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229B1 - 자동차용 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229B1
KR101687229B1 KR1020100070477A KR20100070477A KR101687229B1 KR 101687229 B1 KR101687229 B1 KR 101687229B1 KR 1020100070477 A KR1020100070477 A KR 1020100070477A KR 20100070477 A KR20100070477 A KR 20100070477A KR 101687229 B1 KR101687229 B1 KR 101687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uct
upper cover
passa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9790A (ko
Inventor
김자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2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13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 H01H85/0021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13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 H01H85/0021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 H01H85/0026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casings for the fuse and its bas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몸체(50), 상부커버(60) 및 하부커버(7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몸체(50)의 메인몸체측판(50')에는 내부에 메인몸체통로(54)가 형성되는 메인몸체덕트(52)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커버(60)에는 메인몸체덕트(5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커버덕트(6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덕트(62)의 내부에는 메인몸체통로(54)와 연통되는 상부커버통로(6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덕트(62)의 입구 전방에 해당되는 상부커버측벽(60')에는 입구차폐부(66)가 형성되어 상부커버통로(64)의 내부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커버(70)에도 상기 메인몸체(50)의 메인몸체덕트(52)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커버덕트(7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메인몸체통로(54)와 연통되게 하부커버통로(74)가 형성된다. 메인몸체통로(54)와 하부커버통로(74)의 내부에는 메인몸체돌출부(66)와 하부커버돌출부(76)가 형성되어 물이 상기 상부커버(60)와 메인몸체(50) 및 하부커버(70)와 메인몸체(50)의 사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메인몸체(50)와 상부커버(60)의 사이 및 메인몸체(50)와 하부커버(70)의 사이에는 각각의 메인몸체덕트(52)와 하부커버덕트(72)의 내부에서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박스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면서도 물은 들어가지 않아 박스의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박스{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의 내부가 외부와 밀폐된 상태에서 특정한 부분만을 통해서 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전원을 사용하는 전장품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점화플러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전장품에는 그 동작을 위해 전원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전장품들로는 퓨즈박스를 통해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퓨즈박스에는 각각의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장품으로는 퓨즈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서,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퓨즈가 끊어지면서 전장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이러한 퓨즈 박스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용 박스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박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퓨즈박스의 전체적인 골격은 메인바디(1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바디(10)에는 부품장착부(12)가 설치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2)에는 릴레이(14)를 비롯하여 퓨즈 등과 같은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부품장착부(12)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부품들의 가장자리를 감싸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외측벽(15)이 구비된다. 상기 외측벽(15)은 상기 메인바디(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바디(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외측벽(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30)와 실질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바디(10)의 일측면에는 걸림편(16)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20)의 탄성후크(22)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걸림편(16)은 상기 메인바디(10)의 측면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0)의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턱(18)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18)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후크(34)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18)은 상기 메인바디(10)의 측면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20)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커버(20)는 퓨즈박스의 상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얇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상부커버(20)에는 상기 걸림편(18)에 탄성변형되면서 걸어지는 탄성후크(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의 하부에는 하부커버(30)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커버(30)는 퓨즈박스의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30)는 상기 상부커버(20)와 마찬가지로 얇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부커버(3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지지리브(3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32)는 상기 하부커버(30)의 외면을 따라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측벽(15)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30)에는 상기 걸림턱(18)에 탄성변형되면서 걸어지는 걸이후크(34)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박스들은 상기 메인바디(10)와 상부커버(20)의 사이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와 하부커버(30)의 사이가 밀봉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밀봉구조에서는 박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박스의 내부온도가 올라가면서 각종 부품의 동작신뢰성이 떨어져 전체적으로 박스의 동작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품들 사이가 밀봉되어 있으면서도 박스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스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박스의 내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측면을 형성하는 메인몸체측벽의 일측에 내부에 메인몸체통로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메인몸체덕트가 구비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덕트와 결합되게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부커버측벽의 일측에 내부에 상부커버통로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커버덕트가 구비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몸체통로와 상부커버통로가 형성되는 메인몸체덕트와 상부커버덕트는 각각 적어도 2군데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몸체통로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몸체와 상부커버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통로 및 상부커버통로와 내부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커버덕트의 입구 전방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커버의 측벽에는 입구차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덕트 내부의 상부커버통로의 입구 일부를 차폐한다.
