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074A - 차량용 변속 레버 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레버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074A
KR20180053074A KR1020160150433A KR20160150433A KR20180053074A KR 20180053074 A KR20180053074 A KR 20180053074A KR 1020160150433 A KR1020160150433 A KR 1020160150433A KR 20160150433 A KR20160150433 A KR 20160150433A KR 20180053074 A KR20180053074 A KR 20180053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hift
shift lever
rai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범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3074A/ko
Priority to EP17868700.0A priority patent/EP3540271A4/en
Priority to PCT/KR2017/011652 priority patent/WO2018088715A1/ko
Priority to US16/348,406 priority patent/US20190264801A1/en
Priority to CN201780069974.7A priority patent/CN109983258A/zh
Publication of KR20180053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2Ratio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a final actua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조작을 구동 기어 어셈블리로 전달하는 변속 레버 기구로서, 일단이 변속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어,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축방향을 따르는 직선 이동과 둘레 방향을 따르는 회전이 가능한 샤프트; 일단은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샤프트의 직선 이동과 회전에 각각 대응하여 직선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며, 타단은 구동 기어 어셈블리와 연결된 제1 변속 레일 및 제2 변속 레일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변속암; 차체에 고정되어 샤프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샤프트의 위치를 규제하는 샤프트 홀더; 및 샤프트 홀더의 외주에서 샤프트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홀더 브라켓 및 변속 레버의 중간 부위와 양단에서 각각 힌지 결합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레버 기구{GEARSHIFT LEVER MECHANISM FOR VEHICLE}
본 발명은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 차량의 변속조작을 변속기로 전달하는 변속 레버 기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복수의 변속 조작을 하나의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변속 레버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 등과 같은 농기계는 엔진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변속기를 통하여 구동으로 전달하고, 작업자는 운전석에 설치된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변속기를 조작함으로써, 주행 조건에 맞는 회전수와 토크로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이 구동륜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속 레버 기구(1000)의 경우, 변속 레버(1001)는 피봇부(1004)를 중심으로 피봇 회전(A)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변속 레버(1001)의 단부가 변속 레일(1002, 1003)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변속 레일(1002, 1003)은 주행 조건에 맞도록 변속기와 연결되어 조작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변속 레버 기구(1000)는 변속 레버(1001) 단부의 전후 조작과 좌우 조작을 위한 피봇 회전의 중심(A)이 동일하기 때문에, 변속 레버(1001)의 전후 조작 및 좌우 조작의 회전 비율이 동일하다.
따라서, 종래의 변속 레버 기구(1000)의 구성만으로는 전후 조작과 대비하여 좌우의 조작력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변속 레버(1001)의 전후 조작과 좌우 조작의 조작력을 다르게 설정하기 어렵고, 전후 조작과 좌우 조작을 독립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변속 레버 기구(2000)는 변속 레버(2001)의 전후 조작과 좌우 조작을 독립적으로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변속 레버(2001)의 좌우 조작을 통해 피봇 중심(B)을 기준으로 변속 레버(2001)를 피봇 회전시켜 샤프트(2002)를 이동시킴으로써, 샤프트(2002)의 타단에 결합된 변속암(2005)이 변속 레일(미도시)과 체결되도록 하고, 변속 레버(2001)의 전후 조작을 통해 피봇 중심(C)을 기준으로 변속 레버(2001)를 피봇 회전시켜 샤프트(2002)를 회전시킴으로써, 변속암(2005)이 체결된 변속 레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다른 변속 레버 기구(2000)는 피봇 중심(B, C)의 위치가 변동될 수 없고, 이러한 피봇 중심(B, C)을 설정하기 위한 여러 부가 구성들이 필요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001)는 구형상의 연결부(2004)를 갖는 홀더(2003)를 경유하여 샤프트(2002)와 연결되기 때문에, 변속 레버(2001)와 연결부(2004)의 연결에 있어서 소정의 유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변속 레버(2001)와 연결부(2004)가 볼조인트 형태로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변속 레버(2001)의 조작력이 효과적으로 샤프트(2002)에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 10-15122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속 레버의 좌우 피봇 조작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변속 레버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 레버 기구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의 수를 줄여, 부품들 사이의 결합에 따른 변속 레버의 조작력 전달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 