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807Y1 -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 Google Patents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807Y1
KR200284807Y1 KR2020020015682U KR20020015682U KR200284807Y1 KR 200284807 Y1 KR200284807 Y1 KR 200284807Y1 KR 2020020015682 U KR2020020015682 U KR 2020020015682U KR 20020015682 U KR20020015682 U KR 20020015682U KR 200284807 Y1 KR200284807 Y1 KR 200284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heating pipe
concrete slab
piping
slab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일
Original Assignee
이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일 filed Critical 이용일
Priority to KR2020020015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807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부에 일정 두께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실내의 보온을 유지토록 하는 단열재의 하부판재(20)와, 상기 하부판재(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난방관(1)이 배치되는 간격을 감안하여 난방관(1)을 배관할 수 있는 난방관 배관용 수단(31)이 구비되고, 일정강성을 가지는 상부판재(30)와, 상기 상부판재(30)가 콘크리트 슬라브층(10)의 상부로 종횡 연결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수단(4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30)의 저면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지지바(32)를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하부판재(20)에는 상기 지지바(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 지지바(32)가 끼워 결합되는 결합구멍(21)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층(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100)는 이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100) 상부에 타설되는 마감몰탈(2)과 마감처리하는 마감재(3)의 무게에 의한 하중, 그리고 거주에 필요한 각종 시설물이 바닥면에 놓여져 발생되는 하중등을 상부판재(30)에 다수로 구비되는 지지바(32)가 콘크리트 슬라브층(10)에 지지되어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판재(30)와 하부판재(20)가 상기한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하므로 하중이 하부판재(20)에 집중되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온돌바닥면에 가해지는 각종 하중에 의해 단열보드(100)와난방관(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고, 시공된 온돌바닥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Adiabatic Board for Arrangement of Heating Pipe}
본 고안은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판부재의 저면에 소정길로 돌출된 지지바를 형성하여 이 지지바에 의해 단열보드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단열보드의 파손을 방지하고 그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축물들의 콘크리트 슬라브 층에는 일정 두께로 된 경량 기포콘크리트의 상부로 온수순환을 위해 난방파이프를 배관시키고, 마감몰탈을 시공한 후 건조기간을 거쳐 그 상부면에는 장판지등으로 마감하는 것에 의해 바닥면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온돌 바닥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파이프 구조로 그 내부로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가 순환되어 난방되는 난방관은 그 절곡상태 및 배치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난방관 고정구등을 기포콘크리트 상부면에 설치하기도 한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온돌 바닥면 시공을 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난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가 사용된다.
그리고, 종래의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일정 두께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실내의 보온을 유지토록 하는 단열재의 하부판재(20)와;
상기 하부판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난방관이 배치되는 간격을 감안하여 난방관을 안착시켜 배관할 수 있는 난방관 배관용 홈(31a)이 형성되고, 일정강성을 가지는 상부판재(30)와;
상기 상부판재(30)가 콘크리트 슬라브층의 상부로 종횡 연결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수단(4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는 상부판재가 하부판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하중이 발생할 경우 하부판재가 그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가지므로, 일정강성을 가지는 상부판재가 그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하부판재가 온돌 바닥면에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므로 이 하부판재도 쉽게 파손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판재가 하중에 의해 파손됨에 의해 배관된 난방관으로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 난방관이 파손되는 위험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가 지지하는 하중이 한정되어 일정하중이상일 경우 쉽게 파손되어 배관된 난방관의 위치를 정확히 고정시키지 못하여 그 난방효율을 저하시키고, 그 유지보수에 비용이 발생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판재의 저면에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지지바를 다수개 구비하여, 하중이 발생할 경우 이 지지바가 콘크리트 슬라브층에 지지되어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그 하중을 분산시켜 흡수하도록 하여, 단열보드의 파손을 방지하고 그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이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상부판재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난방관 2 - 마감몰탈
3 - 마감재 10 - 콘크리트 슬라브층
20 - 하부판재 21 - 결합구멍
22 - 차음홈 30 - 상부판재
31 - 난방관 배관용 수단 32 - 지지바
33 - 리브 40 - 연결수단
41 - 조립홈 42 - 조립돌기
50 - 차음부 51 - 차음날개
52 - 수용홈 100 - 단열보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의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부에 일정 두께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실내의 보온을 유지토록 하는 단열재의 하부판재(20)와;
상기 하부판재(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난방관(1)이 배치되는 간격을 감안하여 난방관(1)을 배관할 수 있는 난방관 배관용 수단(31)이 구비되고, 일정강성을 가지는 상부판재(30)와;
상기 상부판재(30)가 콘크리트 슬라브층(10)의 상부로 종횡 연결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수단(4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30)의 저면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지지바(32)를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하부판재(20)에는 상기 지지바(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 지지바(32)가 끼워 결합되는 결합구멍(21)을 형성하므로서 달성된다.
