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921A -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 Google Patents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921A
KR20180047921A KR1020160144801A KR20160144801A KR20180047921A KR 20180047921 A KR20180047921 A KR 20180047921A KR 1020160144801 A KR1020160144801 A KR 1020160144801A KR 20160144801 A KR20160144801 A KR 20160144801A KR 20180047921 A KR20180047921 A KR 20180047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groove
cover
groove
curved
ve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686B1 (ko
Inventor
김희태
Original Assignee
김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태 filed Critical 김희태
Priority to KR102016014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6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94Supporting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base plates or like, each bas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destals upstanding therefrom to receive the 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100)은, 보일러 호스(H)가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된 판상의 단열재(110)와, 상기 단열재(11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인 커버(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110)는, 판상의 바디(111)와, 상기 바디(111)의 표면에 사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고 보일러 호스(H)가 끼워지도록 상호 간격틈(L)이 조정된 다수의 융기부(1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바디(111)의 표면 및 융기부(115)와 간격틈(L)에 코팅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110)를 상기 커버(120)가 보호하기 때문에 수송 및 시공 시에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바닥 시공 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본 발명을 밟고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시트(130)가 바디(111)의 이면(114)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이면(114)이 손상되어 상품성을 상실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Parallel floor panel for hot water heating}
본 발명은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단열재의 표면에 부합하도록 부착된 커버에 의해서 손상이 방지되고 화염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슬래브 표면에는 온수난방용 바닥패널(1)을 깔아서 실내 바닥을 시공하므로, 슬래브를 통해서 방열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층간소음을 감소시키며 보일러 호스(H)를 고정 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온수난방용 바닥패널(1)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온수난방용 바닥패널에 보일러 호스가 시공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상기 온수난방용 바닥패널(1)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열재로 형성된 판상의 바디(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0)의 표면에는 보일러 호스(H)를 끼울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돌기(20)가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는 주로 발포재를 사용한다. 상기 돌기(20) 사이의 간격은 보일러 호스(H)가 개재되었을 때 고정될 수 있는 정도로 조정된다.
상기 온수난방용 바닥패널(1)를 사용하여 실내 바닥을 시공하는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건물의 슬래브 표면에 상기 온수난방용 바닥패널(1)을 다수 매 깐다. 그리고 상기 돌기(20) 사이로 보일러 호스(H)를 끼워서, 회로도의 온수 라인을 따라 자리 잡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난방용 바닥패널(1)의 표면에 황토 또는 시멘트로 이루어진 모르타르를 덮어서 보일러 호스(H)가 묻히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 모르타르가 양생 된 후 모르타르의 표면에 장판을 깔게 되면 바닥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 모르타르 대신에 아연판 또는 구리판의 금속판을 온수난방용 바닥패널(1)의 표면에 덮어서 시공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양생 시간없이 바로 금속판의 표면에 시트를 깔므로 바닥 시공이 완료된다.
한국 특허공개 제10-2004-0019504호 (2004년 03월 06일)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온수난방용 바닥패널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바디와 돌기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발포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발포재의 특성상 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송하거나 시공시에 쉽게 손상되어 제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례로 시공 시에는 온수난방용 바닥패널을 슬래브의 표면에 다수 매 깔고, 작업자들이 보일러 호스를 배선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들은 온수난방용 바닥패널을 발로 밟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가 쉽게 손상되어 이탈되므로 보일러 호스가 제대로 자리 잡을 수 없게 되어 회로도대로 온수의 흐름 라인을 형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강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소리의 전도성이 향상되어 층간소음이 더욱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보일러 호스를 설치하면서 둥글게 만곡 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1에서처럼 보일러 호스의 입구와 출구를 각각 단일 개로 구성하고 여러 개의 호스가 직렬로 연결된 경우, 보일러 호스를 여러 번 만곡 시켜야 하지만, 사실 이렇게 만곡 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는 보일러 호스가 둥글게 만곡된 상태로 표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되기 어렵다. 