또는 80 % 초과) 또는 심지어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 이중-벽이 되도록 설계된다.
하우징의 조립된 상태에서, 제 2 측 벽이 제 1 측 벽의 벽 내부공간에서 맞물리는 이러한 방식으로 2 개의 하우징 쉘들이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다. 따라서, 2 개의 측 벽들은 은촉붙임(tongue and groove) 원리에 따라 영역이 오버랩하고(이하, "오버랩하는 영역"으로 지정됨), 제 1 측 벽의 2 개의 부분 벽들은 제 2 측 벽 주위에서 맞물린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2 개의 하우징 쉘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 안에 플러깅된다는 사실 덕분에, 2 개의 하우징 쉘들의 미로-형 연결 지점이 생성되고, 이를 통해, 하우징은 특히 간단하지만 동시에 침투하는 액체, 특히 낙수에 대해서는 물론 정전기 방전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방식으로 보호된다. 또한, 종래의 전자 장치 하우징들과 비교하여 증가된 벽 두께는 오버랩하는 영역에서 2 개의 측 벽들의 오버랩을 통해 조립된 하우징을 발생시키고, 그리하여 조립된 하우징은 증가된 정도의 안정성을 획득한다. 또한, 기능상의 이유들로 또는 툴-관련 이유들로 벽에 존재해야 하는 개구들이 측 벽들의 네스팅 어레인지먼트(nesting arrangement)에 의해 커버되고 이에 따라 단단하게 폐쇄될 수 있다.
침투하는 액체, 특히 낙수에 대한 하우징의 보호 효과를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 개의 하우징 쉘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정의된 방식으로 하우징과 충돌하는 액체를 배출(drain)시키는 역할을 하는 액체 채널링(liquid channeling)을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 쉘은 제 1 측 벽의 2 개의 부분 벽들이 연결되게 하는 그루브 베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유출 개구에 의해 천공된다. 여기서, 유출 개구 또는 각각의 유출 개구는 전자 장치 하우징의 외부 측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제 1 측 벽의 벽 내부공간으로 제 1 및 제 2 하우징 쉘의 측 벽들(이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 안에 플러깅됨) 사이로 스며드는 것이 가능한 액체는 유출 개구 또는 각각의 유출 개구를 통해 하우징 외부 측으로 흘러내리게(flow off) 된다. 그리하여, 액체는 결국 벽 내부공간에 축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의 하우징 외부-형 입구(housing outer-type mouth)에서, 유출 개구 또는 각각의 유출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파라펫(parapet) 방식으로 ― 주변 웹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 웹 덕분에, 유출 개구 또는 각각의 유출 개구는 제 1 하우징 쉘의 외부-측 표면과 동일 평면으로 개방되지 않는다. 오히려, 유출 개구 또는 각각의 유출 개구의 하우징 외부-측 입구는 파라펫-형 웹 덕분에 제 1 하우징 쉘의 주변 표면에 대해 상승되는데, 즉 제 1 하우징 쉘의 주변 표면 위로 돌출한다. 이는 액체가 제 1 하우징 쉘의 표면으로부터 유출 개구로 ― 의도된 액체 채널링의 반대 방향으로 ― 흐를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오히려, 이러한 액체는 할당된 유출 개구 주위의 웹에 의해 타겟팅된 방식으로 채널링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웹은 하우징 외부 측 상의 제 2 하우징 쉘 상에 배열되며, 이 웹은 제 2 하우징 쉘의 주변 표면에 대해 상승되고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 주위에서 ― 재차, 파라펫 방식으로 연장된다. 이 웹은 액체가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 및 인접한 측 벽의 에지 위에서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오히려, 웹은 제 2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축적된 액체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미리 결정된 지점들에서만 흘러내리도록 허용한다. 이 목적을 위해, 웹은 이 지점들에 또는 이들 각각에,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로 이어지는 드레인(예를 들어, 웹의 중단부의 형태)을 제공한다. 웹에 더하여 또는 웹 대신에,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 2 하우징 쉘은 제 2 하우징 쉘의 주위 표면에 대해 후퇴되는 채널이 하우징 외부 측 상에 제공된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된 웹과 마찬가지로, 이 채널은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 주위에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여기서, 특히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까지의 주변 채널의 개구의 형태로,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로 이어지는 드레인을 갖는다. 여기서, 채널은, 이 채널이, 액체가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 위에서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오히려, 타겟팅된 방식으로 드레인 또는 각각의 드레인으로 이러한 액체를 안내한다는 점에서 위에서 설명된 웹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여기서, 제 2 베이스 플레이트 주위에서 연장되는 웹의 또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 주위에서 연장되는 채널의 드레인 또는 각각의 드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측 벽의 그루브 면에서의 할당된 유출 개구와의 상조적인 상호작용(synergistic interaction)에 사용된다. 여기서, 드레인 또는 각각의 드레인은, 그것이 의도된 액체 채널링의 방향(특히,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횡방향)으로 할당된 유출 개구와 정렬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 상에 배열된다. 여기서, 드레인을 통해 제 2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흘러내리는 액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1 측 벽의 벽 내부공간으로 침투하지만, 이 액체는, 할당된 유출 개구를 통해 짧은 거리에 걸쳐 거기서 외부로 다시 배출된다.
