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450A - 롤링볼 교구 - Google Patents

롤링볼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450A
KR20180054450A KR1020170146473A KR20170146473A KR20180054450A KR 20180054450 A KR20180054450 A KR 20180054450A KR 1020170146473 A KR1020170146473 A KR 1020170146473A KR 20170146473 A KR20170146473 A KR 20170146473A KR 20180054450 A KR20180054450 A KR 2018005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ortion
tunnel
bead
rolling ball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0832B1 (ko
Inventor
노성연
Original Assignee
노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연 filed Critical 노성연
Priority to KR102017014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8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0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 G09B23/1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statics or dynamics of solid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학습교구로 사용되는 롤링볼 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슬의 이동을 다양한 형태로 관찰할 수 있는 롤링볼 교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롤링볼 교구는 구슬이 굴러가는 평면부와 그 평면부의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제1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부의 끝단에는 상기 평면부의 상부 방향으로 또 다른 제2경사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평면부와 상기 제1경사부에는 터널이 형성되도록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경사부의 반대쪽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제3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터널 내부에 삽입되는 형상유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평면부 또는 상기 제1경사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경사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경사부의 반대쪽 표면에는 평면부와 연결되는 제4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4경사부는 평면부 또는 제2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링볼 교구{Rolling ball}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학습교구로 사용되는 롤링볼 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슬의 이동을 다양한 형태로 관찰할 수 있는 롤링볼 교구에 관한 것이다.
롤링볼 교구는 구슬이 레일을 따라서 굴러가도록 만든 조형물을 말한다. 종래의 롤링볼 교구는 크게 레일과 레일을 받치는 기둥으로 구성된다. 롤링볼 교구는 롤링볼 교구의 레일을 따라 굴러가는 구슬을 통하여 회전, 점프, 직선 운동 등의 구술의 다양한 움직임을 생성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 학습교구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롤링볼 교구와 관련된 기술로는 도 1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4940호 " 롤링볼 교구"(2015년04월06일 공개)가 있다. 이 기술은 구슬이 굴러가면서 다른 구슬을 지레를 이용하여 움직이게 하는 롤링볼에 관한 기술이다. 이 기술은 구슬이 굴러가는 레일, 침 핀에 의해서 고정된 레일이 그 침 핀을 중심으로 하여 어느 한쪽에 구슬이 굴러 올 경우에 레일이 회전되어 구슬이 하부로 떨어지도록 구성하는 방식으로 구현된 롤링볼 교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롤링볼 교구와 관련된 다른 기술로는 도 2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12058호 "롤링 볼의 블록결합 학습교구"(2015년10월07일 공개)가 있다. 이 기술은 내부가 비어있는 육면체로 구성되고, 각각의 사각 판에는 사각 홀이 형성되며, 사각 홀의 각 변의 끝 부분에는 내측이 개방된 두 개의 레일 삽입 홈이 형성되고, 연결수단을 통해 수직이나 수평으로 적층이 가능한 다수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사이에 두 개가 나란하게 조립 배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볼이 이동되는 것으로, 양쪽의 끝 부분에는 상기 블록의 레일 삽입 홈에 이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 조립 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레일로 구성되어 레일들을 고정하는 블록들을 단시간에 배치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된 롤링볼 교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종래 기술들을 통하여 구슬의 다양한 이동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레일들을 구성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는 평면부와 경사부만으로 구슬의 다양한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는 구슬이 통과하는 터널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고, 그 터널과 함께 또 다른 구슬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터널의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롤링볼 교구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롤링볼 교구는 구슬이 이동할 수 있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슬이 회전운동, 점프운동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동-이하 곡선운동이라 함-을 할 수 있는 제1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슬은 상기 평면부의 일면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제1경사부의 일면에 유입되어 상기 곡선운동을 하거나, 상기 제1경사부의 상기 일면을 따라 상기 곡선운동을 한 후 상기 평면부의 상기 일면에 유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곡선운동을 포함하는 상기 구슬의 이동을 관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롤링볼 교구는 상기 제1경사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롤링볼 교구는 상기 평면부와 상기 제1경사부와 연결되어 터널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의 내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경사부의 일면의 반대쪽 표면인 상기 제2경사부의 타면에 배치되거나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3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링볼 교구는 상기 터널 내부에 삽입되는 형상유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롤링볼 교구는 상기 평면부 또는 상기 제1경사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2경사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롤링볼 교구는 상기 터널의 내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경사부의 일면의 반대쪽 표면인 상기 제2경사부의 타면과 상기 평면부의 상기 일면을 연결하는 제4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경사부는 상기 평면부 또는 상기 제2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는 평면부와 제1경사부 또는 제2경사부를 통해서 구슬의 직선이동과 함께 점프이동 및 좌/우 반복이동 등과 같은 곡선이동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기술의 롤링볼 교구는 평면부의 설치상태에 따라서 제1경사부의 양 측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의 기능 및 좌/우 반복이동되면서 제1경사부의 어느 한쪽 측면으로 이동되는 