왜냐하면, 상기 돌기는 다수 개로 형성되어 돌기 사이에 보일러 호스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보일러 호스의 만곡을 안내하도록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셋째, 모르타르 대신에 금속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수 매의 금속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벽면과 금속판 사이 및 금속판과 금속판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난방용 바닥패널은 가연성인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의 발포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화재시에 상기 틈으로 화염이 침투하게 되어 상기 온수난방용 바닥패널이 연소하게 되므로 불완전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게 되어 인명을 해치는 주범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보일러 호스가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된 판상의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인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는, 판상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표면에 사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고 보일러 호스가 끼워지도록 상호 간격틈이 조정된 다수의 융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의 표면 및 융기부와 간격틈에 코팅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융기부 하단의 우측 꼭지점에서 상단의 좌측 꼭지점까지 형성되고 상단의 우측 꼭지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1만곡홈과, 상기 제1만곡홈이 형성된 상기 융기부 하단의 우측 꼭지점에서 상단의 좌측 꼭지점까지 형성되고 하단의 좌측 꼭지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2만곡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만곡홈과 제2만곡홈은 상기 간격틈과 연결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만곡홈과 제2만곡홈에 코팅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만곡홈과 제2만곡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융기부의 하단의 좌측 꼭지점에서 상단의 우측 꼭지점까지 형성되고 상단의 좌측 꼭지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3만곡홈과, 상기 제3만곡홈이 형성된 상기 융기부의 하단의 좌측 꼭지점에서 상단의 우측 꼭지점까지 형성되고 하단의 우측 꼭지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4만곡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3만곡홈과 제4만곡홈은 상기 간격틈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3만곡홈과 제4만곡홈에 코팅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만곡홈과 제2만곡홈이 형성된 상기 융기부의 하단의 좌측 꼭지점에서 상단의 우측 꼭지점까지 형성되고 상단의 좌측 꼭지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3만곡홈과, 상기 제1만곡홈 및 제2만곡홈과 제3만곡홈이 함께 형성된 상기 융기부의 하단의 좌측 꼭지점에서 상단의 우측 꼭지점까지 형성되고 하단의 우측 꼭지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4만곡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3만곡홈과 제4만곡홈은 상기 간격틈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3만곡홈과 제4만곡홈에 코팅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융기부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의 외측방에 형성된 간격틈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원형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원형홈에 코팅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만곡홈과 제2만곡홈이 형성된 융기부와, 상기 제3만곡홈과 제4만곡홈이 형성된 융기부 중 4개가 선택되어 사각 모양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이면에 부착된 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황토를 포함한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는 테두리에서 상기 바디의 이면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열재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플랜지와, 상기 커버의 표면에 도포된 황토 도료를 포함한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 강성을 구비한 커버를 부착하기 때문에 수송 및 시공 시에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바닥 시공 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본 발명을 밟고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시트가 바디의 하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바디의 하면이 손상되어 상품성을 상실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제1만곡홈, 제2만곡홈, 제3만곡홈, 제4만곡홈 및 원형홈으로 인해서 보일러 호스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으므로 보일러 호스를 배선할 때 자유자재로 원하는 지점에서 만곡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서 다양한 배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모르타르 대신에 금속판이 시공되는 경우에는 화재 시 금속판 사이 및 벽면과 금속판 사이의 틈으로 화염이 침투하더라도 상기 커버가 바디를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바디가 연소되어 유독가스를 발생하므로 인명을 해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는 둘레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기 때문에 바디의 테두리까지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시 화염이 바디로 침투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온수난방용 바닥패널에 보일러 호스가 배선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을 구성하는 단열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에 보일러 호스가 배선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3의 G-G'선을 따라 취한 단면에 보일러 호스를 추가하여 도시한 국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로서, 원형홈이 4개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보일러 호스가 자유롭게 배선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을 사용하여 실내 바닥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시공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을 구성하는 단열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에 보일러 호스가 배선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3의 G-G'선을 따라 취한 단면에 보일러 호스를 추가하여 도시한 국부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 호스(H)가 설치 가능하도록 판상의 단열재(110)가 구성되고, 상기 단열재(11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인 커버(120)가 구성된다.