액체 채널링을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 제 2 측 벽에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 주위에서 연장되는 웹 또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 주위에서 연장되는 채널의 드레인 또는 각각의 드레인에 인접한 영역에 있는 유출 채널이 제공된다. 이 유출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제 2 측 벽의 주위 표면에 대해 상승되는 2 개의 적어도 대략 평행한 웹들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유출 채널 또는 각각의 유출 채널은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 2 측 벽의 주위 표면에 대해 후퇴되는 하나의 채널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출 채널은 특히, 할당된 드레인으로부터 시작하여, 그것이 벽 내부공간의 그루브 베이스의 선택적으로 할당된 유출 개구를 향하여 배향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측 벽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서, 액체를 채널링하기 위해 제공되는 수단은, (하우징 쉘들의 조립된 상태에서) 벽 내부공간에서 이 측 벽이 맞물리는 영역에서 제 2 측 벽 상에 배열되는 주변의 상승된 (즉, 제 1 측 벽의 부분 벽의 방향으로 돌출함) 밀봉 에지이다. 여기서, 밀봉 에지는 특히 제 2 측 벽의 외부 측 상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부 다른 방식으로 장착되며, 따라서 제 1 측 벽의 외부 부분 벽을 향한다. 그러나, 밀봉 에지 또는 추가의 밀봉 에지가 제 2 측 벽의 내부 측 상에 장착된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한 고려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밀봉 에지는 또한 제 1 측 벽의 부분 벽들 중 하나 상에서 동일한 효과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밀봉 에지는 제 2 측 벽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여기서, 밀봉 에지 또는 각각의 밀봉 에지는 제 2 측 벽과 제 1 측 벽의 대향하는 부분 벽 사이에 형성된 슬롯이 보다 정밀하게 되도록 그것이 벽 내부공간을 밀봉하는 효과를 갖는다.
제 1 측 벽의 부분 벽들 사이의 그루브 베이스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유출 개구들에 의해 개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서, 밀봉 에지는 또한 개선된 액체 채널링의 목적을 위해 유출 개구 또는 각각의 유출 개구의 영역에서 중단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에서, 전기 연결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개구 또는 플러그 리세스가 2 개의 하우징 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된다. 액체가 플러그 개구 또는 플러그 리세스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개구 또는 플러그 리세스 또는 각각의 플러그 개구 또는 플러그 리세스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개구 또는 플러그 리세스 주위로 액체를 채널링하는 ― 재차, 파라펫 방식으로 - 주변 웹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 1 하우징 쉘은 바람직하게는, 전자 장치를 보유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 주변 공간에서 전자 장치 하우징의 배향과 무관하게 ― 제 1 하우징 쉘은 또한 하부 쉘로 지정되는 반면에, 제 2 하우징 쉘은 이 경우에 커버 쉘로서 또한 지정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전자 장치가 제 2 하우징 쉘에 고정되는 것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 가능하다. 각각의 경우에, 하우징 쉘들은 바람직하게는, 2 개의 하우징 부분들의 조립된 상태에서, 제 1 측 벽 및 제 2 측 벽의 양자의 부분 벽들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전자 장치의 인쇄 회로 보드를 보유하도록 설계된다. 즉, 인쇄 회로 보드는, 그것이 제 1 및 제 2 측 벽의 오버랩하는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 쉘들에 의해 보유된다. 결과적으로, 특히 효과적인 ESD 보호가 달성되는 것으로 인지된다.
2 개의 하우징 쉘들은 바람직하게는, 폼-피팅 방식으로, 특히, 래칭 연결(클립 연결)에 의해 서로 상에 유지된다. 이 목적을 위해, 2 개의 하우징 쉘들의 폼-피팅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 엘리먼트는 벽 내부공간 내에 또는 벽 내부공간을 향하는 제 1 측 벽의 벽 표면 상에 배열되는 반면에, 대응하는 제 2 연결 엘리먼트는 벽 내부공간에서 의도된 대로 맞물리는 제 2 측 벽의 부분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 개의 상호작용하는 연결 엘리먼트들 및 또한, 이에 따른 하우징 쉘들의 폼-피팅 연결은 하우징 쉘들의 조립된 상태에서 이중 벽으로 된 제 1 측 벽의 부분 벽들 사이에 수용되고, 그리하여 손상 또는 부적절한 개방으로부터 보호된다.
여기서, 유리한 실시예에서, 연결 엘리먼트들은, 특히, 이들이 측 벽의 에지들을 넘어 거기서 돌출하지 않는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하우징 쉘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규격 덕분에, 하우징 쉘들은 특히 견고한 설계를 갖고, 이에 따라 특히 단순한 장착 또는 로지스틱스(logistics)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하우징 쉘들은 결과적으로, 연결 엘리먼트들의 파손을 걱정할 필요 없이 벌크 상품들로서 운송 및 저장될 수 있다.
