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404A -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404A
KR20180051404A KR1020170146822A KR20170146822A KR20180051404A KR 20180051404 A KR20180051404 A KR 20180051404A KR 1020170146822 A KR1020170146822 A KR 1020170146822A KR 20170146822 A KR20170146822 A KR 20170146822A KR 20180051404 A KR20180051404 A KR 20180051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wash plate
crank chamber
path
pa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야마모토
노리아키 사타케
신이치 가케가와
히로시 구보
스구루 히로타
도모지 다루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8005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07Lubrication with lubrication 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45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86Open (not controlling) fluid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과제) 높은 제어성을 발휘함과 함께, 보다 높은 내구성을 발휘 가능한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추기 통로 (59) 는, 축로 (51) 와 제 1 경로 (53a ∼ 53c) 와 제 2 경로 (55a ∼ 55c) 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경로 (55a ∼ 55c) 는, 축로 (51) 에 연통하여 구동축 (3)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크랭크실 (21) 내에 있어서, 제 1 경로 (53a ∼ 53c) 보다 사판 (5) 에 가까운 위치에서 구동축 (3) 의 외주면 (30) 에 개구된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제 1 경로 (55a ∼ 55c) 는 항상 크랭크실 (21) 내와 연통한다. 또, 구동축 (3) 에는 밸브체 (43) 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43) 는,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일 때에는 크랭크실 (21) 내와 제 2 경로 (55a ∼ 55c) 를 연통하는 한편, 경사 각도가 중간값일 때에는, 크랭크실 (21) 내와 제 2 경로 (55a ∼ 55c) 를 비연통으로 한다.

Description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용량 가변형 사판식 (斜板式)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 종래의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이하, 간단히 압축기라고 한다) 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압축기는, 하우징과, 구동축과, 사판과, 피스톤과,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은,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블록 사이에서 크랭크실을 형성하는 제 1 하우징과, 토출실 및 흡입실이 형성된 제 2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구동축은, 크랭크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또, 구동축으로는 러그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러그 부재는 크랭크실 내에 배치되어 있다.
사판은, 크랭크실 내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크랭크실 내에서 러그 부재와 사판은 대향하고 있다. 피스톤은, 실린더 보어 내에 압축실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사판의 경사 각도에 따른 스트로크로 실린더 보어 내를 왕복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제 1 하우징에 축공 (軸孔), 봉지 (封止) 부재 및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축공은 크랭크실에 접속되어 있고, 구동축을 삽입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봉지 부재는, 크랭크실이나 축공보다 외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봉지 부재는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면서, 하우징의 외부와 크랭크실 사이를 봉지하고 있다. 연통로는 구동축과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일방의 단부 (端部) 가 크랭크실 내에 개구되고, 타방의 단부가 축공과 봉지 부재 사이에 개구되어 있다.
제어 기구는, 크랭크실 내의 압력에 의해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제어 기구는, 토출실과 크랭크실을 연통하는 급기 통로와, 크랭크실과 흡입실을 연통하는 추기 (抽氣) 통로와, 급기 통로의 개도를 변경 가능한 용량 제어 밸브를 가지고 있다. 또, 추기 통로는, 축로 (軸路) 와 제 1 경로 (經路) 와 제 2 경로를 포함하고 있다. 축로는, 구동축에 형성되어 있고, 구동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는, 각각 구동축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는, 각각 축로에 연통하여 구동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경로는, 크랭크실의 외측으로서, 축공과 봉지 부재 사이, 나아가서는, 러그 부재와 봉지 부재 사이에서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어 있다. 제 1 경로는, 연통로를 통해서 크랭크실 내와 항상 연통하고 있다. 한편, 제 2 경로는, 크랭크실 내에 있어서, 사판의 근방이 되는 위치에서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사판의 근방에서는, 크랭크실 내의 다른 지점과 비교하여, 냉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이 적게 되어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구동축에 밸브체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는, 사판과 연동하여 구동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제어 기구가 크랭크실 내의 압력을 높게 함에 따라, 사판의 경사 각도가 감소한다. 이로써, 구동축의 1 회전당 토출 용량이 감소한다. 반대로, 제어 기구가 크랭크실 내의 압력을 낮게 함에 따라, 사판의 경사 각도가 증대된다. 이로써, 구동축의 1 회전당 토출 용량이 증대된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일 때에는, 구동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한 밸브체가 제 2 개구를 막는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 내와 제 2 경로가 비연통이 되어, 크랭크실 내의 냉매는, 제 2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흡입실로 도출되는 일이 없다. 한편,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보다 작고, 또한 최소값보다 큰 중간값일 때에는, 밸브체는, 크랭크실 내와 제 2 경로를 연통시킨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 내의 냉매는,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의 각각으로부터 축로를 거쳐 흡입실로 도출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크랭크실 내에 있어서 사판의 근방에서는, 냉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이 적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제 1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에 함유되는 윤활유에 비해, 제 2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은 적어진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크랭크실 내와 제 2 경로가 연통됨으로써, 제 1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한편, 크랭크실 내와 제 2 경로가 연통해도, 그에 의해,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과잉으로 윤활유가 도출되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크랭크실 내의 압력을 조정함에 있어서, 제 1 경로나 제 2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확보하면서, 그 때에 냉매와 함께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윤활유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이 압축기에서는, 제어성을 높게 하면서도, 크랭크실 내에 일정량의 윤활유를 확보하기 쉬워, 윤활유에 의해 크랭크실 내를 윤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결과, 이 압축기에서는 높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32446호
그러나, 제어성을 높게 하면서, 보다 내구성이 우수한 압축기가 요구된다. 이 점에서, 상기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일 때, 크랭크실 내와 제 2 경로가 비연통이 된다. 이로써, 이 압축기에서는, 그 때에 제 1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증대되어, 크랭크실 내의 윤활유가 흡입실로 도출된다. 여기서,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이고, 냉매의 토출 용량이 최소일 때에도,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된 냉매 및 윤활유는, 압축실에 도입되고, 토출실로부터 압축기의 외부의 응축기로 도출되는 경우가 있다. 또,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일 때에는, 압축기의 외부의 증발기로부터 흡입실로 도입되는 냉매의 유량이 적어지므로, 크랭크실에 유입되는 윤활유의 양도 적어진다. 이들에 의해, 크랭크실 내의 윤활유의 부족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압축기에서는, 추가적인 내구성의 향상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높은 제어성을 발휘함과 함께, 보다 높은 내구성을 발휘 가능한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는, 토출실, 흡입실, 크랭크실 및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크랭크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과, 상기 크랭크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사판과,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사판의 경사 각도에 따른 스트로크로 상기 실린더 보어 내를 왕복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크랭크실 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경사 각도를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토출실과 상기 크랭크실을 연통하는 급기 통로와, 상기 크랭크실과 상기 흡입실을 연통하는 추기 통로와, 상기 급기 통로 및 상기 추기 통로 중 적어도 일방의 개도를 변경 가능한 용량 제어 밸브를 갖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추기 통로는,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로와,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축로에 연통하여 상기 구동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서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는 제 1 경로와,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축로에 연통하여 상기 구동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보다 상기 사판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는 제 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사판과 연동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경로는, 항상 상기 크랭크실 내와 연통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경사 각도가 상기 최대값 또는 상기 최소값일 때에는 상기 크랭크실 내와 상기 제 2 경로를 연통하는 한편, 상기 경사 각도가 상기 최대값보다 작고, 또한 상기 최소값보다 큰 중간값일 때에는, 상기 크랭크실 내와 상기 제 2 경로를 비연통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밸브체가 크랭크실 내와 제 2 경로를 연통함으로써, 제 1 경로와 제 2 경로가 함께 크랭크실에 연통한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 내의 냉매는, 제 1, 2 경로의 각각으로부터 축로를 거쳐 흡입실로 도출된다. 