구슬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기술의 롤링볼 교구는 제2경사부를 통해서 터널을 형성할 수 있고, 그 터널을 통해서 특정 위치로 구슬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터널 내에서 나선으로의 이동되는 구슬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기술의 롤링볼 교구는 제3경사부를 통해서 평면부와 함께 구슬의 양 측면을 지지하여 구슬을 멈추게 할 수 있고, 제3경사부의 양 측면으로 구슬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형상유지수단(600)을 통해서 터널 및 제3경사부의 형상을 유지하여 다양한 모양의 터널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슬의 무게 및 충돌로 인한 파손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수단을 통해서 터널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4경사부를 통해서 구슬의 점프 이동을 관찰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롤링볼 교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의 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구슬이라는 용어는 볼 형상의 구슬 이외에 대상물의 표면을 구를 수 있는 다각형 형상, 구형과 다각형이 혼재하는 형상 등 입체 형상의 물체를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은 종래 롤링볼 교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의 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실시 예에 따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롤링볼 교구는 크게 구슬이 굴러가는 평면부(100)와 제1경사부(200)를 포함한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롤링볼 교구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제2경사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롤링볼 교구는 터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롤링볼 교구는 제3경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롤링볼 교구는 형상유지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롤링볼 교구는 회전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롤링볼 교구는 제4경사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링볼 교구를 제작하기 위한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롤링볼 교구는 선택적으로 제1절개면(110)과 삽입면(1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절개면(130)과 제3절개면(140) 및 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100)는 구슬(Ball)이 자연적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수직인 상태 또는 특정 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슬은 평면부(100)의 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구슬이 평면부(100)에서 자유낙하 할 경우에 구슬은 평면부(100)의 일면에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슬이 특정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평면부(100)에 제공될 경우에 구슬은 평면부(100)의 상기 일면에서 평면부(100)에 구슬이 제공되는 방향과 중력에 의하여 곡선운동을 할 수도 있다.
제1경사부(200)는 평면부(100)와 연결된다. 상기 구슬은 제1경사부(200)에서 회전운동, 점프운동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동-이하 곡선운동이라 함-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슬은 평면부(100)의 일면을 따라 이동한 후 제1경사부(200)의 일면에 유입되어 상기 곡선운동을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구슬은 제1경사부(200)의 상기 일면을 따라 상기 곡선운동을 한 후 평면부(100)의 상기 일면에 유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는 곡선운동을 포함하는 구슬의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도면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경사부(200)는 구슬이 평면부(100)를 거쳐 제1경사부(200)에 안내되도록 제1경사부(200)의 경사진 면이 평면부(100)의 면과 연장되도록 평면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구슬은 제1경사부(200)의 경사진 면을 거쳐 평면부(100)의 면에 안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동하는 구슬은 직선운동, 상기 곡선운동 등 다양한 이동 모습을 보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통하여 사용자는 구슬의 다양한 이동을 관찰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구슬이 평면부(100)를 거쳐 제1경사부(200)에 안내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를 한정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경사부(200)는 단면이 반원모양으로 형성되어 평면부(100)를 경유하여 굴러온 구슬이 제1경사부(200)를 따라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구슬이 평면부(100)를 통하여 자유낙하하는 경우에는 구슬은 평면부(100)에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이후, 제1경사부(200)로 유입된 구슬은 제1경사부(200)에서 왕복운동을 하거나, 제1경사부(200)를 경유하여 점프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제1경사부(200)가 중력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지거나 구슬이 제1경사부(200)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제1경사부(2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경사부(200)에서의 구슬의 이동은 왕복운동과 직선운동이 결합된 양상을 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롤링볼 교구를 복수 개 활용하여 이를 별도의 지지부(10)에 배치할 경우에 본 기술의 롤링볼 교구로 제공되는 구슬은 횡방향의 왕복운동, 직선운동, 점프운동, 회전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구슬의 다양한 이동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제2경사부(300)는 제1경사부(200)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2경사부(300)는 일면이 평면부(100)의 상기 일면과 대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경사부(300)는 제1경사부(200)에 의해서 점프 이동된 구슬을 안내하도록 제1경사부(200)의 끝단에 평면부(100)의 상부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2경사부(300)는 제1경사부(200)와 동일하게 단면이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경사부(200)를 점프 이동한 구슬이 제2경사부(300)에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2경사부(300)에서의 구슬의 이동은 제2경사부(300) 내에서의 왕복운동, 구슬의 왕복운동과 중력이나 구슬이 제공되는 방향에 의한 구슬의 직선운동이 결합된 곡선운동 또는 롤링볼 교구를 복수 개 연결할 경우에 이들 사이에서의, 좌?우로의 왕복운동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 제2경사부(300)에서의 구슬의 이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상술한 제1경사부(200) 내에서의 구슬의 이동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경사부(300)는 제1경사부(200)와 동일하게 단면이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제1경사부(200) 한쪽에 제2경사부(200)의 볼록한 경사면과 제1경사부(200)의 경사면이 상호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한편, 제2경사부(300)는 평면부(100) 및 제1경사부(200)와 연결되어 터널(4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경사부(300)는 복수 개 준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복수개의 터널(400)을 형성할 수 있다.