상기 단열재(110)는, 판상의 바디(111)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11)의 표면에 사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고 보일러 호스(H)가 끼워지도록 상호 간격틈(L)이 조정된 다수의 융기부(115)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융기부(115) 사이의 간격틈(L)은 직선형으로 격자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보일러 호스(H)를 직선형으로 배선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틈(L)을 따라 삽입되어 배선된 보일러 호스(H)가 만곡되어 용이하게 배선 방향을 전환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융기부(115) 하단의 우측 꼭지점(P)에서 상단의 좌측 꼭지점(S)까지 형성되고 상단의 우측 꼭지점(R)을 향하여 볼록하게 제1만곡홈(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만곡홈(A)이 형성된 상기 융기부(115) 하단의 우측 꼭지점(P)에서 상단의 좌측 꼭지점(S)까지 형성되고 하단의 좌측 꼭지점(Q)을 향하여 볼록하게 제2만곡홈(B)이 형성된다.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은 상기 간격틈(L)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틈(L)으로 배선된 보일러 호스(H)가 상기 제1만곡홈(A) 또는 제2만곡홈(B)을 통해서 만곡된 후 간격틈(L)으로 배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융기부(115) 하단의 좌측 꼭지점(Q)에서 상단의 우측 꼭지점(R)까지 형성되고 상단의 좌측 꼭지점(S)을 향하여 볼록하게 제3만곡홈(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만곡홈(C)이 형성된 상기 융기부(115) 하단의 좌측 꼭지점(Q)에서 상단의 우측 꼭지점(R)까지 형성되고 하단의 우측 꼭지점(P)을 향하여 볼록하게 제4만곡홈(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은 상기 간격틈(L)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틈(L)으로 배선된 보일러 호스(H)가 상기 제3만곡홈(C) 또는 제4만곡홈(D)을 통해서 만곡된 후 간격틈(L)으로 배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이 형성된 상기 융기부(115)에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이 동시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만곡홈(A) 및 제2만곡홈(B),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은 상기 간격틈(L)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융기부(115)에 제1만곡홈(A), 제2만곡홈(B), 제3만곡홈(C), 제4만곡홈(D)이 동시에 형성되므로, 상기 융기부(115)로 유입되는 보일러 호스(H)를 다양한 방향으로 만곡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115)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115)의 외측방에 형성된 간격틈(L)에 연결되도록 원형홈(E)이 형성된다. 따라서, 간격틈(L)을 따라 상기 원형홈(E)으로 유입된 보일러 호스(H)가 상기 원형홈(E)을 따라 180도 회전한 후 다른 간격틈(L)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서 도 3 및 도 4에서처럼,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이 형성된 융기부(115)와,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이 형성된 융기부(115) 중 4개가 선택되어 사각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상기 융기부(115)의 중앙에, 제1만곡홈(A), 제2만곡홈(B), 제3만곡홈(C), 제4만곡홈(D)이 동시에 형성된, 융기부(115)가 배치된다.
또한, 사각 모양으로 배치된 융기부(115) 사이에 상기 원형홈(E)이 형성된 융기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이 규칙적으로 배치되므로 보일러 호스(H)의 다양한 배선이 가능하게 된다.
일례로서, 도 4에서처럼, 중앙부에 원형홈(E)이 형성된 융기부(115)가 배치되고 상기 융기부(115)의 주위에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이 형성된 융기부(115) 2개와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이 형성된 융기부(115) 2개가 사각 모양으로 배치된다. 이것을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제1세트(W)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1세트(W) 둘레에 4개의 제2세트(X)가 사각 모양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세트(X)는 중앙에 제1만곡홈(A), 제2만곡홈(B), 제3만곡홈(C), 제4만곡홈(D)이 동시에 형성된 융기부(115)가 배치되고, 상기 융기부(115)의 둘레에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이 형성된 융기부(115) 2개와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이 형성된 융기부(115) 2개가 사각 모양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115) 사이에 원형홈(E)이 형성된 융기부(115) 1개가 배치된 것이다.
또는, 도 8에서처럼 상기 구성에 의한 제제1세트(W) 및 제제2세트(X)에서,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이 형성된 2개의 융기부(115)와,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이 형성된 2개의 융기부(115) 사이에 원형홈(E)이 형성된 융기부(115) 4개가 사각 모양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9에서처럼 보일러 호스(H)를 보다 자유롭게 만곡시키면서 배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1)의 이면에 시트(130)가 부착되므로 바디(111)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130)는 일례로서 골판지나 마분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0)는, 상기 바디(111)의 표면, 융기부(115), 간격틈(L), 제1만곡홈(A), 제2만곡홈(B), 제3만곡홈(C), 제4만곡홈(D), 원형홈(E)에 코팅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120)의 표면에도 상기 바디(111)의 형상이 그대로 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20)는 테두리에서 상기 바디(111)의 이면(114)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111)의 측면(118)을 커버하는 플랜지(12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에서 침투하는 화염으로부터 바디(111)의 연소가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120)에 형성된 제1만곡홈(A), 제2만곡홈(B), 제3만곡홈(C), 제4만곡홈(D), 원형홈(E)의 폭과 간격틈(L)의 폭은 보일러 호스(H)가 삽입되었을 때 이탈이 방지되도록 압박할 수 있는 폭으로 조정된다.