그리고, 제 1 경로와 제 2 경로가 함께 크랭크실에 연통함으로써, 크랭크실 내와 제 2 경로가 비연통인 경우와 비교하여, 크랭크실 내의 압력을 조정함에 있어서,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확보하면서, 제 1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 경로는, 크랭크실 내에 있어서, 제 1 경로보다 사판에 가까운 위치에서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된다. 크랭크실 내에 있어서 사판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냉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이 적어진다. 이로써, 제 2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은, 제 1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에 비해 적어진다. 이 결과, 제 2 경로가 크랭크실과 연통하는 경우에도,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과잉으로 윤활유가 도출되는 일은 없어, 크랭크실 내에 일정량의 윤활유를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일 때, 제 1 경로와 제 2 경로가 함께 크랭크실에 연통한다. 이로써,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일 때, 제 1, 2 경로의 각각으로부터 축로를 거쳐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확보하면서,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윤활유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일 때, 크랭크실 내의 윤활 부족이 잘 생기지 않는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일 때에는, 밸브체가 크랭크실 내와 제 2 경로를 비연통으로 한다. 요컨대, 사판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일 때에는, 크랭크실 내의 냉매는, 제 2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흡입실로 도출되는 일이 없다. 이로써, 사판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일 때에는, 제 1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이 많아짐으로써, 크랭크실 내에 윤활유가 지나치게 저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 내에서 사판이 윤활유를 교반하는 것에 의한 윤활유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일 때, 제 1 경로와 제 2 경로가 함께 크랭크실에 연통한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일 때 제 1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일 때에는,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확보하면서,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윤활유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 결과,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일 때, 크랭크실 내의 윤활 부족이 잘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는, 높은 제어성을 발휘함과 함께, 보다 높은 내구성을 발휘한다.
제 1 경로는, 크랭크실 내에 있어서, 제 2 경로보다 실린더 보어에 가까운 위치에서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2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에 비해, 제 1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을 바람직하게 많게 할 수 있다.
하우징은,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블록 사이에서 크랭크실을 형성하는 제 1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또, 제 1 하우징에는,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면서, 제 1 하우징의 외부와 크랭크실 사이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크랭크실 내에는, 구동축에 형성되고, 사판과 대향하는 러그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추기 통로는, 구동축에 형성되고, 축로에 연통하여 구동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봉지 부재와 러그 부재 사이에서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는 제 3 경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3 경로는, 항상 크랭크실 내와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 3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에 함유되는 윤활유에 의해, 봉지 부재를 바람직하게 윤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와 같이, 크랭크실 내의 냉매는, 제 1 경로나 제 2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치는 것에 의해서도 흡입실로 도출되기 때문에, 제 3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경로는 복수일 수 있다. 그리고, 각 제 2 경로는, 구동축의 둘레 방향에서 구동축의 외주면에 각각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크랭크실 내와 각 제 2 경로가 연통했을 때, 각 제 2 경로로부터 축로를 거쳐 크랭크실 내로부터 흡입실로 도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바람직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압축기는, 구동축에 형성되고, 크랭크실 내에서 사판과 대향하는 러그 부재와, 사판에 형성되고, 러그 부재로부터 구동축의 회전을 사판에 전달하는 사판 아암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판에는, 구동축을 삽입 통과하는 삽통공과, 축심을 사이에 두고 사판 아암과 반대측에서 삽통공 내에 위치하고, 구동축의 외주면과 맞닿는 맞닿음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경로는, 구동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맞닿음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축의 외주면에 있어서, 제 2 경로와 맞닿음부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판의 경사 각도를 바람직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는, 보다 높은 내구성을 발휘한다.
도 1 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있어서,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있어서, 사판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있어서,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관련되고, 제 1 경로 및 축로 등을 나타내는 도 1 에 있어서의 I-I 단면도이다.
도 5 는,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관련되고, 제 2 경로 및 축로 등을 나타내는 도 1 에 있어서의 II-II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에 관련되고, 사판의 경사 각도의 변화와, 제 1 경로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의 개구 면적의 합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실시예 2 의 압축기에 관련되고, 제 2 경로 등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 2 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2 의 압축기는 용량 가변형 편두 (片頭) 사판식 압축기이다. 이들 압축기는 모두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차량용 공조 장치의 냉동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실시예 1)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압축기는, 하우징 (1) 과, 구동축 (3) 과, 사판 (5) 과, 복수의 피스톤 (7) 과, 제어 기구 (9) 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의 지면 좌측을 압축기의 전측으로 하고, 도 1 의 지면 우측을 압축기의 후측으로 한다. 또, 도 1 의 지면 상측을 압축기의 상측으로 하고, 도 1 의 지면 하측을 압축기의 하측으로 한다. 그리고, 도 2 이후에서는, 도 1 에 대응시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표시한다. 또한,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일례이다. 본 발명의 압축기는, 탑재되는 차량에 대응하고, 그 장착 자세가 적절히 변경된다. 후술하는 실시예 2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하우징 (1) 은, 압축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하우징 (13) 과, 압축기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하우징 (15) 과, 제 1 하우징 (13) 과 제 2 하우징 (15) 사이에 위치하는 실린더 블록 (17) 과, 밸브 형성 플레이트 (19) 를 가지고 있다.
제 1 하우징 (13) 은, 전방에서 압축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앞벽 (13a) 과, 앞벽 (13a) 과 일체화되고, 앞벽 (13a) 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둘레벽 (13b) 을 가지고 있다. 이들 앞벽 (13a) 와 둘레벽 (13b) 에 의해, 제 1 하우징 (13) 은 바닥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이들 앞벽 (13a) 과 둘레벽 (13b) 에 의해, 제 1 하우징 (13) 내에는, 실린더 블록 (17) 과의 사이에 크랭크실 (21)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하우징 (13) 에는, 보스 (13c) 와, 제 1 축공 (13d) 과, 연통로 (13e) 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 (13c) 는, 앞벽 (13a) 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보스 (13c) 내에는, 보스 (13c) 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수용실 (130)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수용실 (130) 내에는, 봉지 부재 (23)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축공 (13d) 은, 압축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수용실 (130) 과 크랭크실 (21)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축공 (13d) 내에는 제 1 미끄럼 베어링 (25a) 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로 (13e) 는, 경사지면서 압축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1 수용실 (130) 과 크랭크실 (21) 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통로 (13e) 의 전단은, 봉지 부재 (23) 보다 후방에서 제 1 수용실 (130) 내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로 (13e) 의 후단은, 후술하는 러그 부재 (41) 의 전방에서 크랭크실 (21) 내에 개구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수용실 (130) 은, 연통로 (13e) 를 통해서 크랭크실 (21) 과 연통하고 있다.