터널(400)은 제2경사부(300)가 제1경사부(200)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설치하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슬은 제1경사부(200)에서 점프 이동을 할 수 없고, 제1경사부(200)의 측면(예를 들면, 내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터널(400)을 이동하는 구슬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경사부(200) 및 제2경사부(300)는 광투과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터널(400)은 상호 대칭되는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널(400)의 형상은 관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관은 표면이 닫힌 형상이거나, 길이 방향으로 틈을 가지는 형상일 수 있다.일례로, 단면이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1경사부(200) 및 제2경사부(300)를 상호 결합하여 터널(400)을 형성할 경우에 터널(400)은 단면이 원형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기술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에서의 터널(40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기술에서 개시하는 롤링볼 교구는 복수 개 준비되어 지지부(10)에 배치될 수 있다. 롤링볼 교구로 제공되는 구슬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부(100)를 통하여 제1경사부(200)로 이동한 후 제1경사부(200)에서 이동하거나, 제2경사부(300)로 점프 이동한 후 제2경사부(300)에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를 통하여 터널(400)을 형성할 경우에는 구슬은 터널(400)에 가이드 되어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10)에 배치되는 롤링볼 교구의 형상, 배치 위치, 배치 각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구슬은 터널(400)을 이루는 롤링볼 교구에 가이드 되어 이동한 후 인접한 롤링볼 교구의 평면부(100), 제1경사부(200), 제2경사부(300) 또는 터널(400)로 이동한 후 계속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기술의 롤링볼 교구는 횡방향의 왕복운동, 직선운동, 점프운동, 회전운동 등 다양한 운동을 수행하는 구슬의 다양한 이동 모습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제3경사부(500)는 터널(400)의 내면을 형성하는 제2경사부(300)의 일면의 반대쪽 표면인 제2경사부(300)의 타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3경사부(500)는 제2경사부(300)를 통해서 터널(400)이 구성될 때에 평면부(100)와 제2경사부(300)의 상기 타면에 의해서 구슬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2경사부(300)의 상기 타면에 또 다른 경사면을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제3경사부(500)가 제공하는 경사면은 직선면 또는 곡선면일 수 있다.
일례로, 구슬은 터널(400) 외부에서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를 통하여 평면부(100)를 통하여 터널(400)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평면부(100)를 경유한 구슬은 제3경사부(50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본 기술의 롤링볼 교구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평면부(100)에서의 구슬의 직선운동인 제1직선운동을 관찰함과 동시에 제3경사부(500)에서의 직선운동인 제2직선운동 또는 곡선운동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본 기술의 롤링볼 교구에 제공되는 구슬은 복수 개 일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한 구슬은 터널(400)의 외부에서 이동하고, 다른 한 구슬은 터널(40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터널(400)을 광투과성 소재로 할 경우에, 본 기술의 롤링볼 교구의 사용자는 터널(400) 내에서의 구슬의 이동과 터널(400) 외부에서의 구슬의 이동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형상유지수단(600)은 터널(4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형상유지수단(600)은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에 의해서 형성되는 터널(400)의 형상(예를 들면, 평면 또는 경사면 형상)이 구슬의 무게 또는 구슬과의 충돌에 의해서 파손되지 않도록 터널(400) 내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형상유지수단(600)은 '<'모양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널(400)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회전수단(700)은 평면부(100) 또는 제1경사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제2경사부(30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전수단(700)은 제2경사부(300)가 회전되도록 평면부(100) 또는 제1경사부(200) 중 어느 하나에는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회전수단(700)은 제1경사부(200)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멍 및 제2경사부(300)의 한쪽 끝단에 형성되며 그 구멍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하는 회전축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4경사부(800)는 터널(400)의 내면을 형성하는 제2경사부(300)의 일면의 반대쪽 표면인 제2경사부(300)의 타면과 평면부(100)의 일면을 연결할 수 있다. 제4경사부(800)는 평면부(100) 또는 제2경사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통할 수 있다. 