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405U -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 Google Patents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405U
KR20130000405U KR2020110006227U KR20110006227U KR20130000405U KR 20130000405 U KR20130000405 U KR 20130000405U KR 2020110006227 U KR2020110006227 U KR 2020110006227U KR 20110006227 U KR20110006227 U KR 20110006227U KR 20130000405 U KR20130000405 U KR 201300004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omponent mounting
blocking rib
housing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6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405U/ko
Publication of KR20130000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4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박스(20)의 외관을 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박스(20)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22)의 작업자가 볼 수 있는 외면(24)에는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6)가 형성된 외면(24)중 중력방향 상단부에는 차단리브(30)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리브(30)는 상기 외면(24)에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간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단리브(30)의 양단은 상기 부품장착부(26)의 폭방향 양단까지 연장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6)를 둘러서는 둘레홈(32)이 형성된다. 상기 둘레홈(32)은 상기 부품장착부(26)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외면(24)보다 낮은 바닥면을 가진다. 상기 둘레홈(32)중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배출채널(33)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채널(33)은 상기 하우징(22)의 외면(24)에서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하우징(22)의 가장자리를 통해 외부로까지 개구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부품장착부(26)로 물이 전달되는 것이 확실하게 차단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Box having water protecting structure}
본 고안은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박스에서 전장부품이 장착된 위치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사용되는 박스는 차량의 다른 부품들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콘 라인이 지나가는 위치나 타이어에 의해 튀는 물이 전달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박스의 경우 박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부품으로 수분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1에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박스와 주변부품과의 관계를 보인 개략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차체패널(11)은 대쉬보드(12)에서 차체 바닥의 브레이크(미도시)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차체패널(11)의 안쪽에는 장착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차체패널(11)의 일측에는 상기 장착공간(S)을 차량 실내공간과 연통시키는 개구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체패널(11)에는 상기 개구부(13)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14)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공간(S)에는 박스(15)가 설치된다. 상기 박스(15)는 내부에 버스바나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원하는 회로가 구비되고, 외부로는 퓨즈(16)와 같은 전장부품이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퓨즈(16)는 상기 커버(14)를 개방하고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박스(15)의 상방에 해당되는 상기 장착공간(s)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에어콘라인(18)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박스(15)가 차량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에어콘라인(18)은 주변과의 온도차에 의해 그 외면에 수분이 맺힐 수 있고, 이 수분은 도 1에 화살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박스(15)로 낙하되고, 박스(15)의 표면을 따라 흘러 상기 퓨즈(16)와 같은 전장부품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퓨즈(16)로 수분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퓨즈(16)가 박스(15)의 외관을 관통하여 내부로 들어가는 부분을 통해 수분이 박스(15)의 내부로 전달되어 상기 퓨즈(16)가 고장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전장부품에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분유입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에 부품장착부가 형성되는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에 있어서, 상기 외면중 상기 박스가 장착되었을 때 중력방향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의 양단까지 단부가 연장되는 차단리브와, 상기 부품장착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부품장착부의 둘레에 해당되는 외면보다 낮은 바닥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둘레홈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리브는 그 중간부에서 양쪽 단부를 향해 중력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상기 둘레홈의 부분에는 배출채널이 상기 하우징의 외면중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을 통해 외부로 개구된다.
