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256A -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256A
KR20180047256A KR1020160143163A KR20160143163A KR20180047256A KR 20180047256 A KR20180047256 A KR 20180047256A KR 1020160143163 A KR1020160143163 A KR 1020160143163A KR 20160143163 A KR20160143163 A KR 20160143163A KR 20180047256 A KR20180047256 A KR 20180047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formaldehyde
boiling point
tmp
ald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268B1 (ko
Inventor
이하나
이성규
엄성식
고동현
신준호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4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4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13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 C07C29/136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 C07C29/1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a —CHO group
    • C07C29/14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a —CHO group with hydrogen or hydrogen-contain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8Poly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22Trihydroxylic alcohols, e.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6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 C07C45/67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 C07C45/68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45/7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reaction of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with the same or other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 C07C45/75Reactions with formaldehy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7/00Compounds having —CHO groups
    • C07C47/02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hydrogen
    • C07C47/19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hydrogen containing hydroxy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기재는 트리메틸올 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촉매로서 아민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알돌 반응시켜 DMB(2,2-디메틸올부탄알)를 생성시키는 알돌 반응기; b) 상기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DMB 정제기; c) 상기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이 제거된 DMB를 수첨반응시켜 TMP(트리메틸올프로판)을 생성하는 수첨 반응기; 및 d) 상기 TMP를 정제하는 정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재에 따르면, 알돌반응 후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 내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을 제거하고, 제거된 수분 및 포름알데히드는 알돌 반응에 재사용함으로써 비용 절감 및 환경 오염이 방지되고, 기존 공정의 추출기 및 유기용매 정제공정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공정이 단순화되고 에너지 저소비 공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TRIMETHYLOLPROPANE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REOF}
본 기재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돌반응 후 생성된 DMB(2,2-디메틸올부탄알)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 내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을 제거하고, 제거된 포름알데히드를 알돌반응에 재사용함으로써 비용 절감 및 환경 오염이 방지되고, 기존 공정의 추출공정 및 유기용매 정제공정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공정이 단순화되고 전체 공정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MP(트리메틸올프로판)은 상온에서 백색 결정 물질이며, 알키드 수지, 포화 폴리에스테르, 합성 윤활유,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소제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원료 물질로서 널리 사용된다. 따라서 산업적으로 중요한 원료 물질인 트리메틸올프로판을 경제적인 방법으로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TMP의 공업적 제조는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출발 물질로서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먼저 염기-촉매 반응으로 중간체 2-메틸올부탄알을 거쳐 2,2-디메틸올부탄알이 형성되고, 최종 단계에서 칼슘 히드록시드의 존재 하에서 칼슘 포르메이트의 유리와 동시에 트리메틸올프로판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공정은 1 단계 공정으로서 수행되고, 이는 개별 반응 단계, 즉, 2,2-디메틸올부탄알의 형성 단계 및 그것의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의 전환단계를 개별적으로 최적화시킬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 형성 및 사용된 n-부티르알데히드를 기준으로 한 수율이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피하기 위해서, 제 1 단계에서 축합반응에 의해 2,2-디메틸올부탄알이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제조되고 이어서 제 2 단계에서 이것이 수소화되는 두 단계 공정이 개발되었다.
DE-A 25 07 461은 예를 들어 2,2-디메틸올부탄알이 1 개 이상의 분지된 알킬 라디칼을 함유하는 촉매량의 tert-트리알킬아민의 존재 하에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얻어지고 이어서 수소화되는 두 단계 공정을 설명한다. 사용된 n-부티르알데히드를 기준으로 약 75%의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수율을 얻을 수 있지만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다.
DE-A 196 53 093에 따르면, 제 1 단계에서, 2,2-디메틸올부탄알의 제조가 3개의 스테이지에서 촉매량의 tert-아민의 존재 하에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반응에 의해 수행되고, 반응하지 않은 출발 물질 및 형성된 부산물을 재순환시켜 추가로 반응시키면, 사용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기준으로 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수율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제 2 단계에서 이 방식으로 얻은 축합 생성물(2,2-디메틸올부탄알)을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 수소화시킨다.
