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341A - 화장 시트 - Google Patents

화장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341A
KR20180050341A KR1020187008971A KR20187008971A KR20180050341A KR 20180050341 A KR20180050341 A KR 20180050341A KR 1020187008971 A KR1020187008971 A KR 1020187008971A KR 20187008971 A KR20187008971 A KR 20187008971A KR 20180050341 A KR20180050341 A KR 2018005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sheet
sheet
resin
decorative sheet
inorganic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466B1 (ko
Inventor
신이치 미야모토
마사미츠 나가하마
아키라 사토
마사토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 후가공성이 우수하고, 난연 용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는, 복수의 수지층을 구비하고, 그 수지층 중 적어도 1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무기 안료가 내포된 무기 안료 베시클이 첨가되어 있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1축 연신 수지 시트(3) 또는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포함하고, 1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3)의 편광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의해 얻어진,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평행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수직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파수 997(±5)㎝-1의 흡광도 피크값으로부터, 하기 (1) 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2색비 R의 값이, R≥0.3이다.
Figure pct00009

Description

화장 시트
본 발명은 화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화장 시트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190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496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60818호 공보
상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화장 시트에는, 내 후가공성이 우수하고, 난연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적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함으로써, 내 후가공성이 우수하고, 난연 용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는, 복수의 수지층을 구비한 화장 시트이며, 상기 수지층 중 적어도 1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무기 안료가 내포된 무기 안료 베시클이 첨가되어 있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1축 연신 수지 시트 또는 2축 연신 수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상기 2축 연신 수지 시트의 편광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의해 얻어진,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평행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수직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파수 997(±5)㎝-1의 흡광도 피크값으로부터, 하기 (1) 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상기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상기 2축 연신 수지 시트의 배향도의 비인 2색비 R의 값이, R≥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에 의하면, 내 후가공성이 우수하고, 난연 용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는, 복수의 수지층을 구비한 화장 시트이다. 또한, 당해 수지층 중 적어도 1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무기 안료가 내포된 무기 안료 베시클이 첨가되어 있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1축 연신 수지 시트 또는 2축 연신 수지 시트이다. 여기서, 상기 1축 연신 수지 시트는, 수지 시트를 압출하여 제막할 때의 압출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연신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된 수지 시트이다. 또한, 상기 2축 연신 수지 시트는, 수지 시트를 압출하여 제막할 때의 압출 방향과 평행 방향 및 수지 시트면 상에 있어서의 당해 압출 방향과 수직 방향에 2 방향으로 연신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된 수지 시트이다. 또한, 1축 연신 가공 또는 2축 연신 가공은,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의 편광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평행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상기 수직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파수 997(±5)㎝-1의 흡광도 피크값으로부터, 하기 (2) 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2색비 R의 값이, R≥0.3인 것이 중요하다. 특히, 2색비 R의 값이, 0.5≤R≤0.9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의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무기 안료 베시클을 첨가한 것이다.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등의 이외에, α올레핀(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트리데센, 1-테트라데센, 1-펜타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노나데센, 1-에이코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9-메틸-1-데센, 11-메틸-1-도데센, 12-에틸-1-테트라데센 등)을 단독 중합 혹은 2종류 이상 공중합시킨 것이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이 에틸렌 또는 α올레핀과 그 이외의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안료 베시클은, 초임계 역상 증발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초임계 역상 증발법은, 본 발명자들이 제안하고 있는 재표02/0325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91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40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6327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초임계 역상 증발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초임계 역상 증발법은, 초임계 상태 또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 혹은 압력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에 베시클의 막을 형성하는 인지질을 균일하게 용해시킨 혼합물 중에, 봉입 물질로서의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수상을 더하고, 1층의 막으로 봉입 물질을 내포하는 캡슐형의 베시클로 하는 방법이다. 또한,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는, 임계 온도(30.98℃) 및 임계 압력(7.3773±0.0030MPa) 이상의 초임계 상태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의미한다. 또한, 임계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 혹은 압력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란, 임계 온도만, 혹은 임계 압력만이 임계 조건을 초과한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를 의미한다. 이 방법에 의해, 직경 50 내지 800㎚의 단층 라멜라 베시클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무기 안료는, 난연성의 안료이면 되고, 크게 나누어서 천연 무기 안료와 합성 무기 안료가 있다. 