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7158A -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7158A
KR20180047158A KR1020160142951A KR20160142951A KR20180047158A KR 20180047158 A KR20180047158 A KR 20180047158A KR 1020160142951 A KR1020160142951 A KR 1020160142951A KR 20160142951 A KR20160142951 A KR 20160142951A KR 20180047158 A KR20180047158 A KR 2018004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evaporator
path forming
ice
bra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840B1 (ko
Inventor
용민철
이정훈
이현우
허성환
이권재
이경민
예병효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840B1/ko
Priority to CN201721415572.1U priority patent/CN207438950U/zh
Publication of KR2018004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2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steel or ferrous alloys
    • F28F21/083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steel or ferrous alloys from stainless st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2Details of evaporators
    • F25B2339/024Evaporators with refrigerant in a vessel in which is situated a heat exchanger
    • F25B2339/0242Evaporators with refrigerant in a vessel in which is situated a heat exchanger having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1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2Fastening; Joining by using bonding materials; by embedding elements in particu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기용 증발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제1유로형성판; 상기 냉매유로를 완성하도록 상기 제1유로형성판에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2유로형성판; 및 상기 제2유로형성판에 연결되는 침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에는 브레이징시 용융되어 상기 제1,2유로형성판을 연결하는 브레이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상기 제1,2유로형성판과 침지부재가 구비되는 제빙기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EVAPORATOR FOR ICE MAKER AND ICE MAK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에 사용되는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 제빙용 증발기가 제빙기의 본체 내부에 구비된다.
제빙용 증발기의 일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모세관이나 팽창밸브에 연결되고 타측은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한다.
또한, 제빙용 증발기에는 침지부재가 연결되고, 침지부재는 트레이부재에 담긴 물에 잠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빙용 증발기에 빙점 이하의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면, 침지부재도 빙점 이하로 냉각되어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된다.
침지부재에 소정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면, 제빙용 증발기에 빙점 이상의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거나, 제빙용 증발기에 구비된 히터를 구동하여 침지부재에 생성된 얼음이 침지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제빙용 증발기는 브레이징, 즉 브레이징부재의 용융에 의해서 연결되는 부분이 존재하고, 이와 같이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빙용 증발기의 부분에서는 부식 등에 의해서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제빙기 내부로 유입되었다.
이에 의해서, 제빙기 내부가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에 의해서 오염되어, 제빙기의 위생성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제빙기의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증발기의 제조를 위한 브레이징에 사용되는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제빙기 내부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용 증발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제1유로형성판; 상기 냉매유로를 완성하도록 상기 제1유로형성판에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2유로형성판; 및 상기 제2유로형성판에 연결되는 침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에는 브레이징시 용융되어 상기 제1,2유로형성판을 연결하는 브레이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상기 제1,2유로형성판과 침지부재가 구비되는 제빙기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징부재 외측의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에는 누출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출방지부재는 물과 반응하지 않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출방지부재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형성판에는 상기 브레이징부재 외측의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가 덮이도록 상기 브레이징부재 외측의 상기 제2유로형성판의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연장되어 상기 제1유로형성판으로 꺽이는 누출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를 통해 누출된 오염물질이 상기 제빙기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형성판에는 상기 브레이징부재 외측의 상기 제2유로형성판의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수평하게 연장되는 오염방지연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형성판에는 상기 브레이징부재 외측의 상기 제2유로형성판의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수평하게 연장되어 소정 각도로 꺽이는 오염방지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징부재는 필름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징부재는 상기 제1,2유로형성판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징부재와 제1,2유로형성판은 스테인레스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지부재에는 상기 냉매유로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추가냉매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유로는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와 제2냉매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지부재에는 상기 추가냉매유로가 상기 제1냉매유로에 연결되는 제1추가냉매유로와, 상기 제1추가냉매유로와 제2냉매유로에 연결되는 제2추가냉매유로로 나뉘도록 하는 칸막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2냉매유로 사이의 상기 제2유로형성판의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칸막이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침지부재의 바닥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상기 칸막이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2추가냉매유로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전술한 제빙기용 증발기; 및 상기 침지부재가 잠기는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의 제조를 위한 브레이징에서 사용되는 브레이징부재에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증발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증발기에서 누출된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제빙기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제빙기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기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단면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1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단면사시도이며,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빙기용 증발기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100)의 제1실시예는 제1유로형성판(200)과, 제2유로형성판(300) 및, 침지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형성판(20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PR)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형성판(200)에는 단면이 반원형상이고 일측이 개방된 유로용 홈(GV)이 형성되어 냉매유로(PR)의 적어도 일부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냉매유로(PR)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도록 제1유로형성판(200)에 형성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냉매유로(PR)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유로형성판(300)은 냉매유로(PR)를 완성하도록 제1유로형성판(200)에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유로형성판(3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징에 의해서 제1유로형성판(200)에 연결되어 제1유로형성판(200)에 형성된 단면이 반원형상인 유로용 홈(GV)의 개방된 일측을 덮음으로써 냉매유로(PR)를 완성할 수 있다.