EP-A 860 419도 또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로부터 2,2-디메틸올부탄알의 제조, 즉, 트리메틸올프로판 제조의 제 1단계를 1 스테이지에서는 실제 반응이 일어나고, 제 2 스테이지에서는 부산물로 형성된 2-에틸아크롤레인이 추가 포름알데히드와 반응하는 복수의 스테이지로 수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2,2-디메틸올부탄알을 제 2 단계에서 수소화시켜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얻을 수 있다.
트리메틸올프로판을 두 단계, 즉 2,2-디메틸올부탄알의 제조단계 및 이어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단계로 제조하는 상기 공정은 두 단계가 개별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고, 따라서 우수한 수율을 얻을 수 있지만 상기 공정들 중에 물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인해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어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공정은 알돌 반응으로 생성된 DMB를 용매로 추출한 뒤 농축시켜 수소첨가 반응(이하, '수첨반응'이라 함)을 통해 트리메틸올프로판(TMP)을 얻은 다음, 이를 증류하여 정제한다. 따라서 물 제거에 에너지 소비가 크고 추출제로 많은 양의 용매가 필요하며 출발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분리/회수 장치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고, 그러면서도 생성물인 DMB의 손실이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기재는 알돌반응 후 생성된 DMB(2,2-디메틸올부탄알)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 내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 제거하고, 제거된 포름알데히드를 알돌반응에 재사용함으로써 비용 절감 및 환경 오염이 방지되고, 기존 공정의 추출 공정 및 유기용매 정제공정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공정이 단순화되고 에너지 저소비 공정을 제공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재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기재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재는 a) 촉매로서 아민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알돌반응시켜 DMB를 생성시키는 알돌 반응기; b) 상기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DMB 정제기; c) 상기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이 제거된 DMB를 수첨반응시켜 TMP(트리메틸올프로판)를 생성하는 수첨 반응기; 및 d) 상기 TMP를 정제하는 정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1) 촉매로서 아민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알돌 반응시켜 DMB(2,2-디메틸올부탄알)를 생성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이 제거된 DMB를 수첨반응시켜 TMP(트리메틸올프로판)를 생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3) 단계에서 생성된 TMP로부터 저비점 불순물 및 고비점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기재에 따르면, 알돌반응 후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 내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을 선 제거함으로써 DMB의 추출효율이 극대화되면서 DMB 추출에 유기 용매가 필요치 않고 추가적인 포름알데히드의 분리 및 회수 공정이 필요치 않음으로써 공정이 단순화되고 전체 공정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의 알돌반응으로 DMB를 생성한 다음 이를 유기용매로 추출 및 농축 후 수첨반응을 통해 TMP로 제조하고, 증류탑에 의해 TMP를 정제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2는 본 기재에 따른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로의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을 DMB 정제기를 이용하여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한 후 이를 수첨반응으로 TMP로 제조하고, 이를 정제컬럼에 의해 TMP를 정제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장치도이다.