제 2 하우징 (15) 에는, 흡입실 (15a) 과, 토출실 (15b) 과, 환상 벽 (還狀壁) (15c) 과, 외주벽 (15d) 과, 흡입 포트 (15e) 와, 제 2 수용실 (15f) 과, 토출 포트 (15g)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 (15a) 은, 환상 벽 (15c) 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제 2 하우징 (15) 의 중심측에 위치하고 있다. 토출실 (15b) 은, 환상 벽 (15c) 과 외주벽 (15d) 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흡입실 (15a) 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토출실 (15b) 은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입실 (15a) 을 외주측에서 둘러싸고 있다.
흡입 포트 (15e) 는, 흡입실 (15a) 과 연통하여 제 2 하우징 (15) 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흡입 포트 (15e) 의 후단은 제 2 하우징 (15) 의 후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이로써, 흡입 포트 (15e) 는, 흡입실 (15a) 과 압축기의 외부를 연통시키고 있다. 제 2 수용실 (15f) 은, 토출실 (15b) 과 연통하여 제 2 하우징 (15) 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토출 포트 (15g) 는, 제 2 하우징 (15) 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토출 포트 (15g) 의 상단은 제 2 하우징 (15) 의 상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토출 포트 (15g) 는, 제 2 수용실 (15f) 을 통해서 토출실 (15b) 과 연통하고 있다.
또, 제 2 하우징 (15) 에는, 토출실 (15b) 과 압축기의 외부의 연통 또는 비연통을 전환 가능한 토출 역지 (逆止) 밸브 기구 (27)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 기구 (27) 는 제 2 수용실 (15f) 내에 배치되어 있다. 토출 역지 밸브 기구 (27) 는, 케이스 (27a) 와 역지 밸브 (27b) 와 제 1 코일 스프링 (27c) 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 (27a) 는, 서클립 (29) 에 의해 제 2 수납실 (15f) 내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27a) 에는, 케이스 (27a) 내와 토출실 (15b) 을 연통하는 제 1 연통공 (271) 이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케이스 (27a) 내와 토출 포트 (15g) 를 연통하는 제 2 연통공 (272) 이 형성되어 있다. 역지 밸브 (27b) 는, 케이스 (27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제 1 코일 스프링 (27c) 은 케이스 (27a) 내에 형성되어 있고, 역지 밸브 (27b) 를 전방을 향하여 탄성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 (15) 에는, 제 1 급기 통로 (31a) 와 제 2 급기 통로 (31b) 가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용량 제어 밸브 (33)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급기 통로 (31a) 는, 토출실 (15b) 과 용량 제어 밸브 (33) 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급기 통로 (31b) 는, 후단이 용량 제어 밸브 (33) 와 접속되어 있고, 전단이 제 2 하우징 (15) 의 전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용량 제어 밸브 (33) 는 개도를 외부로부터의 급전 제어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크랭크실 (21) 의 내압을 조정한다. 또한, 용량 제어 밸브 (33) 에 대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실린더 블록 (17) 에는, 복수개의 실린더 보어 (17a) 가 둘레 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실린더 보어 (17a) 의 전단은 크랭크실 (21) 과 연통하고 있다. 또, 실린더 블록 (17) 에는, 후술하는 흡입 리드 밸브 (191a) 의 최대 개도를 규제하는 리테이너 홈 (17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실린더 블록 (17) 에는, 스프링실 (17c) 과, 연통실 (17d) 과, 제 2 축공 (17e) 과, 제 3 급기 통로 (31c) 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실 (17c) 은, 실린더 블록 (17) 의 전단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크랭크실 (21) 과 연통하고 있다. 이로써, 스프링실 (17c) 은 크랭크실 (21)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스프링실 (17c) 내에는, 복귀 스프링 (35) 이 배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 (35) 은, 경사 각도가 최소값이 된 사판 (5) 을 크랭크실 (21) 의 전방을 향하여 탄성 지지한다.
연통실 (17d) 은, 실린더 블록 (17) 의 후단면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연통실 (17d) 내에는, 제 1 스러스트 베어링 (37a) 과 제 2 코일 스프링 (39)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코일 스프링 (39) 은, 제 1 스러스트 베어링 (37a) 과 밸브 형성 플레이트 (19)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 1 스러스트 베어링 (37a) 을 전방을 향하여 탄성 지지하면서 지지하고 있다. 제 2 축공 (17e) 은, 스프링실 (17c) 과 연통실 (17d)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축공 (17e) 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프링실 (17c) 과 연통실 (17d) 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축공 (17e) 내에는 제 2 미끄럼 베어링 (25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제 1 미끄럼 베어링 (25a) 및 제 2 미끄럼 베어링 (25b) 대신에, 구름 베어링을 각각 채용할 수도 있다.
제 3 급기 통로 (31c) 는, 실린더 블록 (17) 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3 급기 통로 (31c) 전단은 크랭크실 (21) 에 개구되어 있고, 후단은 실린더 블록 (17) 의 후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 (19) 는, 실린더 블록 (17) 과 제 2 하우징 (1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 (19) 는, 밸브 플레이트 (190) 와, 흡입 밸브 플레이트 (191) 와, 토출 밸브 플레이트 (192) 와, 리테이너 플레이트 (193) 를 가지고 있다. 밸브 플레이트 (190), 토출 밸브 플레이트 (192) 및 리테이너 플레이트 (193) 에는, 실린더 보어 (17a) 와 동수의 흡입공 (190a) 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 (190) 및 흡입 밸브 플레이트 (191) 에는, 실린더 보어 (17a) 와 동수의 토출공 (190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플레이트 (190), 흡입 밸브 플레이트 (191), 토출 밸브 플레이트 (192) 및 리테이너 플레이트 (193) 에는, 스로틀 통로 (190c) 와 제 3 연통공 (190d)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실린더 보어 (17a) 는, 각 흡입공 (190a) 을 통해서 흡입실 (15a) 과 연통한다. 또, 각 실린더 보어 (17a) 는, 각 토출공 (190b) 을 통해서 토출실 (15b) 과 연통한다. 그리고, 스로틀 통로 (190c) 를 통해서, 연통실 (17d) 과 흡입실 (15a) 이 연통한다. 또, 제 3 연통공 (190d) 을 통해서, 제 2 급기 통로 (31b) 와 제 3 급기 통로 (31c) 가 연통한다.
흡입 밸브 플레이트 (191) 는, 밸브 플레이트 (190) 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 밸브 플레이트 (191) 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각 흡입공 (190a) 을 개폐 가능한 흡입 리드 밸브 (191a) 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 플레이트 (192) 는, 밸브 플레이트 (190) 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 플레이트 (192) 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각 토출공 (190b) 을 개폐 가능한 토출 리드 밸브 (192a) 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플레이트 (193) 는, 토출 밸브 플레이트 (192) 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플레이트 (193) 는, 각 토출 리드 밸브 (192a) 의 최대 개도를 규제한다.
이 압축기에서는, 제 1 ∼ 3 급기 통로 (31a ∼ 31c) 및 제 3 연통공 (190d) 에 의해, 급기 통로 (31) 가 구성되어 있다. 급기 통로 (31) 에서는, 제 2, 3 급기 통로 (31b, 31c) 및 제 3 연통공 (190d) 에 의해, 크랭크실 (21) 과 용량 제어 밸브 (33) 가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급기 통로 (31) 및 용량 제어 밸브 (33) 를 개재하여, 크랭크실 (21) 과 토출실 (15b) 이 연통하고 있다.