즉, 상기 상부판재(30)가 하부판재(20)에 결합될 경우 상부판재(30)의 저면에 구비된 다수의 지지바(32)가 하부판재(20)의 결합구멍(2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부에 상, 하부판재(30)(20)가 결합된 단열보드(100)가 설치되어 하중이 발생할 경우 상부판재(30)의 저면에 구비된 다수의 지지바(32)가 콘크리트 슬라브층(10)에 맞닿아 하중을 분산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상부판재의 저면에 다수의 지지바가 돌출된 지지바가 하부판재의 결합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결합된 단열보드가 콘크리트 슬라브층상부에 설치되어 마감몰탈를 타설하고, 그 상부에 장식효과가 있는 마감부재로 마감처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이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본 고안인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가 종횡 연결되어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상부판재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로서, 상부판재의 저면에 차음날개와 다수의 지지바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단열보드(100)는 도 2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로 된 하부판재(20)의 상부로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된 상부판재(30)가 한조로 결합되어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재(20)는 주거용 건물의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부에 일정 두께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실내의 보온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열재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주거용 건물들의 외부의 냉, 온기가 실내로 불필요하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특히 동절기에 난방관(1)에 의해 거열된 실내의 온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주로 단열효과와 성형성, 그리고 경량성등을 감안하여 합성수지계열중에 스치로폼재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고, 주거용 건물의 바닥면과 동일 넓이로 평편하게 펼쳐지게 하여 전체적으로 단열효과를 갖도록 한다.
또, 상기 하부판재(20)는 스치로폼재 이외에도 상기한 주거용 건물의 바닥면상에 평편하게 펼쳐지는 것에 의해 실내의 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무관하다.
한편, 상기 하부판재(20)에는 후술될 상부판재(30)의 저면에 다수개 구비되는 지지바(32)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21)이 지지바(3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재(20)의 상부에는 한 조로 단열보드(100)를 이루기 위한 상부판재(30)가 결합된다.
이 상부판재(30)는 상부에 상부에는 난방관(1)이 배치되는 간격을 감안하여 난방관(1)을 배관할 수 있는 난방관 배관용 수단(31)으로 배관용 홈(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재(20)와 동일한 크기로 덮어지게 하여 상호 결합된 상태로하나의 단열보드(10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재(30)의 배관용 홈(31a)을 이루도록 원형으로 돌출된 철(凸)부 사이의 각 중앙부에는 배관용 홈(31a)에 안치되는 난방관(1)의 양측면부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31b)가 난방관(1)을 사방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상부판재(30)의 외주면에는 이 상부판재(30)를 종횡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수단(40)으로 도브테일 형상의 조립홈(41)과 조립돌기(42)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시키거나 파여지게 한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판재(30)의 각 외주면 중에 일측변에는 조립돌기(42)만을 그리고 타측변에는 조립홈(41)만을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4개의 변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로 종횡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 차음날개(51)가 형성되고, 하부판재(20)에는 이 차음날개(51)가 결합되는 수용홈(52)을 형성하여 차음부(50)를 구성하여, 이 차음날개(51)들에 의해 단열보드(100)로 전달된 소음을 하부판재(20)와 상부판재(30) 사이의 공간을 타고 수평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판재(30)의 저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지지바(32)가 다수개 구비되어, 이 상부판재(30)가 하부판재(20)에 결합되어 한 조의 단열보드(100)를 이룰 경우 하부판재(20)에 형성된 결합구멍(21)에 끼워져 결합된다.
즉,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부에 설치되는 단열보드(100)에 하중이 발생할 경우 이 상부판재(30)의 저면에 다수개 구비된 지지바(32)가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부에 지지되어 그 하중을 분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바(32)는 외측면에 다수의 리브(33)를 형성하여 보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판재(30)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바(32)는 단열보드(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므로, 외측면에 리브(33)를 형성하여 보강하므로서,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 돌출된 지지바(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2)는 그 길이를 상부판재(30)가 하부판재(20)에 결합되었을 경우 이 하부판재(20)의 저면에 일치하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짧게 형성한다.