천연 무기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토계 안료, 소성 토계 안료, 광물성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무기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물 안료, 수산화물 안료, 황화물 안료, 규산염 안료, 인산염 안료, 탄산염 안료, 금속분 안료, 탄소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천연 무기 안료 및 합성 무기 안료 중에서 1종류 혹은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안료는, 난연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인지질로서는,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딘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카르디오핀, 황란 레시틴, 수소 첨가 황란 레시틴, 대두 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등의 글리세로 인지질, 스핑고미엘린, 세라마이드포스포릴 에탄올아민, 세라마이드포스포릴 글리세롤 등의 스핑고 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베시클의 외막에는, 적어도 인지질 등의 생체 지질이 포함되어 있으면 되므로, 생체 지질과 하기와 같은 그 밖의 물질의 혼합물로부터 외막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베시클의 막을 형성하는 그 밖의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나, 이것과 콜레스테롤류 혹은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 에테르, 디알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폴리옥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폴리2-비닐피리딘, 폴리스티렌-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에틸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카프로락탐 공중합체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류로서는, 콜레스테롤, α-콜레스탄올, β-콜레스탄올, 콜레스탄, 데스모스테롤(5,24-콜레스타디엔-3β-올), 콜산나트륨 또는 콜레칼시페롤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성이 아닌 내포물을 수용성의 분산제로 둘러싼 베시클로 함으로써, 수용성의 용매 등에 수용성이 아닌 내포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무기 안료 베시클의 첨가량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상기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제막함과 함께 1축 연신 가공 또는 2축 연신 가공하여 얻어지는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가, 두께 20㎛ 내지 150㎛로 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당해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는, 1축 연신 가공 또는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평행한 평행 방향과, 당해 시트면 상에 있어서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수직인 수직 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수지 중의 분자의 장쇄가 배향되어 있다. 이것은, 수지 시트에 대하여 연신 가공을 실시하면, 무기 안료 베시클을 첨가한 수지 중의 C-C 골격을 포함하는 분자의 장쇄가 연신 방향으로 인장되어 배열함으로써 발생한다. 연신 가공을 실시하여 수지 중의 분자의 장쇄가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으면, 당해 연신 방향으로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므로, 내 후가공성이 우수한 난연성을 구비하는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에 의하면, 무기 안료 베시클을 고충전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당해 무기 안료 베시클에 기인하는 표면의 요철이 연신 가공에 의해 해소되므로, 평활성이 우수한 수지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 적성이 우수한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편광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 및 2색비 R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적외 분광 측정은, 0.7㎛ 내지 1000㎛의 파장의 광인 적외광이, 물질의 분자 진동이나 회전 운동에 기초하여 당해 물질에 흡수되는 양으로 변화가 발생된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물질의 화학 구조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얻는 분광 측정 방법 중 하나이다. 특히, 물질 고유의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파장이 2.5㎛ 내지 4㎛인 중적외선이라고 불리는 파장 범위가 주로 사용된다.
또한, 푸리에형이란, 이하에 기재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광원으로부터 나온 광(적외광)을, 간섭계에, 반투경을 통하여 경사 입사시켜, 투과광과 반사광으로 분할한다. 투과광과 반사광은, 고정경과 이동경에 의해, 각각 반사되어, 반투경으로 돌아와서, 합성되어 간섭파가 된다. 이동경의 이동한 위치에 따라, 투과광과 반사광의 광로차가 상이하다. 그 때문에, 이동경의 위치에 따라, 다른 간섭파가 얻어진다. 이 간섭파를 물질에 대하여 조사하고, 물질로부터의 투과광 혹은 반사광의 신호를 측정한다. 얻어진 신호를 푸리에 변환법을 사용하여 변환함으로써, 각 파수 성분의 적외 스펙트럼을 얻는 방식을 가리킨다.
편광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있어서는, 물질에 흡수되는 적외광의 측정을 행할 때에, 편광자를 사용하여 당해 적외광을 광의 전기장이 일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직선 편광이라고 불리는 광으로 함으로써, 연신된 수지의 연신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분자의 장쇄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다음으로, 2색비 R은, 편광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의해 시트형의 수지를 측정할 때에 우선, 편광자를 설치 각도 0°(전기장의 방향은 시료 설치면과 수직 방향)로 설치한 뒤, 시트형의 수지를 연신 방향이 전기장의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맞추어 적외 분광 측정을 행하고, 이어서, 시트형의 수지 각도를 90° 회전시키고, 시트형의 수지 연신 방향과 전기장의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하여 적외 분광 측정을 행하고, 얻어진 2개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파수 997㎝-1 부근의 흡광도 피크로부터 상기 (1) 식을 이용하여 산출된 값을 말하며, 시트형의 수지 연신 방향과 평행인 방향과, 연신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수지 중의 분자의 장쇄 배향도의 비를 나타낸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흡광도 피크에 있어서는, 997㎝-1 부근에 CH3의 좌우 흔들림 진동에 대응하는 파수 영역이 존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연신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수지의 C-C 골격(분자의 장쇄)이 연신 방향으로 정렬되면, 이에 수반하여 CH3의 좌우 흔들림 진동도 하나의 방향으로 정렬되므로, CH3의 쌍극자 모멘트가 증감하게 된다. 적외광의 전기장이 CH3인 쌍극자 모멘트 증감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때에 적외선의 흡수 강도는 최대가 되기 때문에, 배향도의 차이에 따라 파수 997㎝-1 부근,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수 997(±5)㎝-1에 나타나는 피크의 값이 크게 좌우 변동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상기 평행인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상기 수직인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파수 997(±5)㎝-1에 나타나는 피크의 값으로부터,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의 양방향에 있어서의 C-C 골격(분자의 장쇄)의 배향도의 비를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평행인 방향과 상기 수직인 방향의 연신 배율이 다를수록(2색비 R의 값이 클수록) 수지의 경도는 높아지고, 상기 평행인 방향과 상기 수직인 방향의 연신 배율이 가까울수록(2색비 R의 값이 작을수록) 수지 본래의 기계적 강도에 가까워진다. 또한, 이후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고 있는 실시예도 있기 때문에, 시트형의 수지는,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이 전기장의 방향과 평행 또는 수직이 되도록 적재하여 적외 분광 측정을 행했다.