일례로, 제4경사부(800)는 터널(400)을 형성하는 제2경사부(300)와 평면부(100)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구슬이 점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경사부(300)의 반대쪽 표면인 제2경사부(300)의 타면에 평면 부재를 설치하여 경사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4경사부(800)는 평면 부재의 한쪽을 평면부(100)에 결합하고, 다른 한쪽을 제2경사부(300)에 설치하여 제4경사부(8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슬은 평면부(100)를 거처 제4경사부(800)를 통해서 점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롤링볼 교구에 있어서, 롤링볼 교구의 소재로는 사용자가 손으로 접거나 휘어지게 할 수 있는 통상의 마분지나 필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면(120)이 형성된 제2경사부(300)의 끝단을 구부리면서 평면부(100) 또는 제1경사부(200)에 형성된 제1절개면(110)에 삽입면(120)을 삽입고정함으로써, 구슬이 굴러가는 평면부(100)와 터널(400)을 형성하는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 및 평면부(100)와 함께 구슬을 가이드 하여 평면부(100)의 측면으로 구슬이 이동되도록 하는 제3경사부(5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절개면(130)과 제3절개면(140)에 삽입되는 크기의 면부재가 삽입고정되어 제4경사부(8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평면부(100)는 수직인 상태 또는 특정 각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구슬(Ball)이 자연적으로 상부 면을 타고 굴러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경사부(200)는 평면부(100)의 면과 제1경사부(200)의 경사진 면이 연장되어 구슬이 평면부(100)를 거처 제1경사부(200)에 안내되도록 평면부(100)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경사부(200)는 단면이 반원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경사부(200)의 한쪽 끝단의 측면이 평면부(100)의 끝단 측면에 결합하되, 평면부(100)의 상부면과 제1경사부(200)의 경사면이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제1경사부(200)는 평면부(100)를 향하여 굴러온 구슬이 제1경사부(200)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구슬은 이동하는 힘에 따라서 제1경사부(200)를 따라서 평면부(100)의 상부 방향으로 점프 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구슬의 이동하는 힘이 상기 점프 이동할 수 없을 정도의 힘이라면 제1경사부(200)의 경사면을 따라서 좌?우 반복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평면부(100)의 한쪽 모서리만이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구슬의 이동하는 힘이 상기 점프 이동을 할 수 없을 정도일 때에 구슬은 상기 좌?우 반복적으로 이동되면서 평면부(100) 최하단에 위치한 모서리 방향의 측면으로 제1경사부(200)를 따라서 이동된다.
제2경사부(300)는 제1경사부(200)에 의해서 점프 이동된 구슬을 안내하도록 제1경사부(200)의 끝단에 평면부(10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2경사부(300)는 제1경사부(200)와 동일하게 단면이 반원 모양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한쪽 끝단의 측면이 제1경사부(200)의 끝단의 측면에 설치되어 제1경사부(200)를 통해서 점프 이동한 구슬이 제2경사부(삽입면(120))로 이동되어 그 곡면을 따라서 좌?우 이동된다. 물론, 구슬의 이동되는 힘이 클 경우에는 제2경사부(300)를 따라서 한번 더 점프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제2경사부(300)는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되, 제1경사부(200)와 대칭되게 설치하여 볼록한 모양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볼록한 모양으로 형성된 제2경사부(300)는 평면부(100)와 제1경사면(200)을 거쳐 자연스럽게 그 제2경사부(300)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단순히 평면 부재의 한쪽을 제1경사부(200)의 한쪽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제2경사부(300)가 설치됨에 있어서, 제2경사부(300)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평면부(100) 또는 제1경사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회전수단(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도 4 내지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경사부(200)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삽입되어 자유 회전하는 회전축이 제2경사부(300)의 한쪽 끝단에 형성되어, 제2경사부(300)가 열린 상태일 경우에는 제1경사부(200)를 통해서 점프 이동된 구슬이 좌?우 이동되거나, 또 다시 점프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경사부(300)가 닫힌 상태일 경우에는 터널(400)이 형성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재질을 사용자가 접거나 휘어지게 할 수 있는 통상의 마분지 등의 빳빳한 종이 또는 필름지 등으로 사용하여 회전수단(700)이 형성되는 위치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를 탄성을 가지는 패드로 부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터널(400)은 제1경사부(200)를 따라서 평면부(100)의 어느 한쪽 측면으로 구슬이 이동되되, 점프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제2경사부(300)가 제1경사부(200)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도 4 내지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2경사부(300)가 제1경사부(200) 동일한 형태의 곡면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가 상호 대칭 하도록 결합하여 원형의 관과 같은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터널(400)은 구슬이 터널(400) 내부를 통해서 직선 이동되거나 터널(400)의 내면 즉,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를 따라서 원형으로 이동되면서 평면부(100)의 어느 한쪽 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제2경사부(300)를 평면 부재로 구성하고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다양한 모양의 터널(400)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터널(400)을 형성하는 제3경사부(500)와 평면부(100)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구슬이 점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경사부(300)의 반대쪽 표면에 평면 부재를 설치하여 제4경사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도 8 내지 도 9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평면부(100)와 제1경사부(200) 및 제2경사부(300)를 통해서 터널(400)이 형성되되, 평면 부재의 한쪽을 평면부(100)에 결합하고, 다른 한쪽을 제2경사부(300)의 반대쪽 표면에 설치하여 제4경사부(800)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제4경사부(800)는 구슬이 평면부(100)를 거처 제4경사부(800)를 통해서 점프 이동이 된다.