이외에, 제2유로형성판(300)에도 제1유로형성판(200)에 형성된 일측이 개방된 유로용 홈에 대응되는 일측이 개방된 유로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유로형성판(200,300)에 각각 형성된 유로용 홈의 개방된 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2유로형성판(300)이 제1유로형성판(200)에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되어 냉매유로(PR)가 완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냉매유로(PR)가 완성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유로형성판(300)이 제1유로형성판(200)에 브레이지에 의해서 연결되어 완성된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2유로형성판(200,300)이 브레이징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완성되는 냉매유로(PR)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PR1)와 제2냉매유로(PR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2냉매유로(PR1,PR2)는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1냉매유로(PR1) 중 하나에는 냉동사이클(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는 모세관(도시되지 않음)이나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제1연결관(PC1)에 의해서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2냉매유로(PR2) 중 하나에는 냉동사이클에 포함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에 제2연결관(PC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지그재그형상의 냉매유로(PR)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에는 브레이징시 용융되어 제1,2유로형성판(200,300)을 연결하는 브레이징부재(BM)가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징부재(BM)는, 예컨대 필름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브레이징부재(BM)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에 구비되어 브레이징시 용융됨으로써 제1,2유로형성판(200,300)을 연결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브레이징부재(BM)는 제1,2유로형성판(200,30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레이징부재(BM)가 제1,2유로형성판(200,300)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 브레이징부재(BM)의 용융에 의한 제1,2유로형성판(200,300)의 연결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브레이징부재(BM)와 제1,2유로형성판(200,300)은,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레이징부재(BM)와 제1,2유로형성판(200,300)이 스레인레스스틸로 이루어지면, 브레이징부재(BM)와 제1,2유로형성판(200,300)이 용이하게 부식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부식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기용 증발기(100)가 구비되는 제빙기(IM)가 오염물질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빙기(IM)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브레이징부재(BM)와 제1,2유로형성판(200,300)은 스테인레스스틸 이외의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브레이징부재(BM)는 제1,2유로형성판(200,300)과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브레이징부재(BM)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브레이징시 용융되어 제1,2유로형성판(200,300)을 연결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이루어질 수 있다.
침지부재(400)는 제2유로형성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유로형성판(3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구멍(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형성판(300)의 끼움구멍(H)에 침지부재(400)의 일단부가 끼워지고 레이저 용접되는 것으로, 침지부재(400)가 제2유로형성판(3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침지부재(400)가 제2유로형성판(3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끼움구멍(H)에 끼워지지 않고 제2유로형성판(300)에 직접 레이저 용접되어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침지부재(4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용 증발기(100)와 함께 제빙기(IM)에 포함되는 트레이부재(TR)에 담기는 물에 잠길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유로형성판(200,300)에 의해서 형성되는 냉매유로(PR)에 빙점 이하의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면, 침지부재(400)가 빙점 이하로 냉각되어 침지부재(40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침지부재(400)에 소정 크기의 얼음(I)이 생성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유로형성판(200,300)에 의해서 형성되는 냉매유로(PR)에 빙점 이상의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거나, 침지부재(400) 또는 제1,2유로형성판(200,300)에 구비되는 히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침지부재(400)가 빙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침지부재(400)에 생성된 얼음(I)이 침지부재(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침지부재(400)에는 제1,2유로형성판(200,300)에 의해서 형성되는 냉매유로(PR)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추가냉매유로(P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침지부재(400)의 일단부가 끼워져서 연결되는 끼움구멍(H)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유로(PR)를 이루는 제2유로형성판(300)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지부재(400)에 추가냉매유로(PA)가 형성되면, 도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400)에도 냉매가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침지부재(400)에의 얼음(I)의 생성과 침지부재(400)로부터의 얼음(I)의 분리가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침지부재(4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부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칸막이부재(410)에 의해서 침지부재(400)에 형성된 추가냉매유로(PA)가 냉매유로(PR)의 제1냉매유로(PR1)에 연결되는 제1추가냉매유로(PA1)와, 제1추가냉매유로(PA1)와 냉매유로(PR)의 제2냉매유로(PR2)에 연결되는 제2추가냉매유로(PA2)로 나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부재(410)의 일단부는 제1,2냉매유로(PR1,PR2) 사이의 제2유로형성판(30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칸막이부재(410)의 