레버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은 힘이 요구되는 변속 레버의 좌우 조작보다 큰 힘이 요구되는 변속 레버의 전후 조작이 용이한 변속 레버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조작을 구동 기어 어셈블리로 전달하는 변속 레버 기구로서, 일단이 변속 레버의 일단에 연결되어,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축방향을 따르는 직선 이동과 둘레 방향을 따르는 회전이 가능한 샤프트; 일단은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샤프트의 직선 이동과 회전에 각각 대응하여 직선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며, 타단은 구동 기어 어셈블리와 연결된 제1 변속 레일 및 제2 변속 레일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변속암; 차체에 고정되어 샤프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샤프트의 위치를 규제하는 샤프트 홀더; 및 샤프트 홀더의 외주에서 샤프트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홀더 브라켓 및 변속 레버의 중간 부위와 양단에서 각각 힌지 결합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변속 레버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속 레버가, 중간 부위의 지점을 중심으로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피봇 조작되는 경우,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전진되거나 후진되며, 변속암은 제1 변속 레일 및 제2 변속 레일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속 레버가, 변속 레버와 샤프트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샤프트의 둘레 방향으로 피봇 조작되는 경우, 샤프트는 둘레 방향으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하고, 변속암은 샤프트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체결된 제1 변속 레일 또는 제2 변속 레일을 제1 변속 레일 또는 제2 변속 레일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속암은 제1 변속 레일 또는 제2 변속 레일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는 지점에서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체결부가 제1 변속 레일 또는 제2 변속 레일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변속암이 제1 변속 레일 또는 제2 변속 레일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일단으로부터 중간 부위의 지점까지의 거리(b)에 대한 변속 레버의 타단으로부터 중간 부위의 지점까지의 거리의 비율보다, 체결부로부터 샤프트와 변속암의 연결 지점까지의 거리에 대한 변속 레버의 타단으로부터 샤프트와 변속암의 연결 지점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더 큰 변속 레버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일단과 변속 레버의 중간 부위의 지점 사이의 일정 위치, 및 연결로드의 일정 위치에 연결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변속 레버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속 레버의 일단과 샤프트의 일단은 힌지 연결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연결로드는 단면이 U-형태로 변속 레버의 중간 지점의 외부를 감싸는 레버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로드는 홀더 브라켓과 힌지 연결되는 단면이 U-형태의 연결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일체로 작동하는 레버 홀더를 더 포함하고, 변속 레버의 일단은 레버 홀더와 힌지 연결되는 변속 레버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속 레버의 좌우 피봇 조작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 레버 기구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부품들 사이의 결합에 따른 변속 레버의 조작력 전달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은 힘이 요구되는 변속 레버의 좌우 조작보다 큰 힘이 요구되는 변속 레버의 전후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변속 레버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변속 레버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변속 레버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기재된 변속 레버 기구의 전후 조작과 좌우 조작의 변속 레버 비율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기재된 변속 레버 기구의 좌우 조작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는 도 5에 기재된 변속 레버 기구의 좌우 조작에 따라 변속암이 변속 레일과 체결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기재된 변속 레버 기구의 전후 조작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기재된 변속 레버 기구의 전후 조작에 따라 변속암이 변속 레일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변속 레버 기구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다른 변속 레버 기구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기재된 종래의 다른 변속 레버 기구에 있어서, D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 기구(1)의 구체적인 구성 요소 및 그 작동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형태에서는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변속 레버 기구(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 기구(1)는 변속 레버(10)의 전후 조작 또는 좌우 조작을 구동 기어 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변속 레버(10)는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운전석(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변속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변속 레버(10)는 변속 레버 안내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움직임을 제한하는데, 예를 들어, 4단의 변속기라면 상기 변속 레버 안내판에 의해 "H"자 형태로 전후 조작과 좌우 조작을 조합하여, 1단에서 4단으로 선택적으로 변속이 가능하다.