상기와 같은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에 있어서는, 첫번째, 무기 안료를 무기 안료 베시클로서 첨가한 수지 시트로 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있어서 무기 안료를 2차 응집시키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다량으로 무기 안료를 첨가한 경우에 있어서도,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난연성이 우수한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로 할 수 있다.
두번째, 무기 안료 베시클이 첨가된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의 배향도가, 상기 2색비 R의 값에 있어서 R≥0.3으로 된 수지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내 후가공성이 우수한 난연성의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를 얻을 수 있다. 특히, 2색비 R의 값이, 0.5≤R≤0.9로 된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에 대하여 그 특성은 현저하게 확인된다.
(전체 구성)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의 구성 구체예를,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각 층의 두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하다. 그 밖에도,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주지의 구조가 약도로 나타나 있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등이 하기의 것에 특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이 규정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지층을 구비한 화장 시트(1)이며, 상기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가 원단층(3)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장 시트(1)는, 화장 시트(1)가 접합되는 기재 B에 면하는 측으로부터, 프라이머층(2), 원단층(3), 패턴 인쇄층(4), 접착제층(5), 투명 수지층(6) 및 톱 코팅층(7)을 적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재 B로서는, 목질 보드류, 무기질 보드류 또는 금속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판은, 기재 B에 화장 시트(1)를 접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라이머층 2]
프라이머층(2)으로서는, 예를 들어 바인더로서의 질화 면, 셀룰로오스,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단독 혹은 각 변성물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수성, 용제계, 에멀젼 타입 등 특별히 그 형태를 불문한다. 또한, 경화 방법에 대해서도, 단독으로 경화하는 1액 타입, 주제와 합하여 경화제를 사용하는 2액 타입,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타입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화 방법으로서는, 우레탄계의 주제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경화제를 합함으로써 경화시키는 2액 타입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방법은 작업성, 가격, 수지 자체의 응집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이외에는, 예를 들어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체질 안료, 용제, 각종 첨가제 등이 첨가되어 있다. 특히, 프라이머층(2)에 있어서는, 화장 시트(1)의 최배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화장 시트(1)를 연속적인 플라스틱 필름(웹 형상)으로서 권취를 행하는 것을 고려하면, 필름끼리가 밀착하여 미끄러지기 어려워지거나, 박리되지 않게 되는 등의 블로킹이 발생하는 것을 피함과 함께, 접착제와의 밀착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프라이머층(2)에,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산화티타늄, 황산바륨 등의 무기 충전제를 첨가해도 된다. 층 두께는, 기재 B와의 밀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0.1㎛ 내지 3㎛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단층 3]
원단층(3)으로서는, 상술에 있어서 설명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무기 안료가 내포된 무기 안료 베시클이 첨가된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1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들 수 있다. 그리고, 1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3)는, 편광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의해 얻어진, 압출 방향과 평행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압출 방향과 수직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파수 997(±5)㎝-1의 흡광도 피크값으로부터, 상기 (1) 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2색비 R의 값이, R≥0.3인 것이 중요하다. 특히, 2색비 R의 값이, 0.5≤R≤0.9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1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3)는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평행인 방향과, 당해 압출 방향과 수직인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1축 연신 가공 또는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2색비 R의 값이 되도록 생성되어 있다.
[패턴 인쇄층 4]
패턴 인쇄층(4)으로서는, 프라이머층(2)과 마찬가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범용성이 높은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축합 아조, 불용성 아조, 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린, 안트라퀴논, 이미다졸론, 코발트, 프탈로시아닌, 카본, 산화티타늄, 산화철, 운모 등의 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재료를 사용하여, 원단층(3)에 대하여,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 정전 인쇄, 잉크 제트 인쇄 등을 실시하여 패턴 인쇄층(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와 안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잉크를 도포하여 패턴 인쇄층(4)을 형성하는 방법과는 별도로, 각종 금속의 증착이나 스퍼터링으로 패턴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착제층 5]
접착제층(5)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작업성, 가격, 응집력으로부터, 주제를 우레탄계의 폴리올, 경화제를 이소시아네이트로 한 2액 타입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투명 수지층 6]
투명 수지층(6)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기존의 열 안정화제, 난연화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블로킹 방지제, 촉매 포착제, 착색제, 광 산란제 및 광택 조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한 투명 수지 시트(6)를 사용할 수 있다. 표면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에는, 고결정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계, 황계, 인계, 히드라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난연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힌더드 아민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층(6)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요철 패턴을 갖는 엠보싱 모양(6a)을 형성할 수도 있다.