도 3은 종래의 TMP 제조공정을 간략히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기재에 따른 TMP의 제조공정을 간략히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하 본 기재의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기재의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는 a) 촉매로서 아민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알돌반응시켜 DMB(2,2-디메틸올부탄알)를 생성시키는 알돌 반응기; b) 상기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DMB 정제기; c) 상기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이 제거된 DMB를 수첨반응시켜 트리메틸올프로판(TMP)을 생성하는 수첨 반응기; 및 d) 상기 TMP를 정제하는 정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알돌 반응기에서 아민 화합물은 일례로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이 경우에 부산물의 형성이 억제되고 DMB 생성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알돌 반응기에서 아민 화합물은 일례로 n-부티르알데히드 1몰당 0.01 내지 0.5몰, 0.02 내지 0.1몰, 또는 0.03 내지 0.08몰로 사용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DMB 생성 효율이 우수하면서 부산물이 적게 생성되는 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알돌 반응기에서 상기 포름알데히드는 일례로 1 내지 50 중량%, 20 내지 40 중량%, 또는 30 내지 37 중량%의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형태일 수 있고, 이 경우에 DMB 생성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알돌 반응기에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는 일례로 몰비 1:2 내지 1:19, 1:2 내지 1:5, 또는 1:2 내지 1:3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DMB 생성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알돌 반응기에서 알돌 반응은 일례로 상기 a) 알돌 반응기에서 알돌반응은 일례로 일례로 반응온도 5 내지 100℃, 15 내지 80℃, 또는 20 내지 60℃; 및 반응시간 20분 내지 12시간, 1 내지 6시간, 또는 2 내지 4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반응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b) DMB 정제기는 일례로 제거된 수분 및 포름알데히드를 알돌 반응기로 이송하는 이송배관이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선 제거된 수분 및 포름알데히드가 알돌 반응기로 바로 회수될 수 있어 공정 단순화 및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거된 수분 및 포름알데히드는 일례로 포름알데히드를 1 내지 37 중량, 또는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b) DMB 정제기는 일례로 알돌 반응물에서 수분 100 중량% 중에서 90 중량% 이상, 90 내지 100 중량%, 또는 95 내지 100 중량%를 제거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후단의 추출기 및 유기용매 정제탑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단순화되고 후단에서 수분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열량이 감소되어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b) DMB 정제기는 일례로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에서 포름알데히드 100 중량% 중에서 95 중량% 이상, 95 내지 100 중량%, 또는 97 내지 100 중량%를 제거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후단의 추출기 및 유기용매 정제탑이 필요하지 않아 제거된 포름알데히드는 알돌 반응기로 바로 이송되어 재사용될 수 있어 공정 단순화 및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b) DMB 정제기는 일례로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에서 메탄올 100 중량% 중에서 95 중량% 이상, 95 내지 100 중량%, 또는 97 내지 100 중량%을 제거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후단의 추출기 및 유기용매 정제탑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단순화되고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b) DMB 정제기는 일례로 증류컬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증류컬럼은 일례로 탑정 온도 65 내지 90℃, 70 내지 90℃, 또는 75 내지 85℃; 탑저 온도 120 내지 150℃, 125 내지 145℃, 또는 130 내지 140℃; 압력 250 내지 550 mmHg, 300 내지 500 mmHg, 또는 350 내지 450 mmHg; 조건 하에서 작동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제거효율이 우수하면서 주요물질인 DMB, TMP의 손실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c) 수첨 반응기는 상기 b) DMB 정제기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및 메탄올이 제거된 DMB에 수소를 첨가하여 TMP를 제조한다.
상기 c) 수첨반응기는 일례로 수소화 촉매를 포함할 수 있고, 알데히드를 알코올로 수소화 할 수 있는 수소화 촉매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c) 수첨 반응기는 일례로 잔류된 포름알데히드가 전부 메탄올로 전환되어 후단의 정제장치에서 제거된다.
상기 d) 정제장치는 일례로 i) 상기 수첨반응으로 생성된 TMP로부터 저비점 불순물을 제거하는 저비점 정제컬럼, 및 ii) 상기 저비점 불순물이 제거된 TMP로부터 고비점 불순물을 제거하는 고비점 정제컬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고순도의 TMP을 수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i) 저비점 정제컬럼에서 저비점 불순물은 일례로 상부의 배관을 통해 배출되고 TMP를 포함하는 나머지 물질은 하부의 배관을 통해 ii) 고비점 정제컬럼으로 이송된다.
일례로 상기 ii) 고비점 제거컬럼에서 고비점 불순물은 하부의 배관으로 배출되고, TMP는 상부의 배관을 통해 수득된다.
