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727B1 -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727B1
KR101296727B1 KR1020130020951A KR20130020951A KR101296727B1 KR 101296727 B1 KR101296727 B1 KR 101296727B1 KR 1020130020951 A KR1020130020951 A KR 1020130020951A KR 20130020951 A KR20130020951 A KR 20130020951A KR 101296727 B1 KR101296727 B1 KR 101296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switching
guide
driv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봉안천막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기둥 상단에 결합되고 종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세로빔, 제 2세로빔 및 가로빔으로 구성되는 에이치(H)빔;과 상기 에이치(H)빔에 가이드 되어 왕복으로 이송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와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고정되고 천막프레임과 상기 천막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며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지지부;와 상기 횡지지부가 이웃하는 타 횡지지부에 절첩되도록 연결하며 제 1링크부재와 제 2링크부재가 연속하여 'X'자 형태로 교차하며 구성되는 자바라 링크; 및 상기 천막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가 종방향으로 왕복운동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천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가이드부가 에이치(H)빔에 지지되어 왕복이송됨에 따라 천막이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천막의 개폐작업이 간편하며 작업 소요시간이 단축되고 한 쌍의 에이치(H)빔이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THE AUTO-COVERING DEVICES}
본 발명은 천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중형 및 대형 등 다양한 규모의 천막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천막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막은 따가운 햇살이나 우천시 이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실외레스토랑이나 가든 등에서 열린 공간을 덮어서 사람들이 쉴 수 있는 쉼터를 제공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부터, 복수의 기둥과, 기둥에 접속되는 프레임에 의해 천막이 지지되는 구조의 천막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기둥과 프레임의 구조에는, 여러가지의 형태의 것이 존재하고 있지만, 이 중, 기둥과 프레임을 슬라이딩 및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접이를 용이하게 한 접이식 천막으로는 일례로, 일본에서의 특허 제2949648호나 특허공개 2001-28893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천막구조는 중심을 기준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하여 또는 내구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여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 된다.
그러므로 다양한 요구조건이 만족되는 즉, 구조적으로 절첩작업이 용이하며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한 천막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43020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이드부에 프레임, 자바라링크, 횡지지부, 천막프레임 및 천막이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이드부가 에이치(H)빔에 지지되어 왕복이송됨에 따라 천막이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천막의 개폐가 용이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가이드부에 구동부를 마련하여 자동으로 천막의 개폐가 가능한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는 복수의 기둥 상단에 결합되고 종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세로빔, 제 2세로빔 및 가로빔으로 구성되는 에이치(H)빔;과 상기 에이치(H)빔에 가이드 되어 왕복으로 이송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와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고정되고 아치형의 천막프레임과 상기 천막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며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지지부;와 상기 횡지지부가 이웃하는 타 횡지지부에 절첩되도록 연결하며 제 1링크부재와 제 2링크부재가 연속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되는 자바라 링크; 및 상기 천막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가 전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천막;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횡지지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횡지지결합부;와 상기 횡지지결합부의 저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세로빔을 내재하며 'ㄴ'자 형상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휠브라켓;과 한 쌍의 상기 휠브라켓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세로빔 상에서 이송되는 이송휠; 및 한 쌍의 상기 휠브라켓의 단부에 각각 구성되며 상기 가로빔의 