또한, 변속 레버(10)의 일단(10a)에는 샤프트(2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샤프트(20)는 상기 변속 레버(10)의 조작에 따라 샤프트(10)의 축방향(X)을 따르는 직선 이동과 샤프트(10)의 둘레 방향(Y)을 따르는 회전이 가능하고, 샤프트(20)는 차체에 고정되는 샤프트 홀더(40)에 축방향(X)을 따르는 직선 이동과 둘레 방향(Y)을 따르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샤프트(20)의 위치를 규제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20)의 타단에는 변속암(3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변속암(30)은 샤프트(20)의 직선 이동에 따라 함께 직선 이동을 하거나, 샤프트(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이 가능하다. 변속암(30)의 타단은 구동 기어 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제1 변속 레일(61) 또는 제2 변속 레일(62)과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 홀더(40)와 변속 레버(10) 사이에는 연결로드(50)가 배치되어, 샤프트 홀더(40)와 변속 레버(10)에 대하여 각각 힌지 결합되어, 피봇 회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변속 레버 기구(1)의 구체적인 구성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홀더(40)의 외주에는, 샤프트(20)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회전이 가능하게 홀더 브라켓(41)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로드(50)를 통해 연결된 변속 레버(10)가 샤프트(20)의 둘레 방향(Y), 즉, 변속 레버(70)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하는 경우, 샤프트 홀더(40)의 외주를 따라 홀더 브라켓(41)이 슬라이딩되면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연결로드(5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로드(50)는 변속 레버(10)의 중간 부위의 지점(11)과 홀더 브라켓(41)의 일부 사이에서 각각 힌지 결합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로드(50)의 양단에는 단면이 U-형태인 브라켓(51, 52)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속 레버(10)측 연결 지점에서는, 변속 레버(10)의 상기 중간 부위의 지점(11)과 변속 레버(10)측 일단의 레버 브라켓(51)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핀(511)을 삽입하여 이를 클립(512)으로 고정하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홀더 브라켓(41)측 연결 지점에서는, 마찬가지로, 홀더 브라켓(41)의 일부와 홀더 브라켓(41)측 타단의 연결 브라켓(52)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핀(521)을 삽입하여 이를 클립(522)으로 고정하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로드(50)는 변속 레버(10)와 홀더 브라켓(41)에 대하여 각각 피봇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브라켓(51, 52)은 U-형태이기 때문에, 그 일단이 변속 레버(10)의 외면과, 그리고 그 타단이 홀더 브라켓(41)의 외면과 접촉할 때까지만 연결로드(50)가 회전되므로, 변속 레버(10)의 샤프트(20)의 축방향(X) 피봇 조작의 범위가 규제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20)의 일단에는 변속 레버(10)의 일단(10a)이 수용될 수 있는 레버 홀더(21)가 배치되어 있고, 레버 홀더(21)와 변속 레버(10)의 일단(10a)을 볼트로 연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변속 레버(10)와 샤프트(20)의 결합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변속 레버(10)의 일단(10a)과 변속 레버(10)의 중간 부위의 지점(11) 사이의 일정 위치(12)와, 연결로드(50)의 일정 위치(53)에 연결되는 스프링 부재(70)가 설치되어, 변속 레버(10)를 샤프트(20)의 축방향(X)으로 피봇 조작 이후 스프링 부재(70)의 복원력을 통해, 변속 레버(10)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변속 레버 기구(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0)의 타단은 변속암(30)과 결합되어 있고, 샤프트(20)와 변속암(30)은 고정 볼트(31)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샤프트(20)가 직선 이동하는 경우 변속암(30)도 함께 직선 이동되고, 샤프트(20)가 회전하는 경우 변속암(30)도 결합축(30a)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된다. 변속암(30)의 타단에는 변속암(30)의 외주면에 대하여 돌출된 형태로서 체결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부(32)의 구체적인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기재된 변속 레버 기구(1)의 전후 조작과 좌우 조작의 변속 레버 비율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를 변속 레버(10)의 중간 부위의 지점(11)을 중심으로 좌우 조작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샤프트(20)와 변속암(30)도 샤프트(20)의 축방향(X)으로 함께 좌우 조작된다.
이 때, 변속 레버(10)의 타단(10b)으로부터 상기 중간 부위의 지점(11)까지의 수직 거리를 a라 하고, 상기 중간 부위의 지점(11)으로부터 샤프트(20)와의 결합 지점, 즉 변속 레버(10)의 일단(10a)까지의 수직 거리를 b라 하였을 때, b에 대한 a의 비율을 설정하여, 변속 레버(10)의 좌우 조작을 위한 조작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변속 레버(10)와 샤프트(20)의 연결 지점(10a)을 중심으로 변속 레버(10)를 전후 조작을 하는 경우, 변속암(30)도 샤프트(20)의 둘레 방향(Y)으로 함께 전후 조작된다.