상기 입구차폐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의 양단에 직교하게 상기 상부커버의 측벽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몸체의 하부에는 하부커버가 결합되는데, 상기 메인몸체의 메인몸체덕트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부커버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하부커버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덕트의 내부에는 하부커버통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통로와 연통된다.
상기 메인몸체통로와 하부커버통로의 내부중 메인몸체측벽 및 하부커버측벽에 해당되는 내면에는 각각 메인몸체돌출부와 하부커버돌출부가 형성되는데, 이들 돌출부는 상기 메인몸체통로와 하부커버통로의 중간부에서 가장 돌출되고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가면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덕트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커버덕트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커버통로의 내면과 밀착되는 메인몸체겹침판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덕트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몸체덕트의 내부로 삽입되어 메인몸체덕트의 내면과 밀착되는 하부커버겹침판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덕트의 하부에 해당되는 메인몸체측벽에는 상기 하부커버통로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커버측벽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메인몸체스컷트가 연장되어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덕트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부커버측벽에는 상기 메인몸체통로의 내부로 삽입되어 메인몸체측벽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상부커버스컷트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겹침판 및 하부커버겹침판과 이에 대응되는 상부커버덕트 및 메인몸체덕트에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겹침판 및 하부커버겹침판의 삽입을 안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박스의 골격을 구성하는 메인바디,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에 서로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의 내부에서 각각 메인바디와 상부커버, 메인바디와 하부커버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서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통로의 내부와 박스의 내부사이에서 공기의 유동이 있을 수 있어 보다 박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되어 박스의 성능특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박스 내부와 통로 사이에서 공기유동이 있도록 하였으므로, 공기가 박스의 내외부로 유동하는 부분에서는 박스의 외부에서 수분이 고압으로 전달되더라도 박스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 되어 박스의 동작특성 및 박스의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의한 퓨즈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다른 방향에서 보인 단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의 골격을 메인몸체(5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50)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된 육면체로 된다. 상기 메인몸체(50)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몸체(50)에 설치되는 부품의 예로는 인쇄회로기판,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것들이 있다.
상기 메인몸체(50)의 외면을 둘러 구비되는 몸체측벽(50')의 일측에는 메인몸체덕트(52)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덕트(52)는 상기 몸체측벽(50')의 외면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덕트(52)는 상기 몸체측벽(50')의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메인몸체통로(54)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덕트(52)의 상하로 개방된다. 상기 메인몸체통로(54)는 박스 외부와 내부사이를 유동하는 공기가 지나가는 경로가 된다.
상기 메인몸체덕트(52)에 해당되는 상기 몸체측벽(50')은 내부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몸체덕트(52)의 외면은 상기 메인몸체(50)의 다른 부분의 몸체측벽(50')과 동일한 평면으로 된다. 이와 같이 메인몸체덕트(52)에 해당되는 부분이 몸체측벽(50')의 외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되는 것이 자동차용 박스의 외관에 돌출형상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덕트(52)의 내부에는 몸체돌출부(56)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돌출부(56)는 상기 메인몸체통로(54)의 내면중 상기 몸체측벽(50')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스컷트(68)와 몸체측벽(50')사이의 틈새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몸체돌출부(56)는 상기 메인몸체통로(54)의 중간부분에서 가장 돌출되고 상부 및 하부의 입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몸체돌출부(56)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통로(54)의 유동단면적이 메인통체통로(54)의 중간부에서 가장 좁고 상부 및 하부의 입구쪽에서 가장 넓게 된다.
상기 메인몸체덕트(52)에서 상부에는 메인몸체겹침판(57)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겹침판(57)은 상기 메인몸체덕트(52)의 연장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측벽(50')과 마주보는 부분의 메인몸체덕트(52) 부분이 더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겹침판(57)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통로(64)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몸체겹침판(57)의 크기는 상부커버통로(64)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상기 메인몸체겹침판(57)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덕트(62)의 내면에 그 외면이 밀착되도록 되는 것이 좋다.