적절한 실시예에서, 제 1 하우징 쉘에 할당된 연결 엘리먼트는 래칭 노즈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하우징 쉘에 할당된 연결 엘리먼트는, 받침대(abutment)로서 래칭 후크에 대응하는 컷아웃(아이)에 의해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2 개의 하우징 쉘들이 함께 클리핑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한 어레인지먼트에서, 래칭 노즈는 이중의 제 1 측 벽 상에, 특히 하우징 내부를 향하는 내부 부분 벽의 벽 표면 상에 스프링-장착된다.
그럼에도, 제 1 측 벽에 의해 보호되는 연결 엘리먼트들에도 불구하고 하우징 쉘들 사이의 폼-피팅 연결을 해제할 수 있게 되기 위해, 연결 엘리먼트들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쉘들의 조립된 상태에서, 이들이 하우징 쉘들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유출 개구 또는 유출 개구들 중 하나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하우징 쉘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연결 엘리먼트들이 대부분, 비인가 액세스를 박탈하지만, 이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 특히, 특수 툴을 사용하여 ― 하우징의 파손 없는 개방을 허용한다.
전자 장치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 부분으로서, 특히 테일 게이트 제어 디바이스로서 사용되고, 이 경우에, 제어 디바이스의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 될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에 대한 테일 게이트 제어 디바이스의 전자 장치 하우징을 사시도로 도시하며, 이 하우징은 하부 쉘과 커버 쉘로 구성된다.
도 2는 커버 쉘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에 대한 뷰와 함께 커버 쉘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은 하부 쉘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에 대한 뷰와 함께 하부 쉘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섹션 IV-IV에서 전자 장치 하우징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섹션 V-V에서 전자 장치 하우징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4와 비교하여 회전된 사시도로 도 1의 섹션 IV-IV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섹션 VII-VII에서 전자 장치 하우징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8은 하부 쉘을 그의 외부 측 뷰와 함께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9는 커버 쉘의 비스듬한 평면도에서의 전자 장치 하우징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의 도면 평면과 평행한 섹션에서 전자 장치 하우징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11은 하우징에 수용된 전자 장치를 볼 수 있게 하도록 투명하게 예시된 커버 쉘과 함께 도 1에 따른 전자 장치 하우징을 도 9에 따른 예시로 도시한다.
도 12는 전자 장치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 장치 하우징의 하부 쉘을 도 9에 따른 예시로 도시한다.
서로 대응하는 부분들 및 변수들에는 항상 모든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된다.
도 1은 이하 상위 측(2)으로 지정된 하우징 측의 뷰와 함께,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자 장치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전자 장치) 하우징(1)을 도시한다. "상위" 또는 "하위"와 같은 포지션-정의 용어들은 도 1에 예시된 하우징(1)의 배향을 지칭하며, 이하, 주변 공간에서 하우징(1)의 실제 배향과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자동차 상에 또는 그 내부의 하우징(1)의 의도된 장착 포지션은 이 용어의 선택에 의해 표시된 배향과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 하우징은 또한 자동차에 비스듬히 또는 에지 상에 "뒤집혀(upside down)"(즉, 상위 측(2)에서 하부로)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제어 디바이스(3)의 구성 부분이다.
하우징(1)은 하우징 쉘(커버 쉘(4)로 지정됨) 및 하우징 쉘(하부 쉘(5)로 지정됨)을 포함하며, 여기서 2 개의 하우징 쉘들은 실질적으로 폐쇄된 하우징(1)을 형성하도록 조립된다. 단순화된 형태로 간주되는 하우징(1)은 평평한 평행 육면체 설계로 이루어지며, 인쇄 회로 보드(6)(도 11)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8)(도 11)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의 면적 범위는 인쇄 회로 보드(6)의 면적 범위에 대략 대응한다. 하우징(1)은 예를 들어, 약 15 % 내지 30 %의 유리 섬유 분율을 갖는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PA(폴리아미드) 유형의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전자 장치(8)는 비히클의 테일 게이트 드라이브를 제어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가 실행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는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한다. 하우징(1)의 상위 측(2) 상에, 제어 라인들 또는 에너지 공급 라인들을 하우징 내부의 전자 장치(8)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3 개의 플러그 연결들(9)(어그리게이트 연결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 쉘(4)은 한 측으로 개방되는 대략 평평한 평행 육면체 몰딩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커버 쉘(4)은 개략적으로 직사각형이고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이하, 커버 플레이트(10)로서 지정됨)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10)는 커버 플레이트(10)로부터 대략 직교하게 돌출하는 측 벽(12)에 의해 전체적으로 둘러싸인다. 커버 쉘(4)은 내부(14)를 둘러싼다.
플러그 연결들(9)을 위한 3 개의 리셉터클들(15)이 커버 플레이트(10)로부터 형성된다. 각각의 리셉터클은 상위 측(2)으로 개방되는 여물통-형 오목부(trough-like depression)(플러그 리세스)로서 내부(14) 내로 돌출한다. 각각의 리셉터클들(15)에는 접촉 핀들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들이 제공된다.
영역(16)에서, 커버 플레이트(10)는 부분적으로 감소된 하우징 높이를 갖도록 계단식으로(in a step) 내부(14)로 후퇴된다.