구동축 (3) 은, 외주면 (30) 을 가지고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동축 (3) 은, 제 1 하우징 (13) 과 실린더 블록 (17)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축 (3) 은, 보스 (13c) 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삽입 통과되어, 크랭크실 (21) 내 및 실린더 블록 (17)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구동축 (3) 의 전단측은, 제 1 수용실 (130) 내에서 봉지 부재 (23) 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구동축 (3) 은, 제 1 축공 (13d) 내에 있어서 제 1 미끄럼 베어링 (25a) 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제 2 축공 (17e) 내에 있어서 제 2 미끄럼 베어링 (25b) 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 (3) 의 후단측은, 연통실 (17d) 내에 있어서 제 1 스러스트 베어링 (37a) 에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구동축 (3) 은, 크랭크실 (21) 내에 지지되어 있고, 압축기의 전후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심 (O)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봉지 부재 (23) 는, 구동축 (3) 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면서, 제 1 하우징 (13) 의 외부와 크랭크실 (21) 사이를 봉지하고 있다.
또, 구동축 (3) 의 선단에는 나사부 (3a) 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 (3) 은 이 나사부 (3a) 를 통해서, 도시되지 않은 풀리 또는 전자 클러치와 접속된다.
또한 구동축 (3) 에는, 러그 부재 (41) 와, 사판 (5), 밸브체 (43) 와, 제 3 코일 스프링 (45) 이 장착되어 있다. 러그 부재 (41) 는, 구동축 (3) 에 압입 (壓入) 되어 있고, 크랭크실 (2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러그 부재 (41) 는, 크랭크실 (21) 내에서 구동축 (3) 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러그 부재 (41) 와 앞벽 (13a) 사이에는, 제 2 스러스트 베어링 (37b) 이 형성되어 있다.
러그 부재 (41) 에는, 1 쌍의 러그 아암 (41a) 이 형성되어 있다. 러그 아암 (41a) 끼리는, 러그 부재 (41) 에 대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러그 부재 (41)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 러그 아암 (41a) 끼리의 사이에는, 1 쌍의 안내면 (41b)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안내면 (41b) 은, 러그 부재 (41) 의 외주측으로부터 회전축심 (O) 에 가까워짐에 따라,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1 등에서는, 러그 아암 (41a) 및 안내면 (41b) 의 각각 일방측만을 도시하고 있다.
사판 (5) 은, 크랭크실 (21) 내에서 러그 부재 (41) 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사판 (5) 은, 대략 원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크랭크실 (21) 내에서 전방에 면하는 전면 (5a) 과, 크랭크실 (21) 내에서 후방에 면하는 후면 (5b) 을 가지고 있다. 또, 사판 (5) 에는, 삽통공 (5c) 과, 맞닿음부 (5d) 와, 웨이트부 (5e) 가 형성되어 있다.
삽통공 (5c) 은, 전면 (5a) 으로부터 후면 (5b) 까지 관통하고 있다. 사판 (5) 은, 삽통공 (5c) 에 구동축 (3) 이 삽입 통과됨으로써, 구동축 (3) 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맞닿음부 (5d) 는, 삽통공 (5c) 내에 위치하고 있고, 구동축 (3) 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맞닿음부 (5d) 는, 삽통공 (5c) 내에서 구동축 (3) 의 외주면 (30) 과 맞닿아 있다. 웨이트부 (5e) 는, 대략 반원의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 (5a) 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웨이트부 (5e) 에는, 경사지면서 회전축심 (O) 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가압면 (500) 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면 (500) 은, 삽통공 (5c) 내에서 맞닿음부 (5d) 에 연속되어 있다.
또, 사판 (5) 에는, 1 쌍의 사판 아암 (5f) 이 형성되어 있다. 사판 아암 (5f) 끼리는, 사판 (5) 에 대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전면 (5a) 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사판 (5) 에 있어서, 각 사판 아암 (5f) 은, 맞닿음부 (5d) 및 웨이트부 (5e) 에 대해, 회전축심 (O) 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 등에서는, 사판 아암 (5f) 의 일방측만을 도시하고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각 사판 아암 (5f) 을 러그 아암 (41a) 끼리의 사이에 배치하면서, 구동축 (3) 에 사판 (5) 을 맞붙이고 있다. 이로써, 러그 아암 (41a) 끼리의 사이에 각 사판 아암 (5f) 이 위치한 상태에서, 러그 부재 (41) 와 사판 (5) 이 연결된다. 그리고, 각 러그 아암 (41a) 으로부터 각 사판 아암 (5f) 을 통해서 러그 부재 (41) 의 회전이 전달됨으로써, 사판 (5) 은, 러그 부재 (41) 와 함께 크랭크실 (2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러그 아암 (41a) 끼리의 사이에 각 사판 아암 (5f) 이 위치함으로써, 각 사판 아암 (5f) 에서는, 각각 선단이 안내면 (41b) 에 맞닿는다. 그리고, 각 사판 아암 (5f) 이 각각 안내면 (41b) 상을 슬라이딩한다. 이로써, 사판 (5) 은, 구동축심 (O) 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자신의 경사 각도에 대해, 도 1 에 나타내는 최대값과, 도 2 에 나타내는 중간값과, 도 3 에 나타내는 최소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중간값이란,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보다 작고, 최소값보다 큰 값을 가리킨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중간값은 일정한 범위를 가지고 있고, 후술하는 밸브체 (43) 가 제 2 경로 (55a ∼ 55c) 의 전체를 덮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의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으로 되어 있다.
밸브체 (43) 는,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단면 (43a) 과, 후단면 (43b) 과, 후방을 향하여 축경 (縮徑) 하면서 후단면 (43b) 에 연속되는 테이퍼면 (43c) 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43) 는, 구동축 (3) 에 삽입 통과되어 러그 부재 (41) 와 사판 (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코일 스프링 (45) 은, 구동축 (3) 에 삽입 통과되어 러그 부재 (41) 와 밸브체 (43) 의 전단면 (43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코일 스프링 (45) 은, 밸브체 (43) 를 크랭크실 (21) 의 후방을 향하여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로써, 이 압축기에서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 (5) 의 경사 각도에 상관없이, 밸브체 (43) 의 테이퍼면 (43c) 이 사판 (5) 의 가압면 (500) 에 항상 맞닿아 있다. 이렇게 하여, 밸브체 (43) 는, 사판 (5) 과 연동하여 구동축 (3) 의 외주면 (30) 을 슬라이딩하면서, 러그 부재 (41) 와 사판 (5) 사이를 구동축 (3) 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피스톤 (7) 은, 각 실린더 보어 (17a) 내에 각각 수납되어 있고, 각 실린더 보어 (17a) 내를 왕복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각 피스톤 (7) 과 밸브 형성 플레이트 (19) 에 의해 각 실린더 보어 (17a) 내에는 압축실 (47) 이 구획되어 있다.