[투명 수지 시트(6)의 제막 방법]
여기서, 투명 수지 시트(6)의 자세한 제막 플로우를,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주성분으로서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용융 압출기에 투입한다. 그 후, 가열하면서 혼련하여 당해 펠릿을 액상으로 용융하고, 압출구에 형성된 T 다이로부터 액상의 수지 조성물을 하류측에 설치된 냉각 롤을 향하여 소정의 폭으로 압출한다. 이 때,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액상의 수지 조성물은, 당해 냉각 롤에 접촉함으로써 냉각 온도로 ??칭된 후, 냉각 온도 근방의 온도에서 반송되는 중에 결정화가 진행된다. 당해 냉각 롤은, 롤의 중심축 주위에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있고, 냉각 롤에 접촉된 수지 조성물은 시트형의 투명 수지 시트(6)로 되고, 소정의 반송 속도로 하류측으로 반송되어서, 최종적으로는 권취 롤에 권취된다.
[톱 코팅층(7)]
톱 코팅층(7)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아크릴계, 아크릴실리콘계, 불소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멜라민계, 아미노알키드계, 요소계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재료의 형태도, 수성, 에멀젼, 용제계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화 방법에 대해서도, 단독으로 경화하는 1액 타입, 주제와 합하여 경화제를 사용하는 2액 타입,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타입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우레탄계의 주제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경화제를 혼합하여 경화시키는 것이 작업성, 가격, 수지 자체의 응집력 등의 관점에서 적합하다.
[화장 시트(1)의 제작 방법]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먼저, 원단층(3)으로서의 1축 연신 수지 시트(3) 또는 2축 연신 수지 시트(3)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1축 연신 수지 시트(3) 또는 2축 연신 수지 시트(3)의 한쪽 면상에 대하여 패턴 인쇄층(4)을, 다른 쪽 면 상에 프라이머층(2)을 적층한다. 그리고, 상기 제막 플로우에 의해 형성된 투명 수지층(6)으로서의 투명 수지 시트(6)와, 1축 연신 수지 시트(3) 또는 2축 연신 수지 시트(3)의 패턴 인쇄층(4)측의 면을, 접착제층(5)을 사이에 개재해서, 예를 들어 열압을 응용한 방법, 압출 라미네이트 방법 또는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하여 적층하고, 적층 필름을 형성한다. 이 때, 투명 수지층(6)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6a)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적층 필름에 대하여, 열압에 의한 방법, 혹은, 요철이 형성된 냉각 롤을 사용하여 압출 라미네이트와 동시에 엠보싱 모양(6a)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엠보싱 모양(6a)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당해 적층 필름의 투명 수지층(6)의 표면에 대하여, 톱 코팅층(7)을 적층하여 화장 시트(1)를 얻는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투명 수지층(6)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서 설명했지만, 또한 난연성이 높은 화장 시트로 하는 경우에는, 투명 수지층(6)을 제외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 B와 원단층(3) 사이에 충분한 접착성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프라이머층(2)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프라이머층(2)은 0.1㎛ 내지 20㎛, 원단층(3)으로서의 1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3)는 30㎛ 내지 250㎛, 패턴 인쇄층(4)은 3㎛ 내지 20㎛, 접착제층(5)은 1㎛ 내지 20㎛, 투명 수지층(6)은 20㎛ 내지 200㎛, 톱 코팅층(7)은 3㎛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 시트(1)의 총 두께는 57㎛ 내지 53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는, 복수의 수지층을 구비한 화장 시트이며, 그 수지층 중 적어도 1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무기 안료가 내포된 무기 안료 베시클이 첨가되어 있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1축 연신 수지 시트(3) 또는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포함하고, 1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3)의 편광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의해 얻어진,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평행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수직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파수 997(±5)㎝-1의 흡광도 피크값으로부터, 하기의 (3) 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1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3)의 배향도의 비인 2색비 R의 값이, R≥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3
이와 같은 구성이면, 무기 안료 베시클이 첨가되어 있음과 함께, 2색비 R이 R≥0.3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내 후가공성이 우수한 난연 용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는, 1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3)의 2색비 R의 값이, 0.5≤R≤0.9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보다 내 후가공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기 안료 베시클의 조제 방법>
먼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하는 무기 안료 베시클을 하기의 방법으로 조제했다. 메탄올 100중량부, 무기 안료로서의 탄산칼슘(소프톤 2000; 시라이시칼슘 가부시키가이샤제) 70중량부,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인지질로서의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60℃에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어 밀폐하고, 압력이20MPa가 되게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초임계 상태로 한 후, 격렬하게 교반 혼합하면서 이온 교환수를 100중량부 주입했다. 용기 내의 온도 및 압력을 보유 지지한 상태로 15분간 교반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여 대기압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인지질을 포함하는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무기 안료로서의 탄산칼슘을 내포하는 탄산칼슘베시클을 얻었다.