상기 메인몸체덕트(52)에서 하부에는 메인몸체스컷트(58)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스컷트(58)는 상기 몸체측벽(50')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몸체덕트(52)의 연장방향으로 메인몸체덕트(52)의 하부중 상기 몸체측벽(50')쪽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몸체스컷트(58)는 아래에서 설명될 하부의 하부커버통로(74)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몸체스컷트(58)는 하부커버통로(7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다.
상기 메인몸체(5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6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커버(60)는 상기 메인몸체(50)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부공간(61)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공간(61)은 상기 메인몸체(50)의 상부를 상기 상부커버(60)가 차폐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상부공간(61)에는 상기 메인몸체(50)에 장착된 퓨즈나 릴레이 등의 부품이 위치된다.
상기 상부커버(60)는 상기 메인몸체(50)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메인몸체(50)의 상부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라면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상부커버(60)의 측면을 상부커버측벽(60')이 형성한다.
상기 상부커버측벽(60')에는 상기 메인몸체(50)의 메인몸체덕트(52)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부커버덕트(6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덕트(62)는 상기 상부커버(60)의 상부커버측벽(60')에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덕트(62) 역시 상기 상부커버(60)의 상부커버측벽(60')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덕트(62)의 내부에는 상부커버통로(6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통로(64)는 상기 상부커버(60)가 메인몸체(5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메인몸체통로(54)와 서로 연통된다. 상기 상부커버통로(64)는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가 된다.
상기 상부커버통로(64)의 상부 입구에는 입구차폐부(66)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차폐부(66)는 상기 상부커버통로(64)의 상부 입구의 상부커버통로(64) 길이방향 전방 일부를 차페하는 상부벽(67)과 상기 상부벽(67)의 양단에 구비되는 측벽(67')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벽(67)은 상기 상부커버측벽(60')의 외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67')들은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벽(67)은 상기 상부커버통로(64)의 입구를 상기 측벽(67')의 높이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차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벽(67')의 높이와 상기 상부벽(67)의 폭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동단면적이 상기 상부커버통로(64)의 상부 입구로 들어가는 유동단면적이 된다. 상기 입구차폐부(66)는 상기 상부커버통로(64)로 직접 외부에서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게 된다.
상기 상부커버덕트(62)의 하부중에서 상기 상부커버측벽(60')의 일부가 연장되어 상부커버스컷트(68)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스컷트(68)는 상기 메인몸체(50)의 메인몸체통로(54)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부커버스컷트(68)는 상기 메인몸체(50)의 몸체측벽(50')중 상기 메인몸체통로(54)의 상부에 해당되는 부분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상부커버스컷트(68)와 이에 대응되는 몸체측벽(50')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메인몸체(50)의 하부에는 하부커버(70)가 장착된다. 상기 하부커버(70)는 상기 메인몸체(50)의 하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커버(70)와 메인몸체(50)의 하부에 의해 내부에 하부공간(7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70)도 상기 메인몸체(50)의 하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커버(70)의 횡단면은 직사각형으로 되고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하부커버(70)의 하부커버측벽(70') 외면에는 상기 메인몸체(50)의 메인몸체덕트(52)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커버덕트(7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덕트(72)는 그 상부가 상기 메인몸체(50)의 메인몸체덕트(52)와 상기 하부커버(70)가 상기 메인몸체(50)에 결합되었을 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커버덕트(72)도 그 외면이 상기 하부커버측벽(70')의 외면의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커버덕트(72)에 해당되는 상기 하부커버측벽(70') 부분은 내부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덕트(72)의 내부에는 하부커버통로(74)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통로(74)를 통해서는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하부커버통로(74)는 상기 메인몸체통로(54)와 연통된다. 