일례로, 평면부(100)에는 제4경사부(800)이 일체로 고정되고, 제2경사부(300)의 반대쪽 표면을 관통 삽입되어 제4경사부(800)의 길이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제4경사부(800)가 제2경사부(300)의 반대쪽 표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평면부(100)에 관통 삽입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제4경사부(800)가 평면부(100)와 제2경사부(300)의 반대쪽 표면에 일체로 고정될 경우에는 무거운 구슬이 터널(400)을 지나갈 때에 받는 하중으로부터 형상의 변형 등으로부터 터널(40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에 의해서 형성되는 터널(400)이 구슬의 무게 또는 구슬과의 충돌에 의해서 터널(400) 형상이 파손되어 평면 또는 경사면이 파손되지 않도록 터널(400) 내부에 삽입되는 형상유지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도 6 내지 도 7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형상유지수단(600)은 단면이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형상유지수단(600)은 터널(40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형상유지수단(600)은 '<' 모양의 면부재에 의해서 터널(400)을 형성하는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 또는 제3경사부(500)가 지지가 되어 터널(400)형상이 유지된다. '<'를 구성하는 부재의 길이는 최소 상기 터널(400)의 반지름에서부터 최대 상기 터널(400)의 지름 미만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재질이 사용자가 접을 수 있거나, 휘어지게 할 수 있는 통상의 마분지 또는 필름 등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형상유지수단(600)이 터널(400)에 삽입되는 모양에 따라서 제3경사부(500)가 구슬이 점프 이동되도록 할 수 있거나, 평면부(100)와 제3경사부(500)가 레일이 되어 구슬이 평면부(100)의 어느 한 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의 터널(400)이 형성되도록 형상유지수단(600)을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실시 할 수 있다.
제3경사부(500)는 제2경사부(300)를 통해서 터널(400)이 구성될 때에 평면부(100)와 제2경사부(300)의 표면에 의해서 구슬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2경사부(300)의 표면에 또 다른 경사면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3경사부(500)는 단면을 반원모양으로 형성하여 안쪽의 곡면은 제2경사부(300)를 형성하고, 바깥쪽 표면의 곡면을 통해서 제3경사부(500)를 구성한다. 제3경사부(500)가 형성된 부재를 제1경사부(200)의 개방된 부분이 덮이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어 형성된 제3경사부(500)는 평면부(100)로 구슬이 이동되면 구슬의 한쪽 측면은 평면부(100)가 지지하고 구슬의 반대쪽 측면은 제3경사부(500)가 지지함으로써, 제3경사부(500)의 기울어진 상태에 따라서 평면부(100)의 양측면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제3경사부(500)는 도 6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평면 부재로 구성하되, 평면부(100)와 비스듬한 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평면부(100)로 이동된 구슬이 제3경사부(500)에 의해서 점프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각뿔 모양(미 도시)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동되는 구슬의 위치에 따라서 사각뿔을 형성하는 특정 면을 따라서 4방위 중, 어느 한 방위로 구슬이 이동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롤링볼 교구에 있어서, 롤링볼 교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접거나 휘어지게 할 수 있는 통상의 마분지나 필름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도 10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직사각형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한쪽 끝단에는 삽입면(120)이 형성되며, 중간 부분에는 삽입면(120)과 대응하는 제1절개면(1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삽입면(120)이 형성된 끝단을 구부리면서 제1절개면(110)에 삽입면(120)을 삽입고정함으로써, 구슬이 굴러가는 평면부(100)와 터널(400)을 형성하는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 및 평면부(100)와 함께 구슬을 가이드 하여 평면부(100)의 측면으로 구슬이 이동되도록 하는 제3경사부(5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개면(110)을 기준으로 한쪽 끝단으로는 제2절개면(130)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끝단으로는 제3절개면(140)이 형성되어, 그 제2절개면(130)과 제3절개면(140)에 삽입되는 크기의 면부재가 삽입고정되어 제4경사부(8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지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설치된 평면부(100)와 그 평면부(100)의 면과 곡면으로 구성된 제1경사부(200)의 경사진 면이 연장되며, 그 평면부(100)의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도록 평면부(100)의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200) 끝단 측면에는 곡면으로 구성된 제2경사부(300)가 설치되되,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 사이에는 회전수단(70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제2경사부(300)의 반대쪽 표면에는 곡면으로 구성된 제3경사부(50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일 실시 예에서는 회전수단(700)을 통해서 제2경사부(300) 및 제3경사부(500)가 형성된 부재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2경사부(300) 및 제3경사부(500)가 형성된 부재가 열린 상태가 되면,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가 "3"자 모양으로 연장된다. 제2경사부(300) 및 제3경사부(500)가 형성된 부재가 닫힌 상태가 되면,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가 원형으로 연장되어 터널(40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2경사부(300) 및 제3경사부(500)가 형성된 부재가 열린 상태에서 평면부(100)의 최상단에 구슬을 놓으면 평면부(100)의 최하단으로 직선 이동되고, 제1경사부(200)의 곡면을 따라서 구슬이 점프 이동된다. 점프 이동된 구슬은 제2경사부(300)로 이동되고 또다시 제2경사부(300)의 곡면을 따라서 또다시 점프 이동된다.