<1축 연신 가공을 실시한 경우>(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4에 있어서는, 원단층(3)으로서의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시트를,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탄산칼슘베시클이 50, 70 또는 80중량부 첨가되어 있고, 1축 연신 가공을 실시한 1축 연신 수지 시트(3)를 포함하는 것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펜타드 분율이 97.8%, MFR(용융 유속)이 15g/10min(230℃), 분자량 분포 MWD(Mw/Mn)가 2.3인 고결정성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제) 500PPM과,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티누빈 328; BASF사제) 2000PPM과,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화제(키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제) 2000PPM을 첨가한 수지를 용융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투명 수지층(6)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 수지 시트(6)를 제막했다. 계속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하이젝스 5305E MFR=0.8g/10min(190℃); 프라임폴리머사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탄산칼슘베시클을 50, 70 또는 80중량부 첨가하고, 맞물림형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한 후, 스트랜드 커트법에 의해 펠리타이즈를 실시하여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또한, 상기 탄산칼슘베시클을,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해서는 50중량부, 실시예 4 내지 9 및 비교예 1, 2에 대해서는 70중량부, 비교예 3, 4에 대해서는 80중량부, 각각 첨가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사용한 압출 성형법에 의해 막 두께 120㎛의 수지 시트를 제막했다. 얻어진 수지 시트를 30㎝ 사방으로 잘라내고, 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압출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1축 연신 가공을 실시했다. 또한, 연신 배율은 4배로 하여 두께 30㎛의 1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제작했다. 연신 가공을 실시한 1축 연신 수지 시트(3)의 한쪽 면에 대하여, 2액 경화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잉크제조(주)제)를 사용하여 패턴 인쇄를 실시하여 패턴 인쇄층(4)을 형성하고, 1축 연신 수지 시트(3)의 다른 쪽 면에 대하여, 프라이머층(2)을 실시했다. 그리고, 1축 연신 수지 시트(3)의 패턴 인쇄층(4)을 형성한 면측에,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 A540; 미츠이 가가꾸제; 도포량2g/㎡)을 포함하는 접착제층(5)을 통하여 투명 수지 시트(6)를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했다. 마지막으로, 투명 수지층(6)의 표면에 대하여, 엠보싱용 금형 롤을 사용하여 엠보싱 모양(6a)을 형성한 후, 엠보싱 모양(6a)을 덮도록 2액 경화형 우레탄 톱 코팅(W184; DIC그래픽사제)을 도포량 3g/㎡로 도포하여 톱 코팅층(7)을 형성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총 두께 120㎛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한 경우>(실시예 10 내지 18, 비교예 5 내지 10)
실시예 10 내지 18 및 비교예 5 내지 10에 있어서는, 원단층(3)으로서의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시트를,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탄산칼슘베시클이 50, 70 또는 80중량부 첨가되어 있고, 2축 연신 가공을 실시된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포함하는 것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는 것 이외는, 1축 연신 가공을 실시한 경우(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4)와 동일하게 했다. 2축 연신 가공은, 압출 성형법에 의해 얻어진 수지 시트를 30㎝ 사방으로 잘라내고, 압출 방향과 평행 방향을 연신 지그로 고정함과 함께, 압출 방향과 수직 방향을 연신 지그로 고정하고, 서로 직각인 2 방향으로 연신을 행했다. 또한, 연신 가공은 면적비로 4배가 되도록 행하고, 두께 30㎛의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제작했다.
<연신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1 내지 13)
비교예 11 내지 13에 있어서는, 원단층(3)으로서의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시트를,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베시클화하지 않은 무기 안료로서의 탄산칼슘이 70, 60 또는 50중량부 첨가되어 있고, 연신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수지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시트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하이젝스 5305E MFR=0.8g/10min(190℃); 프라임폴리머사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안료로서 탄산칼슘(소프톤 2000; 시라이시 칼슘 가부시키가이샤제)을 70, 60 또는 50중량부 첨가하고, 맞물림형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한 후, 스트랜드 커트법에 의해 펠리타이즈를 실시하여 얻어진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사용한 압출 성형법에 의해 제막한 것을 사용했다. 또한, 제막 두께는 30㎛로 했다.