센터링 구조(18)는 내부 측 상의 측 벽(12)으로부터 한 지점에서 돌출하고, 하우징(1)에 의도된 대로 수용된 인쇄 회로 보드(6)의 포지셔닝 및 포지션 고정 역할을 한다.
측 벽(12)은 본질적으로 커버-플레이트 측 제 1 부분(20)과 에지-측 제 2 부분(22)으로 세분되며, 여기서 제 2 부분(22)은 제 1 부분(20)에 대해 외향으로 계단식으로 오프셋된다. 그 결과, 한편으로, 주변 정지부(26)는 내부(14)를 향하는 (벽) 내부 측(24) 상에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경사진 스텝(beveled step)(30)은 내부 측(24)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벽) 외부 측(28) 상에 형성된다.
측 벽(12)은 커버 쉘(4)과 하부 쉘(5)의 폼-피팅 연결을 위한 연결 엘리먼트로서 각각 역할을 하는 복수의 개구들(32)에 의해 제 2 부분(22)의 영역에서 천공된다(breach). 각각의 개구(32)는 측 벽(12)의 외부 에지(35)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개별 개구들(32)은 커버 쉘(4)의 길이 또는 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여기서, 각각의 개구(32)는 슬롯-형의 대략 직사각형의 윤곽을 갖는다.
개구들(32) 각각에 인접하여, 웹들(web)(36)이 주로 제 1 부분(20)의 영역에서 측 벽(12)의 외부 측(28)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웹들은 주변 하우징 표면에 대해 돌출한다. 개구(32)로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웹(36)은 하우징(1)의 상위 측(2)의 방향으로 측 벽(12)의 길이방향 범위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각각의 경우마다, 2 개의 웹들(36)은 좁은 (유출) 채널(38)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평행한 오프셋을 가진 채로 연장되며, 채널들(38) 각각은 개구들(32) 중 하나와 정렬된다. 밀봉 에지(39)로서의 웹 또는 돌출부는 부분(22)에서 외부 에지(35)와 평행하게 커버 쉘(4) 주위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밀봉 에지(39)는 각각의 경우마다 채널들(38)의 영역에서 중단되고, 각각의 경우마다, 웹들(36)의 단부와 접한 곳에서 종결된다.
도 3에 도시된 하부 쉘(5)은 커버 플레이트(10)와 일치하게 형성되는 즉, 마찬가지로 모서리들이 둥글게 되어 있는 개략적으로 직사각형인 베이스 플레이트(이하, 하부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체 하부 플레이트(40)는 균일한 평면에 놓여 있다. 하부 플레이트(40)는 주변의, 대략적으로 직교하게 돌출하는 측 벽(42)에 의해 둘러싸이고, 결과적으로 하부 쉘(40)은 내부(44)를 한정한다. 커버 쉘(4)과 대조적으로, 측 벽(42)은 하부 쉘(5)에서 사실상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 이중-벽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측 벽(42)은 하우징 외부 측 상에 배열되고 이에 따라 외벽(46)으로 지정되는 제 1 부분 벽 및 하우징 내부 측 상에 배열되고 이에 따라 내벽(48)으로서 지정되는 제 2 부분 벽으로 구성된다. 내벽(48) 및 외벽(46)은 적어도 대략적으로 평면-평행(plane-parallel) 방식으로 작은 거리만큼 서로 오프셋되도록 연장되며, 결과적으로 각 지점마다 대략적으로 균등한 폭인 좁은 (벽) 내부공간(interspace)(50)이 내벽(48)과 외벽(46) 사이에 형성된다. 내부공간(50)은 측 벽(42)의 외부 에지(52)에 대해 그루브의 방식으로 개방되고 하부 플레이트(40)에 의해 하우징 하부로 한정된다(delimited).
슬롯 쌍들(54)은 외부 에지(52)로부터 시작하여 내벽(48)으로 복수의 지점들에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2 개의 평행한 슬롯들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슬롯 쌍(54)은 내벽(48)의 좁은 (스프링) 부분(56)을 주변 벽으로부터 자유롭게 절단한다. 이들 부분들(58) 각각은 내벽(48)의 면적 범위에 대해 횡방향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 각각의 부분(56)은 커버 쉘(4)(도 2)의 개구들(32) 중 하나에 대응하는 연결 엘리먼트의 일부이다. 연결 엘리먼트들의 설계는 도 7을 참조하여 추후에 보다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하부 플레이트(40)는 그의 내부 측 상에 복수의 보강 립들(rib)(58)이 제공된다. 또한, 베어링 웹들(60)은 하부 플레이트(40)로부터 돌출하고 그 윤곽에서, 플러그 연결들(9)을 위한 리세스들(15)을 재현(reproduce)한다(도 2). 또한, 베어링 웹들(60)의 부근에서, 나사 돔들(62)이 하부 플레이트(40)로부터 형성되고 인쇄 회로 보드(6)를 하부 쉘(5)에 나사결합(screwing)시키는 역할을 한다(또한, 도 12 참조).