양측면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보조휠;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이송휠은 단면의 구조가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배가 형성되어 접지면이 좁은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이송휠은 축방향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조휠은 축방향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자바라 링크는 상기 제 1링크부재 및 제 2링크부재의 중앙교차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이송궤적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링크부재 및 제 2링크부재의 양 외곽교차부는 상기 횡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복수로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부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는 구동부가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구동부는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부몸체;와 상기 구동부몸체의 저면에 구성되며 상기 화물차의 적재함 바닥면 상에서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제 1구동휠;과 상기 모터 및 상기 제 1구동휠을 연동시키는 이음수단;과 상기 절곡부에 가이드되어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한 쌍의 제 2구동휠을 구비하는 구동부가이드; 및 하나 이상의 스위칭 모듈;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스위칭 모듈은 화물차 적재함에 배치되며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토퍼;와 회전각 변위에 따라 구동모터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스위칭 축;과 상기 스위칭 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스위칭 롤러가 결합되는 스위칭 바;가 포함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위칭 롤러의 이송경로에 대응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는 가이드부에 프레임, 자바라링크, 횡지지부, 천막프레임 및 천막이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이드부가 에이치(H)빔에 지지되어 왕복이송됨에 따라 천막이 자동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천막의 개폐작업이 간편하며 작업 소요시간이 단축되고 한 쌍의 에이치(H)빔이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에 구동부를 결합하여 작업자는 제어부의 제어를 통하여 자동으로 천막의 개폐가 가능하며 스위칭 모듈이 더 구성됨으로써, 조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 및 에이치(H)빔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바라 링크 및 횡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써,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는 소형, 중형 및 대형 등 다양한 규모의 천막(30)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접이식 천막(30)을 펼치거나 접히도록 하는데 있어서 그 작업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는 크게 에이치(H)빔(20), 가이드부(100), 횡지지부(200), 자바라 링크(300) 및 천막(30)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천막(30)이 설치되기에 앞서 지면으로부터 높이를 확보하고 천막(30)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기둥(10)이 배치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는 천막(30)이 펼쳐진 상태의 평면이 직사각형이 되도록 기둥(10)의 배치를 직사각형의 절곡되는 4 지점에 배치시킨다. 그러나 천막(30)의 규모에 따라 기둥(10)의 개수가 더 증가 될 수 있음은 당연한 바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둥(10)의 형상이 사각형인 것을 제시하나 본 발명에서는 기둥(10)의 형상이 원형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한 쌍의 기둥(10) 상단에는 에이치(H)빔(20)의 양단부의 저면이 결합되도록 하여 한 쌍의 에이치(H)빔(20)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에이치(H)빔(20)의 길이 방향과 접이식 천막(30)의 개폐방향과 일치하도록 구성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에이치(H)빔(20)의 길이 방향을 종방향, 평면을 기준으로 그와 수직방향을 횡방향이라 정의한다.
가이드부(100)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에이치(H)빔(20)에 가이드되어 종방향으로 왕복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이치(H)빔(20)은 일반적인 에이치(H)빔(20)이 사용 가능 한 것으로써, 두 개의 세로빔이 사이에 한 개의 가로빔(22)이 결속되는 구조로 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각각 제 1세로빔(21), 제 2세로빔(23) 및 가로빔(22)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상기 가이드부(100) 및 에이치(H)빔(20)의 구체적인 결합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가이드부(100)는 휠브라켓(130), 이송휠(110), 보조휠(140) 및 횡지지결합부(120)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휠브라켓(130)은 'ㄴ'자 형상으로 대칭하여 한 쌍이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 대응하는 일단은 횡지지결합부(120)에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은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데 이때 타단 간의 형성된 간격은 간격부(132)가 된다.