<베시클화하지 않은 무기 안료를 첨가한 경우>(비교예 14 내지 21)
비교예 14 내지 21에 있어서는, 원단층(3)으로서의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시트를,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베시클화하지 않은 무기 안료로서의 탄산칼슘이 70, 60 또는 50중량부 첨가되어 있고, 1축 연신 가공을 실시된 1축 연신 수지 시트(3)를 포함하는 것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시트에 대하여, 베시클화하지 않은 무기 안료로서의 탄산칼슘을 첨가한 것 이외는, 상기 1축 연신을 실시한 경우(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4)와 동일한 구성 및 제작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장 시트(1)를 사용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1에 있어서의 1축 연신 수지 시트(3), 2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연신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수지 시트에 대하여, 편광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의해, 압출 방향과 평행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압출 방향과 수직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각각 측정하고, 상기 (1) 식을 이용하여 2색비 R을 산출하였다. 또한, 각 화장 시트(1)에 대하여, 발열성 평가 시험 및 내 후가공성 평가 시험을 행했다. 각 평가 시험의 자세한 평가 방법은 하기한 바와 같다.
<발열성 평가 시험>
여기서, 건축법 시공령에 규정된 난연 재료 기술적 기준에 있어서는, ISO 5660-1에 준거한 원뿔 칼로리메타(cone calorie meter) 시험기에 의한 발열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 하기의 요건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건축법 시공령 제108조의 2 제1호 및 제2호). 본 실시예의 화장 시트가 난연 재료로서 인정되기 위해서는, 불연성 기재와 접합한 상태에서 50kW/㎡의 복사열에 의한 가열로 20분간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 하기의 1 내지 3의 요구 항목을 모두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1. 총발열량이 8MJ/㎡ 이하
2. 최고 발열 속도가 10초 이상 계속하여 200kW/㎡를 초과하지 않는다
3. 방염상 유해한 이면까지 관통하는 크랙 및 구멍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불연성 기재로서는, 석공 보드, 섬유 혼입 규산칼슘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뿔 칼로리메타 시험기에 의한 발열성 평가 시험에 대해서는, 상술한 1 내지 3의 항목을 모두 만족시키고, 상기 시공령 제108조의 2 제1호 및 제2호에 기재된 요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난연 재료를 실현하고 있는 경우에는 「○」, 1개라도 요건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로 하여 난연성 평가를 했다. 또한, 본 시험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로 했다.
<내 후가공성 평가 시험>
내 후가공성 평가 시험(V 홈 굽힘 가공 시험)에 있어서는, 화장 시트(1)를 접착제(리카 본드; 쥬오우 리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로, 기재 B에 접합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후, 기재 B의 화장 시트(1)를 부착한 측과는 반대인 면측에 대하여, 화장 시트(1)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V자의 홈을 만들어 화장 시트(1)의 표면이 산접기가 되도록 절곡했다. 그리고, 절곡한 후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 표면의 변화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 크랙·백화 등의 표면의 변화가 확인된 경우에는, 각각 「크랙」, 「백화」라고 내 후가공성을 평가했다. 또한, 본시험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로 했다.
1축 연신 수지 시트(3), 2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연신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수지 시트의 2색비 R의 값, 각 평가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 및 화장 시트(1)의 종합 평가를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종합 평가의 기호 내용은 하기한 바와 같다.
<종합 평가>
×: 난연성 및 내 후가공성을 갖고 있지 않다
○: 난연성이 우수하고, 화장 시트에 필요한 내 후가공성을 갖고 있다
◎: 난연성 및 내 후가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탄산칼슘베시클이 50 또는 70중량부 첨가된 1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9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색비 R의 값이 R≥0.3인 1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함으로써, 난연 재료의 기준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내 후가공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탄산칼슘베시클이 50중량부 첨가되어 2색비 R의 값이 0.3≤R≤0.5인 1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화장 시트(1)와, 탄산칼슘베시클이 70중량부 첨가되어 2색비 R의 값이, 0.5≤R≤0.9인 1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한 실시예 6 내지 9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특히 우수한 내 후가공성을 갖고 있었다. 이것과 비교하여, 2색비 R의 값이 R<0.3으로 된 1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한 비교예 1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난연 재료로서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내 후가공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도 「크랙」이 확인되었다. 또한, 2색비 R의 값이 R>0.9인 1축 연신 수지 시트(3)로 한 비교예 2에 대해서는, 1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찢어짐이 발생했다.
또한, 표 1의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기 안료의 첨가량을 80중량부로 한 것에 대해서는, 1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찢어짐이 발생했다. 또한, 찢어짐이 있는 비교예 2 내지 4에 있어서는, 찢어짐 후의 화장 시트(1)를 사용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을 행하여 2색비 R을 산출하였다.