마찬가지로, 변속 레버(10)의 타단(10b)으로부터 샤프트(20)와 변속암(30)의 연결 지점(10a), 즉 결합축(30a)까지의 수직 거리를 c라 하고, 상기 결합축(30a)으로부터 변속암(30)의 체결부(32)까지의 수직 거리를 d라 하였을 때, d에 대한 c의 비율을 설정하여, 변속 레버(10)의 전후 조작을 위한 조작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속 레버(10)의 좌우 피봇 조작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변속 레버 기구(1)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부품들 사이의 결합에 따른 변속 레버(10)의 조작력 전달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변속 레버(10)의 좌우 조작에 따른 본 발명의 변속 레버 기구(1)의 구성 요소들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레버(10)의 타단(10b)을 좌우로 조작하는 경우, 변속 레버(10)의 중간 부위의 지점(11)을 중심으로 변속 레버(10)의 일단(10a)은 함께 회전되며, 이 때, 타단(10b)의 좌우 조작 방향과 일단(10a)의 좌우 이동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그 후, 변속 레버(10)의 일단(10a)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함께 연결된 샤프트(20)와 변속암(30)도 함께 좌우, 즉 샤프트(20)의 축방향(X)으로 조작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20)의 둘레는 샤프트 홀더(40)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므로, 샤프트(20)와 변속암(30)은 직선 이동으로 구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암(30)이 직선으로 좌우, 즉 샤프트(20)의 축방향(X) 조작되면, 변속암(30)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부(32)가 제1 변속 레일(61)에 형성된 체결홈(611) 또는 제2 변속 레일(62)에 형성된 체결홈(621)에 삽입됨으로써, 변속 레일(61, 62)과 체결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체결부(32)가 제2 변속 레일(62)과 체결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는 경우 체결부(32)는 제1 변속 레일(61)과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를 좌우 조작하여 제1 변속 레일(61) 또는 제2 변속 레일(62)과 체결된 이후, 변속 레버(10)를 전후 조작하였을 때, 변속 레버 기구(1)의 구성 요소들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레버(10)의 타단(10b)을 전후로 조작하는 경우, 변속 레버(10)는 변속 레버(10)와 샤프트(20)가 결합되는 지점(10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함께 연결된 샤프트(20)와 변속암(30)도 함께 회전 조작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암(30)의 체결부(32)가 이미 제1 변속 레일(61)의 체결홈(611) 또는 제2 변속 레일(62)의 체결홈(621)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변속암(30)이 회전되면, 제1 변속 레일(61) 또는 제2 변속 레일(62)은 변속 레일(61, 62)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한편, 운전자가 변속 레버(10)를 좌우로 조작(제1 변속 레일(61) 또는 제2 변속 레일(62)을 선택하는 조작)보다 변속 레버(10)를 전후로 조작(선택된 변속 레일(61 또는 6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조작)에서 큰 힘이 요구되므로, 도 4에 있어서, a/b 비율보다 c/d 비율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운전자가 변속 레버 기구(1)를 조작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운전자가 변속 레버(10)를 좌우로 조작 시 변속 레버 비율은 a/b 이고, 운전자가 변속 레버(10)를 전후로 조작 시 변속 레버 비율은 c/d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변속 레버(10) 좌우 조작 시 회전 중심은 변속 레버(10)의 중간 부위의 지점(11)이고, 변속 레버(10) 전후 조작 시 회전 중심은 변속 레버(10)와 샤프트(20)의 연결 지점(10a)이다. 변속 레버(10)의 좌우 조작 및 전후 조작 시 회전 중심이 동일한 경우 변속 레버(10) 좌우 조작 및 전후 조작 시 변속 레버 비율은 동일할 수 밖에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 기구(1)와 같이 변속 레버(10)의 좌우 조작 시 회전 중심과 전후 조작 시 회전 중심이 다를 경우 변속 레버(10) 좌우 조작 및 전후 조작 시 변속 레버 비율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 기구(1)에서는 변속 레버(10) 좌우 조작시 변속 레버 비율(a/b)에 비해 변속 레버(10) 전후 조작시 변속 레버 비율(c/d)가 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은 힘이 요구되는 변속 레버(10)의 좌우 조작보다 큰 힘이 요구되는 변속 레버의 전후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사용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들에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한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변속 레버 기구 10 변속 레버
10a 변속 레버의 일단 10b 변속 레버의 타단
11 변속 레버 중간 부위의 지점