또, 각 피스톤 (7) 에는, 걸어맞춤부 (7a) 가 각각 오목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 (7a) 내에는, 반구상의 슈 (49a, 49b)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슈 (49a, 49b) 는 변환 기구로서 기능하고, 사판 (5) 의 회전을 각 피스톤 (7) 의 왕복동으로 변환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사판 (5) 의 경사 각도에 따른 스트로크로, 각 피스톤 (7) 이 각각 실린더 보어 (17a) 내를 왕복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슈 (49a, 49b) 외에, 사판 (5) 의 후면 (5b) 측에 스러스트 베어링을 개재하여 요동판을 지지함과 함께, 요동판과 각 피스톤 (7) 을 콘 로드에 의해 연접하는 워블형의 변환 기구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구동축 (3) 에 대해, 축로 (51) 와, 도 4 에 나타내는 3 개의 제 1 경로 (53a ∼ 53c) 와, 도 5 에 나타내는 3 개의 제 2 경로 (55a ∼ 55c) 와,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1 개의 제 3 경로 (57) 가 형성되어 있다.
축로 (51) 는, 구동축 (3) 내에 형성되어 있고, 구동축 (3) 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축로 (51) 의 후단은 연통실 (17d) 내에 개방되어 있다. 축로 (51) 는, 스로틀 통로 (190c) 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 1 경로 (53a ∼ 53c) 는, 구동축 (3) 의 후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경로 (53a ∼ 53c) 는, 각각 축로 (51) 와 연통하면서, 구동축 (3)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 (30) 에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각 제 1 경로 (53a ∼ 53c) 는, 외주면 (30) 에 있어서 구동축 (3) 의 둘레 방향에 각각 개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경로 (53a) 에 대해, 제 1 경로 (53b, 53c) 는 직교하는 방향에서 외주면 (30) 에 개구되어 있다. 또, 제 1 경로 (53b) 와, 제 1 경로 (53c) 는, 회전축심 (O) 을 사이에 둔 반대측에서 외주면 (30) 에 개구되어 있다. 또, 각 제 1 경로 (53a ∼ 53c) 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스로틀 통로 (190c) 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 2 경로 (55a ∼ 55c) 는, 구동축 (3) 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 요컨대, 각 제 1 경로 (53a ∼ 53c) 보다 구동축 (3) 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2 경로 (55a ∼ 55c) 는, 각각 축로 (51) 와 연통하면서, 구동축 (3)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 (30) 에 개구되어 있다. 각 제 2 경로 (55a ∼ 55c) 도 각 제 1 경로 (53a ∼ 53c) 와 동일하게, 외주면 (30) 에 있어서 구동축 (3) 의 둘레 방향으로 각각 개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경로 (55a) 에 대해, 제 2 경로 (55b, 55c) 는 직교하는 방향에서 외주면 (30) 에 개구되어 있다. 또, 제 2 경로 (55b) 와, 제 2 경로 (55c) 는, 회전축심 (O) 을 사이에 둔 반대측에서 외주면 (30) 에 개구되어 있다. 또, 각 제 2 경로 (55a ∼ 55c) 는, 도 4 에 나타내는 각 제 1 경로 (53a ∼ 53c) 와 동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각 제 2 경로 (55a ∼ 55c) 에 대해서도,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스로틀 통로 (190c) 보다 대경으로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경로 (57) 는, 각 제 1 경로 (53a ∼ 53c) 및 각 제 2 경로 (55a ∼ 55c) 보다 구동축 (3) 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경로 (57) 는, 축로 (51) 와 연통하면서, 구동축 (3)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 (30) 에 개방되어 있다. 제 3 경로 (57) 는, 각 제 1 경로 (53a ∼ 53c) 및 각 제 2 경로 (55a ∼ 55c) 와 동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3 경로 (57) 도 스로틀 통로 (190c) 보다 대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동축 (3) 이 제 1 하우징 (13) 과 실린더 블록 (17) 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각 제 1 경로 (53a ∼ 53c) 는, 스프링실 (17c) 내, 즉, 크랭크실 (21) 의 후방측에 위치한다. 이 때, 각 제 1 경로 (53a ∼ 53c) 는, 크랭크실 (21) 내와 항상 연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인 경우, 각 제 2 경로 (55a ∼ 55c) 는, 크랭크실 (21) 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으로서, 사판 (5) 의 삽통공 (5c) 내에 위치한다. 요컨대, 각 제 2 경로 (55a ∼ 55c) 는, 크랭크실 (21) 내에 있어서, 각 제 1 경로 (53a ∼ 53c) 보다 사판 (5) 에 가까운 위치에서 구동축 (3) 의 외주면 (30) 에 개구하게 된다. 한편, 각 제 1 경로 (53a ∼ 53c) 는, 크랭크실 (21) 내에 있어서, 각 제 2 경로 (55a ∼ 55c) 보다 각 실린더 보어 (17a) 에 가까운 위치에서 구동축 (3) 의 외주면 (30) 에 개구하게 된다.
또, 각 제 2 경로 (55a ∼ 55c) 가 사판 (5) 의 삽통공 (5c) 내에 위치할 때, 삽통공 (5c) 내에서, 각 제 2 경로 (55a ∼ 55c) 와 맞닿음부 (5d) 가 대면하지 않게, 구동축 (3) 과 사판 (5) 의 위치 결정이 되어 있다. 요컨대, 각 제 2 경로 (55a ∼ 55c) 와 맞닿음부 (5d) 는, 구동축 (3)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밸브체 (43) 가 구동축 (3) 의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각 제 2 경로 (55a ∼ 55c) 가 크랭크실 (21) 내와 연통하는 경우와 비연통이 되는 경우로 전환된다. 또한, 제 2 경로 (55a ∼ 55c) 와 크랭크실 (21) 내의 연통 및 비연통에 대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그리고, 제 3 경로 (57) 는, 제 1 수용실 (130) 내, 즉, 봉지 부재 (23) 와 러그 부재 (41)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연통로 (13e) 를 통해서 제 1 수용실 (130) 이 크랭크실 (21) 과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제 3 연통로 (57) 는, 크랭크실 (21) 내와 항상 연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축로 (51), 제 1 경로 (53a ∼ 53c), 제 2 경로 (55a ∼ 55c), 제 3 경로 (57), 연통실 (17d) 및 스로틀 통로 (190c) 에 의해, 추기 통로 (59)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추기 통로 (59) 를 통해서, 크랭크실 (21) 과 흡입실 (15a) 이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급기 통로 (31), 추기 통로 (59) 및 용량 제어 밸브 (33) 에 의해, 제어 기구 (9) 가 구성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서는, 흡입 포트 (15e) 에 대해 증발기에 연결되는 배관이 접속됨과 함께, 토출 포트 (15g) 에 대해 응축기에 연결되는 배관이 접속된다. 