상기 차단리브의 표면에는 차단리브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채널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차단리브의 선단에는 선단벽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가진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박스의 외면중 전장부품이 노출되는 외면의 중력방향 상단부에 차단리브가 형성되고 전장부품이 노출되는 박스외면의 부품장착부를 둘러 둘레홈이 형성되므로, 박스의 외면에 노출된 전장부품으로 물이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박스 외면의 중력방향 상단부에 형성된 차단리브에 둘레홈으로 물을 안내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므로, 박스의 외면으로 전달된 물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전장부품쪽으로 가는 것이 방지되고 보다 효과적으로 둘레홈으로 전달되고 배출채널을 통해 박스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박스가 차량의 차체 패널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장착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인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가진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박스(20)의 외관을 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2)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2)은 일반적으로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22)의 일측 외면(24)에는 부품장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외면(24)은 차량의 차체패널(11)에 형성된 개구부(13)를 통해 차량 실내에서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22)의 외면(24)에 형성된 상기 부품장착부(26)는 상기 하우징(22)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하우징(22)을 관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 있는 버스바나 인쇄회로기판에 있는 터미널과 부품장착부(26)에 장착되는 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품장착부(26)에 퓨즈(28)가 장착된 것이 예로 들어져 있다. 상기 퓨즈(28)의 레그(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부품장착부(26)의 내부인 상기 하우징(22)의 내부로 들어가 버스바나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품장착부(26)에서 상기 박스(20)가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 중력방향 상부에 해당되는 외면(24)에는 차단리브(30)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리브(30)는 상기 외면(24)에 직교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외면(24)에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26)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단리브(30)는 또한 그 중간부분에서 양단부를 향해 중력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차단리브(30)의 경사를 통해 물이 안내되어 상기 부품장착부(26)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부품장착부(26)가 형성된 외면(24)에는 상기 부품장착부(26)를 둘러 둘레홈(32)이 형성된다. 상기 둘레홈(32)은 상기 부품장착부(26)를 둘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품장착부(26)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외면(24)부분보다 바닥이 낮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6)의 바닥이 상기 둘레홈(32)보다 낮게 되어도 상관없다. 이는 부품장착부(26) 외부에서 오는 물을 상기 둘레홈(32)이 상기 부품장착부(26)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둘레홈(32)은 상기 부품장착부(26) 전체를 둘러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둘레홈(32)중에서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에서 상기 외면(24)의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까지 배출채널(33)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채널(33)은 상기 둘레홈(32)으로 전달된 물이 상기 하우징(22)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단리브(30)의 높이가 상기 둘레홈(32)의 입구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리브(30)의 양단이 상기 둘레홈(32)의 양단을 덮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도 4에는 상기 차단리브(30)의 양단부가 상기 둘레홈(32)의 양단으로 물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단리브(30)의 양단이 상기 둘레홈(32)의 양단부를 넘지 않도록 길이를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차단리브(30)를 통해 전달된 물이 상기 둘레홈(32)으로 전달되고, 상기 배출채널(33)을 통해 하우징(22)에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차단리브(30)와 달리 구성된 차단리브(30')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차단리브(30')의 표면에 차단리브(3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채널(31)이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채널(31)은 상기 하우징(22)의 외면(24)을 지나 차단리브(30')로 전달된 물이 상기 차단리브(30')의 선단으로 이동되어 부품장착부(26)로 바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채널(31)이 다수개가 나란히 차단리브(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하우징(22)의 외면(24)을 지나온 물이 도면 상 가장 좌측의 가이드채널(31)을 따라 먼저 안내되게 하고, 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 점차 우측에 있는 가이드채널(31)에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도 5에서 가장 우측인 차단리브(30')의 선단을 지나 부품장착부(26)로 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차단리브(30")의 선단을 따라 선단벽(31')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벽(31')은 상기 차단리브(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끝까지 형성되어 차단리브(30")로 전달된 물이 차단리브(30")의 선단을 통해 부품장착부(26)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가지는 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박스(20)는 도 1에서 설명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차체패널 내부의 장착공간에 세워진 상태로 장착되어 차체패널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외면(24)이 보이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리브(30)가 있는 하우징(22)의 외면(24)쪽이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박스(20)의 중력 방향 상부에 에어콘라인 같은 것이 있어 물이 하우징(22)의 외면(24)으로 전달될 때, 상기 부품장착부(26)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하우징(22)의 외면(24) 상단에 전달된 물은 일차적으로 상기 차단리브(30)의 상면으로 이동된다. 이는 중력의 작용이나 차량 자체의 진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30)의 상면에 전달된 물은 차단리브(30)의 경사에 의해 차단리브(30)의 양단부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역시 중력이나 차량의 진동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30)의 양단부로 전달된 물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둘레홈(32)의 양단 외측에 해당되는 외면(24)에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면(24)에 전달된 물중 일부는 상기 외면(24)을 거쳐 상기 둘레홈(32)으로 전달된다. 상기 둘레홈(32)에 전달된 물을 상기 둘레홈(32)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다. 상기 둘레홈(32)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 물은 결국 상기 배출채널(33)을 통해 하우징(22)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리브(30)의 양단이 상기 둘레홈(32)의 내부로 물을 안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리브(30)에 의해 안내된 물은 상기 둘레홈(32)으로 전달되고, 상기 둘레홈(32)을 지나 배출채널(33)을 통과해 배출된다.