상기 d) 정제장치에서 저비점 불순물은 TMP보다 비점이 낮은 물질을 말하며 일례로 물, 메탄올, 또는 아민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고비점 불순물은 TMP보다 비점이 높은 물질로 일례로 알돌반응의 부산물일 수 있다.
상기 i) 저비점 정제컬럼은 일례로 압력 35 내지 65 mmHg, 40 내지 60 mmHg, 또는 45 내지 55 mmHg; 탑정 온도 125 내지 155℃, 130 내지 150℃, 또는 135 내지 145℃; 및 탑저 온도 210 내지 240℃, 215 내지 235℃, 또는 220 내지 230℃; 조건 하에서 작동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저비점 불순물의 정제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ii) 고비점 정제컬럼은 일례로 압력 10 내지 30 mmHg, 15 내지 25 mmHg, 또는 18 내지 23 mmHg; 탑정 온도 180 내지 210℃, 190 내지 200℃, 또는 190 내지 195℃; 및 탑저 온도 230 내지 260℃, 235 내지 255℃, 또는 240 내지 250℃; 조건 하에서 작동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고비점 불순물의 정제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기재의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은 1) 촉매로서 아민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알돌 반응시켜 DMB(2,2-디메틸올부탄알)를 생성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이 제거된 DMB를 수첨반응시켜 TMP를 생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3) 단계에서 수득된 TMP로부터 저비점 불순물 및 고비점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단계의 아민 화합물은 일례로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이 경우에 DMB 생성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2) 단계에서 제거한 수분 및 포름알데히드는 일례로 상기 1) 단계로 이송되어 재이용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추가적인 포름알데히드 분리 및 회수 장치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상기 2) 단계에서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은 일례로 수분을 총 수분 100 중량% 중 90 중량% 이상, 90 내지 100 중량%, 또는 95 내지 100 중량% 제거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후단의 추출기 및 유기용매 정제탑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단순화되고 후단에서 수분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열량이 감소되어 에너지 사용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2) 단계에서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은 일례로 포름알데히드를 총 포름알데히드 100 중량% 중 95 중량% 이상, 95 내지 100 중량%, 또는 97 내지 100 중량% 제거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후단의 추출기 및 유기용매 정제탑이 필요하지 않고 알돌 반응기로 바로 회수될 수 있어 공정 단순화 및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2) 단계에서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은 일례로 메탄올을 총 메탄올 100 중량% 중 95 중량% 이상, 95 내지 100 중량%, 또는 97 내지 100 중량% 제거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후단의 추출기 및 유기용매 정제탑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단순화되고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2) 단계는 일례로 증류컬럼을 이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증류컬럼은 일례로 탑정온도 65 내지 90℃, 70 내지 90℃, 또는 75 내지 85℃; 탑저온도 120 내지 150℃, 125 내지 145℃, 또는 130 내지 140℃; 및 압력 250 내지 550mmHg, 300 내지 500mmHg, 또는 350 내지 450mmHg;로 실시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 생성물 손실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3) 단계는 상기 2) 단계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이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DMB를 수첨반응시켜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잔류 포름알데히드는 메탄올로 변환되고, 이는 상기 4) 단계에서 저비점 불순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4) 단계에서 저비점 불순물의 제거는 일례로 저비점 정제컬럼을 통해 압력 35 내지 65 mmHg, 40 내지 60 mmHg, 또는 45 내지 55 mmHg; 탑정 온도 125 내지 155℃, 130 내지 150℃, 또는 135 내지 145℃; 및 탑저 온도 210 내지 240℃, 215 내지 235℃, 또는 220 내지 230℃; 조건하에서 실시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저비점 불순물의 정제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4) 단계에서 고비점 불순물의 제거는 일례로 고비점 정제컬럼을 통해 압력 10 내지 30 mmHg, 15 내지 25 mmHg, 또는 18 내지 23 mmHg; 탑정 온도 180 내지 210℃, 190 내지 200℃, 또는 190 내지 195℃; 및 탑저 온도 230 내지 260℃, 235 내지 255℃, 또는 240 내지 250℃; 조건 하에서 실시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고비점 불순물의 정제 효과가 우수하다.