상기 가이드부(100)가 에이치(H)빔(20)에 가이드되어 종방향으로 이송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휠브라켓(130)에 에이치(H)빔(20)의 일부가 내재되도록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휠브라켓(130)의 내측에는 에이치(H)빔(20)의 제 1세로빔(21)이 내재되며 가로빔(22)이 상기 간격부(132)를 통해 하부로 연장되도록 배치시킨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휠브라켓(130)의 내측에는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이송축(112)과 상기 이송축(112)의 중앙에는 이송휠(110)이 고정되는데, 상기 이송휠(110)은 상기 제 1세로빔(21) 상에 종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휠(110)은 단면의 구조가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배가 형성되어 제 1세로빔(21)에 접지되는 면이 좁게 구성되므로 복수로 구성되며 횡지지부(200), 자바라 링크(300) 및 천막(30)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100)가 왕복이송운동할 때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한 쌍의 상기 휠브라켓(130)의 타단에는 보조휠(140)이 더 구성되는데, 상기 보조휠(140)은 가로빔(22)의 양측에 걸쳐지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부(100)가 에이치(H)빔(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이송을 돕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휠(14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바, 일례로 베어링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송휠(110)과 보조휠(140)은 축방향이 상호간에 수직으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송휠(110)은 축방향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조휠(140)은 축방향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횡지지부(200)는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구조로 양측에 배치되는 에이치(H)빔(20)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100)에 고정되어 한 쌍의 가이드부(100)가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횡지지부(200)의 하면이 상기 가이드부(100)의 일 구성인 횡지지결합부(120)에 고정되게 된다.
횡지지부(200)는 각각 복수의 지지대(34)를 통해 천막프레임(32)을 지지하게 되며 천막프레임(32)에는 복수의 가이드부(100)가 종방향으로 왕복운동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천막(30)이 결합 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천막프레임(32), 횡지지부(200) 및 한 쌍의 가이드부(100)가 일체로 거동하게 되는데, 즉 일 측의 가이드부(100)가 이동하면 횡지지부(200) 및 천막프레임(32)이 함께 이동되며 타 측의 가이드부(100)도 함께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가이드부(1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천막(30)은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막프레임(32), 횡지지부(200) 및 한 쌍의 가이드부(100)가 한 묶음으로 일체거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각의 묶음들이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채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케 구성으로 자바라 링크(300)가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자바라 링크(300)는 자바라 방식으로 펼침과 접힘이 가능한 구성으로써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자바라 링크(300)와 횡지지부(2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바라 링크(300)는 제 1링크부재(310)와 제 2링크부재(320)가 연속하여 'X'자 형태로 교차하며 구성되는 되는바, 반복 교차되는 각 교차점인 양 측의 외곽교차부(316)와 중심의 중앙교차부(314)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교차부(314)는 상기 가이드부(100)의 이송궤적 상에 배치되고, 상기 양 외곽교차부(316)는 상기 횡지지부(20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는데, 그 결합수단으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 1링크부재(310)와 제 2링크부재(320)의 끝단이 회동가능하도록 링크결합돌기(330)가 관통하여 연장되고 연장된 링크결합돌기(330)가 횡지지부(200)에 구성된 링크결합구(2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예를 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천막프레임(32), 횡지지부(200) 및 한 쌍의 가이드부(100)가 한 묶음으로 일체거동하는데 있어 이러한 각각의 묶음들이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 채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써 구동부가 적용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400)는 가이드부(100)와 결합되어 천막장치(1)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구동부가 일측 최외곽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00)에 결합 됨이 타당하다.
먼저 도 5a는 구동부(4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0)는 구동모터(420), 구동부몸체(410), 구동휠(430), 구동휠지지부(434), 구동보조휠(450), 구동기어(422), 종동기어(432), 동력전달수단(425), 구동부가이드(44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부몸체(410)는 일측 최외곽 가이드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동부(400)의 작동에 의해 일측 최외곽 가이드부(100)가 이동됨에 따라 천막장치(1)인 복수의 천막프레임, 횡지지부 및 가이드부가 연동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바는 없으나 별도의 제어부를 마련하여 제어부를 통해 구동부(400)의 전진, 후진 및 정지 등의 명령을 제어할 수 있음은 자명한 바이다.