상기 하부커버통로(74)의 내면중 상기 하부커버측벽(70')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하부커버돌출부(76)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돌출부(76)는 상기 하부커버통로(74)의 중간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돌출되고 상부와 하부의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커버통로(74)의 내부는 상기 하부커버돌출부(76)의 존재에 의해 그 내부의 유동단면적이 달라지는데, 상기 하부커버통로(74)의 중간부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유동단면적이 가장 좁아지고 상부 및 하부의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넓어진다. 상기 하부커버돌출부(76)는 상기 메인몸체스컷트(58)와 하부커버측벽(70')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부공간(71)으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덕트(72)의 상부에는 하부커버겹침판(77)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겹침판(77)은 상기 하부커버덕트(72)의 연장방향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몸체통로(54)의 내부로 삽입되어 그 내면에 외면이 밀착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상기 메인몸체덕트(52), 상부커버덕트(62) 및 하부커버덕트(72)들은 자동차용 박스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즉, 일측의 덕트(52,62,72)들은 박스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부분이 되고, 타측의 덕트(52,62,72)들은 공기를 배출하는 부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70)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인몸체(50)의 상부에는 상부커버(60)가 장착되어 메인몸체(50)와의 사이에서 내부에 상부공간(61)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공간(61)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50)의 하부에는 하부커버(70)가 장착되어 메인몸체(50)와의 사이에서 내부에 하부공간(71)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커버(60)와 하부커버(70)가 각각 상기 메인몸체(5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몸체덕트(5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상부커버덕트(62)와 하부커버덕트(7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메인몸체통로(54)와 상부커버통로(64) 및 하부커버통로(74)가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통로(54)에 해당되는 상기 메인몸체측벽(50')과 상부커버스컷트(68)사이와 메인몸체스컷트(58)와 이에 대응되는 하부커버통로(74)의 하부커버측벽(7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공간(61)과 외부 그리고 하부공간(71)과 외부 사이가 연통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박스의 내부와 외부사이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통로(54)에 해당되는 상기 메인몸체측벽(50')과 상부커버스컷트(68)사이와 메인몸체스컷트(58)와 이에 대응되는 하부커버통로(74)의 하부커버측벽(70') 사이에 형성된 틈새는 특히 상기 상부커버스컷트(68)와 메인몸체스컷트(58)가 중력 방향으로 각각의 대응되는 측벽(50',70')보다 더 연장되어 있어 상기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52,62,72)들의 내부로 외부에서 전달된 물은 상기 몸체돌출부(56)와 하부커버돌출부(76)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측벽(50')과 상부커버스컷트(68) 사이 및 메인몸체스컷트(58)와 하부커버측벽(70') 사이의 틈새로 전달될 수 없다. 이는 각각의 돌출부(56,76)가 각각의 통로(54,74)의 내부 중앙에서 가장 돌출되어 유동단면적을 좁게 하고 특히 각각의 돌출부(56,76)가 각각의 측벽(50',70')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몸체통로(54)로 들어간 물은 상기 메인몸체돌출부(56)의 경사를 따라 정점부로 이동하고 정점부에서 낙하하여 메인몸체스컷트(58)와 하부커버측벽(70') 사이의 틈새로 전달될 수 없다.
그리고, 하부커버통로(74)의 하부를 통해 내부로 들어간 물은 상기 하부커버돌출부(76)의 하측에 형성된 경사면의 안내를 받으므로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바로 하부로 낙하되어 하부커버통로(74)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60)에 형성된 입구차폐부(66)는 상기 상부커버통로(64)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입구차폐부(66)의 상부벽(67)이 상기 상부커버통로(64)의 입구 상부를 어느 정도 차페하므로 물이 상기 상부커버통로(64)로 직접 들어가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52,62,72)들은 적어도 2군데에 형성되므로 일측에 있는 덕트(52,62,72)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박스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공간(61)과 하부공간(71)으로 들어가고 타측에 있는 덕트(52,62,72)의 내부를 통해 박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겹침판(57.77)이나 이와 대응되는 덕트(62,72)의 하부에는 이들 사이의 밀착을 위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단에 삽입의 용이성을 위한 안내경사면을 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부커버스컷트(68)와 메인몸체측벽(50')의 사이 및 메인몸체스컷트(58)와 하부커버측벽(70')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메인몸체통로(54)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몸체(50)와 상부커버(60)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 또는 상기 하부커버통로(74)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커버(70)와 메인몸체(50)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된다.