베어링 지점들(64)은 측 벽(42) 및 하부 플레이트(4)로부터 복수의 지점들에서 형성되고 베어링 웹들(60)과 상호 작용하여 인쇄 회로 보드(6)를 위한 베어링 표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부 쉘(5)을 보강한다.
하부 쉘(5)의 외부 측에서, 각각의 경우 마다 2 개의 러그들(66)이 양자의 길이방향 측들 상에서 돌출하고 하부 플레이트(40)와 일 평면에 놓인다. 각각의 러그(66)에는 하우징(1)을 비히클 부분에 나사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구멍(68)이 제공된다. 그러나, 하우징(1)은 또한 캐리어 등 상에서 고정될 수 있고, 그 후 캐리어의 부분이 비히클 부분에 고정된다.
도 4에 따른 섹션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커버 쉘(4)은 측 벽(12)의 부분(22)을 통해, 하부 쉘(5)의 내벽(48)과 외벽(46)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50) 내로 돌출한다.
더욱이, 예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 쉘(4)의 정지부(26)는, 리베이트(rebate) 방식으로 내벽(48)의 외부 에지(52) 상의 대응하는 스텝(step)과 상보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스텝으로 구성된다. 내벽(48)은 측 벽(12)의 부분(20)과 정렬되는 반면에, 부분(22)은 그의 외향으로 지향되는 오프셋에 의해 내부공간(50)에서 맞물린다. 여기서, 부분(22)은 그 높이가 하부 쉘(5)의 측 벽(42)의 높이에 대략 대응한다. 따라서, 부분(22)은 대략적으로 내부공간(50)에서, 이하 그루브 베이스(70)로서 지정되는, 내부공간(50)의 하부로 연장된다.
외벽(46)과 하부 플레이트(40) 사이에 형성된 하부 쉘(5)의 하위 에지(72)는 반경에 의해 주변부가 둥글게 된다.
부분(22)의 영역에서의 측 벽(12)의 벽 두께는 부분(20)에서의 벽 두께와 비교하여 감소된다. 여기서, 부분(22)의 벽 두께는 내부공간(50)의 폭보다 다소 작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결과적으로 부분(22)은 내부공간(50)의 길이방향 범위에 대해 횡방향으로 소정의 극간(certain play)을 가진 채로 수용된다. 여기서, 부분(22)은 내벽(48)의 외부 측(75) 상에서 평평하고 정확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베어링되는 그의 내부 측(74)을 갖는다.
밀봉 에지(39)는 부분(22)의 외부 측(76)과 외벽(46)의 내부 측(77) 사이에 형성된 갭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밀봉 에지(39)는 여기서 예시된 바와 같이, 주변 돌출부로서 하우징 쉘의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밀봉 에지(39)가 탄성 재료로 구성된 밀봉 립으로서 생성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도 4로부터 또한 명백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보드(6)는 이중 벽의 측 벽(12)(외벽(46) 및 내벽(48)을 가짐) 및 측 벽(42)이 오버랩하는 그 영역에서 주변 하우징 벽과 교차하는 평면 내에서 하우징(1) 내에 놓인다. 이 오버랩하는 영역에서 대략 3 배인 하우징(1)의 벽 두께는 정전기 방전의 위험이 안전하게 방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측 벽들(12, 42)의 상호-맞물림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낙수 수밀성(tightness)을 달성한다.
도 5는 먼저, 하우징(1)의 면적 범위가 대략 수직으로 배향되는 하우징(1)의 래터럴 설치 포지션을 여기서 도시한다. 화살표들은 여기서, 낙수에 의한 충돌의 경우에 하우징(1) 상의 중력-유도 물 유출(water runoff)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하우징(1) 상에서 충돌하는 낙수의 주요 유출 방향(80)은 하우징 표면의 계단-형 프로파일에 의해, 특히 스텝(30)에 의해 획득되며, 상기 주요 유출 방향은 2 개의 하우징 쉘들의 분리로부터 각각의 지점에서 멀어지게 지향된다. 그리하여, 내부공간(50)에 물이 축적되는 상황이 방지된다. 여기서, 2 개의 하우징 쉘들 및 밀봉 에지(39)의 미로-형 연결(labyrinth-like connection)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공간(50) 내로 침투하는 물이 하우징(1)의 내부로 통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6은 하우징(1)의 "뒤집힌" 설치 포지션을 도시하며, 여기서 하우징(1)의 면적 범위는 대략 수평으로 배향되고, 결과적으로 하우징(1)의 아래 측(81)은 위쪽을 가리킨다. 하우징(1)의 아래 측(81) 상에서의 물 충돌의 경우에 이 설치 포지션에 제공되는 주요 유출 방향(82)은 화살표로 다시 표시된다. 하위 에지(72) 상에 형성된 반경은 하부 플레이트(40)로부터의 물 유출을 돕는다는 것을 이 예시로부터 알 수 있다.
