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668B1 -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 Google Patents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668B1
KR101190668B1 KR1020090130180A KR20090130180A KR101190668B1 KR 101190668 B1 KR101190668 B1 KR 101190668B1 KR 1020090130180 A KR1020090130180 A KR 1020090130180A KR 20090130180 A KR20090130180 A KR 20090130180A KR 101190668 B1 KR101190668 B1 KR 10119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crete
concrete panel
protrusions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032A (ko
Inventor
유영동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6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의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다양한 구조로 난방 배관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은 경량 철골의 하부 프레임에 거치되며, 상부면에 복수의 홈이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 상기 콘크리트 패널에 프리스트레스가 부여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강연선; 및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홈 및 돌출부에 맞물리는 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길이 방향의 단부가 장착구에 의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콘크리트 패널의 하부에는 단열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바닥의 시공과 더불어 난방 배관의 시공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종래에 알려진 난방 배관 형태의 적용에 제약 없이 시공의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의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온돌 바닥에 국부적인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배관, 패널, 방열판, 단열재, 고정클립

Description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HEATING FLOOR PANEL CAPABLE OF EASILY PIPING WORK}
본 발명은 다양한 구조로 난방 배관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돌 바닥패널은 난방 배관을 위해 금속 메쉬를 깔고 메쉬에 난방 배관을 체결하여 배관 작업을 하고 있다.
이 경우, 금속 메쉬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 또는 자재 등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게 되어 배관의 높이가 틀어지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 철사 등으로 배관을 메쉬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배관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난방을 위한 배관의 배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건식 구조의 온돌 바닥패널의 경우 홈이 형성된 패널을 깔고 배관을 홈에 삽입한 후 다시 바닥판 또는 바닥 몰탈을 시공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바닥패널에 배관을 배치하는 작업에 한계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난방 배관의 배치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달팽이관과 같이 감겨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등 바닥의 구조 또는 난방의 효율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쉬를 깔고 배관을 하는 경우 이와 같이 다양한 배관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나, 건식 구조의 패널은 단순히 지그재그 형태로 배관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닥의 조건 또는 난방 등의 효율 등을 감안하여 배관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더욱이 종래의 온돌 바닥패널은 시멘트 몰탈 또는 건식 자재의 재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열전도율이 배관이 지나는 자리에 국부적으로 높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바닥 전체의 열전도율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배관이 지나는 자리와 배관이 지나지 않는 자리의 온도차이가 크게 되어, 바닥 하부 방향 등으로 손실되는 열로 인해 난방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온돌 바닥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바닥의 시공과 더불어 난방 배관의 시공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종래에 알려진 난방 배관의 구조가 제약없이 적용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의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온돌 바닥에 국부적인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경량 철골의 하부 프레임에 거치되는 건식 구조의 바닥패널 자체의 하중에 의한 처짐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에 알려진 난방 배관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배관의 시공이 보다 용이하게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은 경량 철골의 하부 프레임에 거치되며, 상부면에 복수의 홈이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 상기 콘크리트 패널에 프리스트레스가 부여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강연선; 및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홈 및 돌출부에 맞물리는 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길이 방향의 단부가 장착구에 의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콘크리트 패널의 하부에는 단열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패널 및 방열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중앙부에 원형의 돌출부가 배치되고, 둘레를 따라 반원형의 돌출부가 배치되며, 코너부에는 1/4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패널은 양 측면에 각각 끼움홈과 끼움돌기가 구비되어 다른 콘크리트 패널과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홈과 끼움돌기는 결합되는 콘크리트 패널이 서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은 경량 철골의 하부 프레임에 거치되며, 상부면에 복수의 홈이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홈 및 돌출부에 맞물리는 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길이 방향의 단부가 장착구에 의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콘크리트 패널의 하부에는 단열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의 시공과 더불어 난방 배관의 시공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알려진 난방 배관 형태의 적용에 제약이 없으며, 시공의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의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온돌 바닥에 국부적인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 철골의 하부 프레임에 거치되는 건식 구조의 바닥패널 자체의 하중에 의한 