구동모터(420)를 구비하는 구동부몸체(410)는 저면에 구성되는 구동휠지지부(434)를 통해 구동휠(430)이 제 1세로빔에서 왕복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모터(420)의 회전축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는 구동기어(422)와 상기 구동휠(430)의 회전축에 연동하도록 마련되는 종동기어(432)는 동력전달수단(425)에 연결되어 구동모터(420)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휠(430)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425)은 일례로 체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는 에이치(H)빔에 더욱 견고히 결합 되기 위해 구동보조휠(450)이 마련되는데, 보조구동휠(450)은 상기 보조휠의 구조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에이치(H)빔의 가로빔 상에 지지된 채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구동보조휠(450)은 구동부몸체(410)에서 대칭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구동부가이드(440)에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400)에는 스위칭 모듈(460)이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스위칭 모듈(460)이 구동부(40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 모듈(460)이 구동부(400)에 배치되는 데 있어 위치적으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스위칭 모듈(460)은 스위칭 바(464) 및 스위칭 롤러(466)로 구성되고 스위칭 바(464) 및 스위칭 롤러(466)가 이송되는 궤도에 대응되도록 에이치(H)빔에는 스토퍼(470)가 더 구성되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스위칭 모듈(460)은 상기 구동부(400)의 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가이드부(100)가 이송됨에 있어 가이드부(100)가 에이치(H)빔의 양끝단을 벗어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제어수단이 필요하게 되는바, 본 스위칭 모듈(460)의 작동에 기하여 가이드부(100)가 에이치(H)빔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게 되며, 그 구조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작동관계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b는 일측 최외곽의 가이드부(100)가 구동부(400)의 동력전달에 의해 자동으로 에이치(H)빔의 일끝단으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구동부(400)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모듈(460)이 배치되고 스위칭 모듈(460)은 스위칭 축(462)이 기 세팅된 회전각 범위의 임계각을 초과하여 회전하게 되면 구동모터(42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구조로써, 스위칭 축(462)에는 스위칭 바(464)와 스위칭 롤러(466)가 구성되어 스위칭 롤러(466)가 에이치(H)빔에 배치되는 스토퍼(470) 닿게 되면 스위칭 바(464)가 스위칭 축(462)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스위칭 축(462)을 회전시키게 되며 기 세팅된 회전각도에 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420)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가이드부(100)가 에이치(H)빔의 일 끝단을 벗어나기 전에 멈출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470)는 경사면이 구성되고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스위칭 롤러(466)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도록 배치하여 스위칭 롤러(466)가 에이치(H)빔의 일 끝단에 도달하기 직전에 스토퍼(470)에 걸릴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470)가 경사면으로 구성되므로 스위칭 롤러(466)가 스토퍼(470)에 접한 상태로 타고 올라가면서 스위칭 축(462)의 회전이 서서히 진행되므로 전원 공급량도 서서히 줄이다 멈추도록 구현하여 정지시 완충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구동부(400)의 동작이 갑자기 멈출 경우 천막장치(1)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내구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가이드부가 에이치(H)빔의 타 단부를 벗어나는 것 역시 방지하도록 에이치(H)빔의 타단부에서도 스토퍼(470)가 배치되고 상술하였던 에이치(H)빔의 일단부에 적용되는 스위칭 모듈(460)의 작동관계가 적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천막장치 30 : 천막
100 : 가이드부 200 : 횡지지부
300 : 자바라 링크 400 : 구동부

Claims (8)

  1. 복수의 기둥 상단에 결합되고 종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세로빔(21), 제 2세로빔(23) 및 가로빔(22)으로 구성되는 에이치(H)빔(20);과 상기 에이치(H)빔(20)에 가이드 되어 왕복으로 이송되는 복수의 가이드부(100);와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100) 상부에 고정되고 천막(30)프레임과 상기 천막(30)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며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횡지지부(200);와 상기 횡지지부(200)가 이웃하는 타 횡지지부(200)에 절첩되도록 연결하며 제 1링크부재와 제 2링크부재가 연속하여 'X'자 형태로 교차하며 구성되는 자바라 링크(300); 상기 천막(30)프레임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100)가 종방향으로 왕복운동함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천막(30); 및 상기 가이드부(100)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에 결합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천막(30)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0)는