탄산칼슘베시클이 50 또는 70중량부 첨가된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한 실시예 10 내지 18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색비 R의 값이 R≥0.3인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함으로써, 난연 재료의 기준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내 후가공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탄산칼슘베시클이 50중량부 첨가되어 2색비 R의 값이 R=0.3인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한 실시예 10의 화장 시트(1)와, 탄산칼슘베시클이 70중량부 첨가되어 2색비 R의 값이, 0.5≤R≤0.9인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한 실시예 15 내지 18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특히 우수한 내 후가공성을 갖고 있었다. 이것과 비교하여, 2색비 R의 값이 R<0.3으로 된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한 비교예 6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난연 재료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내 후가공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도 「크랙」이 확인되었다. 또한, 2색비 R의 값이 R>0.9인 2축 연신 수지 시트(3)로 한 비교예 5에 대해서는,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할 수는 있었지만 난연성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이것은, 2색비 R의 값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너무 연신했기 때문에 단위 면적당 존재하는 탄산칼슘베시클이 적어지고, 주성분으로서의 수지 재료의 연소성이 우세했던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2색비 R의 값이 R>0.9인 2축 연신 수지 시트(3)로 한 비교예 7 및 8에 대해서는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찢어짐이 발생했다.
또한, 표 2의 비교예 9 및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기 안료의 첨가량을 80중량부로 한 것에 대해서는,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찢어짐이 발생했다. 또한, 찢어짐이 있는 비교예 7 내지 10에 있어서는, 찢어짐 후의 화장 시트(1)를 사용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을 행하여 2색비 R을 산출하였다.
베시클화하지 않은 탄산칼슘을 첨가함과 함께 연신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수지 시트를 사용한 비교예 11 내지 13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연 재료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내 후가공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도 「크랙」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11 내지 13의 화장 시트(1)의 2색비 R의 값은, 모두 0.01 이하였다.
베시클화하지 않은 탄산칼슘이 70중량부 첨가된 1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한 비교예 14 내지 16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색비 R의 값이 R≥0.3으로 된 1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한 것에 대해서도, 난연 재료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내 후가공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도 「크랙」이 확인되었다. 2색비 R의 값이 R=0.5로 된 비교예 17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난연 재료로서의 기준은 만족시켰지만, 내 후가공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 「크랙」이 확인되고, 화장 시트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갖고 있지 않았다. 또한, 탄산칼슘의 첨가량을 60중량부로 한 비교예 18 및 탄산칼슘의 첨가량을 50중량부로 한 비교예 20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1축 연신 가공을 실시할 수 있어도, 난연 재료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내 후가공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도 「크랙」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9, 21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1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찢어짐이 발생했다. 또한, 찢어짐이 있는 비교예 19, 21에 있어서는, 찢어짐 후의 화장 시트(1)를 사용하여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을 행하여 2색비 R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기 안료 베시클이 첨가되어, 1축 연신 가공 또는 2축 연신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2색비 R의 값이 R≥0.3으로 된 1축 연신 수지 시트(3) 및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함으로써, 난연성 및 내 후가공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가 얻어지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무기 안료 베시클의 첨가량이 50중량부로 된 1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여 2색비 R의 값이 0.3≤R≤0.5로 된 1축 연신 수지 시트(3), 무기 안료 베시클의 첨가량이 50중량부로 된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여 2색비 R의 값이 R=0.3으로 된 2축 연신 수지 시트(3) 또는 무기 안료 베시클의 첨가량이 70중량부로 된 1축 연신 가공 또는 2축 연신 가공을 실시하여 2색비 R의 값이 0.5≤R≤0.9로 된 1축 연신 수지 시트(3) 또는 2축 연신 수지 시트(3)를 사용함으로써, 매우 내 후가공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가 얻어지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1)는, 상기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참고예]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를, 본 발명의 참고예로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종래부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 시트가 우수한 가공 적성이나 난연성을 감안하여 화장 시트의 주재료로서 사용되어 왔지만, 폐기 후의 소각 처리 시에 있어서의 유독 가스의 발생이 문제시되어 왔다. 이 때문에,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의 대체재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한 화장 시트는, 소각 시에 있어서의 유독 가스의 발생은 억제되지만, 당해 수지는 연소성이 높은 수지 중 하나이며, 난연성이 요구되는 화장 시트에 대한 적용이 곤란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술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층상 규산염, 금속 수산화물, 브롬계 난연화제, 인계 난연화제, 염소계 난연화제, 유리 섬유 또는 멜라민 유도체 등의 난연화제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첨가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애당초 연소성이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난연화제를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난연성이 향상됨에 따라,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어 V 홈 굽힘 가공 등의 내 후가공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었다.