12 변속 레버측 스프링 부재 결합 위치
20 샤프트 21 레버 홀더
30 변속암 30a 결합축
31 고정 볼트 32 체결부
40 샤프트 홀더 41 홀더 브라켓
50 연결로드 51 레버 브라켓
52 연결 브라켓
53 연결로드측 스프링 부재 결합 위치
511, 521 핀 512, 522 클립
60 변속 레일 61 제1 변속 레일
611 제1 변속 레일 체결홈 62 제 2 변속 레일
621 제2 변속 레일 체결홈 70 스프링 부재
a: 변속 레버의 타단으로부터 중간 부위의 지점까지의 거리
b: 변속 레버의 일단으로부터 중간 부위의 지점까지의 거리
c: 변속 레버의 타단으로부터 샤프트와 변속암의 연결 지점까지의 거리
d: 체결부로부터 샤프트와 변속암의 연결 지점까지의 거리

Claims (10)

  1. 변속 레버(10)의 조작을 구동 기어 어셈블리로 전달하는 변속 레버 기구(1)로서,
    일단이 상기 변속 레버(10)의 일단(10a)에 연결되어, 상기 변속 레버(10)의 조작에 따라 축방향(X)을 따르는 직선 이동과 둘레 방향(Y)을 따르는 회전이 가능한 샤프트(20);
    일단은 상기 샤프트(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20)의 직선 이동과 회전에 각각 대응하여 직선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며, 타단은 상기 구동 기어 어셈블리와 연결된 제1 변속 레일(61) 및 제2 변속 레일(62)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변속암(30);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샤프트(20)의 위치를 규제하는 샤프트 홀더(40); 및
    상기 샤프트 홀더(40)의 외주에서 상기 샤프트(20)의 둘레 방향(Y)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홀더 브라켓(41) 및 상기 변속 레버(10)의 중간 부위(11)와 양단에서 각각 힌지 결합되는 연결로드(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10)가, 상기 중간 부위(11)의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20)의 축방향(X)으로 피봇 조작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20)가 축방향(X)으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 전진되거나 후진되며, 상기 변속암(30)은 상기 제1 변속 레일(61) 및 상기 제2 변속 레일(62)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10)가, 상기 변속 레버(10)와 상기 샤프트(20)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20)의 둘레 방향(Y)으로 피봇 조작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20)는 둘레 방향(Y)으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하고, 상기 변속암(30)은 상기 샤프트(20)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체결된 상기 제1 변속 레일(61) 또는 상기 제2 변속 레일(62)을 상기 제1 변속 레일(61) 또는 상기 제2 변속 레일(62)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1).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암(30)은 상기 제1 변속 레일(61) 또는 상기 제2 변속 레일(62)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는 지점에서 체결부(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32)가 상기 제1 변속 레일(61) 또는 상기 제2 변속 레일(62)에 형성된 홈(611, 621)에 삽입되어, 상기 변속암(30)이 상기 제1 변속 레일(61) 또는 상기 제2 변속 레일(62)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10)의 일단(10a)으로부터 상기 중간 부위(11)의 지점까지의 거리(b)에 대한 상기 변속 레버(10)의 타단(10b)으로부터 상기 중간 부위(11)의 지점까지의 거리(a)의 비율보다,
    상기 체결부(32)로부터 상기 샤프트(20)와 상기 변속암(30)의 연결 지점까지의 거리(d)에 대한 상기 변속 레버(1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샤프트(20)와 상기 변속암(30)의 연결 지점까지의 거리의 비율(c)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10)의 일단(10a)과 상기 변속 레버(10)의 중간 부위(11)의 지점 사이의 일정 위치, 및 상기 연결로드(50)의 일정 위치에 연결되는 스프링 부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1).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10)의 일단과 상기 샤프트(20)의 일단은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1).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50)는 단면이 U-형태로 상기 변속 레버(10)의 중간 지점의 외부를 감싸는 레버 브라켓(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1).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50)는 상기 홀더 브라켓(41)과 힌지 연결되는 단면이 U-형태의 연결 브라켓(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1).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20)와 일체로 작동하는 레버 홀더(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속 레버(10)의 일단은 상기 레버 홀더(21)와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레버 기구(1).