일단부는, 예컨대 브레이징부재(BM)에 의해서 제1,2냉매유로(PR1,PR2) 사이의 제2유로형성판(300)의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칸막이부재(410)의 일단부가 제1,2냉매유로(PR1,PR2) 사이의 제2유로형성판(300)의 부분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칸막이부재(410)의 타단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400)의 바닥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칸막이부재(410)의 타단부에는 제1,2추가냉매유로(PA1,PA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유로(PR)의 제1냉매유로(PR1)를 유동하는 냉매가 침지부재(400)의 제1추가냉매유로(PA1)에 유입되어 제2추가냉매유로(PA2)로 유동한 후 냉매유로(PR)의 제2냉매유로(PR2)에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100)의 제1실시예는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에 구비되는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전술한 제1,2유로형성판(200,300)과 침지부재(400), 즉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100)의 제1실시예가 구비되는 제빙기(IM)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100)의 제1실시예는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제빙기(IM) 내부에 유입되어 제빙기(IM) 내부를 오염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빙기(IM)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100)의 제1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징부재(BM) 외측의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에 누출방지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누출방지부재(500)는 물과 반응하지 않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출방지부재(500)로부터, 예컨대 부식 등에 의해서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누출방지부재(500)에 의해서 제빙기(IM)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누출방지부재(500)는,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누출방지부재(500)를 이루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과 반응하지 않은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누출방지부재(500)가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면, 누출방지부재(500)의 탄성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제1,2유로형성판(200,300)의 브레이징 후에 누출방지부재(500)를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에 억지로 끼워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제빙기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IM)의 제1실시예는 전술한 제빙기용 증발기(100)와 트레이부재(TR)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용 증발기(100)는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으로 갈음한다.
트레이부재(TR)는 전술한 제빙기용 증발기(100)의 침지부재(400)가 잠기는 물이 담길 수 있다.
트레이부재(TR)는 회전축(AX)을 중심으로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빙위치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탈빙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빙위치에서 트레이부재(TR)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관(P)을 통해 물이 담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빙위치에서 트레이부재(TR)에 물이 담기면, 제빙기용 증발기(100)의 침지부재(400)가 트레이부재(TR)에 담긴 물에 잠길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유로형성판(200,300)에 의해서 형성된 냉매유로(PR)와 침지부재(400)의 추가냉매유로(PA)에 빙점 이하의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면, 침지부재(400)에 얼음(I)이 생성될 수 있다.
침지부재(400)에 소정 크기의 얼음(I)이 생성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TR)를 탈빙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유로형성판(200,300)에 의해서 형성된 냉매유로(PR)와 침지부재(400)의 추가냉매유로(PA)에 빙점 이상의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도록 하면, 침지부재(400)에 생성된 얼음(I)이 침지부재(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지부재(400)로부터 분리된 얼음(I)은 자중에 의해서 제빙기(IM) 내부에 구비된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에 낙하되어 저장되거나, 제빙기(IM) 내부에 구비된 냉수탱크(도시되지 않음)에 낙하되어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할 수 있다.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2실시예]
이하,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2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1실시예와,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100)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IM)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형성판(300)에 누출방지부(310)가 구비되어,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누출방지부(3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징부재(BM) 외측의 제2유로형성판(300)의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연장되어 제1유로형성판(200)으로 꺽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브레이징부재(BM) 외측의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가 누출방지부(310)에 의해서 덮이기 때문에,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3실시예]