그리고, 도 5 나 도 6에 도시된 차단리브(30',32")의 경우 차단리브(30',30")의 선단으로는 물이 전달될 수 없다. 즉, 상기 차단리브(30')의 가이드채널(31)들을 따라 물이 안내되거나, 상기 차단리브(30")의 선단벽(31')에 의해 차단리브(30")의 선단을 지나 물이 부품장착부(26)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 5 및 도 6에 구비된 차단리브(30',30")가 채택될 수 있고,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상기 도 5 및 도 6에 구비된 차단리브(30',30")가 채택될 수 있는 것이다.
11: 차체패널 12: 대쉬보드
13: 개구부 14: 커버
15: 박스 16: 퓨즈
18: 에어콘라인 20: 박스
22: 하우징 24: 외면
26: 부품장착부 28: 퓨즈
30,30',30": 차단리브 31: 가이드채널
32: 둘레홈 33: 배출채널

Claims (5)

  1. 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에 부품장착부가 형성되는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에 있어서,
    상기 외면중 상기 박스가 장착되었을 때 중력방향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의 양단까지 단부가 연장되는 차단리브와,
    상기 부품장착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부품장착부의 둘레에 해당되는 외면보다 낮은 바닥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둘레홈을 포함하는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리브는 그 중간부에서 양쪽 단부를 향해 중력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상기 둘레홈의 부분에는 배출채널이 상기 하우징의 외면중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부분을 통해 외부로 개구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리브의 표면에는 차단리브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채널이 나란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리브의 선단에는 선단벽이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KR2020110006227U 2011-07-08 2011-07-08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KR201300004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227U KR20130000405U (ko) 2011-07-08 2011-07-08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227U KR20130000405U (ko) 2011-07-08 2011-07-08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405U true KR20130000405U (ko) 2013-01-16

Family

ID=5242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227U KR20130000405U (ko) 2011-07-08 2011-07-08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4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134A (ko) * 2016-07-12 2018-0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134A (ko) * 2016-07-12 2018-0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유닛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4792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8389856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JP5961884B2 (ja) 電気接続箱
JP5382157B2 (ja) 電子機器
JP5012735B2 (ja) 電子機器
CN108029210B (zh) 用于车辆中的电子装置的电子装置壳体
US20190067924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130000405U (ko) 수분유입방지구조를 구비한 박스
JP5614998B2 (ja) 車両用電子機器
JP6830821B2 (ja) 冷蔵庫
JP6976671B2 (ja) 電子部品モジュールの筐体
KR20200134992A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차량용 전자제어 장치
JP5848653B2 (ja) 電子装置
JP5898546B2 (ja) 電子装置
JP3956779B2 (ja) 電気接続箱
JP6830733B2 (ja) 電子部品モジュールの筐体
JP2010041778A (ja) 車両用電気機器のハウジング
KR200426001Y1 (ko) 부품박스의 부품장착부
KR101687229B1 (ko) 자동차용 박스
JP6201931B2 (ja) 電気接続箱
JP5898545B2 (ja) 電子装置
JP6103387B2 (ja) 保護ケース
JP5630103B2 (ja) 電気接続箱
JP7158290B2 (ja) ブラケット
KR200486964Y1 (ko)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