KR1020160150433A 2016-11-11 2016-11-11 차량용 변속 레버 기구 KR20180053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33A KR20180053074A (ko) 2016-11-11 2016-11-11 차량용 변속 레버 기구
EP17868700.0A EP3540271A4 (en) 2016-11-11 2017-10-20 VEHICLE SPEED CHANGE DEVICE
PCT/KR2017/011652 WO2018088715A1 (ko) 2016-11-11 2017-10-20 차량용 변속 레버 기구
US16/348,406 US20190264801A1 (en) 2016-11-11 2017-10-20 Vehicle gearshift device
CN201780069974.7A CN109983258A (zh) 2016-11-11 2017-10-20 车辆用变速杆机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433A KR20180053074A (ko) 2016-11-11 2016-11-11 차량용 변속 레버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74A true KR20180053074A (ko) 2018-05-21

Family

ID=6211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433A KR20180053074A (ko) 2016-11-11 2016-11-11 차량용 변속 레버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64801A1 (ko)
EP (1) EP3540271A4 (ko)
KR (1) KR20180053074A (ko)
CN (1) CN109983258A (ko)
WO (1) WO20180887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096A (en) * 1978-02-23 1979-09-05 British Leyland Uk Ltd Gear Lever Mounting
US4458549A (en) * 1981-08-12 1984-07-10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Select return mechanism for a transmission
JPS58207120A (ja) * 1982-05-28 1983-12-02 Iseki & Co Ltd トラクタにおける変速操作機構
JPS60185637A (ja) * 1984-03-02 1985-09-21 Kubota Ltd 車両の変速装置
DE4023189A1 (de) * 1990-07-20 1992-01-23 Steyr Daimler Puch Ag Getriebe fuer zugmaschinen mit gangschaltvorrichtung
JPH08188061A (ja) * 1995-01-09 1996-07-23 Iseki & Co Ltd トラクタ等の変速操作装置
JPH09240305A (ja) * 1996-03-04 1997-09-16 Iseki & Co Ltd トラクタ等の変速操作装置
KR100521158B1 (ko) * 1999-12-30 200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프트 레버 및 셀렉트 레버의 중립위치 세팅 구조
US6786108B2 (en) * 2002-08-12 2004-09-07 Taiwan Power Industrial Co., Ltd. Gear lever clutching structure for prevention of gear slip
PL66782Y1 (pl) * 2011-05-23 2013-10-31 Metal Fach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Mechanizm sterujacy do skrzyni biegów pojazdu, zwlaszcza do ciagników rolniczych
KR101316872B1 (ko) * 2011-12-28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CN202756600U (zh) * 2012-08-10 2013-02-27 第一拖拉机股份有限公司 拖拉机变速箱换挡操纵机构
KR101512226B1 (ko) * 2013-04-17 2015-04-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하나의 축을 이용한 농기계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CN204403348U (zh) * 2014-12-29 2015-06-17 山东山拖凯泰农业装备有限公司 变速箱侧位换挡机构
CN104776210A (zh) * 2015-04-22 2015-07-15 昌邑市宝路达机械制造有限公司 田园管理机换挡操纵机构
CN205559755U (zh) * 2016-03-31 2016-09-07 第一拖拉机股份有限公司 用于果园作业的拖拉机侧置换挡操纵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64801A1 (en) 2019-08-29
EP3540271A4 (en) 2020-07-08
WO2018088715A1 (ko) 2018-05-17
EP3540271A1 (en) 2019-09-18
CN109983258A (zh)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9400B2 (ja) パーキングロック機構
EP2525120A2 (en) Vehicle shifter
US3269208A (en) Gearshift control linkage
KR101620265B1 (ko) 수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JPH03172675A (ja) 超小型シヨベルカーに於ける噛み合いクラツチのシフトレバー緩衝装置
KR20180053074A (ko) 차량용 변속 레버 기구
CN109690151B (zh) 手动变速器
US10550932B2 (en) Sequential shift gearbox converter assembly
US2399613A (en) Remote control for automotive vehicle transmissions
KR20190142180A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1418869B1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 레버 조립체
JP3547335B2 (ja) マニュアルバルブレバーの位置決め構造
US20110247442A1 (en) Gear selection device for a vehicle transmission
JP4529265B2 (ja) リニアシフト型変速操作装置
US2593297A (en) Control device for change-speed gears
EP3249265A1 (en) Shift fork module
JP2018054016A (ja) 変速機
SU1504121A1 (ru) Механизм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 коробкой передач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2717931U (zh) 一种软轴换档操纵系统
JP2024011917A (ja) 変速装置
EP3447339B1 (en) Gearshift assembly for motor vehicles
KR100410475B1 (ko) 변속레버 어셈블리
JPH081956Y2 (ja) 作業車両用の変速操作装置
CN107120425B (zh) 选档摇臂结构及换档塔
JP6337755B2 (ja) 手動変速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