즉, 상기 지지바(32)가 하부판재(20)의 저면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단열보드(100)에 하중이 발생할 경우 일정하중을 하부판재(20)가 압축되면서 흡수하고, 그 이상의 하중이 발생할 경우 지지바(32)에 의해 그 하중이 분산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열보드(100)에 가해지는 하중이 하부판재(20)와 상부판재(30)로 분산되어 지지되므로, 내구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판재(20)는 결합구멍(21)이 뚫린 위치의 저면부분에 차음홈(22)을 형성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단열보드(100)에 일정하중 이상이 가해지면상부판재(30)의 하부에 돌출된 지지바(32)가 맞닿게 되면서 소음을 발생하고, 이 소음은 차음홈(22)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흡음되어 소음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열보드(100)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상부로 마감몰탈(2)을 타설하고 양생하여 장판지 등과 같은 마감재(3)에 의해 마감되어 온돌바닥면이 시공되며 이는 공지된 사실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라브층의 상부에 설치되는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는 이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상부에 타설되는 마감몰탈과 마감처리하는 마감재의 무게에 의한 하중, 그리고 거주에 필요한 각종 시설물이 바닥면에 놓여져 발생되는 하중등을 상부판재에 다수로 구비되는 지지바가 콘크리트 슬라브층에 지지되어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판재와 하부판재가 상기한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하므로 하중이 하부판재에 집중되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온돌바닥면에 가해지는 각종 하중에 의해 단열보드와 난방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고, 시공된 온돌바닥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건물의 바닥면을 이루는 콘크리트 슬라브층(10) 상부에 일정 두께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실내의 보온을 유지토록 하는 단열재의 하부판재(20)와;
    상기 하부판재(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난방관(1)이 배치되는 간격을 감안하여 난방관(1)을 배관할 수 있는 난방관 배관용 수단(31)이 구비되고, 일정강성을 가지는 상부판재(30)와;
    상기 상부판재(30)가 콘크리트 슬라브층(10)의 상부로 종횡 연결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연결수단(4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재(30)의 저면에는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지지바(32)를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하부판재(20)에는 상기 지지바(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 지지바(32)가 끼워 결합되는 결합구멍(2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32)는 외측면에 다수의 리브(33)를 형성하여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재(20)는 결합구멍(21)이 뚫린 위치의 저면부분에 차음홈(2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KR2020020015682U 2002-05-22 2002-05-22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KR200284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82U KR200284807Y1 (ko) 2002-05-22 2002-05-22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682U KR200284807Y1 (ko) 2002-05-22 2002-05-22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807Y1 true KR200284807Y1 (ko) 2002-08-07

Family

ID=7312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682U KR200284807Y1 (ko) 2002-05-22 2002-05-22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8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690B1 (ko) * 2010-12-28 2013-01-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골판형 마그네슘 바닥온돌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4696B1 (ko) * 2016-11-01 2018-12-03 김희태 온수난방용 직렬식 바닥패널
KR101925686B1 (ko) * 2016-11-01 2018-12-05 김희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690B1 (ko) * 2010-12-28 2013-01-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골판형 마그네슘 바닥온돌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4696B1 (ko) * 2016-11-01 2018-12-03 김희태 온수난방용 직렬식 바닥패널
KR101925686B1 (ko) * 2016-11-01 2018-12-05 김희태 온수난방용 병렬식 바닥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236B1 (ko) 건축물의 온돌시스템
KR100627011B1 (ko) 방음효과가 향상된 조립식 지지블록과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284807Y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KR100571671B1 (ko) 온돌패널용 방열보드
KR20040036051A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KR20200048175A (ko)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돌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WO2005068914A1 (en) Heat panel assembly for heating
KR101654126B1 (ko)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재 시공 방법
KR101448010B1 (ko) 바닥 시공재
KR101177696B1 (ko) 무배관 온돌구조를 가진 층간 차음패널 및 그 조립체
KR100623965B1 (ko) 지붕 조립용 샌드위치 판넬
KR200300616Y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HU215516B (hu) Falelem falszerkezetek építéséhez, valamint ilyen falelemekből épített falelemrendszer
KR100301524B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_
KR20210128821A (ko) 시스템 건식 난방장치
KR200325139Y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KR200165359Y1 (ko) 온돌바닥용 판넬
KR200344797Y1 (ko) 난방관 배관용 판넬
KR100835233B1 (ko) 바닥 시스템
KR20160063667A (ko) 장수명 주택에 적합한 이중 바닥 구조의 건식 온돌 시스템
KR200358157Y1 (ko) 온수보일러용 바닥재
KR200354815Y1 (ko) 조립식 온돌용 바닥판
KR101298366B1 (ko) 바닥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온돌 파이프 일체형 슬래브 모듈 및 온돌 파이프 일체형 바닥 시스템
KR20060092419A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