도 7에 따른 섹션은 한편으로는, 2 개의 하우징 쉘들의 폼-피팅 연결을 위한 전술한 연결 엘리먼트들의 상호작용을 예시한다. 따라서, 외향으로 돌출하는 ― 그리고 이에 따라 내부공간(50) 내로 튀어나오는 ― 래칭 노즈(latching nose)(90)가 하부 쉘(5)의 스프링 부분(56)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하우징(1)이 조립된 상태에서, 이 래칭 노즈(90)는 폼-피팅 연결의 형성과 함께 할당된 개구(32)에서 맞물린다.
다른 한편으로, 도 7은 하우징(1)이 도 1에 표현된 배향으로 장착되는 경우, 즉 상향으로 지향된 상위 측(2)을 갖는 경우의 낙수 채널링(dripping water channeling)을 예시한다. 측 벽(12) 상에 일체로 형성된 웹들(36) 각각은 주변 밀봉 에지(78)의 높이까지(그러나 웹들(36) 사이의 영역에서 중단됨) 내부공간(50)으로 돌출한다. 이 영역에서, 웹들(36) 주위에서 맞물리는 그루브(91)는 외벽(46)의 전체 높이에 걸쳐 외벽(46)의 내부 측(77) 상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도 10의 단면에서 볼 수 있는 통로는 내부공간(50) 내의 웹들(36) 사이에 형성되며, 이 통로를 통해, 웹들(36) 사이의 채널(38)에서 채널링되는 낙수는 내부공간(50) 내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공간(50)은 안으로 들어가는 낙수에 의해 채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채널(38)로의 리드쓰루(lead through)(92)가 그루브 베이스(70)에 통합되고 하우징(1)의 아래 측(81)으로 개방된다. 유출 개구로서 작용하는 이 리드쓰루(92) 덕분에, 내부공간(50) 내로 침투하는 낙수는 내부공간(50)으로부터 다시 채널링된다.
또한, 래칭 노즈(90)는 필요에 따라 하우징 쉘들의 폼-피팅 연결을 비파괴적으로 해제하기 위해 이러한 리드쓰루들(92)을 통해 대응하는 개구들(32)로부터 툴에 의해 해제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6 및 도 8에 따라, 리드쓰루들(92)은 하우징(1)이 뒤집힌 포지션(도 6)으로 장착되는 경우, 각각의 주변 웹(94)에 의해 하우징(1)의 아래 측(81) 상의 그의 출구에서 침투하는 물에 대하여 보호된다.
도 9는 또한 리셉터클들(15)(삽입된 플러그 연결들(9) 없이 여기에 도시됨)이 리셉터클들(15) 내로 낙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주변 웹(96)에 의해 각각 둘러싸인 것을 도시한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0)는 커버 플레이트(10) 및 측 벽(12)을 연결하는 상위 에지(98)에서 주위 표면에 대해 상승된 웹(100)에 의해 주변이 둘러싸인다. 래터럴 채널들(38)의 영역에서, 웹(100)은 각각의 중단부(101)(또는 갭)를 갖는다. 중단부(101)는 가능하게는, 커버 플레이트(10) 상에 축적될 수 있는 액체의 타겟팅된 배수를 달성한다. 이러한 액체는 웹(100)에 의해 그 내부에 포함된 중단부들(101)로 채널링되고, 중단부들(101)로 채널들(38) 및 인접 리드쓰루들(92)을 통해 흐른다. 대응하는 유출 방향(102)이 도 7의 화살표로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원주 그루브 또는 채널(104)이 웹(100)를 따라 커버 플레이트(10)에 부가적으로 통합된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의 경우마다 삽입된 전자 장치(8)를 갖는 하우징(1) 또는 하부 쉘(5)을 도시한다. 영역(16)에서의 하우징(1)의 높이는 전자 컴포넌트들로 채워진 인쇄 회로 보드(6)의 미리 결정된 어레인지먼트에 대한 설치 공간 최적화에 따라 적응된다는 것이 도 11로부터 알 수 있다. 도 12는 인쇄 회로 보드(6)가 나사들(110)에 의해 하부 쉘(5)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이 당업자에 의해 위의 설명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1 (전자 장치) 하우징
2 상위 측
3 테일 게이트 제어 디바이스
4 커버 쉘
5 하부 쉘
6 인쇄 회로 보드
8 전자 장치
9 플러그 연결
10 커버 플레이트
12 측 벽
14 내부
15 리셉터클
16 영역
18 센터링 구조
20 부분
22 부분
24 (벽) 내부 측
26 정지부
28 (벽) 외부 측
30 스텝
32 개구
35 외부 에지
36 웹
38 (유출) 채널
39 밀봉 에지
40 하부 플레이트
42 측 벽
44 내부
46 외벽
48 내벽
50 (벽) 내부공간
52 외부 에지
54 슬롯 쌍
56 (스프링) 부분
58 보강 립
60 베어링 웹
62 나사 돔
64 베어링 지점
66 러그
68 구멍
70 그루브 베이스
72 하위 에지
74 내부 측
75 외부 측
76 외부 측
77 내부 측
80 주요 유출 방향
81 하부 측
82 주요 유출 방향
90 래칭 노즈
91 그루브
92 리드쓰루
94 웹
96 웹
98 상위 에지
100 웹
101 중단
102 유출 방향
104 채널
110 나사

Claims (16)

  1.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으로서,
    ― 제 1 베이스 플레이트(40) 및 상기 제 1 베이스 플레이트(40)로부터 돌출하는 주변 제 1 측 벽(42)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 쉘(5)을 갖고, 그리고
    ―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돌출하는 주변 제 2 측 벽(12)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쉘(4)을 가지며,