1: 화장 시트
2: 프라이머층
3: 원단층(1축 연신 수지 시트, 2축 연신 수지 시트)
4: 패턴 인쇄층
5: 접착제층
6: 투명 수지층(투명 수지 시트)
6a: 엠보싱 모양
7: 톱 코팅층
B: 기재

Claims (2)

  1. 복수의 수지층을 구비한 화장 시트이며,
    상기 수지층 중 적어도 1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무기 안료가 내포된 무기 안료 베시클이 첨가되어 있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 1축 연신 수지 시트 또는 2축 연신 수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1축 연신 수지 시트 및 상기 2축 연신 수지 시트의 편광 푸리에형 적외 분광 측정에 의해 얻어진,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평행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제막 시에 있어서의 압출 방향과 수직 방향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파수 997(±5)㎝-1의 흡광도 피크값으로부터, 하기 (1) 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2색비 R의 값이, R≥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Figure pct0000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색비 R의 값이, 0.5≤R≤0.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KR1020187008971A 2015-09-04 2016-09-02 화장 시트 KR102546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74472A JP2017047654A (ja) 2015-09-04 2015-09-04 化粧シート
JPJP-P-2015-174472 2015-09-04
PCT/JP2016/075834 WO2017038980A1 (ja) 2015-09-04 2016-09-02 化粧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341A true KR20180050341A (ko) 2018-05-14
KR102546466B1 KR102546466B1 (ko) 2023-06-23

Family

ID=5818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971A KR102546466B1 (ko) 2015-09-04 2016-09-02 화장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61538B2 (ko)
EP (1) EP3345758A4 (ko)
JP (1) JP2017047654A (ko)
KR (1) KR102546466B1 (ko)
CN (1) CN108136751B (ko)
AU (1) AU2016317368B2 (ko)
TW (1) TWI701141B (ko)
WO (1) WO2017038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4437A (ja) * 2017-03-08 2018-09-20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7188872B2 (ja) * 2017-07-21 2022-12-13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延伸フィルム、化粧シート用基材、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7059281B2 (ja) 2017-08-09 2022-04-25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ショベルの表示装置及びショベルの表示方法
WO2020036228A1 (ja) * 2018-08-17 2020-02-20 旭化成建材株式会社 間仕切用パネル、間仕切壁および部屋構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386A (ja) * 1998-12-22 2000-07-04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層を有する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2001214013A (ja) * 1999-11-24 2001-08-07 Yupo Corp 樹脂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11901A (ja) 2002-04-24 2003-1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用不燃性粘着シート
JP2004149664A (ja) 2002-10-30 2004-05-27 Sekisui Chem Co Ltd シート状成形体及び化粧シート
JP2004160818A (ja) 2002-11-12 2004-06-10 Sekisui Chem Co Ltd 化粧シート
JP2007204666A (ja) * 2006-02-03 2007-08-16 Kanenori Fujita 耐熱性樹脂製品、耐熱性樹脂製品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WO2012090498A1 (ja) * 2010-12-27 2012-07-05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ベル、印字用紙の最上層形成材料、情報担持媒体、リストバンド用クリップ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二酸化炭素削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15400T2 (de) * 1999-11-24 2006-02-16 Yupo Corp. Gestreckter harzfilm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7100046A (ja) * 2005-10-07 2007-04-19 Masamitsu Nagahama ポリエチレン樹脂製品、ポリエチレン樹脂製品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JP2007100045A (ja) * 2005-10-07 2007-04-19 Masamitsu Nagahama ポリオレフィン樹脂製品、ポリオレフィン樹脂製品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JP2007100047A (ja) * 2005-10-07 2007-04-19 Masamitsu Nagahama 中密度以上ポリエチレン樹脂製品、中密度以上ポリエチレン樹脂製品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JP6622468B2 (ja) * 2015-02-23 2019-12-18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386A (ja) * 1998-12-22 2000-07-04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層を有する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2001214013A (ja) * 1999-11-24 2001-08-07 Yupo Corp 樹脂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11901A (ja) 2002-04-24 2003-1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用不燃性粘着シート
JP2004149664A (ja) 2002-10-30 2004-05-27 Sekisui Chem Co Ltd シート状成形体及び化粧シート
JP2004160818A (ja) 2002-11-12 2004-06-10 Sekisui Chem Co Ltd 化粧シート
JP2007204666A (ja) * 2006-02-03 2007-08-16 Kanenori Fujita 耐熱性樹脂製品、耐熱性樹脂製品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WO2012090498A1 (ja) * 2010-12-27 2012-07-05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ベル、印字用紙の最上層形成材料、情報担持媒体、リストバンド用クリップ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二酸化炭素削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317368B2 (en) 2020-04-09
TW201718268A (zh) 2017-06-01
EP3345758A1 (en) 2018-07-11
EP3345758A4 (en) 2019-01-23
WO2017038980A1 (ja) 2017-03-09
US10661538B2 (en) 2020-05-26
TWI701141B (zh) 2020-08-11
JP2017047654A (ja) 2017-03-09
KR102546466B1 (ko) 2023-06-23
CN108136751B (zh) 2020-01-21
CN108136751A (zh) 2018-06-08
AU2016317368A1 (en) 2018-03-22
US20180244022A1 (en)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324B1 (ko) 화장 시트
US10518510B2 (en) Decorativ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50341A (ko) 화장 시트
KR102518157B1 (ko) 화장 시트
JP6622468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563233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0024354A (ja)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2016190466A (ja) 化粧シート
JP2020076015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44437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7035846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276565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7276564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3109800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3126797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669956A (zh) 装饰片、装饰粘性片、装饰板以及装饰片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