상기 커버(120)는 난연성의 합성수지로서, 일례로 ABS 수지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BS 수지는 황토와 난연제가 혼합되어 성형된 것을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ABS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il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스틸렌(Styrene)이 결합된 합성수지로서 내충격성과 내열성 및 내약품성 그리고 성형성이 우수한 재료이다. 상기 ABS 수지에 황토가 혼합됨으로써 상기 보일러 호스(H)가 가열될 때 원적외선이 조사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황토가 혼합되는 대신에 커버(120)의 상면에 황토 도료(도시하지 않음)가 도포됨으로써 동일하게 원적외선의 방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난연제는 일례로서 삼산화안티몬, 수산화화합물, 중비금속화합물, 탄산칼슘, 및 할로겐 화합물 중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황토는 ABS 수지 중량의 0.5%∼5%의 중량으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난연제는 ABS 수지 중량의 10∼15% 중량으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열재(110)는 단열기능을 하면서 층간소음을 방지하고 완충 기능을 갖도록 우레탄으로 구성하는데 난연제가 혼합된 것으로 구성한다. 상기 난연제는 일례로서 삼산화안티몬, 수산화화합물, 중비금속화합물, 탄산칼슘, 및 할로겐 화합물 중 선택된 것일 수 있고, 우레탄 중량의 10∼15% 중량으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에 보일러 호스가 배선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을 사용하여 실내 바닥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100)의 시공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100) 다수 매를 슬래브(R)의 표면에 배치한 후에 도 6에서처럼, 보일러 호스(H) 한 라인을 직선형의 간격틈(L)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임의의 상기 제1만곡홈(A), 제2만곡홈(B), 제3만곡홈(C), 제4만곡홈(D)을 통해서 만곡되므로 90도 방향 전환되어 배선 가능하다. 또한, 임의의 상기 원형홈(E)을 통해서 180도 방향 전환되어 배선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보일러 호스(H)의 배선 시 만곡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보일러 호스(H) 한 라인을 도 6에서처럼 다양한 모양으로 배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배선 작업을 하기 위해서 밟고 이동하더라도 상기 커버(120) 때문에 바디(111)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상기 커버(120)는 본 발명의 수송 내지는 보관 시에도 바디(111)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커버(120)의 반대측에 부착되는 시트(130)는 바디(111)의 이면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품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식으로 다수 가닥의 보일러 호스(H)를 상기 배선된 보일러 호스(H)와 나란하게 배선시킬 수 있다. 이렇게 다수 가닥의 보일러 호스(H)를 입구와 출구가 상이하도록 개별적으로 배선시키는 병렬식을 채택하므로 조밀하게 배선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열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8에서처럼, 본 발명의 커버(120)의 상부에 황토 또는 시멘트로 이루어진 모르타르(T)를 덮는다. 다른 예로서, 보일러 호스(H)의 배선이 완성된 후에 아연판 내지는 구리판인 금속판(도시하지 않음)을 상기 커버(120)에 표면에 덮는다. 그리고 장판(S)을 덮으므로 바닥 시공이 완공된다.
이때, 상기 커버(120)는 황토가 혼합된 것이므로 보일러 호스(H)가 발열할 때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건강 증진에 도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20)는 난연재가 포함되고 내열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화재 시 연소하므로 유독가스를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1)도 난연제를 포함하므로 기존의 우레탄에 비해서 불에 타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르타르 대신에 금속판이 시공되는 경우에는 화재 시 금속판 사이 및 벽면과 금속판 사이의 틈으로 화염이 침투하더라도 상기 커버(120)가 바디(111)를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바디(111)가 연소되어 유독가스를 발생하므로 인명을 해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120)는 둘레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25)가 형성되기 때문에 바디(111)의 측면(118)까지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시 화염이 바디(111)로 침투하는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0: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110: 단열재
111: 바디 113: 테두리 114: 이면 115: 융기부
P: 하단 우측 꼭지점 Q: 하단 좌측 꼭지점
R: 상단 우측 꼭지점 S: 상단 좌측 꼭지점
A: 제1만곡홈 B: 제2만곡홈
C: 제3만곡홈 D: 제4만곡홈
L: 간격틈 120: 커버
125: 플랜지 130: 시트
W: 제제1세트 X: 제제2세트

Claims (9)

  1. 보일러 호스(H)가 설치 가능하도록 형성된 판상의 단열재(110)와,
    상기 단열재(11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인 커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110)는,
    판상의 바디(111)와,
    상기 바디(111)의 표면에 사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고 보일러 호스(H)가 끼워지도록 상호 간격틈(L)이 조정된 다수의 융기부(115)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바디(111)의 표면 및 융기부(115)와 간격틈(L)에 코팅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115) 하단의 우측 꼭지점(P)에서 상단의 좌측 꼭지점(S)까지 형성되고 상단의 우측 꼭지점(R)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1만곡홈(A)과,
    상기 제1만곡홈(A)이 형성된 상기 융기부(115) 하단의 우측 꼭지점(P)에서 상단의 좌측 꼭지점(S)까지 형성되고 하단의 좌측 꼭지점(Q)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2만곡홈(B)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은 상기 간격틈(L)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제1만곡홈(9)과 제2만곡홈(B)에 코팅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3. 제2항에서,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융기부(115)의 하단의 좌측 꼭지점(Q)에서 상단의 우측 꼭지점(R)까지 형성되고 상단의 좌측 꼭지점(S)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3만곡홈(C)과,