    상기 2 개의 하우징 쉘들(4, 5)은 조립되거나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 1 측 벽(42)은 완전히 또는 적어도 일부분에 이중-벽이 되도록 설계되고, 결과적으로, 그루브-형 벽 내부공간(groove-like wall interspace)(50)이 상기 제 1 측 벽(42)의 외부 부분 벽(48)과 내부 부분 벽(46)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측 벽(12)은 이 벽 내부공간(50)에서 맞물리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 벽(42)은 그 높이의 지배적인 부분(predominant fraction)에 걸쳐 이중-벽이 되도록 설계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쉘(5)은 상기 제 1 측 벽(42)의 2 개의 부분 벽들(46, 48)이 연결되게 하는 그루브 베이스(groove base)(70)의 적어도 하나의 유출 개구(92)에 의해 천공되고(breach), 상기 유출 개구(92)는 상기 벽 내부공간(50)으로부터의 액체 유출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전자 장치 하우징(1)의 외부 측(81)으로 이어지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개구(92) 또는 각각의 유출 개구(92)는 주변 웹(peripheral web)(94)에 의해 상기 유출 개구(92) 또는 각각의 유출 개구(92)의 하우징 외부-측 입구 상에서 둘러싸이고, 결과적으로, 상기 유출 개구(92) 또는 각각의 유출 개구(92)의 하우징 외부-측 입구는 상기 제 1 하우징 쉘(5)의 주변 표면에 대해 상승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부 측 상의 제 2 하우징 쉘(4) 상에,
    - 상기 제 2 하우징 쉘(4)의 주변 표면에 대해 상승된 웹(100)이 배열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 상기 제 2 하우징 쉘(4)의 주변 표면에 대해 후퇴되는(set back) 채널(104)이 배열되어 있고,
    상기 웹(100) 및/또는 상기 채널(104)은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에지 주위에서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에지로 이어지는 드레인(101)을 가져서, 이 지점에서 상기 제 2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의 정의된 액체 유출을 허용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101) 또는 각각의 드레인(101)은 상기 유출 개구(92) 또는 상기 유출 개구들(92) 중 하나와 정렬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 벽(42)에는 상기 드레인(101)으로부터 나가는 액체를 채널링(channel)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101) 또는 각각의 드레인(101)에 인접한 영역에 유출 채널(38)이 제공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내부공간(50)을 밀봉하기 위해, 주변 밀봉 에지(39)는 상기 제 2 측 벽(12) 상에 또는 상기 제 1 측 벽(42)의 부분 벽(46, 48) 상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장착되고, 상기 밀봉 에지는 각각의 다른 측 벽(12, 42)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9. 제 3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에지(39)는 상기 제 1 측 벽(42)의 그루브 베이스(70)의 유출 개구(92) 또는 각각의 유출 개구(92)의 영역에서 중단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 개구 또는 플러그 리세스(15)가 상기 2 개의 하우징 쉘들(4, 5)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고, 상기 플러그 개구 또는 플러그 리세스(15) 또는 각각의 플러그 개구 또는 플러그 리세스(15)는 주변 웹(96)에 의해 둘러싸이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쉘(5)은 상기 전자 장치(8)를 보유하도록 설계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쉘들(5)은, 상기 2 개의 하우징 쉘들(4, 5)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측 벽(42) 및 상기 제 2 측 벽(12)의 양자의 부분 벽들(46, 48)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상기 전자 장치(8)의 인쇄 회로 보드(6)를 보유하도록 설계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의 하우징 쉘들(4, 5)의 폼-피팅 연결(form-fitting connection)을 위한 제 1 연결 엘리먼트(90)는 상기 벽 내부공간(50) 내에 또는 상기 벽 내부공간(50)을 향하는 제 1 측 벽(42)의 벽 표면(75) 상에 배열되는 반면에, 대응하는 연결 엘리먼트(32)는 상기 벽 내부공간(50)에서 의도된 대로 맞물리는 제 2 측 벽(12)의 부분(22) 상에 배열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2 개의 하우징 쉘들(4, 5)의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 엘리먼트들(32, 90)은 이중-벽으로 된 제 1 측 벽(42)의 부분 벽들(46, 48) 사이에 수용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엘리먼트들(32, 90)은, 이들이 각각의 할당된 측 벽들의 에지들 위로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각각의 하우징 쉘(4, 5) 상에 배열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15. 제 5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연결 엘리먼트들(32, 90)에 의해 유발된 하우징 쉘들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쉘들(4, 5)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유출 개구(92) 또는 상기 유출 개구들(92)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연결 엘리먼트들(32, 90)이 액세스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연결 엘리먼트들(32, 90)이 상기 각각의 하우징 쉘(4, 5) 상에 장착되는,
    자동차의 전자 장치(8)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1).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장치 하우징(1)을 갖는, 자동차에 대한 전자 제어 디바이스(3), 특히, 테일 게이트 제어 디바이스(tailgate control device).