    구동모터(420)를 구비하는 구동부몸체(410);
    상기 구동부몸체(410)의 저면에 구성되며 상기 제 1세로빔(21)에 접지되어 왕복이송되는 구동휠(430);
    상기 구동모터(420) 및 상기 구동휠(430)을 연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425);
    상기 가로빔(22)에 가이드되어 왕복 이송되는 한 쌍의 보조구동휠(450)을 구비하는 구동부가이드(440); 및
    상기 구동부몸체(410)의 일측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칭 모듈(460);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 모듈(460)은
    회전각 변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20)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스위칭 축(462);
    상기 스위칭 축(46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스위칭 롤러(466)가 결합되는 스위칭 바(464); 및
    상기 에이치빔(20) 상의 상기 스위칭 롤러(466) 이송궤도에 대응되는 양끝단에 고정되고 경사면이 형성되는 스토퍼(47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동 천막(30)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20951A 2013-02-27 2013-02-27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 KR101296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51A KR101296727B1 (ko) 2013-02-27 2013-02-27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951A KR101296727B1 (ko) 2013-02-27 2013-02-27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727B1 true KR101296727B1 (ko) 2013-08-20

Family

ID=4922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951A KR101296727B1 (ko) 2013-02-27 2013-02-27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612A (ko)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도가 와이어를 이용한 개폐식 천막
KR102277964B1 (ko) 2020-12-07 2021-07-14 김봉철 천막용 자동 개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08U (ko) * 1998-12-16 2000-07-05 김영봉 간이용 접이식 구조물
JP2004092039A (ja) 2002-08-29 2004-03-25 Tenparu:Kk オーニング装置の取付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0580187B1 (ko) * 2006-02-13 2006-05-16 주식회사 동남아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빗물막이 차양
KR20090100858A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아성엠엔에스아이 에이취빔 레일 감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08U (ko) * 1998-12-16 2000-07-05 김영봉 간이용 접이식 구조물
JP2004092039A (ja) 2002-08-29 2004-03-25 Tenparu:Kk オーニング装置の取付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0580187B1 (ko) * 2006-02-13 2006-05-16 주식회사 동남아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빗물막이 차양
KR20090100858A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아성엠엔에스아이 에이취빔 레일 감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612A (ko)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도가 와이어를 이용한 개폐식 천막
KR102277964B1 (ko) 2020-12-07 2021-07-14 김봉철 천막용 자동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2821T3 (es) Conjunto de rail de guía de sistema de ascensor sin cables
KR101296727B1 (ko) 접이식 자동 천막장치
US20140219759A1 (en) Mast assembly with improved operator visibility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20150139726A1 (en) Barrier system
CN106661851A (zh) 碰撞衰减器装置
ES2623493T3 (es) Método e instalación para la fabricación continua de una viga de celosía
CN102673678A (zh) 全方位三维智能升降车
CN110065905A (zh) 用于地面输送机的驾驶室
RU2018144423A (ru) Транспортная платформа
JP5317281B2 (ja) 可動ホーム柵
CN105934549A (zh) 桥接装置
KR102224293B1 (ko) 컨테이너
US7156142B2 (en) Vertically movable partition walls
ES2339291T3 (es) Dispositivo de centrado auto-regulable.
US20110225902A1 (en) Basin covering device
KR101237378B1 (ko) 무레일 절첩식 대문
US20160311448A1 (en) Gap filler having a reduced bulk
ES2453155T3 (es) Guía de cuerda excéntrica en el raíl inferior de una mosquitera horizontalmente deslizante
KR20120055294A (ko) 가변형 컨테이너 조립체
ES2210119T3 (es) Instalacion para el transporte de personas.
KR101365043B1 (ko) 가변 구조물
KR20048006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KR102022293B1 (ko) 탑승형 다족 로봇
BE1021003B1 (nl) Buisrailwagen of hoogwerker
CN104334933B (zh) 紧凑型换档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