응축기는 배관 및 팽창 밸브를 개재하여 증발기와 접속된다. 이들 압축기, 증발기, 팽창 밸브, 응축기 등에 의해 차량용 공조 장치의 냉동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증발기, 팽창 밸브, 응축기 및 각 배관의 도시는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압축기에서는, 구동축 (3) 이 회전함으로써, 사판 (5) 이 회전하여, 각 피스톤 (7) 이 각 실린더 보어 (17a) 내를 왕복동한다. 이 때문에, 압축실 (47) 이 피스톤 (7) 의 스트로크에 따라 용적을 변화시킨다. 이 때문에, 증발기로부터 흡입 포트 (15e) 를 거쳐 흡입실 (15a) 내로 유입된 냉매 가스는, 흡입실 (15a) 로부터 압축실 (47) 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실 (47) 내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는, 토출실 (15b) 에 토출되고, 토출 포트 (15g) 로부터 응축기로 토출된다. 여기서, 토출실 (15b) 의 압력이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토출 역지 밸브 기구 (27) 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코일 스프링 (27c) 의 탄성력에 의해 역지 밸브 (27b) 가 제 1, 2 연통공 (271, 272) 을 폐쇄한다. 이로써, 토출 역지 밸브 기구 (27) 는, 응축기로부터 토출실 (15b) 로 냉매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토출 역지 밸브 기구 (27) 에 있어서, 역지 밸브 (27b) 에 의해 제 1, 2 연통공 (271, 272) 을 완전히 폐쇄할 수 없어, 압축실 (47) 로부터 토출실 (15b) 로 토출된 냉매 가스를 응축기에 약간 도출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제어 기구 (9) 에 의해 크랭크실 (21) 의 내압을 조정함으로써, 토출 용량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량 제어 밸브 (33) 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토출실 (15b) 로부터 급기 통로 (31), 즉, 제 1 ∼ 3 급기 통로 (31a ∼ 31c) 및 제 3 연통공 (190d) 을 통해서 크랭크실 (21) 로 도입되는 고압의 냉매 가스의 양과, 크랭크실 (21) 로부터 추기 통로 (59), 즉, 축로 (51), 제 1 경로 (53a ∼ 53c), 제 2 경로 (55a ∼ 55c), 제 3 경로 (57), 연통실 (17d) 및 스로틀 통로 (190c) 를 통해서 흡입실 (15a) 로 도출되는 냉매 가스의 양의 밸런스가 제어되어, 크랭크실 (21) 의 내압이 결정된다. 그리고, 크랭크실 (21) 의 내압의 변경에 따라 크랭크실 (21) 과 압축실 (47) 의 차압이 변경되어,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변경되는 결과, 각 피스톤 (7) 의 스트로크가 변경되어, 압축기의 토출 용량이 조절된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용량 제어 밸브 (33) 의 개도를 크게 하면, 크랭크실 (21) 의 내압이 상승한다. 이로써, 사판 (5) 은, 맞닿음부 (5d) 에 구동축 (3) 의 외주면 (30) 을 맞닿게 하면서, 경사 각도를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피스톤 (7) 의 스트로크가 감소하여, 구동축 (3) 의 1 회전당 토출 용량이 감소한다. 반대로, 용량 제어 밸브 (33) 의 개도를 작게 하면, 크랭크실 (21) 의 내압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사판 (5) 은, 맞닿음부 (5d) 에 구동축 (3) 의 외주면 (30) 을 맞닿게 하면서, 경사 각도를 증대시킨다. 이 때문에, 피스톤 (7) 의 스트로크가 증대되어, 구동축 (3) 의 1 회전당 토출 용량이 증대된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구동축 (3) 에 대해, 축로 (51) 에 연통하는 제 1 경로 (53a ∼ 53c) 와, 제 2 경로 (55a ∼ 55c) 와, 제 3 경로 (5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크랭크실 (21) 로부터 흡입실 (15a) 로 냉매 가스를 도출함에 있어서, 제 1 경로 (53a ∼ 53c) 나 제 2 경로 (55a ∼ 55c) 를 냉매 가스가 유통함으로써, 제 3 경로 (57) 로부터 축로 (51)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스로틀 통로 (190c) 는, 축로 (51), 제 1 경로 (53a ∼ 53c), 제 2 경로 (55a ∼ 55c) 및 제 3 경로 (57) 보다 소경이기 때문에, 냉매 가스의 압력을 바람직하게 조정하면서, 흡입실 (15a) 에 도출한다.
여기서, 이 압축기에 있어서, 크랭크실 (21) 의 후방측은, 각 실린더 보어 (17a) 에 가깝고, 또, 실린더 보어 (17a) 로부터 새어나오는 블로우바이 가스에는 비교적 많은 윤활유가 함유된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 (21) 의 후방측에서는, 크랭크실 (21) 내의 냉매 가스 중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이 비교적 많아진다. 또, 크랭크실 (21) 내에서 구동축 (3) 이나 사판 (5) 등이 회전함으로써, 윤활유는 크랭크실 (21) 내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비산한다. 이 비산한 윤활유가 제 1 하우징 (13) 의 둘레벽 (13b) 으로부터 앞벽 (13a) 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크랭크실 (21) 내의 전방측에서는 윤활유가 풍부해진다. 요컨대, 크랭크실 (21) 내의 전방측에서는, 크랭크실 (21) 내의 냉매 가스 중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이 크랭크실 (21) 의 후방측보다 많아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동축 (3) 이나 사판 (5) 등의 회전에 의해, 윤활유가 크랭크실 (21) 내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비산하기 때문에, 크랭크실 (21) 의 전후 방향의 중앙측, 요컨대, 크랭크실 (21) 내에 있어서, 사판 (5) 의 삽통공 (5c) 내의 근방에서는, 냉매 가스 중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연통로 (13e) 를 거쳐 제 3 경로 (57) 로부터 축로 (51)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은, 제 1 경로 (53a ∼ 53c) 로부터 축로 (51)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나 제 2 경로 (55a ∼ 55c) 로부터 축로 (51)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보다 많아진다. 또, 제 1 경로 (53a ∼ 53c) 로부터 축로 (51)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은, 제 2 경로 (55a ∼ 55c) 로부터 축로 (51)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보다 많아진다. 바꾸어 말하면, 이 압축기에서는, 제 2 경로 (55a ∼ 55c) 로부터 축로 (51)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은 가장 적어진다.