일례로, 먼저 저비점 정제컬럼을 통해 크루드(crude) TMP 생성물에서 저비점 불순물을 제거한 후, 이어서 다시 고비점 정제컬럼을 통해 고비점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된 TMP를 수득한다.
일례로, 먼저 고비점 정제컬럼을 통해 고비점 불순물을 제거한 후, 이어서 다시 저비점 정제컬럼을 통해 저비점 불순물을 제거한 후 정제된 TMP를 수득한다.
상기 저비점 불순물은 일례로 물, 메탄올, 또는 아민 화합물 등을 포함하고, 상기 고비점 불순물은 TMP보다 비점이 높은 물질로 일례로 알돌반응의 부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2와 같이 설치된 장치에 n-부티르알데히드(B) 및 포름알데히드(F) 를 몰비(B:F) 1:2로 하고, 촉매로 트리에틸아민(TEA)을 n-부티르알데히드 1몰 당 0.03몰의 비율을 투입하여 온도 50℃에서 2시간 동안 알돌 반응기에서 알돌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 알돌반응 생성물을 DMB 정제기에서 다음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압력 400mmHg, 탑정 온도 79℃ 및 탑저온도 137℃ 조건 하에 상부로 수분 98 중량%, 포름알데히드 99 중량%, 메탄올 99 중량%를 제거하였다. 상기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이 제거된 DMB는 수첨반응기로 이송되어 수소 첨가에 의해 크루드 TMP로 제조한 다음,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저비점 정제컬럼 및 고비점 정제컬럼을 통과하여 최종 정제된 TMP를 수득하였다.
이 때, 수득된 TMP는 투입된 n-부티르알데히드에 대한 TMP 회수율은 97.5%이고, 순도는 99.99% 이상이었다.
상기 공정에 따른 총 에너지 사용량은 4.51 Gcal/hr 이었다.
비교예 1
도 1과 같이 설치된 장치로 n-부티르알데히드(B) 및 포름알데히드(F)를 몰비(B:F) 1:2로 하고, 촉매로 TEA를 n-부티르알데히드 1몰 당 0.03몰의 비율을 투입하여 온도 50℃에서 2시간 동안 알돌 반응기에서 알돌 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 알돌 반응기 생성물을 추출기에서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추출제로 2-에틸헥산올을 이용하여 DMB를 추출한 다음 수첨반응 후 생성된 크루드 TMP를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저비점 불순물 및 고비점 불순물을 제거하고 유기 용매를 정제하여 최종 TMP와 유기 용매를 각각 수득하였다.
수득된 TMP는 투입된 n-부티르알데히드에 대한 TMP 회수율은 97.5%이고, 순도는 99.99% 이상이었다.