한편, 상기 구슬의 이동방식은 제1경사부(200)로 이동되는 구슬의 이동하는 힘에 따라서 구슬이 제1경사부(200) 또는 제2경사부(300)까지 벗어나는 1단 점프도 가능하고, 제1경사부(200)에서 제2경사부(300)까지는 점프 이동된 후에 제2경사부(300)에서는 그 제2경사부(300)의 곡면을 벗어나지 못한 체 곡면을 따라서 좌?우 반복적으로 이동되면서 멈추게 된다.
상기 구슬의 이동하는 힘을 결정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제1경사부(200)의 끝단의 높이가 구슬이 처음으로 이동되는 평면부(100)의 최상부 높이보다 낮거나, 구슬을 밀어주는 등의 추가적인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물론, 구슬이 굴러가는 동안의 마찰 등에 따라서 다소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평면부(100)의 설치 상태에 따라서 구슬의 이동방향이 다소 달라질 수 있는데, 평면부(100)의 한쪽 모서리가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경우, 즉 제1경사부(200)의 한쪽 끝단이 하단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때에는 제1경사부(200)의 곡면 안에서 좌?우 반복적으로 이동되면서 서서히 제1경사부(200)의 하단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구슬의 이동하는 힘을 결정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제1경사부(200)의 끝단의 높이가 구슬이 처음으로 이동되는 평면부(100)의 최상부 높이보다 낮거나, 구슬을 밀어주는 등의 추가적인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물론, 구슬이 굴러가는 동안의 마찰 등에 따라서 다소 달라 질 수 도 있다.
제2경사부(300) 및 제3경사부(500)가 형성된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평면부(100)의 최상단에 구슬을 놓으면 평면부(100)의 최하단으로 직선 이동된 후에 제3경사부(500)에 걸리게 된다. 이때, 구슬은 평면부(100)에 한쪽 측면을 지지하고, 다른 한쪽 측면을 제3경사부(500)가 지지하여 멈추게 된다. 물론, 상기에서와 같이, 평면부(100)의 설치 상태에 따라서 평면부(100)의 어느 한쪽으로 이동되는 레일의 역할을 한다.
구슬은 제2경사부(300) 및 제3경사부(500)가 형성된 부재가 닫힌 상태에서 형성되는 터널(400) 내부의 제1경사부(200) 또는 제2경사부(300)를 따라서 이동된다. 터널(400)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3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처럼, 본 발명의 롤링볼 교구보다 큰 별도의 평면을 갖는 판과 그 판의 상부 면에 본 발명의 롤링볼 교구가 설치되어 실시된다. 터널(400)이 형성된 본 발명의 롤링볼 교구는 판을 따라서 구슬이 이동되는 경로 상에 최소한 터널(400)의 한쪽 끝단이 일치하도록 설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터널(400)은 구슬이 이동되는 방향과 터널(400)의 방향에 따라서 구슬의 다양한 이동을 확인할 수 있고, 제2경사부(300)가 열린 상태로 설치된 또 다른 롤링볼 교구의 제1경사부(200)로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의 평면부(100)와 제1경사부(200), 제2경사부(300), 터널(400) 및 제3경사부(500)로 구성된 실시 예를 구성하기 위해서 도 10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처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을 수 있거나 휘어지게 할 수 있는 통상의 마분지 또는 필름지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마분지 또는 필름지는 사용되는 구슬에 의해서 손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 그 형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거나 휘어지게 할 수 있는 정도의 재질을 의미한다.