처짐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종래에 알려진 난방 배관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바닥의 시공과 더불어 배관의 시공이 보다 용이하게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100)은 경량 철골조 등과 같은 조립식 건축물의 난방을 위한 바닥 구조체로 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돌 바닥패널(100)은 하부에 바닥 구조체를 이루게 되는 콘크리트 패널(110)과 상기 콘크리트 패널(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방열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크리트 패널(110)은 건축물의 바닥 구조체를 구성하게 되면서 방열판(120)의 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 예로, 상기 콘크리트 패널(110)은 상부면에는 복수의 돌출부(112)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홈(111)이 가로와 세로로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돌출부(112)는 원형의 돌출부(112a)가 중앙부에 가로와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테두리 영역에는 반원형의 돌출부(112b)가 배치되며, 코너부에는 1/4 원형의 돌출부(112c)가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110)의 길이 방향의 양 측면에는 다른 콘크리트 패널(110)과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끼움돌기(113)와 끼움홈(114)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어느 일 콘크리트 패널(110)의 끼움돌기(113)가 다른 일 콘크리느 패널(110)의 끼움홈(114)에 맞물리게 되어 두 콘크리트 패널(110)이 서로 맞물리어 바닥 구조체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패널(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방열판(120)은 상기 콘크 리트 패널(11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12a,112b,112c)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22a,122b,122c)가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110)의 상부에 형성된 홈(111)과 맞물리는 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열판(120)의 돌출부(122)는 콘크리트 패널(1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돌출부(122a)가 중앙부에 가로와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테두리 영역에는 반원형의 돌출부(122b)가 배치되며, 코너부에는 1/4 원형의 돌출부(122c)가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판(120)은 열전달 효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판(120)은 마그네슘 판재 등으로 이루어져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방열판(120)에 배관이 이루어진 난방배관(1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방열판(120) 전체 영역으로 전달하여 상부로 최대한 균일한 온도로 전달시키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방열판(120)은 콘크리트 패널(110)과 일치하는 규격 또는 콘크리트 패널(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판(120)이 배치될 수 있는 규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콘크리트 패널(110)은 단위 유닛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경량철골(20)의 하부 프레임(21)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콘크리트 패널(1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강연선(115)이 더 구비되어 프리스트레스가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콘크리트 패널(110)이 하부 프레임(21)에 거치되는 경우 자중에 의한 중앙부에 발생하는 벤딩 모멘트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110)은 장착구(130)에 의해 길이 방향의 양 단부가 하부 프레임(21)에 걸쳐지게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장착구(130)가 하부 프레임(21)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구(130)의 연장된 일 단부에 상기 콘크리트 패널(110)의 단부가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구(130)는 하부 프레임(21) 자체에 콘크리트 패널(110)의 단부가 거치될 수 있는 턱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110)은 방열판(120) 상부에 배관이 이루어지는 난방배관(1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위치에 단열부재(140)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패널(110)의 상부에 방열판(120)이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 난방배관(10)은 다양한 방식의 구조로 배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난방배관(10)은 전체 난방 영역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관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 난방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난방배관(10)이 달팽이관 구조와 같이 배관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난방배관(10)이 전체 난방 영역의 어느 둘 이상의 영역으로부터 독립된 달팽이관 구조로 배관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열판(120)의 돌출부(122) 사이의 홈(121)을 따라 배관이 이루어지는 난방배관(10)은 고정클립(미도시)에 의해 방열판(120)에 배관된 상태가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클립은 각 방열판(120)은 일정 간격의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콘크리트 패널(110)에는 고정클립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고정클립에 의해 난방배관(10)이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열판(120)의 홈(121)에 상기 고정클립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미도시)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난방배관(10)을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난방배관(10)은 별도의 와이어 메쉬 등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배관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난방이 요구되는 바닥의 전체 영역에 최대한 방열판(12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난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은 상기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을 위하여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이 경량 철골의 하부 프레임에 장착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작업이 용이한 온돌 바닥패널에 배관이 이루어진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작업이 용이한 온돌 바닥패널에 배관이 이루어진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작업이 용이한 온돌 바닥패널에 배관이 이루어진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온돌 바닥패널 110 ... 콘크리트 패널
111,121 ... 홈
112a,112b,112c,122a,122b,122c ... 돌출부
113 ... 끼움돌기 114 ... 끼움홈
115 ... 강연선 120 ... 방열판
130 ... 장착구 140 ... 단열부재