    상기 제3만곡홈(C)이 형성된 상기 융기부(115)의 하단의 좌측 꼭지점(Q)에서 상단의 우측 꼭지점(R)까지 형성되고 하단의 우측 꼭지점(P)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4만곡홈(D)을 포함하고,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은 상기 간격틈(L)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에 코팅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이 형성된 상기 융기부(115)의 하단의 좌측 꼭지점(Q)에서 상단의 우측 꼭지점(R)까지 형성되고 상단의 좌측 꼭지점(S)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3만곡홈(C)과,
    상기 제1만곡홈(A) 및 제2만곡홈(B)과 제3만곡홈(C)이 함께 형성된 상기 융기부(115)의 하단의 좌측 꼭지점(Q)에서 상단의 우측 꼭지점(R)까지 형성되고 하단의 우측 꼭지점(P)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제4만곡홈(D)을 포함하고,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은 상기 간격틈(L)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에 코팅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5. 제1항에서 제4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115)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115)의 외측방에 형성된 간격틈(L)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원형홈(E)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120)는 상기 원형홈(E)에 코팅된 것처럼 부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만곡홈(A)과 제2만곡홈(B)이 형성된 융기부(115)와, 상기 제3만곡홈(C)과 제4만곡홈(D)이 형성된 융기부(115) 중 4개가 선택되어 사각 모양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7.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1)의 이면(114)에 부착된 시트(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는 황토를 포함한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는 테두리에서 상기 바디(111)의 이면(114)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111)의 측면(118)을 커버하는 플랜지(125)와,
    상기 커버(120)의 표면에 도포된 황토 도료(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KR1020160144801A 2016-11-01 2016-11-01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KR101925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01A KR101925686B1 (ko) 2016-11-01 2016-11-01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01A KR101925686B1 (ko) 2016-11-01 2016-11-01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921A true KR20180047921A (ko) 2018-05-10
KR101925686B1 KR101925686B1 (ko) 2018-12-05

Family

ID=6218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801A KR101925686B1 (ko) 2016-11-01 2016-11-01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069B1 (ko) 2018-07-04 2019-12-04 나경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난방용 온수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난방용 온수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723A (ko) 2021-01-07 2022-07-14 김희태 온수 난방패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807Y1 (ko) * 2002-05-22 2002-08-07 이용일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KR200415190Y1 (ko) * 2006-02-06 2006-05-02 박성걸 온돌 난방용 조립식패널
KR101165444B1 (ko) * 2009-12-23 2012-07-1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배관 작업이 용이한 온돌 바닥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069B1 (ko) 2018-07-04 2019-12-04 나경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난방용 온수패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난방용 온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686B1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14631B (en) Sound insulation floor system
KR101925686B1 (ko)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US20150096249A1 (en) Subfloor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491619B1 (ko) 열효율 및 시공성이 향상된 건식 난방 패널 구조
KR101924696B1 (ko) 온수난방용 직렬식 바닥패널
TWI737950B (zh) 屋頂調溫的空心磚
KR20210019357A (ko) 난방용 바닥재
KR20200119557A (ko) 건축물 외벽용 마감재
KR200428518Y1 (ko) 바닥시공재
KR101501170B1 (ko) 건식 온돌 패널 및 건식 온돌 패널이 구성된 바닥 구조
US11624185B2 (en) Penetration part fireproof coating material
KR101918055B1 (ko)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의 제조방법
KR101351439B1 (ko) 조립식 벽체블록
KR101444639B1 (ko) 조립식 난방용 패널
KR100467655B1 (ko) 바닥충격음 바닥구조 시공방법 및 바닥충격음 차단판
KR101190668B1 (ko)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KR102449435B1 (ko)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겸비한 간편 조립형 단열재 구조체
KR101256606B1 (ko) 구조물의 벽체 패널 시스템
KR101943918B1 (ko) 건축용 바닥재
KR200382074Y1 (ko) 난방설치용 바닥판
JP6093536B2 (ja) 建物
JP2014147273A (ja) 電線の保護チューブ
KR101514973B1 (ko)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KR101504713B1 (ko) 온수 난방관 설치용 패널 시트
JP2017227111A (ja)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ためのスリ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