한편, 단면을 반원 모양이 되도록 형성하여, 안쪽 면에는 제2경사부(300)를 형성하고, 바깥쪽 면은 제3경사부(500)를 형성하여 구성되되, 제1경사부(200)의 끝단에 볼록한 모양으로 설치(미 도시)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롤링볼 교구는 평면부(100)와 제1경사부(200)을 거처 자연스럽게 그 제2경사부(300)를 따라서 물결모양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단순히 평면 부재의 한쪽을 제1경사부(200)의 한쪽에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의 제2경사부(300)를 제거하여, 평면부(100)와 제1경사부(200)만으로도 실시(미 도시)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롤링볼 교구는 구슬이 제1경사부(200)를 따라서 양 측면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레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구슬이 이동하는 힘에 따라서 점프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역할 및 제1경사부(200) 내부에서 좌?우 반복 이동하는 구슬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롤링볼 교구는 제1경사부(200)를 통해서 구슬의 직선 움직임과 구슬의 점프이동 움직임 및 구슬의 좌?우 반복이동하는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제2경사부(300)의 설치 상태에 따라서 구슬의 2단으로 점프 이동하는 움직임과 구슬의 물결모양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관찰 및 터널(40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된 터널(400)로부터 구슬을 특정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3경사부(500)를 통해서 구슬의 직선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회전수단(700)을 통해서는 제1경사부(200)와 제2경사부(300)가 연장된 터널(400) 또는 '3'자 모양 등의 경사 면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3경사부(500)는 삼각뿔 모양의 경사면으로 구성(미 도시)될 수 있으며, 이 4방위를 향하는 경사면을 통해서 굴러오는 구슬의 위치에 따라서 구슬의 이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용이한 실시를 위해서라면 삼각뿔의 상단 일부가 절개되어 평면이 일부 포함하는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8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서처럼, 상기 도 5에 개시된 'P'자 모양의 실시 형태에서 평면부(100)의 중간과 제3경사부(500)에 평면 부재를 더 설치하여 제4경사부(8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롤링볼 교구는 평면부(100)를 따라서 이동되는 구슬이 제4경사부(800)를 따라서 점프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거나 휘어지게 할 수 있는 재질의 통상의 마분지 또는 필름지 등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제2절개면(130)과 제3절개면(140) 및 면부재를 더 포함하고, 그 제2절개면(130)과 제3절개면(140)에 면부재를 삽입고정하여 제4경사부(8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평면부(100)에는 제4경사부(800)가 일체로 고정되고, 제2경사부(300)의 반대쪽 표면을 관통 삽입될 경우에는 제4경사부(800)의 길이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제4경사부(800)가 제2경사부(300)의 반대쪽 표면에 일체로 고정되고, 평면부(100)에 관통 삽입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제4경사부(800)가 상기 평면부(100)와 제2경사부(300)의 반대쪽 표면에 일체로 고정될 경우에 제4경사부(800)는 무거운 구슬이 터널(400)을 지나갈 때에 터널(400)이 받는 하중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터널(400) 형상의 변형 등으로부터 터널(40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마분지 또는 필름지 등으로 제작될 경우에는 제4경사부(800)의 길이조정으로 평면부(100)와 제3경사면(500)의 내각을 조절하여 제4경사부(80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에 개시된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도 10의 예시는 본 발명의 재질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을 수 있거나 휘어지게 할 수 있는 통상의 마분지 또는 필름지 등으로 제작되는 경우를 예로서 보여준다. 이 경우 직사각형의 한쪽 끝단을 원형이 되도록 휘어지게 하여 제1절개면(110)에 삽입면(120)을 삽입고정 함으로써, 도 3에 개시된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롤링볼 교구는 도 3에 일부 개시된 바와 같은 평면부(100)와 제1경사부(200), 제2경사부(300), 터널(400) 및 제3경사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터널(400)은 내부에 딱딱한 소재의 '<' 모양의 형상유지수단(600)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일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처럼, 구슬이 굴러갈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의 판체에 하나 이상 결합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이렇게 실시되는 롤링볼 교구는 '<' 모양의 형상유지수단(600)에 의해서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원형의 터널(400)이 아닌 삼각형의 터널(400)이 형성되어 유지될 수도 있다. 이때, 형상유지수단(600)을 평면부(100)를 기준으로 눕힌 상태로 삽입할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제3경사부(500)가 구슬을 점프 이동시킬 수 있다.
형상유지수단(600)이 평면부(100)를 기준으로 세워질 경우에는 평면부(100)와 제3경사부(500)를 통해서 구슬의 양 측면이 가이드 되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평면부(100)의 한쪽 모서리가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진 상태라면 그 기울어진 방향으로 구슬이 이동된다.