Claims (5)

  1. 경량 철골의 하부 프레임에 거치되며, 상부면에 복수의 홈이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
    상기 콘크리트 패널에 프리스트레스가 부여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강연선; 및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홈 및 돌출부에 맞물리는 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길이 방향의 단부가 장착구에 의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콘크리트 패널의 하부에는 단열부재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 및 방열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중앙부에 원형의 돌출부가 배치되고, 둘레를 따라 반원형의 돌출부가 배치되며, 코너부에는 1/4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양 측면에 각각 끼움홈과 끼움돌기가 구비되어 다른 콘크리트 패널과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과 끼움돌기는 결합되는 콘크리트 패널이 서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5. 경량 철골의 하부 프레임에 거치되며, 상부면에 복수의 홈이 교차되는 구조로 형성되도록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콘크리트 패널; 및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 패널의 홈 및 돌출부에 맞물리는 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패널은 길이 방향의 단부가 장착구에 의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콘크리트 패널의 하부에는 단열부재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KR1020090130180A 2009-12-23 2009-12-23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KR10119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180A KR101190668B1 (ko) 2009-12-23 2009-12-23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180A KR101190668B1 (ko) 2009-12-23 2009-12-23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032A KR20110073032A (ko) 2011-06-29
KR101190668B1 true KR101190668B1 (ko) 2012-10-15

Family

ID=4440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180A KR101190668B1 (ko) 2009-12-23 2009-12-23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66B1 (ko) * 2011-10-04 2013-08-20 주식회사 엘지 바닥 슬래브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온돌 파이프 일체형 슬래브 모듈 및 온돌 파이프 일체형 바닥 시스템
KR101348009B1 (ko) * 2013-06-17 2014-02-13 장현오 층간소음을 차단하는 황토 바닥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21B1 (ko) * 2005-11-14 2006-12-14 주식회사 한국티알 조립식 난방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21B1 (ko) * 2005-11-14 2006-12-14 주식회사 한국티알 조립식 난방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032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609B1 (ko)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
KR100979012B1 (ko) 온수 온돌용 방열관 배관판넬
KR101165444B1 (ko) 배관 작업이 용이한 온돌 바닥패널
KR101190668B1 (ko) 배관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온돌 바닥패널
KR200440875Y1 (ko) 난방용 패널의 지주
KR100969244B1 (ko) 열교 차단용 구조 단열재
KR100691783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바닥패널
EP2420749B1 (en) Climate control for a building
KR20060122052A (ko) 방열패널과 접속패널로 구성된 온수 배관패널 조립구조
KR20200034557A (ko) 난방배관용 패널조립체
KR101820419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KR100571671B1 (ko) 온돌패널용 방열보드
KR20060118873A (ko) 바닥패널
KR101654126B1 (ko)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난방 바닥재 시공 방법
KR200387296Y1 (ko) 난방 배관용 바닥판
KR101322735B1 (ko) 공용주택 층간 소음 방지 재 및 그 시공방법
JP5411037B2 (ja) 鉄骨併用鉄筋コンクリート壁式構造建築物の断熱構造
KR200470304Y1 (ko)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KR101250357B1 (ko) 다층 건물의 층간소음 방지용 온돌형 마루
KR101158305B1 (ko) 대면적의 방열 구조를 갖는 온돌바닥
KR200351874Y1 (ko) 조립식 온수난방 시스템.
KR20120032638A (ko) 열교 차단용 단열재 구조
KR200384608Y1 (ko) 온수 방열판
KR102541568B1 (ko) 황토 구들 시스템
JP5922380B2 (ja) 建築物の床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