이렇게 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크랭크실 (21) 의 내압을 조정함에 있어서, 제 3 경로 (57) 로부터 축로 (51), 연통실 (17d) 및 스로틀 통로 (190c) 를 거쳐 크랭크실 (21) 내로부터 흡입실 (15a) 로 냉매 가스가 도출될 때, 그 냉매 가스 중에 함유되는 윤활유에 의해, 제 2 스러스트 베어링 (37b) 외에, 봉지 부재 (23) 나 제 1 베어링 (25a) 이 바람직하게 윤활된다. 여기서, 제 3 경로 (57) 는, 제 1 수용실 (130) 및 연통로 (13e) 를 통해서 크랭크실 (21) 과 항상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봉지 부재 (23) 등은 항상 윤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밸브체 (43) 가 사판 (5) 과 연동하여 구동축 (3) 의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6 의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 (5) 의 경사 각도의 변화에 따라,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이 변화한다. 요컨대,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있을 때에는,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이 최대가 된다. 그리고,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에서 감소함에 따라,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이 점차 작아진다. 그리고,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인 동안은,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이 최소가 된다. 또,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에서 감소함에 따라,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이 점차 커진다. 여기서, 제 1 경로 (53a ∼ 53c) 가 항상 크랭크실 (21) 과 연통하기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은 항상 일정함과 함께,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은 제로가 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의 변화에 의한 작용에 대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이 압축기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에 있을 때에는, 가압면 (500) 에 의해 밸브체 (43) 가 가압되어, 회전축 (3) 의 축 방향에서 크랭크실 (21) 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에 있을 때에는, 밸브체 (43) 가 제 2 경로 (55a ∼ 55c) 로부터 전방으로 멀어짐으로써, 크랭크실 (21) 내와 제 2 경로 (55a ∼ 55c) 가 연통한다. 요컨대, 상기와 같이,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된다. 이로써, 제 1 경로 (53a ∼ 53c), 제 2 경로 (55a ∼ 55c) 및 제 3 경로 (57) 의 각각으로부터, 축로 (51), 연통실 (17d) 및 스로틀 통로 (190c) 를 거침으로써, 크랭크실 (21) 내로부터 흡입실 (15a) 로 냉매 가스가 도출된다. 이 때,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이 최대가 됨으로써, 크랭크실 (21) 로부터 흡입실 (15a) 로 도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확보하면서, 제 3 경로 (57)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제 2 경로 (55a ∼ 55c) 를 냉매 가스가 유통함으로써, 그 만큼, 제 1 경로 (53a ∼ 53c)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도 감소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 2 경로 (55a ∼ 55c) 로부터 축로 (51)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윤활유의 양은 적기 때문에, 제 2 경로 (55a ∼ 55c) 가 크랭크실 (21) 내와 연통하는 경우에는, 크랭크실 (21) 내로부터 흡입실 (15a) 로 과잉으로 윤활유가 도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제 2 경로 (55a ∼ 55c) 가 크랭크실 (21) 내에 연통하는 경우에는, 크랭크실 (21) 내에 일정량의 윤활유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에 있을 때, 제 3 경로 (57)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윤활유에 의해, 봉지 부재 (23) 등을 윤활시키면서, 크랭크실 (21) 내로부터 흡입실 (15a) 로 도출되는 윤활유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일 때 크랭크실 (21) 내의 윤활 부족이 잘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에서 작아짐에 따라, 밸브체 (43) 는, 사판 (5) 과 연동하여, 회전축 (3) 의 축 방향에서 크랭크실 (21) 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밸브체 (43) 가 제 2 경로 (55a ∼ 55c) 를 점차 덮기 시작하기 때문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이 점차 작아져,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이 점차 작아진다. 이 때문에, 제 3 경로 (57) 로부터 축로 (51) 등을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은 점차 커진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일 때에는, 밸브체 (43) 가 제 2 경로 (55a ∼ 55c) 를 완전히 덮는 상태가 되어, 크랭크실 (21) 내와 제 2 경로 (55a ∼ 55c) 가 비연통이 된다. 이로써,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인 동안은, 크랭크실 (21) 내의 냉매 가스는, 제 2 경로 (55a ∼ 55c) 로부터 축로 (51) 등을 거쳐 흡입실 (15a) 에 도출되는 일이 없다.
요컨대, 이 압축기에서는,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이 최소가 됨으로써, 그 만큼, 제 3 경로 (57) 로부터 축로 (51) 등을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많아진다. 이로써, 제 3 경로 (57)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에 함유되는 윤활유에 의해, 봉지 부재 (23) 등을 바람직하게 윤활시킬 수 있다. 또,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이 점차 작아짐으로써, 그 만큼, 제 1 경로 (53a ∼ 53c) 로부터 축로 (51) 등을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도 많아진다. 이 결과,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일 때에는, 크랭크실 (21) 내에 윤활유가 지나치게 저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크랭크실 (21) 내에서 사판 (5) 이 윤활유를 교반하는 것에 의한 윤활유의 발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크랭크실 (21) 내에 윤활유가 지나치게 저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 압축기에서는, 냉동 회로 전체에서의 윤활유의 순환 불량도 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에서 더욱 작아짐에 따라, 밸브체 (43) 는, 사판 (5) 에 추종하면서, 회전축 (3) 의 축 방향에서 크랭크실 (21) 의 후방으로 더욱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 2 경로 (55a ∼ 55c) 를 덮고 있던 밸브체 (43) 가 제 2 경로 (55a ∼ 55c) 로부터 이간되기 시작함으로써,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이 점차 커져, 크랭크실 (21) 과 제 2 경로 (55a ∼ 55c) 가 점차 연통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일 때에는, 밸브체 (43) 가 제 2 경로 (55a ∼ 55c) 로부터 후방으로 멀어짐으로써,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이 최대가 된다. 이 때문에, 제 1 경로 (53a ∼ 53c) 의 개구 면적과 제 2 경로 (55a ∼ 55c) 의 개구 면적의 합이 최대가 된다. 요컨대,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대값일 때와 동일하게,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일 때에 대해서도, 크랭크실 (21) 로부터 흡입실 (15a) 로 도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확보하면서, 제 3 경로 (57) 를 유통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일 때에도, 크랭크실 (21) 내로부터 흡입실 (15a) 로 도출되는 냉매 가스의 전체로서의 유량을 확보하면서, 크랭크실 (21) 내로부터 흡입실 (15a) 로 도출되는 윤활유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즉,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이 되어, 구동축 (3) 의 1 회전당 토출 용량이 적어지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압축실 (47) 로부터 토출실 (15b) 로 토출된 냉매 가스를 응축기에 약간 도출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냉매 가스와 함께 크랭크실 (21) 로부터 흡입실 (15a) 로 도출된 윤활유는, 압축실 (47) 에 도입되고, 토출실 (15b) 로부터 응축기로 도출되게 된다. 또,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최소값이 됨으로써, 증발기로부터 흡입 포트 (15e) 를 거쳐 흡입실 (15a) 내로 유입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이 적어짐으로써, 압축기에 유입되는 윤활유의 양이 적어진다. 그러나, 이들의 경우에도, 이 압축기에서는, 크랭크실 (21) 내의 윤활 부족이 잘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압축기에서는, 크랭크실 (21) 내의 압력을 조정함에 있어서,추기 통로 (59) 에 의해 크랭크실 (21) 내로부터 흡입실 (15a) 로 도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확보하면서, 그 때에 냉매 가스와 함께 크랭크실 (21) 내로부터 흡입실 (15a) 로 도출되는 윤활유의 양을 바람직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이 압축기에서는, 크랭크실 (21) 내에 사판 (5) 의 경사 각도에 따른 양의 윤활유를 확보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의 압축기는, 높은 제어성을 발휘함과 함께, 보다 높은 내구성을 발휘한다.