이러한 형상유지수단(60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거나 휘어지는 재질의 롤링볼 교구를 구성할 경우에 터널(400)의 형상을 유지하거나 무거운 구슬로 인한 제3경사부(50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롤링볼 교구는 대표적으로 평면부(100)와 제1경사부(200) 또는 제2경사부(300)를 통해서 구슬의 직선이동과 점프이동 및 좌?우 반복이동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평면부(100)의 설치상태에 따라서 제1경사부(200) 양 측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의 기능 및 좌?우 반복이동되면서 제1경사부(200)의 어느 한쪽 측면으로 이동되는 구슬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제2경사부(300)를 통해서 터널(400)을 형성할 수 있고, 그 터널(400)을 통해서 특정 위치로 구슬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터널(400) 내에서 나선으로의 이동되는 구슬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제3경사부(500)를 통해서 평면부(100)와 함께 구슬의 양 측면을 지지하여 구슬을 멈추게 할 수 있고, 제3경사부(500)의 양 측면으로 구슬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형상유지수단(600)을 통해서 터널(400) 및 제3경사부(500)의 형상을 유지하여 다양한 모양의 터널(400)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슬의 무게 및 충돌로 인한 파손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수단(700)을 통해서 터널(40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4경사부(800)를 통해서 구슬의 점프 이동을 관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롤링볼 교구의 교구는 도 3에서와같이 하나 이상의 연속하여 판체에 설치함으로써 구슬의 다양한 이동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롤링볼 교구는 롤링볼 교구 각각을 서로 수직으로 설치하되 측면 끝단이 일부 중첩되도록 또 다른 롤링볼 교구를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나선형의 롤링볼 교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롤링볼 교구는 봉 형상의 지지대(미도시)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 설치하여 교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한정되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 지지부
100 : 평면부
110 : 제1절개면
120 : 삽입면
130 : 제2절개면
140 : 제3절개면
200 : 제1경사부
300 : 제2경사부
400 : 터널
500 : 제3경사부
600 : 형상유지수단
700 : 회전수단
800 : 제4경사부

Claims (7)

  1. 구슬이 이동할 수 있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며, 상기 구슬이 회전운동, 점프운동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동-이하 곡선운동이라 함-을 할 수 있는 제1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슬은 상기 평면부의 일면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제1경사부의 일면에 유입되어 상기 곡선운동을 하거나, 상기 제1경사부의 상기 일면을 따라 상기 곡선운동을 한 후 상기 평면부의 상기 일면에 유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곡선운동을 포함하는 상기 구슬의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롤링볼 교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롤링볼 교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제1경사부와 연결되어 터널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롤링볼 교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경사부의 일면의 반대쪽 표면인 상기 제2경사부의 타면에 배치되거나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3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롤링볼 교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 또는 상기 제1경사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제2경사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롤링볼 교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2경사부의 일면의 반대쪽 표면인 상기 제2경사부의 타면과 상기 평면부의 상기 일면을 연결하는 제4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롤링볼 교구.
  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4경사부는 상기 평면부 또는 상기 제2경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롤링볼 교구.
KR1020170146473A 2017-11-06 2017-11-06 롤링볼 교구 KR101930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73A KR101930832B1 (ko) 2017-11-06 2017-11-06 롤링볼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73A KR101930832B1 (ko) 2017-11-06 2017-11-06 롤링볼 교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601A Division KR101864953B1 (ko) 2016-11-15 2016-11-15 롤링볼 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450A true KR20180054450A (ko) 2018-05-24
KR101930832B1 KR101930832B1 (ko) 2019-03-11

Family

ID=6229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473A KR101930832B1 (ko) 2017-11-06 2017-11-06 롤링볼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8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0850A (zh) * 2018-06-19 2018-09-07 寇芳 一种用于高中教学验证动量定理的模拟教具
CN110189609A (zh) * 2019-05-15 2019-08-30 中国石油大学(北京) 悬链线教学演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5377A1 (en) * 1991-01-28 1994-03-17 Kelley James A Jr Automatic cordless golf ball return
KR20150034940A (ko) * 2013-09-27 2015-04-06 석재준 롤링볼 교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5377A1 (en) * 1991-01-28 1994-03-17 Kelley James A Jr Automatic cordless golf ball return
KR20150034940A (ko) * 2013-09-27 2015-04-06 석재준 롤링볼 교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0850A (zh) * 2018-06-19 2018-09-07 寇芳 一种用于高中教学验证动量定理的模拟教具
CN110189609A (zh) * 2019-05-15 2019-08-30 中国石油大学(北京) 悬链线教学演示装置
CN110189609B (zh) * 2019-05-15 2021-06-25 中国石油大学(北京) 悬链线教学演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832B1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832B1 (ko) 롤링볼 교구
US8196447B2 (en) Sled buck testing system
US9452366B2 (en) Toy track set
ES2683717T3 (es) Dispositivo transportador para transportar objetos
US20130183644A1 (en) Polygonal device for kinesthetic learners
ES2662099T3 (e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para una parte de mueble móvil
KR101864953B1 (ko) 롤링볼 교구
ES2613883T3 (es) Unidad de movimiento
CN101387821A (zh) 屏幕
CN104995432B (zh) 容许对齐不准的缆绳致动器
US7543818B2 (en) Tilting projectile game
JP2015175922A (ja) 輪投げロボット教材及び輪投げロボット学習方法
JP2019523661A5 (ko)
US10051925B2 (en) Fixturing apparatus
JP5125622B2 (ja) 遊技球流下通路及び遊技機
DE202010004545U1 (de) Gleichgewichtstrainingsgerät
CN114748020B (zh) 一种内窥镜对接结构、内窥镜手柄、内窥镜
WO2015025820A1 (ja) 免震構造
US8905054B2 (en) Protrusive structure apparatus
KR101296727B1 (ko)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
JP2017115915A (ja) 免震機構
JP2021094993A (ja) ホームドア
JP7079313B1 (ja) 抵抗力装置
KR20230114417A (ko)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JP2019044753A (ja) 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