50: 메인몸체 50': 메인몸체측벽
52: 메인몸체덕트 54: 메인몸체통로
56: 메인몸체돌출부 57: 메인몸체겹침판
58: 메인몸체스컷트 60: 상부커버
60': 상부커버측벽 61: 상부공간
62: 상부커버덕트 64: 상부커버통로
66: 입구차폐부 67: 상부벽
67': 측벽 68: 상부커버스컷트
70: 하부커버 72: 하부커버덕트
74: 하부커버통로 76: 하부커버돌출부
77: 하부커버겹침판

Claims (8)

  1. 외측면을 형성하는 메인몸체측벽의 일측에 내부에 메인몸체통로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메인몸체덕트가 구비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덕트와 결합되게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부커버측벽의 일측에 내부에 상부커버통로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상부커버덕트가 구비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몸체통로와 상부커버통로가 형성되는 메인몸체덕트와 상부커버덕트는 각각 적어도 2군데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몸체통로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몸체와 상부커버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통로 및 상부커버통로와 내부와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커버덕트의 입구 전방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커버의 측벽에는 입구차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버덕트 내부의 상부커버통로의 입구 일부를 차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차폐부는 상기 상부커버의 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의 양단에 직교하게 상기 상부커버의 측벽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측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박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하부에는 하부커버가 결합되는데, 상기 메인몸체의 메인몸체덕트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부커버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하부커버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덕트의 내부에는 하부커버통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통로와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통로와 하부커버통로의 내부중 메인몸체측벽 및 하부커버측벽에 해당되는 내면에는 각각 메인몸체돌출부와 하부커버돌출부가 형성되는데, 이들 돌출부는 상기 메인몸체통로와 하부커버통로의 중간부에서 가장 돌출되고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가면서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덕트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커버덕트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부커버통로의 내면과 밀착되는 메인몸체겹침판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덕트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몸체덕트의 내부로 삽입되어 메인몸체덕트의 내면과 밀착되는 하부커버겹침판이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덕트의 하부에 해당되는 메인몸체측벽에는 상기 하부커버통로의 내부로 삽입되어 하부커버측벽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메인몸체스컷트가 연장되어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덕트의 하부에 해당되는 상부커버측벽에는 상기 메인몸체통로의 내부로 삽입되어 메인몸체측벽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상부커버스컷트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겹침판 및 하부커버겹침판과 이에 대응되는 상부커버덕트 및 메인몸체덕트에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겹침판 및 하부커버겹침판의 삽입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박스.
KR1020100070477A 2010-07-21 2010-07-21 자동차용 박스 KR101687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477A KR101687229B1 (ko) 2010-07-21 2010-07-21 자동차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477A KR101687229B1 (ko) 2010-07-21 2010-07-21 자동차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90A KR20120009790A (ko) 2012-02-02
KR101687229B1 true KR101687229B1 (ko) 2016-12-16

Family

ID=4583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477A KR101687229B1 (ko) 2010-07-21 2010-07-21 자동차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2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442A (ja) 2001-03-23 2002-09-2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バッテリ格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335A (ja) * 1995-03-29 1996-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993663B2 (ja) * 1997-07-11 1999-12-20 東北電力株式会社 作業車用バッテリ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442A (ja) 2001-03-23 2002-09-2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バッテリ格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90A (ko)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521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having double-wall structure
US7077281B2 (en) Cover mounting structure of waterproof box
US8389856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US6971888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JP5273554B2 (ja) 電気接続箱
JP2014103797A (ja) 電気接続箱
US20120006819A1 (en) Waterproof case
KR101687229B1 (ko) 자동차용 박스
JP6604519B2 (ja) 基板ユニット
US924067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104685740B (zh) 电连接箱
JP5984717B2 (ja) 電気接続箱
US20180301675A1 (en) Battery wiring module
KR101687231B1 (ko) 자동차용 블럭
JP2010041778A (ja) 車両用電気機器のハウジング
KR200477203Y1 (ko)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JP5854229B2 (ja) 電気接続箱
KR20150070825A (ko) 자동차용 박스
KR200426001Y1 (ko)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KR200482382Y1 (ko) 전기적 연결장치의 수분차단구조
JP3956779B2 (ja) 電気接続箱
KR20130000405U (ko)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JP2003009349A (ja) 電気接続箱の防水構造
WO2021020254A1 (ja) 電気接続箱用カバー及び電気接続装置
WO2023243400A1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