이하,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3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1실시예와,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누출된 오염물질이 제빙기(IM)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100)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IM)의 제3실시예에서는 브레이징부재(BM)에 의해서 발생되어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누출된 오염물질이 제빙기(IM)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100)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IM)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형성판(300)에 오염방지연장부(320)가 구비되어,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되어 제1,2유로형성판(200,300) 누출된 오염물질이 제빙기(IM)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염방지연장부(32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징부재(BM) 외측의 제2유로형성판(300)의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오염방지연장부(320)는 제빙기(IM)의 본체(도시되지 않음)의 내벽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누출된다고 하더라도 제빙기(IM) 내부에는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되어 제1,2유로형성판(200,300) 누출된 오염물질이 제빙기(IM)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염방지연장부(320)가 브레이징부재(BM) 외측의 제2유로형성판(300)의 부분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소정 거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누출된 브레이징부재(BM)의 일부가 제빙기(IM) 내부에서 특히 오염이 되면 안 되는 부분, 예컨대 사용자가 음용하는 물이나 얼음(I)이 있는 트레이부재(TR)나,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 또는 냉수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유입되지 않을 수 있는 거리라면 어떠한 거리라도 가능하다.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4실시예]
이하,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4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1실시예와,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누출된 오염물질이 제빙기(IM)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100)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IM)의 제4실시예에서도 브레이징부재(BM)에 의해서 발생되어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누출된 오염물질이 제빙기(IM)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100)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IM)의 제4실시예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형성판(300)에 오염방지턱부(330)가 구비되어,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되어 제1,2유로형성판(200,300) 누출된 오염물질이 제빙기(IM)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염방지턱부(33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징부재(BM) 외측의 제2유로형성판(300)의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수평하게 연장되어 소정 각도 꺽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징부재(BM)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누출된다고 하더라도, 누출된 오염물질은 오염방지턱부(330)에 의해서 제빙기(IM) 내부에는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오염방지턱부(330)는, 예컨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거리 수평하게 연장된 후 수직하게 꺽일 수 있다. 그러나, 오염방지턱부(330)가 수정 거리 연장된 후 꺽이는 소정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1,2유로형성판(200,300) 사이를 통해 누출된 오염물질이 제빙기(IM) 내부에 유입되지 않게 하는 각도라면 어떠한 각도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사용하면, 증발기의 제조를 위한 브레이징에서 사용되는 브레이징부재에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증발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증발기에서 누출된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제빙기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제빙기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빙기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용 증발기와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빙기용 증발기 200 : 제1유로형성판
300 : 제2유로형성판 310 : 누출방지부
320 : 오염방지연장부 330 : 오염방지턱부
400 : 침지부재 410 : 칸막이부재
500 : 누출방지부재 PR : 냉매유로
PR1 : 제1냉매유로 PR2 : 제2냉매유로
BM : 브레이징부재 PA : 추가냉매유로
PA1 : 제1추가냉매유로 PA2 : 제2추가냉매유로
GV : 유로용 홈 H : 끼움구멍
PC1 : 제1연결관 PC2 : 제2연결관
IM : 제빙기 TR : 트레이부재
AX : 회전축 P : 물공급관
I : 얼음

Claims (17)

  1.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제1유로형성판;
    상기 냉매유로를 완성하도록 상기 제1유로형성판에 브레이징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2유로형성판; 및
    상기 제2유로형성판에 연결되는 침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에는 브레이징시 용융되어 상기 제1,2유로형성판을 연결하는 브레이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상기 제1,2유로형성판과 침지부재가 구비되는 제빙기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제빙기용 증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제빙기용 증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부재 외측의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에는 누출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제빙기용 증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부재는 물과 반응하지 않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빙기용 증발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방지부재는 고무나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제빙기용 증발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형성판에는 상기 브레이징부재 외측의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가 덮이도록 상기 브레이징부재 외측의 상기 제2유로형성판의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연장되어 상기 제1유로형성판으로 꺽이는 누출방지부가 구비되는 제빙기용 증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부재에서 발생되어 상기 제1,2유로형성판 사이를 통해 누출된 오염물질이 상기 제빙기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제빙기용 증발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형성판에는 상기 브레이징부재 외측의 상기 제2유로형성판의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수평하게 연장되는 오염방지연장부가 구비되는 제빙기용 증발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형성판에는 상기 브레이징부재 외측의 상기 제2유로형성판의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수평하게 연장되어 소정 각도로 꺽이는 오염방지턱부가 