상기 공정에 따른 총 에너지 사용량은 4.73 Gcal/hr 이었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TMP 회수율, TMP 순도 및 물 제거율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 TMP 회수율(%): 반응에 의한 TMP 생산량 대비 최종 TMP 제품의 비
* TMP 순도(%): 최종 TMP 제품 내 순수한 TMP의 양의 비
* 물 제거율(중량%): 알돌반응 생성물 내 물의 양 대비 제거된 물의 양의 비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추출 없음 설비(추출기)
운전 압력 X 1,500 mmHg
솔베트 유량 X 3,500 Kg/hr
물 제거율 X 47.1%
에너지 사용량 X 0 Gcal/hr
DMB 정제 설비(DMB 정제탑) 없음
운전 압력 400 mmHg X
탑정 온도 79 ℃ X
탑저 온도 137 ℃ X
물 제거율 98.5 % X
에너지 사용량 3.20 Gcal/hr X
저비점 제거 설비(저비점 정제컬럼) 설비(저비점 제거탑)
운전 압력 50 mmHg 190 mmHg
탑정 온도 141 ℃ 112 ℃
탑저 온도 226 ℃ 253 ℃
에너지 사용량 0.43 Gcal/hr 2.94 Gcal/hr
고비점 제거 설비(고비점 정제컬럼) 설비(고비점 제거탑)
운전 압력 20 mmHg 20 mmHg
탑정 온도 192 ℃ 192 ℃
탑저 온도 244 ℃ 250 ℃
에너지 사용량 0.88 Gcal/hr 0.70 Gcal/hr
유기용매 제거 없음 설비(유기용매 제거탑)
운전 압력 X 300 mmHg
탑정 온도 X 66 ℃
탑저 온도 X 157 ℃
에너지 사용량 X 1.09 Gcal/hr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TMP 회수율 97.5 % 97.5 %
TMP 순도 99.99 % 이상 99.99 % 이상
총 에너지 사용량 4.51 Gcal/hr 4.73 Gcal/hr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재의 실시예 1는 종래기술인 비교예 1과 대비하여 TMP 회수율과 순도는 유지되면서 총 에너지 사용량이 4.73 Gcal/hr에서 4.51 Gcal/hr로 4.7% 나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기재의 DMB 정제탑에서 제거하는 물의 양이 종래기술인 추출기에서 제거하는 물의 양보다 많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기술인 비교예 1은 추출제로 2-에틸헥산올을 사용하는 추출단계 및 이를 제거하기 위한 유기용매 정제 단계가 필수적이므로 공정이 복잡한데 비해 본 기재의 실시예 1은 추출단계 및 유기용매 정제 단계가 필요치 않으므로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었다.

Claims (16)

  1. a) 촉매로서 아민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알돌 반응시켜 DMB(2,2-디메틸올부탄알)를 생성시키는 알돌 반응기; b) 상기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DMB 정제기; c) 상기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이 제거된 DMB를 수소 첨가 반응시켜 TMP(트리메틸올프로판)을 생성하는 수첨 반응기; 및 d) 상기 TMP를 정제하는 정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정제장치는 i) 상기 TMP로부터 저비점 불순물을 제거하는 저비점 정제컬럼, 및 ii) 상기 TMP로부터 고비점 불순물을 제거하는 고비점 정제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알돌 반응기에서 아민 화합물은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DMB 정제기는 알돌반응 생성물 내 수분 100 중량% 중에서 수분 90 중량% 이상을 제거하고, 포름알데히드 100 중량% 중에서 95 중량% 이상을 제거하고, 메탄올 100 중량% 중에서 95 중량% 이상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DMB 정제기는 제거된 포름알데히드를 알돌 반응기로 이송하는 이송배관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DMB 정제기는 증류컬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는 유기용매 정제탑, 추출기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8. 1) 촉매로서 아민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n-부티르알데히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알돌 반응시켜 DMB(2,2-디메틸올부탄알)을 생성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DMB 정제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수분, 포름알데히드 및 메탄올이 제거된 DMB를 수소 첨가 반응시켜 TMP(트리메틸올프로판)를 생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3) 단계에서 생성된 TMP로부터 저비점 불순물 및 고비점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아민 화합물은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제거한 수분 및 포름알데히드는 상기 1) 단계로 이송되어 재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DMB를 포함하는 알돌반응 생성물 내 수분 100 중량% 중에서 90 중량% 이상을 제거하며 포름알데히드 100 중량% 중에서 95 중량% 이상을 제거하고 메탄올 100 중량% 중에서 95 중량%% 이상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증류컬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컬럼은 탑정 온도 65 내지 90℃, 탑저 온도 120 내지 150℃ 및 압력 250 내지 550 mmHg 조건 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저비점 불순물의 제거는 압력 35 내지 60 mmHg, 탑정 온도 125 내지 155℃ 및 탑저 온도 210 내지 240℃ 조건 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고비점 불순물의 제거는 압력 10 내지 30 mmHg, 탑정 온도 180 내지 210℃ 및 탑저 