KR1020187010843A 2015-09-23 2016-09-23 자동차의 전자 장치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 KR102059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8270.3A DE102015218270A1 (de) 2015-09-23 2015-09-23 Elektronikgehäuse für eine Elektronik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15218270.3 2015-09-23
PCT/EP2016/072634 WO2017050948A1 (de) 2015-09-23 2016-09-23 Elektronikgehäuse für eine elektronik in einem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762A true KR20180054762A (ko) 2018-05-24
KR102059955B1 KR102059955B1 (ko) 2019-12-27

Family

ID=5710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843A KR102059955B1 (ko) 2015-09-23 2016-09-23 자동차의 전자 장치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95423B2 (ko)
KR (1) KR102059955B1 (ko)
CN (1) CN108029210B (ko)
DE (1) DE102015218270A1 (ko)
WO (1) WO2017050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8221A1 (de) * 2017-08-10 2019-02-14 Connaught Electronics Ltd. Gehäuse mit zwei Gehäuseteilen, welche mittels einer Verbindungseinrichtung gekoppelt sind, und mit einem Entwässerungskanal
AT521021B1 (de) * 2018-05-25 2019-10-15 Miba Energy Holding Gmbh Leistungsbaugruppe mit Flüssigkeitsschutz
JP2019210027A (ja) * 2018-06-07 2019-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体の防液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4497609B (zh) * 2021-10-08 2024-01-16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壳体以及燃料电池
DE102022122510A1 (de) 2022-09-06 2024-03-07 Kiekert Aktiengesellschaft Antriebsgehäuse für kraftfahrzeug-technische Anwendung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4254A (en) * 1994-05-25 1996-11-12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sealing structure for an electric junction box
US6727806B1 (en) * 2002-10-18 2004-04-27 Jerold L. Massie Truck tailgate position indicator
JP2006074988A (ja) * 2004-07-31 2006-03-1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009099677A (ja) * 2007-10-15 2009-05-07 Daikin Ind Ltd 電装品ユニット
US20100127012A1 (en) * 2008-11-25 2010-05-27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box
US20150028731A1 (en) * 2012-01-26 2015-01-29 Keba Ag Housing for receiving electrotechnical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8849A (en) * 1989-11-15 1993-09-28 Modelec S.A. Spray-protected connection housing for electrical consumers
US6706984B1 (en) * 2002-11-20 2004-03-16 S. Chase Turner Device for remote activation of control box buttons
US7179990B2 (en) * 2004-07-31 2007-02-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 junction box
JP5785811B2 (ja) * 2011-08-02 2015-09-30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ボックス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5828290B2 (ja) * 2012-02-27 2015-12-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JP6164571B2 (ja) * 2014-07-23 2017-07-19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4254A (en) * 1994-05-25 1996-11-12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sealing structure for an electric junction box
US6727806B1 (en) * 2002-10-18 2004-04-27 Jerold L. Massie Truck tailgate position indicator
JP2006074988A (ja) * 2004-07-31 2006-03-16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009099677A (ja) * 2007-10-15 2009-05-07 Daikin Ind Ltd 電装品ユニット
US20100127012A1 (en) * 2008-11-25 2010-05-27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box
US20150028731A1 (en) * 2012-01-26 2015-01-29 Keba Ag Housing for receiving electrotechnical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0948A1 (de) 2017-03-30
CN108029210A (zh) 2018-05-11
US10595423B2 (en) 2020-03-17
CN108029210B (zh) 2020-07-31
US20180213666A1 (en) 2018-07-26
DE102015218270A1 (de) 2017-03-23
KR102059955B1 (ko) 201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4762A (ko) 자동차의 전자 장치에 대한 전자 장치 하우징
US7077281B2 (en) Cover mounting structure of waterproof box
US7671275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8389856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EP2333921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937491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110785902B (zh) 具有封闭的基座框架的开关柜框架机架
US10759364B2 (en) Electrical apparatus and electrical apparatus system
US939143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EP2404787B1 (en) Waterproof case
WO2017213144A1 (ja) 基板ユニット
WO2014054461A1 (ja) 電気接続箱
JP4063020B2 (ja)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
US11679815B2 (en) Liquid discharge structure
US10462914B2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ion box
JP5898546B2 (ja) 電子装置
CN110970802B (zh) 盖板和具有其的配电箱、轨道交通系统
JP2010041778A (ja) 車両用電気機器のハウジング
JP5898545B2 (ja) 電子装置
JP7408238B2 (ja) コネクタ防滴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21020254A1 (ja) 電気接続箱用カバー及び電気接続装置
JP7158290B2 (ja) ブラケット
KR102140461B1 (ko) 배수 및 방진 기능을 하는 드레인 홀이 구비된 bdu
KR101687229B1 (ko) 자동차용 박스
KR100817214B1 (ko) 자동차 휴즈박스의 소음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