구비되는 제빙기용 증발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부재는 필름형태인 제빙기용 증발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부재는 상기 제1,2유로형성판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제빙기용 증발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부재와 제1,2유로형성판은 스테인레스스틸로 이루어지는 제빙기용 증발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부재에는 상기 냉매유로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추가냉매유로가 형성되는 제빙기용 증발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로는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와 제2냉매유로를 포함하는 제빙기용 증발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부재에는 상기 추가냉매유로가 상기 제1냉매유로에 연결되는 제1추가냉매유로와, 상기 제1추가냉매유로와 제2냉매유로에 연결되는 제2추가냉매유로로 나뉘도록 하는 칸막이부재가 구비되는 제빙기용 증발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2냉매유로 사이의 상기 제2유로형성판의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칸막이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침지부재의 바닥부와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상기 칸막이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2추가냉매유로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는 제빙기용 증발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빙기용 증발기; 및
    상기 침지부재가 잠기는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 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20160142951A 2016-10-31 2016-10-31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264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51A KR102644840B1 (ko) 2016-10-31 2016-10-31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CN201721415572.1U CN207438950U (zh) 2016-10-31 2017-10-30 制冰机用蒸发器以及包含制冰机用蒸发器的制冰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51A KR102644840B1 (ko) 2016-10-31 2016-10-31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158A true KR20180047158A (ko) 2018-05-10
KR102644840B1 KR102644840B1 (ko) 2024-03-08

Family

ID=6218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951A KR102644840B1 (ko) 2016-10-31 2016-10-31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4840B1 (ko)
CN (1) CN20743895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1765A4 (en) * 2018-09-14 2021-11-17 Woongjin Coway Co., Ltd. ICE MACHINE EVAPORATOR
CN114484942A (zh) * 2020-10-26 2022-05-13 李镇九 去除内部隔墙的制冰用蒸发器及包括该蒸发器的制冰装置
KR20220160862A (ko) *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엠씨엠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440A (ja) * 1995-08-18 1997-03-04 Hitachi Ltd ガス絶縁送電線シース溶接継手構造及び溶接方法
JPH11759A (ja) * 1997-04-17 1999-01-06 Mitsubishi Heavy Ind Ltd 集積配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53057A (ko) * 2007-11-22 2009-05-27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JP2010133628A (ja) * 2008-12-04 2010-06-17 Panasonic Corp 製氷皿エバポレータおよび製氷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7440A (ja) * 1995-08-18 1997-03-04 Hitachi Ltd ガス絶縁送電線シース溶接継手構造及び溶接方法
JPH11759A (ja) * 1997-04-17 1999-01-06 Mitsubishi Heavy Ind Ltd 集積配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53057A (ko) * 2007-11-22 2009-05-27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JP2010133628A (ja) * 2008-12-04 2010-06-17 Panasonic Corp 製氷皿エバポレータおよび製氷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1765A4 (en) * 2018-09-14 2021-11-17 Woongjin Coway Co., Ltd. ICE MACHINE EVAPORATOR
US11493253B2 (en) 2018-09-14 2022-11-08 Coway Co., Ltd. Evaporator for ice maker
CN114484942A (zh) * 2020-10-26 2022-05-13 李镇九 去除内部隔墙的制冰用蒸发器及包括该蒸发器的制冰装置
KR20220160862A (ko) *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엠씨엠 얼음 제조용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얼음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840B1 (ko) 2024-03-08
CN207438950U (zh)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59440A1 (en) Sanitary evaporator assembly
KR20180047158A (ko) 제빙기용 증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100936691B1 (ko) 제빙용 냉매관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18001A1 (en) Ice maker for dispensing soft ice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WO2014103563A1 (ja) 熱交換器
JP5591678B2 (ja) 貯蔵庫
KR20110061964A (ko) 냉장고용 물탱크 및 그 제조방법과 냉장고용 물탱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10101517A (ja) 冷蔵庫
KR20130026969A (ko) 제빙시스템
KR200457271Y1 (ko) 제빙용 침지부
KR20160149022A (ko) 냉매 유로 일체형 제빙 트레이 및 방법
KR20160069090A (ko) 냉수생성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수기
KR20180041520A (ko) 제빙기용 증발기
KR20170114305A (ko)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일체형 냉매 유도관
KR102581580B1 (ko) 제빙기용 증발기
KR101675746B1 (ko) 제빙기
KR102396593B1 (ko) 제빙기
CN110411102A (zh) 制冰机和具有制冰机的冰箱
KR20180010815A (ko) 증발기 제조방법
JP2006250487A (ja) 冷蔵庫の製氷装置
JP6384997B2 (ja) へリングボーンコイル製氷装置
KR20200082204A (ko) 제빙용 증발기
JP2008064397A (ja) 冷蔵庫
JP5090753B2 (ja) 貯湯タンクのソケット溶接構造
KR20210132293A (ko)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