온도 230 내지 260℃ 조건 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은 유기용매로 알돌반응 생성물을 추출하는 단계, 유기용매를 정제하는 단계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KR1020160143163A 2016-10-31 2016-10-31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224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63A KR102224268B1 (ko) 2016-10-31 2016-10-31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63A KR102224268B1 (ko) 2016-10-31 2016-10-31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56A true KR20180047256A (ko) 2018-05-10
KR102224268B1 KR102224268B1 (ko) 2021-03-08

Family

ID=6218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163A KR102224268B1 (ko) 2016-10-31 2016-10-31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3322A (zh) * 2019-07-25 2019-11-08 江西科顶化学材料有限公司 一种2,2-二羟甲基丁醛水溶液的合成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890A (ko) * 1998-12-25 2000-07-25 오오히라 아키라 고순도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KR100499599B1 (ko) * 1996-12-20 2005-07-07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폴리알콜의 제조 방법
KR100770466B1 (ko) * 1999-12-28 2007-10-26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연속 증류를 이용하여 수소첨가에 의해 제조된트리메틸올프로판을 정제하는 방법
KR100837523B1 (ko) * 2006-03-07 2008-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KR100884121B1 (ko) * 2001-12-07 2009-02-17 바스프 에스이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단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599B1 (ko) * 1996-12-20 2005-07-07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폴리알콜의 제조 방법
KR20000047890A (ko) * 1998-12-25 2000-07-25 오오히라 아키라 고순도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KR100770466B1 (ko) * 1999-12-28 2007-10-26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연속 증류를 이용하여 수소첨가에 의해 제조된트리메틸올프로판을 정제하는 방법
KR100884121B1 (ko) * 2001-12-07 2009-02-17 바스프 에스이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단리 방법
KR100837523B1 (ko) * 2006-03-07 2008-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3322A (zh) * 2019-07-25 2019-11-08 江西科顶化学材料有限公司 一种2,2-二羟甲基丁醛水溶液的合成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268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326B1 (en) Method for preparing trimethylolproane
KR102224243B1 (ko)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952690B1 (ko) 글리콜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70466B1 (ko) 연속 증류를 이용하여 수소첨가에 의해 제조된트리메틸올프로판을 정제하는 방법
CN100463897C (zh) 一种从乙酸与混合c4反应后的混合物中分离乙酸仲丁酯的方法
RU274157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2,2-диметил-1,3-пропандиола
US2615901A (en) Process of producing ethylene oxide substantially free of acetaldehyde
KR100884121B1 (ko)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단리 방법
US7671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urified methyl isobutyl ketone
CN112661787B (zh) 抗氧化剂亚磷酸三(2,4-二叔丁基苯)酯的制备方法
TWI422567B (zh) 二-三羥甲基丙烷之製造方法
KR102224268B1 (ko)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340777B1 (ko) 디메틸에테르의 제조공정
KR102224267B1 (ko)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0676304B1 (ko) 네오펜틸글리콜의 제조방법
JPH09268150A (ja) ジトリメチロールプロパンの製造方法
KR100468483B1 (ko) 에틸아민류의제조방법
CN101130495A (zh) 从乙酸与丁烯或混合c4反应后的混合物中分离乙酸仲丁酯的方法
CN211814218U (zh) 一种草甘膦的连续化合成系统
KR20020001600A (ko) 폴리올 제조방법
JP2014533664A (ja) ジトリメチロールプロパンを獲得するための蒸留方法
JPS6039049B2 (ja) アルコ−ルの製造方法
JP4356342B2 (ja) エチレングリコールの精製方法
KR20240035331A (ko)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 방법
KR101521607B1 (ko)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고수율로 분리회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