특히, 이 압축기에서는, 제 1 경로 (53a ∼ 53c) 의 3 개가 구동축 (3) 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각 제 1 경로 (53a ∼ 53c) 로부터 축로 (51) 등을 거쳐 크랭크실 (21) 내로부터 흡입실 (15a) 로 도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을 바람직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제 2 경로 (55a ∼ 55c) 의 3 개가 구동축 (3) 에 대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크랭크실 (21) 내와 각 제 2 경로 (55a ∼ 55c) 가 연통했을 때, 각 제 2 경로 (55a ∼ 55c) 로부터 축로 (51) 등을 거쳐 크랭크실 (21) 내로부터 흡입실 (15a) 로 도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량도 바람직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압축기에서는, 각 제 2 경로 (55a ∼ 55c) 와 맞닿음부 (5d) 가 구동축 (3) 의 둘레 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됨으로써, 삽통공 (5c) 내에서 제 2 경로 (55a ∼ 55c) 와 맞닿음부 (5d) 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 (5) 의 경사 각도를 바람직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의 압축기에서는, 구동축 (3) 에 대해, 3 개의 제 2 경로 (61a ∼ 61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제 2 경로 (55a ∼ 55c) 와 동일하게, 제 2 경로 (61a ∼ 61c) 에 대해서도, 각각 축로 (51) 와 연통하여 구동축 (3)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구동축 (3) 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외주면 (30) 에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경로 (61a) 는, 제 2 경로 (61b, 61c) 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경로 (61a) 는, 제 2 경로 (61b, 61c) 보다 회전축 (3) 의 축 방향에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사판 (5) 의 경사 각도가 중간값에 있을 때, 밸브체 (43) 에 의해 제 2 경로 (61a ∼ 61c) 모두가 덮이도록, 회전축 (3)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경로 (61a ∼ 61c) 의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압축기에서는, 제 2 경로 (61a) 가 제 2 경로 (61b, 61c) 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밸브체 (43) 의 회전축 (3) 의 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제 2 경로 (61a ∼ 61c) 의 개구 면적의 변화를 보다 바람직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작용은, 실시예 1 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 1, 2 에 입각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2 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구동축 (3) 에 대해 제 3 경로 (57) 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경로 (53a ∼ 53c) 를 구동축 (3) 의 전방측에 형성함으로써, 제 1 경로 (53a ∼ 53c) 가 봉지 부재 (23) 와 러그 부재 (41) 사이에서 외주면 (30) 에 개구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1 경로」 를 제 1 경로 (53a) 의 하나로 구성해도 되고, 제 1 경로 (53a ∼ 53c) 외에 제 1 경로를 형성해도 된다. 동일하게, 본 발명의 「제 2 경로」 를 제 2 경로 (55a) 의 하나로 구성해도 되고, 제 2 경로 (55a ∼ 55c) 외에 제 2 경로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 3 경로 (57) 외에 제 3 경로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 의 압축기에서는, 제 1 경로 (53a ∼ 53c), 제 2 경로 (55a ∼ 55c) 및 제 3 경로 (57) 를 모두 동 직경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경로 (53a ∼ 53c) 를 제 2 경로 (55a ∼ 55c) 및 제 3 경로 (57) 보다 대경으로 형성하거나, 제 2 경로 (55a ∼ 55c) 를 제 1 경로 (53a ∼ 53c) 및 제 3 경로 (57) 보다 대경으로 형성하거나, 제 3 경로 (57) 를 제 1 경로 (53a ∼ 53c) 및 제 2 경로 (55a ∼ 55c) 보다 대경으로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본 발명은 공조 장치 등에 이용 가능하다.
1…하우징
3…구동축
5…사판
5c…삽통공
5d…맞닿음부
5f…사판 아암
7…피스톤
9…제어 기구
13…제 1 하우징
15a…흡입실
15b…토출실
17…실린더 블록
17a…실린더 보어
21…크랭크실
23…봉지 부재
30…외주면
31…급기 통로
33…용량 제어 밸브
41…러그 부재
43…밸브체
47…압축실
50…축로
53a ∼ 53c…제 1 경로
55a ∼ 55c…제 2 경로
57…제 3 경로
59…추기 통로

Claims (5)

  1. 토출실, 흡입실, 크랭크실 및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크랭크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과, 상기 크랭크실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사판과,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사판의 경사 각도에 따른 스트로크로 상기 실린더 보어 내를 왕복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크랭크실 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경사 각도를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기구는, 상기 토출실과 상기 크랭크실을 연통하는 급기 통로와, 상기 크랭크실과 상기 흡입실을 연통하는 추기 통로와, 상기 급기 통로 및 상기 추기 통로 중 적어도 일방의 개도를 변경 가능한 용량 제어 밸브를 갖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추기 통로는,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로와,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축로에 연통하여 상기 구동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서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는 제 1 경로와,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축로에 연통하여 상기 구동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보다 상기 사판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는 제 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사판과 연동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경로는, 항상 상기 크랭크실 내와 연통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경사 각도가 상기 최대값 또는 상기 최소값일 때에는 상기 크랭크실 내와 상기 제 2 경로를 연통하는 한편, 상기 경사 각도가 상기 최대값보다 작고, 또한 상기 최소값보다 큰 중간값일 때에는, 상기 크랭크실 내와 상기 제 2 경로를 비연통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는, 상기 크랭크실 내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로보다 상기 실린더 보어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개구되어 있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 블록 사이에서 상기 크랭크실을 형성하는 제 1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상기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와 상기 크랭크실 사이를 봉지하는 봉지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는,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사판과 대향하는 러그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추기 통로는,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축로에 연통하여 상기 구동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봉지 부재와 상기 러그 부재 사이에서 상기 구동축의 상기 외주면에 개구되는 제 3 경로를 갖고,
    상기 제 3 경로는, 항상 상기 크랭크실 내와 연통하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로는 복수이고,
    상기 각 제 2 경로는, 상기 구동축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각각 개구되어 있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형성되고, 상기 크랭크실 내에서 상기 사판과 대향하는 러그 부재와,
    상기 사판에 형성되고, 상기 러그 부재로부터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상기 사판에 전달하는 사판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사판에는, 상기 구동축을 삽입 통과하는 삽통공과, 축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사판 아암과 반대측에서 상기 삽통공 내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축의 상기 외주면과 맞닿는 맞닿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구동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구동축의 상기 외주면에 개구되어 있는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170146822A 2016-11-07 2017-11-06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KR201800514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7239 2016-11-07
JP2016217239A JP2018076782A (ja) 2016-11-07 2016-11-07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404A true KR20180051404A (ko) 2018-05-16

Family

ID=6200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822A KR20180051404A (ko) 2016-11-07 2017-11-06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28252A1 (ko)
JP (1) JP2018076782A (ko)
KR (1) KR20180051404A (ko)
CN (1) CN108071570A (ko)
DE (1) DE102017125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826B1 (ko) * 2018-08-21 2024-02-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사판식 압축기
WO2020196577A1 (ja) * 2019-03-27 2020-10-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式圧縮機
KR20200133485A (ko) * 2019-05-20 2020-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 공기조화 시스템용 전자제어밸브 및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746A (ja) * 1999-04-15 2000-10-24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クラッチレスコンプレッサ
JP2006132446A (ja) * 2004-11-05 2006-05-25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703B2 (en) * 2001-11-02 2004-09-07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capacity air conditioning compressor with improved crankcase oil retention
JP2006022785A (ja) * 2004-07-09 2006-01-26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
JP2009209910A (ja) * 2008-03-06 2009-09-17 Toyota Industries Corp 斜板式圧縮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746A (ja) * 1999-04-15 2000-10-24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クラッチレスコンプレッサ
JP2006132446A (ja) * 2004-11-05 2006-05-25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5682A1 (de) 2018-05-09
JP2018076782A (ja) 2018-05-17
CN108071570A (zh) 2018-05-25
US20180128252A1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4896B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6136906B2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EP2096308B1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20090223244A1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6592337B2 (en) Shaft seal of a lip type with fluid guiding components having the same
KR20180051404A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US5873704A (en) Variable capacity refrigerant compressor
EP1394411B1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1645276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4648845B2 (ja) 斜板型および揺動斜板型の可変容量圧縮機
KR101729076B1 (ko)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JP2007009720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KR20060085002A (ko) 피스톤의 자전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용량 가변형사판식 압축기
JP2012202394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EP2927492A2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2002005011A (ja) 可変容量圧縮機
JP3666170B2 (ja) 斜板型圧縮機
JP2002005010A (ja) 可変容量圧縮機
GB2382384A (en) A compressor having oil collection grooves
JP2018096251A (ja) 圧縮機
JP2009167804A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2009287421A (ja)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EP2034182A2 (en) Swash plate compressor
JP2003254232A (ja) 自動車空調用圧縮機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ピストン
JP2009264110A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